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481B1 -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481B1
KR102230481B1 KR1020200075184A KR20200075184A KR102230481B1 KR 102230481 B1 KR102230481 B1 KR 102230481B1 KR 1020200075184 A KR1020200075184 A KR 1020200075184A KR 20200075184 A KR20200075184 A KR 20200075184A KR 102230481 B1 KR102230481 B1 KR 102230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heet
sheet pap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민규
Original Assignee
(주)비앤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앤엠테크 filed Critical (주)비앤엠테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은, 부착하고자 하는 패널의 형상에 맞게 미리 설계된 형태로 형성되는 시트지; 상기 시트지의 일 면에 도포되는 제1 접착층에 의해 부착되는 이형지; 상기 시트지의 타 면에 도포되는 제2 접착층에 의해 부착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의 제조방법은, (a) 패널의 형상에 맞게 미리 설계된 패턴의 시트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시트지의 일 면에 제1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시트지의 일 면에 도포된 제1 접착층에 이형지를 부착하는 단계; (d) 상기 시트지의 타 면에 제2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e)상기 시트지의 타 면에 도포된 제2 접착층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 및 이의 제조방법{Skin for scratch prevention and of manufacturing method of that}
본 발명은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인스투르먼트 패널 등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스킨 및 이 보호스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운전석과 조수석을 이루는 자동차 실내의 전방 부분에 배치되어 운전에 필요한 각종 전장품, 오디오 장치, 공조장치, 에어백 장치 등이 장착되는데, 이러한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크래쉬 패드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제작되는데, 폴리카보네이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인 수지제품으로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으나, 표면 내구성, 내약품성, 내스크래치성 등이 좋지 못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황변현상도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자동차는 모든 양산라인 내에서 2 내지 3만여 개의 각종 부품을 조립 또는 용접공정을 통해 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를 생산하는 라인은, 통상적으로 차체를 구성하는 차레 라인과, 차체 표면의 색상을 표현하기 위한 도장 라인 및 완성된 차체 내부에 다양한 내장품을 조립 및 장착하기 위한 의장 라인으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의장 라인에서 내장품을 조립하기 위해서 차체를 이송용 대차에 안치하여 공급하고, 공급라인을 따라 차체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각각의 파트에 맞는 제품을 로봇 등이 내부에 장착하게 되는 자동화 라인이 구축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동차 생산 공장에서는 각종 부품 등을 벤더 회사들로부터 납품 받아 조립하게 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면 내구성, 내약품성, 내스크래치성이 좋지 못한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같은 합성수지재 제품 등은 운반 및 조립 과정에서 표면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그 표면에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을 부착시킨 상태로 납품 받아 조립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표면에 보호스킨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의 제공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은 차종에 따라 그 형상이 다양하며, 심미감을 갖추도록 평면 형태가 아닌 곡선형 즉, 부분적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제작되어 제공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너비를 갖는 이형지(24)와, 이 이형지(24)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점착되어 있는 분할된 시트지(22)와, 이 시트지(22)의 겉 표면에 부착되는 보호필름(26)의 3중 구조로 제작되어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종래의 보호스킨(20)은 시트지(22)의 점착 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시트지(22)의 점착 면은 일정 너비를 갖는 이형지(24)에 부착되고, 시트지(22)의 겉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시트지(22)의 겉 표면에는 보호필름(26)이 부착된 상태로 제작되어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지(22)의 일 면에 형성되는 점착 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시트지(22)는 일정 너비 및 일정 두께를 갖는 일체형의 이형지(24)에 부착된 상태로 제작되어 공급이 이루어지고, 또한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은 부분적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제작되어 제공되는바, 이형지(24) 자체가 신축성을 갖지 못하여 시트지(22)는 일체형으로 제작되지 못하고 복수 개로 분할된 상태로 제작되어 이형지(24)에 부착된 상태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정 너비 및 일정 두께를 갖는 일체형의 이형지(24)에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일체형을 이루는 시트지(22)가 부착된 상태로 제작되어 제공되는 경우, 일체형의 이형지(24)로부터 일체형의 시트지(22)를 분리시킨 후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표면에 그 점착 면을 부착시키게 되는데, 이 때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은 평면 형태가 아닌 곡선형 즉, 부분적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제작되어 제공됨으로써, 곡선 부위에도 정확하게 시트지(22)가 부착되도록 시트지(22)의 일부를 잡아 당겨서 연신시키면서 부착시켜야 한다.
그런데 이의 경우, 점착 면에 이물이 묻어 접착 불량이 발생되는 등 다수의 곡선 부위를 갖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0) 표면에는 일체형을 이루는 시트지(22)를 부착시키기가 어려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분할된 시트지(22)들을 제작한 후, 이 분할된 시트지(22)들을 일일이 작업자가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표면 중 해당부위에 부착시키게 된다.
즉,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형상에 맞게 미리 설계된 형태로 복수 개로 분할된 시트지(22)를 제작한 후, 작업자가 분할된 다수의 시트지(22)를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해당 부위에 개별적으로 부착시킴으로써,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표면에 시트지(22)를 부착시키는 공정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표면에 보호스킨(20)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이형지(24)에 부착된 각각의 분할된 복수의 시트지(22)를 떼어낸 후, 시트지(22)의 점착 면을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대응되는 부위에 부착시킨 다음, 시트지(22)의 겉 표면에 부착된 보호필름(26)을 떼어내는 공정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 때, 도 1에서의 경우, 분할된 시트지(22)가 모두 10개이면 작업자가 위와 같은 공정을 10번에 걸쳐 수행해야 하는바, 그 작업공수가 늘어 작업성이 좋지 못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작업자를 각 파트 별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각각 해당 시트지(22)를 인스투르먼트 패널(10)의 해당 부위에만 부착하도록 하는 공정을 수행하기도 하였으나, 이의 경우 숙련자 또는 비숙련자에 따라 접착 부위가 상이하여 접착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특히 작업자를 여러 명 배치하여야 하는바, 인건비 등의 상승으로 생산단가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22258호(2015.03.04.) 한국특허등록 제10-1674218호(2016.11.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굴곡지게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형상에 맞게 미리 설계된 보호스킨을 일체형으로 제조하고, 일체형의 보호스킨을 작업자가 단번에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간단히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공수를 줄여 결국 생산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난연성을 부여하여 화재의 확산 및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열전도를 차단할 수 있고 친환경적이고 우수한 물성의 경도, 표면평활성, 내스크래치성 등의 특성을 가질 수 있는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은, 부착하고자 하는 패널의 형상에 맞게 미리 설계된 형태로 형성되는 시트지; 상기 시트지의 일 면에 도포되는 제1 접착층에 의해 부착되는 이형지; 상기 시트지의 타 면에 도포되는 제2 접착층에 의해 부착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트지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패널의 표면을 이루지 않는 부위에는 빈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트지와 상기 이형지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필름은 일정 너비 및 일정 높이의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시트지의 표면과 상기 공간부를 모두 메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의 전체 너비 및 높이는, 상기 시트지의 전체 너비 및 높이에 비하여 전후좌우 측으로 일정 너비만큼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파지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지는, 시트지층과, 상기 시트지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코팅층 및 상기 시트지층 하부에 위치하는 프라이머층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지층은 시트지 조성물을 배합한 후 건조하여 형성되되, 상기 시트지 조성물은 팽창흑연분말 3 내지 7 중량부, 겔라이트 2 내지 4 중량부, 흑운모 1 내지 3 중량부, 한지 1 내지 5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100 내지 300 중량부 및 분산제 3 내지 7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팅층은 코팅액 조성물을 상기 시트지층 상부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형성되되, 상기 코팅액 조성물은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 내지 20 중량부, 전도성 고분자 0.5 내지 2.5 중량부, 충진재 1 내지 5 중량부 및 경화제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은 프라이머 조성물을 상기 시트지층 하부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형성되되,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Oligomer) 40 내지 60 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monomer) 20 내지 40 중량부, 광경화제 1 내지 3 중량부, 용매 100 내지 20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3 내지 7 중량부, 천연고무 0.1 내지 1 중량부, 발수제 0.5 내지 1.5 중량부, 티오요소(Thiourea)류 화합물 0.1 내지 1.5 중량부, 폴리아크릴산 5 내지 10 중량부, 인계 단량체 1 내지 5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1.5 중량부, 조막형성제 0.2 내지 0.6 중량부 및 소포제 0.1 내지 0.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의 제조방법은, (a) 패널의 형상에 맞게 미리 설계된 패턴의 시트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시트지의 일 면에 제1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시트지의 일 면에 도포된 제1 접착층에 이형지를 부착하는 단계; (d) 상기 시트지의 타 면에 제2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e) 상기 시트지의 타 면에 도포된 제2 접착층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트지는, 시트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트지층을 형성하되, 상기 시트지 조성물은 팽창흑연분말 3 내지 7 중량부, 겔라이트 2 내지 4 중량부, 흑운모 1 내지 3 중량부, 한지 1 내지 5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100 내지 300 중량부 및 분산제 3 내지 7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어 제조되고, 상기 시트지층 상부에 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되, 상기 코팅액 조성물은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 내지 20 중량부, 전도성 고분자 0.5 내지 2.5 중량부, 충진재 1 내지 5 중량부 및 경화제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어 제조되며,
상기 시트지층 하부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되,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Oligomer) 40 내지 60 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monomer) 20 내지 40 중량부, 광경화제 1 내지 3 중량부, 용매 100 내지 20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3 내지 7 중량부, 천연고무 0.1 내지 1 중량부, 발수제 0.5 내지 1.5 중량부, 티오요소(Thiourea)류 화합물 0.1 내지 1.5 중량부, 폴리아크릴산 5 내지 10 중량부, 인계 단량체 1 내지 5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1.5 중량부, 조막형성제 0.2 내지 0.6 중량부 및 소포제 0.1 내지 0.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어 제조되고, 상기 프라이머층 하부에 제2 접착제인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여 핫멜트 접착층을 형성하며, 상기 핫멜트 접착층 하부에 보호필름을 형성하여 보호스킨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굴곡지게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형상에 맞게 미리 설계된 보호스킨이 일체형으로 제조되고, 이와 같이 일체형으로 제조된 보호스킨을 작업자가 단번에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간단히 부착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공수가 줄어들어 결국 생산비용이 줄고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난연성이 부여되어 화재의 확산 및 유독가스의 발생이 억제됨과 동시에 열전도가 차단될 수 있고 친환경적이고 우수한 물성의 경도, 표면평활성, 내스크래치성 등의 특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표면에 보호스킨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의 제공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의 제공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스킨이 인스트루먼트 패널 표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에서 시트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 및 이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의 제공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스킨이 인스트루먼트 패널 표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100)은, 부착하고자 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형상에 맞게 미리 설계된 형태로 형성되는 시트지(110)와, 이 시트지(110)의 일 면에 도포되는 제1 접착층에 대하여 부착되는 이형지(130)와, 시트지(110)의 타 면에 도포되는 제2 접착층에 대하여 부착되는 보호필름(1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시트지(110)는 복수 개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표면을 이루지 않는 부위 즉 버튼이나 디스플레이 등이 배치되는 부위에는 빈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형지(130)는 시트지(11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보호필름(120)은 일정 너비 및 일정 높이의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시트지(110)는 물론 시트지(110) 사이의 공간부 즉, 버튼이나 디스플레이 등이 배치되는 부위의 공간부도 메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보호필름(120)의 전체 너비 및 높이는 시트지(110)의 전체 너비 및 높이에 비하여 전후좌우 측으로 일정 너비만큼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파지부(12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100)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착하고자 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형상에 맞게 미리 설계된 형태로 시트지(110)를 절단하여 형성한다.
이 때, 시트지(110)의 형상은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체가 연결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버튼이나 디스플레이 등에 대응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시트지(110)의 일 면에 제1 접착층을 도포하고, 이 제1 접착층에 이형지(130)를 부착한다.
여기서, 시트지(110)는 우레탄 폼 재질로 제작된 것이 제공되고, 이형지(130)는 시트지(110)로부터 쉽게 분리가 이루어지되, 시트지(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제작되어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시트지(110)의 타 면에 제2 접착층을 도포하고, 이 제2 접착층에 보호필름(120)을 부착한다.
이 때, 보호필름(120)은 일정 너비 및 일정 높이의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시트지(110)의 타 면은 물론 시트지(110) 사이의 공간부 즉, 버튼이나 디스플레이 등이 배치되는 부위의 공간부고 메꾸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보호필름(120)의 전체 너비 및 높이는 시트지(110)의 전체 너비 및 높이에 비하여 전후좌우 측으로 일정 너비만큼 더 도출되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지하기 용이하게 파지부(122)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시트지(110)의 타 면에 제2 접착층을 도포하고, 이 시트지(110)의 타 면에 보호필름(120)을 부착시키게 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필름(120)의 전후좌우 측에는 시트지(110)의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돌출된 파지부(122)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지(110)의 일 면에 제1 접착층에 의해 이형지(130)가 부착되고, 시트지(110)의 타 면에 제2 접착층에 의해 보호필름(120)이 부착된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100)을 이용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표면에 시트지(110)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트지(110)의 일 면에 제1 접착층에 의해 부착된 이형지(130)를 분리하여 제거한다.
다음에, 작업자가 보호필름(120)의 파지부(122)를 잡고 시트지(110)의 제1 접착층을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표면에 부착시키면 된다.
이 때, 보호스킨(100)은 이형지(130)가 박리되고, 시트지(110)와 보호필름(120)만 부착된 상태를 이루어 신축성을 갖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시트지(110)와 보호필름(120)을 늘릴 수 있게 되는바,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서 굴곡지게 라운드진 부위에도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가 보호필름(120)의 파지부(122)를 파지한 상태에서 시트지(110)를 늘릴 수 있게 됨으로써, 시트지(110)의 제1 접착층에 이물의 접촉 우려 없이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서 굴곡지게 라운드진 부위에도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되는바, 일체형을 이루는 시트지(110)를 한 사람이 작업자가 신속하면서도 정밀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되어 결국 작업공수가 줄어들게 됨에 따라 생산원가가 줄어들고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접착층은 제2 접착층에 비하여 그 접착도가 더 큰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표면에 시트지(110)가 제1 접착층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보호필름(120)을 박리시키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표면에 보호스킨(100)의 시트지(110)만 부착된 상태를 이루며, 이 때 시트지(110)는 일체형을 이룬 상태로 보다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이 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접착층은 제2 접착층에 비하여 그 접착도가 더 큰 것이 제공되는바, 보호필름(120)을 시트지(110)로부터 박리할 경우에 시트지(11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100)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로서, 도 7을 참조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표면에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100)을 제조하는 과정을 다시 한 번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형상에 맞게 미리 설계된 패턴의 시트지(110)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이어서 시트지(110)의 일 면에 제1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에, 시트지(110)의 일 면에 도포된 제1 접착층에 이형지(130)를 부착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계속해서 시트지(110)의 타 면에 제2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시트지(110)의 타 면에 도포된 제2 접착층에 보호필름(120)을 부착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100)을 제조하면 된다.
참고로, 위의 제조공정 단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시트지(110)의 일 면 및 타 면에 각각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을 도포하고,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이 도포된 상태에서 시트지(110)의 일 면 및 타 면에 각각 이형지(130)와 보호필름(120)을 동시에 부착하는 단계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시트지(110)의 타 면에 제2 접착층을 도포하여 보호필름(120)을 부착한 이후에, 시트지(110)의 일 면에 제1 접착층을 도포하여 보호필름(120)을 부착하는 순서로 제조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100)이 자동차용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 부착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쉬 패널과 도어 측 트림 등과 같이 스크래치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다양한 패널 등에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 스크래치의 발생 우려가 큰 다양한 합성수지재 제품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에서 시트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100)에서, 시트지(110)는 시트지층(114)과, 이 시트지층(114)의 상부에 위치하는 코팅층(112) 및 시트지층(114)의 하부에 위치하는 프라이머층(11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시트지층(114)은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형태로 형성되되, 시트지 조성물을 배합한 후 건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시트지 조성물은 팽창흑연분말 3 내지 7 중량부, 겔라이트 2 내지 4 중량부, 흑운모 1 내지 3 중량부, 한지 1 내지 5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100 내지 300 중량부 및 분산제 3 내지 7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팽창흑연분말은 팽창흑연을 분말화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흑연은 탄소원자의 6원자 고리가 평면적으로 무한히 연결된 평면형 거대분자가 층을 이루어 포개어진 광물로서, 그 성질은 전기의 양도체이고, 또한 폴리센의 층상구조로 인해 유연하고 활성(滑性)이 있으며, 쪼개지기는 쉽지만 거대 분자여서 반응성이 낮은 특징이 있다.
그러나 흑연은 폴리센 구조의 탄소 평면 사이가 반데르발스 힘으로 연결되어 있을 뿐이어서 탄소원자 사이의 간격인 14.2㎚에 비하여 35.5㎚로 넓기 때문에 층 사이의 틈새에 다른 원자를 삽입하여 층간화합물을 만들 수 있다. 즉, 흑연결정의 망상평면을 유지한 채로 평면 사이의 틈새에 많은 원자나 분자 또는 이온을 삽입하여 층간화합물을 만드는 것이다.
즉, 흑연의 층 사이에 황산과 같은 산을 도포한 층간화합물 또는 잔류화합물을 1000℃에 가까운 온도로 급가열하면, 산이 기화되어 가스가 발생되고 그 가스의 팽창압에 의해 흑연 층간이 수십 내지 수백 배로 팽창하는데, 이를 팽창흑연이라 한다.
본 발명에서 팽창흑연은 화재발생시 온도가 180℃ 이상으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팽창흑연이 30 내지 50배로 팽창하며 숯(Char)을 형성하기 때문에 불연성과 함께 단열성능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겔라이트(Ge-lite)는 포졸란이라고 불리우며, 게르마늄이 약 2.0ppm 함유되어 있고 다량의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화산재, 규산백토, 규산토 등이 있다. 즉, 겔라이트는 황토의 약 180배에 해당하는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고 습도조절기능이 있으며, 음이온과 인체 활성에너지를 방출하고 유해 전자파 차단 기능이 있고, 탈취 및 살균효과와 중금속 중화 효과도 제공한다.
흑운모는 황토보다 약 3배 이상 원적외선 방사율(94%)이 높으며, 게르마늄 함유량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발암 물질도 제거시키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한 독소로 인하여 발생하는 질병에 효과적이며 원적외선의 작용은 피부의 40~50㎜까지 침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흑운모의 화학 성분은 K(Mg,Fe)3(OH)2ALSi3O12이고, 판상 또는 인상을 이루며 흔히 육각형 또는 능면체를 나타낸다. 그리고 밑면에 쪼개짐이 완전하고 박편은 탄성을 가지는데 금운모에 비하여 작으며, 색상은 흑색·갈흑색·녹흑색 등을 띄며, 쪼개짐면은 진주 광택이 있고 때로는 금속광택을 가진다. 굳기는 25~30이며, 비중은 27~31이다.
한지(Korean Paper, 韓紙)는 닥나무나 삼지닥나무 껍질을 주원료로 하여 한국 고유의 기법으로 뜬 종이를 말하는 것으로, 질기고 수명이 오래가는 것 외에도 보온성과 통풍성이 뛰어나고, 특히, 수명이 50~100년 정도면 누렇게 황화현상을 일으키며 삭아버리는 양지(洋紙)에 비해, 상기 한지는 수명이 천년 이상이나 장구한 것으로 세월이 흐를수록 독특한 문양이 도드라지고 그 결이 고와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예를 들어, 아크릴 변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는데, 아크릴 변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시트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조성물을 결합하는 바이더 또는 접착제로 작용할 수 있다.
아크릴 변성 폴리우레탄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아크릴 변성 폴리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 폴리올(Polyol) 및 유기용제(Organic Solvent)를 준비한 후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할 수 있는데, 혼합액은 디이소시아네이트 1 몰(mol) 및 폴리올 0.5 내지 1.5 몰(mol)의 비율로 준비되고, 유기용제는 혼합액 전체 함량 중에서 60 내지 70 중량%(wt%)로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TDI)),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MDI)),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H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IPDI)) 및 4,4'-메틸렌비스(사이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4,4'-Methylenebis(cyclohexyl isocyanate)(HMD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올은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용제는 톨루엔(Toluene),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아세톤(Acetone) 및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및 유기용제로 이루어진 혼합액을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Isocyanate terminated Polyurethane)을 제조할 수 있는데, 반응은 83 내지 88℃의 온도에서 3 내지 5 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를 가지를 폴리우레탄(Isocyanate terminated Polyurethane)에 하이드록시 그룹을 포함하는 모노머(Monomer(containing hydroxy group)) 0.1 내지 0.5 몰(mol)을 투입하면서 83 내지 87℃의 온도에서 2 내지 4 시간 동안 반응시켜 비닐 말단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Vinyl terminated Polyurethane)을 제조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 그룹을 포함하는 모노머(Monomer(containing hydroxy group))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acrylate), 2-하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및 알릴 알코올(Allyl alcoh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비닐 말단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Vinyl terminated Polyurethane)에 모노머를 투입하면서 반응시켜 아크릴 변성 폴리우레탄을 제조할 수 있는데, 비닐 말단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및 모노머는 각각 비닐 말단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70 내지 90 중량% 및 모노머 10 내지 30 중량%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비닐 말단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에 모노머를 투입하면서 75 내지 80℃의 온도에서 1 내지 3 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아크릴 변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다.
모노머는 스티렌(Styrene),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아크릴릭 애시드(Acrylic acid) 및 아크릴 모노머(Acrylic mono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분산제는 시트지 조성물의 침전을 방지하고 분산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분산제로는 폴리에스터 폴리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Polyether-polydimethylsiloxane copolymer), 디메틸올 부타논산(DMBA), 디메틸올 프로피온산(DMPA), 메틸렌디에탄올아민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코팅층(112)은 시트지층(114) 상부에 형성되어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100)의 표면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형성되고, 코팅층(112)은 코팅액 조성물을 시트지층(114) 상부에 도포한 후 건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데, 코팅액 조성물은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전도성 고분자, 충진재 및 경화제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코팅액 조성물은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 내지 20 중량부, 전도성 고분자 0.5 내지 2.5 중량부, 충진재 1 내지 5 중량부 및 경화제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혼합될 수 있다.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는 자체 내에 유화시킬 수 있는 활성기를 가지고 있는 에폭시 수지로,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 당량이 200 내지 230g/eq인 자기유화형 변성 에폭시 수지가 사용됨으로써, 도막의 강도, 내후성, 내수성 등의 물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올 80~90 중량% 및 트리올 10~20 중량%를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을 무수산 40~50 중량% 및 지방족산 50~60 중량% 포함하는 다염기산과 축합 중합시켜 수산기값이 45~65mgKOH/g, 산값이 3mgKOH/g 이하, 유리전이온도가 5~20℃이며 중량평균분자량(Mw)이 2,500~3,50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 50~60 중량% 및 아크릴 단량체 40~50 중량%를 그래프트(graft) 시켜서 중량평균분자량(Mw) 5,000~7,000, 수산기값이 50~60mgKOH/g, 산값이 3mgKOH/g 이하, 및 유리전이 온도가 10~20℃ 범위인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에틸렌 디옥시티오펜(polyethylene dioxythiophene), 에폭시화아민 또는 지방산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는 코팅액 조성물에서 0.5 내지 2.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는데, 전도성 고분자가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대전방지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2.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코팅층의 물성이 약해질 수 있다.
충진재는 경도, 도막 형성 및 광택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충진재로는 탄산칼슘, 클레이, 탈크,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카올린, 마이카, 실리카,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황산바륨 및 바륨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함으로써, 경도, 내충격성, 방청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화제는 코팅액 조성물에 포함되어 상기 시트지층 상에서 반응하여 경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경화제로는 경화제수지 및 경화촉진제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경화제수지로는 변성 지방족 폴리아민이 사용될 수 있고, 경화촉진제로는 2,4,6-트리디메칠아미노메칠 페놀이 사용될 수 있는데, 경화제수지와 경화촉진제는 각각 경화제수지 5 내지 10 중량부 및 경화촉진제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프라이머층(116)은 시트지층(114) 하부에 위치하여 보호필름(120)과 시트지(110)를 접착시키는 제2 접착제인 핫멜트 접착층(140)과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형성되고, 프라이머층(116)은 프라이머 조성물을 시트지층(114) 하부에 도포한 후 건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데, 프라이머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Oligomer), 아크릴계 모노머(monomer), 광경화제, 용매,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천연고무, 발수제, 티오요소(Thiourea)류 화합물, 폴리아크릴산, 에틸렌글리콜, 포타슘포메이트(PF), 글루콘산나트륨 및 소포제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프라이머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Oligomer) 40 내지 60 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monomer) 20 내지 40 중량부, 광경화제 1 내지 3 중량부, 용매 100 내지 20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3 내지 7 중량부, 천연고무 0.1 내지 1 중량부, 발수제 0.5 내지 1.5 중량부, 티오요소(Thiourea)류 화합물 0.1 내지 1.5 중량부, 폴리아크릴산 5 내지 10 중량부, 인계 단량체 1 내지 5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1.5 중량부, 조막형성제 0.2 내지 0.6 중량부 및 소포제 0.1 내지 0.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자외선 경화성이고, 중량평균 분자량(Mw)이 3,000 내지 30,000인 화합물로서,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다이올과 이소시아네이트 및 아크릴레이트와 반응을 하여 형성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우레탄 결합을 반복단위로 포함하며, 통상적으로 유연한 물성을 보이는데,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종류가 다양하며, 사용된 이소시아네이트의 종류에 따라 지방족 우레탄아크릴레이트와 방향족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 나뉘어진다.
지방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무황변 타입이며, 통상 2 내지 20개의 관능기를 갖고, 방향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황변 타입이며, 반응성이 빠른 특성을 지닌다.
또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3 내지 15개의 관능기를 가질 수 있는데, 관능기의 수는 용매 및 광경화제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표면 경도 및 핫멜트 접착층과의 강한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관능기로서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무수물(anhydride), C=C 이중결합을 가진 아크릴레이트계 관능기(예를 들어,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등), SH기,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에테르류, 트리에틸렌글리콜레이트, 킬레이팅제(예를 들어, 아미노트리에탄올레이트, 아미노디에탄올레이트, 아세틸아세토네이트,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락테이트 등), 아민기, 아미드, 옥사졸린 및 카바메이트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모노머는 프라이머 조성물로 형성되는 프라이머층의 강도를 높여주고 프라이머 조성물의 점도를 낮추어 주는 희석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모노머는 아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sobornyl acrylate; IBXA),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Phenoxyethyl acrylate; PEA),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1,6-HDDA) 및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광경화제는 프라이머 조성물이 시트지층 하부에 도포된 후 자외선(UV)을 이용하여 광경화할 때, 자외선을 흡수하여 자유라디칼을 생성함으로써 반응을 개시하여 시트지층 하부에 도포된 프라이머 조성물을 중합 경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광경화제는 공지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광경화제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1-hydroxy cyclrohexyl phenyl ketone, Irgacure 184) 등의 하이드록시케톤계열, 알파-아미노아세토페논(α-Amino Acetophenone, Irgacure 907) 등의 아미노케톤 계열, 벤질디메틸케탈(Benzyl Dimethyl Ketal, Irgacure-651) 등의 벤질디메틸케탈 계열, 페닐 비스(2,4,6,-트리메틸 벤조일) (phenyl bis(2,4,6-trimethyl benzoyl), Irgacure 819) 등의 비스-아실 포스파인(bis-acyl phosphine) 계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TPO) 등의 모노-아실 포스파인(mono-acyl phosphine) 계열의 광경화제를 단독 또는 2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매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할 때 점도와 유동성을 조절하여 작업성 및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용매로는 에테르계 용매, 방향족 용매, 아세테이트계 용매, 케톤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또는 이들이 혼합된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테르계 용매로는 프로필렌그릴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에틸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2-에틸헥실에테르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 용매로는 톨루엔, 자일렌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아세테이트계 용매로는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케톤계 용매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알코올계 용매로는, 디아세톤알콜(DAA), n-부탄올,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은 우수한 선형성, 평평한 지그재그 입체형태(zig-zag conformation), 고결정성, pH 13.5 이상에서도 견디는 우수한 내알카리성, 우수한 접착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폴리비닐알콜은 고강도 및 고탄성율의 폴리비닐알콜 섬유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폴리비닐알콜은 전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물성적 특성과 다양한 적용 범위로 인해 그 응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폴리비닐알콜을 이용한 고강도 및 고탄성율 겔의 제조 및 고성능 폴리비닐알콜 섬유 제조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예로서, 폴리비닐알콜은 고분자 필름을 이용한 막 분리기술에 적용가능하다. 고분자 필름은 화학 공업 분야를 비롯하여, 생물 공학, 자원, 에너지, 환경 등 매우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액체 유기 혼합물 또는 유기물 수용액을 분리할 수 있는 투과 증발 분리법(pervaporation method)은 전통적인 증류법에 비하여 에너지 절약 및 장치 소형화 등 많은 이점이 있어, 무수알콜 제조 및 유기 혼합물의 분리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폴리비닐알콜은 고분자 필름 분야에서 그 활용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콜은 전기방사 기술로 미세섬유를 제조하는 기술에 적용이 가능하다. 전기방사기술로 미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은 고분자 수지용액에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방사구에서 토출되어 나오는 용액에 액체 젯(jet)의 형성을 유도하 고, 이때 용매의 휘발 중에 전기적인 반발력에 의한 연속적인 잡아늘림으로 굵기가 미세한 섬유가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전기방사기술을 이용할 경우 3차원 망상구조인 웹의 형태로 섬유사가 콜렉터에 쌓이게 되는데 이러한 미세섬유는 높은 비표면적 및 장력을 비롯한 기계적 물성 향상, 화학적 물성 향상 그리고 세포생체재료 인식특성 등을 갖게 된다. 따라서, 폴리비닐알콜은 미세섬유, 필터를 포함한 산업용 소재, 광화학 센서 소재, 바이오메디컬 소재, 미용 소재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천연고무(Natural rubber: NR)는 식물에서 생산되는 원료를 이용한 고무로서, 주로 고무나무에서 생산된 원료를 이용한다. 상기 천연고무는 일반적인 천연고무 또는 변성 천연고무일 수 있다.
일반적인 천연고무는 천연고무로서 알려진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고, 원산지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인 천연고무는 시스-1,4-폴리이소프렌을 주사슬로서 포함하지만, 요구 특성에 따라서 트랜스-1,4-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천연고무에는 시스-1,4-폴리이소프렌을 주사슬로서 포함하는 천연고무 외에, 예컨대 남미산 사포타과의 고무의 일종인 발라타 등 트랜스-1,4-폴리이소프렌을 주사슬로서 포함하는 천연고무도 포함할 수 있다.
변성 천연고무는, 일반적인 천연고무를 변성 또는 정제한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변성 천연고무로는 에폭시화 천연고무(epoxidized natural rubber), 탈단백 천연고무(Deprotein Natural Rubber), 수소화 천연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발수제는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폴리테트라플로오르에틸렌, 플로오르에틸렌프로필렌, 테트라플로오르에틸렌 페르플루오트알킬비닐에테르, 폴리불화비닐라덴 및 호모폴리머 폴리불화비닐라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티오요소류 화합물은 프라이머 조성물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티오요소류 화합물은 티오요소 (NH2)2CS 또는 일반식 (R1R2N)(R3R4N)C=S(여기서,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에틸기 또는 메틸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임)로 표현되는 티오요소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크릴산은 감수제로 유동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아크릴산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폴리아크릴산으로 WRM50(LG화학 사(社))이 사용될 수 있다.
인계 단량체는 상기 시트지층과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인계 단량체로는 비스[2-(메타크릴옥시)에틸] 포스페이트(Bis[2-(methacyloyloxy)ethyl] phosphate, DMEP), 2-(메타크릴옥시)에틸포스페이트 (2-(methacryloyloxy) ethyl phosphate, MMEP) 및 트리스 2-(메타크릴옥시)에틸 포스페이트(Tris(2-methacryloyloxy)ethyl phosphate, TME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테트라키스[메틸렌-3-(도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메탄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산화방지제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포함되어 사용됨으로써, 자외선 차단 및 경화 도막의 라디칼 분해를 억제할 수 있다.
조막형성제는 프라이머 조성물의 추가적인 저장 안정성 향상 및 균일한 막을 얻기 위한 최저온도(최저 조막온도 : MFFT)의 개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조막형성제로는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2,2,4-Trimethyl-1,3-Pentanediol monoisobutyrate)을 사용할 수 있다.
소포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소포제로는 Agitan 295(독일 Munzing 사(社))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시트지(110)와 보호필름(120)을 접착시키는 제2 접착제일 수 있는 핫멜트 접착층(140)은 열가소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열가소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제는 열에 의해 액상화되어 피착재(즉, 프라이머층의 하부면)에 도포됨으로써 접착을 발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제형 접착제는 액상화하는 기재로 유기용매를 사용하고 있어 사용 중 유기용제의 휘발에 의한 환경오염과 화재 위험이 늘 상존하게 된다. 이에 반해 핫멜트 접착제는 유기용제를 포함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면서 인체에도 유해성이 없어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핫멜트 접착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나 스티렌계, 올레핀계를 주요 수지로 하여 점착 부여 수지와 왁스, 기타첨가제 등을 구성 성분으로 포함하는데, 상기 점착 부여 수지로는 로진과 그 유도체, C5, C9 석유수지, 테르펜 수지 등이 사용되며, 왁스로는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핫멜트 접착층(140)을 형성하기 위한 핫멜트 접착제로는 공지된 선우케미칼사의 핫멜트 접착제(SBS 공중화합체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선우케미칼사의 핫멜트 접착제는 SIS COPOLYMER((Polystyrene-Polyisoprene-Polystyrene)(CAS NO. 25038-32-8) 15 중량%, 탄화수소 수지(HYDROCARBON RESIN)(CAS NO. 69430-35-9) 25 중량%, 로진 에스터(ROSIN ESTER)(CAS NO. 68038-41-5) 45 중량%, 파라핀유(PARAFFINE OIL)(CAS NO. 64742-54-7) 10 중량% 및 산화방지제(ANTIOXIDANT, 경화제)(CAS NO. 6683-19-8) 5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핫멜트 접착제에 관한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호필름(120)은 핫멜트 접착층(140) 하부에 부착되고, 핫멜트 접착층(140)을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는데, 보호필름(120)에 관한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시트지(11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의 제조방법을 다시 한 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트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트지층(11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시트지 조성물은 팽창흑연분말 3 내지 7 중량부, 겔라이트 2 내지 4 중량부, 흑운모 1 내지 3 중량부, 한지 1 내지 5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100 내지 300 중량부 및 분산제 3 내지 7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어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시트지층(114) 상부에 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코팅층(112)을 형성하였다.
이때, 코팅액 조성물은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 내지 20 중량부, 전도성 고분자 0.5 내지 2.5 중량부, 충진재 1 내지 5 중량부 및 경화제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어 제조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시트지층(114) 하부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프라이머층(116)을 형성함으로써, 코팅층(112), 시트지층(114) 및 프라이머층(116)으로 이루어진 시트지(1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프라이머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Oligomer) 40 내지 60 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monomer) 20 내지 40 중량부, 광경화제 1 내지 3 중량부, 용매 100 내지 20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3 내지 7 중량부, 천연고무 0.1 내지 1 중량부, 발수제 0.5 내지 1.5 중량부, 티오요소(Thiourea)류 화합물 0.1 내지 1.5 중량부, 폴리아크릴산 5 내지 10 중량부, 인계 단량체 1 내지 5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1.5 중량부, 조막형성제 0.2 내지 0.6 중량부 및 소포제 0.1 내지 0.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시트지(110)를 구성하는 프라이머층(116) 하부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여 핫멜트 접착층(140)을 형성하고, 핫멜트 접착층(140) 하부에 보호필름(120)을 부착함으로써,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100)를 제조할 수 있다.
< 실시예 >
먼저, 시트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트지층을 형성하고, 시트지층 상부에 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시트지층 하부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함으로써, 코팅층, 시트지층 및 프라이머층으로 이루어진 시트지(110)를 형성하였다.
그 다음으로, 시트지를 구성하는 프라이머층 하부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여 핫멜트 접착층을 형성하였고, 상기 핫멜트 접착층 하부에 보호필름을 부착함으로써,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시트지 조성물은 팽창흑연분말 5 중량부, 겔라이트 3 중량부, 흑운모 2 중량부, 한지 3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200 중량부 및 분산제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어 제조되었다.
또한, 코팅액 조성물은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30 중량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5 중량부, 전도성 고분자 1.5 중량부, 충진재 3 중량부 및 경화제 2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어 제조되었다.
또한, 프라이머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Oligomer) 50 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monomer) 30 중량부, 광경화제 2 중량부, 용매 15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5 중량부, 천연고무 0.5 중량부, 발수제 1 중량부, 티오요소(Thiourea)류 화합물 1 중량부, 폴리아크릴산 8 중량부, 인계 단량체 3 중량부, 산화방지제 1 중량부, 조막형성제 0.4 중량부 및 소포제 0.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어 제조되었다.
< 비교예 >
실시예와 동일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을 제조하였는데, 비교예에서는 실시예와 달리 코팅층과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지 않았다.
1. 내마모성 실험
실시예와 같이 제조된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의 내마모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 방법 : KS F 3126 기준, (초기마모도+최종마모도)/2 = 350회 이상이면 합격
시료 규격 : 지름 100mm 실험용 원판을 제작하여 실험
품질 기준 : 마모륜 S-42로 회전수 200마다 새 마모륜으로 교체하여 실험
시험항목 마모륜 시험결과 결과 비고
초기 마모점 최종 마모점
내마모성 S-42 410회 500회 455회 합격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의 내마모성 실험에서 초기 마모점은 410회이고, 최종 마모점은 500회를 나타냈고, 우수한 내마모성 특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물성 측정
실시예와 같이 제조된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시험방법
내찍힘성(mm) 93 드라이버 낙하
이상무 플라스틱 자
내캐스터성(caster, 의자바퀴) 이상무 55kg, 1000회 왕복
내스크래치성(N) 1.7 다이아몬드 칩
코인 스크래치성(coin scratch) 이상무 11kg x 500mm/sec
코인(coin) 찍힘성 이상무 1,000mm/sec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은 내구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발연성 측정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의 발연성을 측정하였고, 이에 대한 측정 기준을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고, 측정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등급 시험 항목 시험조건 적합기준
불연재료
(1급)
불연성
(전기로 연소)
최고온도와 최종평형 온도와의온도차(℃) 750℃,
20분 연소
20℃ 이하
질량감소율 30% 이하
가스유해성 평균행동정지시간 마우스 9분 이상
준불연재료
(2급)
콘칼로리미터 총열방출량(MJ/m2) 약 800℃,
10분 연소
8 MJ/m2 이하
열방출율이 20kW/m2를 초과하는 시간(초) 10초 이하
심재의 전부용융, 관통하는 균열 및 구멍 등의 변화 육안 심재의 균열, 구멍 및 용융이 없을 것
가스유해성 평균행동정지시간 마우스 9분 이상
난연재료
(3급)
콘칼로리미터 총열방출량(MJ/m2) 약 800℃,
5분 연소
8 MJ/m2 이하
열방출율이 20kW/m2를 초과하는 시간(초) 10초 이하
심재의 전부용융, 관통하는 균열 및 구멍 등의 변화 육안 심재의 균열, 구멍 및 용융이 없을 것
가스유해성 평균행동정지시간 마우스 9분 이상
실시예 기준
콘칼로리미터 총방출률(MJ/m2) 4.28 8 MJ/m2 이하
열방출율이 20kW/m2를 초과하는 시간(초) 0 10초 이하
심재의 전부용융, 관통하는 균열 및 구멍 등의 변 없음 심재의 균열, 구멍 및 용융이 없을 것
발연 없음 -
판정 난연 2급 상당
[표 4]에 나타낸 것처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은 난연성이 우수하여 난연 2급에 해당하는 물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점착력 등 물성 측정
실시예,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의 점착력 등 물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점착력(gf/mm) 7 5
정전기발생 1011 이하 1011 이하
필름 stiffness 4 2
이물질 개수(ea/mm3) 1개 이하 2개 이하
인장강도(kg/cm3) 366 310
신율(%) 820 740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의 점착력, 정전기 발생 특성, 이물질 개수, 인장강도, 신율 등의 물성이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표면 평활성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의 표면을 전등광에 비추어, 기울기 20~30도의 방향에서 관찰하여, 표면층의 균일성(미시적)인 응집의 유무 및 코팅층의 표면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요철 또는 주름의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그 등급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A : 표면층에 미시적인 응집이 없이 균일하고, 또한 코팅층에 요철이나 주름이 확인되지 않는다.
B : 표면층에 미시적인 응집이 보이지만 매우 경미하고, 또한 코팅층에 요철이나 주름이 확인되지 않는다.
C : 표면층에 미시적인 응집이 보이지만, 코팅층에 요철이나 주름이 확인되지 않는다.
D : 표면층에 미시적인 응집이 현저히 보이고, 또한 코팅층에도 요철이나 주름이 보인다.
6. 연필경도
연필경도 시험기(PHT, 한국 석보과학사제)를 이용하여 500g 하중을 걸고 연필경도를 측정하였다. 연필은 미쯔비시 제품을 사용하고, 하나의 연필 경도당 5회 실시하였다. 흠집이 2개 이상이면 불량으로 판정하였으며, 불량이 발생하기 이전의 연필로 연필경도를 표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흠집 개수 0 : OK
흠집 개수 1 : OK
흠집 개수 2 이상 : No Good
7. 내스크래치성
스틸울테스트기(WT-LCM100, 한국 프로텍사제)를 이용하여 1kg/(2cm x 2cm) 하에서 10회 왕복 운동시켜 내스크래치성을 시험하였다. 스틸울은 #0000을 사용하였으며, 그 등급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A : 스크래치가 0개
A': 스크래치가 1~10개
B : 스크래치가 11~20개
C : 스크래치가 21~30개
D : 스크래치가 31개 이상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의 물성 측정 결과
구분 표면 평활성 연필 경도 내스크래치성
실시예 A 4H A
비교예 A 1H C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은 연필경도가 4H로 표면 경도가 우수하고, 표면 평활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인스트루먼트 패널 100 : 보호스킨
110 : 시트지 112 : 코팅층
114 : 시트지층 116 : 프라이머층
120 : 보호필름 122 : 파지부
130 : 이형지 14- : 핫멜트 접착층

Claims (9)

  1. 부착하고자 하는 패널의 형상에 맞게 미리 설계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시트지층과, 상기 시트지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코팅층 및 상기 시트지층 하부에 위치하는 프라이머층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지층은 시트지 조성물을 배합한 후 건조하여 형성되되, 상기 시트지 조성물은 팽창흑연분말 3 내지 7 중량부, 겔라이트 2 내지 4 중량부, 흑운모 1 내지 3 중량부, 한지 1 내지 5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100 내지 300 중량부 및 분산제 3 내지 7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시트지;
    상기 시트지의 일 면에 도포되는 제1 접착층에 의해 부착되는 이형지;
    상기 시트지의 타 면에 도포되는 제2 접착층에 의해 부착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지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패널의 표면을 이루지 않는 부위에는 빈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지와 상기 이형지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필름은 일정 너비 및 일정 높이의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시트지의 표면과 상기 공간부를 모두 메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의 전체 너비 및 높이는, 상기 시트지의 전체 너비 및 높이에 비하여 전후좌우 측으로 일정 너비만큼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파지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코팅액 조성물을 상기 시트지층 상부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형성되되, 상기 코팅액 조성물은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 내지 20 중량부, 전도성 고분자 0.5 내지 2.5 중량부, 충진재 1 내지 5 중량부 및 경화제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프라이머 조성물을 상기 시트지층 하부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형성되되,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Oligomer) 40 내지 60 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monomer) 20 내지 40 중량부, 광경화제 1 내지 3 중량부, 용매 100 내지 20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3 내지 7 중량부, 천연고무 0.1 내지 1 중량부, 발수제 0.5 내지 1.5 중량부, 티오요소(Thiourea)류 화합물 0.1 내지 1.5 중량부, 폴리아크릴산 5 내지 10 중량부, 인계 단량체 1 내지 5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1.5 중량부, 조막형성제 0.2 내지 0.6 중량부 및 소포제 0.1 내지 0.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시트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트지층을 형성하되, 상기 시트지 조성물은 팽창흑연분말 3 내지 7 중량부, 겔라이트 2 내지 4 중량부, 흑운모 1 내지 3 중량부, 한지 1 내지 5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100 내지 300 중량부 및 분산제 3 내지 7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어 제조되고,
    상기 시트지층 상부에 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되, 상기 코팅액 조성물은 자기유화형 에폭시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 내지 20 중량부, 전도성 고분자 0.5 내지 2.5 중량부, 충진재 1 내지 5 중량부 및 경화제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어 제조되며,
    상기 시트지층 하부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되,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Oligomer) 40 내지 60 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monomer) 20 내지 40 중량부, 광경화제 1 내지 3 중량부, 용매 100 내지 20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3 내지 7 중량부, 천연고무 0.1 내지 1 중량부, 발수제 0.5 내지 1.5 중량부, 티오요소(Thiourea)류 화합물 0.1 내지 1.5 중량부, 폴리아크릴산 5 내지 10 중량부, 인계 단량체 1 내지 5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1.5 중량부, 조막형성제 0.2 내지 0.6 중량부 및 소포제 0.1 내지 0.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어 제조된 시트지를 패널의 형상에 맞게 미리 설계된 패턴으로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시트지의 일 면에 제1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시트지의 일 면에 도포된 제1 접착층에 이형지를 부착하는 단계;
    (d) 상기 시트지의 타 면에 제2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e) 상기 시트지의 타 면에 도포된 제2 접착층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프라이머층 하부에 제2 접착제인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여 핫멜트 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핫멜트 접착층 하부에 보호필름을 부착하여 보호스킨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의 제조방법.
KR1020200075184A 2020-02-07 2020-06-19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0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813 2020-02-07
KR20200014813 2020-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481B1 true KR102230481B1 (ko) 2021-03-22

Family

ID=75222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184A KR102230481B1 (ko) 2020-02-07 2020-06-19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48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433U (ja) * 1992-04-30 1993-12-07 株式会社静晃 物品保護用粘着シート
KR20150022258A (ko) 2013-08-22 2015-03-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인스트루먼트 패널
JP2016026907A (ja) * 2014-06-30 2016-02-18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内外装部品
KR101674218B1 (ko) 2010-12-23 2016-11-22 주식회사 두산 스킨시트-포움시트 조립체 제작지그, 그를 이용한 스킨시트-포움시트 조립체 제작방법 및 스킨시트-포움시트 조립체를 구비한 인스트루먼트패널
KR101882756B1 (ko) * 2017-05-10 2018-07-27 주식회사 크래프트맨 방오성 및 스크래치 복원성을 가지는 표면 코팅 필름층을 포함하는 접착 시트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30939A (ko) * 2017-09-15 2019-03-25 창조산업 주식회사 곡면 부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필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433U (ja) * 1992-04-30 1993-12-07 株式会社静晃 物品保護用粘着シート
KR101674218B1 (ko) 2010-12-23 2016-11-22 주식회사 두산 스킨시트-포움시트 조립체 제작지그, 그를 이용한 스킨시트-포움시트 조립체 제작방법 및 스킨시트-포움시트 조립체를 구비한 인스트루먼트패널
KR20150022258A (ko) 2013-08-22 2015-03-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인스트루먼트 패널
JP2016026907A (ja) * 2014-06-30 2016-02-18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内外装部品
KR101882756B1 (ko) * 2017-05-10 2018-07-27 주식회사 크래프트맨 방오성 및 스크래치 복원성을 가지는 표면 코팅 필름층을 포함하는 접착 시트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30939A (ko) * 2017-09-15 2019-03-25 창조산업 주식회사 곡면 부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0673B1 (de) Lackierte Folien
EP2086739B1 (de) Bedruckte, verformbare folien
EP1809461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insbesondere zur anwendung im automobilbau, und hierfür geeignete, eine beschichtung aufweisende folien
EP1809462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insbesondere zur anwendung im automobilbau, und hierfür geeignete, eine beschichtung aufweisende folien
KR102176226B1 (ko) 항균성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EP1218459A1 (de) Mit aktinischer strahlung aktivierbare bindungen enthaltendes festes stoffgemisch und seine verwendung
TW201418379A (zh) 能量射線硬化型樹脂組成物、硬化物及積層體
JP2010222568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膜及び積層体
JP2010222524A (ja) フィルム保護層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WO2002074872A9 (de) Verfahren zum beschichten mikropöroser oberflächen
EP1228115B1 (de) Polymerisierbare olefinisch ungesättigte doppelbindungen enthaltende feste aliphatische polyurethane auf der basis linearer diisocyanate und ihre verwendung
WO2020137161A1 (ja) クリヤー塗料組成物及びクリヤー塗膜の形成方法
EP1218460B2 (de) Verwendung von assoziativen verdickungsmitteln auf polyurethanbasis und/oder von dipropylenglykolmonoalkylethern in farb- und/oder effektgebenden mehrschichtlackierungen
JP2010260905A (ja) 光硬化性組成物
DE10248324A1 (de) Thermisch und mit aktinischer Strahlung härtbarer Beschichtungsstoff und Verfahren zum Beschichten miktoporöser Oberflächen
KR102135048B1 (ko)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시트 및 그 제조방법
EP1885536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ine beschichtung aufweisenden folien, die so erhaltenen folien, sowie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insbesondere zur anwendung im automobilbau
KR102230481B1 (ko)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스킨 및 이의 제조방법
JP7404656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樹脂硬化物、積層フィルム、転写フィルム及び積層体
JP7061531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自己修復性材料
DE102005049520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insbesondere zur Anwendung im Automobilbau, und hierfür geeignete, eine Beschichtung aufweisende Folien
WO2001057109A1 (de) Thermisch und/oder mit aktinischer strahlung härtbarer wässriger beschichtungsstoff und seine verwendung
KR101184216B1 (ko) 내스크래치 난연성이 개선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 조성물
WO2003022937A1 (de) Thermisch und mit aktinischer strahlung härtbare polysiloxan-sol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2005049521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insbesondere zur Anwendung im Automobilbau, und hierfür geeignete, eine Beschichtung aufweisende Foli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