KR102232781B1 -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781B1
KR102232781B1 KR1020190044009A KR20190044009A KR102232781B1 KR 102232781 B1 KR102232781 B1 KR 102232781B1 KR 1020190044009 A KR1020190044009 A KR 1020190044009A KR 20190044009 A KR20190044009 A KR 20190044009A KR 102232781 B1 KR102232781 B1 KR 102232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haft
fixed
drive wheel
electric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1448A (ko
Inventor
양영모
Original Assignee
(주)마이벨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벨로 filed Critical (주)마이벨로
Priority to KR1020190044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781B1/ko
Publication of KR20200121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7Motorized wheel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수동 휠체어의 비전동 구동륜을 분리한 후 전동 구동륜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등 조립성이 우수하고,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electric drive wheel for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 수동 휠체어의 비전동 구동륜을 분리한 후 전동 구동륜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는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로서, 신체장애자나 환자 및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의료 보조 기구이다.
이러한 휠체어는 인력에 의하여 바퀴를 구동시키는 수동휠체어와 전동장치를 이용하여 바퀴를 구동시키는 전동휠체어로 크게 구분된다.
수동휠체어는 접을 수 있고 가벼워 휴대성이 좋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이동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구동륜을 손으로 밀어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등 이동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전동 휠체어는 이동성이 뛰어나고 조작이 편리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무거워 휴대하기에 어렵다.
한편, 종래의 수동 휠체어에 별도의 전동 모듈을 장착하여 전동 휠체어와 같이 전동으로 구동가능한 휠체어 구조가 KR 10-1715293(이하, '특허문헌 0001'이라 한다.) 및 KR10-2017-0090371A(이하, '특허문헌 0002'라 한다.)와 같이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0001은 휠체어의 바퀴 외측에 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바퀴의 일측과 맞닿아 회전하는 원기둥 형상의 마찰회전자; 상기 마찰회전자의 중심축에 연결되어 상기 마찰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휠체어의 구동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수동 휠체어에 간단하게 구동보조장치를 장착하여 기존 휠체어의 바퀴에 전동 구동 능력을 가지게 하며, 기존 전동휠체어의 경우 크기, 무게 등으로 차량 등에 적재가 어려웠으나 수동휠체어의 접이식 기능을 이용하여 운반 및 적재가 쉽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2는 사용자가 손으로 바퀴를 구동시키는 수동식 휠체어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바퀴를 구동시키는 전동식 휠체어로 전환시키며, 특히 휠체어의 형태나 사이즈에 관계없이 착탈 및 전동식 전환이 가능해 적은 비용 부담만으로 전동식 휠체어의 보급을 가능하게 하는 착탈식 전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휠체어에서 양측 바퀴를 지지하는 양측의 설치 프레임에 각각 장착되며, 롤러를 바퀴에 밀착시켜 롤러의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구동 모듈; 및 상기 구동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01 및 0002의 경우 수동휠체어에 장착하여 전동 휠체어와 같이 전동으로 이동가능한 이점이 있으나, 롤러와 휠체어의 바퀴가 슬립될 우려가 있고, 롤러와 휠체어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어 부상입을 우려가 있는 등 안전성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KR 10-1715293 B1 (2017.03. 06) KR10-2017-0090371A (2017.08.07)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래 수동 휠체어의 비전동 구동륜을 분리한 후 전동 구동륜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등 조립성이 우수하고, 안정성이 우수한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허브모터가 설치된 전동 구동륜을 수동 휠체어의 비전동 구동륜을 분리한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로서, 상기 전동 구동륜의 허브모터의 하우징 측면에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허브모터를 상기 수동 휠체어의 프레임에 형성된 축공에 축고정하기 위한 고정샤프트가 구비되며,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허브모터의 하우징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공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체결부재가 관통하고 상기 관통공의 주변에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공과, 상기 고정샤프트에 의해 상기 전동 구동륜과 함께 상기 프레임에 축고정될 때 적어도 가장자리 중 상기 프레임의 주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공을 포함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복수의 고정공 중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상기 고정샤프트에 의해 상기 전동 구동륜과 함께 상기 프레임에 축고정될 때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고정공과 상기 프레임의 후측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고정공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전측 회전방지부 및 후측 회전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어느 한쪽으로 연장형성되는 제 1연장판부와, 상기 제 1연장판부와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에 연장형성되는 제 2연장판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연장판부 및 상기 제 2연장판부에 복수의 상기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측 회전방지부와 상기 후측 회전방지부에 각각 내경 또는 대각선 길이가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게 형성되는 고정몸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복수의 고정공의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전측 회전방지부와 상기 후측 회전방지부에 내경 또는 대각선 길이가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게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체결공을 통과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복수의 고정공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가 각각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고정몸체의 일측면에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는 확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측 회전방지부와 상기 후측 회전방지부에 상기 고정몸체의 체결공에 삽입되는 슬리브부와, 상기 슬리브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부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몸체의 확장홈에 수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보강 슬리브와; 상기 보강 슬리브의 일측에 밀착되고, 상기 보강 슬리브의 연통공과 연통되는 보조공이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복수의 고정공 중 어느 한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위치고정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허브모터의 고정슬리브축의 내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샤프트는 상기 수동 휠체어의 프레임에 형성된 축공에 축고정되고, 일측에 상기 허브모터의 고정슬리브축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볼을 수용하는 볼홀이 형성되며, 타측 내면에 단차턱이 형성되는 관상의 몸체와; 관상의 상기 몸체에 삽입되고, 일측에 볼홈이 형성되며, 타측에 돌출턱 및 상기 돌출턱과 일체형성되는 버튼이 형성되는 축과; 상기 돌출턱을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관상의 상기 몸체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버튼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돌출턱과 일체형성되는 버튼이 형성되는 상기 축을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관상의 상기 몸체의 단차턱과 상기 축의 돌출턱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동 구동륜의 허브모터의 하우징 측면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전측 회전방지부 및 후측 회전방지부를 통해 비전동 구동륜이 분리된 수동 휠체어에 상기 전동 구동륜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등 조립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 또한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의 전동 구동륜에 고정플레이트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전동 구동륜에 고정플레이트와 함께 전측 회전방지부 및 후측 회전방지부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고정플레이트에서 전측 회전방지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8은 수동 휠체어의 프레임으로부터 전동 구동륜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수동 휠체어의 프레임에 전동 구동륜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수동 휠체어의 프레임의 규격에 따라 상기 전동 회전방지부와 후측 회전방지부 사이의 전후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수동 휠체어의 프레임의 규격에 따라 상기 전동 회전방지부와 후측 회전방지부 사이의 전후간격이 미세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3은 허브모터의 중공샤프트의 내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고정샤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허브모터의 중공샤프트와 고정샤프트의 결합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허브모터의 중공샤프트와 고정샤프트의 분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는 기존의 수동 휠체어의 비전동 구동륜을 분리한 후 손쉽게 전동 구동륜을 조립할 수 있는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전동 구동륜, 고정 플레이트, 전측 회전방지부, 후측 회전방지부 및 고정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의 전동 구동륜에 고정플레이트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먼저, 상기 전동 구동륜(3)은 기존의 수동 휠체어의 비전동 구동륜과 교체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허브모터(도 13의 31), 허브(32), 복수의 스포크(33), 림(미도시) 및 타이어(35)로 구성되고, 핸드림(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허브(32)는 상기 허브모터(31)를 감싼 상태로 회전결합되고, 상기 허브모터(31)의 구동에 의해 상기 허브(32)가 회전된다.
복수의 상기 스포크(33)는 상기 허브(32)와 림(미도시)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타이어(35)는 상기 림(미도시)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허브모터(31)의 하우징(도 13의 311)의 중앙에는 고정슬리브축(도 13의 3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슬리브축(312)내에는 기존의 수동 휠체어의 프레임(도 8의 2)에 형성된 축공에 고정되는 고정샤프트(40)가 삽입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브모터(31)의 하우징(311)의 측면 중앙에는 상기 고정슬리브축(312)과 연통되는 축공(3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공(313) 주변에는 복수의 나사공(31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플레이트(10)는 상기 전동 구동륜(3)의 허브모터(31)를 기존의 수동 휠체어의 프레임(2)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0)에는 관통공(101), 복수의 체결공(102) 및 복수의 고정공(10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01)은 상기 허브모터(31)의 하우징(311)의 축공(313)과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샤프트(40)는 상기 관통공(101)을 수평관통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체결공(102)은 상기 허브모터(31)의 복수의 나사공(314)과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관통공(101) 주변의 상기 고정플레이트(10) 부위에 형성된다.
체결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복수의 체결부재(7)가 복수의 상기 체결공(102)을 통과하여 상기 허브모터(31)의 복수의 나사공(314)에 각각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고정플레이트(10)가 상기 허브모터(31)의 하우징(311)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0)가 상기 고정샤프트(40)에 의해 상기 전동 구동륜(3)과 함께 상기 프레임(2)에 축고정될 때 적어도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 중 상기 프레임(2) 주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상기 고정공(10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전동 구동륜에 고정플레이트와 함께 전측 회전방지부 및 후측 회전방지부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전측 회전방지부(20)와 상기 후측 회전방지부(3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측 회전방지부(2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0)가 상기 고정샤프트(40)에 의해 상기 전동 구동륜(3)과 함께 상기 프레임(2)에 축고정될 때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복수의 고정공(103) 중 상기 프레임(2)의 전측에 위치한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부위의 어느 하나의 고정공(103)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측 회전방지부(30)는 상기 고정프플레이트(10)가 상기 고정샤프트(40)에 의해 상기 전동 구동륜(3)과 함께 상기 프레임(2)에 축고정될 때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복수의 고정공(103) 중 상기 프레임(2)의 후측에 위치한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부위의 다른 하나의 고정공(103)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고정플레이트에서 전측 회전방지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플레이트(10)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2연장판부(110, 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장판부(11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어느 한쪽, 일예로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상부 전측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장판부(120)는 상기 제 1연장판부(120)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기 고정플레이트(10) 부분, 일예로,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상부 후측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연장판부(110, 120)에 복수의 상기 고정공(10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0)에는 제 3연장판부(13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3연장판부(130)에도 복수의 상기 고정공(10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수동 휠체어의 프레임으로부터 전동 구동륜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수동 휠체어의 프레임에 전동 구동륜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 회전방지부(20)와 상기 후측 회전방지부(30) 사이에 상기 수동 휠체어(1)의 프레임(2)을 보다 용이하게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 회전방지부(20)와 상기 후측 회전방지부(30)에 각각 고정몸체(210, 3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210, 310)의 내경(도 5의 B) 또는 대각선(도 5의 D)길이는 상기 고정몸체(210, 310)의 일측부에서 타측부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회전방지부(20)와 상기 후측 회전방지부(30)가 위치조절된 상태로 용이하게 위치고정 및 상기 전측 회전방지부(20)와 상기 후측 회전방지부(30)의 교체보수의 용이성 향상을 위해,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 회전방지부(20)와 상기 후측 회전방지부(30)는 상기 고정몸체(210, 310)와 체결부재(220, 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210, 31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몸체(210, 3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수평관통형성되는 체결공(211, 3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210, 31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복수의 고정공(103)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20, 320)는 상기 고정몸체(210, 310)의 체결공(211, 311)을 수평으로 통과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복수의 고정공(103) 중 어느 하나의 고정공(103)에 나사결합되는 체결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20, 320)를 이룰 수 있는 상기 체결축의 일측이 복수의 고정공 중 어느 하나의 고정공(103)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수동 휠체어의 프레임의 규격에 따라 상기 전동 회전방지부와 후측 회전방지부 사이의 전후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수동 휠체어(1)의 프레임(2)의 외경(R)크기에 따라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 회전방지부(20)와 상기 후측 회전방지부(30) 사이의 전후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외경크기(R)가 클수록 상기 전측 회전방지부(20)와 상기 후측 회전방지부(30) 사이의 전후간격은 넓어질 수 있고, 상기 프레임(10)의 외경크기(R)가 작을수록 상기 전측 회전방지부(20)와 상기 후측 회전방지부(30) 사이의 전후간격은 좁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동 휠체어(1)의 프레임(2)의 외경(R)크기에 따라 상기 전측 회전방지부(20)와 상기 후측 회전방지부(30) 사이의 전후간격을 더욱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 회전방지부(20)와 상기 후측 회전방지부(30)에 보강 슬리브(230, 330)와 위치고정부(240, 3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210, 3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공(211, 311)과 연통되는 확장홈(212, 312)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고정몸체(210, 310)의 내부 타측에 상기 체결공(211, 311)이 수평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확장홈(212, 312)은 상기 체결공(211, 311)과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몸체(210, 3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홈(212, 312)은 상부확장홈(212a, 312a)과 하부확장홈(212b, 31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확장홈(212a, 312a)은 상기 체결공(211, 311)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고정몸체(210, 310)의 내부 일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확장홈(212a, 312a)의 단면 형상은 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확장홈(212, 312b)은 상기 상부확장홈(212a, 312a)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상부확장홈(212a, 312a)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몸체(210, 310)의 내부 일측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확장홈(212, 312b)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슬리브(230, 330)는 크게, 슬리브부(231, 331)와 헤드부(232, 3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부(231, 331)는 상기 고정몸체(210, 310)의 체결공(211, 311)에 수평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232, 332)는 상기 슬리브부(231, 331)의 일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232, 332)는 상부헤드부(232a, 332a)와 하부헤드부(232b, 33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헤드부(232a, 332a)는 상기 슬리브부(231, 331)의 일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헤드부(232a, 332a)의 내부에는 상기 슬리브부(231, 331)와 연통되는 연통공(232c, 33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헤드부(232a, 332a)의 단면 형상이 상기 상부확장홈(212a, 312a)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상부헤드부(232a, 332a)는 상기 확장홈(212, 312)의 상부확장홈(212a, 312a)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헤드부(232b, 332b)의 단면 형상이 상기 하부확장홈(212, 312b)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하부헤드부(232b, 332b)는 상기 확장홈(212, 312)의 하부확장홈(212, 312b)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240, 340)는 보조헤드부(241, 341)와 돌출부(242, 3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헤드부(241, 341)는 상기 보강 슬리브(230, 330)의 연통공(232c, 332c)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보강 슬리브(230, 330)의 일측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20, 320)가 조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보강 슬리브(230, 330)가 상기 위치고정부(240, 340) 방향으로 가압될 시 상기 보조헤드부(241, 341)의 외면이 상기 보강 슬리브(230, 330)의 연통공(232c, 332c)의 내면에 점차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조헤드부(241, 341)의 일측 외면에는 상기 보조헤드부(241, 34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보조헤드부(241, 341)의 내측으로 하향경사지는 환형의 경사면(241a, 34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 슬리브(230, 330)의 연통공(232c, 332c)의 일측 내면에도 환형의 상기 경사면(241a, 341a)을 따라 하향경사지는 환형의 경사면(232d, 332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헤드부(241, 341)의 내부에는 상기 보강 슬리브(230, 330)의 연통공(232c, 332c)과 연통되는 보조공(241b, 34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42, 342)는 상기 보조헤드부(241, 341)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0)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42, 342)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복수의 고정공(103) 중 상기 돌출부(242, 342)와 마주보는 어느 한 고정공(103)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20, 320)는 상기 슬리브부(231, 331)의 내부, 상기 헤드부(232, 332)의 연통공(232c, 332c) 및 상기 보조헤드부(241, 341)의 보조공(241b, 341b)을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
도 12는 수동 휠체어의 프레임의 규격에 따라 상기 전동 회전방지부와 후측 회전방지부 사이의 전후간격이 미세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고정몸체(210, 310)의 체결공(211, 311)은 편심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재(220, 320)의 체결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고정몸체(210, 310)와 함께 보강 슬리브(230, 330)를 상기 고정몸체(210, 3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면서 상기 수동 휠체어(1)의 프레임(2)의 외경(R)크기에 따라 상기 전측 회전방지부(20)와 상기 후측 회전방지부(30) 사이의 전후간격을 더욱 미세조절할 수 있다.
도 13은 허브모터의 중공샤프트의 내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허브모터(31)의 고정슬리브축(312)의 내측면 일측에 환형의 고정홈(3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고정샤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결합단면도이다.
상기 고정샤프트(40)는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관상의 몸체(410), 축(420), 고정부재(430) 및 탄성부재(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관상의 상기 몸체(410)의 일측에 상기 허브모터(31)의 고정슬리브축(312)의 고정홈(315)에 삽입되는 볼(411)을 수용하는 볼홀(412)이 2개 이상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관상의 상기 몸체(410)의 타측 내면에는 단면형상이 '┏'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환형의 단차턱(4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420)은 관상의 상기 몸체(4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축(420)의 일측에는 환형의 볼홈(4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420)의 타측에는 상기 축(4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환형의 돌출턱(4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턱(422)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는 상기 돌출턱(422)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버튼(423)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30)의 내측에 상기 돌출턱(422)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430)의 일측은 관상의 상기 몸체(410)의 타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30)의 타측에는 상기 버튼(423)이 관통하는 관통구(4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40)의 내측에 상기 축(420)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440)는 관상의 상기 몸체(410)의 단차턱(413)과 상기 축(420)의 돌출턱(422) 사이에 구비된 상태에서 평상시 팽창력에 의해 상기 돌출턱(422)을 상기 고정부재(430)의 타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허브모터의 중공샤프트와 고정샤프트의 결합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샤프트(40)의 관상의 상기 몸체(410)는 상기 수동 휠체어(1)의 프레임(2)에 형성된 축공(21)을 수평관통한 상태로 축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샤프트(40)의 고정부재(430)의 일단부는 상기 수동 휠체어(1)의 프레임(2)의 축공(21) 주변의 상기 프레임(2) 부위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상시 팽창된 상태인 상기 탄성부재(4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축(420)의 볼홈(421)과 상기 볼홀(412)이 불일치됨으로서 상기 볼(411)이 관상의 상기 몸체(410)의 외측방향으로 밀려나와 상기 허브모터(31)의 고정슬리브축(312)의 고정홈(315)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허브모터의 중공샤프트와 고정샤프트의 분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다.
작업자가 상기 고정샤프트(40)의 버튼(423)을 상기 축(420)의 일측방향으로 누름가압하여 상기 축(420)의 볼홈(421)과 상기 볼홀(412)이 일치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허브모터(31)를 도 18 및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샤프트(4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이동시켜 분리시킬 수 있고, 이때 상기 볼(411)이 상기 몸체(410)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어 상기 허브모터(31)를 분리하는데 상기 볼(411)이 방해요소로 작용될 우려가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전동 구동륜(3)의 허브모터(31)의 하우징 (311)측면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10) 및 전측 회전방지부(20) 및 후측 회전방지부(30)를 통해 비전동 구동륜이 분리된 수동 휠체어(1)에 상기 전동 구동륜(3)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등 조립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 또한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다.
1; 수동 휠체어, 3; 전동 구동륜,
31; 허브모터, 10; 고정플레이트,
20; 전측 회전방지부, 30; 후측 회전방지부,
40; 고정샤프트.

Claims (6)

  1. 허브모터가 설치된 전동 구동륜을 수동 휠체어의 비전동 구동륜을 분리한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로서,
    상기 전동 구동륜의 허브모터의 하우징 측면에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허브모터를 상기 수동 휠체어의 프레임에 형성된 축공에 축고정하기 위한 고정샤프트가 구비되며,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허브모터의 하우징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공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체결부재가 관통하고 상기 관통공의 주변에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공과, 상기 고정샤프트에 의해 상기 전동 구동륜과 함께 상기 프레임에 축고정될 때 적어도 가장자리 중 상기 프레임의 주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공을 포함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복수의 고정공 중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상기 고정샤프트에 의해 상기 전동 구동륜과 함께 상기 프레임에 축고정될 때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고정공과 상기 프레임의 후측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고정공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전측 회전방지부 및 후측 회전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어느 한쪽으로 연장형성되는 제 1연장판부와, 상기 제 1연장판부와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에 연장형성되는 제 2연장판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연장판부 및 상기 제 2연장판부에 복수의 상기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회전방지부와 상기 후측 회전방지부에 각각 내경 또는 대각선 길이가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게 형성되는 고정몸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복수의 고정공의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전측 회전방지부와 상기 후측 회전방지부에 내경 또는 대각선 길이가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게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체결공을 통과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복수의 고정공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가 각각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의 일측면에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는 확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측 회전방지부와 상기 후측 회전방지부에 상기 고정몸체의 체결공에 삽입되는 슬리브부와, 상기 슬리브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부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몸체의 확장홈에 수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보강 슬리브와;
    상기 보강 슬리브의 일측에 밀착되고, 상기 보강 슬리브의 연통공과 연통되는 보조공이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복수의 고정공 중 어느 한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위치고정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모터의 고정슬리브축의 내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샤프트는 상기 수동 휠체어의 프레임에 형성된 축공에 축고정되고, 일측에 상기 허브모터의 고정슬리브축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볼을 수용하는 볼홀이 형성되며, 타측 내면에 단차턱이 형성되는 관상의 몸체와;
    관상의 상기 몸체에 삽입되고, 일측에 볼홈이 형성되며, 타측에 돌출턱 및 상기 돌출턱과 일체형성되는 버튼이 형성되는 축과;
    상기 돌출턱을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관상의 상기 몸체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버튼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돌출턱과 일체형성되는 버튼이 형성되는 상기 축을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관상의 상기 몸체의 단차턱과 상기 축의 돌출턱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KR1020190044009A 2019-04-16 2019-04-16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KR102232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009A KR102232781B1 (ko) 2019-04-16 2019-04-16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009A KR102232781B1 (ko) 2019-04-16 2019-04-16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448A KR20200121448A (ko) 2020-10-26
KR102232781B1 true KR102232781B1 (ko) 2021-03-26

Family

ID=73006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009A KR102232781B1 (ko) 2019-04-16 2019-04-16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7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086B1 (ko) * 2021-11-05 2022-03-16 (주)마이벨로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508B1 (ko) * 2019-09-26 2021-04-02 (주)마이벨로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KR102498690B1 (ko) * 2020-12-01 2023-02-10 근로복지공단 구동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6243A (ja) 1998-10-23 2000-05-09 Nobukawa Jindo 車椅子の駆動モータ用伝動ユニット
KR101385571B1 (ko) 2013-03-06 2014-04-15 근로복지공단 전동보조형 휠체어용 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293B1 (ko) 2014-10-31 2017-03-1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 구동보조장치
JP6328077B2 (ja) * 2015-07-21 2018-05-23 有限会社さいとう工房 車椅子
KR20170090371A (ko) 2017-06-23 2017-08-07 토도웍스 주식회사 착탈식 전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6243A (ja) 1998-10-23 2000-05-09 Nobukawa Jindo 車椅子の駆動モータ用伝動ユニット
KR101385571B1 (ko) 2013-03-06 2014-04-15 근로복지공단 전동보조형 휠체어용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086B1 (ko) * 2021-11-05 2022-03-16 (주)마이벨로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448A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2781B1 (ko)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JP2006321481A (ja) 特にタイヤ着脱装置用の回転可能なホイールリム支持グループ
KR101978667B1 (ko)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US8381901B2 (en) Roller conveyor motorized roller and roller conveyor device using the same
US7314285B2 (en) Vehicle mirror system with reduced friction actuation and movement
US9380824B2 (en) Adjustable helmet and head massager
WO2019080444A1 (zh) 后助力智能驱动器
KR101715293B1 (ko) 휠체어 구동보조장치
EP3248579B1 (en) Caster wheel assembly and wheelchair comprising the same
BRPI0807673A2 (pt) Acessório para um assento de veículo
US7383904B2 (en) Auxiliary power unit starting apparatus for a wheelchair
KR102235508B1 (ko)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KR102384455B1 (ko)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US9687397B1 (en) Electric wheelchair with quick-release drive wheels
KR102047096B1 (ko)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KR101390414B1 (ko) 장애인 차량용 휠체어 유동 방지장치
EP2636432B1 (en) Controlled pressure resistance unit engagement system
KR101568293B1 (ko) 조향 eps의 볼 스크류에 설치되는 너트에 볼을 체결하는 자동조립장치
KR20170101398A (ko) 분리형 구동장치가 구비된 휠체어
CN107837150B (zh) 轮毂电机驱动状态调整装置
KR102375086B1 (ko) 휠체어용 원터치 고정브라켓
KR102498690B1 (ko) 구동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KR100647080B1 (ko) 휠체어용 보조 동력 유닛 기동 장치
US6578931B1 (en) Drive wheel roller
KR200346174Y1 (ko) 전동 스쿠터의 핸들 고정구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