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622B1 - 음극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음극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2622B1 KR102232622B1 KR1020190079645A KR20190079645A KR102232622B1 KR 102232622 B1 KR102232622 B1 KR 102232622B1 KR 1020190079645 A KR1020190079645 A KR 1020190079645A KR 20190079645 A KR20190079645 A KR 20190079645A KR 102232622 B1 KR102232622 B1 KR 1022326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conduction
- conduction module
- basket
- met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05—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of cells for the electrolysis of melt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3/0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melts
- C25C3/34—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melt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25C3/02 - C25C3/32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5/0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 powders or porous metal masses
- C25C5/04—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 powders or porous metal masses from melt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6—Operating or servicing
- C25C7/08—Separating of deposited metals from the catho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제1 전도 모듈; 금속 산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바스킷; 상기 금속 산화물을 환원시키기 위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제2 전도 모듈; 및 상기 제2 전도 모듈이 상기 제1 전도 모듈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전도 모듈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동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하는 음극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극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불순한 원료로부터 금속을 회수하거나 금속 산화물로부터 금속을 추출하기 위해 전기화학적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전기화학적 전해환원공정은 금속 산화물과 같은 산화물 원료를 담는 바스킷을 포함하는 음극 모듈에서 환원 전위를 발생시켜, 산소가 용융염 전해질 내에 산소 이온으로 용해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금속 산화물은 금속으로 변환되어 음극 모듈의 바스킷 내부에 남게 된다. 이러한 고온 용융염(molten salt)을 이용한 전해환원공정은 다양한 금속산화물(TiO2, Ta2O5, UO2 등)의 금속변환공정에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해환원공정에서, 금속 산화물은 우라늄 이산화물(UO2)일 수 있으며, 환원 생성물은 우라늄 금속일 수 있다.
기존의 전해환원공정은 전해환원공정을 통해 변환된 금속 전환체를 음극 모듈의 바스킷에서 분리하지 않고 음극 모듈 전체를 다음 공정에서 사용하였고, 이에 따라 음극 모듈 전체를 수용하기 위해 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었다. 또한, 증류와 같이 전해환원보다 고온의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바스킷 내 잔류하는 전해질 염 및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메시 등이 반응하여 재료의 손상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고자, 전해환원공정을 통해 변환된 금속 전환체는 다음 공정을 위해 음극 모듈의 바스킷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회수 용기로 옮겨 담아 처리하였었다. 그러나, 음극 모듈을 조립할 때 상부 전도체와 바스킷에 절연 상태로 고정되는 하부 전도체는 전기적 접촉저항을 줄이기 위해 단단히 체결되어야 하는데, 기존의 음극 모듈 구조에서는 수동식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를 이용하여 체결하다 보니, 강한 체결력을 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체결부가 전해환원 공정조 내의 고온 부식성 가스들에 장시간 노출되어 변형 또는 손상되는 경우 분리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상부 전도체와 바스킷에 절연 상태로 고정되는 하부 전도체를 동력원을 이용하여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음극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부식이나 열 변형에 의한 체결부가 손상될 위험이 없는 음극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제1 전도 모듈; 금속 산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바스킷; 상기 금속 산화물을 환원시키기 위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제2 전도 모듈; 및 상기 제2 전도 모듈이 상기 제1 전도 모듈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전도 모듈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동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하는 음극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부 전도체와 바스킷에 절연 상태로 고정되는 하부 전도체를 수동으로 체결하지 않고, 동력원을 이용하여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부가 부식이나 열 변형에 의해 손상될 위험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극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음극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음극 모듈의 제1 전도 결합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분리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은 도 1의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극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음극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음극 모듈의 제1 전도 결합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분리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은 도 1의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촉', '결합'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촉, 결합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상측, 하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본 명세서의, 상하 방향은 도 1 및 도 8의 z축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은 도 7 및 도 8의 -x축 방향일 수 있으며, 제2 방향은 도 7 및 도 8의 +x축 방향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1)는 전해환원공정을 거친 음극 모듈(100)을 동력을 이용하여 분리하고, 금속 전환체를 회수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1)는 음극 모듈(100), 프레임(200), 분리 유닛(300), 리프트 유닛(400), 회전 유닛(500), 회수 용기(600) 및 컨베이어(700)을 포함할 수 있다.
음극 모듈(100)은 금속 산화물로부터 금속을 추출하거나 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전기화학적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음극 모듈(100)은 금속 산화물과 같은 산화물 원료를 수용할 수 있으며, 음극 모듈(100)의 일부는 용융염 전해질 내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음극 모듈(100)의 일부는 전류가 흐를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전달된 전류는 금속 산화물을 환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음극 모듈(100)에 금속산화물이 수용된 부분은 용융염 전해질이 투과할 수 있으며, 환원 전위에 의하여 금속 산화물은 금속으로 변환되어 음극 모듈(100)내에 남을 수 있다. 이러한 음극 모듈(100)은 제1 전도 모듈(110), 제2 전도 모듈(120), 바스킷(130), 체결 유닛(140), 절연부(150), 및 인양핀(1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제1 전도 모듈(110)은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도 모듈(110)은 전도체일 수 있다. 또한, 제1 전도 모듈(110)은 제1 전도 바디(111), 제1 전도 결합부(112) 및 관통 홀(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도 바디(111)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류가 흐를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류는 제2 전도 모듈(1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도 바디(111)는 프레임(200)에 지지될 수 있으며, 제2 전도 모듈(12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인양핀(160)은 제1 전도 바디(111)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면, 제1 전도 결합부(112)는 제2 전도 모듈(120)이 제1 전도 모듈(110)에 지지되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도 결합부(112)는 제1 전도 모듈(110)의 일측에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도 결합부(112)의 내측에는 제2 전도 모듈(12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도 결합부(112)는 지지부(112a), 결합부 홈(112b) 및 결합부 턱(112c)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2a)는 제2 전도 모듈(120) 지지하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12a)는 후술할 제2 전도 모듈(120)의 걸림부(122)가 접촉될 수 있다.
결합부 홈(112b)은 제2 전도 모듈(120)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전도 모듈(120)은 결합부 홈(112b)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부(112a)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결합부 턱(112c)은 결합부 홈(112b)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부(112a)에 의하여 지지된 제2 전도 모듈(120)이 제1 전도 모듈(110)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 턱(112c)은 지지부(112a)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 턱(112c)은 후술할 걸림부(122)의 두께보다 높게 지지부(112a)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관통 홀(113)은 후술할 체결 유닛(140)이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관통 홀(113)은 제1 전도 바디(111)의 일면으로부터 제1 전도 바디(111)의 타면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도 모듈(120)은 제1 전도 모듈(110)로부터 전달받은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전도 모듈(120)에는 후술할 바스킷(130) 내부의 금속 산화물을 환원시키기 위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도 모듈(120)은 전도체일 수 있다. 또한, 제2 전도 모듈(120)은 제2 전도 바디(121), 걸림부(122) 및 체결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도 바디(121)는 제1 전도 모듈(110)로부터 전달받은 전류가 흐를 수 있으며, 제1 전도 모듈(110)로부터 전달받은 전류는 바스킷(130)의 내부로 흐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걸림부(122)는 제2 전도 모듈(120)이 제1 전도 모듈(110)에 지지되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122)는 결합부 홈(112b)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으며, 지지부(112a)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22)는 결합부 턱(112c)에 의하여 제1 전도 모듈(110)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부(122)의 형상은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며, 플레이트 형상의 걸림부(122)의 두께는 결합부 턱(112c)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122)는 제1 전도 모듈(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지 위하여, 후술할 로드핀(144)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22)는 제2 전도 바디(121)와 연결될 수 있다.
체결부(123)는 제2 전도 바디(121)와 연결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1 절연부재(152)를 매개로 하여 바스킷(13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123)에는 후술할 제2 절연부재(153)가 지지될 수 있는 체결 홈(12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홈(123a)은 체결부(123)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 홈(123a)에는 후술할 연결부재(151)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123)의 표면에 복수 개의 체결 홈(12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체결 홈(123a)에는 각각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바스킷(130)은 금속 전환체 변환에 필요한 금속 산화물과 같은 산화물 원료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바스킷(130)은 전해환원공정에서 금속 산화물을 환원시키기 위하여 용융염 전해질에 투입될 수 있다. 또한, 바스킷 바디(131) 및 바스킷 망(132)을 포함할 수 있다.
바스킷 바디(131)는 금속 산화물과 같은 산화물 원료를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바스킷 바디(131)의 내측에서 환원 전위가 발생되어 금속 산화물은 금속 전환체로 변환되고, 변환된 금속 전환체는 바스킷 바디(131)의 내부에 남을 수 있다. 이러한 바스킷 바디(131)는 체결부(123)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바스킷 바디(131)에는 연결부재(151)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스킷 바디(131)의 복수 개의 홀은 체결부(123)의 복수 개의 홀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스킷 망(132)은 바스킷 바디(131)에 지지된 금속 산화물을 둘러쌀 수 있다. 다시 말해, 바스킷 망(132)은 바스킷 바디(131)와 연결되어, 바스킷 바디(131)와 함께 금속 산화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바스킷 망(132)은 용융염 전해질로 투입될 수 있으며, 용융염 전해질과 금속 산화물이 접촉하기 위하여 메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바스킷 망(132)을 통하여 용융염 전해질이 투과될 수 있으며, 금속 산화물은 바스킷(130) 내에서 환원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체결 유닛(140)은 제2 전도 모듈(120)이 제1 전도 모듈(110)에 지지되었을 때, 제2 전도 모듈(120)이 제1 전도 모듈(110)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체결 상태에 놓이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체결 유닛(140)은 후술할 분리 유닛(300)에 의하여 걸림부(122)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으며, 걸림부(122)를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유닛(140)과 걸림부(122)의 접촉에 의하여 체결 유닛(140)은 제2 전도 모듈(120)이 제1 전도 모듈(110)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체결 유닛(140)은 회전 기어(141), 제1 나사산 부재(142), 제2 나사산 부재(143), 로드핀(144) 및 스토퍼(14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기어(141)는 분리 유닛(3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분리 유닛(300)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 기어(141)는 후술할 아이들 기어(330)와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으며, 아이들 기어(330)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 기어(141)는 제1 나사산 부재(14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나사산 부재(142)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기어(141)는 제1 전도 바디(111)의 일면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나사산 부재(142)는 회전 기어(141)와 연결될 수 있으며, 회전 기어(141)가 회전할 때, 회전 기어(141)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나사산 부재(142)의 외면에는 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나사산 부재(142)는 스크류 또는 볼트 일 수 있다. 또한, 제1 나사산 부재(142)는 관통 홀(113)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나사산 부재(142)는 제2 나사산 부재(143)와 맞물림으로써, 로드핀(144)을 일 방향을 따라 진퇴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나사산 부재(143)는 관통 홀(113) 내측에서 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나사산 부재(143)의 내면에는 제1 나사산 부재(142)의 외면에 형성된 수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는 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나사산 부재(143)는 너트일 수 있다. 또한, 제2 나사산 부재(143)의 단면의 형상은 관통 홀(113)이 제2 나사산 부재(143)와 접촉하는 부분의 단면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나사산 부재(143)의 단면의 형상과, 관통 홀(113)이 제2 나사산 부재(143)와 접촉하는 부분의 단면의 형상은 다각형 또는 원형에서 일부분이 절삭된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나사산 부재(143)는 제1 나사산 부재(142)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나사산 부재(143)와 맞물린 제1 나사산 부재(142)가 회전할 때, 제2 나사산 부재(143)는 관통 홀(113)에 의하여 회전하지 않고 나사산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로드핀(144)은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부(122)를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로드핀(144)은 제2 나사산 부재(143)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나사산 부재(143)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나사산 부재(142)의 회전에 의하여 제2 나사산 부재(143)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나사산 부재(143)의 이동에 의하여 로드핀(144)이 걸림부(122)를 향해 이동하여 걸림부(122)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도 모듈(110)과 제2 전도 모듈(120) 간의 전기적 접촉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로드핀(144)은 걸림부(122)를 가압하여 제1 전도 모듈(110)과 제2 전도 모듈(120)을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제1 나사산 부재(142)의 회전 방향이 바뀌면, 제2 나사산 부재(143)의 이동 방향도 바뀔 수 있으며, 로드핀(144)의 이동 방향도 바뀌어 로드핀(144)이 걸림부(12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스토퍼(145)는 제1 나사산 부재(142)가 제2 나사산 부재(143)에 대하여 회전할 때, 제1 나사산 부재(142)가 제1 전도 바디(1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6을 참조하면, 제1 나사산 부재(142)가 제2 나사산 부재(143)에 대하여 회전할 때, 제1 나사산 부재(142)에 돌출 형성된 플랜지 부분이 스토퍼(145)에 걸림으로써, 스토퍼(145)는 제1 나사산 부재(142)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45)에 의하여 제1 나사산 부재(142)가 제2 나사산 부재(143)에 대하여 회전하더라도 제1 나사산 부재(142)는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반면, 제2 나사산 부재(143)는 하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절연부(150)는 바스킷(130)과 제2 전도 모듈(120)을 연결할 수 있으며, 바스킷(130)과 제2 전도 모듈(120)을 절연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부(150)는 연결부재(151), 제1 절연부재(152) 및 제2 절연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51)는 체결부(123), 제1 절연부재(152), 제2 절연부재(153) 및 바스킷 바디(131)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151)는 체결부(123), 제1 절연부재(152), 제2 절연부재(153) 및 바스킷 바디(131)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151)는 볼트일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151)는 체결부(123)에서 바스킷 바디(131)로 전류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체결부(123)와 바스킷 바디(131)를 연결하기 위하여, 체결부(123)에 형성된 홀과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제1 절연부재(152)는 제1 전도 모듈(110)로부터 제2 전도 모듈(120)로 전달된 전류가 바스킷(13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절연부재(152)는 체결부(123)와 바스킷 바디(1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체결부(123)와 바스킷 바디(131)는 제1 절연부재(152)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절연부재(152)로 인하여 체결부(123)와 바스킷 바디(131)의 사이는 절연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부재(152)는 연결부재(151)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연부재(152)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며, 플레이트 형상의 제1 절연부재(152)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절연부재(153)는 전류가 체결부(123)에서 연결부재(151)를 통하여 바스킷 바디(131)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절연부재(153)는 세라믹 소재의 와셔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절연부재(153)는 체결부(123)에 형성된 체결 홈(123a)의 내측에 배치되어, 체결부(123)와 연결부재(151)를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절연부재(153)는 연결부재(151)와 연결될 수 있다.
인양핀(160)은 음극 모듈(100)이 인양 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이동할 때, 음극 모듈(100)이 인양 장치에 파지되는 부분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전해환원공정을 거친 음극 모듈(100)의 내부에 수용된 금속전환체를 회수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인양 장치를 통하여 인양핀(160)을 파지한 후, 금속전환체 회수 장치(1)로 이송할 수 있다. 이러한 인양핀(160)은 제1 전도 바디(11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1)의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200)은 음극 모듈(100), 분리 유닛(300), 리프트 유닛(400) 및 회전 유닛(5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200)에는 모듈 수용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 수용홈(210)은 음극 모듈(100)이 프레임(200)에 지지되는 부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음극 모듈(100)은 인양 장치(미도시)에 의하여 프레임(200)의 상부로 이동하고, 모듈 수용홈(210)에 하강하여, 프레임(20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분리 유닛(300)은 제1 전도 모듈(110)과 제2 전도 모듈(120) 간의 체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체결 유닛(14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분리 유닛(300)은 프레임(200)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분리 유닛(300)은 구동기(310), 구동 기어(320), 아이들 기어(330), 분리 바디(340), 이동 장치(350) 및 클러치(3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310)는 체결 유닛(140)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기는 후술할 클러치(36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구동기(310)는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구동 기어(320)는 클러치(360)와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기(310)로부터 발생된 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기어(320)는 아이들 기어(330)와 맞물릴 수 있으며, 구동기(310)로부터 발생된 동력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아이들 기어(3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아이들 기어(330)는 회전 기어(141)와 맞물릴 수 있으며, 구동 기어(3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회전 기어(1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아이들 기어(330)는 구동 기어(3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제1 전도 모듈(110)과 제2 전도 모듈(120) 간의 체결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아이들 기어(330)는 후술할 이동 장치(350)에 의하여 회전 기어(141)에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분리 바디(340)은 구동기(310), 구동 기어(320), 아이들 기어(330), 및 클러치(360)를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리 바디(340)은 구동기(310), 구동 기어(320), 아이들 기어(330) 및 클러치(360)가 동시에 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기(310), 구동 기어(320), 아이들 기어(330) 및 클러치(36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도 8을 더 참조하면, 이동 장치(350)는 분리 유닛(300)과 음극 모듈(100) 간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 바디(340)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음극 모듈(100)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들어올리거나, 모듈 수용홈(210)에 안착시킬 때, 음극 모듈(100)과 분리 유닛(300)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 바디(34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음극 모듈(100)을 모듈 수용홈(210)에 안착시킬 때, 이동 장치(350)는 분리 바디(340)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음극 모듈(100)이 모듈 수용홈(210)에 지지되면, 이동 장치(350)는 제1 전도 모듈(110)과 제2 전도 모듈(120)를 분리하기 위하여 분리 바디(34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방향으로 이동된 아이들 기어(330)는 회전 기어(141)와 맞물려서 체결 유닛(14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 장치(350)는 음극 모듈(100)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들어올리기 위하여 분리 바디(340)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동 장치(350)의 일측은 분리 바디(34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 장치(350)의 타측은 프레임(200)에 지지될 수 있다.
클러치(360)는 분리 유닛(300)이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체결 유닛(140)과 연결될 때, 아이들 기어(330)와 회전 기어(141) 간의 맞물림을 보조하기 위해 아이들 기어(330)와 맞물리는 구동 기어(320)에 회전 자유도를 부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아이들 기어(330)와 회전 기어(141)가 맞물릴 때, 클러치(360)는 동력이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고, 구동 기어(320)와 아이들 기어(330)가 자유롭게 회전하여 회전 기어(141)에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아이들 기어(330)와 회전 기어(141)가 맞물린 후에는, 구동기(310)에서 발생한 동력에 의해 구동 기어(320)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를 더 참조하면, 리프트 유닛(400)은 제2 전도 모듈(120)를 제1 전도 모듈(11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리프트 유닛(400)은 프레임(20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 유닛(400)은 리프팅부(410) 및 슬라이딩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부(410)는 제2 전도 모듈(120) 및 바스킷(13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리프팅부(410)는 제2 전도 모듈(120)과 연결된 바스킷(130)을 들어올려, 제2 전도 모듈(120)과 제1 전도 모듈(110)을 이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리프팅부(410)는 걸림부(122)가 지지부(112a)로부터 이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리프팅부(410)는 그리퍼부(510)에 의하여 바스킷(130)이 파지되기 위하여 바스킷(130)를 후술할 그리퍼부(510)의 높이까지 들어올릴 수 있다.
슬라이딩부(420)는 제1 전도 모듈(110)과 분리된 제2 전도 모듈(120) 및 바스킷(130)을 후술할 회전 유닛(500)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슬라이딩부(420)는 걸림부(122)가 지지부(112a)로부터 이격되면, 제2 전도 모듈(120) 및 바스킷(130)을 회전 유닛(500)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전 유닛(500)은 바스킷(130)를 파지하고 회전시켜 바스킷(130) 내부에 수용된 금속 전환체를 회수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유닛(500)은 그리퍼부(510) 및 회전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퍼부(510)는 바스킷(130)의 측면을 파지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리퍼부(510)는 회전부(520)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부(520)는 바스킷(130)의 측면을 파지한 그리퍼부(5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부(520)가 그리퍼부(510)를 180° 회전시키면, 그리퍼부(510)에 의하여 파지된 바스킷(130)도 180° 회전될 수 있으며, 바스킷(130) 내부의 금속 전환체가 회수 용기(600)에 자유낙하 할 수 있다.
회수 용기(600)는 바스킷(130)으로부터 회수된 금속 전환체를 수용할 수 있고, 컨베이어(700)에 의하여 이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1)는 전해환원공정을 거친 음극 모듈(100)을 분리하여 바스킷(130) 내부의 금속 전환체를 회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음극 모듈(100)의 바스킷(130)에 금속 산화물과 같은 산화물 원료를 담은 후 용융염 전해질에 투입시킬 수 있다. 투입된 음극 모듈(100)에 외부로부터 전류를 전달하여 환원 전위를 발생시켜 바스킷(130) 내부의 금속 산화물을 금속 전환체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해환원공정을 거친 금속 전환체를 회수하기 위하여, 인양 장치를 이용하여 음극 모듈(100)의 인양핀(160)을 파지한 후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1)의 프레임(200)에 형성된 모듈 수용홈(210)에 음극 모듈(100)을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인양 장치에 의하여 이송된 음극 모듈(100)이 프레임(200)에 지지되면, 이동 장치(350)는 분리 바디(34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아이들 기어(330)와 체결 유닛(140)의 회전 기어(141)가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아이들 기어(330)는 구동기(310)에서 발생한 동력에 의해 회전된 구동 기어(3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체결 유닛(14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체결 유닛(140)의 회전 기어(141)는 아이들 기어(33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됨으로써, 로드핀(144)을 걸림부(122)로부터 이격시키고, 제1 전도 모듈(110)과 제2 전도 모듈(120) 간의 체결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제1 전도 모듈(110)과 제2 전도 모듈(120) 간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면 리프팅부(410)가 바스킷(130)을 들어올리고, 슬라이딩부(420)가 금속 전환체가 수용된 바스킷(130)을 그리퍼부(510)로 이송할 수 있다. 이송된 바스킷(130)의 측면을 그리퍼부(510)부가 파지하고, 회전부(520)는 그리퍼부(5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퍼부(510)의 회전에 의하여 그리퍼부(510)에 의하여 파지된 바스킷(130)도 회전되고, 회전된 바스킷(130) 내부에 수용된 금속 전환체는 회수 용기(600)로 회수될 수 있다. 또한, 금속 전환체를 회수한 회수 용기(600)는 컨베이어(700)에 의하여 이송될 수 있다.
금속 전환체가 회수된 바스킷(130)은 다시 제1 전도 모듈(110)과 제2 전도 모듈(120)이 체결될 수 있도록 분리되기 전 위치로 돌아갈 수 있으며, 제1 전도 모듈(110)과 제2 전도 모듈(120)은 분리 유닛(300)에 의하여 다시 체결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부 전도체와 바스킷에 절연 상태로 고정되는 하부 전도체를 수동으로 체결하지 않고, 동력원을 이용하여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수동 체결이 아닌 동력원으로 분리 및 결합하여 인력 절감 및 공정의 자동화를 이루어낼 수 있다. 또한, 전해환원공정 중 고온에 의한 체결부의 열 변형 및 부식 등에 의하여 음극 모듈이 손상될 위험이 없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 100: 음극 모듈
110: 제1 전도 모듈 111: 제1 전도 바디
112: 제1 전도 결합부 112a: 지지부
112b: 결합부 홈 112c: 결합부 턱
113: 관통 홀 120: 제2 전도 모듈
121: 제2 전도 바디 122: 걸림부
123: 체결부 123a: 체결 홈
130: 바스킷 131: 바스킷 바디
132: 바스킷 망 140: 체결 유닛
141: 회전 기어 142: 제1 나사산 부재
143: 제2 나사산 부재 144: 로드핀
145: 스토퍼 150: 절연부
151: 연결부재 152: 제1 절연부재
153: 제2 절연부재 160: 인양핀
200: 프레임 210: 모듈 수용홈
300: 분리 유닛 310: 구동기
320: 구동 기어 330: 아이들 기어
340: 분리 바디 350: 이동 장치
360: 클러치 400: 리프트 유닛
410: 리프팅부 420: 슬라이딩부
500: 회전 유닛 510: 그리퍼부
520: 회전부 600: 회수 용기
700: 컨베이어
110: 제1 전도 모듈 111: 제1 전도 바디
112: 제1 전도 결합부 112a: 지지부
112b: 결합부 홈 112c: 결합부 턱
113: 관통 홀 120: 제2 전도 모듈
121: 제2 전도 바디 122: 걸림부
123: 체결부 123a: 체결 홈
130: 바스킷 131: 바스킷 바디
132: 바스킷 망 140: 체결 유닛
141: 회전 기어 142: 제1 나사산 부재
143: 제2 나사산 부재 144: 로드핀
145: 스토퍼 150: 절연부
151: 연결부재 152: 제1 절연부재
153: 제2 절연부재 160: 인양핀
200: 프레임 210: 모듈 수용홈
300: 분리 유닛 310: 구동기
320: 구동 기어 330: 아이들 기어
340: 분리 바디 350: 이동 장치
360: 클러치 400: 리프트 유닛
410: 리프팅부 420: 슬라이딩부
500: 회전 유닛 510: 그리퍼부
520: 회전부 600: 회수 용기
700: 컨베이어
Claims (10)
-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제1 전도 모듈;
금속 산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바스킷;
상기 금속 산화물을 환원시키기 위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제2 전도 모듈; 및
상기 제2 전도 모듈이 상기 제1 전도 모듈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전도 모듈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동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도 모듈은 상기 제2 전도 모듈을 지지할 수 있는 제1 전도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도 모듈은 상기 제1 전도 모듈 결합부에 접촉 지지될 수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음극 모듈.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걸림부에 접촉할 수 있는 로드핀;
상기 로드핀을 일 방향을 따라 진퇴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나사산 부재; 및
상기 제1 나사산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될 수 있는 회전 기어를 포함하는,
음극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킷은 상기 금속 산화물을 둘러싸고, 메쉬 형태를 가지는 바스킷 망을 포함하는,
음극 모듈.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킷과 상기 제2 전도 모듈을 연결하고, 상기 바스킷과 상기 제2 전도 모듈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부를 더 포함하는,
음극 모듈.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산 부재는 상기 회전 기어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로드핀을 상기 걸림부를 향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전도 모듈이 상기 제1 전도 모듈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로드핀은 상기 제1 전도 결합부 내측에 접촉 지지된 상기 걸림부에 접촉하는,
음극 모듈. - 금속 전환체를 수용할 수 있는 음극 모듈; 및
분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 모듈은,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제1 전도 모듈;
상기 금속 전환체를 수용할 수 있는 바스킷;
상기 금속 전환체로 환원시키기 위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제2 전도 모듈; 및
상기 제2 전도 모듈이 상기 제1 전도 모듈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전도 모듈의 상면에 접촉하는 체결 상태에 선택적으로 놓이도록 구동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유닛은 상기 체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 유닛을 구동시키며,
상기 제1 전도 모듈은, 상기 제2 전도 모듈을 지지할 수 있는 제1 전도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도 모듈은, 상기 제1 전도 모듈 결합부에 접촉 지지될 수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유닛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기;
상기 구동기로부터 발생된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체결 유닛에 맞물려서 상기 구동 기어에 의해 상기 체결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아이들 기어를 포함하는,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아이들 기어와 맞물려서 상기 분리 유닛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 유닛은,
상기 구동기, 상기 구동 기어 및 상기 아이들 기어를 지지하는 분리 바디; 및
상기 아이들 기어가 상기 회전 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분리 바디를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더 포함하는,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유닛은,
상기 분리 유닛이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체결 유닛과 연결될 때, 상기 아이들 기어와 상기 회전 기어 간의 맞물림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아이들 기어와 맞물리는 상기 구동 기어에 회전 자유도를 부여하는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9645A KR102232622B1 (ko) | 2019-07-02 | 2019-07-02 | 음극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9645A KR102232622B1 (ko) | 2019-07-02 | 2019-07-02 | 음극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3616A KR20210003616A (ko) | 2021-01-12 |
KR102232622B1 true KR102232622B1 (ko) | 2021-03-29 |
Family
ID=74129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9645A KR102232622B1 (ko) | 2019-07-02 | 2019-07-02 | 음극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262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30318007A1 (en) | 2021-01-11 | 2023-10-05 | LG Energy Solution. Ltd. | Cutting Device, and Lamination Apparatus and Lamination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7935B1 (ko) * | 2012-11-29 | 2014-05-23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다중회로를 구비하는 전해환원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WO2015089654A1 (en) | 2013-12-16 | 2015-06-25 | Hatch Ltd. | Low resistance electrode assemblies for production of metals |
CN208167115U (zh) | 2017-12-22 | 2018-11-30 | 国联汽车动力电池研究院有限责任公司 | 一种含固态氧化物的电解产物用粉化及分离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8289B1 (ko) * | 2017-08-10 | 2019-06-13 | 주식회사 포스코 | 전극봉 조립장치 |
-
2019
- 2019-07-02 KR KR1020190079645A patent/KR1022326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7935B1 (ko) * | 2012-11-29 | 2014-05-23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다중회로를 구비하는 전해환원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WO2015089654A1 (en) | 2013-12-16 | 2015-06-25 | Hatch Ltd. | Low resistance electrode assemblies for production of metals |
CN208167115U (zh) | 2017-12-22 | 2018-11-30 | 国联汽车动力电池研究院有限责任公司 | 一种含固态氧化物的电解产物用粉化及分离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3616A (ko) | 2021-0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2622B1 (ko) | 음극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 전환체 회수 장치 | |
CN100377985C (zh) | 制铝电解池所用机器的搬运夹具 | |
JP5889916B2 (ja) | 電解酸化物還元システム | |
KR20140030356A (ko) | 셀 카메라를 포함하는 원격 탈부착 장치 | |
KR20140108230A (ko) | 전해정련 시스템용 연속 회수 시스템 | |
KR101925048B1 (ko) | 전해정련 시스템용 버스 바 전기 피드스루 | |
CN112875638A (zh) | 超滑片的自动加工方法 | |
CN115781135B (zh) | 一种镍铝线束端子一体焊接工装 | |
TWM609015U (zh) | 先進先出運輸設備 | |
CN217271199U (zh) | 一种解脱分离装置 | |
CN218241795U (zh) | 一种子母石英舟搬运机构 | |
CN212876221U (zh) | 一种智能异形夹爪 | |
CN211109497U (zh) | 一种翻转搬运设备 | |
CN112025687A (zh) | 一种带有底座的夹爪式机械手 | |
KR101934612B1 (ko) | 캐소드 스크레이퍼 시스템 및 우라늄 제거를 위한 그 사용 방법 | |
CN114593120A (zh) | 扣件结构组装于板体的方法 | |
CN110561480A (zh) | 一种模块化机器人手指及抓手 | |
JPH07272718A (ja) | 鉛蓄電池の製造法とその装置 | |
CN217762770U (zh) | 一种用于光伏电站的el检测支架 | |
CN220907685U (zh) | 一种脱残极卸料结构及装置 | |
CN213145803U (zh) | 一种具有防护功能的图像数据处理设备 | |
CN216802668U (zh) | 一种适用于电镀线的下料夹紧机构 | |
CN217599200U (zh) | 一种装样容器及送取样机械手装置 | |
CN209922545U (zh) | 一种铜带送料机构 | |
CN219786885U (zh) | 一种背接触电池焊接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