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304B1 - 문신장치의 니들유닛 - Google Patents

문신장치의 니들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304B1
KR102231304B1 KR1020190017241A KR20190017241A KR102231304B1 KR 102231304 B1 KR102231304 B1 KR 102231304B1 KR 1020190017241 A KR1020190017241 A KR 1020190017241A KR 20190017241 A KR20190017241 A KR 20190017241A KR 102231304 B1 KR102231304 B1 KR 102231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haft
rubber member
receiving space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9349A (ko
Inventor
박용택
황영진
Original Assignee
박용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택 filed Critical 박용택
Priority to KR1020190017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304B1/ko
Priority to PCT/KR2019/005163 priority patent/WO2020166760A1/ko
Publication of KR2020009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A61M37/0084Tattoo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liquid feed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ir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이 개시된다. 상기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은 액체 주입홈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서 돌출되는 카트리지 팁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액체 주입홈을 통해 주입되는 액체 잉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카트리지 몸체;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후방을 밀폐하고, 중앙에 삽입구멍이 구비되는 카트리지 캡; 막대 형상의 샤프트부 및 상기 샤프트부의 전단부에 결합된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부는 일부 길이가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카트리지 캡과 결합되고, 상기 니들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어 말단부가 상기 카트리지 팁의 내측에 위치하는 니들 샤프트; 및 자바라 타입으로 구비되고, 전단부는 상기 샤프트부의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된 길이의 둘레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카트리지 캡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된 샤프트부의 길이를 감싸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러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신장치의 니들유닛{NEEDLE UNIT OF TATTOO MACHINE}
본 발명은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잉크의 역류가 방지된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신은, 피부나 피하조직에 상처를 내고 물감[色素]을 들여 글씨나 그림 무늬 등을 새기는 것이다.
이러한 문신을 시술하는 문신장치는, 동물의 뼈로 만든 작은 도구들을 이용하였으나, 오늘날에는 모터의 구동을 통해 바늘을 직선왕복운동시켜 피부에 상처를 만드는 등 다양한 방식의 문신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문신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문신 바늘이 자동으로 전후로 왕복운동하고 문신 바늘이 왕복운동을 하는 동안에 문신용 색소가 문신 바늘을 타고 내려오도록 하여, 문신 바늘이 사람의 피부를 일정 깊이로 찌르도록 하면서 이동하면 문신을 시술하는 자의 의도대로 소정의 모양이 사람의 피부에 표현하도록 된 장치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일반적으로 문신장치는, 구동모터 및 캠 유닛을 구비하고 직선왕복운동을 링크를 연동하여 전진 및 후진을 하도록 설치되는 문신바늘을 가지게 된다.
즉,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캠 및 링크기구를 통해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문신바늘을 지속적으로 진퇴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서, 작업을 간편하게 하도록 있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문신장치는 니들을 진퇴운동시키는 과정에서 잉크가 잉크저장공간의 외부로 역류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31577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잉크의 역류에 대한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문신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은 액체 주입홈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서 돌출되는 카트리지 팁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액체 주입홈을 통해 주입되는 액체 잉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카트리지 몸체;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후방을 밀폐하고, 중앙에 삽입구멍이 구비되는 카트리지 캡; 막대 형상의 샤프트부 및 상기 샤프트부의 전단부에 결합된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부는 일부 길이가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카트리지 캡과 결합되고, 상기 니들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어 말단부가 상기 카트리지 팁의 내측에 위치하는 니들 샤프트; 및 자바라 타입으로 구비되고, 전단부는 상기 샤프트부의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된 길이의 둘레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카트리지 캡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된 샤프트부의 길이를 감싸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러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공간 내에 삽입된 상기 샤프트부의 일부분의 일측의 둘레에는 제1 러버부재끼움홈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 삽입된 상기 카트리지 캡의 일부분에는 상기 삽입구멍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러버부재끼움홈이 구비되고, 상기 러버부재의 전단부는 상기 제1 러버부재끼움홈에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부에 고정되고 상기 러버부재의 후단부는 상기 제2 러버부재끼움홈에 체결되어 상기 카트리지 캡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은 상기 샤프트부는, 일부 길이가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카트리지 캡에 결합되고, 전단부에 소정 깊이의 결합구멍이 구비되는 샤프트몸체부; 및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샤프트결합부 및 상기 샤프트결합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니들결합부를 포함하는 니들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결합부의 둘레에는 제1 러버부재끼움홈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 삽입된 상기 카트리지 캡의 일부분에는 상기 삽입구멍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러버부재끼움홈이 구비되고, 상기 러버부재의 전단부는 상기 제1 러버부재끼움홈에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부에 고정되고 상기 러버부재의 후단부는 상기 제2 러버부재끼움홈에 체결되어 상기 카트리지 캡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러버부재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샤프트부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잉크푸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잉크푸쉬부재는 전단부 및 후단부가 원 형상이고, 측면이 상기 샤프트부에 결합되는 후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전단부는 후단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잉크푸쉬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잉크푸쉬부재의 전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전단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배열되는 잉크통과슬릿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에 의하면, 문신작업을 위해 니들이 결합된 니들 샤프트가 진퇴운동할 때 카트리지 몸체 내의 잉크가 문신작업방향의 역방향, 즉 니들 샤프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이 차단되어, 잉크의 역류에 대한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문신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잉크푸쉬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은 카트리지 몸체(110), 카트리지 캡(120), 니들 샤프트(130), 러버부재(140)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몸체(110)는 액체 잉크를 수용하며, 몸체부(111) 및 카트리지 팁(112)을 포함한다.
몸체부(111)는 후단부가 개방된 관 형태로 구비되고, 관의 일측에 액체 주입홈(111a)이 구비되고, 몸체부(111)의 내부에는 액체 주입홈(111a)을 통해 주입되는 액체 잉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11b)이 구비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액체 주입홈(111a)은 평상시 마개로 막혀있게 된다.
카트리지 팁(112)은 몸체부(111)의 전방에서 돌출되며, 몸체부(111)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구비되고, 끝단부에는 수용공간(111b)으로부터 액체 잉크가 분출되는 잉크배출구(112a)가 형성된다.
일 예로, 카트리지 팁(112)은 하나의 니들(132)이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일 수도 있고, 복수의 니들(132)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니들(132)이 결합 가능한 형태인 경우, 다수의 니들(132)이 직렬배열되어 이루어지거나, 직렬로 배열된 다수의 니들(132)이 다단으로 적층되는 형태일 수 있고, 중앙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을 가지면서 원형을 이루면서 배치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카트리지 캡(120)은 카트리지 몸체(110)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111b)의 후방을 밀폐하고, 중앙에 삽입구멍(123)이 구비된다. 일 예로, 카트리지 캡(120)은 몸체부(111)의 후단부에서 수용공간(111b)을 향해 삽입되는 삽입부(121) 및 삽입부(121)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되어 삽입부(121)가 수용공간(111b)으로 삽입될 때 몸체부(111)의 후단부를 덮는 덮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구멍(123)은 상기 삽입부(1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니들 샤프트(130)는 샤프트부(131) 및 니들(132)을 포함한다.
샤프트부(131)는 원통형의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부 길이가 카트리지 캡(120)의 삽입구멍(123)에 삽입되어 카트리지 캡(120)과 결합된다. 이때, 삽입구멍(123)으로 삽입된 샤프트부(131)의 일부분은 수용공간(111b) 내에 수용된다. 샤프트부(131)의 후단부, 즉 카트리지 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된 후단부는 니들 샤프트(130)를 진퇴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진퇴운동할 수 있다.
니들(132)은 피부에 접촉되어 문신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구비된다. 니들(132)은 후단부가 샤프트부(131)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수용공간(111b) 내에 위치하고, 이때 니들(132)의 전단부는 카트리지 팁(112)의 내측에 위치한다. 니들(132)은 샤프트부(131)의 진퇴운동에 의해 카트리지 팁(112)의 내외로 전후진 할 수 있다. 이때, 카트리지 팁(112)의 잉크배출구(112a)를 통해 배출되는 잉크는 니들(132)의 외주면으로 공급될 수 있다.
러버부재(140)는 자바라 타입으로 구비된다. 러버부재(140)의 전단부는 샤프트부(131)의 수용공간(111b)으로 삽입된 길이의 일측 둘레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카트리지 캡(120)에 결합되어 수용공간(111b)으로 삽입된 샤프트부(131)의 길이를 감싸도록 수용공간(111b) 내에 수용된다.
러버부재(140)의 결합을 위해, 수용공간(111b) 내에 삽입된 샤프트부(131)의 일부분의 일측의 둘레에는 제1 러버부재끼움홈(131a)이 구비되고, 수용공간(111b) 내에 삽입된 카트리지 캡(120)의 일부분, 즉 삽입부(121) 둘레에는 삽입구멍(12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러버부재끼움홈(121a)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러버부재(140)의 전단부는 제1 러버부재끼움홈(131a)에 체결되어 샤프트부(131)에 고정되고, 러버부재(140)의 후단부는 제2 러버부재끼움홈(121a)에 체결되어 카트리지 캡(1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이 문신작업시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니들 샤프트(130)에 연결된 구동부를 작동시켜서 니들 샤프트(130)가 진퇴운동하도록 한다.
니들 샤프트(130)가 전진 및 후진되면 샤프트부(131)에 결합된 니들(132)이 전진 및 후진되어서 카트리지 팁(112)의 내외로 왕복 이동한다. 이때, 니들 샤프트(130)는 카트리지 몸체(110)의 수용공간(111b) 내의 잉크를 카트리지 팁(112)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고, 니들(132)이 카트리지 팁(112)의 외부로 인출되면 잉크는 카트리지 팁(112)의 잉크배출구(112a)를 통해 배출되면서 니들(132)의 외주면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니들(132)을 피부에 접촉시키면서 잉크가 피부에 침투하도록 하여 문신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니들 샤프트(130)가 진퇴하는 과정에서 러버부재(140)는 인장 및 복원된다. 즉, 니들 샤프트(130)가 전진하면 러버부재(140)는 인장되며, 니들 샤프트(130)가 후진하면 러버부재(140)는 복원된다. 이때, 러버부재(140)는 카트리지 캡(120)의 삽입부(121)의 둘레로부터 카트리지 몸체(110)의 수용공간(111b)으로 삽입된 니들 샤프트(130)의 샤프트부(131)의 일부분을 감싸고 있으므로 수용공간(111b) 내에 저장된 잉크가 니들 샤프트(130)를 통해 카트리지 몸체(11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몸체(110)의 수용공간(111b) 내의 잉크가 카트리지 몸체(110)의 외부의 구동부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을 이용하면, 문신작업을 위해 니들(132)이 결합된 니들 샤프트(130)가 진퇴운동할 때 카트리지 몸체(110) 내의 잉크가 문신작업방향의 역방향, 즉 니들 샤프트(13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이 차단되어, 잉크의 역류에 대한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문신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을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은 샤프트부(131)가, 일부 길이가 상기 삽입구멍(123)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간(111b)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카트리지 캡(120)에 결합되고, 전단부에 소정 깊이의 결합구멍(1311a)이 구비되는 샤프트몸체부(1311); 및 상기 결합구멍(1311a)에 삽입되는 샤프트결합부(1312a) 및 상기 샤프트결합부(1312a)의 전방에 구비되는 니들결합부(1312b)를 포함하는 니들지지부재(1312)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결합부(1312a)의 둘레에는 제1 러버부재끼움홈(131a)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111b) 내에 삽입된 상기 카트리지 캡(120)의 일부분에는 상기 삽입구멍(12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러버부재끼움홈(121a)이 구비되고, 상기 러버부재(140)의 전단부는 상기 제1 러버부재끼움홈(131a)에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부(131)에 고정되고 상기 러버부재(140)의 후단부는 상기 제2 러버부재끼움홈(121a)에 체결되어 상기 카트리지 캡(120)에 고정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은 니들(132)이 니들지지부재(1312)에 결합되고, 니들지지부재(1312)는 샤프트몸체부(13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니들(132)의 교체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잉크푸쉬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은 수용공간(111b) 내에서 상기 러버부재(14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샤프트부(131)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잉크푸쉬부재(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잉크푸쉬부재(15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잉크푸쉬부재(150)는 전단부 및 후단부가 원 형상이고, 측면이 상기 샤프트부(131)에 결합되는 후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전단부는 후단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구비된다.
또한, 잉크푸쉬부재(150)의 측면에는 상기 잉크푸쉬부재(150)의 전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전단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배열되는 잉크통과슬릿(151)이 구비된다. 잉크통과슬릿(151)은 잉크푸쉬부재(150)가 카트리지 몸체(110)의 수용공간(111b) 내에서 니들 샤프트(130)와 함께 전진 및 후진할 때 잉크의 일부가 통과하는 슬릿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을 이용하면, 문신작업이 수행될 때 전진 및 후진하는 니들 샤프트(130)와 함께 잉크푸쉬부재(150)가 전진 및 후진되며, 잉크푸쉬부재(150)가 전진할 때 잉크푸쉬부재(150)의 전단부는 후단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므로 수용공간(111b) 내의 잉크를 카트리지 팁(112) 방향으로 쉽게 밀어낼 수 있고, 잉크푸쉬부재(150)가 후진할 때에는 잉크푸쉬부재(150)의 측면이 전단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테이퍼져 있으므로 수용공간(111b) 내에서 잉크푸쉬부재(150)의 후방에 위치하는 잉크의 일부는 잉크푸쉬부재(150)의 측면을 따라 쉽게 잉크푸쉬부재(150)의 전방측으로 이동하며 또한 잉크통과슬릿(151)에 의해서도 잉크의 일부가 잉크푸쉬부재(150)의 전방측으로 이동하므로 잉크 내의 수중에서의 잉크푸쉬부재(150)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문신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잉크푸쉬부재(150)에 의해 잉크를 카트리지 팁(112) 방향으로 밀어내는 펌핑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니들(132)의 외주면으로의 잉크 공급이 쉬워지고, 또한 카트리지 몸체(110) 내에 잉크의 양이 감소하는 경우에도 잉크푸쉬부재(150)에 의해 잉크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카트리지 몸체(110)의 수용공간(111b) 내의 잉크의 양에 관계 없이 항시 원활한 잉크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을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은 카트리지 몸체(110)의 카트리지 팁(112)이 원통형연장부(1121)를 포함하고, 러버부재(140)는 원통형연장부(1121) 및 니들 샤프트(130)의 샤프트부(131)에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과 동일하다.
상기 원통형연장부(1121)는 카트리지 몸체(110)의 몸체부(111)의 전단부에 대응하는 면의 내면으로부터 수용공간(111b) 방향으로 연장되되 몸체부(111)의 내면에 면접하여 연장된다. 원통형연장부(1121)에는 상기 몸체부(111)에 형성된 액체 주입홈(111a)에 대응하여 액체 주입홈(111a)으로 주입되는 액체 잉크를 원통형연장부(1121)의 내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액체유입홈(1122)을 포함한다.
러버부재(140)는 원통형연장부(1121)의 끝단부의 둘레에 전단부가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샤프트부(131)의 외면 둘레에 결합된다. 러버부재(140)의 결합을 위해 원통형연장부(1121)의 끝단의 둘레에 제2 러버부재끼움홈(1121a)이 구비되고, 샤프트부(131)의 둘레에 제1 러버부재끼움홈(131a)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러버부재(140)의 내부는 원통형연장부(1121)의 내부와 소통하며, 이에 의해 액체 주입홈(111a) 및 액체유입홈(1122)을 통해 주입되는 액체 잉크는 원통형연장부(1121) 및 러버부재(140)의 내부에 수용된다. 즉, 잉크는 카트리지 몸체(110)의 몸체부(111)의 수용공간(111b)에 수용되지 않으며 원통형연장부(1121)의 내부 및 러버부재(140)의 내부에만 수용된다.
원통형연장부(1121)의 내부 및 러버부재(140)의 내부에 수용되는 잉크는 니들 샤프트(130)의 진퇴운동에 따라 카트리지 팁(112)의 끝단부를 향해 펌핑되어서 니들(132)의 외주면 둘레로 공급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은 액체 잉크가 원통형연장부(1121)의 내부 및 러버부재(140)의 내부에만 수용되므로 문신작업시 잉크가 니들 샤프트(130)뿐만 아니라 카트리지 캡(120)을 통해서도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의 니들(132)의 외면에는 살균기능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됨에 따라, 피부에 부착된 유해세균의 살균 및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적인 작용을 한다.
한편,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카다몸 오일(Cardamom oil) 50중량%, 마리골드 오일(Marigold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카다몸 오일(Cardamom oil)의 주 화학성분은 terpineol, cineol 등이며, 신경통, 살균, 항울작용, 스트레스 완화작용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마리골드 오일(Marigold oil)은 마리골드 꽃잎에서 추출한 오일로서, 피부 질환 치료, 살균, 가려움증 완화, 머리를 맑게 하고, 긴장완화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니들(132)의 외면에 코팅됨에 따라, 피부의 유해세균 등을 살균 및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우수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신장치의 니들유닛의 러버부재(14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 카아본블랙 33~36중량%, 산화방지제 2~5중량%, 촉진제인 유황 1~3중량%를 혼합한다.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므로 이를 첨가하되, 함유량이 33중량% 미만이면, 탄성과 내마모성이 줄어들며, 36중량%가 초과 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33~36중량%를 혼합한다.
산화방지제는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또는 RD(POLYMERIZED 2,2,4-TRIMETHYL-1,2- DIHYDROQUINOLINE)을 선택하여 2~5중량%를 첨가하는 것으로, 2중량% 미만이면, 제품이 산화가 되기 쉽고, 너무 많이 첨가하여 5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또한 산화방지제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2~5중량%가 적정하다.
촉진제인 유황은 1~3중량%를 혼합한다. 1 중량% 미만은 성형시 가열공정에서 가황작용 효과가 미미하므로, 1 중량% 이상을 첨가한다. 3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1 ~ 3중량%가 적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방향에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로 보강되므로 러버부재(140)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러버부재(140)의 수명이 증대된다.
또한, 니들(132)은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니들에는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부식방지도포층은 구아나디노 벤조이미다졸 20중량%, 옥시카르복시산엽 15중량%, 이미다졸린 티온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알루미늄 25중량%, 디글리시딜 아닐린 5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7㎛로 형성할 수 있다.
구아나디노 벤조이미다졸, 옥시카르복시산엽, 이미다졸린 티온 및 디글리시딜 아닐린은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카트리지 몸체 120 : 카트리지 캡
130 : 니들 샤프트 140 : 러버부재

Claims (4)

  1. 액체 주입홈(111a)을 포함하는 몸체부(111) 및 상기 몸체부(111)의 전방에서 돌출되는 카트리지 팁(112)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11)의 내부에는 상기 액체 주입홈(111a)을 통해 주입되는 액체 잉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11b)이 구비되는 카트리지 몸체(110);
    상기 카트리지 몸체(110)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111b)의 후방을 밀폐하고, 중앙에 삽입구멍(123)이 구비되는 카트리지 캡(120);
    막대 형상의 샤프트부(131) 및 상기 샤프트부(131)의 전단부에 결합된 니들(132)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부(131)는 일부 길이가 상기 삽입구멍(123)에 삽입되어 상기 카트리지 캡(120)과 결합되고, 상기 니들(132)은 상기 수용공간(111b) 내에 수용되어 말단부가 상기 카트리지 팁(112)의 내측에 위치하는 니들 샤프트(130); 및
    니들 샤프트(130)가 전후진될 때에 신축되도록 니들 샤프트(130) 둘레의 수용공간(111b) 내에 자바라 형태로 구비되고, 수용공간(111b) 내의 잉크가 카트리지 캡(120)의 삽입구멍(123)과 차단되도록 구비되어서, 니들 샤프트(130)의 전후진시에 수용공간(111b) 내의 잉크가 삽입구멍(123)을 통해 카트리지 캡(120)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러버부재(140)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공간(111b) 내에서 상기 러버부재(14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샤프트부(131)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잉크푸쉬부재(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잉크푸쉬부재(150)는 전단부 및 후단부가 원 형상이고, 측면이 상기 샤프트부(131)에 결합되는 후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전단부는 후단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잉크푸쉬부재(150)의 측면에는 상기 잉크푸쉬부재(150)의 전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전단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배열되는 잉크통과슬릿(15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의 니들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111b) 내에 삽입된 상기 샤프트부(131)의 일부분의 일측의 둘레에는 제1 러버부재끼움홈(131a)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111b) 내에 삽입된 상기 카트리지 캡(120)의 일부분에는 상기 삽입구멍(12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러버부재끼움홈(121a)이 구비되고,
    상기 러버부재(140)의 전단부는 상기 제1 러버부재끼움홈(131a)에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부(131)에 고정되고 상기 러버부재(140)의 후단부는 상기 제2 러버부재끼움홈(121a)에 체결되어 상기 카트리지 캡(12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의 니들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131)는,
    일부 길이가 상기 삽입구멍(123)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간(111b)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카트리지 캡(120)에 결합되고, 전단부에 소정 깊이의 결합구멍(1311a)이 구비되는 샤프트몸체부(1311); 및
    상기 결합구멍(1311a)에 삽입되는 샤프트결합부(1312a) 및 상기 샤프트결합부(1312a)의 전방에 구비되는 니들결합부(1312b)를 포함하는 니들지지부재(1312)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결합부(1312a)의 둘레에는 제1 러버부재끼움홈(131a)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111b) 내에 삽입된 상기 카트리지 캡(120)의 일부분에는 상기 삽입구멍(12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러버부재끼움홈(121a)이 구비되고,
    상기 러버부재(140)의 전단부는 상기 제1 러버부재끼움홈(131a)에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부(131)에 고정되고 상기 러버부재(140)의 후단부는 상기 제2 러버부재끼움홈(121a)에 체결되어 상기 카트리지 캡(12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의 니들유닛.
  4. 삭제
KR1020190017241A 2019-02-14 2019-02-14 문신장치의 니들유닛 KR102231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241A KR102231304B1 (ko) 2019-02-14 2019-02-14 문신장치의 니들유닛
PCT/KR2019/005163 WO2020166760A1 (ko) 2019-02-14 2019-04-29 문신장치의 니들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241A KR102231304B1 (ko) 2019-02-14 2019-02-14 문신장치의 니들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349A KR20200099349A (ko) 2020-08-24
KR102231304B1 true KR102231304B1 (ko) 2021-03-22

Family

ID=72044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241A KR102231304B1 (ko) 2019-02-14 2019-02-14 문신장치의 니들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1304B1 (ko)
WO (1) WO202016676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676B1 (ko) 2021-11-03 2022-05-13 주식회사 블라썸클라우드 두피용 문신 머신
KR102406842B1 (ko) 2021-11-03 2022-06-10 주식회사 블라썸클라우드 두피용 문신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2663U1 (ru) * 2020-12-09 2021-03-02 Сергей Сергеевич Ожогин Машинка для нанесения татуировок роторная
IT202100003065A1 (it) * 2021-02-11 2022-08-11 Campomats S R L Unipersonale Cartuccia monouso porta aghi per un dispositivo per trattamenti cosmetici
KR102660929B1 (ko) * 2021-07-22 2024-04-25 윤미정 두피 문신 니들 장치
GB2624875A (en) * 2022-11-29 2024-06-05 Active Needle Tech Ltd Tattoo cartrid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202B1 (ko) * 2016-01-29 2016-05-23 박용택 문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19199U1 (de) * 1999-10-22 2000-01-20 Medium Tech Gmbh Tattoo- und/oder Permanent-Make-up-Farben-Handgerät
KR100922138B1 (ko) * 2009-04-14 2009-10-19 봄텍전자 주식회사 피부용 액체침투장치
KR101131577B1 (ko) 2009-07-22 2012-03-30 방시열 피부 시술 장치
KR101997484B1 (ko) * 2017-05-24 2019-07-09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잉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문신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202B1 (ko) * 2016-01-29 2016-05-23 박용택 문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676B1 (ko) 2021-11-03 2022-05-13 주식회사 블라썸클라우드 두피용 문신 머신
KR102406842B1 (ko) 2021-11-03 2022-06-10 주식회사 블라썸클라우드 두피용 문신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66760A1 (ko) 2020-08-20
KR20200099349A (ko)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304B1 (ko) 문신장치의 니들유닛
CN101600643B (zh) 分配器
EP2481484B1 (de) Abgabevorrichtung
CN110841172B (zh) 在脉管通入装置上形成抗扭结部的抗菌涂层
US8920379B2 (en) Needle unit and dermatological liquid inje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US8568373B2 (en) Medical elongate member housing tool and medical elongate member housing tool assembly
US6322542B1 (en) Device for delivering liquid containing medicament
DE112021000800T5 (de) Intravaskuläre blutpumpe
US20080065088A1 (en) Bone Cement Mix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20110208136A1 (en) Method for applying a liquid medicinal treatment medium to an area to be treated and medicinal product
DE102014215901A1 (de) Spritzenadapter
US20070251542A1 (en) Applicator
EP1709989A1 (de) Tätowierpistolenspitze
EP3491345B1 (de) Pumpkopf und dosiervorrichtung
DE112019005123T5 (de) Kolben und Hydraulikpumpe oder -motor
JP6406970B2 (ja) ペン及びペン用リフィル
KR20110018626A (ko) 수목용 약액 주입기
US20210401461A1 (en) Implant insertion device
DE102007051901B3 (de) Ölspender
WO2017214120A1 (en)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medical channel, and cleaning method
EP3752040B1 (de) Ventilschieber für eine als insufflations- und spülventil dienende ventileinheit, ventileinheit mit einem entsprechenden ventilschiebe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ntilschiebers
JP2022191593A (ja) 樹脂被覆ワイヤおよび薬液注入装置
DE102015101067B4 (de) Dosierpumpe, insbesondere Brennstoffdosierpumpe für ein Fahrzeugheizgerät
DE102007011679A1 (de) Zitzengummi zur Verwendung an einem Melkbecher, Melkbecher, sowie Vorrichtung zum Melken eines Tieres
DE102015101068B4 (de) Dosierpumpe, insbesondere Brennstoffdosierpumpe für ein Fahrzeugheizgerä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