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219B1 - System for auto making of tour plan - Google Patents

System for auto making of tour pla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219B1
KR102231219B1 KR1020180166654A KR20180166654A KR102231219B1 KR 102231219 B1 KR102231219 B1 KR 102231219B1 KR 1020180166654 A KR1020180166654 A KR 1020180166654A KR 20180166654 A KR20180166654 A KR 20180166654A KR 102231219 B1 KR102231219 B1 KR 102231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user
route
trave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6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7288A (en
Inventor
심기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임투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임투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임투어
Priority to KR1020180166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219B1/en
Publication of KR20200077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2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2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출발지 설정에 따른 해당 사용자의 여행 플랜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여행)전문가점수와 사용자점수를 평가하여 해당 사용자 선호에 기반한 여행 경로를 생성해줄 수 있고,
여행을 복수 일(日)로 계획하려는 경우, 그에 따른 여행 경로를 생성하되 중복되지 않는 여행 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travel plans.
Specifically, in a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 travel plan for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departure location setting, a travel route based on the user's preference can be generated by evaluating the (travel) expert score and the user sc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ravel plan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and providing a travel route that does not overlap but generates a travel route according to the travel plan in a plurality of days.

Description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SYSTEM FOR AUTO MAKING OF TOUR PLAN}Automatic travel plan creation system {SYSTEM FOR AUTO MAKING OF TOUR PLAN}

본 발명은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travel plans.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출발지 설정에 따른 해당 사용자의 여행 플랜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여행)전문가점수와 사용자점수를 평가하여 해당 사용자 선호에 기반한 여행 경로를 생성해줄 수 있고,Specifically, in a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 travel plan for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departure location setting, a travel route based on the user's preference can be generated by evaluating the (travel) expert score and the user score,

여행을 복수 일(日)로 계획하려는 경우, 그에 따른 여행 경로를 생성하되 중복되지 않는 여행 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ravel plan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and providing a travel route that does not overlap but generates a travel route according to the travel plan in a plurality of days.

근래에는 소득수준의 증가 및 주 5일제의 실시에 따라 관광산업이 발전하고 있는 바, 여름 휴가나 주말 여행 등을 통해 해외나 국내의 유명 관광지의 방문이 증가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tourism industry is developing due to the increase in income level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five-day week system. As a result, visits to famous tourist destinations abroad and domestically are increasing through summer vacations and weekend trips.

이러한 추세에 따라 관광산업의 중요성 및 그 시장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여행 상품의 개발이나 여행 정보 제공 등에 있어서는 미흡한 실정이다.According to this trend, the importance of the tourism industry and its marketability are gradually increasing, but the development of travel products and provision of travel information are insufficient.

현재 개발된 관광 관련한 앱 혹은 서비스들은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즉, 여행정보 제공서비스를 사용자의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이해하지 않고, 단편적인 요구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Currently developed tourism-related apps or services do not effectively provide various information. In other words, the travel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is not understood from the user's process point of view, and is proceeded in a manner that responds to fragmentary requests.

구체적으로는, 종래 트리플, 투어플랜비, 구글트립스 등의 여행 플랜을 제공하는 기술들이 있는데, 이러한 기술들은 직접 사람이 일정을 생성하여 추천하는 것으로서, 여행 전문가 기준을 생성된 일정으로 인해, 실제 여행에 사용도와 만족도가 낮은 편이다.Specifically, there are technologies that provide travel plans such as Triple, Tour Plan B, and Google Trips. These technologies are directly recommended by a person creating an itinerary. The use and satisfaction of travel is low.

또한, 이러한 사람이 직접 일정을 생성하여 추천하는 것은, 기존 여행사 및 관련 공공기관 그리고 운송사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자유여행 시장에 개인 맞춤형 솔루션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고, 여행자 입장에서는 인터넷 발달과 다른 여행자의 증가에 따른 정보의 홍수 속에서 자신의 조건에 맞는 적합한 정보를 검색하는데 한계가 있는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the fact that such people create and recommend itineraries is that existing travel agencies, related public institutions, and transport companies are in a situation where personalized solutions are extremely lacking in the ever-increasing free travel market,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ravelers, internet development and other travelers In the flood of information resulting from the increase in data, there is a difficulty in searching for appropriate information that meets one's conditions.

관련된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784476호에는 스마트 여행 플랜 서비스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As a related technology, a smart travel plan service system is describ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84476.

상기 기술은, 스마트 여행 플랜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above technology relates to a smart travel plan service system.

이러한 상기 기술에 따른 시스템은 여행 정보를 제공하는 여행지 정보 제공부와; 회원을 인증하고, 해당 회원이 설정한 여행 플랜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회원 인증부와; 해당 회원의 여행 플랜이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지 않으면 회원의 조작에 따라 여행 플랜을 생성하고, 여행 플랜이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해당 회원에 의해 설정된 여행 플랜 내에서 일일 일정표 작성을 위한 사용자 화면을 표시하는 여행 플랜 생성부와; 회원이 가고 싶은 목록에서 특정 장소가 드래그되어 상기 일일 일정표에 옮겨짐에 따라 상기 드래그된 특정 장소를 상기 일일 일정표에 반영하여 여행 플랜을 수립하는 여행 플랜 수립부와; 해당 회원에 대응하는 여행 플랜이 수립된 후, 해당 관광지에 대한 예약 및 티켓발매를 진행하고, 해당 관광지의 매표소에 접근함에 따라 사용자의 스마트폰상에 전자티켓을 자동으로 팝업하는 예약 및 티켓 발권부와; 여행 플랜의 수립 및 예약이 완료된 후, 실제 여행지를 방문하였을 때 여행 가이드 절차를 수행하는 여행 가이드부와; 그리고 여행지 방문 중이나 여행 후, 투어 다이어리 생성부가 방문한 관광지에 대한 소감을 등록하는 투어 다이어리 작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The system according to the above technology includes a travel destin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travel information; A member authentication unit that authenticates a member and checks whether or not a travel plan set by the member exists; If it is not checked that the member's travel plan exists, a travel plan is created according to the member's operation, and if it is checked that the travel plan exists, a user screen for creating a daily itinerary within the travel plan set by the member is displayed. A travel plan generation unit; A travel plan establishment unit configured to establish a travel plan by reflecting the dragged specific place in the daily itinerary as a specific place is dragged from the list to which a member wants to go and moved to the daily itinerary; After a travel plan corresponding to the member is established, reservation and ticket issuance for the relevant tourist attraction is carried out, and the reservation and ticket issuing department that automatically pops up an electronic ticket on the user's smartphone upon approaching the ticket office of the corresponding tourist attraction. ; A travel guide unit that performs a travel guide procedure when the actual travel destination is visited after the establishment and reservation of the travel plan is completed; In addition, it is described that the tour diary generating unit includes a tour diary creation unit for registering impressions on the visited tourist destination during or after the tour.

등록특허공보 제10-1784476호(2017.10.11. 공고)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84476 (announced on Oct. 11, 2017)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출발지 설정에 따른 해당 사용자의 여행 플랜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여행)전문가점수와 사용자점수를 평가하여 해당 사용자 선호에 기반한 여행 경로를 생성해줄 수 있고,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 travel plan of a corresponding user according to a user's departure point setting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technologies, by evaluating the (travel) expert score and the user score. It can create a travel route based on the user's preferences,

여행을 복수 일(日)로 계획하려는 경우, 그에 따른 여행 경로를 생성하되 중복되지 않는 여행 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In the case of planning a trip in multiple day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travel plan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and providing a travel route that does not overlap while generating a travel route according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은, 전문가점수와 사용자점수에 따른 사용자 선호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출발지에 기반하여, 목적지와 경로를 생성하고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utomatic travel plan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d selects a destination and a route based on the departure point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 preference according to the expert score and the user scor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to.

이때, 상기 시스템은,At this time, the system,

각 여행지별 전문가점수정보와; 사용자 인적정보 및 사용자 사용기록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점수정보와; 여행지정보와; 여행지별 시설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Expert score information for each travel destination; User score information including user personal information and user use record information; Travel destination information; A database storing facility information for each travel destination;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여행지별 전문가점수정보와 사용자점수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가 선호하는 여행스타일이 있는지, 아니면 전문가에 의존하는 스타일인지를 평가하는 점수평가모듈과,A score evaluation module for evaluating whether there is a travel style preferred by the user or a style dependent on an expert based on expert score information and user score information for each travel destin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사용자가 여행의 출발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출발지선택모듈과,A departure location selection module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departure location of the trip;

사용자가 여행에 대한 교통편, 식사횟수, 여행일수 및 숙박횟수에 따른 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건설정모듈과,A condition setting module that allows a user to set conditions according to transportation, number of meals, travel days, and number of accommodations for travel;

상기 출발지선택모듈에 의해 선택된 출발지와, 조건설정모듈에 설정된 조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여행 경로를 복수 개 추출하도록 하는 경로추출모듈과,A route extraction module configured to extract a plurality of travel routes of the user based on the departure location selected by the departure location selection module and a condition set in the condition setting module;

상기 경로추출모듈을 통해 추출된 복수 개의 경로 중, 사용자에게 제공될 1개의 경로를 경로패턴화모듈과 연동하여 선별하는 경로선별모듈과,A path selection module for selecting one path to be provided to a user among a plurality of paths extracted through the path extraction module in connection with a path patterning module,

상기 경로선별모듈을 통해 선별된 경로 중 사용자가 미리 예약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약연동모듈과,A reservation linkage module that provides an interface so that a user can make a reservation in advance among routes selected through the route selection module,

상기 경로선별모듈을 통해 선별된 경로를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기반하여 시간을 보완하는 경로보완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ute supplementation module for supplementing time based on the user's input information for the route selected through the route selection module.

또한, 상기 시스템은,In addition, the system,

상기 조건설정모듈에서 설정된 여행일수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경로추출모듈, 경로패턴화모듈 및 경로선별모듈과 연동되어 일차별 경로를 설정하는 일차별경로설정모듈과,A primary route setting module configured to set a primary route by interlocking with the route extraction module, route patterning module, and route selection module based on the number of travel days set in the condition setting module;

상기 일차별경로설정모듈에 의해 복수 일차에 따른 여행경로가 생성되는 경우, 중복여행지를 판단하는 중복여행지판단모듈를 더 포함하되,When the travel route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days is generated by the primary route setting module, further comprising a redundant travel location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the redundant travel location,

상기 일차별경로설정모듈은, 전날의 목적지를 다음날의 출발지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imary route setting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stination of the previous day is selected as the departure point of the next day.

또한, 상기 경로선별모듈의 경로 선별 과정은,In addition, the path selection process of the path selection module,

상기 경로추출모듈을 통해 추출된 복수 개의 경로 중 어느 1개에 대하여, 경로를 패턴화하고, 추출된 경로가 사용자 선호에 적절한지 확인하도록 하되,For any one of a plurality of routes extracted through the route extraction module, a route is patterned and the extracted route is checked whether it is appropriate for user preference,

사용자 선호에 적절하지 않은 경우, 추출된 경로 중 다른 경로를 이용해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선호에 적절한 경우, 해당 경로를 패턴화된 선호 경로로 채택한 뒤,If it is not appropriate for the user's preference, the process of reconfirming it using a different route among the extracted routes, and if it is appropriate for the preference, the route is selected as the patterned preferred route,

이후, 베스트패턴과 상기 패턴화된 선호 경로를 비교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베스트패턴에 유사한지를 시스템에서 확인하도록 하되, 확인 결과, 베스트패턴과 가장 유사한 것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after, the system checks whether the best pattern is similar to the best patter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by comparing the best pattern with the patterned preferred path, and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providing the user with the most similar to the best pattern.

또한, 상기 경로패턴화모듈의 경로 패턴화 과정은,In addition, the path patterning process of the path patterning module,

상기 경로추출모듈을 통해 추출된 경로 상에 영역별 점을 생성한 뒤,After generating points for each area on the path extracted through the path extraction module,

생성된 점들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 이내를 갖는 가까운 인접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존재하는 경우 제거하여 다시 인접점을 확인하도록 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경로 상에 생성된 점끼리 연결하여 경로 선을 형성하며,With respect to the generated points, it checks whether there is a nearby adjacent poin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if it exists, removes it to check the adjacent point again, and if it does not exist, connects the generated points on the path to form a path line. ,

이후, 형성된 경로 선 상에 기울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기울기가 존재하면 경로패턴화모듈은 인접점 제거를 재수행하되, 인접점 제거를 위한 거리의 기준을 소정의 거리씩 늘려가도록 하면서 기울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한 후,Thereafter, it checks whether there is a slope on the formed path line, and if there is a slope, the path patterning module performs the removal of the adjacent point again, but increases the standard of the distance for removing the adjacent poin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lope does not exist. After avoiding it,

기울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단순화된 경로로 결정하되, 단순화된 경로 상에 생성되어 있는 점이 소정의 개수 이상이라면 단순화된 경로로 결정하지 않고, 과정을 종료하도록 하고, 점이 소정의 개수 미만이라면 단순화를 종료하지 않고 단순화된 경로로 하여,If it is confirmed that the slope does not exist, it is determined as a simplified path, but if the number of points created on the simplified path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the process is not determined as a simplified path, and the process is terminated, and if the points are less than a predetermined number, With the simplified path without ending the simplification,

상기 단순화된 경로를 대상으로 도형별 분류를 수행한 뒤, 경로방향을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path direction after performing classification for each figure on the simplified path.

본 발명에 따른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travel pl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행)전문가점수와 사용자점수를 평가하여 해당 사용자 선호에 기반한 여행 경로를 생성해줄 수 있고, 여행을 복수 일(日)로 계획하려는 경우, 그에 따른 여행 경로를 생성하되 중복되지 않는 여행 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Travel) By evaluating the expert score and the user score, it is possible to create a travel route based on the user's preference. When planning a trip in multiple days, a travel route is created accordingly, but a non-overlapping travel route is created. Can be provided by

종래, 트리플, 투어플랜비, 구글트립스 등과 같은 직접 사람이 일정을 생성하여 추천함에 따라 만족도와 현실성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Conventionall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satisfaction and reality as a person directly creates and recommends a schedule such as Triple, Tour Plan B, Google Trips, etc.

여행 플래너의 기준에 맞춰진 경로가 아닌 사용자의 다양하고 세부적인 조건을 고려하여 생성된 경로이기 때문에, 사용성이 증가하고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Since the route is creat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and detailed conditions of the user, not the route that meets the criteria of the travel planner,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usability and improving satisfa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표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에서 경로를 선별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에서 경로를 패턴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travel pl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process of selecting a route in the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travel pl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process of patterning a route in the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travel pl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matter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Hereinafter, prior to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matters that are not necessary to reveal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known configurations that can be obviously ad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not shown or specifically described. Make the note clear.

본 발명은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travel plans.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출발지 설정에 따른 해당 사용자의 여행 플랜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여행)전문가점수와 사용자점수를 평가하여 해당 사용자 선호에 기반한 여행 경로를 생성해줄 수 있고,Specifically, in a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 travel plan for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departure location setting, a travel route based on the user's preference can be generated by evaluating the (travel) expert score and the user score,

여행을 복수 일(日)로 계획하려는 경우, 그에 따른 여행 경로를 생성하되 중복되지 않는 여행 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ravel plan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and providing a travel route that does not overlap but generates a travel route according to the travel plan in a plurality of days.

이상의 본 발명의 설명은, 본 발명의 주요 특징점을 나타낸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은 명세서 전방에 걸쳐 이해될 수 있어야 한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hows the mai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표현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travel pl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통해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에 도시된 블록도는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CD 등의 하드웨어(Hardwar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쉬운 이해를 위하여 블록도로 표현한 것이다.Prior to description through FIG. 1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block diagram shown in FIG. 1 may be composed of an application program, software, or hardware such as a CD. It is expressed in a block diagram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은,According to Figure 1, the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travel pl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데이터베이스; 점수평가모듈; 조건설정모듈; 출발지선택모듈; 경로추출모듈; 경로패턴화모듈; 경로선별모듈; 일차별경로설정모듈; 중복여행지판단모듈; 경로보완모듈; 및 예약연동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Database; Score evaluation module; Condition setting module; A starting point selection module; Path extraction module; Path patterning module; Path selection module; A primary route setting module; Duplicate travel destination determination module; Path supplementation module; And a reservation linkage module.

데이터베이스는,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공간으로서, 각 여행지별 전문가점수정보와; 사용자 인적정보 및 사용자 사용기록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점수정보와; 여행지정보와; 여행지별 시설정보(숙박, 쇼핑, 관광, 식당 등) 등을 저장하도록 한다.The database i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all information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expert score information for each travel destination; User score information including user personal information and user use record information; Travel destination information; Store facility information for each travel destination (stay, shopping, sightseeing, restaurants, etc.).

이때, 각 여행지별 전문가점수정보는, 최초 설계시 주요 여행지에 대한 전문가의 평가 점수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지속적인 사용에 따라 누적되는 신규 여행지에 대해서는 전문자의 평가 점수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pert score information for each travel destination may store expert evaluation score information for major travel destinations in advance at the time of initial design, or store expert evaluation score information for new travel destinations accumulated according to continued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 can.

점수평가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여행지별 전문가점수정보와 사용자점수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가 선호하는 여행스타일이 있는지, 아니면 전문가에 의존하는 스타일인지를 평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The score evaluation module functions to evaluate whether there is a travel style preferred by a corresponding user or a style dependent on an expert based on expert score information and user score information for each travel destination stored in the database.

이를 위해, 점수평가모듈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인적정보와 사용자 사용기록정보를 활용하는데, 구체적으로 사용자 사용기록정보는 해당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여행지 정보 또는 여행지별 시설정보를 기반으로 조회한 이력, 사용자가 단 댓글(TEXT 추출 기법), 사용자가 평가한 여행지별 평점, 사용자의 여행 빈도를 포함하도록 한다.To this end, the score evaluation module utilize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user use record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Specifically, the user use record information is the history of the user's inquiry based on the travel destin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or facility information for each travel destination, the user A single comment (text extraction method), the rating for each travel destination evaluated by the user, and the frequency of the user's travel should be included.

이를 기반으로 하면, 해당 사용자가 선호하는 여행지 또는 여행 스타일을 판단할 수 있고, 뚜렷한 선호도가 판단되지 않으면 전문가점수를 기반으로 여행 스타일을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ravel destination or travel style that the user prefers, and if a clear preference is not determined, the travel styl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expert score.

이때, 평가는 가중치 설정을 통해 전문가점수와 사용자점수를 비교하도록 하고, 전문자점수가 높은 경우 전문가에 의한 여행 스타일을 결정하며, 사용자점수가 높은 경우 사용자 선호에 맞춘 여행 스타일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 설정에 대한 것은 종래 선호도 판단을 위한 기술에서 다수 채용하고 있으므로, 이들을 참조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evaluation is performed by comparing the expert score and the user score through weight setting, and when the expert score is high, a travel style by the expert is determined, and when the user score is high, a travel style tailored to the user's preference may be determined. Since a number of such weight settings are employed in conventional techniques for determining preference,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se.

출발지선택모듈은, 사용자가 여행의 출발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The departure location selection module functions to allow the user to select the departure location of the trip, and may be provided with an interface for this purpose.

조건설정모듈은, 사용자가 여행에 대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조건이란, 여행 중 교통편, 식사횟수, 여행일수, 숙박횟수 등일 수 있다. 예컨대 여행 스타일이 도보일 수도 있는 반면, 기차나 비행기를 탈 수도 있는 것이고, 여행일수가 3일인데 비해 숙박일 수는 1일을 예정할 수도 있으므로, 이에 따른 조건을 미리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The condition setting module functions to allow a user to set a condition for a trip, and an interface for this may be provided, and the condition may be transportation during the trip, the number of meals, the number of travel days, and the number of stays. For example, while the travel style may be walking, it is possible to take a train or an airplane, and the number of nights may be scheduled for one night compared to three days, so it is necessary to set the conditions accordingly.

경로추출모듈은, 상기 출발지선택모듈에 의해 선택된 출발지와, 조건설정모듈에 설정된 조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여행 경로를 추출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The route extraction module functions to extract the user's travel route based on the departure location selected by the departure location selection module and a condition set in the condition setting module.

이때, 경로추출을 위하여 목적지가 결정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술된 점수평가모듈에 기반하여 전문가점수 또는 사용자점수에 따른 여행의 목적지를 결정함과 더불어, 상기 조건, 전문가점수 또는 사용자점수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에서 경유지를 결정하여 경로를 추출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destination must be determined for route extraction, which determines the destination of the trip according to the expert score or the user score based on the above-described score evaluation module, and is based on one or more of the above conditions, expert score, or user score. Thus, the waypoint is determined from the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and the route is extracted.

다만, 이때 추출되는 경로는 1개 이상의 복수 경로일 수 있다.However, the extracted path at this time may be one or more multiple paths.

경로패턴화모듈은, 상기 경로추출모듈을 통해 추출된 경로를 패턴화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이는 경로 선별을 위한 것으로서, 아래의 경로선별모듈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The path patterning module functions to pattern the path extracted through the path extraction module, which is for path selection, and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path selection module below.

경로선별모듈은, 상기 경로추출모듈을 통해 추출된 복수 개의 경로 중, 사용자에게 제공될 1개의 경로를 선별하는 기능을 한다.The path selection module functions to select one path to be provided to a user from among a plurality of paths extracted through the path extraction module.

이러한 경로선별의 과정을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This process of path sele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에서 경로를 선별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2 shows a process of selecting a route in the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travel pl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의 도 2에 따른 경로 선별 과정은,The path selection process according to FIG. 2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경로추출모듈을 통해 추출된 복수 개의 경로 중 어느 1개에 대하여, 경로를 패턴화하고, 추출된 경로가 사용자 선호에 적절한지 확인하도록 하는 과정을 거친다.For any one of a plurality of paths extracted through the path extraction module, a path is patterned and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extracted path is appropriate for user preference is performed.

이때, 사용자 선호를 확인하는 것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사용기록정보에 기반하여 비교할 수도 있고, 아니면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화면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확인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user preference may be compared based on the user usage record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or may be provided to the user on a screen through a separate interface and confirmed by the user.

여기서, 사용자 선호에 적절하지 않은 경우, 추출된 경로 중 다른 경로를 이용해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선호에 적절한 경우(혹은, 사용자의 확인이 있는 경우), 해당 경로를 패턴화된 선호 경로로 채택한다.Here, if it is not appropriate for the user's preference, the process of reconfirming using another route among the extracted routes is performed, and if it is appropriate for the preference (or if there is confirmation from the user), the corresponding route is patterned as a preferred route. To be adopted.

이때, 패턴화된 선호 경로는 상기 추출된 경로에 비해 그 개수가 적을 뿐, 복수 개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number of the patterned preferred paths is smaller than that of the extracted paths, and a plurality of patterned preferred paths can be determined.

이후, 베스트패턴과 상기 패턴화된 선호 경로를 비교하여 베스트패턴에 유사한지를 시스템에서 확인하도록 하는데, 이는 경로선별모듈에서 모두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만, 경로 패턴화의 경우는 경로패턴화모듈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reafter, the system checks whether the best pattern is similar to the best pattern by comparing the patterned preferred path with the patterned preferred path, which is performed in the path selection module. However, in the case of path patterning, the path patterning module should be used.

이러한 베스트패턴은,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정보로서, 전문가에 의해 특정 여행지에 대하여 출발지 및 목적지를 고려하였을 때, 시간 또는 가격 등에 대비하여 가장 효율적이라 판단된 패턴을 미리 저장하는 것이다.This best pattern is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and when the origin and destination are considered by an expert for a specific travel destination, the pattern determined to be the most efficient for time or price is stored in advance.

이러한 확인 결과, 베스트 패턴에 유사하지 않다면, 패턴화된 선호 경로 중 다른 1개를 통해 다시 베스트패턴과 유사여부를 비교하도록 한다.As a result of this confirmation, if it is not similar to the best pattern, it is again compared with the best pattern through another one of the patterned preferred paths.

이렇게, 최종적으로 베스트패턴과 가장 유사한 정도를 갖는 패턴화된 선호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될 최종경로로 결정하도록 한다.In this way, the patterned preferred path having the most similar degree to the best pattern is finally determined as the final path to be provided to the user.

이때, 상술된 경로 패턴화는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In this case, for the above-described path patterning, reference may be made to FIG. 3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에서 경로를 패턴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3 shows a process of patterning a route in the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travel pl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의 도 3에 따른 경로 패턴화는,Path patterning according to FIG. 3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추출된 경로 상에 영역별 점을 생성하도록 한다. 이때 점의 생성은 경로 상에서 방문할 가치가 있을 정도로 평가된 관광지, 숙박시설, 식당 등일 수 있고, 이는 경로를 맵핑시켜 GPS에 기반하여 점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Create points for each area on the extracted path. At this time, the point may be generated by a tourist attraction, accommodation facility, restaurant, etc. evaluated to be worth visiting on the route, and the point may be generated based on GPS by mapping the route.

이후, 생성된 점들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 이내를 갖는 가까운 인접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존재한다면 평점 순으로 낮은 평점에 해당하는 점부터 제거하도록 하여 다시 인접점을 확인하도록 하고, 존재하지 않는다면, 경로 상에 생성된 점끼리 연결하여 경로 선을 형성하도록 한다.Thereafter, the generated points are checked to see if there is an adjacent poin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f there is,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lower rating is removed in the order of the rating, and the adjacent point is checked again. If it does not exist, the adjacent point is checked again. Connect the points created in to form a path line.

이후, 형성된 경로 선 상에 기울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도록 하는데, 이때 기울기란 경로 선이 매끄럽게 이어지지 않고, 튀어나온 영역을 의미한다. 즉, 소정의 거리를 초과하여 인접점으로 제거되진 않았지만, 불필요한 경유 혹은 다른 경유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거리가 가까움으로 인해 기울기가 형성될 수 있다.Thereafter,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n inclination on the formed path line.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refers to an area in which the path line does not connect smoothly and protrudes. That is, although it has not been removed as an adjacent point beyond a predetermined distance, an inclination may be formed because the distance is relatively close compared to unnecessary transit or other transit points.

이러한 기울기가 존재하면 경로패턴화모듈은 인접점 제거를 재수행하도록 하는데, 이 과정에서는 인접점 제거를 위한 거리의 기준을 소정의 거리씩(예를 들면, 1km) 늘려가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기울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한다.If such an inclination exists, the path patterning module re-performs the adjacent point removal.In this process, the standard of the distance for removing the adjacent point is increas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1km), and the inclination is finally increased. Make sure it doesn't exist.

이렇게 기울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이를 단순화된 경로로 결정하는데, 이때, 단순화된 경로 상에 생성되어 있는 점이 소정의 개수 이상이라면 단순화된 경로로 결정하지 않고, 과정을 종료하여 추출된 경로부터 다시 점을 생성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혹은 다른 추출된 경로를 이용하여 점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의 사용자 선호에 따른 확인을 수행하는 과정은 도 3에 따른 패턴화 과정이 종료된 경로만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것이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 slope does not exist, it is determined as a simplified path. In this case, if the number of points created on the simplified path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the simplified path is not determined, and the extracted path is terminated. Let's go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ng a point again. Alternatively, you can create a point using another extracted path.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confi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preference of FIG. 2 is performed for only the path where the patterning process according to FIG. 3 has ended.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점이 소정의 개수 미만인 경우, 단순화를 종료하지 않고 단순화된 경로 복수 개를 대상으로 도형별 분류를 수행하도록 한다.Referring back to FIG. 3, when the number of point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number, classification for each figure is performed for a plurality of simplified paths without ending the simplification.

이는 데이터베이스에 경로도형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경로도형정보와 비교하여 유사한 형태를 갖는 도형별로 분류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This may further include path figure information in the database, and compare it with the path figure information to classify each figure having a similar shape.

이렇게 도형별 분류가 완료되면, 해당 단순화된 경로 상의 여행 진행 방향(경로방향)을 판단하고, 경로의 패턴화 과정을 종료하도록 한다.When the classification for each figure is completed in this way, the traveling direction (path direction) on the simplified route is determined, and the process of patterning the route is terminated.

일차별경로설정모듈은, 조건설정모듈에서 설정된 여행일수를 기반으로 하여 일차별 경로를 설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일차별경로설정모듈은 상술된 경로추출모듈 내지 경로선별모듈이 기능할 때 연동되어, 복수 일차에 따른 경로를 설정하도록 한다.The primary route setting module sets the primary route based on the number of travel days set in the condition setting module. The primary path setting module is interlocked when the above-described path extraction module or path selection module functions, so that a path according to a plurality of primary paths is set.

아울러, 출발지선택모듈과의 연동을 통해, 전날 경로 상에서 설정된 목적지를 다음날의 출발지로 선택하여 다른 목적지를 잡고 경로를 선별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rough interlocking with the departure location selection module, a destination set on the route of the previous day is selected as the departure location of the next day, and another destination is picked up and a route is selected.

중복여행지판단모듈은, 상기 일차별경로설정모듈에 의해 복수 일차에 따른 여행경로가 생성되는 경우, GPS 등에 기반하여 중복된 여행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중복여행지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2의 베스트패턴과의 유사도 확인을 통해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 이후에, 중복경로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중복경로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경로를 결정하며, 중복경로가 존재한다면 해당 여행지(관광지)를 GPS에 기반하여 제외하여 경로를 추출하는 과정부터 다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The redundant travel destination determination module function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redundant travel destination exists based on GPS or the like when travel routes according to a plurality of primary routes are generated by the primary route setting module. In the case of determining such an overlapping destination, it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after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route by checking the similarity with the best pattern of FIG. 2, a process of confirming the redundant route is further included, The route is determined, and if there is an overlapping route, the corresponding travel destination (tourist destination) may be excluded based on GPS, and the route may be extracted from the process again.

예약연동모듈은, 선별된 경로를 제공받은 사용자가, 식당, 숙박시설 또는 관광지 등을 미리 예약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를 제공하거나, 예약 웹사이트로 연결해주는 기능(인터페이스 제공)을 수행한다.The reservation linkage module provides a phone number or connects to a reservation website (providing an interface) so that a user who is provided with a selected route can reserve a restaurant, lodging facility, or tourist destination in advance.

경로보완모듈은, 선별된 경로를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기반하여 보완하는 기능을 하고,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한다.The path supplementation module functions to supplement the selected path based on the user's input information, and provides an interface for receiving the user's input information.

구체적으로는, 미리 설정된 조건인 교통편에 따른 소요시간, 식사소요시간, 쇼핑소요시간, 예약시간(직접 입력 또는 예약 웹사이트와의 연동 등)에 기반하여 여행경로를 수행하기 위해 소요되는 총 시간을 다시 설정하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total time required to perform the travel route is calculated based on the preset conditions: the time required for transportation, the time required for meals, the time required for shopping, and the reservation time (direct input or linkage with the reservation website, etc.). Let's set it up again.

예를 들어, 목적지로 가는 마지막 교통편으로 기차를 선택하고 기차가 14:30분 출발인 경우, 식사소요시간이 보완되기 전에는 관광소요시간을 2시간으로 예상하여 생성된 경로에 대하여, 식사시간소요시간 1시간이 적용됨에 따라 관광소요시간을 1시간으로 감소시켜 경로를 보완할 수 있다는 것이다.For example, if a train is selected as the last transportation to the destination and the train departs at 14:30, for the route created by predicting the tourism time as 2 hours before the meal time is supplemented, the meal time required time As 1 hour is applied, the route can be supplemented 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tourism to 1 hou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looked at,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scop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a knowledg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Claims (5)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각 여행지별 전문가점수정보와; 사용자 인적정보 및 사용자 사용기록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점수정보와; 여행지정보와; 여행지별 시설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여행지별 전문가점수정보와 사용자점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인적정보, 사용자의 여행지 조회정보 또는 사용자가 작성한 댓글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전문가에 의존하는 여행을 원하는지 또는 아닌지를 평가하는 점수평가모듈과,
사용자가 여행의 출발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출발지선택모듈과,
사용자가 여행에 대한 교통편, 식사횟수, 여행일수 및 숙박횟수에 따른 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건설정모듈과,
상기 출발지선택모듈에 의해 선택된 출발지와, 조건설정모듈에 설정된 조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여행 경로를 복수 개 추출하도록 하는 경로추출모듈과,
상기 경로추출모듈을 통해 추출된 복수 개의 경로 중, 사용자에게 제공될 1개의 경로를 경로패턴화모듈과 연동하여 선별하는 경로선별모듈과,
상기 경로선별모듈을 통해 선별된 경로 중 사용자가 미리 예약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약연동모듈과,
상기 경로선별모듈을 통해 선별된 경로를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기반하여 시간을 보완하는 경로보완모듈과,
상기 조건설정모듈에서 설정된 여행일수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경로추출모듈, 경로패턴화모듈 및 경로선별모듈과 연동되어 일차별 경로를 설정하는 일차별경로설정모듈과,
상기 일차별경로설정모듈에 의해 복수 일차에 따른 여행경로가 생성되는 경우, 중복여행지를 판단하는 중복여행지판단모듈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a) 상기 일차별경로설정모듈은 전날의 목적지를 다음날의 출발지로 선택하고,
(b) 상기 경로패턴화모듈의 경로 패턴화 과정은,
상기 경로추출모듈을 통해 추출된 경로 상에 영역별 점을 생성한 뒤,
생성된 점들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 이내를 갖는 가까운 인접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존재하는 경우 평점 순으로 낮은 평점에 해당하는 점부터 다시 인접점을 확인하도록 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경로 상에 생성된 점끼리 연결하여 경로 선을 형성하며,
이후, 형성된 경로 선 상에 기울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기울기가 존재하면 경로패턴화모듈은 인접점 제거를 재수행하되, 인접점 제거를 위한 상기 소정의 거리를 정해진 일정거리씩 늘려가면서 기울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한 후,
기울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단순화된 경로로 결정하되, 단순화된 경로 상에 생성되어 있는 점이 소정의 개수 이상이라면 단순화된 경로로 결정하지 않고, 과정을 종료하도록 하고, 점이 소정의 개수 미만이라면 단순화를 종료하지 않고 단순화된 경로로 하여,
상기 단순화된 경로를 대상으로 도형별 분류를 수행한 뒤, 경로방향을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울기란 생성된 점을 잇는 경로 선이 직선이 아니고 튀어나온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경로 선 상에 경유지가 존재함에 따라 발생된 튀어나온 영역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
In the travel plan automatic generation system,
The system,
Expert score information for each travel destination; User score information including user personal information and user use record information; Travel destination information; A database storing facility information for each travel destination;
Based on the expert score information and user score information for each travel destination stored in the database,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the user's travel destination inquiry information, or the user's written comment information are used to make the travel in which the user depends on the expert. A score evaluation module that evaluates whether you want or not,
A departure location selection module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departure location of the trip;
A condition setting module that allows a user to set conditions according to transportation, number of meals, travel days, and number of accommodations for travel;
A route extraction module configured to extract a plurality of travel routes of a user based on a departure location selected by the departure location selection module and a condition set in the condition setting module;
A path selection module for selecting one path to be provided to a user among a plurality of paths extracted through the path extraction module in connection with a path patterning module,
A reservation linkage module that provides an interface so that a user can make a reservation in advance among routes selected through the route selection module,
A route supplementation module for supplementing time based on user input information for the route selected through the route selection module,
A primary route setting module configured to set a primary route by interlocking with the route extraction module, route patterning module, and route selection module based on the number of travel days set in the condition setting module;
When a travel route according to a plurality of primary routes is generated by the primary route setting modu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dundant travel destination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redundant destinations,
(a) The daily route setting module selects the destination of the previous day as the departure point of the next day,
(b) The path patterning process of the path patterning module,
After generating points for each area on the path extracted through the path extraction module,
For the generated points, check whether there is an adjacent poin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f there is, check the adjacent point again from the point with the lowest rating in the order of rating, and if it does not exist, the point created on the path Connect each other to form a path line,
Thereafter, it is checked whether a slope exists on the formed path line, and if there is a slope, the path patterning module performs the removal of the adjacent point again, but the slope does not exist while increasing the predetermined distance for removing the adjacent poin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fter avoiding it,
If it is confirmed that the slope does not exist, it is determined as a simplified path, but if the number of points created on the simplified path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the process is not determined as a simplified path, and the process is terminated, and if the points are less than a predetermined number, With the simplified path without ending the simplification,
It consists of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path direction after performing classification for each figure on the simplified path,
The slope refers to an area in which the path line connecting the generated points is not a straight line, but a protruding area, and refers to a protruding area generated as a waypoint exists on the path li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로선별모듈의 경로 선별 과정은,
상기 경로추출모듈을 통해 추출된 복수 개의 경로 중 어느 1개에 대하여, 경로를 패턴화하고, 기저장된 사용자 사용기록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한 확인을 통해, 추출된 경로가 사용자 선호에 맞는지 확인하도록 하되,
사용자 선호에 맞지 않은 경우, 추출된 경로 중 다른 경로를 이용해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선호에 맞을 경우, 해당 경로를 패턴화된 선호 경로로 채택한 뒤,
이후, 베스트패턴과 상기 패턴화된 선호 경로를 비교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베스트패턴에 유사한지를 시스템에서 확인하도록 하되, 확인 결과, 베스트패턴과 가장 유사한 것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플랜 자동생성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th selection process of the path selection module,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outes extracted through the route extraction module, the route is patterned, and the extracted route is checked whether the extracted route suits the user's preference through pre-stored user use record information or confirmation by the user,
If it does not suit the user's preference,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reconfirming using another route among the extracted routes, and if it suits the preference, the route is selected as a patterned preferred route,
Thereafter, the system checks whether the best pattern is similar to the best patter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by comparing the best pattern with the patterned preferred path, and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providing the user with the most similar to the best pattern. Automatic travel plan creation system.
삭제delete
KR1020180166654A 2018-12-20 2018-12-20 System for auto making of tour plan KR1022312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654A KR102231219B1 (en) 2018-12-20 2018-12-20 System for auto making of tour pl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654A KR102231219B1 (en) 2018-12-20 2018-12-20 System for auto making of tour pla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288A KR20200077288A (en) 2020-06-30
KR102231219B1 true KR102231219B1 (en) 2021-03-23

Family

ID=71121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654A KR102231219B1 (en) 2018-12-20 2018-12-20 System for auto making of tour pla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2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777B1 (en) * 2021-06-30 2023-05-03 주식회사 트리피누 Method for providing travel itinerari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484B1 (en) * 2010-11-04 2011-12-1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Tour information guide system using the recommendation algorithm by experts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190B1 (en) * 2012-10-11 2014-11-07 황규원 Travel scheduling system and travel scheduling method using the system
KR101611438B1 (en) * 2014-04-16 2016-04-12 (주)포스트미디어 Tour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ed Tour Course
KR101784476B1 (en) 2016-08-26 2017-10-11 주식회사 웰스텍 Smart system for servicing tour pla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484B1 (en) * 2010-11-04 2011-12-1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Tour information guide system using the recommendation algorithm by experts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288A (en)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7720B2 (en) Automatic conversation analysis and participation
US9009167B2 (en) Method and system of planning and/or managing a travel plan
US20160378874A1 (en) Travel distribution system
KR102008478B1 (en) Method for providing a one-stop travel service comprising travel route and travel products
US7822539B2 (en) Guide route search device and guide route search method
US201702002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demand-responsive transit recommendations
JP2016139263A (en) Trip system
JP6171388B2 (en)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method, and navigation program
JP2010146129A (en) Travel plan creation support device
US202001347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40094347A (en) 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individually customized travel schedule based on user information collection
JP2009053798A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acquir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KR1018112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follow air ticket searching
JP6612382B2 (en) Reservation system, reservation program, and reservation method
JP2019046256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5425455B2 (en) Travel plan creation support device and travel plan creation support system using the same
JP2022093346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231219B1 (en) System for auto making of tour plan
JP2012018177A (en) Guid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102362369B1 (en) Chauffeur service method and system based on travel scheduling
CN1049954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usage recording
KR101784476B1 (en) Smart system for servicing tour plan
JP2011081840A (en) Guid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20210090149A1 (en) Integrated online travel planning system
US20230027411A1 (en) Travel distribu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