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228B1 - 자동청소식 지상변압기 - Google Patents

자동청소식 지상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228B1
KR102232228B1 KR1020210007966A KR20210007966A KR102232228B1 KR 102232228 B1 KR102232228 B1 KR 102232228B1 KR 1020210007966 A KR1020210007966 A KR 1020210007966A KR 20210007966 A KR20210007966 A KR 20210007966A KR 102232228 B1 KR102232228 B1 KR 102232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 conveyor
conveyor member
outer case
collec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희
Original Assignee
선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7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B08B1/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01F23/006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자동청소식 지상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청소식 지상변압기는 상면에 배출컨베이어부재(13)가 구비되어,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상면에 쓰레기가 올려지면,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를 순환시켜 쓰레기를 수집통(16)으로 배출하고, 배출컨베이어부재(13)에 물을 분사하여 배출컨베이어부재(13)를 세척함으로써, 외부케이스(2)의 상면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청소식 지상변압기{pad mount transformer}
본 발명은 상면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자동청소식 지상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변압기는 인도 등에 설치되어 지중전선을 통해 공급된 고압의 전기를 일반적인 사용전압으로 변압하여 수용가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설치된 기초(1)와, 상기 기초(1)의 상부에 구비된 외부케이스(2)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된 변압유닛(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케이스(2)는 강도가 높은 금속판재질의 사각박스형태로 구성되어 내부에 구비된 변압유닛(3)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변압유닛(3)이 주변의 사람들에게 노출되어, 사람들이 부상을 입거나, 변압유닛(3)에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지상변압기는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인도에 주로 설치됨으로, 사람들이 종이컵이나 기타 쓰레기를 외부케이스(2)의 상면에 놀려놓게 되며, 이러한 쓰레기에 의해 외부케이스(2)가 지저분해질 뿐 아니라, 쓰레기에 남은 음식물에서 악취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6037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면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자동청소식 지상변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된 기초(1)와, 상기 기초(1)의 상부에 구비된 외부케이스(2)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된 변압유닛(3)을 포함하는 지상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2)의 전후방에 구비된 구동 및 종동로울러(11,12)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상면을 덮으면서 상기 구동 및 종동로울러(11,12)의 둘레면을 경유하도록 배치된 배출컨베이어부재(13)와, 상기 구동로울러(11)에 연결되어 구동로울러(11)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4)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전후방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하부지지로울러(15)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일측으로 배출되는 쓰레기를 수집하는 수집통(16)과, 상기 외부케이스(2)의 후측면에 구비된 집수통(17)과, 상기 집수통(17)에 구비되며 급수수단(19)에 의해 공급된 물을 상기 집수통(17)의 상부를 통과하는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하측면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18)과, 상기 집수통(17)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배출컨베이어부재(13)에 묻어있는 물을 긁어내어 제거하는 스크랩퍼(21)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상면에 쓰레기가 올려질 때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25)와, 상기 수집통(16)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수집통(16)의 근처에 있는 사람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26)와, 상기 충격감지센서(25)와 인체감지센서(26)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수수단(19)과 구동모터(1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9)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29)은 상기 충격감지센서(25)에 미리 입력된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26)의 신호를 수신하여 주변에 사람이 없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급수수단(19)과 구동모터(14)를 작동시켜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상면에 올려진 쓰레기를 상기 수집통(16)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주변에 사람이 있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26)에 사람이 멀어진 것이 감지될 때 까지 상기 급수수단(19)과 구동모터(14)의 작동을 보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청소식 지상변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집통(16)의 내부에는 수집통(16)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타공판(16a)이 구비되고, 상기 집수통(17)의 하단에서 상기 수집통(16)의 내부 하측으로 연장된 제1 배수관(22)과, 상기 수집통(16)의 하단에서 하수구로 연장되는 제2 배수관(23)과, 상기 제2 배수관(23)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29)에 의해 개폐제어되는 배수밸브(24)와, 상기 수집통(16)의 내부 하측에 구비된 수위센서(27)와, 상기 수집통(16)의 내부 하측에 구비된 온도센서(28)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29)은 상기 수위센서(27)와 온도센서(28)의 신호를 수신하여, 주변의 온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수위만큼 상기 수집통(16)의 하단에 물이 저장되면 상기 배수밸브(24)를 개방하여 수집통(16)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청소식 지상변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청소식 지상변압기는 상면에 배출컨베이어부재(13)가 구비되어,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상면에 쓰레기가 올려지면,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를 순환시켜 쓰레기를 수집통(16)으로 배출하고, 배출컨베이어부재(13)에 물을 분사하여 배출컨베이어부재(13)를 세척함으로써, 외부케이스(2)의 상면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상변압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변압기를 도시한 측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변압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청소식 지상변압기를 도시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된 기초(1)와, 상기 기초(1)의 상부에 구비된 외부케이스(2)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된 변압유닛(3)이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부케이스(2)의 전후방에 구비된 구동 및 종동로울러(11,12)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상면을 덮으면서 상기 구동 및 종동로울러(11,12)의 둘레면을 경유하도록 배치된 배출컨베이어부재(13)와, 상기 구동로울러(11)에 연결되어 구동로울러(11)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4)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전후방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하부지지로울러(15)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일측으로 배출되는 쓰레기를 수집하는 수집통(16)과, 상기 외부케이스(2)의 후측면에 구비된 집수통(17)과, 상기 집수통(17)에 구비되며 급수수단(19)에 의해 공급된 물을 상기 집수통(17)의 상부를 통과하는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하측면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18)과, 상기 집수통(17)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배출컨베이어부재(13)에 묻어있는 물을 긁어내어 제거하는 스크랩퍼(21)와, 상기 집수통(17)의 하단에서 상기 수집통(16)의 내부 하측으로 연장된 제1 배수관(22)과, 상기 수집통(16)의 하단에서 하수구로 연장되는 제2 배수관(23)과, 상기 제2 배수관(23)에 구비된 배수밸브(24)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상면에 구비된 충격감지센서(25)와, 상기 수집통(16)의 둘레부에 구비된 인체감지센서(26)와, 상기 수집통(16)의 내부 하측에 구비된 수위센서(27)와, 상기 수집통(16)의 내부 하측에 구비된 온도센서(28)와, 상기 충격감지센서(25)와 인체감지센서(26)와 수위센서(27) 및 온도센서(28)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수수단(19)과 구동모터(14) 및 배수밸브(2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9)이 더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케이스(2)의 전후면 상단에는 상기 구동 및 종동로울러(11,12)를 지지하기 위한 전후방 브라켓(2a,2b)이 구비되고, 상기 외부케이스(2)의 상면 전후단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하부지지로울러(15)가 구비되는 오목홈(2c)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로울러(11)는 상기 후방 브라켓(2b)에 결합되고, 상기 종동로울러(12)는 상기 전방 브라켓(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구동 및 종동로울러(11,12)는 상측 둘레부가 상기 외부케이스(2)의 상면에 비해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의 시트를 링형상으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14)는 상기 구동로울러(11)에 연결되도록 상기 후방 브라켓(2b)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상면이 전방, 즉, 상기 수집통(16)쪽으로 전진하도록 구동로울러(11)를 회전시킨다.
상기 하부지지로울러(15)는 외측 둘레부가 상기 외부케이스(2)의 상면 전후단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오목홈(2c)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하측면이 외부케이스(2)의 상면 모서리부분에 긁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수집통(16)은 상면이 개방된 쓰레기통형태로 구성되며 외측면에는 도시 안된 도어가 구비되어, 도어를 열고 내부에 수집된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내부에는 수집통(16)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타공판(16a)이 구비되어, 수집통(16)에 수집된 쓰레기는 타공판(16a)의 상측에 수집되고, 쓰레기에서 흘러나온 액체는 타공판(16a)을 통과하여 수집통(16)의 바닥면에 수집되도록 한다.
상기 집수통(17)은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로울러(11)의 둘레면을 경유하는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2)의 후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분사노즐(18)을 통해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로 분사된 물이 집수통(17)에 수집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집수통(17)은 하단의 위치가 상기 수집통(16)의 하단에 비해 높게 위치된다.
상기 분사노즐(18)은 상기 집수통(17)의 내부에 상기 구동로울러(11)의 둘레면을 경유하는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하측면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급수수단(19)은 수도관과 분사노즐(18)을 연결하는 급수관(19a)과, 상기 급수관(19a)의 중간부에 연결되며 급수관(19a)을 통해 공급된 물을 가압하여 상기 분사노즐(18)로 공급하는 급수펌프(19b)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랩퍼(21)는 적절한 강도와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제2 배수관(23)은 지상변압기의 주변에 있는 하수구 구멍으로 연장되어, 제2 배수관(23)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하수구구멍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수밸브(24)는 상기 제어수단(29)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2 배수관(23)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다.
상기 충격감지센서(25)는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상면에 쓰레기가 올려질 때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인체감지센서(26)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수집통(16)의 주변, 즉, 수집통(16)의 둘레부에서 정해진 거리내에 사람이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위센서(27)는 수집통(16)의 하측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도센서(28)는 상기 수집통(16)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청소식 지상변압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어수단(29)은 상기 충격감지센서(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충격감지센서(25)에 미리 입력된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지상변압기의 주변에 있는 사용자가 외부케이스(2)의 상면에 쓰레기를 올려놓은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29)은 상기 인체감지센서(26)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집통(16)의 주변에 사람이 없을 경우, 상기 구동모터(14)를 작동시켜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상면에 올려진 쓰레기를 상기 수집통(16)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주변에 사람이 있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26)에 사람이 멀어진 것이 감지될 때 까지 상기 급수수단(19)과 구동모터(14)의 작동을 보류한다.
즉,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상면에 올려진 쓰레기는 건조한 것일 수 있으나, 음료수가 담긴 것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음료수가 담긴 쓰레기를 수집통(16)으로 배출할 경우, 쓰레기에 담긴 음료수가 주변으로 튀어 주변에 있는 사람을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29)은 상기 인체감지센서(26)에 사람이 감지된 경우 쓰레기를 배출하지 않고, 수집통(16)의 주변에 사람이 없을 때, 상기 구동모터(14)를 작동시켜 배출컨베이어부재(13)를 순환시켜 배출컨베이어부재(13)에 올려진 쓰레기가 상기 수집통(16)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14)에 의해 배출컨베이어부재(13)가 순환될 때, 상기 제어수단(29)은 상기 급수수단(19)을 제어하여 상기 분사노즐(18)을 통해 상기 구동로울러(11)의 둘레면을 경유하는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하측면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배출컨베이어부재(13)에 묻은 오염물질을 씻어낸다.
이때,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에 분사된 물은 하측으로 낙하하여 상기 집수통(17)에 수집되며,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하측면에 묻어있는 수분은 상기 스크랩퍼(21)에 의해 제거되어 상기 집수통(17)으로 수집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통(17)에 집수된 물은 상기 제1 배수관(22)을 통해 상기 수집통(16)의 하측으로 배출되어, 수집통(16)의 하측에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수집통(16)에 저장된 쓰레기에서 흘러나와서 수집통(16)의 하측에 수집된 음료수 등의 액체가 제1 배수관(22)을 통해 공급된 물에 희석되어, 액체에서 냄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29)은 상기 수위센서(27)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집통(16)에 수집된 물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기준수위로 상승되면, 상기 배수밸브(24)를 개방하여, 수집통(16)에 수집된 물이 제2 배수관(23)을 통해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집통(16)에 수집된 물이 배출되는 기준수위는 상기 온도센서(28)에 의해 측정된 수집통(16) 내부의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즉, 수집통(16) 내부의 온도가 높아질 경우, 상기 기준수위는 높아지며, 수집통(16) 내부의 온도가 0도 이하일 경우, 상기 기준수위는 0이 된다.
즉, 겨울철이 되어 수집통(16) 내부의 온도가 0도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제어수단(29)은 상기 배수밸브(24)를 개방하여 수집통(16)의 내부로 공급된 물이 모두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수집통(16)의 내부에서 물이 얼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청소식 지상변압기는 상면에 배출컨베이어부재(13)가 구비되어,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상면에 쓰레기가 올려지면,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를 순환시켜 쓰레기를 수집통(16)으로 배출하고, 배출컨베이어부재(13)에 물을 분사하여 배출컨베이어부재(13)를 세척함으로써, 외부케이스(2)의 상면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기초 2. 외부케이스
3. 변압유닛

Claims (2)

  1. 지면에 설치된 기초(1)와,
    상기 기초(1)의 상부에 구비된 외부케이스(2)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된 변압유닛(3)을 포함하는 지상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2)의 전후방에 구비된 구동 및 종동로울러(11,12)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상면을 덮으면서 상기 구동 및 종동로울러(11,12)의 둘레면을 경유하도록 배치된 배출컨베이어부재(13)와,
    상기 구동로울러(11)에 연결되어 구동로울러(11)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4)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전후방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하부지지로울러(15)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일측으로 배출되는 쓰레기를 수집하는 수집통(16)과,
    상기 외부케이스(2)의 후측면에 구비된 집수통(17)과,
    상기 집수통(17)에 구비되며 급수수단(19)에 의해 공급된 물을 상기 집수통(17)의 상부를 통과하는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하측면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18)과,
    상기 집수통(17)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배출컨베이어부재(13)에 묻어있는 물을 긁어내어 제거하는 스크랩퍼(21)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상면에 쓰레기가 올려질 때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25)와,
    상기 수집통(16)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수집통(16)의 근처에 있는 사람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26)와,
    상기 충격감지센서(25)와 인체감지센서(26)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수수단(19)과 구동모터(1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9)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29)은 상기 충격감지센서(25)에 미리 입력된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26)의 신호를 수신하여 주변에 사람이 없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급수수단(19)과 구동모터(14)를 작동시켜 상기 배출컨베이어부재(13)의 상면에 올려진 쓰레기를 상기 수집통(16)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주변에 사람이 있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26)에 사람이 멀어진 것이 감지될 때 까지 상기 급수수단(19)과 구동모터(14)의 작동을 보류하고,
    상기 수집통(16)의 내부에는 수집통(16)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타공판(16a)이 구비되고,
    상기 집수통(17)의 하단에서 상기 수집통(16)의 내부 하측으로 연장된 제1 배수관(22)과,
    상기 수집통(16)의 하단에서 하수구로 연장되는 제2 배수관(23)과, 상기 제2 배수관(23)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29)에 의해 개폐제어되는 배수밸브(24)와,
    상기 수집통(16)의 내부 하측에 구비된 수위센서(27)와,
    상기 수집통(16)의 내부 하측에 구비된 온도센서(28)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29)은 상기 수위센서(27)와 온도센서(28)의 신호를 수신하여, 주변의 온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수위만큼 상기 수집통(16)의 하단에 물이 저장되면 상기 배수밸브(24)를 개방하여 수집통(16)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청소식 지상변압기.
  2. 삭제
KR1020210007966A 2021-01-20 2021-01-20 자동청소식 지상변압기 KR102232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966A KR102232228B1 (ko) 2021-01-20 2021-01-20 자동청소식 지상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966A KR102232228B1 (ko) 2021-01-20 2021-01-20 자동청소식 지상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228B1 true KR102232228B1 (ko) 2021-03-25

Family

ID=7522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966A KR102232228B1 (ko) 2021-01-20 2021-01-20 자동청소식 지상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2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63016A (zh) * 2021-04-19 2021-08-17 辽宁兴东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节能性固废处理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377Y1 (ko) 2011-04-21 2012-05-21 한국전력공사 지상변압기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냉각장치
KR101408301B1 (ko) * 2014-01-29 2014-06-17 엔텍스 주식회사 유기성폐기물의 농축장치 및 농축방법
KR101706935B1 (ko) * 2016-07-28 2017-02-27 주식회사 서진이씨에스 와이퍼가 구비된 지상변압기
KR200482916Y1 (ko) * 2015-11-20 2017-03-27 (주)청룡이엔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200137856A (ko) * 2019-05-31 2020-12-09 손계열 유압 안전장치가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377Y1 (ko) 2011-04-21 2012-05-21 한국전력공사 지상변압기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냉각장치
KR101408301B1 (ko) * 2014-01-29 2014-06-17 엔텍스 주식회사 유기성폐기물의 농축장치 및 농축방법
KR200482916Y1 (ko) * 2015-11-20 2017-03-27 (주)청룡이엔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706935B1 (ko) * 2016-07-28 2017-02-27 주식회사 서진이씨에스 와이퍼가 구비된 지상변압기
KR20200137856A (ko) * 2019-05-31 2020-12-09 손계열 유압 안전장치가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63016A (zh) * 2021-04-19 2021-08-17 辽宁兴东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节能性固废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1035B2 (en) Roller mop capable of self-cleaning
AU726489B2 (en) Litter box
KR102232228B1 (ko) 자동청소식 지상변압기
KR101030965B1 (ko) 자동 수세척장치를 갖는 벨트 컨베이어
CN111003388B (zh) 一种自动倾倒及清洗垃圾桶的厨余垃圾箱
CN110949905B (zh) 一种垃圾桶
KR102006968B1 (ko) 롤러형 청소 장치
KR102232230B1 (ko) 쓰레기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지상변압기
US6938579B2 (en) Pet toilet
US5400443A (en) Waste processing toilet
CN112302126B (zh) 自动马桶清洁器和包括自动马桶清洁器的自动清洁马桶
KR101706935B1 (ko) 와이퍼가 구비된 지상변압기
KR100287669B1 (ko) 여과식 전기튀김기
CN105668072B (zh) 一种微型垃圾处理设备
CN108589878A (zh) 一种带折叠收集功能的小便器
KR100292430B1 (ko)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80057947A (ko) 애완동물 자동화 변기
CN210529850U (zh) 厨余垃圾处理设备
JP4426786B2 (ja) 排水分別装置
CN209114555U (zh) 一种具有油脂分离功能的洗碗槽
KR101706937B1 (ko) 자동세척식 지상변압기
CN213771741U (zh) 一体化污水处理装置
CN211997221U (zh) 公共垃圾桶
KR100819771B1 (ko) 간이 화장실용 오물배출장치
CN113123415B (zh) 节水、无臭、节能的厕所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