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584B1 -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584B1
KR102232584B1 KR1020200095183A KR20200095183A KR102232584B1 KR 102232584 B1 KR102232584 B1 KR 102232584B1 KR 1020200095183 A KR1020200095183 A KR 1020200095183A KR 20200095183 A KR20200095183 A KR 20200095183A KR 102232584 B1 KR102232584 B1 KR 102232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filter
head
filter housing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준
Original Assignee
(주)세양메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양메카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세양메카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200095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6Drying gases or vapours by filt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공기압축기에 의해 생성된 압축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일단은 공기압축기와 연결되고 타단은 사용처에 연결되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에 축적되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바닥판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중심에 길이방향을 따라 플런저공이 마련되어 있는 배럴; 상기 배럴의 플런저공에 끼워지되 상하로 기동할 수 있도록 끼워지는 것으로서 헤드와 스템으로 구성되는 플런저; 상기 배럴의 플런저공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플런저의 헤드가 안착될 수 있는 플런저안착부; 수밀을 위하여 상기 플런저안착부와 상기 헤드 사이에 개입 설치되는 수밀패킹; 상기 일단은 상기 헤드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배럴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탄성적으로 상기 헤드가 상기 플런저안착부에서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에 축적된 응축수가 상기 필터하우징 외부로 배수되도록 상기 스템에 마련되는 배수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장치{Hydrated Filter Apparatus For Air Compressor}
본 발명은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공기압축기에 의해 생성된 압축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러 산업현장에서는 공기압축기가 널리 사용된다. 공압실린더에서는 압축공기는 동력원이 되기도 하고, 냉동시스템이나 도장시스템에서는 작업유체가 되기도 한다.
공기압축기는 대기에 있는 공기를 압축하는 것이므로 압축공기에는 적지 않은 수분이 함유되게 된다. 대기 중에 수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절대습도에 의하여 압축정도에 비례하여 압축공기 내의 수분함량이 많아질 것이다. 압축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은 공압실린더 등 각종 기계부속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윤활성능의 급속한 저하, 부식 등이 그 악영향에 포함된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에 수분필터 또는 드라이어가 사용되어 왔다. 수분필터는 압축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흡착하는 흡습제와 포집된 수분을 배출하는 드레인부를 포함한다. 종래에 널리 사용되어 왔던 흡습제로는 실리카겔 또는 알루미겔이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흡습제는 흡수율이 만족스럽지 못하며 재생 가능성이 낮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수분필터는 자체적으로 드레인부를 가지고 있어서, 어느 정도 물이 차오르면 이를 배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종래의 드레인부는 이처럼 필터본체 차오르는 물에 의한 수위가 설정된 값을 넘을 때 자동적으로 배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필터 내부에는 물을 배출한 시점을 제외하고는 항상 물이 담겨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필터 내부에 물이 차있는 시간이 많게 된다. 이것은 필터에 설치되는 흡습제에 대하여 부담으로 작용하여 흡습효율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온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188197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8-0013925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9-0061550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압축기에 의해 생성된 압축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 내지 흡수하기 위한 수분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흡습기능 및 효율이 뛰어나며 재생 가능성이 높아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수분을 수시로 배출함으로써 흡습제의 부담을 경감시켜줄 수 있으며, 구성이 단순하고 고장의 우려가 거의 없는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일단은 공기압축기와 입력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상기 압축공기를 필요로 하는 사용처에 공급하기 위하여 타단은 출력배관을 통해 상기 사용처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유입구가 마련되고 타측에 유출구가 마련되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유입된 압축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에 축적되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바닥판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중심에 길이방향을 따라 플런저공이 마련되어 있는 배럴; 상기 배럴의 플런저공에 끼워지되 상하로 기동할 수 있도록 끼워지는 것으로서 헤드와 스템으로 구성되는 플런저; 상기 배럴의 플런저공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플런저의 헤드가 안착될 수 있는 플런저안착부; 수밀을 위하여 상기 플런저안착부와 상기 헤드 사이에 개입 설치되는 수밀패킹; 상기 일단은 상기 헤드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배럴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탄성적으로 상기 헤드가 상기 플런저안착부에서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에 압력이 저하됨에 따라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기 헤드가 상기 플런저안착부에서 이격되는 경우에,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에 축적된 응축수가 상기 필터하우징 외부로 배수되도록 상기 스템에 마련되는 배수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플런저의 헤드는 상면이 넓고 아래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원뿔기둥의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스템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타공되는 제1홀과 상기 스템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타공되는 것으로서 상단은 상기 제1홀에 소통되고 하단은 외기와 소통되는 제2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템은 상기 배럴의 하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플런저가 상기 배럴로부터 상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상기 플런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템의 상기 배럴에서 돌출된 부분에 마련되는 링홈; 및 상기 링홈에 끼워지는 스냅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터부는;
원통형 필터케이싱; 상기 필터케이싱의 상단과 하단에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되어 있는 다공성 막이판(223); 상기 막이판(223) 사이의 공간에 충전되는 필터소재(220);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소재(220)는 직경이 3 ~ 5mm가 되는 구형의 알갱이 형태로 된 알루미노실리게이트 결정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압축기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에 압력이 작용하고 있는 동안, 즉 압축공기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는 플런저가 그 압력에 의해 밀려서 헤드가 플런저안착부에 수밀패킹을 매개로 하여 밀착됨으로써 응축수가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그러나 공기압축기가 멈춘 경우에는 필터하우징 내부에 압력이 제거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기 플런저가 상방향으로 들리면서 배수유로가 개방되고 그 결과 필터하우징 내부의 응축수가 배수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공기압축기를 사용하는 중에라도 공기압축기가 일시정지할 경우에 필터하우징 내부의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즉 필터하우징 내부에 응축수가 지속적으로 축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흡착제의 부담을 줄여 흡수율을 높이고 그의 내구성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장치의 드레인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장치의 드레인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동시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장치(이하, 단지 '필터장치'라 한다)는 공기압축기(1)로부터 압축공기를 받아서 수분을 제거한 다음 사용처(2)에 공급하는 것이다. 필터장치(3)는 입력배관을 통해 공기압축기(1)와 연결되고 출력배관을 통해 사용처(2)에 연결된다. 사용처(2)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어떠한 것인가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필터장치(3)는 필터하우징(100), 필터부(200), 및 드레인부(300)를 포함한다.
필터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유입구(121)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유출구(122)가 마련되어 있다. 필터하우징(100)은 압축공기가 통과하는 경로를 제한하기 위하여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필터하우징(100)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하우징본체(110)와, 하우징본체(110)의 상부에 제1수밀패킹(P1)을 매개로 하여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필터헤드(120)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본체(110)의 상단에는 수나사부(112)가 마련되어 있다.
필터헤드(120)의 중간에는 연결관(124)이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필터부(200)는 이 연결관(124)에 연결된다. 연결관(124)은 측방향으로 유입구(121)와 소통되어 있으며 하방향으로는 필터부(200)와 연결되어 있다.
필터부(200)는 필터하우징(100)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유입된 압축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필터부(200)는 전술한 연결관(124)에 제2수밀패킹(P2)을 매개로 매달리듯 연결된다.
필터부(200)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태의 필터케이싱(210)과, 필터케이싱(210)을 상기 연결관(124)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230)와, 커넥터(230)를 필터헤드(120)에 결합시키기 위한 메인고정볼트(240)를 포함한다. 커넥터(230)의 중심에는 메인고정볼트(240)의 하단이 나사결합되는 볼트체결부(232)가 마련되어 있고, 볼트체결부(232)의 주연부에는 압축공기가 통과되는 관통홀(231)이 마련되어 있다. 메인고정볼트(240)의 상단은 필터헤드의 상판 저면 중심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너트부재(123)에 나사결합된다.
필터케이싱(210)의 상단과 하단에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되어 있는 다공성 막이판(223)과 부직포로 된 필터시트(224)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상하 막이판(223) 사이의 공간에는 필터소재(220)가 충전되어 있다. 필터소재(220)는 흡착제로서 관류하는 압축공기로부터 수분을 실제로 흡습하는 기능을 한다. 막이판(223)은 키부재(225)에 의해 필터케이싱(210)의 상하단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이 필터소재(220)는 작은 알갱이 형태의 몰레큘러 시브(Molecular Sieve)가 될 수 있다. 몰레큘러 시브는 린데사가 제조 공급하고 있는 합성 제올라이트이며, 알루미노실리게이트 결정체이다. 이 필터소재(220)는 재생온도 범위가 200 ~ 300℃이며 최저평형 노점은 -80℃가 되어 넓은 환경조건 하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흡습효율과 내구성이 좋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 필터소재(220)는 직경이 3 ~ 5mm가 되는 구형의 알갱이이다. 현재 몰레큘러 시브는 UOP사, BASF사에서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드레인부(300)에 있다.
드레인부(300)는 응축에 의해 필터하우징(110) 내부에 축적되는 응축수(W)를 배수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더 정확하게는 흡착제의 흡습기능이 포화상태를 넘게 되면, 응축수(W)가 응결하여 필터하우징의 바닥에 떨어져 모이게 되는 것이다.
드레인부(300)는 이렇게 필터하우징(110)의 바닥에 모이게 되는 응축수(W)를 배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하우징(110)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응축수(W)의 배출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이 방식이 본 발명의 특이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이하, 드레인부(W)의 구성과 작용을 도 4와 도 5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드레인부(300)는 기본적으로 필터하우징의 바닥판(111)에 고정되는 원통형 배럴(310)과 배럴(3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로 거동하게 되는 플런저(320)를 포함한다. 플런저(320)는 제한된 구간에서 상하로 움직이면서 응축수의 배출을 콘트롤한다. 배럴(310)의 상단에는 플랜지(312)가 마련되어 있다. 배럴(310)은 바닥판에 마련된 구멍(113)에 끼워져 걸쳐질 수 있다. 플랜지(312)와 바닥판(111) 사이에는 제3수밀패킹(P3)이 개입된다. 배럴의 몸통 외주면에는 수나사(313)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너트(317)가 이 수나사(313)에 체결됨으로써 배럴(310)이 바닥판(111)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배럴(310)의 중심에는 자신의 길이방향을 따라 플런저공(311,314)이 마련되어 있다. 플런저공(311,314)은 대경부(311)과 소경부(314)로 구성될 수 있다. 플런저공(311,314)의 대경부(311)와 소경부(314)의 경계에는 플런저안착부(315)가 마련되어 있다.
플런저(320)는 대경부(311)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면적이 넓은 헤드(321)와 소경부(314)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핀형태의 스템(322)으로 구성된다. 플런저(320)는 볼트나 나사못과 유사한 형태로 되어 있다. 플런저의 헤드(321)는 상면이 넓고 아래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원뿔기둥의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헤드(321)는 접시나사의 헤드와 유사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면은 평평하게 되어 있다.
플런저의 헤드(321)는 이 플런저안착부(315)에 안착된다. 헤드(321)의 저면(321a)이 플런저안착부(315)에 접하게 되는 것이며 그 사이에는 수밀유지를 위한 플런저패킹(340)이 개입 설치된다.
플런저의 스템(322)은 배럴의 플런저공의 소경부(314)에 끼워지되 상하로 기동할 수 있도록 끼워진다. 스템(322)과 플런저공의 소경부(314)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유격이 마련된다.
코일스프링(330)이 플런저(320)로 하여금 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힘을 받도록 한다. 코일스프링(330)의 상단은 헤드의 저면(321a)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배럴의 플런저공(311,314)에 마련된 스프링안착부(316)에 지지된다.
필터하우징(100) 내부에 압축공기에 의해 압력이 차있는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320)가 플런저안착부(315)에 밀착된다.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플런저의 헤드(321)는 탄성적으로 플런저안착부(315)에서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받는다(도 4(b) 참조). 이 경우는 응축수(W)가 배수되는 상태이다. 코일스프링(330)의 탄성계수는 코일스프링(330)의 탄성력이 압축공기에 의해 헤드(321)가 받는 압력보다 작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한편, 필터하우징(100) 내부에 압력이 저하됨에 따라 코일스프링(330)에 의해 헤드(321)가 플런저안착부(315)에서 이격되는 경우에, 필터하우징(100) 내부에 축적된 응축수(W)가 필터하우징(100) 외부로 배수되도록 배수유로가 스템에 마련된다.
배수유로(350)는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스템(322)과 플런저공(311,314)의 내벽 사이에 마련되는 유격이 배수유로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배수유로(350)는 스템(322)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타공되는 제1홀(351)과 상기 스템(322)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타공되는 제2홀(352)로 구성될 수 있다. 제2홀(352)은 상단이 제1홀(351)에 소통되고 하단이 외기와 소통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2홀(352)의 출구가 직하방향으로 마련되고 있다.
스템(322)은 배럴(31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다. 스템(322)의 하단에는 호스(360)를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용이하도록 요철부(322a)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플런저(320)가 배럴(310)로부터 상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플런저(320)에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는 배럴(310)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스템(322)의 하부에 마련되는 링홈(370)과 이 링홈(370)에 끼워지는 스냅링(37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기압축기(1)가 잠시 멈춘 동안,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된 배수유로(350)를 통해 응축수(W)가 배출되게 된다. 공기압축기(1)가 가동하여 압축공기가 필터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플런저(320)가 플런저안착부(315)에 밀착하여 배수유로(350)를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응축수의 수위가 아니라 공기압축기(1)의 작동에 의해 기회가 있을 때마다 응축수를 배출하게 되므로 필터하우징(100) 내부에 응축수가 거의 없는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흡착제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그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템(322)을 하방향으로 당김으로써 항상 배수유로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수동개폐기구(미도시됨)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수동개폐기구는 스템의 하단에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위에 개시된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것이며,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이 된다.
1 : 공기압축기 2 : 사용처
3 :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장치 100 : 필터하우징
110 : 하우징본체 111 : 바닥판
120 : 필터헤드 121 : 유입구
122 : 유출구 124 : 연결관
200 : 필터부 210 : 필터케이싱
230 : 커넥터 240 : 메인고정볼트
300 : 드레인부 310 : 배럴
311,314 : 플런저공 315 : 플런저안착부
320 : 플런저 321 : (플런저) 헤드
322 : (플런저) 스템 330 : 코일스프링
340 : 플런저패킹 350 : 배수유로
360 : 호스 370 : 링홈
371 : 스냅링 W : 응축수

Claims (5)

  1. 일단은 공기압축기(1)와 입력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상기 압축공기를 필요로 하는 사용처에 공급하기 위하여 타단은 출력배관을 통해 상기 사용처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유입구가 마련되고 타측에 유출구가 마련되는 필터하우징(100);
    상기 필터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유입된 압축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필터부(200); 상기 필터하우징(100) 내부에 축적되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드레인부(300)는;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바닥판(111)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중심에 길이방향을 따라 플런저공(311,314)이 마련되어 있는 배럴(210); 상기 배럴의 플런저공(311,314)에 끼워지되 상하로 기동할 수 있도록 끼워지는 것으로서 헤드(321)와 스템(322)으로 구성되는 플런저(320); 상기 배럴의 플런저공(311,314)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플런저의 헤드(321)가 안착될 수 있는 플런저안착부(315); 수밀을 위하여 상기 플런저안착부(315)와 상기 헤드(321) 사이에 개입 설치되는 수밀패킹; 상기 일단은 상기 헤드(321)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배럴(21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탄성적으로 상기 헤드(321)가 상기 플런저안착부(315)에서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330);
    상기 필터하우징(100) 내부에 압력이 저하됨에 따라 상기 코일스프링(330)에 의해 상기 헤드(321)가 상기 플런저안착(315)부에서 이격되는 경우에, 상기 필터하우징(100) 내부에 축적된 응축수가 상기 필터하우징(100) 외부로 배수되도록 상기 스템에 마련되는 배수유로(350);
    를 포함함으로써;
    공기압축기(1)가 가동하여 압축공기가 필터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면,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상기 플런저(320)가 플런저안착부(315)에 밀착하여 배수유로(350)를 차단하며;
    상기 공기압축기(1)가 멈춘 동안에는 상기 코일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배수유로(350)가 개방되어 응축수(W)가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322)을 하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배수유로(35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수동개폐기구가 상기 스템(322)의 하단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350)는 상기 스템(322)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타공되는 제1홀(351)과, 상기 스템(322)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타공되는 것으로서 상단은 상기 제1홀(351)에 소통되고 하단은 외기와 소통되는 제2홀(3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322)은 상기 배럴(31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플런저(320)가 상기 배럴(310)로부터 상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상기 플런저(320)에 설치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템(322)의 상기 배럴(310)에서 돌출된 부분에 마련되는 링홈(370); 및
    상기 링홈(370)에 끼워지는 스냅링(37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200)는;
    원통형 필터케이싱(210);
    상기 필터케이싱(210)의 상단과 하단에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되어 있는 다공성 막이판(223); 및
    상기 막이판(223) 사이의 공간에 충전되는 필터소재(220);
    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소재(220)는 직경이 3 ~ 5mm가 되는 구형의 알갱이 형태로 되어 있으며, 알루미노실리게이트 결정체인 몰레큘러 시브(Molecular Sieve)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 장치.
KR1020200095183A 2020-07-30 2020-07-30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장치 KR102232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183A KR102232584B1 (ko) 2020-07-30 2020-07-30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183A KR102232584B1 (ko) 2020-07-30 2020-07-30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584B1 true KR102232584B1 (ko) 2021-03-26

Family

ID=75259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183A KR102232584B1 (ko) 2020-07-30 2020-07-30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58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364A (ja) * 1994-04-13 1995-12-19 Koganei Corp ドレン捕集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13925A (ko) 1996-08-05 1998-05-15 김광호 반도체 장치 및 제조방법
KR100199445B1 (ko) * 1996-06-11 1999-06-15 이서봉 복합분자체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9990061550A (ko) 1997-12-31 1999-07-26 서평원 데이터 통신의 케이블 상태 검사장치
KR20080026366A (ko) * 2006-09-20 2008-03-25 김선태 압축공기 제습장치
KR101835565B1 (ko) * 2016-07-29 2018-03-08 경원기계공업(주) 압축기용 체크밸브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364A (ja) * 1994-04-13 1995-12-19 Koganei Corp ドレン捕集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199445B1 (ko) * 1996-06-11 1999-06-15 이서봉 복합분자체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9980013925A (ko) 1996-08-05 1998-05-15 김광호 반도체 장치 및 제조방법
KR19990061550A (ko) 1997-12-31 1999-07-26 서평원 데이터 통신의 케이블 상태 검사장치
KR20080026366A (ko) * 2006-09-20 2008-03-25 김선태 압축공기 제습장치
KR101835565B1 (ko) * 2016-07-29 2018-03-08 경원기계공업(주) 압축기용 체크밸브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2725A (en) Air dryer device
US4655801A (en) Air dryer unit
US46310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adsorptive fractionation of gases
US4559065A (en) Twin tower gas fractionation apparatus
JP2007525324A5 (ko)
KR870008600A (ko) 자체-세정식 유체 필터
RU83712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сушки сжатого воздуха
US20070157816A1 (en) Vehicle air dryer
KR102232584B1 (ko)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장치
KR102232585B1 (ko) 공기압축기용 수분필터장치
KR20070087548A (ko) 멤브레인식 저장소 건조기
US4573489A (en) Dump valve
US5129927A (en) Air dryer for a vehicle suspension system
US3229714A (en) Regulating valve within a coupling
US3357162A (en) Pressure regulator filter device
US5121767A (en) Automatic drain valve
KR101510573B1 (ko) 콤팩트 흡착식 건조기
KR200214185Y1 (ko) 공기여과기의 자동 및 수동겸용 드레인장치
CN108918732B (zh) 一种色谱气体过滤装置
CA2334742C (en) Automatic drain valve
KR200309936Y1 (ko) 에어유니트 필터 드레인장치
CN214578935U (zh) 一种气制动系统用排水阀
CN203315979U (zh) 空气干燥器
JP3357447B2 (ja) 圧縮空気清浄除湿装置
US4154147A (en) Press unloader with defrost and water drain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