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704B1 -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704B1
KR102230704B1 KR1020160068045A KR20160068045A KR102230704B1 KR 102230704 B1 KR102230704 B1 KR 102230704B1 KR 1020160068045 A KR1020160068045 A KR 1020160068045A KR 20160068045 A KR20160068045 A KR 20160068045A KR 102230704 B1 KR102230704 B1 KR 102230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body blocks
flexible mobile
flexible
electr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6229A (ko
Inventor
오승진
김상호
주건모
권상욱
서호성
조시연
허재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8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704B1/ko
Publication of KR20170136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는, 복수의 몸체 블록;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 각각이 인접한 다른 몸체 블록에 대해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의 일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인가되면 딱딱해져서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이 서로에 대해 선회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으면 유연해져서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이 상대적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Flexible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부분에서 접힐 수 있는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등과 같이 많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의 편의를 위해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이식 휴대용 전자기기는 힌지를 사용하는 한 개의 접는 부분을 형성하여 한번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컴퓨터의 화면의 대형화에 따라 휴대의 편의를 위해 접이식 스마트폰과 접이식 태블릿 컴퓨터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접이식 스마트폰이나 접이식 태블릿 컴퓨터도 일반적인 휴대용 전자기기와 같이 한 개의 접는 부분을 이용하여 한번 접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전자기기나 스마트폰과 같이 힌지를 이용하여 접는 부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휴대용 전자기기나 스마트폰을 여러 번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접는 부분을 마련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접는 부분의 형상이 복잡하고 외관이 미려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접이식 휴대용 전자기기나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접는 부분에서 전기배선의 손상이 발생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나 스마트폰이 작동하지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복수의 접는 부분을 가지며 접는 부분의 외관이 미려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와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접는 부분에서 전기 배선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자가 복원이 가능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는, 복수의 몸체 블록;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 각각이 인접한 다른 몸체 블록에 대해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의 일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인가되면 딱딱해져서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이 서로에 대해 선회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으면 유연해져서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이 상대적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 중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에 양단이 고정되며, 플렉시블한 중공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충진된 강성변화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는 전기장 인가부 또는 자기장 인가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성변화재료는 전기유변 유체(electrorheological fluid) 또는 자기유변 유체(magnetorheological flu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는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배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배선은 전기적으로 단락된 경우 자가 복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배선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원 채널; 및 상기 복원 채널에 충진된 액체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의 내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원거리 송수신부, 근거리 송수신부, 배터리, 메모리, 외부 인터페이스 포트를 포함하는 전자회로기판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은 경량 고강성 친환경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량 고강성 친환경 소재는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cellulose nano fiber; CNF)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의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를 선 Ⅰ-Ⅰ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의 연결부재의 굽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의 기능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를 디스플레이부가 오목하게 되도록 굽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를 디스플레이부가 볼록하게 되도록 굽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를 사용자의 손목에 찬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를 사용자의 손목에 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를 절곡하여 평판 위에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의 2개의 몸체 블록 사이에 전기 배선이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를 선 Ⅱ-Ⅱ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의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를 선 Ⅰ-Ⅰ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는 복수의 몸체 블록(10), 복수의 연결부재(30), 디스플레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몸체 블록(10)은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50)를 지지한다. 복수의 몸체 블록(10)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복수의 연결부재(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한 개의 몸체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몸체 블록(10) 중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연결부재(30)에 의해 연결된다. 복수의 몸체 블록(10)은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10)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10)은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접촉하는 몸체 블록(10)의 부분은 플렉시블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 블록(10)은 강체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힘이 인가되어도 변형되지 않는다. 몸체 블록(10)의 내부에는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부품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예를 들면, 몸체 블록(10)의 내부에는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전자회로기판(11)이 설치될 수 있다.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기능을 구현하는 제어부는 복수의 전자회로기판(11)으로 구현되며, 각 전자회로기판(11)은 몸체 블록(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50)를 제어하는 전자회로는 한 개의 몸체 블록(10)의 전자회로기판(11)에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디스플레이부(50)를 제어하는 전자회로는 복수의 몸체 블록(10)에 수용된 복수의 전자회로기판(11)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몸체 블록(10)에는 충전 배터리, 메모리, 원거리 송수신부, 근거리 송수신부, 안테나, USB 포트와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 포트, 등과 같은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 블록(10)에는 음성 통화를 위해 송화기와 수화기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를 구성하는 부품들은 몸체 블록(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회로기판(11)에 설치되거나 구현될 수 있다.
이들 부품들은, 그 크기에 따라 한 개의 한 개의 몸체 블록(10)에 수용되거나, 2개 이상의 몸체 블록(10)에 수용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부품이 한 개의 몸체 블록(10)에 수용될 수도 있다.
몸체 블록(10)은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경량 고강성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 블록(10)은 식물성 셀룰로오스 섬유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몸체 블록(10)은 목재에서 추출한 나노 셀룰로오스 섬유(nano cellulose fiber)로 형성될 수 있다. 목재 추출 나노 셀룰로오스 섬유는 높은 강성을 가지면서도 무게가 가볍다는 특성이 있다.
또한, 몸체 블록(10) 중에서 인체와 접촉하는 부분, 즉 디스플레이부(50)가 설치되는 면과 반대쪽 면에는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체와 접촉하는 몸체 블록(10)의 표면은 감귤 유래 식물성 셀룰로오스로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재(30)는 복수의 몸체 블록(10)을 연결하여 복수의 몸체 블록(10)이 접히거나 굽혀지도록 하여,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의 형상을 전체적으로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30)는 복수의 몸체 블록 (10) 사이에 마련되며, 복수의 몸체 블록(10) 각각이 인접한 다른 몸체 블록(10)에 대해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이를 위해, 연결부재(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10)을 연결하며, 연결된 2개의 몸체 블록(10)이 상대방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접히거나 굽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연결부재(30)는 연결된 몸체 블록(10) 중 한 개의 몸체 블록(10)이 연결된 다른 몸체 블록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블록(1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연결부재(30)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연결부재(30)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도 5a는 복수의 몸체 블록(10) 중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10-1,10-2)이 평평한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 즉 제1몸체 블록(10-1)과 제2몸체 블록(10-2)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 블록(10-1)을 수평한 상태로 유지하고, 제2몸체 블록(10-2)을 상측 방향, 즉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몸체 블록(10-2)이 제1몸체 블록(10-1)에 대해 일정 각도 굽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5b는 2개의 인접한 몸체 블록(10-1,10-2)이 상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굽은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사용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a와 같이 제1몸체 블록(10-1)과 제2몸체 블록(10-2)이 수평한 상태에서, 제2몸체 블록(10-2)을 하측 방향, 즉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몸체 블록(10-2)이 제1몸체 블록(10-1)에 대해 일정 각도 굽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5c는 2개의 인접한 몸체 블록(10-1,10-2)이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굽은 상태를 나타낸다.
복수의 연결부재(30)는 각각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인가되면 딱딱해지고,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으면 유연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재(30)가 딱딱해지면, 복수의 몸체 블록(10)에 힘을 가하여도 복수의 몸체 블록(10) 각각이 인접한 다른 몸체 블록(10)에 대해 선회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된다. 만일, 복수의 연결부재(30)가 유연해지면, 복수의 몸체 블록(10)에 일정한 힘을 가하면 복수의 몸체 블록(10) 각각이 인접한 다른 몸체 블록(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회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복수의 연결부재(30)의 구조의 일 예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복수의 연결부재(30)는 모두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한 개의 연결부재(30)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재(30)는 하우징(31)과 강성변화재료(3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은 양단이 막힌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31)의 양단부는 각각 몸체 블록(10)에 고정된다. 하우징(31)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일정한 힘을 가하면 굽혀질 수 있다.
하우징(31)의 내부에는 강성변화재료(33)가 충진된다. 강성변화재료(33)는 유체이므로, 하우징(31)이 변형될 때 하우징(31)과 일체로 변형된다. 예를 들면, 강성변화재료(35)로는 전기유변 유체(electrorheological fluid) 또는 자기유변 유체(magnetorheological fluid)가 사용될 수 있다.
전기유변 유체는 소정의 전기장을 인가하면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변화하여 강도가 커져 자유롭게 변형되지 않으며, 전기장이 제거되면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화하여 자유롭게 변형이 되는 물질이다. 한편, 자기유변 유체는 소정의 자기장을 인가하면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변화하여 강도가 커져 자유롭게 변형되지 않으며, 자기장이 제거되면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화하여 자유롭게 변형이 되는 물질이다.
따라서, 하우징(31)의 내부에 전기유변 유체(33)가 충진된 경우에는, 하우징(31)에 소정의 전기장을 인가하면, 전기유변 유체(33)가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변화하여 딱딱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기유변 유체(33)가 충진된 플렉시블한 하우징(31)도 자유롭게 변형되지 않고 현재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강체가 된다.
하우징(31)의 양단에는 하우징(31)에 전기장을 인가할 수 있는 전기장 인가부(35)가 설치된다. 전기장 인가부(35)는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하우징(31)에 소정의 전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또는 전기장 인가부(35)는 하우징(31)에 인가된 전기장을 소멸시켜 하우징(31)에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기장 인가부(35)는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우징(31)에 소정의 전기장을 인가하거나 인가하지 않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전기장 인가부(35)에 의해 하우징(31)에 소정의 전기장이 인가되면, 하우징(31) 내부에 충진된 전기유변 유체(33)가 고체상태로 되므로 하우징(31)은 전기장이 인가되기 전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0)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몸체 블록(10-1,10-2)이 평평한 상태일 때, 즉, 연결부재(30)가 직선 형태일 때, 전기장 인가부(35)가 연결부재(30)에 소정의 전기장을 인가하면, 하우징(31) 내의 전기유변 유체(33)가 고체상태로 되어 연결부재(30)가 딱딱하게 된다. 따라서, 몸체 블록(10)에 힘을 가하여도 몸체 블록(1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0)는 변형되지 않고 직선 형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연결부재(30)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몸체(10-1,10-2)도 평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전기장 인가부(35)가 연결부재(30)에 인가하던 전기장을 제거하면, 하우징(31) 내의 전기유변 유체(33)가 다시 고체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변화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몸체 블록(10)에 힘을 인가하면 연결부재(30)를 자유롭게 굽힐 수 있다.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상태에 있는 2개의 몸체 블록(10-1,10-2)에 힘을 가하면 연결부재(30)를 굽힐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0)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몸체 블록(10-1,10-2)이 상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굽혀지도록 2개의 몸체 블록(10-1,10-2)에 일정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2개의 몸체 블록(10-1,10-2) 사이의 연결부재(30)는 곡선 형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전기장 인가부(35)가 다시 연결부재(30)에 소정의 전기장을 인가하면, 연결부재(30)의 전기유변 유체(33)가 고체상태로 변화되어 연결부재(30)가 곡선 형태를 유지한 채 딱딱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2개의 몸체 블록(10-1,10-2)에 반대방향으로 힘을 인가하여도, 연결부재(30)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2개의 몸체 블록(10-1,10-2)을 평평한 상태로 복원시킬 수 없다.
그러나, 전기장 인가부(35)가 연결부재(30)에 인가한 소정의 전기장을 소멸시키면, 연결부재(30)의 전기유변 유체(33)는 다시 액체상태가 되므로 연결부재(30)가 플렉시블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2개의 몸체 블록(10-1,10-2)에 반대방향의 힘을 인가하면, 즉, 화살표 B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면, 연결부재(30)가 곡선 형태에서 직선 형태로 변형되므로 2개의 몸체 블록(10-1,10-2)을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2개의 몸체 블록(10-1,10-2)에 좀 더 반대방향의 힘을 인가하면, 2개의 몸체 블록(10-1,10-2)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0)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몸체 블록(10-1,10-2)이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도록 굽혀진다. 이때, 2개의 몸체 블록(10-1,10-2) 사이의 연결부재(30)는 도 5b의 연결부재(30)와 반대 방향의 곡선 형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전기장 인가부(35)가 다시 연결부재(30)에 소정의 전기장을 인가하면, 연결부재(30)의 전기유변 유체(33)가 고체상태로 변화되어 연결부재(33)가 곡선 형태를 유지한 채 딱딱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2개의 몸체 블록(10-1,10-2)에 정방향으로 힘을 인가하여도, 연결부재(30)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2개의 몸체 블록(10-1,10-2)을 평평한 상태로 복원시킬 수 없다.
그러나, 전기장 인가부(35)가 연결부재(30)에 인가한 소정의 전기장을 소멸시키면, 연결부재(30)의 전기유변 유체(33)는 다시 액체상태가 되므로 연결부재(30)가 유연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2개의 몸체 블록(10-1,10-2)에 정방향의 힘을 인가하면, 연결부재(30)가 곡선 형태에서 직선 형태로 변형되므로 2개의 몸체 블록(10-1,10-2)을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전기장 인가부(35)는 몸체 블록(10)에 설치되며,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90)에는 전기장 인가부(35)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장 인가부(35)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부(50)에 전기장 인가부(35)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50)에 디스플레이된 전기장 인가부 제어 화면에서 사용자가 전기장 제어 스위치의 On을 터치하면, 전기장 인가부(35)가 연결부재(30)에 소정의 전기장을 인가하고, 전기장 제어 스위치의 Off를 선택하면, 전기장 인가부(35)가 연결부재(30)에서 전기장을 소멸시키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전기장 인가부(35)는 몸체 블록(10)에 하드웨어적으로 마련된 별도의 스위치, 버튼 등에 의해 On/Off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기장 스위치 또는 버튼(37)(도 6 참조)을 누르면 전기장 인가부(35)가 연결부재(30)에 소정의 전기장을 인가하고, 다시 전기장 스위치 또는 버튼(37)을 누르면 연결부재(30)에 인가된 소정의 전기장이 소멸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30)는 플렉시블한 하우징(31)에 전기유변 유체(33)가 충진되고, 전기장 인가부(35)로 하우징(31)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연결부재(30)의 강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 연결부재(30)의 하우징(31)에 자기유변 유체가 충진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자기장을 연결부재(30)의 하우징(31)에 인가할 수 있는 자기장 인가부가 몸체 블록(10)에 마련된다. 자기장 인가부가 자기유변 유체가 충진된 하우징(31)의 강도를 변경시키는 것은 상술한 실시예의 전기장 인가부(35)가 전기유변 유체(33)가 충진된 하우징(31)의 강도를 변경시키는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부(50)는 복수의 몸체 블록(10)이 변형될 때, 복수의 몸체 블록(10)과 일체로 변형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50)는 복수의 몸체 블록(10)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몸체 블록(10)이 한 개의 디스플레이부(35)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50)와 복수의 몸체 블록(10) 사이에는 디스플레이부(5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5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51)는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10)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50)의 부분이 터치될 때, 디스플레이부(50)가 변형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50)를 지지한다. 따라서, 지지부재(51)는 디스플레이부(50)과 일체로 변형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50)가 터치될 때 디스플레이부(50)에 인가되는 터치 힘을 지지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사용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를 디스플레이부가 오목하게 되도록 굽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사용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상태의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0)가 오목해지도록 굽힐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가 평평한 상태일 때, 복수의 연결부재(30)에는 전기장 인가부(35)에 의해 소정의 전기장이 인가되어 있어, 복수의 연결부재(30)는 딱딱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에 힘을 가하여도, 복수의 연결부재(30)가 굽혀지지 않으므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다.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를 변형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복수의 연결부재(30)에 인가된 전기장을 제거한다. 예를 들어, 전기장 인가부(35)의 제어를 스크린 터치로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0)에 디스플레이된 Off 스위치를 터치하여 전기장을 제거한다. 만일, 전기장 인가부(35)의 제어를 몸체 블록(10)에 마련된 전기장 스위치나 버튼(37)으로 하도록 구성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경우에는, 사용자는 전기장 스위치나 버튼(37)을 눌러 전기장을 제거한다.
그 후, 사용자는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양단을 잡고 디스플레이부(50)의 중앙부가 오목해지도록 힘을 가한다. 그러면, 복수의 몸체 블록(10)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30)가 굽어지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가 굽혀지게 된다.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가 원하는 상태로 굽혀진 경우에는, 사용자는 복수의 연결부재(30)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복수의 연결부재(30)를 딱딱한 상태로 만든다. 예를 들면, 전기장 인가부(35)의 제어를 스크린 터치로 하는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50)에 디스플레이된 On 스위치를 터치하면 복수의 연결부재(30)에 전기장이 인가된다. 만일, 전기장 인가부(35)의 제어를 몸체 블록(10)에 마련된 전기장 스위치나 버튼(37)으로 하도록 구성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기장 스위치나 버튼(37)을 누르면, 복수의 연결부재(30)에 전기장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연결부재(30)에 전기장이 인가되면, 복수의 연결부재(30)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형태로 굽혀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굽혀진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를 도 1과 같이 평평한 상태로 복원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스크린 터치 또는 전기장 스위치나 버튼(37)을 이용하여 복수의 연결부재(30)에 인가된 전기장을 제거한다.
그러면, 딱딱한 고체 상태의 복수의 연결부재(30)가 액체 상태가 되어 변형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복수의 연결부재(30)에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를 변형시켜 도 1과 같이 평평한 상태를 만든다. 그 후, 사용자가 스크린 터치 또는 전기장 스위치나 버튼(37)을 이용하여 복수의 연결부재(30)에 전기장을 인가한다. 그러면, 복수의 연결부재(30)는 딱딱한 고체상태로 변형되므로, 일정한 힘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는 도 1과 같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는 도 7과 반대방향으로 굽힐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과 같이 디스플레이부(50)가 볼록한 상태가 되도록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를 굽힐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를 디스플레이부가 볼록하게 되도록 굽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과 같은 상태의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를 도 8과 같이 굽히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먼저 복수의 연결부재(30)에 인가된 전기장을 제거한다. 그러면, 복수의 연결부재(30)는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한 상태가 된다.
그 후, 사용자가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양단을 잡고 디스플레이부(50)의 중앙부가 볼록해지도록 힘을 가하면, 복수의 연결부재(30)가 굽혀져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가 변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다시 복수의 연결부재(30)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복수의 연결부재(30)를 딱딱한 상태로 만든다. 그러면,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에 일정한 힘을 인가하여도 복수의 연결부재(30)는 변형되지 않으므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형태로 굽혀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연결부재(30)에 전기장을 인가하거나, 전기장을 제거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 터치 또는 전기장 스위치나 버튼(37)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는 양단이 서로 접촉하거나 근접할 때까지 굽힐 수 있다. 이와 같이 굽힌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100)에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를 찰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를 손목에 찬 경우에는 몸체 블록(10)에 설치된 생체신호 감지센서(15)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100) 피부에 접촉하는 몸체 블록(10)의 일면에 생체신호 감지센서(15)를 설치하면, 제어부(90)는 생체신호 감지센서(15)에서 출력되는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위험이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몸체 블록(10)에 생체신호 감지센서(15)가 설치된 경우에는 제어부(90)에는 이러한 생체신호 감지센서(15)를 제어하고, 생체신호 감지센서(1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신호 감지센서(15)로는, 일 예로서, 당뇨 환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혈당 측정용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디스플레이부(5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를 손목에 찬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반대로 찰 수도 있다. 즉,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50)가 손목과 접촉하고, 복수의 몸체 블록(1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를 사용자 손목(100)에 감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는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복수의 연결부재(30)를 전체적으로 굽히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몸체 블록(10) 중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10)을 연결하는 적어도 2개의 연결부재(30)만을 굽힐 수 있다. 즉,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한 곳을 일정 각도로 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곳의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10) 사이의 연결부재(30)만을 굽힐 경우에는 나머지 연결부재(30)는 직선 상태를 유지한다.
2곳에서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10) 사이의 연결부재(30)만을 굽힌 상태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를 절곡하여 평판 위에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는 2곳의 연결부재(30-3,30-7)가 대략 90도로 굽힌 상태가 되고, 나머지 연결부재들(30)은 직선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연결부재(30) 중 적어도 한 곳의 연결부재(30-3,30-7)만을 굽힐 경우에는 전체 연결부재(30)의 전기장을 제거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경우는 굽힐 부분의 연결부재(30-3,30-7)에 인가된 전기장만을 제거한 후, 해당 연결부재(30-3,30-7)를 굽힌 후, 다시 해당 연결부재(30-3,30-7)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굽혀진 연결부재(30-3,30-7)를 딱딱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50)에 디스플레이되는 전기장 인가부(3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화면 또는 제어 메뉴는 복수의 연결부재(30)중 인가되는 전기장을 해제할 수 있는 연결부재(30)를 선택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화면에서 전체 연결부재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전기장 스위치나 버튼(37)을 이용하여 전체 연결부재에 전기장을 인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만일, 제어 화면에서 일부의 연결부재를 선택하면, 사용자는 선택된 연결부재에만 전기장을 인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경우에는, 3번째 연결부재(30-3)와 7번째 연결부재(30-7)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제어 화면의 전기장 제어 스위치를 오프시키면, 3번째와 7번째 연결부재(30-3,30-7)에 인가되는 전기장이 제거되어 3번째와 7번째 연결부재(30-3,30-7)가 플렉시블한 상태로 되므로, 사용자는 3번째와 7번째 연결부재(30-3,30-7)를 변형시켜 도 1과 같이 평평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다시, 사용자가 전기장 제어 스위치를 온시키면, 3번째와 7번째 연결부재(30-3,30-7)는 딱딱한 상태로 되어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후, 사용자가 전기장 제어 스위치를 오프시키면, 3번째와 7번째 연결부재(30-3,30-7)에 인가되는 전기장만이 제거되고 다른 연결부재(30)에 인가되는 전기장은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3번째와 7번째 연결부재(30-3,30-7)가 플렉시블한 상태로 되므로, 사용자가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에 일정한 힘을 가하면,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는 3번째와 7번째 연결부재(30-3,30-7)만이 굽혀져서 도 11과 같은 상태가 된다. 다시, 사용자가 전기장 제어 스위치를 온시키면, 3번째와 7번째 연결부재(30-3,30-7)는 딱딱한 상태로 되어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는 도 11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는 복수의 몸체 블록(10)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몸체 블록(10)의 내부에 전자회로기판(11)이 설치되므로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10) 사이를 전기배선으로 연결할 필요가 있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전기배선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의 2개의 몸체 블록 사이에 전기 배선이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를 선 Ⅱ-Ⅱ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10-1,10-2) 사이에는 2개의 연결부재(30)와 적어도 한 개의 전기배선(60)이 설치된다.
2개의 연결부재(30)는 위에서 설명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연결부재(3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 개의 전기배선(60)은 2개의 연결부재(30) 사이에 마련되며,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10-1,10-2)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전기배선(60)은 신호나 전원을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전기배선(60)은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10-1,10-2) 내부에 설치된 제1전자회로기판(11-1)과 제2전자회로기판(1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제1전자회로기판(11-1)과 제2전자회로기판(11-2)은 적어도 한 개의 전기배선(6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10-1,10-2) 내부에 설치된 제1 및 제2전자회로기판(11-1,11-2)은 적어도 한 개의 전기배선(60)을 통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전기배선(60)은 연결부재(30)가 굽힘 변형될 때 파손되지 않도록 전도성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기배선(60)의 자가 복원이 가능하도록 전기배선(60)의 내부에는 전기배선(60)의 길이방향으로 복원 채널(6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원 채널(61)에는 전도성이 있는 액체 금속(liquid metal)(62)이 충진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30)의 반복적인 굽힘 변형에 의해 전기배선(60)에 균열이 발생하여 전기적으로 단선되는 경우에, 복원 채널(61)에 있는 액체 금속(62)이 흘러나와 균열이 발생된 부분을 채워 전기적인 단선을 복원하게 된다. 이때, 전기배선(60)에는 액체 금속(62)을 응고시킬 수 있는 촉매가 함유되어 있어, 균열이 발생된 부분으로 침투한 액체 금속(62)은 촉매 반응에 의해 응고된다. 액체 금속(62)으로는 Ga, Ga-In, Galinsta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10-1,10-2)이 한 개의 전기배선(60)에 의해 연결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전기배선(6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10-1,10-2)을 연결하는 전기배선(60)은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복수의 몸체 블록(10)이 한 개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5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디스플레이부(5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는 복수의 몸체 블록 각각에 별개의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는 복수의 몸체 블록(100), 복수의 연결부재(30),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한다.
복수의 몸체 블록(100)은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외형을 형성하며,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500)가 설치된다. 복수의 몸체 블록(100)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복수의 연결부재(3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몸체 블록(100) 중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100)은, 몸체 블록(100)의 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연결부재(30)에 의해 연결된다.
몸체 블록(100)은 상면에 몸체 블록(100)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500)가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몸체 블록(10)과 유사하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경우에는 복수의 몸체 블록(100)에 일대 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500)가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경우에는 한 개의 몸체 블록(100)에 한 개의 디스플레이부(500)가 마련되나,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경우에는 한 개의 디스플레이부(50)에 복수의 몸체 블록(10)이 설치된다.
이때, 각 몸체 블록(100)에는 한 개의 디스플레이부(50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500)는 각각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부(500) 각각이 한 개의 영상의 일부를 출력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부(500)가 전체적으로 한 개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0)는 몸체 블록(100)의 상면에 설치되므로,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가 사용되지 않는다.
연결부재(3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연결부재(3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곡률로 굽힐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는 도 8, 도 9, 도 11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굽힐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4 및 도 15에서는 복수의 몸체 블록(100)과 복수의 디스플레이부(500)가 일대 일로 대응하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나,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1')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2개 이상의 몸체 블록(100)이 한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다른 몸체 블록(100)은 각각 한 개의 디스플레이부(500)를 지지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는 복수의 몸체 블록과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접는 부분이 복수 개로 형성되며, 접는 부분을 구성하는 연결부재는 플렉시블한 하우징으로 형성되므로 종래의 힌지 구조에 비해 외관이 미려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는 전기배선이 자가 복원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접거나 굽혀지는 부분에서 전기배선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자가 복원이 가능하므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1';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10,100; 몸체 블록
11; 전자회로기판 15; 생체신호 감지센서
30; 연결부재 31; 하우징
33; 강성변화재료 35; 전기장 인가부
37; 전기장 스위치/버튼 50,500; 디스플레이부
51; 지지부재 60; 전기배선
61; 복원 채널 62; 액체 금속

Claims (16)

  1. 복수의 몸체 블록;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 각각이 인접한 다른 몸체 블록에 대해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의 일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 중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에 양단이 고정되며, 플렉시블한 중공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충진된 강성변화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 각각의 상기 강성변화재료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인가되면 딱딱해져서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이 서로에 대해 선회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으면 유연해져서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이 상대적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는 전기장 인가부 또는 자기장 인가부가 마련되는,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변화재료는 전기유변 유체(electrorheological fluid) 또는 자기유변 유체(magnetorheological fluid)인,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배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배선은 전기적으로 단락된 경우 자가 복원할 수 있도록 형성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배선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원 채널; 및
    상기 복원 채널에 충진된 액체 금속;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 중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 사이에 폭 방향으로 적어도 2개가 설치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의 일면에 설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의 내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원거리 송수신부, 근거리 송수신부, 배터리, 메모리, 외부 인터페이스 포트를 포함하는 전자회로기판이 설치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의 내부에는 음성 통화를 위한 송화부와 수화부가 마련된,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은 경량 고강성 친환경 소재로 형성되는,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 고강성 친환경 소재는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cellulose nano fiber; CN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의 표면은 식물성 셀룰로오스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의 표면에 마련되며, 상기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생체신호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몸체 블록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몸체 블록은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KR1020160068045A 2016-06-01 2016-06-01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KR102230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045A KR102230704B1 (ko) 2016-06-01 2016-06-01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045A KR102230704B1 (ko) 2016-06-01 2016-06-01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229A KR20170136229A (ko) 2017-12-11
KR102230704B1 true KR102230704B1 (ko) 2021-03-22

Family

ID=6094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045A KR102230704B1 (ko) 2016-06-01 2016-06-01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214A1 (ko) * 2019-03-29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05316B1 (ko) * 2019-12-27 2021-09-27 고병지 능동식 사이즈 조절기능을 갖는 스마트 기기
KR102296866B1 (ko) * 2020-05-18 2021-09-0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롤러블 기기용 지지장치
KR102577855B1 (ko) * 2021-01-28 2023-09-1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배열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KR20230005490A (ko) * 2021-07-01 2023-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918B1 (ko) * 2014-08-27 2015-11-05 이영이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342525A1 (en) * 2014-05-30 2015-12-03 Microsoft Corporati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755B1 (ko) * 2011-03-31 2013-04-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착용식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US9939900B2 (en) * 2013-04-26 2018-04-10 Immersi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haptically-enabled deformable surfa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42525A1 (en) * 2014-05-30 2015-12-03 Microsoft Corporati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1565918B1 (ko) * 2014-08-27 2015-11-05 이영이 손목시계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229A (ko) 201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704B1 (ko) 플렉시블 모바일 기기
EP3358439B1 (en) Foldable terminal
KR102085951B1 (ko) 폴딩 가능한 단말
US10152082B2 (en)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that accommodate different user forms
US20160124395A1 (en) Wrist-watch type flexible display device
US20150025355A1 (en)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strain mitigation in wearable electronic devices
US10243607B2 (en) Electronic device
EP2550580B1 (en) Contortion of an electronic apparatus
CN103161819A (zh) 铰链装置和包括其的电子设备
US9257765B2 (en) Connector pin on springs
JP5958872B2 (ja) 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20160070367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cursor control device
GB2583294A (en) Shape memory alloy actuator
CN204014344U (zh) 用来可旋转地承载一携带式电子装置的保护装置
JP2011199783A (ja) 電子機器用ケース
CN109905505A (zh) 壳体及电子设备
CN104157214A (zh) 配戴式挠曲显示装置
US9939009B2 (en)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2804396A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TWI539260B (zh) 穿戴式電子裝置
CN110045787A (zh) 便携式电子装置的屏幕扩展结构
KR102527980B1 (ko) 양방향 폴딩 힌지장치
US20230384840A1 (en) Hinged Wearable Electronic Devices
KR20230049573A (ko) 디스플레이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5911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외부 액세서리의 부착을 검출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