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987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빔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빔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987B1
KR102229987B1 KR1020197023722A KR20197023722A KR102229987B1 KR 102229987 B1 KR102229987 B1 KR 102229987B1 KR 1020197023722 A KR1020197023722 A KR 1020197023722A KR 20197023722 A KR20197023722 A KR 20197023722A KR 102229987 B1 KR102229987 B1 KR 102229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signal
reference signals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4398A (ko
Inventor
김희진
김영태
서한별
채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04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3Auxiliary parameters, e.g. power control [PCB] or not acknowledged commands [NACK], used as feedback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H04B7/06954Sidelink beam training with support from third instance, e.g. the third instance being a base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5Adaptation of specific ARQ protocol parameters according to transmission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이 상대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상대 단말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심볼과 하나 이상의 참조 신호 심볼로 구성된 프레임 상에서, 데이터 신호와 복수의 송신 빔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부정 응답과 상기 복수의 송신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호 송신 빔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호 송신 빔에 기반하여 프리코딩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상대 단말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들은 하나의 참조 신호 심볼 내에서 시분할 다중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빔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빔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 함) 통신 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은 기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서, 현재 3GPP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E-UMT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단말(User Equipment; UE)과 기지국(eNode B; eN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한다.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돼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링크(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Core Network; CN)은 AG와 단말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무선 통신 기술은 WCDMA를 기반으로 LTE까지 개발되어 왔지만, 사용자와 사업자의 요구와 기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으므로 향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하여는 새로운 기술 진화가 요구된다. 비트당 비용 감소, 서비스 가용성 증대, 융통성 있는 주파수 밴드의 사용, 단순구조와 개방형 인터페이스, 단말의 적절한 전력 소모 등이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빔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이 상대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은, 상기 상대 단말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심볼과 하나 이상의 참조 신호 심볼로 구성된 프레임 상에서, 데이터 신호와 복수의 송신 빔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부정 응답과 상기 복수의 송신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호 송신 빔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호 송신 빔에 기반하여 프리코딩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상대 단말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들은 하나의 참조 신호 심볼 내에서 시분할 다중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이 상대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은,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심볼과 하나 이상의 참조 신호 심볼로 구성된 프레임 상에서, 데이터 신호와 복수의 송신 빔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로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부정 응답과 상기 복수의 송신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호 송신 빔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상기 선호 송신 빔에 기반하여 프리코딩되어 재전송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들은 하나의 참조 신호 심볼 내에서 시분할 다중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들은 하나의 참조 신호 심볼 내에서 안테나 포트 인덱스 순으로 순차적으로 시분할 다중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신호와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들은 상기 상대 단말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들로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송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들은 서로 다른 안테나 포트를 통하여 송신되는 것이며,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들에 적용된 프리코더들과 상기 데이터 신호에 적용된 프리코더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송신 빔은 상기 복수의 송신 빔들 하나 이상의 빔들로 구성되는 빔 후보 집합에서 선택되고, 상기 빔 후보 집합은 상기 단말과 상기 상대 단말의 인접도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하여 송신 빔 제어 및 수신 빔 제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단말 간 직접 통신의 개념도이다.
도 8는 자원 풀 및 자원 유닛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9는 eNB의 송신 빔들과 UE의 수신 빔들의 구성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와 동일한 프리코딩이 적용된 RS를 송신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의 예시들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와 다른 프리코딩이 적용된 RS를 송신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의 예시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 UE가 선호 송신 빔을 선택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3GPP 시스템에 적용된 예들이다.
본 명세서는 LTE 시스템 및 LTE-A 시스템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정의에 해당되는 어떤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FDD 방식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H-FDD 방식 또는 TDD 방식에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기지국의 명칭은 RRH(remote radio head), eNB, TP(transmission point), RP(reception point), 중계기(relay)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평면은 단말(User Equipment; UE)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제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전송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물리채널은 하향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된다.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계층의 PDCP(Packet 데이터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3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베어러(Radio Bearer; RB)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은 서로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ed)이 있을 경우, 단말은 RRC 연결 상태(Connected Mode)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휴지 상태(Idle Mode)에 있게 된다. RRC 계층의 상위에 있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eNB)을 구성하는 하나의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되어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전송채널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방송 Channel),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 SCH(Shared Channel) 등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의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방송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도 3은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은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경우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S301).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주 동기 채널(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 및 부 동기 채널(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SCH)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ID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방송 Channel)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초기 셀 탐색 단계에서 하향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 DL RS)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셀 탐색을 마친 단말은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상기 PDCCH에 실린 정보에 따라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을 수신함으로써 좀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02).
한편, 기지국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대해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 RACH)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303 내지 단계 S306). 이를 위해, 단말은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특정 시퀀스를 프리앰블로 전송하고(S303 및 S305), PDCCH 및 대응하는 PDSCH를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304 및 S306). 경쟁 기반 RACH의 경우, 추가적으로 충돌 해결 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단말은 이후 일반적인 상/하향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PDCCH/PDSCH 수신(S307)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전송(S308)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PDCCH를 통하여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한다. 여기서 DCI는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를 포함하며,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포맷이 서로 다르다.
한편, 단말이 상향링크를 통해 기지국에 전송하는 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상향링크 ACK/NACK 신호,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ex), RI(Rank Indicator) 등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의 경우, 단말은 상술한 CQI/PMI/RI 등의 제어 정보를 PUSCH 및/또는 PU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ms(327200×Ts)의 길이를 가지며 10개의 균등한 크기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슬롯은 0.5ms(15360×Ts)의 길이를 가진다. 여기에서, Ts 는 샘플링 시간을 나타내고, Ts=1/(15kHz×2048)=3.2552×10-8(약 33ns)로 표시된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자원블록은 12개의 부반송파×7(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단위로 정해질 수 있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에 포함되는 제어 채널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어 있다. 서브프레임 설정에 따라 처음 1 내지 3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영역으로 사용되고 나머지 13~11개의 OFDM 심볼은 데이터 영역으로 사용된다. 도면에서 R1 내지 R4는 안테나 0 내지 3에 대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RS) 또는 Pilot Signal)를 나타낸다. RS는 제어 영역 및 데이터 영역과 상관없이 서브프레임 내에 일정한 패턴으로 고정된다. 제어 채널은 제어 영역 중에서 RS가 할당되지 않은 자원에 할당되고, 트래픽 채널도 데이터 영역 중에서 RS가 할당되지 않은 자원에 할당된다. 제어 영역에 할당되는 제어 채널로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이 있다.
PCFICH는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로서 매 서브프레임 마다 PDCCH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를 단말에게 알려준다. PCFICH는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며 PHICH 및 PDCCH에 우선하여 설정된다. PCFICH는 4개의 REG(Resource Element Group)로 구성되고, 각각의 REG는 셀 ID(Cell IDentity)에 기초하여 제어 영역 내에 분산된다. 하나의 REG는 4개의 RE(Resource Element)로 구성된다. RE는 하나의 부반송파×하나의 OFDM 심볼로 정의되는 최소 물리 자원을 나타낸다. PCFICH 값은 대역폭에 따라 1 내지 3 또는 2 내지 4의 값을 지시하며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로 변조된다.
PHICH는 물리 HARQ(Hybrid -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지시자 채널로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HARQ ACK/NACK을 나르는데 사용된다. 즉, PHICH는 UL HARQ를 위한 DL ACK/NACK 정보가 전송되는 채널을 나타낸다. PHICH는 1개의 REG로 구성되고, 셀 특정(cell-specific)하게 스크램블(scrambling) 된다. ACK/NACK은 1 비트로 지시되며,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로 변조된다. 변조된 ACK/NACK은 확산인자(Spreading Factor; SF) = 2 또는 4로 확산된다. 동일한 자원에 매핑되는 복수의 PHICH는 PHICH 그룹을 구성한다. PHICH 그룹에 다중화되는 PHICH의 개수는 확산 코드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PHICH (그룹)은 주파수 영역 및/또는 시간 영역에서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해 3번 반복(repetition)된다.
PDCCH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로서 서브프레임의 처음 n개의 OFDM 심볼에 할당된다. 여기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로서 PCFICH에 의해 지시된다. PDCCH는 하나 이상의 CCE로 구성된다. PDCCH는 전송 채널인 PCH(Paging channel) 및 DL-SCH(Downlink-shared channel)의 자원할당과 관련된 정보,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 HARQ 정보 등을 각 단말 또는 단말 그룹에게 알려준다. PCH(Paging channel) 및 DL-SCH(Downlink-shared channel)는 PDSCH를 통해 전송된다. 따라서, 기지국과 단말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제어 정보 또는 특정한 서비스 데이터를 제외하고는 PDSCH를 통해서 데이터를 각각 전송 및 수신한다.
PDSCH의 데이터가 어떤 단말(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에게 전송되는 것이며, 상기 단말들이 어떻게 PDSCH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코딩(decoding)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정보 등은 PDCCH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예를 들어, 특정 PDCCH가 "A"라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로 CRC 마스킹(masking)되어 있고, "B"라는 무선자원(예, 주파수 위치) 및 "C"라는 DCI 포맷 즉, 전송 형식 정보(예, 전송 블록 사이즈, 변조 방식, 코딩 정보 등)를 이용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특정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셀 내의 단말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RNTI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영역에서 PDCCH를 모니터링, 즉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A" RNTI를 가지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단말이 있다면, 상기 단말들은 PDCCH를 수신하고, 수신한 PDCCH의 정보를 통해 "B"와 "C"에 의해 지시되는 PDSCH를 수신한다.
도 6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제어정보를 나르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되는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를 나르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중간 부분이 PUSCH에 할당되고, 주파수 영역에서 데이터 영역의 양측 부분이 PUCCH에 할당된다. PUCCH 상에 전송되는 제어정보는 HARQ에 사용되는 ACK/NACK,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MIMO를 위한 RI(Rank Indicator), 상향링크 자원 할당 요청인 SR(Scheduling Request) 등이 있다. 한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 내의 각 슬롯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차지하는 하나의 자원블록을 사용한다. 즉, PUCCH에 할당되는 2개의 자원블록은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된다. 특히 도 6은 m=0인 PUCCH, m=1인 PUCCH, m=2인 PUCCH, m=3인 PUCCH가 서브프레임에 할당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7은 단말 간 직접 통신의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UE가 다른 UE와 직접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D2D(device-to-device) 통신, 즉, 단말 간 직접 통신에서는 eNB가 D2D 링크 신호의 송수신을 지시하기 위한 스케줄링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UE 사이에 직접 연결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링크, 즉 D2D 링크를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이드링크 (Sidelink; SL)라고 지칭한다.
사이드링크 통신에 참여하는 UE는 eNB로부터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메시지를 수신하고,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메시지가 지시하는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UE는 사용자의 단말을 의미하지만 eNB와 같은 네트워크 엔티티가 UE 사이의 통신 방식에 따라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역시 일종의 UE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UE가 송신한 사이드링크 신호를 eNB가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며, 사이드링크 송신을 위해 설계된 UE의 신호 송수신 방법을 UE가 eNB에게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사이드링크 동작의 수행을 위하여, UE는 우선 자신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상대 UE가 사이드링크 통신이 가능한 근접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파악하는 디스커버리(discovery)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디스커버리 과정은 각 UE가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고, 인접한 UE가 이를 검출하는 경우에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 UE가 인접한 위치에 있다는 것을 파악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각 UE는 자신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상대 UE가 인접한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디스커버리 과정을 거쳐서 확인한 후, 실제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UE1은 일련의 자원의 집합을 의미하는 자원 풀 (resource pool) 내에서 특정한 자원에 해당하는 자원 유닛을 선택하고 해당 자원 유닛을 사용하여 사이드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자원 풀은 UE1이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경우 기지국이 알려줄 수 있으며, UE1이 기지국의 커버리지 밖에 있는 경우에는 다른 UE가 알려주거나 혹은 사전에 정해진 자원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자원 풀은 복수의 자원 유닛으로 구성되며 각 UE는 하나 혹은 복수의 자원 유닛을 선정하여 자신의 사이드링크 신호 전송에 사용할 수 있다.
도 8는 자원 풀 및 자원 유닛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체 주파수 자원이 NF개로 분할되고, 전체 시간 자원이 NT개로 분할되어, 총 NF*NT 개의 자원 유닛이 정의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특히, 해당 자원 풀이 NT 서브프레임을 주기로 반복된다고 할 수 있다. 특징적으로, 하나의 자원 유닛은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나타날 수 있다. 혹은 시간이나 주파수 차원에서의 다이버시티 (diversity) 효과를 얻기 위하여 하나의 논리적인 자원 유닛이 맵핑되는 물리적 자원 유닛의 인덱스가 시간에 따라서 사전에 정해진 패턴으로 변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자원 유닛 구조에 있어서, 자원 풀이란 사이드링크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UE가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 유닛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자원 풀은 여러 종류로 세분화될 수 있다. 먼저 자원 풀에서 전송되는 사이드링크 신호의 컨텐츠에 따라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아래 1) 내지 3)과 같이 사이드링크 신호의 컨텐츠는 SA,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 및 디스커버리 신호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 컨텐츠에 따라서 별도의 자원 풀이 설정될 수 있다.
1) SA(Scheduling assignment): SA는 전송 UE가 후행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의 자원 위치 정보 및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의 복조를 위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나 MIMO 전송 방식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지칭한다. 상기 SA는 동일 자원 유닛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와 함께 다중화되어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SA 자원 풀이란 SA가 사이드링크 데이터와 다중화되어 전송되는 자원의 풀을 의미할 수 있다.
2)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은 전송 UE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채널을 지칭한다. 만약 SA가 동일 자원 유닛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와 함께 다중화되어 전송된다면, SA 자원 풀의 특정 자원 유닛 상에서 SA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었던 RE(resource element)를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 자원 풀에서도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3)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UE가 자신의 ID등의 정보를 전송하여 인접 UE로 하여금 자신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위한 자원 풀을 의미한다.
4) 동기 신호: 송신 UE가 동기 신호 및 동기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수신 UE가 송신 UE에게 시간/주파수 동기를 맞추는 목적을 달성하는 신호/채널을 위한 자원 풀을 의미한다.
한편, 최근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함에 따라, 기존 RAT (radio access technology)에 비해 향상된 광대역 무선 통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시브 (massive)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s) 역시 차세대 통신에서 고려될 주요 이슈일 뿐만 아니라, 신뢰성 (reliability) 및 레이턴시 (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UE를 고려한 통신 시스템이 논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요구 사항들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차세대 RAT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차세대 RAT을 NR (New RAT)이라고 지칭한다.
메시브 MIMO에서, 성능 이득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안테나 엘리먼트 별로 전송 전력 및 위상 조절이 가능하도록 TXRU (transceiver unit)을 구비한다면, 주파수 자원 별로 독립적인 빔포밍이 가능할 수 있지만, 안테나 엘리먼트 모두에 TXRU를 설치하는 것 자체가 현실적으로 구현 가능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하나의 TXRU에 다수개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맵핑하고 아날로그 위상 천이기 (analog phase shifter)로 빔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식이 NR에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아날로그 빔의 경우, 심볼 또는 서브프레임과 같은 타임 인스턴스 (time instance) 당 하나의 빔 방향만을 형성할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하고, 송신 빔 및 수신 빔 간의 빔 연관도 (beam association)가 부정확할 경우 극심한 성능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eNB의 송신 빔들과 UE의 수신 빔들의 구성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다. 특히, 도 9에서 eNB가 N개의 송신 (아날로그) 빔을 구성할 수 있고, UE가 M개의 수신 (아날로그) 빔을 구성할 수 있고, (송신 빔 #1 - 수신 빔 #1) 및 (송신 빔 #2 - 수신 빔 #2)으로 구성된 빔 페어 (pair)로 단말이 신호를 수신할 때 수신 성능을 최적화 할 수 있다고 가정하자. 이 때, 송신 빔 #2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는 페어로 구성된 수신 빔 #2를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에서는 수신 성능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빔 부정합에 따른 통신 신뢰도 저하 문제는, mmWave채널 환경 및 단말 이동성을 고려한다면, 더욱 심각하게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위치를 이동하거나, 회전하거나, 혹은 주변 물체의 이동으로 무선 채널 환경이 바뀌는 경우 (예를 들어, LoS (line of sight) 환경이다가 빔이 차단(block)되어 Non-LoS 환경으로 바뀌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최적의 하향링크/상향링크/상향링크 빔 페어가 바뀔 수 있지만, 매 CSI 보고 인스턴스 (instance) 또는 전송 시점마다 하향링크/상향링크/상향링크 빔을 보정하는 절차를 수행하기는 참조 신호 오버헤드 및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과도하게 증가하며, 단말과 기지국의 전력 소모 관점에서도 빔 페어 결정 과정을 과도하게 수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가급적 빔 페어의 재선택 과정을 지양하면서 통신 신뢰성 확보하기 위한 재전송 기법이 필요하다.
한편, V2X에서 플래투닝 (platooning)과 같은 실시예를 고려한다면, 특정 UE 그룹에게 동일한 정보를 전송하는 그룹캐스트/멀티캐스트 환경에서의 빔 부정합 (misalignment)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신뢰성 감소를 보완하기 위한 기술 또한 필요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신 UE (또는 네트워크)가 멀티캐스트 채널을 통하여 특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이를 수신하는 일련의 UE들 중 일부는 데이터 수신에 실패할 수 있다. 특히, 이 데이터가 높은 확률로 수신되어야 하는 중요한 데이터인 경우에는, 송신 UE가 해당 데이터를 재전송하여 수신이 성공하도록 해야 한다. 이 경우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에러 복구를 위한 재전송에 있어서 멀티캐스트 채널을 다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 방식은 개별 수신 UE의 상황에 최적화된 전송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채널 상황이 좋지 못하여 데이터 디코딩에 실패한 개별 UE들에게 최적화된 프리코딩이나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설정, 인접 셀 간섭의 완화 기법 적용을 적용한 송신을 수행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UE간 (또는 UE 그룹 내)의 직접 통신 과정에서 RS (Reference Signal) 측정에 기반한 재전송 데이터 프리코딩 기법을 제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신 UE는 멀티캐스트/유니캐스트를 이용한 초기 전송 시 데이터와 함께 자신의 포트 별 채널 측정 또는 포트 별 빔 측정을 위한 RS를 전송하여 수신 UE에게 채널 추정을 하도록 하고, 수신 UE는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HARQ 재전송을 위한 프리코더를 결정하여 송신 UE에게 피드백한다. 이후, 송신 UE는 피드백된 프리코더를 이용하여 프리코딩을 적용하고 재전송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 차량 단말 간 통신인 V2X 구현을 고려하여,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디코딩 실패에 따른 재전송에서 송신 UE가 개별 수신 UE의 채널 상태에 최적인 프리코딩이나 MCS 레벨을 사용하여 효율적 재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하며, 2) mmWave대역과 같이 순시적으로 빔 부정합 (misalignment)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서 개별 수신 UE의 채널 상태를 반영한 재전송 수행을 통해 통신 신뢰성 (reliability)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데이터 재전송을 수행하는 단말 (또는 기지국)을 송신 UE라 하고, 데이터 수신 후 응답 신호인 ACK/NACK을 피드백하는 단말을 수신 UE로 표현한다.
<제 1 실시예>
송신 UE는 멀티캐스트/유니캐스트를 이용한 초기 전송 시 데이터와 함께 자신의 포트 별 채널 (또는 빔)의 측정을 위한 RS (예를 들어, CSI-RS)를 전송함으로써, 수신 UE(들)에게 송신 UE-수신 UE간 채널 (또는 빔) 정보를 획득하게 할 수 있다. 송신 UE가 초기 전송 시 자신의 포트 별 RS를 전송하는 방법은 1) 송신 UE가 데이터와 동일한 프리코딩이 걸린 RS (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서의 DM-RS)를 함께 전송하는 방법과 2) 송신 UE가 데이터와 다른 프리코딩이 걸린 RS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의 CSI-RS)를 전송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1)과 같이, 데이터와 동일한 프리코딩이 걸린 RS를 전송하는 경우 RS는 데이터와 동일 빔을 통해 동일한 시점에 전송이 된다. 제안 기법을 위해 도 10 및 도 11과 같은 프레임 구조가 고려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와 동일한 프리코딩이 적용된 RS를 송신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의 예시들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부 또는 전체 기존 데이터 전송 심볼에서 DM-RS와 데이터를 주파수 분할 다중화 (FDM)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기존 RS 전송 심볼에 RS와 데이터를 FDM하여 전송하는 것 역시 고려할 수 있다. 특히, 도 11의 경우 제어 정보인 SA 전송을 위한 포트와 데이터 전송 포트, SA에 대응하는 RS 전송을 위한 포트 및 데이터에 대응하는 RS 전송을 위한 포트 가 모두 동일한 포트일 수 있다.
반면에, 2)와 같이 송신 UE가 데이터와 독립적인 프리코딩이 적용된 RS 를 전송하는 경우, RS는 데이터와 다른 빔을 통해, 동일한 또는 서로 다른 시점에 전송될 수 있다. 일례로. 송신 UE는 한 시점에 하나의 아날로그 빔만을 형성하여 데이터와 RS를 서로 다른 시점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심볼)에 서로 다른 아날로그 빔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와 다른 프리코딩이 적용된 RS를 송신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의 예시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송신 UE는 기존 RS 전송 심볼에 각 송신 포트의 CSI-RS를 FDM 또는 CDM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도 13와 같이 복수 개의 RS 전송 심볼에 각각 서로 다른 포트의 CSI-RS를 번갈아 전송하는 프레임 구조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도 14와 같이, CSI-RS들이 하나의 심볼 구간 내에서 TDM되어 전송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특히, mmWave 대역에서의 아날로그 빔포밍을 고려하면, 하나의 심볼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부반송파 간격 (subcarrier spacing)을 적용하여, 하나의 심볼 구간 자체를 복수의 구간들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구간들에서 서로 다른 아날로그 빔을 통해 전송되는 CSI-RS들을 TDM하는 방식이 가능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0 내지 도 14에서 AGC (Automatic gain control) 구간은 매 서브프레임 마다 신호 전송 시점이 흔들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평균 전력의 변동폭을 줄이기 위하여 정의될 수 있다. V2X 통신에서는 단말이 직접 신호를 전송하므로 신호 전송 시점/주파수 자원 등이 매 서브프레임 마다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종래 셀룰러 통신에서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CRS 등이 존재하므로, 별도의 AGC 구간이 불필요하지만, V2X 통신에서는 반복적으로 전송되는 참조 신호를 고려하지 않기에, AGC 구간을 신호 전송 초기, 예를 들어 첫 번째 심볼에 정의하고 있다. 나아가, 도 10 내지 도 14에서 GAP, 즉 간극 심볼의 경우 TX/RX 스위칭을 보장하기 위한 구간이다.
한편, SA 전송 포트 및 데이터 전송 포트 및 SA 에 대응하는 RS 포트는 동일할 수 있지만, 데이터 전송을 위한 CSI-RS 전송 포트만 상이할 수 있다. 일례로, 데이터를 CSI-RS를 이용해 복조 (demodulation)하기 위해서는 CSI-RS에 적용된 프리코딩 정보를 SA에서 지정해 주어야 할 수 있다. 이 때, SA를 위한 RS는 DM-RS를 전송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데이터 전송을 위한 RS만 CSI-RS로 전송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송신 UE는 SA를 통해 RS 빔포밍에 사용한 프리코더 정보 또는 전송 기법 (예를 들어, STBC), 및/또는 RI를 수신 UE에게 알려줌으로써, 수신 UE로 하여금 송신 UE가 보여준 포트(들)에 대한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신 UE는 이에 기반하여 재전송을 위한 프리코더 또는 빔 선택을 위한 정보를 피드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LTE 프레임 구조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제안 기술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 및 RS 전송 순서 또는 횟수 등이 변경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한편, 수신 UE(들)은 송신 UE가 전송한 RS를 기반으로 송신 UE로부터 수신 UE로의 채널을 측정하여 재전송에 선호되는 프리코더 (또는 빔)을 결정하고, 해당 프리코더 (또는 빔) 정보를 ACK/NACK 응답과 함께 송신 UE에게 알려줄 수 있다.
우선, 수신 UE(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프리코딩을 계산 및 결정할 수 있다.
- 송신 UE가 데이터와 동일한 프리코딩이 걸린 RS를 전송하는 경우, 수신 UE들은 송신 UE가 전송한 RS를 통해 채널을 측정하고, 이 RS의 포트들에 대하여 랭크 1을 가정한 프리코딩을 계산할 수 있다.
- 송신 UE가 데이터와 다른 프리코딩이 걸린 RS를 전송하는 경우, 미리 약속되거나 송신 UE가 SA를 통해 지시해 준 RS 에 적용된 프리코더를 가정하고 송신 UE가 전송한 포트의 RS를 통해 채널을 측정한다. 즉, 수신 UE는 수신된 데이터 채널이 아닌 RS 포트의 채널을 기준으로 프리코딩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RS 포트에 대하여 랭크 1을 가정한 프리코딩을 계산할 수 있으며, 해당 프리코딩은 사전에 규정된 (미리 약속된) 코드북에서 선택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개별 수신 UE가 획득한 재전송을 위한 선호 프리코더 (또는 선호 빔) 정보는 ACK/NACK 응답과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수신 UE는 재전송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프리코더 또는 빔 정보를 소정의 시퀀스 또는 비트열 형태로 송신 UE에게 피드백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 재전송에 대한 빔 정확도는 향상될 수 있으나, 프리코더의 수 또는 빔 레졸루션 (resolution)에 따라 요구되는 시퀀스의 수, 또는 이를 표현하기 위한 비트 사이즈 등이 증가될 수 있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신 UE는 재전송을 위한 선호 송신 빔을 선택할 때, 사전에 약속된 특정 프리코더 (빔) 집합 내에서 특정 선호 송신 빔을 선택하여 피드백할 수 있다. 수신 UE가 최소한 SA의 디코딩까지는 성공하고, 데이터 디코딩에는 실패하여 NACK 전송을 하는 상황이라면, 최초 전송과 재전송 시점 사이에 빔 변화가 극심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UE는 송신 UE가 찍어준 프리코더(빔)과 인접한 빔 중에서 선호 재전송 송신빔을 선택할 확률이 높고, 이 경우 후보 빔 집합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피드백 오버헤드 자체를 줄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 UE가 특정 기준으로 선호 송신 빔 또는 빔 후보 집합을 선택하는 예를 도시한다. 특히, 도 15에서는 송신 빔 #0-#8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빔 #0 내지 빔 #2가 인접한 빔이라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 수신 UE가 전송할 프리코더 집합을 송신 UE와 수신 UE간 인접도를 기준으로 상기 빔 #0 내지 빔 #2로 구성된 빔을 빔 후보 집합이라고 설정한다. 만약, 수신 UE가 빔 #1로 데이터를 전송 받은 경우, 재전송에 사용할 빔으로서 빔 후보 집합 내의 빔들 중에서, 빔 #0와 빔 #2 이 더 우수한지 혹은 빔 #1를 그대로 사용할지 여부만 판단하고, 빔 후보 집합 외의 빔에 해당하는 빔 #3 내지 빔 #8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예시에서는 인접도를 기준으로 빔 후보 집합 대상 빔을 선정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신 UE는 복수개의 재전송 용 송신 빔 후보 집합을 송신 UE에게 피드백할 수 있으며, 송신 UE는 복수개의 빔 후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단일 재전송 또는 반복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송신 UE의 재전송을 위한 전송 빔 폭은 최초 신호 전송의 빔 폭과 상이할 수 있다. 즉, 송신 UE는 최대한 전 방향성 (omni-directional) 또는 광폭 (broad) 빔을 통해 재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수신 UE는 재전송에 대한 RI나 MCS 결정을 위한 정보도 송신 UE에게 함께 전송하여 알려줄 수 있다. 일례로, 수신 UE는 자신이 측정한 포트의 채널 환경을 기반으로 재전송에 적합한 랭크를 결정하여 송신 UE에게 명시적으로 랭크 차등 값만을 알려줄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수신 UE는 자신의 채널 측정을 기반으로 송신 UE에게 CQI와 같은 채널 품질 정보를 ACK/NACK과 함께 전송함으로써, 송신 UE (또는 기지국)에게 재전송에 적합한 MCS 선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채널 가역성 (Reciprocity)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수신 UE는 송신 UE로의 정확한 채널 정보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수신 UE의 ACK/NACK 응답에 대한 전송 빔폭은 최초 신호 전송의 빔폭과 상이할 수 있다. 즉, 수신 UE는 최대한 전 방향성 (omni-directional) 또는 광폭 (broad) 빔을 통해 ACK/NACK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 수신 UE가 빔 순환을 통하여 ACK/NACK 응답 반복 전송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수신 UE가 전송한 선호 재전송 프리코더(빔) 정보는 함께 전송된 ACK/NACK 응답이 NACK인 경우에만 재전송 프리코딩에 대한 추천/제안의 의미를 갖을 수 있다. ACK인 경우 ACK/NACK 응답에서 재전송 프리코더(빔)에 대한 필드 또는 시퀀스는 생략될 수 있으며, 생략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 주기 전송에 대한 프리코더(빔) 제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수신 UE(들)에 의해 피드백된 선호 재전송 프리코더 정보를 기반으로 실제 재전송에 사용될 프리코딩을 결정하는 것은 송신 UE일 수 있으며, 해당 프리코딩의 결정 방법은 단말 구현에 따라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그룹캐스트(Groupcast)/멀티캐스트 단말(들)에 대한 HARQ 재전송은 상술한 과정을 통해 결정된 개별 UE 채널(빔) 특성에 최적화된 프리코딩 및/또는 MCS로 유니캐스트 채널을 통해 재전송될 수도 있지만, 개별 UE 채널(빔) 정보에 기반하여 송신 UE가 결정한 단일 프리코딩 및/또는 MCS로 다시 NACK이 발생한 수신 UE들을 대상으로 멀티캐스트 채널을 통해 재전송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V2V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제안 기술을 서술하나, 이는 제안 기술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단말간 통신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멀티캐스트 전송에 대한 재전송을 위한 기법으로 제안 기법을 기술하나, 유니캐스트 전송에 대한 재전송 시나리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초기 전송과 재전송 사이의 프리코더 갱신 기법을 기술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재전송이 2회 이상 수행되는 경우, 재전송과 후속 재전송 간의 프리코더 갱신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채널 가역성이 보장되는 경우, 초기 전송과 ACK/NACK 응답 빔포밍 관계 및/또는 ACK/NACK 응답과 재전송 프리코더 갱신에 대하여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수신 UE가 빔포밍된 ACK/NACK을 전송한다면, 수신 UE는 채널 가역성에 따라 자신이 초기 데이터 수신 시 측정한 송신UE-수신UE 간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ACK/NACK 응답에 대한 프리코딩을 결정 및 수행하여 빔포밍된 ACK/NACK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HARQ 재전송에 대해서는 수신 UE가 ACK/NACK 응답과 함께 보여준 포트의 RS 측정을 기반으로 재전송을 위한 선호 수신 빔을 송신 UE가 선택하게 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1600)는 프로세서(1610), 메모리(1620), RF 모듈(1630), 디스플레이 모듈(16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650)을 포함한다.
통신 장치(16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으로서 일부 모듈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600)는 필요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600)에서 일부 모듈은 보다 세분화된 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세서(1610)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10)의 자세한 동작은 도 1 내지 도 15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메모리(1620)는 프로세서(1610)에 연결되며 오퍼레이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RF 모듈(1630)은 프로세서(1610)에 연결되며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 신호를 변환하거나 무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F 모듈(1630)은 아날로그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상향 변환 또는 이들의 역과정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640)은 프로세서(1610)에 연결되며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640)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잘 알려진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650)은 프로세서(1610)와 연결되며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잘 알려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필드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빔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3GPP LTE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3GPP LTE 시스템 이외에도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2)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이 상대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로, 데이터 신호의 전송을 위한 SA (Scheduling Assignment)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심볼과 하나 이상의 참조 신호 심볼로 구성된 프레임 상에서, 제1 송신 빔을 통한 상기 데이터 신호의 전송 및 복수의 송신 빔들을 통한 복수의 참조 신호들의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부정 응답과 상기 복수의 송신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호 송신 빔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호 송신 빔에 기반하여 프리코딩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상대 단말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들은, 하나의 참조 신호 심볼 내에서 시분할 다중화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송신 빔은 상기 복수의 송신 빔들 중 하나 이상의 빔들로 구성되는 빔 후보 집합에서 선택되며,
    상기 빔 후보 집합은, 상기 SA 정보가 성공적으로 전송된 점 및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상기 부정 응답이 수신된 점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 빔들과 상기 제1 송신 빔의 인접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의 전송 및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들의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신호와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들을 상기 상대 단말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들로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들은,
    서로 다른 안테나 포트를 통하여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들에 적용된 프리코더들과 상기 데이터 신호에 적용된 프리코더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들은,
    하나의 참조 신호 심볼 내에서 안테나 포트 인덱스 순으로 순차적으로 시분할 다중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6. 삭제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이 상대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데이터 신호의 전송을 위한 SA (Scheduling Assignment)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심볼과 하나 이상의 참조 신호 심볼로 구성된 프레임 상에서, 제1 송신 빔을 통한 상기 데이터 신호의 수신 및 복수의 송신 빔들을 통한 복수의 참조 신호들의 수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로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부정 응답과 상기 복수의 송신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호 송신 빔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상기 선호 송신 빔에 기반하여 프리코딩되어 재전송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들은, 하나의 참조 신호 심볼 내에서 시분할 다중화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송신 빔은 상기 복수의 송신 빔들 중 하나 이상의 빔들로 구성되는 빔 후보 집합에서 선택되며,
    상기 빔 후보 집합은, 상기 SA 정보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점 및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상기 부정 응답이 전송된 점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 빔들과 상기 제1 송신 빔의 인접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와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들은 상기 상대 단말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들로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들은,
    서로 다른 안테나 포트를 통하여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들에 적용된 프리코더들과 상기 데이터 신호에 적용된 프리코더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들은,
    하나의 참조 신호 심볼 내에서 안테나 포트 인덱스 순으로 순차적으로 시분할 다중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2. 삭제
KR1020197023722A 2017-01-20 2018-01-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빔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29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48395P 2017-01-20 2017-01-20
US62/448,395 2017-01-20
PCT/KR2018/000824 WO2018135867A1 (ko) 2017-01-20 2018-01-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빔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398A KR20190104398A (ko) 2019-09-09
KR102229987B1 true KR102229987B1 (ko) 2021-03-19

Family

ID=6290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722A KR102229987B1 (ko) 2017-01-20 2018-01-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빔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05624B2 (ko)
EP (1) EP3573269B1 (ko)
JP (1) JP6908714B2 (ko)
KR (1) KR102229987B1 (ko)
CN (1) CN110199493B (ko)
WO (1) WO20181358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7282B2 (en) * 2018-08-13 2021-12-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link communications in communication system
CN111587547B (zh) * 2018-09-28 2023-04-18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侧链路数据重传的方法及其接收用户设备
US20210344473A1 (en) * 2018-11-08 2021-11-04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tx detection for sidelink groupcast transmission
EP3905569A4 (en) 2018-12-29 2022-07-2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FOR DIRECT COMMUNICATIONS,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DIRECT COMMUNICATIONS
US11582771B2 (en) 2019-06-14 2023-02-14 Qualcomm Incorporated Fast beam sel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US11362718B2 (en) * 2019-06-17 2022-06-14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TX power control
CN111181710B (zh) * 2019-12-31 2022-11-22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WO2021174057A1 (en) * 2020-02-28 2021-09-02 Qualcomm Incorporated Beam switching based at least in part on a negative acknowledgement transmission
US20220272694A1 (en) * 2021-02-23 2022-08-25 Qualcomm Incorporated Reporting switching gaps for beamforming
GB2610377A (en) * 2021-08-18 2023-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ultibeam Multicast
US20230171595A1 (en) * 2021-12-01 2023-06-01 Qualcomm Incorporated Secret key extraction for line-of-sight communic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9345A1 (en) 2011-08-12 201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40185495A1 (en) * 2012-12-27 2014-07-0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8197B2 (ja) * 2003-06-30 2008-07-30 富士通株式会社 多入力多出力伝送システム
US9867203B2 (en) * 2008-07-11 2018-01-09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ous TDM-based communication in dominant interference scenarios
JP5278035B2 (ja) * 2009-02-25 2013-09-0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並びに通信システム
WO2013133645A1 (ko) * 2012-03-07 2013-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계층적 빔 포밍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3181369A1 (en) * 2012-05-31 2013-12-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asurements and interference avoidance for device-to-device links
US9468022B2 (en) 2012-12-26 2016-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communication system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CN108521391B (zh) 2013-03-11 2021-02-09 Lg电子株式会社 接收用于在用户设备之间直接通信的同步信息的方法及其的装置
KR102218915B1 (ko) * 2013-09-05 2021-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117224B2 (en) * 2013-09-20 2018-10-30 Qualcomm Incorporated MAC subheader for D2D broadcast communication for public safety
WO2015094155A1 (en) * 2013-12-16 2015-06-25 Intel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assisted three dimensional beamforming
JP6121931B2 (ja) 2014-03-20 2017-04-26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ユーザ装置
KR102212819B1 (ko) * 2014-07-22 2021-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간 통신을 위한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16060177A1 (ja) * 2014-10-17 2016-04-21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距離推定方法
KR102406960B1 (ko) 2014-11-07 2022-06-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에게 그룹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9345A1 (en) 2011-08-12 201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40185495A1 (en) * 2012-12-27 2014-07-0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99493B (zh) 2021-12-31
US11005624B2 (en) 2021-05-11
EP3573269A1 (en) 2019-11-27
KR20190104398A (ko) 2019-09-09
CN110199493A (zh) 2019-09-03
US20190342047A1 (en) 2019-11-07
JP6908714B2 (ja) 2021-07-28
EP3573269B1 (en) 2021-12-29
EP3573269A4 (en) 2020-11-25
WO2018135867A1 (ko) 2018-07-26
JP2020507263A (ja)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98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빔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68756B1 (ko) 다중 반송파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반송파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3073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62411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through sidelink in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220176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빔을 이용한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0494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셀 간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08880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CK/NACK response for broadcast signal/multicast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JP6838151B2 (ja) 次世代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ブロードキャストデータのためのdm−rsの送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10212010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953633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dm−rsの送受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101871721B1 (ko) 다중 셀 협력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6545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순환 하향링크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67297B1 (ko) 다중 셀 협력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0589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우선 순위 기반 간섭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43636B1 (ko)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신호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0930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이동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624078B2 (en) Network cooperative communication method for traffic distribu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