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167B1 -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를 위한 베어링 구조체 - Google Patents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를 위한 베어링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167B1
KR102231167B1 KR1020200179138A KR20200179138A KR102231167B1 KR 102231167 B1 KR102231167 B1 KR 102231167B1 KR 1020200179138 A KR1020200179138 A KR 1020200179138A KR 20200179138 A KR20200179138 A KR 20200179138A KR 102231167 B1 KR102231167 B1 KR 102231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upling member
friction
coupled
fric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홍
Original Assignee
조남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홍 filed Critical 조남홍
Priority to KR1020200179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를 위한 베어링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베어링 구조체는, 단면이 원형인 제1 외벽과 제1 내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벽과 상기 제1 내벽 사이에 각각 이격되어 중심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마찰벽과 제2 마찰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벽의 내측부에 단일의 고정용 돌출부가 형성된 제1 내부 결합부재, 단면이 원형인 제2 외벽과 제2 내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외벽과 상기 제2 내벽 사이에 각각 이격되어 중심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3 마찰벽과 제4 마찰벽을 포함하되, 상기 제3 마찰벽과 상기 제4 마찰벽은 각각 상기 제1 마찰벽과 상기 제2 마찰벽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2 내부 결합부재, 상기 제1 내부 결합부재에서 상기 제1 마찰벽과 상기 제2 마찰벽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삽입 결합되는 제1 고무링, 상기 제1 고무링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제1 내부 결합부재에서 상기 제1 마찰벽과 상기 제2 마찰벽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삽입 결합되는 제2 고무링, 상기 제1 내부 결합부재와 상기 제2 내부 결합부재가 결합된 후 상기 제1 내부 결합부재의 외면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1 내부 결합부재의 외부에서 삽입 결합되는 제1 외부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내부 결합부재와 상기 제2 내부 결합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1 외부 고정부재가 결합된 후, 상기 제2 내부 결합부재의 외면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2 내부 결합부재의 외부에서 삽입 결합되는 제2 외부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를 위한 베어링 구조체{The bearing structure for exercise equipment installed outdoors}
본 발명은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를 위한 베어링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운동기구에 대해 회전 중심에 설치되는 베어링 구조체 내에 마찰력을 가하여 사용자가 운동기구의 사용을 종료한 후 관성에 의해 회전 운동이 지속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위의 다른 사용자가 다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를 위한 베어링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문명의 발전으로 현대인들은 차량으로 이동하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걷거나 움직이는 시간이 점차 줄어 신체의 운동량이 극히 부족하여 근육의 노화현상과 경직현상이 발생하고 쉽게 피로감을 느끼는 실정이며, 이는 현대인들의 성인병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적당한 운동을 하여 근육을 단련시키고 땀을 흘림으로써 인체의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한편 땀을 통해 인체의 노폐물을 제거하여 근육의 노화현상과 경직현상을 방지해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비만 등의 성인병을 조금이나마 예방해야 하는 것이다.
한편, 공원이나 산길 주변에 운동기구를 갖추어서 산책하는 사람들이 누구나 쉽게 운동할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하고 있으며, 상기 운동기구에는 온몸근육풀기 기구, 어깨근육풀기 기구, 등 및 허리지압 기구, 공중걷기 기구, 하체흔들기 기구, 허리돌리기 기구 등이 있다.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는 대부분 회전력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을 도와주는 구성을 포함하는 바,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사용하고 난 후 회전 운동기구가 관성에 의한 회전을 지속하고 있는 동안 다른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접근하면 이에 의해 다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239746 (공고일자 2013년 3월 6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 중 회전 운동을 위한 회전부분에 설치되는 베어링 구조체를 제공하되,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사용하고 난 후 회전 운동기구가 관성에 의한 회전을 지속하지 않도록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를 위한 베어링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과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를 위한 베어링 구조체는, 단면이 원형인 제1 외벽과 제1 내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벽과 상기 제1 내벽 사이에 각각 이격되어 중심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마찰벽과 제2 마찰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벽의 내측부에 단일의 고정용 돌출부가 형성된 제1 내부 결합부재, 단면이 원형인 제2 외벽과 제2 내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외벽과 상기 제2 내벽 사이에 각각 이격되어 중심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3 마찰벽과 제4 마찰벽을 포함하되, 상기 제3 마찰벽과 상기 제4 마찰벽은 각각 상기 제1 마찰벽과 상기 제2 마찰벽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2 내부 결합부재, 상기 제1 내부 결합부재에서 상기 제1 마찰벽과 상기 제2 마찰벽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삽입 결합되는 제1 고무링, 상기 제1 고무링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제1 내부 결합부재에서 상기 제1 마찰벽과 상기 제2 마찰벽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삽입 결합되는 제2 고무링, 상기 제1 내부 결합부재와 상기 제2 내부 결합부재가 결합된 후 상기 제1 내부 결합부재의 외면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1 내부 결합부재의 외부에서 삽입 결합되는 제1 외부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내부 결합부재와 상기 제2 내부 결합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1 외부 고정부재가 결합된 후, 상기 제2 내부 결합부재의 외면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2 내부 결합부재의 외부에서 삽입 결합되는 제2 외부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마찰벽과 상기 제2 마찰벽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되, 동서남북 방향에서 각각 절단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마찰벽과 상기 제4 마찰벽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되, 동서남북 방향에서 각각 절단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부 결합부재의 상기 제1 마찰벽과 상기 제2 마찰벽이 형성된 공간 내에 윤활유 기능을 하는 실리콘 오일이 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외부 고정부재에는 동서남북 방향의 위치에 ㄱ자 꺾음 결합되는 제1 내지 제4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외부 고정부재에는 동서남북 방향의 위치에 ㄱ자 꺾음 결합되는 제5 내지 제8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 중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운동기구에 대해 사용자가 운동기구 사용 종료 후 관성에 의한 회전이 지속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변의 다른 사용자가 다치는 경우를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 구조체 내에 윤활유 기능을 하는 실리콘 오일을 주입하여 마찰력에 의한 회전 운동기구의 회전이 어려운 점을 보강하고, 사용자가 비교적 용이하게 회전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 구조체 내에 주입되는 실리콘 오일의 농도를 조절하여 회전 운동기구의 회전을 시작하기 위한 역치 값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가 회전 운동기구의 기둥부에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의 제1 내부 결합부재와 제2 내부 결합부재의 결합면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의 제1 내부 결합부재의 내부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의 제1 고무링과 제2 고무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의 제1 내부 결합부재의 결합면의 반대면과 제2 내부 결합부재의 결합면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에서 제1 내부 결합부재와 제2 내부 결합부재가 서로 결합된 후 제1 고무링과 제2 고무링이 결합되기 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의 제1 외부 고정부재와 제2 외부 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의 제1 외부 고정부재와 제2 외부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가 결합되는 기둥부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가 회전 운동기구의 기둥부에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의 제1 내부 결합부재와 제2 내부 결합부재의 결합면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의 제1 내부 결합부재의 내부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의 제1 고무링과 제2 고무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의 제1 내부 결합부재의 결합면의 반대면과 제2 내부 결합부재의 결합면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에서 제1 내부 결합부재와 제2 내부 결합부재가 서로 결합된 후 제1 고무링과 제2 고무링이 결합되기 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의 제1 외부 고정부재와 제2 외부 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의 제1 외부 고정부재와 제2 외부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가 결합되는 기둥부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10)는, 제1 내부 결합부재(100), 제2 내부 결합부재(200), 제1 고무링(170), 제2 고무링(180), 제1 외부 고정부재(300), 제2 외부 고정부재(4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 내부 결합부재(100)는 단면이 원형인 제1 외벽(110)과 제1 내벽(120)이 형성되고, 제1 외벽(110)과 제1 내벽(120) 사이에 제1 마찰벽(130)과 제2 마찰벽(140)이 각각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제1 내벽(120)의 내측부에 단일의 고정용 돌출부(150)가 형성된다. 돌출부(150)는 베어링 구조체(10)가 운동기구의 회전부분에 형성된 기둥부(20)와 고정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완성된다.
제1 내부 결합부재(100)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제1 외벽(110)과 제1 내벽(120) 사이에 형성된 제1 마찰벽(130)과 제2 마찰벽(140)은 제2 내부 결합부재(200)의 대응하는 부분에 결합되어 운동기구의 회전부분의 회전 운동 시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1 마찰벽(130)과 제2 마찰벽(140)은 제1 외벽(110) 또는 제1 내벽(120)과 마찬가지로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되, 동서남북 방향으로 각각 절단된 부분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 마찰벽(130)과 제2 마찰벽(140)은 제2 내부 결합부재(200)의 대응하는 부분에 결합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절단된 부분에 의해 마찰력이 감소되어 운동기구의 회전부분의 회전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제1 내부 결합부재(100)는 제1 내벽(120), 제1 마찰벽(130), 제2 마찰벽(140), 제1 외벽(110)이 내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각각 원형의 벽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내부 결합부재(100)의 제1 마찰벽(130)과 제2 마찰벽(140)이 형성된 공간에는 윤활유 기능을 하는 실리콘 오일이 주입되며, 제1 마찰벽(130)과 제2 마찰벽(140)은 대응되는 제2 내부 결합부재(200)와 결합되어 운동기구의 회전부분의 회전 운동을 제공하면서 적절하게 마찰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운동기구의 회전부분을 자연스럽게 힘을 가하여 회전 운동을 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운동이 종료된 후에는 관성에 의해 회전부분이 계속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즉시 회전을 멈출 수 있다.
제2 내부 결합부재(200)는 단면이 원형인 제2 외벽(210)과 제2 내벽(220)이 형성되고, 제2 외벽(210)과 제2 내벽(220) 사이에 제3 마찰벽(230)과 제4 마찰벽(240)이 각각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제2 내부 결합부재(200)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제2 외벽(210)과 제2 내벽(220) 사이에 형성된 제3 마찰벽(230)과 제4 마찰벽(240)은 제1 내부 결합부재(100)의 대응하는 부분에 결합되어 운동기구의 회전부분의 회전 운동 시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3 마찰벽(230)과 제4 마찰벽(240)은 제2 외벽(210) 또는 제2 내벽(220)과 마찬가지로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되, 동서남북 방향으로 각각 절단된 부분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3 마찰벽(230)과 제4 마찰벽(240)은 제1 내부 결합부재(100)의 대응하는 부분에 결합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절단된 부분에 의해 마찰력이 감소되어 운동기구의 회전부분의 회전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제2 내부 결합부재(200)는 제2 내벽(220), 제3 마찰벽(230), 제4 마찰벽(240), 제2 외벽(210)이 내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각각 원형의 벽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 내부 결합부재(200)의 제3 마찰벽(230)은 제1 내부 결합부재(100)의 제1 마찰벽(130)과 접촉하여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4 마찰벽(240)은 제2 마찰벽(140)과 접촉하여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내부 결합부재(100)와 제2 내부 결합부재(200)가 서로 마주보고 결합되는 경우에, 제1 마찰벽(130), 제2 마찰벽(140), 제3 마찰벽(230), 제4 마찰벽(240)이 서로서로 마찰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1 내부 결합부재(100)와 제2 내부 결합부재(200)는 제1 내부 결합부재(100)의 제1 마찰벽(130) 및 제2 마찰벽(140)이 제2 내부 결합부재(200)의 제3 마찰벽(230) 및 제4 마찰벽(240)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1 내부 결합부재(100)와 제2 내부 결합부재(200)가 서로 결합한 후, 제1 내부 결합부재(100)의 외면 즉, 제1 내부 결합부재(100)에서 제1 마찰벽(130) 및 제2 마찰벽(140)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는 제1 고무링(170) 및 제2 고무링(180)이 삽입 결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으로 제1 고무링(170) 및 제2 고무링(180)이 삽입 결합된다.
이러한 형태로 제1 내부 결합부재(100)와 제2 내부 결합부재(200)가 서로 결합하고 난 후, 이들을 보호하는 제1 외부 고정부재(300)와 제2 외부 고정부재(400)가 하우징 역할을 하면서 결합되는데, 제1 외부 고정부재(300) 내에 제1 내부 결합부재(100)와 제2 내부 결합부재(200)가 결합된 오브젝트(object)(이하에서는 제1 내부 결합부재(100)와 제2 내부 결합부재(200)가 서로 삽입 결합된 물체를 오브젝트라고 기술하기로 한다.)가 삽입되어 고정 결합할 때 제1 고무링(170) 및 제2 고무링(180)이 강한 마찰력을 제공하여 제1 외부 고정부재(300) 내에서 상기 오브젝트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외부 고정부재(300)는 상기 오브젝트를 외부에서 보호하는 하우징 역할을 하며, 상기 오브젝트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제1 외부 고정부재(300)에는 제1 내지 제4 고정부(310, 320, 330, 340)가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동서남북 방향의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오브젝트의 대응하는 부분에 ㄱ자 꺾음 결합되어 제1 외부 고정부재(300)와 상기 오브젝트를 고정시킨다.
제1 외부 고정부재(30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된 상기 오브젝트를 보호하면서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도 훼손되지 않도록 강한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외부 고정부재(400)는 제1 외부 고정부재(300)와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삽입 결합되어 제1 외부 고정부재(300)에 결합된다. 제2 외부 고정부재(400)도 상기 오브젝트를 외부에서 보호하는 하우징 역할을 하며, 제2 외부 고정부재(400) 내로 제1 외부 고정부재(300)가 삽입된 후 제2 외부 고정부재(400)에 형성된 제5 내지 제8 고정부(410, 420, 430, 440)에 의해 ㄱ자 꺾음 결합되어 제1 외부 고정부재(300)와 결합된다.
제2 외부 고정부재(40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된 제1 외부 고정부재(300) 및 상기 오브젝트를 보호하면서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도 훼손되지 않도록 강한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삽입 및 고정 결합되어 베어링 구조체(10)가 완성되며, 베어링 구조체(10)의 내측부에는 제1 내부 결합부재(100)의 제1 내벽(120)의 내측부에 형성된 단일의 고정용 돌출부(150)가 노출되어 있으며, 돌출부(150)는 베어링 구조체(10)가 운동기구의 회전부분에 형성된 기둥부(20)와 고정 결합된다.
즉, 운동기구의 회전부분에 형성된 기둥부(20)는 베어링 구조체(10)의 돌출부(150)에 대응하는 위치에 단일의 결합홈(21)이 형성된 원기둥 형태이며 이들을 서로 삽입 결합하여 운동기구의 회전부분을 완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회전부분에 힘을 가하는 경우에 상술한 베어링 구조체(10) 및 기둥부(20)의 결합 구조에 의해 회전 운동을 시작할 수 있으며, 베어링 구조체(10) 내에 주입된 윤활유 즉, 실리콘 오일에 의해 지나치게 큰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회전 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운동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베어링 구조체(10) 내부의 제1 내지 제4 마찰벽(240) 구조에 의해 마찰력이 발생하여 운동기구의 회전 부분이 관성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즉시 회전을 멈추어 운동기구 주변의 다른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10)는 제1 내부 결합부재(100)의 제1 내벽(120)의 내측부에 단일의 고정용 돌출부(1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고정용 돌출부(1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둥부(20)의 결합홈(21)도 대응하는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구조체(10)와 기둥부(20)가 결합되는 형태는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베어링 구조체
20: 기둥부
21: 결합홈
100: 제1 내부 결합부재
110: 제1 외벽
120: 제1 내벽
130: 제1 마찰벽
140: 제2 마찰벽
150: 돌출부
170: 제1 고무링
180: 제2 고무링
200: 제2 내부 결합부재
210: 제2 외벽
220: 제2 내벽
230: 제3 마찰벽
240: 제4 마찰벽
300: 제1 외부 고정부재
310, 320, 330, 340: 제1 내지 제4 고정부
400: 제2 외부 고정부재
410, 420, 430, 440: 제5 내지 제8 고정부

Claims (5)

  1. 단면이 원형인 제1 외벽과 제1 내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벽과 상기 제1 내벽 사이에 각각 이격되어 중심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마찰벽과 제2 마찰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벽의 내측부에 단일의 고정용 돌출부가 형성된 제1 내부 결합부재;
    단면이 원형인 제2 외벽과 제2 내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외벽과 상기 제2 내벽 사이에 각각 이격되어 중심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3 마찰벽과 제4 마찰벽을 포함하되, 상기 제3 마찰벽과 상기 제4 마찰벽은 각각 상기 제1 마찰벽과 상기 제2 마찰벽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2 내부 결합부재;
    상기 제1 내부 결합부재에서 상기 제1 마찰벽과 상기 제2 마찰벽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삽입 결합되는 제1 고무링;
    상기 제1 고무링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제1 내부 결합부재에서 상기 제1 마찰벽과 상기 제2 마찰벽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삽입 결합되는 제2 고무링;
    상기 제1 내부 결합부재와 상기 제2 내부 결합부재가 결합된 후 상기 제1 내부 결합부재의 외면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1 내부 결합부재의 외부에서 삽입 결합되는 제1 외부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내부 결합부재와 상기 제2 내부 결합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1 외부 고정부재가 결합된 후, 상기 제2 내부 결합부재의 외면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2 내부 결합부재의 외부에서 삽입 결합되는 제2 외부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베어링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벽과 상기 제2 마찰벽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되, 동서남북 방향에서 각각 절단된 부분을 갖는, 베어링 구조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마찰벽과 상기 제4 마찰벽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되, 동서남북 방향에서 각각 절단된 부분을 갖는, 베어링 구조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결합부재의 상기 제1 마찰벽과 상기 제2 마찰벽이 형성된 공간 내에 윤활유 기능을 하는 실리콘 오일이 주입된, 베어링 구조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고정부재에는 동서남북 방향의 위치에 ㄱ자 꺾음 결합되는 제1 내지 제4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외부 고정부재에는 동서남북 방향의 위치에 ㄱ자 꺾음 결합되는 제5 내지 제8 고정부가 형성되는, 베어링 구조체.
KR1020200179138A 2020-12-20 2020-12-20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를 위한 베어링 구조체 KR102231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138A KR102231167B1 (ko) 2020-12-20 2020-12-20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를 위한 베어링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138A KR102231167B1 (ko) 2020-12-20 2020-12-20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를 위한 베어링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167B1 true KR102231167B1 (ko) 2021-03-22

Family

ID=75222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138A KR102231167B1 (ko) 2020-12-20 2020-12-20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를 위한 베어링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1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473B1 (ko) * 1996-03-25 2005-11-25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회전댐퍼
KR100786228B1 (ko) * 2007-03-08 2007-12-17 현대체육산업(주) 오염방지 구조의 야외용 운동기구
KR101145615B1 (ko) * 2010-01-25 2012-05-10 김희일 도어용 댐핑장치
KR101218316B1 (ko) * 2011-05-26 2013-01-09 주식회사 케이엘에스 안전장치를 갖는 하늘걷기 운동기구
KR101239746B1 (ko) 2011-01-13 2013-03-06 주식회사 삼형스포메디 야외용 운동기구의 베어링 하우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473B1 (ko) * 1996-03-25 2005-11-25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회전댐퍼
KR100786228B1 (ko) * 2007-03-08 2007-12-17 현대체육산업(주) 오염방지 구조의 야외용 운동기구
KR101145615B1 (ko) * 2010-01-25 2012-05-10 김희일 도어용 댐핑장치
KR101239746B1 (ko) 2011-01-13 2013-03-06 주식회사 삼형스포메디 야외용 운동기구의 베어링 하우징
KR101218316B1 (ko) * 2011-05-26 2013-01-09 주식회사 케이엘에스 안전장치를 갖는 하늘걷기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1905B1 (ko) 슬라이딩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Maddali Bongi et al. Efficacy of connective tissue massage and Mc Mennell joint manipulation in the rehabilitative treatment of the hands in systemic sclerosis
Shrier et al. Myths and truths of stretching: individualized recommendations for healthy muscles
Wier et al. Effect of robot-assisted versus conventional body-weight-supported treadmill training on quality of life for people with multiple sclerosis.
US5076263A (en) Toe stretcher
US20190125623A1 (en) Multi-Tool Massage Device
KR102231167B1 (ko)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를 위한 베어링 구조체
Stolz et al. The effectiveness of a novel cable-driven gait trainer (Robowalk) combined with conventional physiotherapy compared to conventional physiotherapy alone following strok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KR200394328Y1 (ko) 발바닥용 지압판
JP2011194051A (ja) 足の健康器具
JPH1119151A (ja) マッサージローラ
US20080200854A1 (en) Method of treating muscle soreness or a soft tissue oedema
JP2002136564A (ja) 多機能型携帯美容機
KR102670059B1 (ko) 슬라이딩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JP3202982U (ja) マッサージ器
KR200248183Y1 (ko) 발지압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러닝머신
RU2317059C1 (ru) Механический массажер
KR20190126589A (ko) 관절봉 마사지기
JP2691346B2 (ja) 足指ストレッチ器
US20050272580A1 (en) Exercise equipments
KR20100086222A (ko) 발바닥 맛사지기
WO2016042336A1 (en) Therapeutic massage device
KR20150103849A (ko)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
KR200261118Y1 (ko) 환자용 장갑
KR20240032338A (ko) 폼 롤러형 안마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