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567B1 - Built-up Safe Scaffold for High Place Work - Google Patents

Built-up Safe Scaffold for High Place 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567B1
KR102229567B1 KR1020190038859A KR20190038859A KR102229567B1 KR 102229567 B1 KR102229567 B1 KR 102229567B1 KR 1020190038859 A KR1020190038859 A KR 1020190038859A KR 20190038859 A KR20190038859 A KR 20190038859A KR 102229567 B1 KR102229567 B1 KR 102229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support bar
base fram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17144A (en
Inventor
양태호
경원준
Original Assignee
양태호
경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태호, 경원준 filed Critical 양태호
Priority to KR1020190038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567B1/en
Publication of KR20200117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1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5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2001/157Extensible platforms, e.g. telescopic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영역을 위한 작업대를 끼움 연결 조립하면서 하부 베이스를 4방향으로 받침 지지하여 작업대의 이동 및 조립이 원활하면서 고소작업에 작업대의 전도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함을 제공하도록, 하부에 복수의 캐스터를 구비하고, 상부에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전후좌우로 길이 연장하여 사방에 받침 지지하되 서로 직각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받침고정부를 구비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기립하여 측벽을 이루되 상기 지지돌기 상에 끼움 결합하고,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 배치할 수 있게 구성하는 측부프레임과; 상기 측부프레임 간에 적층 구조로 연결 지지하여 층별로 구분 구획하고, 최상층에서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위한 바닥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 for the lower base in four directions while fitting and assembling the work table for the high place work area, so that the movement and assembly of the work table is smooth, and a plurality of the lower parts are provided to efficiently prevent the work table from falling. A base frame having a caster of, the support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part, and having a support fixing portion extending in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to support support in all directions, but extending toward a right angle to each other; A side frame standing on the base frame to form a side wall, fitted on the support protrusion, and configured to be extended and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It provides a prefabricated safety scaffolding for high place work including; a connecting frame in which the side frames are connected and supported in a stacked structure to be divided by layers, and a floor plate for working at high places of an operator is installed on the top floor.

Description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 {Built-up Safe Scaffold for High Place Work}Built-up Safe Scaffold for High Place Work}

본 발명은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소작업영역을 위한 작업대를 끼움 연결 조립하면서 하부 베이스를 4방향으로 받침 지지하여 작업대의 이동 및 조립이 원활하면서 고소작업에 작업대의 전도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type safety scaffolding for high place work, and more particularly, by fitting and assembling the worktable for the high place work area and supporting the lower base in four directions, the worktable moves and assembles smoothly and the worktable is transferred to the work at high place. It relates to a prefabricated safety scaffolding for high place work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phenomenon.

일반적으로 건축물 실내의 천장 외장공사나 전선공사 등 작업높이가 작업자의 신장보다 높은 고소작업에서 작업자가 높은 곳에 올라가 일할 수 있게 설치하는 임시가설물로서, 작업자의 작업영역을 마련토록 작업대를 구비한 비계를 사용하게 된다.In general, it is a temporary temporary installation installed so that the worker can go up to work in high places where the working height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worker, such as ceiling exterior work or wire work, etc., and a scaffold equipped with a workbench to provide the worker's work area. Will be used.

이러한, 비계의 구조를 간단히 살펴보면, 금속소재의 파이프 또는 각관인 다수의 수직바 및 수평바를 일정한 형상으로 용접 및 볼트 결합하여 난간이 마련된 작업대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며, 작업대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상측으로 올라가기 위한 사다리를 형성하고, 작업대의 상부에는 작업자를 지지하기 위한 작업발판을 안착 설치하여 구성한다.Looking briefly at the structure of such a scaffold, a number of vertical bars and horizontal bars, which are pipes or square pipes made of metal, are welded and bolted in a certain shape to form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worktable with handrails. A ladder for climbing is formed, and a working platform is mount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work table to support the worker.

상기와 같이 고소작업용도의 작업발판을 구비한 비계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481호(2013.04.25.)에는 복수의 가로부재와 세로부재 및 난간부재로 이루어진 틀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계단형으로 결합 설치되는 복수의 발판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복수의 이동바퀴와; 상기 가로부재에 수직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며, 양단이 개구된 관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본체가 배치되는 바닥에 대한 상기 본체의 지지범위를 증대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이동바퀴에 의한 지지상태를 해제하면서 상기 본체가 상기 바닥에서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되게 지지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용 안전발판이 공지되어 있다.As a prior art disclosed in connection with a scaffolding having a working scaffolding for high place work as described abov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481 (2013.04.25.)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vertical members, and railing members. A frame-shaped body; A plurality of scaffold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n a stepped manner;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supporting the main body in a movable state; A plurality of guide frame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so as to be vertically disposed on the horizontal member and having a tubular shape with open both ends; And, a state that is slidably inserted and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guide frame, and is supported by the moving wheel in a state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to increase the support range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floor on which the main body is disposed. A safety scaffold for work is known that can perform a stable work of a worker as it comprises a fixing support portion that supports the main body in a stable fixed state on the floor while releasing it.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18543호(2006.06.05.)에는 상부 가이드 레일과 하부 가이드 레일 두 조로 분리되어 있고 이를 연결시키는 크로스 형태로서 두 곳에 대응되는 다단의 X-바1과 X-바2를 서로 연결시키는 동조 축과 X-바 동조 핀이 구비되어 다단의 X-바가 접철되어지고 그리고 수평안내를 하며 상부 가이드 레일과 하부 가이드 레일에는 가이드 롤러가 슬라이딩 되어 수평안내를 하며 하부가이드 고정부와 상부가이드 고정부에 X-바1과 X-바2가 X-바 동조 핀에 의하여 고정되게 하고 상부 가이드 레일 하면에 유압 실린더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작업자는 손 또는 발로서 승하강 유압기를 고소작업 리프트에 탑승하여 작동하면 유압 실린더는 전진동작과 더불어 회동 및 하강하며 두 곳에 대응되는 다단의 X-바가 접철됨으로 승하강 되게 되며 X-바1과 X-바2는 수량에 따라 제한 높이를 결정하며 상부 가이드 레일의 상판은 작업발판이 되고 작업발판에는 실족방지를 위하여 미끄럼방지 요철을 하고 추락방지를 위하여 발끝막이가 구비되며 안전난간대를 조립할 수 있는 체결핀이 구비되어 안전난간대를 체결핀에 삽입하여 설치하고 작업자가 탑승할 때 진입이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연결대 그리고 이를 회동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핀과 받침부제에 삽입하여 고정하게 구성됨에 따라 다기능을 갖춰 작업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는 고소작업 리프트가 공지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418543 (2006.06.05.), the upper guide rail and the lower guide rail are separated into two sets, and multi-stage X-bar 1 and X-bar 2 corresponding to the two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cross that connects them. A synchronizing shaft and an X-bar synchronizing pin to connect to each other are provided so that the multi-stage X-bars are folded and guided horizontally. The guide roller slides on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to guide horizontally, and the lower guide fixing part and the upper X-bar 1 and X-bar 2 are fixed to the guide fixing part by X-bar synchronization pins, and a hydraulic cylinder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guide rail. The hydraulic cylinder rotates and descends as well as the forward motion, and the multi-stage X-bar corresponding to the two places is folded to move up and down, and X-bar 1 and X-bar 2 determine the limit height according to the quantity. The upper plate of the guide rail becomes a working footrest, and the working footrest is provided with anti-slip and convexities to prevent falling off, and a toe stop is provided to prevent fall, and a fastening pin for assembling a safety railing is provided, and the safety railing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in. And a connecting rod that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when an operator boards, and an elevated work lift that provides convenience and safety with multifunctional features as it is configured to be fixed by inserting it into a fixing pin and a support to fix it rotationally. Is known.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모두 작업대를 구비한 비계의 전반적인 구성들을 받침 지지할 수 있는 고정수단(고정지지부 또는 유압실린더)의 구성이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인 2방향으로만 연장하여 지지하기 때문에 고정수단을 기준으로 직각방향을 향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비계의 전도현상에 따른 추락사고 및 안전사고를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all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are fixed means because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means (fixing support or hydraulic cylinder) that can suppor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caffold with a worktable extends and supports only in two directions, which are the front-rear direction or the left-right direc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a fall accident and a safety accident occurred due to the scaffolding overturning when a force in the right angle direction was applied based on the reference.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 중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481호의 경우에는 작업영역을 이루는 발판의 높이가 극히 한정되어 탄력적인 높이의 고소작업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81, among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ight of the scaffold forming the work area is extremely limit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work at a height having a resilient height.

그리고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작업대를 구비한 비계의 전체적인 구성들이 모두 조립된 완성체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동성이 떨어지고, 외형의 탄력적인 가변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mobility is poor and it is difficult to elastically change the appearance because the overall components of the scaffold equipped with a worktable maintain the assembled finished body.

KR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2481호 (2013.04.25.)KR Ope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3-0002481 (2013.04.25.)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8543호 (2006.06.05.)KR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18543 (2006.06.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 기초베이스를 기준으로 모든 프레임이 분리 가능한 조립 결합구조를 이루며 전후좌우 4방향으로 받침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비계 구조물의 이동성 및 높이 가변성을 도모하고, 구조물 조립의 편의성 및 내구성을 높이면서 비계의 작업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ll the frames form a detachable assembly and coupling structure based on the lower foundation base and are configured to support support in four directions, front, rear, left and right, thus promoting mobility and height variability of the scaffolding structure. And, to provide an assembly-type safety scaffolding for high place work that can maximize the working stability of the scaffold while increasing the convenience and durability of the structure assembly,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는 하부에 복수의 캐스터를 구비하고, 상부에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전후좌우로 길이 연장하여 사방에 받침 지지하되 서로 직각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받침고정부를 구비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기립하여 측벽을 이루되 상기 지지돌기 상에 끼움 결합하고,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 배치할 수 있게 구성하는 측부프레임과; 상기 측부프레임 간에 적층 구조로 연결 지지하여 층별로 구분 구획하고, 최상층에서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위한 바닥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fabricated safety scaffold for high place work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casters at the bottom, a support protrusion protrudes on the upper part, and extends in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to support it in all directions, but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 base frame having a top portion; A side frame standing on the base frame to form a side wall, fitted on the support protrusion, and configured to be extended and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connecting frame in which a floor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most floor by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side frames in a stacked structure to separate and partition each layer, and to install a floor plate for the operator's high place work on the uppermost floor.

상기 지지돌기는,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 모서리 부분마다 구비토록 형성한다.Two of the support protrusions form a pair and are formed to be provided at each upper edge of the base frame.

상기 받침고정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전후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길이를 연장하는 연장지지바와, 상기 연장지지바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결합하여 작업위치에서 위치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하단에 지지판을 구비하며 상단에 회전조작 가능한 조작레버를 구비하는 높이조절축과, 상기 연장지지바의 상하면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축이 나사 결합하는 체결너트와, 상기 높이조절축 상에 나사 결합하고 상기 체결너트에 접하여 상기 높이조절축을 잠금 고정하는 록킹너트를 구비한다.The support fixing part is an extension support bar that is slidable in a straight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n the base frame to extend its length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and is vertic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extension support bar to fix the position at a working position. Including a position fixing means, the position fixing means has a support plate at the lower end and a height adjustment shaft having a rotationally operable operation lever at the upper end, and is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xtension support bar, and the height adjustment shaft is screwed A locking nut to be coupled, and a locking nut for locking and fixing the height adjustment shaft by screwing on the height adjustment shaft and in contact with the fastening nut.

상기 측부프레임에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개개의 측부프레임 간에 일체로 잠금 고정하는 사이드잠금수단을 구성한다.The side frame includes side locking means for integrally locking and fixing individual side frames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사이드잠금수단은, 상기 측부프레임 상에 걸림 접촉가능하게 형성하는 걸이브라켓와, 상기 걸이브라켓에 대응하여 인접하게 위치한 상기 측부프레임 상에 형성하고 상기 걸이브라켓 상에 걸어 잠금 설정 가능하게 형성하는 잠금클램프를 구비한다.The side locking means includes a hook bracket formed on the side frame to be hooked and contactable, and a locking clamp formed on the side frame adjacent to the hook bracket and formed to be locked on the hook bracket. It is equipped with.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연결프레임 상에 설치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동일 수평선상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 가능하게 형성하는 가변지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ariable support means installed on the connection frame and extending outwardly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floor plate.

상기 가변지지수단은, 상기 연결프레임 상에 접이식 형태로 설치되고 외측 연장 가능하게 형성하는 연장플레이트와, 상기 연장플레이트의 일측 하단에 힌지 결합하고 상기 측부프레임 상에 지지 결합하는 받침부재를 구성한다.The variable support means constitutes an extension plate installed in a foldable form on the connection frame and formed to be extended outward, and a support member hinge-coupled to a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extension plate and supported on the side frame.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에 의하면 하부 베이스프레임의 전후좌우 사방에 서로 직각방향을 향해 연장하여 받침 지지하므로, 비계의 전방위 모든 방향를 향한 작업진동이나 전도현상을 방지하여 고소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함은 물론 추락사고의 제로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비계의 전반적인 프레임 구조체를 조립 결합함은 물론 적층 가변구조를 이루게 구성하므로, 고소작업의 탄력적인 높이설정을 도모하면서 비계 구조체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프레임의 구조체의 조립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safety scaffold for high place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pport is extended in a right angle direction to each other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base frame, the work vibration or overturning in all directions of the scaffold is prevented to promote the safety of work at high places. Of course, it is possible to achieve zero fall accidents. Furthermore, since the overall frame structure of the scaffold is assembled and combined as well as a stacked variable structure, it improves the mobility of the scaffold structure while promoting a flexible height setting for high place work, and promotes the convenience and speed of assembly of the frame structure. You get the effect you can.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는 측부프레임 간에 일체로 잠금 고정하므로, 구조체의 내구성과 함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fabricated safety scaffolding for high place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locked and fixed between the side frames, there is an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safety and durability of th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는 작업대의 바닥 영역을 가변 확장시킬 수 있게 구성하므로, 작업의 다양성 및 고소작업의 작업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fabricated safety scaffolding for high place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variably expand the floor area of the worktable, there is an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diversity of work and work efficiency of the high place 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베이스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받침고정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사이드잠금수단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연결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받침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frame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upport fixing part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ide locking means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nection frame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upport member 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하부에 복수의 캐스터를 구비하고, 상부에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전후좌우로 길이 연장하여 사방에 받침 지지하되 서로 직각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받침고정부를 구비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기립하여 측벽을 이루되 상기 지지돌기 상에 끼움 결합하고,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 배치할 수 있게 구성하는 측부프레임과; 상기 측부프레임 간에 적층 구조로 연결 지지하여 층별로 구분 구획하고, 최상층에서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위한 바닥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having a plurality of casters at the lower portion, the support protrusions protruding on the upper portion, and supporting support in all directions by extending in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but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 side frame standing on the base frame to form a side wall, fitted on the support protrusion, and configured to be extended and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technical configuration features a prefabricated safety scaffolding for high place work, including a connection frame, which is connected and supported between the side frames in a stacked structure and divided by floor, and on which a floor plate is installed for an operator's high place work on the top floor.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safety scaffold for high place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과, 측부프레임(20)과, 연결프레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an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safety scaffolding for high place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frame 10, a side frame 20, and a connection frame 30, as shown in FIG. 1.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체에서 최하단에 배치하고, 하부에 복수의 캐스터(13)를 구비하여 구름 이동가능하게 구성한다.As shown in FIGS. 1 and 3, the base frame 10 is dispos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asters 13 at the lower part to enable rolling movement.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복수의 프레임이 접합 연결된 구조로서, 평면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프레임의 내측에는 일측이 개방 형성된 가이드로(12)를 구비한다.The base frame 10 i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bonded and connected, and has a rectangular or square shape when viewed from a plane, and includes a guide path 12 formed with one side open inside each frame.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좌우로 길이 연장하여 사방에서 받침 지지할 수 있는 받침고정부(15)를 구비한다.3 and 4, the base frame 10 is provided with a support fixing portion 15 that extends in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to support the support in all directions.

상기 받침고정부(15)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가이드로(12) 상에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을 기준으로 서로 직각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한다. 즉, 상기 받침고정부(15)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상기 받침고정부(15) 간에 직각을 이루며 위치한 후 전방위로의 고소작업을 받침 고정하게 구성하므로, 사방을 향한 안정적인 지지 받침효과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upport fixing part 15 is installed on the guide path 12 of the base frame 10 and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10. That is, the support fixing unit 15 is configured to support and fix the high place work in all directions after being positioned at a right angle between the support fixing units 15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thus achieving a stable support support effect in all directions. It is possible.

상기 받침고정부(15)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을 기준으로 길이를 연장 가능하게 형성하는 연장지지바(16)와, 고소작업에 따른 작업위치에서 위치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17)을 구성한다.As shown in FIG. 4, the support fixing part 15 includes an extension support bar 16 formed to extend the length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10, and a position fixed at a working position according to high place work. It constitutes the fixing means (17).

상기 연장지지바(16)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가이드로(12)에 끼움 결합하여 전후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다. 즉, 상기 연장지지바(16)는 상기 가이드로(1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길이를 연장 설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The extension support bar 16 is fitted to the guide path 12 of the base frame 10 to be slidab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a linear direction. That is, the extension support bar 16 is configured to slide along the guide path 12 to extend its length.

상기 받침고정부(15)에는 상기 연장지지바(16)에 대한 길이 연장 설정을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에 고정하는 길이고정핀(14)을 구비한다.The support fixing part 15 is provided with a length fixing pin 14 for fixing a length extension setting for the extension support bar 16 on the base frame 10.

상기 연장지지바(16)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는 서로 연통할 수 있게 상하 수직 관통되며 상기 길이고정핀(14)이 끼움 결합할 수 있는 고정홀(H)을 형성한다.The extension support bar 16 and the base frame 10 are vertically penetrat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fixing hole H through which the length fixing pin 14 can be fitted is formed.

상기 고정홀(H)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에 형성되는 1~2개의 제1고정홀(H1)과, 상기 연장지지바(16) 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기 제1고정홀(H1)과 연통 가능하게 형성하는 제2고정홀(H2)을 구비한다.The fixing hole (H) is formed at intervals from one to two first fixing holes (H1) formed on the base frame (10) and the extension support bar (16), the first fixing hole It has a second fixing hole (H2) formed to communicate with (H1).

상기 위치고정수단(17)은 상기 연장지지바(16)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결합하여 작업위치의 바닥면에 접촉 지지될 수 있게 구성한다.The position fixing means 17 is configured to be vertic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extension support bar 16 so as to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ing position.

상기 위치고정수단(17)은 외주연 상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상단에 회전조작 가능한 조작레버(17a-1) 및 하단에 지지판(17a-2)을 구비하는 높이조절축(17a)과, 상기 연장지지바(16)의 상하면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축(17a)이 나사 결합하는 체결너트(17b)와, 상기 높이조절축(17a)을 상기 체결너트(17b) 상에 잠금 고정하는 록킹너트(17c)를 구성한다.The position fixing means 17 includes a height adjustment shaft 17a having a male screw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a rotationally operable operation lever 17a-1 at the upper end and a support plate 17a-2 at the lower end, and the extension A locking nut (17b)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bar (16) and to which the height adjustment shaft (17a) is screwed, and a locking fixing the height adjustment shaft (17a) on the fastening nut (17b) Compose the nut (17c).

상기 록킹너트(17c)는 상기 높이조절축(17a) 상에 나사 결합상태로 위치하되 상기 체결너트(17b)에 접하여 상기 높이조절축(17a)을 잠금 고정한다. 즉, 상기 높이조절축(17a)을 상기 조작레버(17a-1)로 회전조작하여 상기 지지판(17a-2)이 바닥면에 접촉 지지되게 높이 조정하면, 상기 록킹너트(17c)를 상기 체결너트(17b)에 접하도록 조여 상기 높이조절축(17a)을 잠금 고정하게 된다.The locking nut 17c is located on the height adjustment shaft 17a in a screwed state, but contacts the fastening nut 17b to lock and fix the height adjustment shaft 17a. That is, when the height adjustment shaft (17a) is rotated with the operation lever (17a-1) to adjust the height so that the support plate (17a-2)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he locking nut (17c) is attached to the fastening nut. Tighten to contact (17b) to lock and fix the height adjustment shaft (17a).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는 상기 측부프레임(20)을 연결 결합하기 위하여 상부에 복수 개의 지지돌기(11)를 돌출 형성한다.The base frame 10 has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11 protruding from the top to connect and couple the side frame 2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지지돌기(11)에는 상기 측부프레임(20)의 하단이 끼움 결합할 수 있게 형성한다.The lower end of the side frame 20 is formed to be fitted to the support protrusion 11 of the base frame 10.

상기 지지돌기(1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 모서리부분에 대응하여 형성하되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 모서리부분마다 구비토록 형성한다.The support protrusions 11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corner portions of the base frame 10, but two are formed to form a pair, and are formed to be provided at each upper corn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0.

상기 지지돌기(1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1지지돌기(11a)와, 상기 제1지지돌기(11a)에 소폭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지지돌기(11b)를 구비하므로, 상기 제1지지돌기(11a)와 상기 제2지지돌기(11b)가 한 쌍을 이룬다.The support protrusion 11 includes a first support protrusion 11a positioned to correspond to an upper edge of the base frame 10,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11a positioned at a small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1a. 11b),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1a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1b form a pair.

상기 제2지지돌기(11b)는 상기 제1지지돌기(11a)를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되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다른 쌍의 제2지지돌기(11b)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위치하게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지지돌기(11a)를 기준으로 X축 방향에 상기 제2지지돌기(11b)를 형성하면,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다른 쌍의 제2지지돌기(11b)는 상기 제1지지돌기(11a)를 기준으로 Y축 방향에 위치하게 형성한다.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1b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1a, but is formed to be positioned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other pair of second support protrusions 11b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For example, if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1b is formed in the X-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1a,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1b of another pair adjacent to each other is It is formed to be located in the Y-axis direction based on the support protrusion (11a).

상기 측부프레임(2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에 기립하여 측벽을 이루되,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측 4면에 대응하여 구비토록 구성한다.The side frame 20 stands on the base frame 10 to form a side wall, and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four surfaces of the base frame 10.

상기 측부프레임(20)은 상하 수직 직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종프레임(21)과, 상기 종프레임(21)을 횡 방향으로 연결하는 횡프레임(23)을 구성한다.The side frame 20 includes a vertical frame 21 extending vertically and vertically and dispos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a horizontal frame 23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 2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 측부프레임(2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지지돌기(11) 상에 상기 종프레임(21)의 하단부를 끼움 결합하여 조립한다.The side frame 20 is assembled by fitting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21 on the support protrusion 11 of the base frame 10.

상기 측부프레임(20)에는 복수 개의 상기 횡프레임(23)을 상하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작업자가 오르락내리락할 수 있는 사다리를 구비한다.The side frame 20 is provided with a ladder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23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an operator can go up and down.

상기 측부프레임(20)은 상기 연결프레임(30)을 경계로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 배치할 수 있게 구성한다.The side frame 20 is configured to extend vertically and vertically with the connection frame 30 as a boundary.

상기 측부프레임(20)에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개개의 측부프레임(20) 간에 일체로 잠금 고정하는 사이드잠금수단(25)을 구성한다.The side frame 20 constitutes a side locking means 25 for integrally locking and fixing the individual side frames 20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사이드잠금수단(25)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부프레임(20) 상에 걸림 접촉가능하게 형성하는 걸이브라켓(26)와, 상기 걸이브라켓(26)에 대응하여 인접하게 위치한 상기 측부프레임(20) 상에 형성하고 상기 걸이브라켓(26) 상에 걸어 잠금 설정 가능하게 형성하는 잠금클램프(27)를 구성한다.As shown in FIG. 5, the side locking means 25 includes a hook bracket 26 formed on the side frame 20 so as to be engag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ide portion located adjacent to the hook bracket 26. A locking clamp 27 formed on the frame 20 and configured to be locked on the hook bracket 26 is formed.

상기 사이드잠금수단(25)에서는 상기 잠금클램프(27)를 상기 걸이브라켓(26)에 걸어 상기 잠금클램프(27) 측으로 당겨진 상태를 이루게 잠금 고정한다.In the side locking means (25), the locking clamp (27) is fastened to the hook bracket (26) and is locked and fixed in a pulled state toward the locking clamp (27).

상기 사이드잠금수단(25)은 상기 측부프레임(20) 상에 상하 간격을 두고 복수 개를 배치하게 구성한다.The side locking means 25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on the side frame 20 with an upper and lower interval therebetween.

상기에서 사이드잠금수단(25)은 상기 측부프레임(20)마다 상기 걸이브라켓(26)과 상기 잠금클램프(27)가 간격을 두고 배치하게 구성한다. 즉,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개개의 측부프레임(20)에 대하여 상기 잠금클램프(27)에 의해 상/하부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당겨진 잠금 상태를 이룰 수 있게 구성한다.In the above, the side locking means 25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ook bracket 26 and the locking clamp 27 are arranged at intervals for each of the side frames 20. That is, the upper/lower portions are pulled in different directions by the locking clamps 27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side frames 20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와 같이 사이드잠금수단(25)을 구성하게 되면, 측부프레임(20) 간에 일체로 잠금 고정하므로 구조체의 내구성과 함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side locking means 25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ide frames 20 are integrally locked and fixed,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safety as well as the durability of the structure.

상기 연결프레임(30)은 상하로 배치되는 상기 측부프레임(20) 간에 적층 구조로 연결 지지하여 층별로 구분 구획하게 구성한다.The connection frame 30 is configured to be divided by layers by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side frames 20 arranged up and down in a stacked structure.

상기 연결프레임(3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상기 측부프레임(20)을 연결 결합하도록 상하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복수의 연결돌기(35)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6, the connection frame 30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protrusions 35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o connect and couple the side frames 20 up and down.

상기 연결돌기(35)에 있어서도 상기한 베이스프레임(10)의 지지돌기(11)와 마찬가지로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연결프레임(30)의 모서리부분마다 구비토록 형성한다.In the connection protrusion 35, as in the support protrusion 11 of the base frame 10 described above, two form a pair, and are formed to be provided at each corner of the connection frame 30.

상기 연결프레임(30)은 최상층에서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위한 바닥플레이트(31)를 설치하므로, 작업자의 작업영역을 형성한다.Since the connection frame 30 installs a floor plate 31 for a worker's high place work on the top floor, it forms a work area for the worker.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에 의하면, 하부 베이스프레임의 전후좌우 사방에 서로 직각방향을 향해 연장하여 받침 지지하므로, 비계의 전방위 모든 방향를 향한 작업진동이나 전도현상을 방지하여 고소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함은 물론 추락사고의 제로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비계의 전반적인 프레임 구조체를 조립 결합함은 물론 적층 가변구조를 이루게 구성하므로, 고소작업의 탄력적인 높이설정을 도모하면서 비계 구조체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프레임의 구조체의 조립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safety scaffolding for high place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upport is supported by extending in a right angle direction to each other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base frame, work vibration or fall in all directions of the scaffold is prevented. Thus,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omote the safety of work at high places, but also to achieve zero fall accidents. Furthermore, since the overall frame structure of the scaffold is assembled and combined as well as a stacked variable structure, it improves the mobility of the scaffold structure while promoting a flexible height setting for high place work, and promotes the convenience and speed of assembly of the fram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do.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의 다른 실시예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30) 상에 설치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31)와 동일 수평선상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 가능하게 형성하는 가변지지수단(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safety scaffold for high place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onnection frame 30 and extends outwar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floor plate 31, as shown in Figs. 7 and 8 It further comprises a variable support means 40 formed to be possible.

상기 가변지지수단(40)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플레이트(31)의 외측으로 연장된 바닥면을 형성하는 연장플레이트(41)와, 상기 연장플레이트(41)를 수평 상태로 지지하는 받침부재(45)를 구성한다.As shown in FIG. 8, the variable support means 40 includes an extension plate 41 forming a bottom surface extending outward of the bottom plate 31, and supporting the extension plate 41 in a horizontal state. It constitutes the support member (45).

상기 연장플레이트(41)는 상기 연결프레임(30) 상에 접이식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연결프레임(30)의 외측으로 펼쳐 상기 바닥플레이트(31)에 의한 작업영역을 연장 가능하게 형성한다.The extension plate 41 is installed on the connection frame 30 in a foldable form, and spreads outward of the connection frame 30 to form a work area by the floor plate 31 so as to be extendable.

상기 받침부재(45)는 상기 연장플레이트(41)의 일측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한다.The support member 45 is hinge-coupled to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extension plate 41 so as to be rotatable.

상기 받침부재(45)는 상기 연장플레이트(41)의 펼침 상태에서 상기 측부프레임(20) 상에 지지 결합하므로, 상기 연장플레이트(41)의 펼침 수평상태를 유지시킨다.Since the support member 45 is supported and coupled on the side frame 20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extension plate 41, the unfolded horizontal state of the extension plate 41 is maintained.

상기 받침부재(45)는 상기 연장플레이트(41)로부터 연장 형성된 지지바(46)와, 상기 지지바(46)의 끝단에서 상기 측부프레임(20) 상에 접촉 결합하는 결속단부(47)를 형성한다.The support member 45 forms a support bar 46 extended from the extension plate 41 and a binding end 47 that is contactably coupled to the side frame 20 at the end of the support bar 46 do.

또한, 상기 받침부재(45)의 지지바(46)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체적으로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길이 가변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지지바(46)는 상기 연장플레이트(41) 상에 일단이 힌지 결합하는 제1지지바(46a)와, 상기 제1지지바(46a) 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여 길이를 연장하는 제2지지바(46a)를 구비하고, 상기 제2지지바(46a)에 대하여 상기 제1지지바(46a) 상에 잠금 고정하는 잠금결속핀(49)을 구성하므로, 측부프레임(20)에 대응하여 탄력적인 결합지점을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the support bar 46 of the support member 45 may be configured with a variable length structure capable of extending its length by itself. That is, the support bar 46 is a first support bar (46a) hinge-coupled to one end on the extension plate (41), and a second support bar (46a) that is slidable to extend its length. Since the support bar (46a) is provided, and the second support bar (46a) is configured with a locking binding pin (49) for locking and fixing on the first support bar (46a), corresponding to the side frame (20) It is possible to designate a resilient connection point.

즉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작업대의 바닥 영역을 가변 확장시킬 수 있게 구성하므로, 작업의 다양성 및 고소작업의 작업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i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in the other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ince the floor area of the worktable is variably expanded,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diversity of work and work efficiency of high place work.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other embodiments described above, except for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safety scaffolding for high place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pecifica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possible, and thi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베이스프레임 11 : 지지돌기
11a : 제1지지돌기 11b : 제2지지돌기 12 : 가이드로
13 : 캐스터 14 : 길이고정핀 15 : 받침고정부
16 : 연장지지바 17 : 위치고정수단 17a : 높이조절축
17a-1 : 조작레버 17a-2 : 지지판 17b : 체결너트
17c : 록킹너트 20 : 측부프레임 21 : 종프레임
23 : 횡프레임 25 : 사이드잠금수단 26 : 걸이브라켓
27 : 잠금클램프 30 : 연결프레임 31 : 바닥플레이트
35 : 연결돌기 40 : 가변지지수단 41 : 연장플레이트
45 : 받침부재 46 : 지지바 46a : 제1지지바
46b : 제2지지바 47 : 결속단부 49 : 잠금결속핀
10: base frame 11: support protrusion
11a: first supporting protrusion 11b: second supporting protrusion 12: with a guide
13: caster 14: length fixing pin 15: support fixing part
16: extension support bar 17: position fixing means 17a: height adjustment shaft
17a-1: operation lever 17a-2: support plate 17b: fastening nut
17c: locking nut 20: side frame 21: vertical frame
23: horizontal frame 25: side locking means 26: hook bracket
27: locking clamp 30: connection frame 31: floor plate
35: connecting protrusion 40: variable support means 41: extension plate
45: support member 46: support bar 46a: first support bar
46b: second support bar 47: binding end 49: locking binding pin

Claims (7)

하부에 복수의 캐스터를 구비하고, 상부에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전후좌우로 길이 연장하여 사방에 받침 지지하되 서로 직각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받침고정부를 구비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기립하여 측벽을 이루되 상기 지지돌기 상에 끼움 결합하고,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 배치할 수 있게 구성하는 측부프레임과; 상기 측부프레임 간에 적층 구조로 연결 지지하여 층별로 구분 구획하고, 최상층에서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위한 바닥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돌기는,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 모서리 부분마다 구비토록 형성하되,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1지지돌기와, 상기 제1지지돌기에 소폭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돌기는 상기 제1지지돌기를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되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다른 쌍의 제2지지돌기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위치하게 형성하고,
상기 받침고정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전후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길이를 연장하는 연장지지바와, 상기 연장지지바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결합하여 작업위치에서 위치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하단에 지지판을 구비하며 상단에 회전조작 가능한 조작레버를 구비하는 높이조절축과, 상기 연장지지바의 상하면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축이 나사 결합하는 체결너트와, 상기 높이조절축 상에 나사 결합하고 상기 체결너트에 접하여 상기 높이조절축을 잠금 고정하는 록킹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고정부에는 상기 연장지지바에 대한 길이 연장 설정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고정하는 길이고정핀과, 상기 연장지지바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서로 연통할 수 있게 상하 수직 관통되며 상기 길이고정핀이 끼움 결합할 수 있는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프레임에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개개의 측부프레임 간에 일체로 잠금 고정하는 사이드잠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잠금수단은, 상기 측부프레임 상에 걸림 접촉가능하게 형성하는 걸이브라켓와, 상기 걸이브라켓에 대응하여 인접하게 위치한 상기 측부프레임 상에 형성하고 상기 걸이브라켓 상에 걸어 잠금 설정 가능하게 형성하는 잠금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 상에 설치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동일 수평선상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 가능하게 형성하는 가변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지지수단은, 상기 연결프레임 상에 접이식 형태로 설치되고 외측 연장 가능하게 형성하는 연장플레이트와, 상기 연장플레이트의 일측 하단에 힌지 결합하고 상기 측부프레임 상에 지지 결합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연장플레이트로부터 연장 형성된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끝단에서 상기 측부프레임 상에 접촉 결합하는 결속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바는, 상기 연장플레이트 상에 일단이 힌지 결합하는 제1지지바와, 상기 제1지지바 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여 길이를 연장하는 제2지지바를 구성하고, 상기 제2지지바에 대하여 상기 제1지지바 상에 잠금 고정하는 잠금결속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
A base frame having a plurality of casters at the lower portion, the support protrusions protruding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supporting support in all directions by extending in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but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 side frame standing on the base frame to form a side wall, fitted on the support protrusion, and configured to be extended and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Containing; a connecting frame in which a floor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most floor by a layered structure by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side frames in a layered structure, and in which a floor plate is installed for a worker's high place work on the uppermost floor,
The support protrusions are formed to form a pair of two and are provided at each upper edge portion of the base frame, wherein the support protrusions have a first support protrusion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upper edge of the base frame, and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It includes a second support protrusion positioned at a small interval,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is position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but is formed to be positioned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other pair of second support protrusions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support fixing part is an extension support bar that is slidable in a straight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n the base frame to extend a length based on the base frame, and is vertic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extension support bar to fix the position at a working position. Including a position fixing means,
The position fixing means includes a height adjustment shaft having a support plate at the lower end and a rotationally operable operation lever at the upper end, a fastening nut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xtension support bar and screwed to the height adjustment shaft, and the It is screwed on the height adjustment shaft and includes a locking nut for locking and fixing the height adjustment shaft in contact with the fastening nut,
The support fixing part has a length fixing pin for fixing the length extension setting for the extension support bar on the base frame, and vertically penetrating the extension support bar and the base frame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length fixing pin is fitted. It includes a fixing hole that can be combined,
The side frame includes side locking means for integrally locking and fixing between individual side frames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side locking means includes a hook bracket formed on the side frame to be hooked and contactable, and a locking clamp formed on the side frame adjacent to the hook bracket and formed to be locked on the hook bracket. Including,
It includes a variable support means installed on the connection frame and formed so as to extend toward the outside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floor plate,
The variable support means includes an extension plate installed in a foldable form on the connection frame and formed to be extended outward, and a support member hinge-coupled to a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extension plate and supported on the side frame,
The support member forms a support bar extending from the extension plate, and a binding end contactingly coupled to the side frame at an end of the support bar,
The support bar comprises a first support bar hinge-coupled to one end on the extension plate, and a second support bar slidably movable within the first support bar to extend a length, and the first support bar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bar Prefabricated safety scaffolding for high place work comprising a locking pin that locks onto the support ba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38859A 2019-04-03 2019-04-03 Built-up Safe Scaffold for High Place Work KR1022295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859A KR102229567B1 (en) 2019-04-03 2019-04-03 Built-up Safe Scaffold for High Place 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859A KR102229567B1 (en) 2019-04-03 2019-04-03 Built-up Safe Scaffold for High Place 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144A KR20200117144A (en) 2020-10-14
KR102229567B1 true KR102229567B1 (en) 2021-03-18

Family

ID=72846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859A KR102229567B1 (en) 2019-04-03 2019-04-03 Built-up Safe Scaffold for High Place 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56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149Y1 (en) * 2022-01-04 2022-03-15 한성전기 주식회사 Scaffold system
KR102410270B1 (en) * 2022-03-08 2022-06-22 주식회사 서진기계 Vertically movable worktable with collapsible falling object blocking member
KR102436145B1 (en) * 2022-05-13 2022-08-25 한성전기 주식회사 Scaffold system
KR102538316B1 (en) * 2022-05-26 2023-05-31 박희석 Getting on and off apparatus for scaffol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482Y1 (en) * 2006-09-20 2006-12-04 홍성철 The assembly scaffolding
US20100012430A1 (en) * 2008-06-06 2010-01-21 David Kirk Ogden Leveling system for portable work platforms
JP2010275816A (en) * 2009-05-29 2010-12-09 Marusa:Kk Elevation type scaffold bloc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2210B2 (en) * 1997-11-17 2002-10-07 アルインコ株式会社 Mounting bracket for frame scaffold
KR200418543Y1 (en) 2006-03-27 2006-06-12 김선환 Lift for a high place work
KR20130002481U (en) 2011-10-17 2013-04-25 하상순 Working ta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482Y1 (en) * 2006-09-20 2006-12-04 홍성철 The assembly scaffolding
US20100012430A1 (en) * 2008-06-06 2010-01-21 David Kirk Ogden Leveling system for portable work platforms
JP2010275816A (en) * 2009-05-29 2010-12-09 Marusa:Kk Elevation type scaffold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144A (en)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567B1 (en) Built-up Safe Scaffold for High Place Work
EP1509473A1 (en) Safety fence at upper part of cab
US20050230194A1 (en) Safety fence at upper part of cab
KR20110006044U (en) Safety barrier with up and down device
KR200424319Y1 (en) High and iow regulatidn travelling a worktable
KR20100055605A (en) Improved model assembly stairway
JP4912358B2 (en) Portable worktable
JPS585801Y2 (en) Temporary walkway or stair railing
JPH10273970A (en) Bridge device for surmounting veranda or the like
JP4170580B2 (en) Portable worktable
KR100536099B1 (en) A ladder using architerture
JPH0247139Y2 (en)
JP6574726B2 (en) Handrail frame of staircase opening in temporary scaffold
KR200400391Y1 (en) Structure of scaffold frame installed with fall-down preventive rail
CN218779737U (en) Glass curtain wall connection structure convenient to installation
KR101552245B1 (en) High-place worktable
JP2011094378A5 (en)
KR102602451B1 (en) Fcaffolding Type Cage
CN214034450U (en) Loft ladder with balance rod on bottom foot
PT1365087E (en) Safety barrier apparatus
CN218044431U (en) Steel stool with adjustable supporting legs
KR200452778Y1 (en) Scaffold for work
JP2011094378A (en) Working position sensor in workbench
JP5305432B2 (en) Moving scaffold
KR101782910B1 (en) Working st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