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223B1 - 펠렛 제조 공정 - Google Patents

펠렛 제조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223B1
KR102229223B1 KR1020200155043A KR20200155043A KR102229223B1 KR 102229223 B1 KR102229223 B1 KR 102229223B1 KR 1020200155043 A KR1020200155043 A KR 1020200155043A KR 20200155043 A KR20200155043 A KR 20200155043A KR 102229223 B1 KR102229223 B1 KR 102229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mpression
support
pellet
pel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앨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55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2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71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e.g. geometry, dimensions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14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4Particle-shap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3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recycled material, e.g.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본 발명은 펠렛 제조 공정으로서, 폐비닐과 같은 펠렛의 원료를 이용하여 펠렛을 압출한다.

Description

펠렛 제조 공정{A METHOD OF MANUFACTURING PELLETS}
본 발명은 펠렛(pellet)을 만드는 펠렛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 성장과 산업의 발달로 국민들의 생활수준은 향상되었지만 이로 인해 생활 및 산업 폐기 물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생활 및 산업 폐기물 중 플라스틱 합성물질의 한 종류인 비닐은 현대 사회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생활 용품으로써, 매우 다양한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다양한 형태, 다양한 기능을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상품의 포장용 비닐지에서부터 보온성과 방수성 등이 뛰어나, 비닐하우스를 덮어씌우는 덮개와 땅 바닥에 깔아 보온, 보습, 잡초방지 등의 역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술한 비닐은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그로 인해 쉽게 버려지는 경우도 많아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생활 쓰레기 및 산업 폐기물 문제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일종의 플라스틱 합성 물 질의 한 종류이기 때문에 토양에 묻혀도 거의 썩지 않는 등 심각한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시 지역뿐만 아니라 농촌 지역 등에서도 폐비닐을 별도 수거하여 이를 재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재활용과 관련된 기술개발 지원이나 생산자책임 재활용(EPR)제도 등과 같은 선진제도의 도입으로 생활 및 산업폐기물의 상당 부분을 재자원화하도록 하여 환경오염 문제의 해결은 물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비닐을 재활용하여 펠렛을 만드는 제조 공정에 있어서 비닐이 제조 장치로 투입되는 과정은 작업자가 직접 진행해왔기 때문에 제조 장치에 작업자의 손이 끼어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등의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29644호
본 발명은 폐비닐을 입구쪽으로 투입하면 내부에서 자동으로 폐비닐을 흡입 및 압축하는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펠렛 제조 공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은, 폐비닐과 같은 펠렛의 원료를 이용하여 펠렛을 압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은, 상기 폐비닐과 같은 상기 펠렛의 원료를 비닐압축부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는 투입 가능한 공간으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비닐압축부의 내부로 투입된 상기 펠렛의 원료를 압출배출부를 이용하여 용융하고, 기 설정된 외관으로 펠렛을 압출하는 단계; 압출된 상기 펠렛을 냉각세척부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배출된 상기 펠렛을 냉각하는 단계; 진동모터부를 이용하여 상기 냉각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펠렛의 외측면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제1 수분 제거 단계; 드라이어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수분 제거 단계를 거친 상기 펠렛에 남아있는 잔류 수분을 제거하는 제2 수분 제거 단계; 및 절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수분 제거 단계 및 상기 제2 수분 제거 단계를 통해 수분이 모두 제거된 상기 펠렛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닐압축부는, 상기 펠렛의 원료를 수용하며 내부에 상기 펠렛의 원료를 압축하는 압축모듈이 마련되어 있는 수용압축부; 상기 수용압축부의 상단 일측면에 상기 펠렛의 원료가 투입 가능한 공간인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수용압축부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투입부를 통하여 투입된 상기 펠렛의 원료가 상기 수용압축부의 내부로 이동하는 투입 통로; 및 상기 수용압축부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용압축부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에 맞추어 형성되며 펠렛 제조 작업 공간의 바닥면과 맞닿아 상기 수용압축부를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닐압축부는, 상기 수용압축부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은 개방되어 있고, 비어 있는 내부의 일단에는 상단 방향으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는 환풍기와 같은 장치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투입부와 상기 투입 통로를 이동하는 상기 펠렛의 원료로부터 발생하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는 먼지흡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압축모듈은, 내부에 삽입 가능한 연결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용압축부의 내부 일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펠렛의 원료가 마주보고 있는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펠렛의 원료가 압축 가능하도록 회전하는 압축회전부; 및 'П'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압축회전부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용압축부의 내부의 상단 및 하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어 상기 압축회전부를 고정시키는 압축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압축지지부는,'П'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단 내측에 마련되되 양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회전부의 연결홈의 내부로 관통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압축회전부와 연결되는 연결돌기; 상기 지지대의 하단 외측에 마련되되 양단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돌기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압축회전부와 연결된 상기 연결돌기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상기 연결돌기로 제공하는 연결회전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 중앙에 마련되며 '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단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압출배출부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압출이 완료된 상기 펠렛의 배출이 가능한 배출 통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비닐압축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비닐압축부에서 압축한 상기 펠렛의 원료를 압출하여 성형이 완료된 펠렛을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냉각세척부는, 상기 압출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펠렛을 수용 가능한 길이 및 너비를 가지며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 박스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출배출부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으며 비어 있는 내부에 냉각수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압출배출부에서 배출된 상기 펠렛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진동모터부는, 상기 냉각세척부의 상단 일측면에 마련되어 있고, 일단에는 회전 가능한 모터부가 마련되어 있고, 타단에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모터부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펠렛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기둥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회전기둥부는 상기 펠렛의 외측면과 맞닿아 회전하여 상기 냉각세척부에 의해 상기 펠렛의 외측면에 존재하는 상기 냉각수를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드라이어부는, 일정한 온도와 일정한 속도로 바람을 내보내어 상기 진동모터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펠렛의 외측면에 남아 있는 잔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단부는, 상기 드라이어부를 통하여 외측면에 남아 있는 수분이 제거된 상기 펠렛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하는 회전부가 마련되어 있고, 이동되는 상기 펠렛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모듈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펠렛 제조 공정은 폐비닐을 입구쪽으로 투입하면 내부에서 자동으로 폐비닐을 흡입 및 압축하는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폐비닐을 흡입 및 압축하는 장치가 폐비닐 외의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구동을 멈출 수 있고, 작업자의 수동 제어가 이루어진 후에야 재가동을 시작할 수 있어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의 흐름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제조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비닐압축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압축모듈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압출배출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냉각세척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진동모터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높이조정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드라이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절단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의 흐름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은, 폐비닐과 같은 펠렛의 원료를 투입 가능한 공간으로 투입하고(S1000), 내부로 투입된 펠렛의 원료를 용융하고, 기 설정된 외관으로 펠렛을 압출할 수 있다(S1100).
압출된 펠렛을 냉각수를 이용하여 배출된 펠렛을 냉각할 수 있고(S1300), 냉각하는 단계를 통해 펠렛의 외측면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제1 수분 제거 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S1500), 제1 수분 제거 단계를 수행한 후 펠렛에 남아있는 잔류 수분을 제거하는 제2 수분 제거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700).
제1 수분 제거 단계(S1500) 및 제2 수분 제거 단계(S1700)를 통해 수분이 모두 제거된 펠렛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고(S1900),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펠렛은 일정한 양이 모이면 포장재에 담아 공정을 마무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제조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제조 장치(10)는 비닐압축부(100), 압출배출부(790), 냉각세척부(400), 진동모터부(500), 드라이어부(700) 및 절단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비닐압축부(100)는 펠렛의 원료를 투입하며, 펠렛의 원료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수용 공간의 내부에는 펠렛의 원료를 압축하는 모듈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압출배출부(790)는 비닐압축부(100)를 통해 투입된 펠렛의 원료를 이용하여 용융 및 압출하여 펠렛을 배출할 수 있고, 비닐압축부(100)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냉각세척부(400)는 배출되는 펠렛을 냉각수를 이용해 냉각시킬 수 있고, 진동모터부(500)는 냉각세척부(400)에 의해 외측면에 수분이 존재하는 펠렛의 수분은 제거시키도록 구동할 수 있다.
높이조정부(600)는 진동모터부(500)를 통과한 펠렛을 드라이어부(700)가 위치한 높이로 펠렛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일단이 대각선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드라이어부(700)는 진동모터부(500)를 통과하면서 펠렛에 남아있는 잔류 수분을 제거할 수 있고, 절단부(800)는 드라이어부(700)를 통과하여 건조가 완료된 펠렛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비닐압축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압축부(100)는 수용압축부(140), 투입부(110), 투입 통로(130) 및 지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고, 먼지흡입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압축부(140)는 펠렛의 원료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내부 일단에는 펠렛의 원료를 압축하는 압축모듈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투입부(110)는 수용압축부(140)의 상단 일측면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펠렛의 원료가 투입 가능한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투입 통로(130)는 투입부(110)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어 수용압축부(14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고, 투입부(110)를 통하여 투입된 펠렛의 원료가 수용압축부(14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부(170)는 수용압축부(140)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수용압축부(140)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으며 펠렛 제조 작업 공간의 바닥면과 맞닿아 수용압축부(140)를 일정한 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먼지흡입부(190)는 수용압축부(140)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은 개방되어 있을 수 있고, 비어 있는 내부의 일단에는 상단 방향으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는 환풍기와 같은 장치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투입부(110)와 투입 통로(130)를 이동하는 펠렛의 원료로부터 발생하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압축모듈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비닐압축부(100)의 내부에 마련된 압축모듈(150)은 압축회전부(151) 및 압축지지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회전부(151)는 내부에 삽입 가능한 연결홈(연결홈)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수용압축부(140)의 내부 일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펠렛의 원료가 마주보고 있는 사이를 통과하며 펠렛의 원료가 압축 가능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압축지지부(153)는 'П'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압축회전부(151)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고, 수용압축부(140)의 내부의 상단 및 하단에 고정 연결될 수 있어 압축회전부(15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압축지지부(153)는 지지대(1533), 연결돌기(1535a, 1535b), 연결회전부(830) 및 상단지지대(1537)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533)는 'П'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단지지대(1537)는 지지대(1533)의 상단 중앙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며 '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연결돌기(1535a, 1535b)는 지지대(1533)의 하단 내측에 마련될 수 있되 양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압축회전부(151)의 연결홈(미도시)의 내부로 관통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돌기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어 압축회전부(151)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회전부(830)는 지지대(1533)의 하단 외측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되 양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지지대(1533)를 기준으로 연결돌기(1535a, 1535b)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고, 압축회전부(151)와 연결된 연결돌기(1535a, 1535b)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연결돌기(1535a, 1535b)로 제공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압축회전부(151)는 압축지지부(153)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는 연결돌기(1535a, 1535b)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어 연결회전부(8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연결돌기(1535a, 1535b)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압축회전부(15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맞닿아 있는 압축회전부(151)의 사이를 통과하는 펠렛의 원료가 압축되면서 압축회전부(151)가 회전하는 일 방향으로 압축된 펠렛의 원료가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단지지대(1537)의 상단에는 압축지지부(153)의 상단 중앙 내측과 일정한 거리를 가지며 이동지지부(155)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상단지지대(1537)가 위치한 지지대(1533)의 상단 중앙 내측에는 감지제어부(157)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동지지부(155)는 압축회전부(151)의 사이를 통과하는 펠렛의 원료에 존재하는 이물질에 의하여 압축회전부(151)의 사이가 벌어져 압축회전부(151)가 압축지지부(153) 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압축회전부(151)와 맞닿아 압축지지부(153)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압축지지부(153)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압축회전부(151)가 펠렛의 원료에 존재하는 이물질에 의하여 서로 마주보고 있는 압축회전부(151)의 사이가 멀어져 압축지지부(153)의 상단 중앙 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압축회전부(151)는 이동지지부(155)와 맞닿을 수 있다.
압축회전부(151)가 압축지지부(153)의 상단 중앙 측으로 이동하여 이동지지부(155)와 맞닿는 경우, 이동지지부(155)는 압축지지부(153)의 상단 중앙에 마련되어 있는 감지제어부(157)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지지부(155)는 세로기둥부(1555)와 가로기둥부(1557)를 포함할 수 있다.
세로기둥부(1555)의 상단에는 가로기둥부(1557)가 관통하여 고정 연결될 수 있는 관통홈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하단은 상단지지대(1537)의 상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가로기둥부(1557)는 세로기둥부(1555)의 상단에 마련된 관통홈에 관통할 수 있는 너비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세로기둥부(1555)가 위치한 곳에서부터 압축지지부(153)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동지지부(155)는 세로기둥부(1555)의 상단에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는 가로기둥부(1557)가 압축지지부(153)와 맞닿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기둥부(1557)는 관통하는 세로기둥부(1555)를 중심으로 하여 수축 및 이완, 또는 반동이 가능한 장치가 내부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가로기둥부(1557)의 중앙에는 세로기둥부(1555)를 관통하는 중앙기둥부(15572)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중앙기둥부(15572)는 세로기둥부(1555)의 관통홈에 맞물려 고정되어 있을 수 있도록 세로기둥부(1555)의 관통홈의 너비와 맞추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수축되거나 이완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세로기둥부(1555)를 중심으로 하여 가로기둥부(1557)의 일단에는 제1 외측지지부(15571), 제1 내측지지부(15573), 제1 스프링(15575), 제1 내부구동부(15577) 및 제1 외부구동부(15579)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외측지지부(15571)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1 내측지지부(15573), 제1 스프링(15575) 및 제1 내부구동부(15577)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내측지지부(15573)는 제1 외측지지부(15571)의 내부 일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일단은 제1 외측지지부(15571)의 내부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타단은 제1 스프링(15575)이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스프링(15575)은 수축 또는 이완이 가능한 스프링과 같은 장치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스프링(15575)의 일단은 제1 내측지지부(15573)의 타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타단은 제1 내부구동부(15577)와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스프링(15575)은 수축 또는 이완 구동이 가능한 스프링 등의 장치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로기둥부(1557)의 외측면과 맞닿는 압축회전부(151)가 가하는 충격에 의하여 반동함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 구동이 가능한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구동부(15577)의 일단은 제1 스프링(15575)의 타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 연결되어 있는 제1 스프링(15575)의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하여 수축 또는 이완 구동할 수 있다.
제1 내부구동부(15577)는 제1 스프링(15575)과 같이 수축 또는 이완 구동이 가능한 실린더 등의 장치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스프링(15575)의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하여 수축 또는 이완 구동이 가능한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구동부(15579)의 일단은 제1 외측지지부(15571)의 타단과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타단은 중앙기둥부(15572)와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외부구동부(15579)는 제1 외측지지부(15571)와 동일하게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되 제1 외측지지부(15571)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부구동부(15579)의 내부에는 제1 내부구동부(15577)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내부구동부(15577)가 제1 스프링(15575)의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하여 구동함에 의하여 수축 또는 이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1 외부구동부(15579)는 수축 또는 이완이 불가능한 중앙기둥부(15572)가 타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내부구동부(15577)의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하여 제1 외부구동부(15579)도 수축 또는 이완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제1 외부구동부(15579)도 제1 내부구동부(15577)의 수축 또는 이완에 맞추어 수축 또는 이완이 가능한 자바라와 같은 형상 또는 수축 또는 이완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를 위하여 제1 외부구동부(15579)의 형상을 자바라의 형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내부구동부(15577)의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하여 수축 또는 이완 구동이 가능한 형상 또는 재질이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세로기둥부를 중심으로 하여 가로기둥부(1557)의 타단에는 제2 외측지지부(15571-1), 제2 내측지지부(15573-1), 제2 스프링(15575-1), 제2 내부구동부(15577-1) 및 제2 외부구동부(15579-1)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외측지지부(15571-1)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2 내측지지부(15573-1), 제2 스프링(15575-1) 및 제2 내부구동부(15577-1)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내측지지부(15573-1)는 제2 외측지지부(15571-1)의 내부 타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타단은 제2 외측지지부(15571-1)의 내부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일단은 제2 스프링(15575-1)이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스프링(15575-1)은 수축 또는 이완이 가능한 스프링과 같은 장치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스프링(15575-1)의 타단은 제2 내측지지부(15573-1)의 일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일단은 제2 내부구동부(15577-1)와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스프링(15575-1)은 수축 또는 이완 구동이 가능한 스프링 등의 장치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압축회전부(151)가 가하는 충격에 의하여 감지제어부(157)와 맞닿은 후 맞닿는 반동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 구동이 가능한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부구동부(15577-1)의 타단은 제2 스프링(15575-1)의 일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 연결되어 있는 제2 스프링(15575-1)의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하여 수축 또는 이완 구동할 수 있다.
제2 내부구동부(15577-1)는 제2 스프링(15575-1)과 같이 수축 또는 이완 구동이 가능한 실린더 등의 장치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스프링(15575-1)의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하여 수축 또는 이완 구동이 가능한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부구동부(15579-1)의 타단은 제2 외측지지부(15571-1)의 타단과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일단은 중앙기둥부(15572)와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외부구동부(15579-1)는 제2 외측지지부(15571-1)와 동일하게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되 제2 외측지지부(15571-1)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외부구동부(15579-1)의 내부에는 제2 내부구동부(15577-1)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내부구동부(15577-1)가 제2 스프링(15575-1)의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하여 구동함에 의하여 수축 또는 이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2 외부구동부(15579-1)는 수축 또는 이완이 불가능한 중앙기둥부(15572)가 타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 내부구동부(15577-1)의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하여 제2 외부구동부(15579-1)도 수축 또는 이완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제2 외부구동부(15579-1)도 제2 내부구동부(15577-1)의 수축 또는 이완에 맞추어 수축 또는 이완이 가능한 자바라와 같은 형상 또는 수축 또는 이완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를 위하여 제2 외부구동부(15579-1)의 형상을 자바라의 형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내부구동부(15577-1)의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하여 수축 또는 이완 구동이 가능한 형상 또는 재질이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가로기둥부(1557)의 일단이 압축회전부(151)와 맞닿아 압축지지부(153) 쪽으로 이동하여 가로기둥부(1557)의 타단이 감지제어부(157)와 맞닿는 경우, 반동에 의하여 제자리로 돌아오기 위하여 내부에 반동이 가능한 스프링과 같은 장치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감지제어부(157)는 압축지지부(153)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동시에 이동지지부(155)와 맞닿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압축회전부(151)와 맞닿아 압축지지부(153) 쪽으로 이동하는 이동지지부(155)와 맞닿는 경우, 연결회전부(830)가 연결돌기(1535a, 1535b)로 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중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감지제어부(157)로부터 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중지시키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 연결돌기(1535a, 1535b)는 연결회전부(830)로 동력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고, 연결회전부(830)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회전부(830)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는 압축회전부(151)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고, 압축회전부(151)의 사이를 통과하는 펠렛의 원료는 압축 및 이동이 중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압출배출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배출부(790)는 본체(310) 및 배출 통로(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10)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비닐압축부(100)에서 압축되어 전달받은 펠렛의 원료를 용융할 수 있고, 용융이 완료되면 배출 통로(330)를 통해 펠렛(A)을 압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냉각세척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세척부(400)는 냉각수제공부(410), 제1 내부회전부(430), 세척수용부(450) 및 제2 내부회전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용부(450)는 압출배출부(790)에서 배출되는 펠렛(A)을 수용 가능한 길이 및 너비를 가질 수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 박스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세척수용부(450)의 비어 있는 내부는 냉각수제공부(410)로부터 제공되는 냉각수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어 압출배출부(790)에서 압출된 펠렛(A)을 냉각시킬 수 있다.
세척수용부(450)의 내부 하단에는 제1 내부회전부(430) 및 제2 내부회전부(470)가 양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내부회전부(430) 및 제2 내부회전부(470)는 세척수용부(450)의 비어 있는 내부를 이동하는 펠렛(A)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진동모터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부(500)는 모터지지대(550), 모터부(510) 및 회전기둥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지지대(550)는 냉각세척부(400)의 상단 일측면에 위치하여 냉각세척부(400)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단에 위치한 모터부(510) 및 회전기둥부(530)를 지지할 수 있다.
모터부(510)는 모터와 같이 회전이 가능한 동력을 회전기둥부(530)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고,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모터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기둥부(530)가 회전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회전기둥부(530)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모터부(510)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고, 펠렛(A)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모터부(510)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펠렛(A)에 진동을 가하여 펠렛(A)의 외측면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높이조정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정부(600)는 펠렛지지부(670), 세로지지부(610), 제1 지지부(630), 제2 지지부(650) 및 이동바퀴부(690)를 포함할 수 있다.
펠렛지지부(670)는 넓고 평평한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세로지지부(610)의 높이에 따라 대각선으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진동모터부(500)를 통과한 펠렛(A)을 드라이어부(700)가 위치한 높이까지 자연스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세로지지부(610)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높이를 조정할 수 있고, 펠렛지지부(670)의 각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하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어 펠렛지지부(67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제1 지지부(630) 및 제2 지지부(650)는 세로지지부(610)의 사이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어 세로지지부(61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동바퀴부(690)는 제2 지지부(650)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어 냉각세척부(400) 또는 드라이어부(700)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높이조정부(600)를 이동시킬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높이조정부(60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드라이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부(700)는 제1 드라이어 지지부(710), 제2 드라이어 지지부(730), 드라이어 제어부(770) 및 드라이어 배출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드라이어 지지부(710)는 제2 드라이어 지지부(730), 드라이어 제어부(770) 및 드라이어 배출부(79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드라이어 지지부(730), 드라이어 제어부(770) 및 드라이어 배출부(790)가 바닥면과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2 드라이어 지지부(730)는 제1 드라이어 지지부(71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단에 드라이어 제어부(770) 및 드라이어 배출부(79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일측면에는 펠렛(A)이 이동 가능한 이동바(75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드라이어 제어부(770)는 펠렛(A)에 남아 있는 잔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바람의 세기 또는 바람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고, 제어되는 바람의 세기 또는 바람의 온도에 맞추어 드라이어 배출부(790)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즉, 드라이어부(700)는 높이조정부(600)에 의하여 위치에 맞게 드라이어부(700)의 하단으로 이동되는 펠렛(A)의 외측면에 남아 있는 잔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절단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800)는 회전부(830), 펠렛보호부(810) 및 절단모듈(85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830)는 드라이어부(700)를 통하여 외측면에 남아 있는 수분이 제거된 펠렛(A)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 구동할 수 있고, 절단모듈(850)은 회전부(830)를 통하여 이동하는 펠렛(A)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펠렛보호부(810)는 절단모듈(850)에 의하여 절단되는 펠렛(A)이 외부로 튕겨나가는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단모듈(850) 및 회전부(83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펠렛 제조 장치
100: 비닐압축부
300: 압출배출부
400: 냉각세척부
500: 진동모터부
700: 드라이어부
800: 절단부

Claims (2)

  1. 폐비닐과 같은 펠렛의 원료를 이용하여 펠렛을 압출하는 펠렛 제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 폐비닐과 같은 상기 펠렛의 원료를 비닐압축부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는 투입 가능한 공간으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비닐압축부의 내부로 투입된 상기 펠렛의 원료를 압출배출부를 이용하여 용융하고, 기 설정된 외관으로 펠렛을 압출하는 단계;
    압출된 상기 펠렛을 냉각세척부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배출된 상기 펠렛을 냉각하는 단계;
    진동모터부를 이용하여 상기 냉각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펠렛의 외측면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제1 수분 제거 단계;
    드라이어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수분 제거 단계를 거친 상기 펠렛에 남아있는 잔류 수분을 제거하는 제2 수분 제거 단계; 및
    절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수분 제거 단계 및 상기 제2 수분 제거 단계를 통해 수분이 모두 제거된 상기 펠렛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닐압축부는,
    상기 펠렛의 원료를 수용하며 내부에 상기 펠렛의 원료를 압축하는 압축모듈이 마련되어 있는 수용압축부;
    상기 수용압축부의 상단 일측면에 상기 펠렛의 원료가 투입 가능한 공간인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수용압축부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투입부를 통하여 투입된 상기 펠렛의 원료가 상기 수용압축부의 내부로 이동하는 투입 통로; 및
    상기 수용압축부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용압축부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에 맞추어 형성되며 펠렛 제조 작업 공간의 바닥면과 맞닿아 상기 수용압축부를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닐압축부는,
    상기 수용압축부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은 개방되어 있고, 비어 있는 내부의 일단에는 상단 방향으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는 환풍기와 같은 장치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투입부와 상기 투입 통로를 이동하는 상기 펠렛의 원료로부터 발생하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는 먼지흡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모듈은,
    내부에 삽입 가능한 연결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용압축부의 내부 일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펠렛의 원료가 마주보고 있는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펠렛의 원료가 압축 가능하도록 회전하는 압축회전부; 및
    'П'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압축회전부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용압축부의 내부의 상단 및 하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어 상기 압축회전부를 고정시키는 압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지지부는,
    'П'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단 내측에 마련되되 양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회전부의 연결홈의 내부로 관통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압축회전부와 연결되는 연결돌기;
    상기 지지대의 하단 외측에 마련되되 양단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돌기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압축회전부와 연결된 상기 연결돌기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상기 연결돌기로 제공하는 연결회전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 중앙에 마련되며 '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단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출배출부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압출이 완료된 상기 펠렛의 배출이 가능한 배출 통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비닐압축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비닐압축부에서 압축한 상기 펠렛의 원료를 압출하여 성형이 완료된 펠렛을 배출하고,
    상기 냉각세척부는,
    상기 압출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펠렛을 수용 가능한 길이 및 너비를 가지며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 박스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출배출부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으며 비어 있는 내부에 냉각수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압출배출부에서 배출된 상기 펠렛을 냉각시키고,
    상기 진동모터부는,
    상기 냉각세척부의 상단 일측면에 마련되어 있고, 일단에는 회전 가능한 모터부가 마련되어 있고, 타단에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모터부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펠렛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기둥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회전기둥부는 상기 펠렛의 외측면과 맞닿아 회전하여 상기 냉각세척부에 의해 상기 펠렛의 외측면에 존재하는 상기 냉각수를 제거하고,
    상기 드라이어부는,
    일정한 온도와 일정한 속도로 바람을 내보내어 상기 진동모터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펠렛의 외측면에 남아 있는 잔류 수분을 제거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드라이어부를 통하여 외측면에 남아 있는 수분이 제거된 상기 펠렛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하는 회전부가 마련되어 있고, 이동되는 상기 펠렛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모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압축모듈는,
    상기 압축회전부가 상기 압축지지부 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압축회전부와 맞닿아 상기 압축지지부 쪽으로 이동하는 이동지지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 중앙 내측에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압축지지부의 일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이동지지부와 맞닿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압축회전부와 맞닿아 상기 압축지지부 쪽으로 이동하는 상기 이동지지부와 맞닿는 경우, 상기 연결회전부가 상기 연결돌기로 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중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감지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단에는 관통홈이 마련되어 있으며 하단은 상기 상단지지대의 상단에 고정 연결되는 세로기둥부; 및
    상기 세로기둥부의 상단에 마련된 상기 관통홈에 관통 가능한 너비로 형성되며, 상기 세로기둥부의 상단에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세로기둥부가 위치한 곳에서부터 상기 압축지지부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가로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기둥부는,
    중앙에 상기 세로기둥부를 관통하는 중앙기둥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로기둥부의 일단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외측지지부;
    상기 제1 외측지지부의 내부 일단에 마련되며, 일단은 상기 제1 외측지지부의 내부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제1 내측지지부;
    외측면에 맞닿는 상기 압축회전부가 가하는 충격에 의하여 반동 가능하도록 수축 또는 이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일단은 상기 제1 내측지지부의 타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제1 스프링;
    일단은 상기 제1 스프링의 타단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 스프링의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하여 수축 또는 이완 구동하는 제1 내부구동부; 및
    일단은 상기 제1 외측지지부의 타단과 고정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중앙기둥부와 고정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외측지지부와 동일하게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외측지지부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1 내부구동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내부구동부가 상기 제1 스프링의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하여 구동함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외부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돌기는,
    상기 감지제어부로부터 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중지시키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연결회전부로 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중지하여 상기 연결회전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펠렛 제조 공정.
  2. 삭제
KR1020200155043A 2020-11-19 2020-11-19 펠렛 제조 공정 KR102229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043A KR102229223B1 (ko) 2020-11-19 2020-11-19 펠렛 제조 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043A KR102229223B1 (ko) 2020-11-19 2020-11-19 펠렛 제조 공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223B1 true KR102229223B1 (ko) 2021-03-18

Family

ID=7523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043A KR102229223B1 (ko) 2020-11-19 2020-11-19 펠렛 제조 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2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810B1 (ko) * 2022-11-03 2023-05-09 전성진 플라스틱 펠렛 제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713A (ko) * 2008-02-29 2008-03-21 안성호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
JP2009280632A (ja) * 2008-05-19 2009-12-03 Kinki:Kk 固形燃料成形装置
KR101366049B1 (ko) * 2013-11-21 2014-02-26 현대자원산업 주식회사 분쇄된 폐 알루미늄 캔을 트윈 롤러에 의해 압착박편으로 성형하는 제조장치
KR101529644B1 (ko) 2013-07-18 2015-06-19 (주)에리텍 폐비닐을 이용한 펠렛 제조장치
KR101843845B1 (ko) * 2018-01-08 2018-05-14 장은선 성형 가공용 플라스틱 알갱이 제조장치
KR102048699B1 (ko) * 2019-09-02 2019-11-26 황대현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713A (ko) * 2008-02-29 2008-03-21 안성호 폐비닐 재활용 시스템
JP2009280632A (ja) * 2008-05-19 2009-12-03 Kinki:Kk 固形燃料成形装置
KR101529644B1 (ko) 2013-07-18 2015-06-19 (주)에리텍 폐비닐을 이용한 펠렛 제조장치
KR101366049B1 (ko) * 2013-11-21 2014-02-26 현대자원산업 주식회사 분쇄된 폐 알루미늄 캔을 트윈 롤러에 의해 압착박편으로 성형하는 제조장치
KR101843845B1 (ko) * 2018-01-08 2018-05-14 장은선 성형 가공용 플라스틱 알갱이 제조장치
KR102048699B1 (ko) * 2019-09-02 2019-11-26 황대현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810B1 (ko) * 2022-11-03 2023-05-09 전성진 플라스틱 펠렛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223B1 (ko) 펠렛 제조 공정
KR101529644B1 (ko) 폐비닐을 이용한 펠렛 제조장치
US5518188A (en) Method of recycling carpet forming components from waste carpet
US8110131B1 (en) Carpet reclamation system
CA2166170A1 (en)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foam
KR101397717B1 (ko) 우산 물기 제거장치
CN105855264B (zh) 毛毡、其制作系统及方法
EP0528246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recycling waste materials including plastics materials
KR102530810B1 (ko) 플라스틱 펠렛 제조장치
US20180117647A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and Recycling Synthetic Turf
IT1273535B (it) Ugello filtrante per macchine per stampaggio a iniezione per la lavorazione di materiali sintetici termoplastici
US20140186477A1 (en) Carpet Reclamation System
US5842651A (en) Vegetation shredder and method of using same
US5951712A (en) Method for plastic waste reclamation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KR100441835B1 (ko) 폐 섬유사를 이용한 재활용 칩의 제조방법
US20010009710A1 (en) Process of recycling waste polymeric material and an article utilizing the same
CN115157487B (zh) 一种pet塑料瓶回收再利用处理设备
KR20220064030A (ko) 펠렛 제조 공정
BE1007594A3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voorwerpen op basis van rubber en aldus vervaardigd voorwerp.
CN208247270U (zh) 一种塑料鞋制作加工用冷却箱
KR101727437B1 (ko)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선별장치
CN213860286U (zh) 一种注塑产品去废边装置
CN211640636U (zh) 一种pe板下角料回收处理装置
EP3843874B1 (en) Production method of a filtration system
CN205442129U (zh) 一种自动卷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