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245B1 - 퍼팅 연습기 및 이를 이용한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퍼팅 연습기 및 이를 이용한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245B1
KR102229245B1 KR1020190140599A KR20190140599A KR102229245B1 KR 102229245 B1 KR102229245 B1 KR 102229245B1 KR 1020190140599 A KR1020190140599 A KR 1020190140599A KR 20190140599 A KR20190140599 A KR 20190140599A KR 102229245 B1 KR102229245 B1 KR 102229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coupled
bar
postur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김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기 filed Critical 김종기
Priority to KR1020190140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245B1/ko
Priority to PCT/KR2019/016760 priority patent/WO2021033846A1/ko
Priority to US16/708,957 priority patent/US1117961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3Spoken or verbal i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어깨와 퍼터의 그립부를 잡은 사용자의 손의 상대적 위치로 이루어진 퍼팅자세를 훈련시키는 퍼팅 연습기를 제공한다. 퍼팅 연습기는 골프공에 퍼터의 헤드가 인접하도록 퍼팅 준비상태에 놓인 퍼터를 기준으로, 상기 퍼터의 그립부 아래에서 상기 퍼터의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샤프트 고정부와, 상기 샤프트 고정부가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정허브(fixing hub); 상기 고정허브와 사용자의 각 겨드랑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1 지지바 및 제2 지지바;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며, 사용자의 상기 각 겨드랑이에 견착되는 제1 견착부 및 제2 견착부; 그리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지지바의 하부 및 상기 제2 지지바와 하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지지바와 상기 제2 지지바의 사잇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동되는 기어구조를 가지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퍼팅 연습기 및 이를 이용한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PUTT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WING POSTURE COACH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퍼팅 연습기 및 이를 이용한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몸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어깨와 손 및 퍼터가 일체적으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퍼팅자세를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하는 퍼팅 연습기와 이에 센서를 설치하고 전용앱을 이용하여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프경기에서 퍼팅은 그린에 올린 골프공을 퍼터를 이용하여 굴려서 홀컵에 넣는 동작을 말한다. 퍼팅의 정확도는 골프 스코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확한 퍼팅을 위해서는 흔들림 없는 안정된 스트로크와 골프공을 정확하게 타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스트로크는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하여 퍼터를 뒤로 스윙하는 백스트로크와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하여 퍼터를 앞으로 스윙하는 포워드스트로크와 타격 후 골프공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앞으로 나아가는 팔로우스루로 구분될 수 있다.
퍼터는 손으로 잡는 그립부와 그립부에 연결된 퍼터 샤프트와 퍼터 샤프트의 하단에 형성되어 골프공을 직접 타격하는 헤드를 포함하여, 골프공을 짧은 거리로 보내는데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좋은 스코어를 위해서는 퍼팅자세가 중요하다. 퍼팅자세에 있어서는 어깨와 그립부를 잡은 손이 역삼각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스트로크 중에 이러한 역삼각형 자세가 일관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퍼팅에 있어서 스트로크는 비교적 다른 골프 클럽을 사용할 때의 스윙동작에 비해 속도가 느리며, 불안정한 동작, 예를 들어 헤드를 좌우 움직임, 스트로크시 팔목의 굽혀짐 등으로 인하여 안정적이고 바람직한 자세로 퍼팅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퍼팅자체 또는 스트로크를 연습시켜 주기 위한 장치나 도구가 개시되어 왔다. 예를 들어, 스윙자세와 스윙결과를 연습장치를 이용해 센싱하고 이를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여 스윙동작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결과적인 분석방법으로서, 머리로만 이해할 뿐 몸으로 직접 스트로크나 퍼팅자세를 익히도록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도 사용자의 몸에 직접 작용하여 퍼팅자세를 교정하는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 장치들의 구성이 복잡하고, 상기한 역삼각형 자세로 일관성 있게 퍼팅자세를 직접 몸으로 익힐 수 있게 해주는 연습장치는 아니어서, 이러한 퍼팅 연습장치 및 스윙자세 연습방법에 대한 요구가 있게 되었다.
미국 등록특허 제9,943,743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법과 취급이 간편하면서도 사용자의 몸에 직접 작용하여 퍼팅자세 내지 스트로크 자세를 익힐 수 있도록 하는 퍼팅 연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퍼팅 연습기에 센서를 설치하고 스마트폰에 전용앱을 설치하여 스윙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어깨와, 퍼터의 그립부를 잡은 사용자의 손 사이의 상대적 위치로 이루어진 퍼팅자세를 훈련시키는 퍼팅 연습기를 제공한다. 퍼팅 연습기는 골프공에 퍼터의 헤드가 인접하도록 퍼팅 준비상태에 놓인 퍼터를 기준으로, 상기 퍼터의 그립부 아래에서 상기 퍼터의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샤프트 고정부와, 상기 샤프트 고정부가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정허브(fixing hub); 상기 고정허브와 사용자의 각 겨드랑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1 지지바 및 제2 지지바;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며, 사용자의 상기 각 겨드랑이에 견착되는 제1 견착부 및 제2 견착부; 그리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지지바의 하부 및 상기 제2 지지바와 하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지지바와 상기 제2 지지바의 사잇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동되는 기어구조를 가지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어구조는, 상기 제1 지지바의 하부와 결합되며, 하단의 측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제1 회동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2 지지바의 하부와 결합되며, 하단의 측면에 상기 제1 회동 지지부의 기어치와 맞물리어 회동가능한 기어치가 형성된 제2 회동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견착부는, 상기 제1 지지바의 상단에 결합되며, 수용홈부가 형성된 견착 지지부; 상기 견착 지지부와 결합되며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접하는 상면을 가지는 견착면부; 그리고 상기 수용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견착면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견착부는 상기 제2 지지바에 대한 관계에서 상기 제1 견착부와 마찬가지 방식의 견착 지지부, 견착면부 및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 고정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 고정부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이 접하도록, 후방으로 개방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면보다 전방으로 더 함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해 회동되며 후방으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하는 제2 고정부;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를 상기 샤프트에 밀착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바는, 하부가 상기 제1 회동 지지부와 결합되며 상측으로 연장된 하부바; 상기 하부바의 상단과 결합되는 상부바로서, 상기 하부바의 상단과 상기 상부바의 하단 중 하나가 나머지 하나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상부바; 상기 하부바 및 상기 상부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높이조절이 된 후 상기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높이조절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바는 상기 제2 회동 지지부에 대한 관계에서, 상기 제1 지지바와 마찬가지 방식의 하부바, 상부바 및 높이조절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 지지부의 하단의 후면 및 상기 제2 회동 지지부의 하단의 후면은 각각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회동 지지부의 상단의 후면 및 상기 제2 회동 지지부의 상단의 후면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제1 가이드홀 및 제2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홀 및 상기 제2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회동 지지부의 상단의 후면 및 상기 제2 회동 지지부의 상단의 후면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사잇각 조절을 위해 상기 제1 가이드홀 및 상기 제2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는 체결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면(front face)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 고정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지지바의 하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의 하부바는 각각 상기 제1 회동 지지부의 상단 및 상기 제2 회동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고정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면과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지지바의 하부바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회동 지지부의 상단의 후면 및 하단의 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들;을 가지며, 상기 제2 지지바의 하부바도 상기 제2 회동 지지부에 대해 마찬가지 방식의 연결부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어깨와, 퍼터의 그립부를 잡은 사용자의 손 사이의 상대적 위치로 이루어진 퍼팅자세를 훈련시키는 퍼팅 연습기를 제공한다. 퍼팅 연습기는 골프공에 퍼터의 헤드가 인접하도록 퍼팅 준비상태에 놓인 퍼터를 기준으로, 상기 퍼터의 그립부 아래에서 상기 퍼터의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샤프트 고정부와, 상기 샤프트 고정부가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정허브(fixing hub); 상기 고정허브와 사용자의 각 겨드랑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1 지지바 및 제2 지지바;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지지바의 하부 및 상기 제2 지지바와 하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지지바와 상기 제2 지지바의 사잇각을 조절할 수 있는 회동구조를 가지는 각도조절부;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며, 사용자의 상기 각 겨드랑이에 견착되는 제1 견착부 및 제2 견착부로서, 각각 상기 제1 지지바의 상단에 결합되며, 수용홈부가 형성된 견착 지지부와, 상기 견착 지지부와 결합되며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접하는 상면을 가지는 견착면부와, 상기 수용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견착면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제1 견착부 및 제2 견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동구조는, 상기 제1 지지바의 하부와 결합되며, 하단의 측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제1 회동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2 지지바의 하부와 결합되며, 하단의 측면에 상기 제1 회동 지지부의 기어치와 맞물리어 회동가능한 기어치가 형성된 제2 회동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견착 지지부는, 상기 수용홈부로부터 상기 견착면부의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암(arm); 상기 지지암의 단부에 형성된 지지홈부; 그리고 상기 수용홈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상부바의 상단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견착면부는, 곡면 형태로 휘어져 상기 겨드랑이에 위치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수용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제1 결합돌출부; 그리고 상기 안착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지지홈부에 삽입되는 제2 결합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전달된 신호를 이용하여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먼저,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의 퍼팅 연습기에, 3축 방향 가속도 및 위치 및 방향을 측정하는 다축관성 센서를 설치한다. 이후, 사용자가 스윙동작 또는 퍼팅동작시 상기 다축관성 센서로부터 센싱된 상기 3축 방향 가속도 및 상기 위치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자세정보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퍼팅자세 연습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상기 자세정보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축관성 센서는, 상기 제1 지지바, 상기 제2 지지바 및 상기 고정허브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단말기는 스마트폰이고, 상기 전용 소프트웨어는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퍼팅자세 연습 전용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축관성 센서는, 3축 방향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그리고 공간상의 상기 위치 및 방향을 측정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그리고 상기 자세정보신호를 스마트폰에게 전송하는 블루투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용앱은, 상기 제1 지지바, 상기 제2 지지바 및 상기 고정허브에 각각 설치된 3개의 상기 다축관성 센서로부터 상기 자세정보신호를 함께 전송받고,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한 자세정보신호로부터 X,Y,Z축 방향 가속도 및 힘을 도출하고, 상기 자이로스코프 센서에 의한 자세정보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팔의 움직이는 방향 및 손의 회전 방향을 도출하여, 상기 XYZ축 중 특정 축방향 신호의 부호변환 시점으로부터 상기 스윙동작 또는 상기 퍼팅동작의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판별하고, 상기 팔의 움직이는 방향 및 손의 회전 방향에 관한 데이터의 누적에 의해 고도변화를 도출하여, 상기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용앱은, 상기 다축관성 센서의 센서연결 및 상태메뉴, 사용자 기본자세 또는 추천되는 기본자세 저장메뉴, 사용자의 연습자세들의 비교 또는 사용자의 연습자세와 상기 기본자세와의 비교를 제공하는 연습자세 비교 메뉴를 포함하는 기본 메뉴를 제공하며, 상기 스윙자세 코칭정보는 스윙 형태에 따라 미리 DB형태로 저장되어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교정 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조립 및 분리가 편리하며, 사용자의 몸체 직접 작용하여 퍼팅자세를 훈련시킬 수 있는 퍼팅 연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각도조절부의 구조로 인해, 기어치가 맞물리며 회동하여 각도가 조절되므로 각도를 더욱 정확히 조절할 수 있고, 제1 지지바 및 제2 지지바 사이 간격을 중심선을 기준으로 균등하게 벌리거나 좁힐 수 있다.
또한, 기어치 치합 방식의 각도조절부로 인해 회동동작이 더 견고하고 신뢰성이 있게 될 수 있다.
또한, 퍼팅 연습기의 견착부의 원터치식 탈부착으로 인한 편리함, 견착부의 탄성부재에 의한 지지로 인해 스윙시 사용자 신체에 추종하는 유연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샤프트 고정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함입되어 있는 실시예의 경우, 샤프트를 지지바와 더 콤팩트하게 위치시킬 수가 있다.
또한, 지지바의 길이조절 및 용이한 장탈착, 높이조절 각도조절에 의한 사용자 신체에 추종하는 조절이 용이함, 샤프트 고정부에 퍼터 샤프트의 장탈착의 편리함 등 사용상 매우 편리하고 취급 및 보관상 장점이 있다.
또한, 퍼팅 연습기에 센서를 설치하고 스마트폰에 전용앱을 설치하여 스윙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의 견착부와 지지바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의 고정허브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윙자세 코칭정보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퍼팅 연습기는 사용자의 어깨와, 퍼터의 그립부를 잡은 사용자의 손 사이의 상대적 위치로 이루어진 퍼팅자세를 훈련시키는 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팅자세로서 사용자의 어깨와 퍼터(10)의 그립부를 잡은 사용자의 손이 역삼각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의 퍼팅 연습기는 이러한 바람직한 퍼팅자세로 스트로크의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게 유지되도록 도움을 준다. 특히, 퍼팅 연습기는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작용하여 훈련효과가 몸에 기억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고 스윙시 유연하게 동작할 수 있으며, 취급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퍼팅 연습기는 고정허브(100), 제1 지지바(400), 제2 지지바(500), 각도조절부(600), 제1 견착부(800) 및 제2 견착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방향이나 위치관계에 있어서, 골프공에 퍼터(10)의 헤드가 인접하도록 퍼팅 준비상태에 놓인 퍼터(1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의 고정허브(10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고정허브(100)는 샤프트 고정부(110) 및 고정 프레임(15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50)은 금형에 의해 성형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사출물 또는 성형물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고정 프레임(150)은 금속판이나 띠부재를 용접 또는 볼트체결한 프레임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샤프트 고정부(110)는 고정 프레임(150)에 결합되며, 퍼터의 그립부 아래에서 퍼터의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도조절부(600)는 고정 프레임(150)의 전면에 결합되고, 샤프트 고정부(110)는 고정 프레임(150)의 후면에 결합된다. 다만, 샤프트 고정부(110)가 고정 프레임(150)의 전면에 결합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샤프트 고정부(110)는 부분적으로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샤프트 고정부(110)는 퍼터 그립부 아래의 퍼터 샤프트가 원통형상의 중공된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퍼터 샤프트와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 고정부(110)는 개폐가능한 파이프 형태나 슬리브 형태나, 개폐가능한 링 부재 등과 같이, 퍼터 샤프트와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는 적절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샤프트 고정부(110)는, 제1 고정부(111), 제2 고정부(113) 및 가압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11)는 고정 프레임(150)의 후면에 결합되며, 제1 고정부(111)에는 샤프트의 외주면이 접하도록, 후방으로 개방되며 고정 프레임(150)의 후면보다 전방으로 더 함입되는 가이드홈(1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113)는 제1 고정부(111)에 대해 회동되며 후방으로부터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할 수 있다.
가압부(115)는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3)가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맞춰진 상태에서, 샤프트를 고정하도록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3)를 샤프트에 밀착시킬 수 있다.
각도조절부(600)는 고정 프레임(150)에 결합되며, 제1 지지바(400)의 하부 및 제2 지지바(500)와 하부와 결합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600)는 제1 지지바(400)와 제2 지지바(500)의 사잇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동되는 회동구조 또는 기어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구조는, 제1 회동 지지부(610) 및 제2 회동 지지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동 지지부(610)는 제1 지지바(400)의 하부와 결합되며, 하단(611)의 측면에 형성된 기어치(6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회동 지지부는 제2 지지바(500)의 하부와 결합되며, 제1 회동 지지부의 기어치와 맞물리어 회동가능하도록 하단(651)의 측면에 형성된 기어치(6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동 지지부(610)의 하단(611)의 후면 및 제2 회동 지지부(650)의 하단(651)의 후면은 각각 고정 프레임(15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회동 지지부(610)의 상단(613)의 후면 및 제2 회동 지지부(650)의 상단의 후면에 각각 대응하여 고정 프레임(150)에는 가이드홀(15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들이 가이드홀(151)들을 관통하여 제1 회동 지지부(610)의 상단(613)의 후면 및 제2 회동 지지부(650)의 상단의 후면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들은 사잇각 조절을 위해 가이드홀(151)들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회동 지지부(610) 및 제2 회동 지지부(650) 간의 사잇각이 증감되며, 이때, 전술한 기어치들(6112,6512)이 서로 치합되며 회동될 수 있다.
제1 지지바(400) 및 제2 지지바(500)는 고정허브(100)와 사용자의 각 겨드랑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바(400)는, 하부바(410), 상부바(430) 및 높이조절 잠금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바(410)의 하부가 제1 회동 지지부(610)와 결합되며 상측으로 연장된 봉 내지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바(430)는 하부바(410)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바(410)의 상단과 상부바(430)의 하단 중 하나가 나머지 하나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어 삽입될 수 있다.
높이조절 잠금부(470)는 하부바(410) 및 상부바(43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바(410)에 형성된다. 상부바(430)와 하부바(410)가 슬라이딩되며 높이조절이 된 후 높이조절 잠금부를 조여서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바(500)는 제2 회동 지지부(650)에 대한 관계에서, 제1 지지바(400)와 마찬가지 방식의 하부바(510), 상부바(530) 및 높이조절 잠금부(5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도조절부(600)는 고정 프레임(150)의 전면(front face)에 위치하고, 샤프트 고정부(110)는 고정 프레임(150)의 후면에 결합된다. 제1 지지바(400)의 하부바(410) 및 제2 지지바(500)의 하부바(510)는 각각 제1 회동 지지부(610)의 상단 및 제2 회동 지지부(650)의 상단에 결합되며, 고정 프레임(150)의 전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의 견착부와 지지바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견착부는 제2 견착부와 상응하므로 제2 견착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 지지바(500)는 상부바(530)의 상단에 결합된 연결유닛(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유닛(550)은 상부바(530)의 상단의 중공된 내부에 끼워져 결합된 체결부(551)와, 상부바(530)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제2 견착부(900)를 지지하는 지지체(5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견착부(900)는 제2 지지바(500)의 상단, 즉 상부바(53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견착부(900)는 수용홈부(911)가 형성된 견착 지지부(910), 견착면부(950) 및 탄성부재(913)를 포함할 수 있다.
견착면부(950)는 견착 지지부(910)와 결합되며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접하는 상면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913)는 수용홈부(911)에 삽입되어 견착면부(95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견착부(800)는 제1 지지바(400)에 대한 관계에서 제2 견착부(900)와 마찬가지 방식의 견착 지지부, 견착면부 및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견착 지지부(910)는, 지지암(arm), 지지홈부(917) 및 삽입부(9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암은 수용홈부(911)로부터 견착면부(950)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지지홈부(917)는 지지암의 단부에 형성된다. 삽입부(915)는 수용홈부(91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부바(530)의 상단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부(915)는 전술된 연결유닛(550)의 체결부(551)에 걸림체결될 수 있다. 즉, 삽입부(915)가 체결부(551)에 삽입되며 걸리게 되어 장착되며, 외력을 가해 걸림을 해제하면 탈착될 수 있다. 즉, 장탈착이 매우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수용홈부(911)의 하면은 전술된 지지체(55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견착면부(950)는, 곡면 형태로 휘어져 겨드랑이에 위치되는 안착부와, 제1 결합돌출부(951) 및 제2 결합돌출부(9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돌출부(951)는 안착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수용홈부(911)에 삽입되어 탄성부재(913)에 의해 탄성지지될 수 있다. 제2 결합돌출부(953)는 안착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지지홈부(917)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견착부(800,900)를 겨드랑이에 위치시키고 퍼팅 동작 등 스윙을 할 때, 지지바(400,500)로부터 견착부(800,900)까지 연결되는 구조가 길이 변경이 불가능한 구조인 경우, 스윙 동작에 불편함이 따르고, 퍼팅 연습이 원활하게 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913),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이 견착면부(95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서 압축 및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바로부터 견착부까지 연결되는 구조가 길이가 사용자의 신체나 스윙 형태에 따라 신축되므로 체형에 맞는 동작에 유리하며, 사용 상의 불편감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에 제시된 퍼팅 연습기에서, 샤프트 고정부(110) 및 각도조절부(600)는 고정 프레임(150)을 사이에 두고 각각 고정 프레임(15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각도조절부(600)는 고정 프레임(150)의 전면에 결합되고, 샤프트 고정부(110)는 고정 프레임(150)의 후면에 결합된다.
퍼팅 연습기는 각도조절부(600)를 커버하도록 고정 프레임(150)에 결합되는 커버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50)의 전면에는 각도조절부(600)가 위치하며, 각도조절부(600)는 기어치가 형성된 기어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의 안전이나 퍼팅 연습기의 유지를 위해 외부로부터 각도조절부(600)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커버부(170)가 이러한 보호를 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70)의 상단 및 고정 프레임(150)의 상단에 서로 맞춤되는 절개홈부를 형성하여 하부바들(410,510)의 회동범위를 절개홈부의 길이 범위 내로 제한할 수도 있다(도 5 참조).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샤프트 고정부(110)가 고정 프레임(150)의 후면에 결합되되 가이드홈(1112)과는 별개로 떨어져서 제2 고정부(113)가 샤프트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고정부(113)가 원터치식 걸림부(1132)로 결합되어 퍼터의 장탈착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7 및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에 제시된 실시예에서, 샤프트 고정부(110)는 고정 프레임(150)의 후면에 위치하고, 각도조절부(600)는 고정 프레임(150)의 후면과 샤프트 고정부(110)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1 지지바(400)의 하부바(410)는, 고정 프레임(150)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1 회동 지지부(610)의 상단의 후면 및 하단의 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들(411,413)을 가질 수 있다.
제2 지지바(500)의 하부바(510)도 제2 회동 지지부(650)에 대해 마찬가지 방식의 연결부들(511,513)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들(411,413,511,513)로 인해 지지바(400,500)가 퍼터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이와 같이 퍼터와 지지바의 위치를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실시예보다 증가시키는 것이 더욱 적합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600)는 고정 프레임(150)과 샤프트 고정부(110)의 사이에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에서 각도조절부(600)의 구조로 인해, 기어치가 맞물리며 회동하여 각도가 조절되므로 지지바들 간의 각도(사잇각)를 더욱 정확히 조절할 수 있고, 제1 지지바(400) 및 제2 지지바(500) 사이 간격을 중심선을 기준으로 균등하게 벌리거나 좁힐 수 있다.
또한, 기어치 치합 방식의 각도조절부(600)로 인해 회동동작이 더 견고하고 신뢰성이 있게 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의 퍼팅 연습기는 견착부의 원터치식 탈부착으로 인한 편리함, 견착부의 탄성부재(913)에 의한 지지로 인해 스윙시 사용자 신체에 추종하는 유연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샤프트 고정부(1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112)이 고정 프레임(150)으로부터 전방으로 함입되어 있는 실시예의 경우, 샤프트를 지지바와 더 컴팩트하게 위치시킬 수가 있다.
또한, 지지바의 길이조절 및 용이한 장탈착, 높이조절 각도조절에 의한 사용자 신체에 추종하는 조절이 용이함, 샤프트 고정부(110)에 퍼터 샤프트의 장탈착의 편리함 등 사용상 매우 편리하고 취급 및 보관상 장점이 있다.
실시예들의 퍼팅 연습기에 의하면, 어깨와 손의 위치가 따로 놀지 않도록 일종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가 스트로크시 어깨와 손이 이루는 역삼각형 구조를 계속 유지할 수 있어서, 퍼터(10)는 진자운동과 같이 안정적으로 움직이게 되어 골프공을 클럽페이스(헤드)로 스퀘어하게 타격할 수 있다. 이를 반복적으로 연습함으로써 안정적이고 바람직한 퍼팅동작을 몸의 근육이 기억하게 되어, 효과적인 퍼팅연습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퍼팅수와 골프스코어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윙자세 코칭정보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윙자세 코칭정보 제공방법은 스윙자세 연습기와 단말기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스윙자세를 교정하도록 코칭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스윙자세 연습기로는 전술된 퍼팅 연습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단말기로는 스마트폰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퍼팅 연습기에, 3축 방향 가속도 및 위치 및 방향을 측정하는 다축관성 센서를 설치한다.
다축관성 센서(1100)는, 제1 지지바(400), 제2 지지바(500) 및 고정허브(10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다축관성 센서(1100)는 고정허브(100) 중 각도조절부(600)에 설치되거나, 고정 프레임(150)이나 샤프트 고정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다축관성 센서(1100)는, 예를 들어 6축관성센서로서, 3축 방향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와, 공간상의 위치 및 방향을 측정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와, 이들로부터 측정된 자세정보신호를 스마트폰에게 전송하는 블루투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는 스마트폰(1300)이 사용될 수 있다, 전용 소프트웨어는 스마트폰(1300)에 설치된 퍼팅자세 연습 전용앱일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스윙동작 또는 퍼팅동작시 다축관성 센서(1100)로부터 센싱된 3축 방향 가속도 및 위치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자세정보신호가 전술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부에 의해 스마트폰(1300)에게 전송된다. 통신을 위해서 블루투스부와 다른 방식의 근거리 통신방법도 물론 가능하다.
이후, 단말기에 설치된 퍼팅자세 연습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세정보신호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한다.
전용앱은, 예를 들어, 제1 지지바(400), 제2 지지바(500) 및 고정허브(100)에 각각 설치된 3개의 다축관성 센서(1100)로부터 자세정보신호를 함께 전송받을 수 있다.
전용앱은 가속도 센서에 의한 자세정보신호로부터 X,Y,Z축 방향 가속도 및 힘을 도출하고, 자이로스코프 센서에 의한 자세정보신호로부터 사용자의 팔의 움직이는 방향 및 손의 회전 방향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전용액은 이러한 도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XYZ축 중 특정 축방향 신호의 부호변환 시점으로부터 스윙동작 또는 퍼팅동작의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판별하고, 팔의 움직이는 방향 및 손의 회전 방향에 관한 데이터의 누적에 의해 고도변화를 도출하여,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스윙동작의 형태가 바람직하거나 추천되는 형태와의 차이를 연산하여 이에 대한 교정을 위한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음성이나 텍스트로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전용앱은, 다축관성 센서의 센서연결 및 상태메뉴, 사용자 기본자세 또는 추천되는 기본자세 저장메뉴, 사용자의 연습자세들의 비교 또는 사용자의 연습자세와 기본자세와의 비교를 제공하는 연습자세 비교 메뉴를 포함하는 기본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메뉴를 선택하여 자신의 필요나 취향이나 골프실력 수준에 따라 적절한 연습형태나 연습코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스윙자세 코칭정보는 스윙 형태에 따라 미리 DB형태로 저장되어 스마트폰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교정 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고정허브
110 : 샤프트 고정부
111 : 제1 고정부
113 : 제2 고정부
115 : 가압부
150 : 고정 프레임
400 : 제1 지지바
410, 510 : 하부바
430, 530 : 상부바
470, 570 : 높이조절 잠금부
500 : 제2 지지바
600 : 각도조절부
610 : 제1 회동 지지부
650 : 제2 회동 지지부
900 : 제2 견착부
910 : 견착 지지부
911 : 수용홈부
913 : 탄성부재
917 : 삽입홈부
950 : 견착면부
951 : 제1결합돌출부
953 : 제2결합돌출부

Claims (16)

  1. 사용자의 어깨와, 퍼터의 그립부를 잡은 사용자의 손 사이의 상대적 위치로 이루어진 퍼팅자세를 훈련시키는 퍼팅 연습기에 있어서,
    골프공에 퍼터의 헤드가 인접하도록 퍼팅 준비상태에 놓인 퍼터를 기준으로, 상기 퍼터의 그립부 아래에서 상기 퍼터의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샤프트 고정부와, 상기 샤프트 고정부가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정허브(fixing hub);
    상기 고정허브와 사용자의 각 겨드랑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1 지지바 및 제2 지지바;
    상기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며, 사용자의 상기 각 겨드랑이에 견착되는 제1 견착부 및 제2 견착부; 그리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지지바의 하부 및 상기 제2 지지바와 하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지지바와 상기 제2 지지바의 사잇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동되는 기어구조를 가지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어구조는,
    상기 제1 지지바의 하부와 결합되며, 하단의 측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제1 회동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2 지지바의 하부와 결합되며, 하단의 측면에 상기 제1 회동 지지부의 기어치와 맞물리어 회동가능한 기어치가 형성된 제2 회동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바는,
    하부가 상기 제1 회동 지지부와 결합되며 상측으로 연장된 하부바;
    상기 하부바의 상단과 결합되는 상부바로서, 상기 하부바의 상단과 상기 상부바의 하단 중 하나가 나머지 하나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상부바; 그리고
    상기 하부바 및 상기 상부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높이조절이 된 후 상기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높이조절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바는 상기 제2 회동 지지부에 대한 관계에서, 상기 제1 지지바와 마찬가지 방식의 하부바, 상부바 및 높이조절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견착부는,
    상기 제1 지지바의 상단에 결합되며, 수용홈부가 형성된 견착 지지부;
    상기 견착 지지부와 결합되며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접하는 상면을 가지는 견착면부; 그리고
    상기 수용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견착면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견착부는 상기 제2 지지바에 대한 관계에서 상기 제1 견착부와 마찬가지 방식의 견착 지지부, 견착면부 및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 고정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 고정부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이 접하도록, 후방으로 개방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면보다 전방으로 더 함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해 회동되며 후방으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하는 제2 고정부;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를 상기 샤프트에 밀착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 지지부의 하단의 후면 및 상기 제2 회동 지지부의 하단의 후면은 각각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회동 지지부의 상단의 후면 및 상기 제2 회동 지지부의 상단의 후면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제1 가이드홀 및 제2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홀 및 상기 제2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회동 지지부의 상단의 후면 및 상기 제2 회동 지지부의 상단의 후면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사잇각의 조절을 위해 상기 제1 가이드홀 및 상기 제2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는 체결부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면(front face)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 고정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지지바의 하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의 하부바는 각각 상기 제1 회동 지지부의 상단 및 상기 제2 회동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고정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면과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지지바의 하부바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회동 지지부의 상단의 후면 및 하단의 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들;을 가지며,
    상기 제2 지지바의 하부바도 상기 제2 회동 지지부에 대해 마찬가지 방식의 연결부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센서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이용하여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항의 퍼팅 연습기에, 3축 방향 가속도 및 위치 및 방향을 측정하는 다축관성 센서를 설치하는 단계;
    사용자가 스윙동작 또는 퍼팅동작시 상기 다축관성 센서로부터 센싱된 상기 3축 방향 가속도 및 상기 위치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자세정보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퍼팅자세 연습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상기 자세정보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다축관성 센서는, 상기 제1 지지바, 상기 제2 지지바 및 상기 고정허브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스마트폰이고,
    상기 전용 소프트웨어는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퍼팅자세 연습 전용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축관성 센서는,
    3축 방향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그리고
    공간상의 상기 위치 및 방향을 측정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그리고
    상기 자세정보신호를 스마트폰에게 전송하는 블루투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앱은,
    상기 제1 지지바, 상기 제2 지지바 및 상기 고정허브에 각각 설치된 3개의 상기 다축관성 센서로부터 상기 자세정보신호를 함께 전송받고,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한 자세정보신호로부터 X,Y,Z축 방향 가속도 및 힘을 도출하고,
    상기 자이로스코프 센서에 의한 자세정보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팔의 움직이는 방향 및 손의 회전 방향을 도출하여,
    상기 XYZ축 중 특정 축방향 신호의 부호변환 시점으로부터 상기 스윙동작 또는 상기 퍼팅동작의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판별하고,
    상기 팔의 움직이는 방향 및 손의 회전 방향에 관한 데이터의 누적에 의해 고도변화를 도출하여,
    상기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앱은,
    상기 다축관성 센서의 센서연결 및 상태메뉴, 사용자 기본자세 또는 추천되는 기본자세 저장메뉴, 사용자의 연습자세들의 비교 또는 사용자의 연습자세와 상기 기본자세와의 비교를 제공하는 연습자세 비교 메뉴를 포함하는 기본 메뉴를 제공하며,
    상기 스윙자세 코칭정보는 스윙 형태에 따라 미리 DB형태로 저장되어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교정 멘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90140599A 2019-08-16 2019-11-06 퍼팅 연습기 및 이를 이용한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229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599A KR102229245B1 (ko) 2019-11-06 2019-11-06 퍼팅 연습기 및 이를 이용한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PCT/KR2019/016760 WO2021033846A1 (ko) 2019-08-16 2019-11-29 퍼팅 연습기 및 이를 이용한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16/708,957 US11179614B2 (en) 2019-08-16 2019-12-10 Putt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wing posture coach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599A KR102229245B1 (ko) 2019-11-06 2019-11-06 퍼팅 연습기 및 이를 이용한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245B1 true KR102229245B1 (ko) 2021-03-18

Family

ID=7523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599A KR102229245B1 (ko) 2019-08-16 2019-11-06 퍼팅 연습기 및 이를 이용한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2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113Y1 (ko) * 2001-12-06 2002-03-15 이순배 목발
JP2003230648A (ja) * 2002-02-01 2003-08-19 Soko Kim ゴルフスイング練習補助具
US6932713B1 (en) * 2003-09-17 2005-08-23 Hyoung J. Kim Golf teach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794369B1 (ko) * 2007-08-27 2008-01-15 유재원 골프퍼터
KR101614356B1 (ko) * 2015-05-11 2016-04-21 양현곤 다기능 골프 스윙 모션 콘트롤 장치
US9943743B1 (en) 2017-03-24 2018-04-17 Mark J. Diley Core putting stroke trai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113Y1 (ko) * 2001-12-06 2002-03-15 이순배 목발
JP2003230648A (ja) * 2002-02-01 2003-08-19 Soko Kim ゴルフスイング練習補助具
US6932713B1 (en) * 2003-09-17 2005-08-23 Hyoung J. Kim Golf teach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794369B1 (ko) * 2007-08-27 2008-01-15 유재원 골프퍼터
KR101614356B1 (ko) * 2015-05-11 2016-04-21 양현곤 다기능 골프 스윙 모션 콘트롤 장치
US9943743B1 (en) 2017-03-24 2018-04-17 Mark J. Diley Core putting stroke tr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7191B2 (en)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having digital lie and/or other angle measuring equipment
JP4453025B2 (ja) ゴルフ用パッティング練習機
KR100817500B1 (ko) 골프 스윙 연습장치
US20140106892A1 (en) Method for swing result deduction and posture correction and the apparatus of the same
US20090203459A1 (en) Golf Training Aid for Pendulum Putting Motion and Accepted Chipping Motion
US20170203182A1 (en) Golf putter with training device
KR101509129B1 (ko) 핑거형 스윙분석장치와 연동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골프연습 시스템
KR101791304B1 (ko) 리본을 갖춘 스윙 연습용 골프채
KR20160026493A (ko) 스마트 웨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
KR102229245B1 (ko) 퍼팅 연습기 및 이를 이용한 스윙자세 코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6533676B1 (en) Golf putting aid and brace member therefor
KR101032103B1 (ko) 그립 아래의 한 고정된 샤프트 위치에 골프스윙의 동적 무게중심부를 형성한 골프클럽
GB2460908A (en) Golf swing training aid
KR102079001B1 (ko) 퍼팅 연습기
US11179614B2 (en) Putt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wing posture coach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KR100777598B1 (ko) 샤프트 장착형 골프클럽 헤드 스피드 측정 장치
US5478079A (en) Golf training apparatus
US200301705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olf instruction
KR101962572B1 (ko) 골프스윙 연습장치
KR102475780B1 (ko)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골프 스윙 분석장치
KR102306908B1 (ko) 골프 스윙 자가 모니터링 시스템
KR200487288Y1 (ko) 스윙 자세 교정구
JP3177868U (ja) ゴルフ練習具
CN104127999A (zh) 一种练习高尔夫球转身动作的健身器材
KR102520878B1 (ko)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