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276B1 -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276B1
KR102230276B1 KR1020200117964A KR20200117964A KR102230276B1 KR 102230276 B1 KR102230276 B1 KR 102230276B1 KR 1020200117964 A KR1020200117964 A KR 1020200117964A KR 20200117964 A KR20200117964 A KR 20200117964A KR 102230276 B1 KR102230276 B1 KR 102230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rce
manhole
transmission unit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혁
Original Assignee
더본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본테크(주) filed Critical 더본테크(주)
Priority to KR1020200117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9/005Lifting devices for manhole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18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with implements to assist in lifting, e.g. counterweights,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은 장방향의 몸체로 형성되며 일측에서 제공하는 임의의 힘이 타측으로 전달되는 포스 트랜스밋 유닛;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소정의 위치에 제공되어 지면으로부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을 지지하며, 포스 트랜스밋 유닛에 서포팅 포인트를 제공하는 홀딩 브릿지 유닛; 및 상측이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타측에 관통되어 걸림으로 제공되어 포스 트랜스밋 유닛을 따라 전후 이동하며, 하측이 맨홀에 홀딩되어 맨홀을 오픈하는 오픈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Leverage system for opening manhole by controlling of ratio of the distance}
본 발명은 맨홀을 오픈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오픈 가이드 유닛의 전후 이동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공급된 힘이 레버리지 시스템을 통해 맨홀을 오픈하는 힘으로 전달되는 것을 콘트롤 하기 위한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맨홀은 하수관 내의 점검, 청소, 파이프의 연결이나 접함을 위해 사람이 출입하는 시설로 관로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관로 중간에 맨홀을 통해 수직으로 내려가는 통로를 만들어 수직으로 구멍을 내고 맨홀 뚜껑으로 막아 놓는다.
맨홀 뚜껑의 재질과 형태는 다양하며 종류별로 그 폭과 두께, 무게까지 매우 다양하다. 우리나라는 시험 하중(test load)의 규격에 머물러야 하며, 내부성, 미끄럼 저항성, 잠금 장치 등과 같은 규정을 가지고 품질을 분류하는 유럽도 존재한다.
하수도법시행규칙 제5조에 따르면 맨홀 및 물받이는 주철제 또는 철근 콘크리트제등으로 된 뚜껑을 설치해야하며, 이는 맨홀이 보행로나 도로의 상부에 노출되어 있음으로 하중으로부터 안정적인 구조를 확보하기 위함이며, 충격등의 의하여 맨홀의 커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맨홀은 하중을 견뎌야 함에 있어 무게 또한 상당하며 약 100키로그램에서부터 300키로그램이 넘는 것까지 다양하여 임의로 개방하는 것이 매우 힘들며, 전용 공구를 통해 맨홀의 뚜껑을 오픈할 수 있도록 하는바, 맨홀을 오픈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선행 특허문헌(등록 실용신안)으로서 "맨홀뚜껑 잠금장치 및 맨홀뚜껑 개폐용 작업공구(등록번호 제 20-0491356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1의 경우, 맨홀뚜껑의 맨홀 프레임과 상부에 안착되는 커버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커버의 키홈 바닥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핀; 회전에 의하여 맨홀 프레임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하부로 잠금턱이 형성되는 잠금편; 및 잠금편과 키홈의 바닥부 사이에 가이드핀이 관통하도록 상하로 구비되어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선행 특허문헌으로서"맨홀뚜껑 개폐장치(공개번호 제10-2012-0097809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일단부가 소정각도 절곡되어 제1 걸림구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외력이 작용하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아암; 아암의 절곡된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 걸림구; 및 아암의 중단부에 형성되며, 외력의 작용시 바닥면에 접촉하여 지지점이 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맨홀뚜껑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선행 특허문헌(등록 실용신안)으로서"맨홀뚜껑 개폐기 (등록번호 제20-0219102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3의 경우, 도로등에 시설된 맨홀뚜껑을 개폐시 현장에서 작업자1인이 쉽고도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하여 작업의 능률을 높이고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맨홀뚜껑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3의 경우, 강철금속으로 이루어 지고, 맨홀투껑을 개방하기 위해 맨홀고리에 끼워넣는 회전식갈고리와 갈고리를 연결하는 연결축 및 연결핀과 연결부로 형성하며 맨홀뚜껑 개방시 지지하는 강철로된 까치발 및 며느리발톱으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개폐기자루에 연결되는 개방고리단(100)과 강철로된 귀때기 갈고리와 후술하는 개폐기자루에 연결되며 맨홀뚜껑 틈새에 끼워 뚜껑을 드는 강철로된 들창부분, 맨홀뚜껑 구멍에 끼워 맨홀뚜껑을 이동하기 위한 며느리발톱으로 형성하는 들창부(200)와 상기 들창부에 연결되고 개방고리단에 연결되며 스텐레스강파이프 로 구성된 개폐기자루(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존의 선행 특허문헌들은 맨홀이 오픈되는 방식에 대한 연구만이 진행되어 있을 뿐 사용자가 전달하는 힘과 맨홀이 오픈되는 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91356호 공개번호 제10-2012-0097809호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19102호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힘으로 맨홀을 오픈하는 최적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맨홀에 걸림으로 맨홀을 오픈하되, 맨홀에 적용되는 힘의 작용점을 조절하여 맨홀 오픈에 대한 최적의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지면과 접촉되는 다리는 지면과의 마찰력을 형성하여 맨홀 오픈 시 지지하는 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은 장방향의 몸체로 형성되며 일측에서 제공하는 임의의 힘이 타측으로 전달되는 포스 트랜스밋 유닛(force transmit unit);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소정의 위치에 제공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에 서포팅 포인트(supporting point)를 제공하는 홀딩 브릿지 유닛; 및 상측이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타측에 관통되어 걸림으로 제공되어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을 따라 전후 이동하며, 하측이 맨홀에 홀딩되어 맨홀을 오픈하는 오픈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은, 타단에 제공되어 상기 오픈 가이드 유닛의 이격을 방지하는 스톱퍼(stopper)부; 및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일단에 제공되어 임의의 힘을 제공받으며, 상기 임의의 힘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일단이 상하 운동하도록 하는 포스 트리거링(force trigger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상기 홀딩 브릿지 유닛은,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하측에 고정 부착되어 제공되며, 하단이 상기 지면과 접촉하며, 상단이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을 지지하도록 하는 상기 서포팅 포인트 제공하여 상기 서포팅 포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임의의 힘의 방향 이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은, 상기 홀딩 브릿지 유닛을 중심으로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이 상하 운동하며,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일측의 운동과 반대의 방향으로 상기 포스 트랜드밋 유닛의 타측이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상기 오픈 가이드 유닛은, 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이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외주면을 슬라이딩하며 전후 이동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연장되어 제공되며, 하단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맨홀에 걸림으로 맨홀을 오픈하는 앵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상기 오픈 가이드 유닛은, 상기 서포팅 포인트로부터 상기 오픈 가이드 유닛까지의 거리(
Figure 112020097464871-pat00001
)를 조절하며,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일단에서 제공된 상기 임의의 힘(
Figure 112020097464871-pat00002
)이 상기 서포팅 포인트를 따라 상기 오픈 가이드 유닛의 작용점(
Figure 112020097464871-pat00003
)에 제공되어 상기 맨홀 뚜껑으로 전달되되, 상기 오픈 가이드 유닛은, 하기의 식(1)을 통해 작용점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식(1):
Figure 112020097464871-pat00004
(여기서,
Figure 112020097464871-pat00005
= 임의의 힘,
Figure 112020097464871-pat00006
=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일단에서 서포팅 포인트까지의 거리,
Figure 112020097464871-pat00007
= 작용점,
Figure 112020097464871-pat00008
= 서포팅 포인트에서 오픈 가이드 유닛까지의 거리)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상기 홀딩 브릿지 유닛은,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으로부터 양측으로 힘을 분산하도록 형성되는 레그부; 및 상기 지면과의 마찰력을 형성하도록 하단에 제공되는 프릭션(friction)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상기 프릭션부는, 상기 지면과 접촉하는 상기 프릭션부의 하단에 복수 개로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지면을 가압하는 복수 개의 브랜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브랜치부는, 탄성력을 구비한 소재로 제공되어, 상기 프릭션부가 외부로부터 가압을 받으면 상기 가압에 의해 방사상으로 구조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상기 프릭션부는, 각각의 브랜치부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 개의 브랜치부의 구조 변형이 발생되면 상기 지면과 상기 프릭션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이너 키핑부; 상기 프릭션부의 상단에 제공되어 상기 각각의 레그부의 하단과 접촉하며 상기 레그부의 하단과 마찰력을 형성하는 클러치(clutch)부; 및 상기 클러치부로부터 하향 오목하도록 제공되어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프릭션부와 상기 레그부 사이에 마찰력을 조절하는 클러치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상기 오픈 가이드 유닛은, 상기 앵커링부의 하단에 복수 개로 제공되며, 상기 앵커링부의 하단이 상기 맨홀에 고정될 때, 상기 앵커링부의 하단과 상기 맨홀 사이에 마찰력을 형성시키는 그루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상기 오픈 가이드 유닛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상기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일단까지 연장 연결되며,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을 따라 장력이 인가되어 상기 오픈 가이드 유닛의 전후 움직임이 조절되도록 하는 텐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포스 트랜스밋 유닛을 관통하며 슬라이딩하며 전후 이동하는 오픈 가이드 유닛을 통해 맨홀 뚜껑에 가해지는 힘의 조절이 선택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하단에서 지지하는 홀딩 브릿지 유닛을 통해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지렛대 효과를 통하여 최소한의 힘을 통해 맨홀 뚜껑을 오픈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지면과 접촉하는 홀딩 브릿지 유닛의 하단에 프릭션부를 제공하여 외부 힘에 대한 프릭션부의 구조 변형으로 지면과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맨홀 오픈 시 지면을 단단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제2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프릭션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4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서포팅 포인트로부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일단과 타단의 거리에 따라 작용점의 힘의 조절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오픈 가이드 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제2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프릭션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4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서포팅 포인트로부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일단과 타단의 거리에 따라 작용점의 힘의 조절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오픈 가이드 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 트랜스밋 유닛(force transmit unit, 100), 홀딩 브릿지 유닛(200), 오픈 가이드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경우, 장방향의 몸체로 형성되며 일측에서 제공하는 임의의 힘이 타측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은, 긴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외의 밑면의 모양에 따라 삼각기둥, 사각기둥 등의 각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은 긴 장방향에서 일측으로는 외부로부터 힘을 받으며, 타측으로는 외부로부터 받은 힘을 전달받을 수 있다.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임의의 힘은 사용자가 맨홀을 오픈하기 위하여 설정한 힘에 해당하며, 사용자로부터의 힘이 일측에 제공되고, 타측으로는 맨홀을 오픈하기 위한 힘이 전달되어질 수 있다.
홀딩 브릿지 유닛(200)의 경우,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소정의 위치에 제공되어 지면으로부터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을 지지하며,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에 서포팅 포인트(supporting point, P)를 제공할 수 있다.
홀딩 브릿지 유닛(2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이 지면과 접촉하고, 상측이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을 지지하도록 하는 다리 역할을 하며, 지면으로부터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이 일정간격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도록 지지한다.
홀딩 브릿지 유닛(200)이 고정하여 지지하고 있는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위치를 서포팅 포인트(P)라 할 수 있다.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에서 서포팅 포인트(P)는 사용자가 힘을 제공하는 위치와 맨홀을 오픈하고자 하는 위치의 중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포팅 포인트(P)를 중간에 두고 사용자가 제공하는 힘의 방향과 맨홀을 오픈하는 힘의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서포팅 포인트(P)를 중심으로 일측에서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힘을 받아 움직이며, 타측에는 일측에서 제공된 힘의 방향과 반대로 움직여 맨홀을 오픈할 수 있게 된다.
오픈 가이드 유닛(300)의 경우, 상측이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타측에 관통되어 걸림으로 제공되어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을 따라 전후 이동하며, 하측이 맨홀에 홀딩되어 맨홀을 오픈할 수 있다.
오픈 가이드 유닛(300)은, 상측은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을 관통하는 홀을 통해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에 관통되어 제공되며,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 중 서포팅 포인트(P)로부터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타측까지 전후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오픈 가이드 유닛(300)의 하측은 맨홀을 오픈 시키는 힘이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으로부터 전달되며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일측에서 사용자가 제공한 힘이 전달되어 맨홀을 오픈 시킬 수 있다.
오픈 가이드 유닛(300)의 전후 이동을 통하여 사용자가 제공하는 힘의 최소화를 통해 맨홀을 오픈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경우, 스톱퍼(stopper)부(110), 포스 트리거링(force triggering)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톱퍼부(110)의 경우,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타단에 제공되어 오픈 가이드 유닛(300)의 이격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톱퍼부(1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타단에 제공되며, 오픈 가이드 유닛(300)의 홀을 반경보다 크게 제공되어 오픈 가이드 유닛(300)이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스 트리거링(force triggering)부(120)의 경우,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일단에 제공되어 임의의 힘을 제공받으며, 임의의 힘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일단이 상하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포스 트리거링부(120)는, 사용자가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임의 위치에서 힘을 주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에 힘이 가해지면 힘을 위치에서 받는 방향으로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이 이동하며, 이때 힘이 가해지는 위치가 포스 트리거링부(12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스 트리거링부(120)는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홀딩 브릿지 유닛(200)으로부터 충분한 공간을 두고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포스 트리거링부(120)에서 제공되는 힘의 크기에 따라 홀딩 브릿지 유닛(200)을 중심으로 돌림힘이 형성되며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타측에는 포스 트리거링부(120)에서 제공된 힘과 동일한 힘이 맨홀을 오픈하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포스 트리거링부(120)는 돌림힘이 유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힘의 크기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힘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홀딩 브릿지 유닛(200)의 경우, 포스 트랜스밋 유닛(120)의 하측에 고정 부착되어 제공되며, 하단이 지면과 접촉하며, 상단이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을 지지하도록 하는 서포팅 포인트(P) 제공하여 서포팅 포인트(P)를 중심으로 임의의 힘의 방향 이동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서포팅 포인트(P)가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일측과 타측의 사이에 형성됨으로 인하여 일측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힘의 방향은 서포팅 포인트(P)를 중심으로 힘의 방향 이동이 발생되어 임의의 힘의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이 타측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서포팅 포인트(P)는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타측에 가깝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측에서 제공되는 힘에 대하여 타측에 제공되는 힘이 커지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즉,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일측에서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임의의 힘이 홀딩 브릿지 유닛(200)을 중심으로 힘의 방향이 변경되게 되며, 홀딩 브릿지 유닛(200)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힘의 방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에서 홀딩 브릿지 유닛(200)이 지지하고 있는 지점은 서포팅 포인트(P)가 되며, 서포팅 포인트(P)를 기점으로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에 회전하는 힘이 작용하게 되며, 이 회전하는 힘을 통하여 중량의 맨홀 뚜껑을 들어 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경우, 홀딩 브릿지 유닛(200)을 중심으로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이 상하 운동하며,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일측의 운동과 반대의 방향으로 포스 트랜드밋 유닛(100)의 타측이 운동할 수 있다.
홀딩 브릿지 유닛(200)이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제공됨으로 통하여 서포팅 포인트(P)가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어느 한 지점에 제공되며 이 서포팅 포인트(P)를 중심으로 일측에서 제공되는 힘이 타측에서는 반대의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일측에서 아래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였다면,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타측에서는 위 방향으로 맨홀을 들어 올리는 힘이 작용하는 것이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포팅 포인트(P)를 중심으로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이 회전하며 서포팅 포인트(P)가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사이에 형성됨을 통하여 최소한의 힘으로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오픈 가이드 유닛(300)의 경우, 가이드부(310) 및 앵커링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310)의 경우,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며, 관통홀의 내주면이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외주면을 슬라이딩하며 전후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310)는, 관통홀을 통해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에 관통되어 걸리며, 내주면이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외주면을 슬라이딩하며 전후 이동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10)는 홀딩 브릿지 유닛(200)과 스톱퍼부(110) 사이를 전후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부(310)의 내주면의 반경은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외주면의 반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맨홀을 오픈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가이드부(310)와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이격 정도는 크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앵커링부(320)의 경우, 가이드부(310)의 하부에 연장되어 제공되며, 하단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맨홀에 걸림으로 맨홀을 오픈할 수 있다.
앵커링부(320)는 가이드부(310)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가이드부(310)에서 하단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이 맨홀 뚜껑을 향해 이동하면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맨홀 뚜껑에 형성된 홀 또는 걸림고리 등에 걸려 홀딩되도록 할 수 있다.
앵커링부(32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을 통해 홀딩된 맨홀은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일측에서 제공되는 힘에 의해 맨홀의 뚜껑이 오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홀이나 걸림고리가 형성되지 않는 맨홀의 뚜껑에는 앵커링부(320)의 하단의 압박으로 인하여 맨홀의 뚜껑 일측에 뒤틀림이 발생하여 오픈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오픈 가이드 유닛(300)은, 서포팅 포인트(P)로부터 오픈 가이드 유닛(300)까지의 거리(
Figure 112020097464871-pat00009
)를 조절하며,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일단에서 제공된 임의의 힘(
Figure 112020097464871-pat00010
)이 서포팅 포인트(P)를 따라 오픈 가이드 유닛(300)의 작용점(
Figure 112020097464871-pat00011
)에 제공되어 맨홀 뚜껑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오픈 가이드 유닛(300)이 전후 이동함을 통하여 맨홀 뚜껑으로 전달되는 힘의 크기가 상이하게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전달되는 힘의 크기는 오픈 가이드 유닛(300)이 위치하는 곳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이드 유닛(300)이 이동되어 위치하는 곳이 작용점이며 작용점은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일단에서 제공된 힘이 홀딩 브릿지 유닛(200)을 지나 이동되어 힘이 맨홀 뚜껑으로 작용하는 곳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작용점은 가이드 유닛(300)의 이동에 따라 조절되며, 하기의 식(1)을 통해 작용점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식(1):
Figure 112020097464871-pat00012
여기서,
Figure 112020097464871-pat00013
= 임의의 힘,
Figure 112020097464871-pat00014
=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일단에서 서포팅 포인트까지의 거리,
Figure 112020097464871-pat00015
= 작용점,
Figure 112020097464871-pat00016
= 서포팅 포인트에서 오픈 가이드 유닛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일단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힘인
Figure 112020097464871-pat00017
은 타단에서
Figure 112020097464871-pat00018
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Figure 112020097464871-pat00019
는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일단에서 서포팅 포인트까지의 거리인
Figure 112020097464871-pat00020
과 서포팅 포인트에서 오픈 가이드 유닛까지의 거리인
Figure 112020097464871-pat00021
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식(2):
Figure 112020097464871-pat00022
따라서, 임의의 힘이 제공되는 포스 트리거링부(120)가 서포팅 포인트(P)에서 멀게되면, 임의의 힘이 작더라도 작용점(
Figure 112020097464871-pat00023
)에서의 힘은 커지게 되며 작용점의 힘은 맨홀을 오픈하는 힘으로 작용함으로 맨홀을 작은 힘으로 쉽게 오픈 할 수 있다.
임의의 힘과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일단에서 서포팅 포인트(P)까지의 거리가 고정되어 있다면,
Figure 112020097464871-pat00024
가 조절되기 위하여서는
Figure 112020097464871-pat00025
인 서포팅 포인트(P)에서 오픈 가이드 유닛(300)의 거리가 조절되어야 하며,
Figure 112020097464871-pat00026
의 조절을 통하여
Figure 112020097464871-pat00027
은 힘의 크기가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된다.
식(1)과 같이
Figure 112020097464871-pat00028
의 거리가 작아지면
Figure 112020097464871-pat00029
의 힘은 커지게 되므로, 서포팅 포인트(P)로부터 오픈 가이드 유닛(300)까지의 거리는 좁게 형성되어지는 것이 적은 힘으로 맨홀을 오픈할 수 있다.
즉, 오픈 가이드 유닛(300)을 선택적으로 조절함에 따라 맨홀을 오픈하고자 하는 임계힘이 조절되어 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홀딩 브릿지 유닛(200)의 경우, 레그부(210) 및 프릭션(friction)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부(210)의 경우,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으로부터 양측으로 힘을 분산하도록 형성된다.
도1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부(210)는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하단에서부터 양측으로 갈라져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에서 전달되는 힘이 양측으로 분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레그부(210)가 양측으로 형성됨에 따라 지면을 지지하는 힘과 지면으로부터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을 받치는 힘이 더욱 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양측으로 형성된 레그부(210)는 양측에서 지지하며 기립하기에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형성될 수 있다.
프릭션부(220)의 경우, 지면과의 마찰력을 형성하도록 레그부(210)의 각각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릭션부(2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부(210)의 하단에서 지면과의 마찰력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며, 프릭션부(220)를 통하여 홀딩 브릿지 유닛(200)이 지면을 지지하는 힘과 지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프릭션부(220)의 경우, 지면과 접촉하는 프릭션부(220)의 하단에 복수 개로 형성되고, 각각이 지면을 가압하는 복수 개의 브랜치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브랜치부(221)는, 탄성력을 구비한 소재로 제공되며 프릭션부(220)가 외부로부터 가압을 받으면 가압에 의해 방사상으로 구조의 변형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브랜치부(221)는 프릭션부(220)의 하단에 복수 개로 제공되며 각각의 브랜치부(221)는 모두 지면과 접촉하며 지면을 지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의 힘 즉,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으로부터 힘이 전달되면 브랜치부(221)는 프릭션부(220)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져나가는 형태의 구조의 변형이 형성된다.
방사상으로 퍼져나감을 통하여 브랜치부(221)의 하단은 지면과의 접촉면이 증가하게 되며 구조의 변형으로 인하여 지면을 움켜쥐는 힘을 통해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을 단단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다.
브랜치부(221)의 구조 변형이 형성되기 위하여 브랜치부(221)의 재질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력을 통하여 외부의 힘이 가해지면 방사상으로 구조 변형이 발생되며 외부의 힘이 제거되면 본 형태로 돌아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프릭션부(220)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키핑부(222), 클러치부(223), 클러치 콘트롤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키핑부(222)의 경우, 각각의 브랜치부 사이에 제공되며, 복수 개의 브랜치부(221)의 구조 변형이 발생되면 지면과 프릭션부(22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너 키핑부(222)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릭션부(220)에 형성된 브랜치부(221)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브랜치부(221)가 방사상으로 구조의 변형이 발생됨에 따라 이너 키핑부(222) 또한 그 거리와 높이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으로부터 외부의 힘이 발생하면 프릭션부(220)에 하중이 전달되며 하중으로 인하여 프릭션부(220) 중 브랜치부(221)의 구조 변형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브랜치부(221)의 방사상으로 뻣어나가는 구조 변형으로 인하여 각각의 브랜치부(221) 사이의 거리는 멀어지게 되는데 이때, 이너 키핑부(222)의 거리도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브랜치부(221)의 눌림으로 인하여 지면과 프릭션부(220)의 거리는 가까워지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이너 키핑부(222)는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좁아 질 수 있다.
클러치부(223)의 경우, 프릭션부(220)의 상단에 제공되어 각각의 레그부(210)의 하단과 접촉하며 레그부(210)의 하단과 마찰력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클러치부(223)는 프릭션부(220)의 상단에 고무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제공되며 레그부(210)에 프릭션부(220)가 제공될 때, 레그부(210)와 프릭션부(220) 사이에 마찰력을 형성하도록하여 포스 트린스밋 유닛(100)으로부터 가압되는 힘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외부의 힘으로부터 프릭션부(220)가 레그부(210)로부터 이탈되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부(223)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릭션부(220)의 상단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프릭션부(220)의 상단과 레그부(210)의 하단이 결합되는 과정을 통해 마찰력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클러치 콘트롤부(224)의 경우, 클러치부(223)로부터 하향 오목하도록 제공되어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며 프릭션부(220)와 레그부(210) 사이에 마찰력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콘트롤부(224)는 프릭션부(220)의 상단에 하향 오목하도록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고 있으며, 클러치부(223)의 내주면에 내포되어 제공되어 있다.
클러치부(223)가 레그부(210)의 하단과 접촉을 통해 마찰력을 형성함에 대하여 클러치 콘트롤부(224)는 마찰력의 조절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단차를 통하여 마찰력을 높여 줄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마찰력 조절을 위하여 클러치부(223)의 내주면에 복수 개로 형성되어 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오픈 가이드 유닛(300)은, 가이드부(310)로부터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일단까지 연장 연결되며,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을 따라 장력이 인가되어 오픈 가이드 유닛(300)의 전후 움직임이 조절되도록 하는 텐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텐션부는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외주면의 상단을 따라 형성되며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타측에 형성된 가이드부(310)를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일단에서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텐션부가 고정되기 위하여 포스 트랜스밋 유닛(100)의 일측에는 텐션부의 고정 장치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일측에서 사용자가 텐션부의 장력을 이용하여 오픈 가이드 유닛(300)의 전후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의 오픈 가이드 유닛(300)의 경우, 앵커링부(320)의 하단에 복수 개로 제공되며, 앵커링부(320)의 하단이 맨홀에 고정될 때, 앵커링부(320)의 하단과 맨홀 사이에 마찰력을 형성시키는 그루브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부(321)는 오픈 가이드 유닛(300)의 하측에 제공되는 앵커링부(320)의 하단에 제공되어 앵커링부(320)의 하단에서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다.
그루브부(321)는 맨홀 뚜껑과 앵커링부(320)의 하단이 접촉하여 맨홀 뚜껑을 들어 올리는 경우, 맨홀 뚜껑과 앵커링부(320)에 형성된 그루브부(321)가 마찰력을 형성하여 맨홀 뚜껑 오픈 시 맨홀 뚜껑이 오픈 가이드 유닛(3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맨홀 뚜껑이 무게로 인해 비틀어짐을 방지하며 맨홀을 오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P: 서포팅 포인트 100: 포스 트랜스밋 유닛
110: 스톱퍼부 120: 포스 트리거링부
200: 홀딩 브릿지 유닛 210: 레그부
220: 프릭션부 221: 브랜치부
222: 이너 키핑부 223: 클러치부
224: 클러치 콘트롤부 300: 오픈 가이드 유닛
310: 가이드부 320: 앵커링부
321: 그루브부

Claims (10)

  1. 장방향의 몸체로 형성되며 일측에서 제공하는 임의의 힘이 타측으로 전달되는 포스 트랜스밋 유닛(force transmit unit);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소정의 위치에 제공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에 서포팅 포인트(supporting point)를 제공하는 홀딩 브릿지 유닛; 및
    상측이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타측에 관통되어 걸림으로 제공되어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을 따라 전후 이동하며, 하측이 맨홀에 홀딩되어 맨홀을 오픈하는 오픈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홀딩 브릿지 유닛은,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으로부터 양측으로 힘을 분산하도록 형성되는 레그부; 및
    상기 지면과의 마찰력을 형성하도록 상기 레그부 각각의 하단에 제공되는 프릭션(friction)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릭션부는,
    상기 지면과 접촉하는 상기 프릭션부의 하단에 복수 개로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지면을 가압하는 복수 개의 브랜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브랜치부는,
    탄성력을 구비한 소재로 제공되어, 상기 프릭션부가 외부로부터 가압을 받으면 상기 가압에 의해 방사상으로 구조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은,
    타단에 제공되어 상기 오픈 가이드 유닛의 이격을 방지하는 스톱퍼(stopper)부; 및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일단에 제공되어 임의의 힘을 제공받으며, 상기 임의의 힘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일단이 상하 운동하도록 하는 포스 트리거링(force trigger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브릿지 유닛은,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하측에 고정 부착되어 제공되며, 하단이 상기 지면과 접촉하며, 상단이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을 지지하도록 하는 상기 서포팅 포인트 제공하여 상기 서포팅 포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임의의 힘의 방향 이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은,
    상기 홀딩 브릿지 유닛을 중심으로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이 상하 운동하며,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일측의 운동과 반대의 방향으로 상기 포스 트랜드밋 유닛의 타측이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가이드 유닛은,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이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외주면을 슬라이딩하며 전후 이동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연장되어 제공되며, 하단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맨홀에 걸림으로 맨홀을 오픈하는 앵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가이드 유닛은,
    상기 서포팅 포인트로부터 상기 오픈 가이드 유닛까지의 거리(
    Figure 112021500756011-pat00030
    )를 조절하며, 상기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일단에서 제공된 상기 임의의 힘(
    Figure 112021500756011-pat00031
    )이 상기 서포팅 포인트를 따라 상기 오픈 가이드 유닛의 작용점(
    Figure 112021500756011-pat00032
    )에 제공되어 상기 맨홀의 뚜껑으로 전달되되,
    상기 오픈 가이드 유닛은,
    하기의 식(1)을 통해 작용점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
    식(1):
    Figure 112021500756011-pat00033

    (여기서,
    Figure 112021500756011-pat00034
    = 임의의 힘,
    Figure 112021500756011-pat00035
    = 포스 트랜스밋 유닛의 일단에서 서포팅 포인트까지의 거리,
    Figure 112021500756011-pat00036
    = 작용점,
    Figure 112021500756011-pat00037
    = 서포팅 포인트에서 오픈 가이드 유닛까지의 거리)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릭션부는,
    각각의 브랜치부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 개의 브랜치부의 구조 변형이 발생되면 상기 지면과 상기 프릭션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이너 키핑부;
    상기 프릭션부의 상단에 제공되어 상기 각각의 레그부의 하단과 접촉하며 상기 레그부의 하단과 마찰력을 형성하는 클러치(clutch)부; 및
    상기 클러치부로부터 하향 오목하도록 제공되어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프릭션부와 상기 레그부 사이에 마찰력을 조절하는 클러치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가이드 유닛은,
    상기 앵커링부의 하단에 복수 개로 제공되며, 상기 앵커링부의 하단이 상기 맨홀에 고정될 때, 상기 앵커링부의 하단과 상기 맨홀 사이에 마찰력을 형성시키는 그루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

KR1020200117964A 2020-09-14 2020-09-14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 KR102230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964A KR102230276B1 (ko) 2020-09-14 2020-09-14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964A KR102230276B1 (ko) 2020-09-14 2020-09-14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276B1 true KR102230276B1 (ko) 2021-03-19

Family

ID=7526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964A KR102230276B1 (ko) 2020-09-14 2020-09-14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276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0769A (en) * 1978-06-17 1981-02-17 Herring Gerald E Pivoted adjustable lever with grab link
KR19980014099U (ko) * 1996-08-31 1998-06-05 이준 맨홀뚜껑 개폐장치
KR19980065110A (ko) * 1998-06-26 1998-10-07 국선길 맨홀뚜껑개폐장치
KR0123632Y1 (ko) * 1995-03-22 1998-10-15 이준 인공철개 뚜껑의 개폐기
JP2000079028A (ja) * 1998-09-04 2000-03-21 Yoshiyuki Goto 家具用脚体の滑り止め
KR200219102Y1 (ko) 2000-10-23 2001-04-02 한국전력공사 맨홀뚜껑 개폐기
KR200298752Y1 (ko) * 2002-09-19 2002-12-27 (주) 일신하이텍 맨홀 뚜껑 개폐기
KR100412331B1 (ko) * 2001-11-08 2003-12-31 한국전력공사 맨홀덮개의 개방기
KR20120097809A (ko) 2011-02-25 2012-09-05 한국전력공사 맨홀뚜껑 개폐장치
KR200491356Y1 (ko) 2019-10-11 2020-03-25 주식회사 기남금속 맨홀뚜껑 잠금장치 및 맨홀뚜껑 개폐용 작업공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0769A (en) * 1978-06-17 1981-02-17 Herring Gerald E Pivoted adjustable lever with grab link
KR0123632Y1 (ko) * 1995-03-22 1998-10-15 이준 인공철개 뚜껑의 개폐기
KR19980014099U (ko) * 1996-08-31 1998-06-05 이준 맨홀뚜껑 개폐장치
KR19980065110A (ko) * 1998-06-26 1998-10-07 국선길 맨홀뚜껑개폐장치
JP2000079028A (ja) * 1998-09-04 2000-03-21 Yoshiyuki Goto 家具用脚体の滑り止め
KR200219102Y1 (ko) 2000-10-23 2001-04-02 한국전력공사 맨홀뚜껑 개폐기
KR100412331B1 (ko) * 2001-11-08 2003-12-31 한국전력공사 맨홀덮개의 개방기
KR200298752Y1 (ko) * 2002-09-19 2002-12-27 (주) 일신하이텍 맨홀 뚜껑 개폐기
KR20120097809A (ko) 2011-02-25 2012-09-05 한국전력공사 맨홀뚜껑 개폐장치
KR200491356Y1 (ko) 2019-10-11 2020-03-25 주식회사 기남금속 맨홀뚜껑 잠금장치 및 맨홀뚜껑 개폐용 작업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2182A (en) Manhole lid lifter
US4488706A (en) Manhole cover lifting hook
US4101154A (en) Locking device for well covers and the like
US5966876A (en) Manhole insert and tether apparatus and method
KR102230276B1 (ko) 서포팅 포인트 비율의 선택적 콘트롤이 가능한 맨홀 오픈 레버리지 시스템
US5165661A (en) Lifting tool
NL2016119B1 (en) Pipe hanger.
US8043041B1 (en) Manhole cover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CN211496723U (zh) 一种自锁式起重滑车
US4103642A (en) Remote threading flagpole
KR200475548Y1 (ko) 맨홀 커버 분리 장치
US4807918A (en) Single line grapple
KR102246672B1 (ko) 앵글 조절 가이딩을 통한 맨홀 오픈 시스템
US4438905A (en) Device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chain blocks
KR100385651B1 (ko) 맨홀뚜껑 개방장치
KR100362533B1 (ko) 맨홀뚜껑 개방장치
EP2318596B1 (fr) Dispositif de voirie muni d'un loquet de verrouillage
EP0770346B1 (fr) Crochet de cimaise perfectionné
US11498814B1 (en) Claw device
CN219174032U (zh) 一种装配式混凝土叠合板楼板吊装结构及系统
US5630446A (en) Repair apparatus for a grain chute
CN218320289U (zh) 一种可调节式混凝土管道吊具及其起吊系统
JP2548789B2 (ja) 浮消波堤のスライドアンカ
US328174A (en) stillmaf babcock
DE34819C (de) Flaschenzug mit Selbsthemmung als Neuerung an dem durch Patent Nr. 29 956 geschützten Hebewer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