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933B1 -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933B1
KR102228933B1 KR1020190086452A KR20190086452A KR102228933B1 KR 102228933 B1 KR102228933 B1 KR 102228933B1 KR 1020190086452 A KR1020190086452 A KR 1020190086452A KR 20190086452 A KR20190086452 A KR 20190086452A KR 102228933 B1 KR102228933 B1 KR 102228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crime prevention
user
terminal
preven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651A (ko
Inventor
전병문
Original Assignee
전병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문 filed Critical 전병문
Priority to KR1020190086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93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G08B13/19647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intrusion detection in or around a vehicle
    • G08B13/1965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intrusion detection in or around a vehicle the vehicle being an aircraf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B64C2201/127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와 매핑되도록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는 호출 이벤트가 생성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주소 또는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GPS 좌표로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주소 또는 GPS 좌표를, 주소 또는 GPS 좌표에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로부터 상황종료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신변확인 정보를 수신한 후 상황종료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ONLINE TO OFFLINE BASED CRIME PREVENTION SERVICE OFFERING PRIVATE BODYGUARD FOR SINGLE FAMILY}
본 발명은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범죄가 의심되나 범죄가 이르지 않은 상황과, 범죄가 실제 발생할 개연성이 높거나 발생한 상황을 구분하여 요청자를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최근 OECD 범죄율 조사 결과, 한국은 인신매매와 마약으로 오명을 떨친 멕시코를 제치고 11위에 오르면서 한국이 안전하다는 인식을 깨고 있다. 여성에 대한 범죄율은 이미 세계 탑 10위 내에 안착한지 오래이고, 여성 뿐만 아니라 남녀노소에 대한 범죄율이 전체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성범죄자로부터 사회방위기능을 제공하고 보호를 한다는 미명아래 시행한 전자발찌 또한 전자발찌를 찬 채로 범죄를 또 저지른다는 뉴스가 연일 보도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CCTV를 대거 추가적으로 설치하고 CE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로 형형색색의 가로등을 새로 설치하였지만, 높은 순위에 랭킹된 범죄율은 좀처럼 내려올 생각을 하고 있지 않다.
이때, 휴대단말기에 별도의 긴급구조버튼을 연결하여 위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616469호(016년04월28일 공고)에는, 휴대단말기에 별도의 긴급구조버튼을 외부에 구비하여 위급상황 시 빠르게 대처하도록 하고, 적외선촬영과 일반촬영이 가능한 겸용 적외선 카메라를 장착하거나, 또는 휴대폰의 상단 측면부에 적외선 촬영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가 내장되어, 물체 식별이 어려운 야간에 어두운 환경에서도 범인이나 범죄현장을 포착하고 원격지의 보호자 또는 경찰청에 긴급구조를 요청하는 동시에 범죄현장의 영상 및 음성 송출하고, 원격지에 송출된 현장의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의 응답이 없을 경우에도 추가적인 대응기능의 작동으로 범죄예방 및 신속한 검거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된다.
다만, 외지고 어두운 곳을 혼자 걷는데 누군가 따라오고 있는 것 같지만 확실하지 않은 경우, 즉 범죄가 확실하지 않은 상태나 아직 발생하지 않은 상태라서 경찰을 부르기 난감한 경우에는 경찰을 부르지 않고 두려운 마음만을 가진채 아니길 바라면서 집으로 발걸음을 재촉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까지 경찰청에 긴급구조를 보내거나 보호자에게 연락을 하는 것은 범죄의 예방차원에서는 바람직하지만 너무 많은 형사자원이 낭비될 수 있다. 이에, 불안한 상태를 제거하기 위한 사설경호업체와, 사설경호업체와 요청자 간의 빠르고 간단하면서 정확한 통신으로 위급상황 또는 불안상황에서 출동인원을 배치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아직 범죄가 일어나지 않았거나 범죄인지 불분명한 경우 또는 외진 곳을 늦은 시각에 혼자 지나가서 두려운 경우 등에 사설경호업체에 간단한 버튼 누르기로 경호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경호업체가 도착하는 시간까지 기다리기 어려운 위급한 상황인 경우 기 설정된 장소에 이격되어 배치된 드론을 출동시켜 요청자의 신변을 보호함과 동시에 범죄인의 범죄행위를 단절시킬 수 있으며, 드론이 출동하기까지도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 요청자의 위치와 근접한 가로등의 점멸 제어 및 사이렌 소리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인력의 낭비 및 형사자원의 낭비를 막음과 동시에 CCTV의 사각지대에서 발생하는 범죄까지도 예방할 수 있는,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와 매핑되도록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는 호출 이벤트가 생성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주소 또는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GPS 좌표로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주소 또는 GPS 좌표를, 주소 또는 GPS 좌표에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로부터 상황종료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신변확인 정보를 수신한 후 상황종료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아직 범죄가 일어나지 않았거나 범죄인지 불분명한 경우 또는 외진 곳을 늦은 시각에 혼자 지나가서 두려운 경우 등에 사설경호업체에 간단한 버튼 누르기로 경호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경호업체가 도착하는 시간까지 기다리기 어려운 위급한 상황인 경우 기 설정된 장소에 이격되어 배치된 드론을 출동시켜 요청자의 신변을 보호함과 동시에 범죄인의 범죄행위를 단절시킬 수 있으며, 드론이 출동하기까지도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 요청자의 위치와 근접한 가로등의 점멸 제어 및 사이렌 소리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인력의 낭비 및 형사자원의 낭비를 막음과 동시에 CCTV의 사각지대에서 발생하는 범죄까지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공용 드론(500) 및 웨어러블 카메라(6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 공용 드론(500) 및 웨어러블 카메라(6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공용 드론(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공용 드론(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웨어러블 카메라(6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신변보호나 동행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웨어러블 카메라(600)와 연동될 수 있고, 웨어러블 카메라(600)는 기 설정된 이미지 또는 음성이 인식되는 경우 촬영을 시작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을 경유하여 영상을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공유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공용 드론(500)으로 또는 개인 드론(미도시)으로 자신의 위치를 알리도록 자신의 위치를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네트워킹 자원 및 컴퓨팅 자원의 한계를 고려하여 웨어러블 카메라(600)와 같이 기 설정된 상황, 장소, 시간에만 위치를 공유하도록 설정되는 단말이 수도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자신의 위치를 호출 이벤트가 발생된 이후에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강제로 전송하고,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값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주변 무선 기기들로부터 충전을 시작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충전을 위해 접속된 무선 기기의 위치나 시리얼넘버를 자신의 위치와 함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개인 드론과 연동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장소, 패턴 등이 현재 사용자 단말(100)에서 센싱 또는 수집된 값과 동일한 경우, 개인 드론을 백그라운드 모드로 호출하는 단말일 수 있고, 개인 드론이 사용자 단말(100)을 추적하면서 따라오도록 자신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개인 드론과 동기화하는 단말이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시설 인프라와 연결되는 서버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공공시설 인프라는, CCTV, 가로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CCTV나 가로등의 위치 및 시리얼넘버 등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이후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CCTV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거나 가로등의 점등 및 점멸을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의 관할을 설정하고, 각 관할당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파악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공용 드론(500)을 등록하고 제어하며, 적어도 하나의 공용 드론(500)의 비행, 고도, 경로, 빔, 카메라 등을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고,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로 공유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호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이를 해당 관할에 위치하거나 사용자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로 호출 이벤트와 함께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호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된 웨어러블 카메라(600)가 존재하는 경우, 웨어러블 카메라(6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100)을 경유하여 수신하는 서버일 수 있고, 이를 경찰 서버(미도시)와 공유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은,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설경호업체에 소속된 경호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은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호출 이벤트와, 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킨 사용자 단말(100)의 실시간 위치, 공용 드론(500)이 출동하거나 웨어러블 카메라(600)가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된 경우 촬영된 영상을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공유받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은, 사건이 종료되는 경우 상황종료 이벤트를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용 드론(500)은,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및 고도로 도착하도록 비행하는 드론일 수 있고,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의해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에 의해 촬영되거나 입력되는 데이터를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드론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공용 드론(500)은, 빔을 출력함으로써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어두워서 촬영 및 식별불능으로 범죄인의 신원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공용 드론(500)은, 사이렌 출력기를 장착하고,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의해 제어되어 요청 이벤트가 위급상황인 경우, 요청 위치로 도착하고 나서 또는 요청 위치로 도착하기 전부터 사이렌을 울리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공용 드론(500)은, 요청 위치에서 열감지 카메라로 사람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 및 방향으로 촬영을 시작하여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공용 드론(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공용 드론(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용 드론(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카메라(600)는,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카메라가 활성화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이때, 범죄가 일어날 확률은 극히 적고 대부분 일상적인 내용이 담기는데,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되거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저장되거나 모두 저장의 한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호출 이벤트가 발생할 때에만 구동을 하거나, 촬영을 하다가 호출 이벤트가 발생할 때에만 사용자 단말(100)을 경유하여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을 하는 방식으로 구동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카메라(6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카메라(6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카메라(6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수신부(320), 전송부(330), 완료부(340), 드론관리부(350), 사이렌관리부(360), 유효처리부(370), 가로등관리부(380), 영상관리부(390), 및 일대일관리부(3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용 드론(500)으로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용 드론(500)은,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용 드론(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와 매핑되도록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는, 이름, 전화번호, 단말의 시리얼넘버, 주소, 직장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등록부(310)에서 사용자를 등록하는 이유는, 이후에 공용 드론(500)이나 출동 단말(400)로 사용자의 정보에 기반한 출동을 명령하거나 공용 드론(500)을 배치하거나 관할을 나눌 때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주소를 기반으로 배정을 하는 경우, 관할 내 포함된 사용자들을 그 관할지역을 담당하는 출동 단말(400)로 전송함으로써 출동시에 더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회원가입을 하지 않고 웹페이지에서 진행을 할 수도 있고, 이때에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나 전화번호 등은 강제로 백그라운드 모드로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달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권이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이전될 수 있다.
수신부(3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는 호출 이벤트가 생성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주소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GPS 좌표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입력은, 음량버튼이나 전원버튼을 다수번 연속하여 누르거나 지속적으로 누르거나 화면을 문지르거나 톡톡 두드리는 등 위협적인 상황에서도 가능한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일 수 있다. 이때, 잠금화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이 출력되어 이를 누르는 경우에 대응하는 동작이 실행될 수도 있고, 어느 화면이나 임의의 패턴을 이용하는 경우 동작이 실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잠금화면에 긴급상황버튼 등이 출력되는 경우에는 광고주의 광고콘텐츠가 함께 출력될 수도 있다. 그리고, 광고콘텐츠는 기 설정된 수의 가입자 또는 가입자 포화가 되는 경우 삽입될 수 있으며, 잠금화면을 설치할 때 긴급상황버튼도 함께 잠금화면을 해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잠금화면을 해제하기 위한 방법은, 예를 들어, 화면 슬라이드, 탭, 더블 탭, 드래그, 핀치 등 다양할 수 있으나 상술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잠금화면은 애플리케이션 설치 시 출동버튼이 잠금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는 굳이 버튼이나 화면을 특정 모양으로 패턴을 그리거나 특정 손동작을 취하지 않아도 바로 사설경호업체의 직원을 호출할 수 있게 된다.
사실상 누군가 ?i아오고 있다고 느끼는 상황이나 막상 범죄인이 협박을 하고 있을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이 어려운 경우에는, 그 방법이 생각도 나지 않을 뿐더러 누를만한 여유가 없다. 이에 따라, 가장 간단하고 생각이 나기 쉬운 방법이 입력방법으로 설정되어야 하므로 상술한 것들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는, 기 설정된 입력은 기 설정된 음성이나 패턴이 입력되는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살려주세요", "도와주세요", "아악", "왜이래요", "누구야", "불이야" 등 사람에 따라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발성하는 음성의 피치도 다르고, 선택하는 단어도 다르다. 이에 따라, 각 위험상황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을 모아서 특정 언어로 지정하고, 거짓 알람(False Alarm)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실제로 겁에 질린 상태에서 발성하는 음량, 피치, 주파수 등을 분석하여 호출 이벤트에 대응하는 음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정리하면, 데이터수집으로 긴급상황이나 위급상황에서 발화되는 단어를 수집하여 단어 집합(Bags of Word)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위급상황의 발성 패턴, 발성 피치, 주파수 등을 분석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언어를 입력받은 후, 특정 단어 + 특정 발성인 경우 호출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위험이 감지되는 경우와, 위험이 이미 발생한 경우를 나누어 호출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는, 버튼을 누를만한 여력, 즉 아직 위험이 다가오지 않았다는 의미이므로, 공용 드론(500)에서 사이렌은 울리지 않고, 출동 단말(400)만 출동하도록 한다. 반대로, 발성으로 호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는, 버튼도 누를만한 여력이 없다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설경호업체인 출동 단말(400) 뿐만 아니라, 경찰 서버에도 이를 전송함으로써 공권력이 개입하도록 하며, 공용 드론(500)도 사이렌을 울리면서 비행하도록 함으로써, 범죄 행위가 기수로 이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물론, 기수에 이르지 않더라도 미수를 처벌하는 범죄도 존재하므로, 지속적으로 공용 드론(500)으로 촬영을 함으로써 미수범을 처벌할 수 있는 증거를 남기도록 할 수 있다.
전송부(330)는, 수신된 주소 또는 GPS 좌표를, 주소 또는 GPS 좌표에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부(330)는, 출동 단말(400)이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지체되거나 오래걸리는 경우, 이하에서 설명될 공용 드론(500)을 출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호출 이벤트가 범죄인이 범죄를 하기 시작한 단계, 즉 긴박한 상황인 경우(이는 상술한 호출 이벤트를 분류하는 방법으로 파악), 전송부(330)는, 공용 드론(500) 외에도 가로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완료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로부터 상황종료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신변확인 정보를 수신한 후 상황종료를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완료부(340)는, 상황종료가 출동 단말(400)에서 수신된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100)로 다시 한번 확인함으로써, 상황종료 프로세스를 완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의자가 주사를 부리면서 집 근처에서 피해자에게 시비를 건 경우, 경찰에 피의자를 인계를 할지라도 대부분 훈방조치에서 끝나기 때문에, 시비를 건 사람이 집을 인지하고 있으면, 자신을 경찰에 넘겼다는 복수심에 다시 찾아올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완전히 안전한 상태로 접어들기까지 지속적으로 출동을 원할 수 있으므로 이를 사용자에게 확인하여 확실히 종료되었는지를 물을 수 있다.
드론관리부(350)는, 등록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와 매핑되도록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하기 이전에, 메쉬형 또는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용 드론(500)을 배치된 좌표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드론관리부(350)는, 수신부(32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는 호출 이벤트가 생성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주소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GPS 좌표로 수신한 후, 사용자 단말(100)의 주소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의 기 설정된 반경 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용 드론(500)을 호출하여 주소 또는 현재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드론관리부(350)는, 호출된 공용 드론(500)이 주소 또는 현재 위치에 이동한 경우, 공용 드론(500)에 설치된 빔을 턴온시키고 촬영을 시작하도록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빔을 턴온시키는 경우 야간에도 촬영객체를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광원을 확보할 수 있고, 무엇보다 범죄인에게 경각심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드론관리부(350)는, 공용 드론(500)으로부터 수신된 촬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받아 주소 또는 현재 위치를 관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찰 단말(미도시)로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공용 드론(500)은 자율주행차로 대체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자율주행차는 외양을 경찰차와 동일하게 꾸며서 범죄인이 경찰차라고 인식할 정도면 충분하다. 이에 따라, 자율주행차로 사용자가 걷는 경로를 차를 타고 가도록 하거나 할 수 있다.
호출 이벤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에 배치된 버튼의 누름 입력, 화면의 터치 입력, 및 기 설정된 패턴의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이렌 관리부(360)는, 수신부(32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는 호출 이벤트가 생성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주소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GPS 좌표로 수신한 후, 기 설정된 패턴의 음성 인식의 종류가 위급상황 음성으로 인식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공용 드론(500)을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공용 드론(500)이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에 도착한 경우, 사이렌을 구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시점에서 촬영하도록 사용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카메라(600)와 연동될 수 있다. 이때, 영상 관리부(370)는, 수신부(32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는 호출 이벤트가 생성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주소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GPS 좌표로 수신한 후, 웨어러블 카메라(6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100)을 경유하여 스트리밍받을 수 있다.
유효처리부(370)는, 등록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와 매핑되도록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한 후, 사용자 단말(100)이 기 설정된 위험지역을 기 설정된 시간대에 도보로 이동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대에 도보로 이동하는 것이 모니터링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될 호출 이벤트의 거짓 알람(False Alarm)을 제거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 이벤트가 음량버튼 5 번 누르는 것이라고 가정하면, 실수로 음량버튼을 5 번 누르거나, 음악을 듣거나 영화를 보기 위해 음량 버튼을 누르거나 하는 등으로 거짓 알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거짓 알람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는데, 이를 적용하는 것보다 어떠한 상황에 적용하지 않고 무조건 유효한 호출로 볼 것이냐가 더 중요하다. 즉, 외진 곳을 혼자 걸어가고 있다거나, 늦은 밤에 혼자 걷는다거나(가속도 측정으로 도보인지 차로 이동하는지 파악가능) 하는 경우에는, 호출 이벤트가 발생되면 무조건 유효한 호출로 처리하여 출동할 수 있다. 만약,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할지라도 외진 곳을 혼자 걷지 않아도 되고 늦은 밤 동행이 생겨서 좋고, 무슨 일이 발생했다면 범죄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가로등 관리부(380)는, 등록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와 매핑되도록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하기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을 가로등 식별번호에 매핑하여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미도시)로부터 제어권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등 관리부(380)는, 수신부(32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는 호출 이벤트가 생성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주소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GPS 좌표로 수신한 후, 사용자 단말(100)의 주소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트래킹하면서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을 점멸 및 점등의 반복을 제어할 수 있다. 만약, 가로등이 깜빡거린다면 범죄인의 주의를 끌 수 있고, 이 상황을 틈타 호출자인 사용자가 도망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는, 사용자 단말(100)의 이동 경로를 따라가면서 깜빡이게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00)의 GPS 좌표와 가로등의 GPS 좌표를 매칭할 수 있다. 만약, 적어도 하나의가로등은 사이렌 출력기(미도시)가 더 포함된다면,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의 점멸 및 점등이 반복될 때 사이렌 출력기도 동기화되어 사이렌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시각 및 청각적으로 범죄를 방해하게 되므로, 범죄행위를 단절시킬 수 있다.
일대일 관리부(391)는 사용자 단말(100)은 개인 드론과 연동됨을 전제로 한다. 현재에도 개인 드론을 소장하는 사람이 많은데, 이를 경호용으로 이용하는 경우, 그 파급효과는 범죄를 예방하는데까지 이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녀가 12시에 귀가하는데 부모님이 일일이 마중을 나가지 않고, 개인 드론을 자녀가 도보로 이동하는 시점, 예를 들어, 지하철에 위치하다가 지하철에서 집까지의 경로까지 개인 드론이 자녀에게 빛을 비추면서 따라간다면 걸어다니는 CCTV가 있는 셈이므로 범죄인은 범죄를 하기 꺼려하게 된다. 이렇게 꺼릴만한 상황을 만들어주는 것만으로도 범죄예방효과는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왜냐하면, 범죄론에 따르면 범죄인도 범죄가 어려울 것 같은 타겟에게는 접근하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범죄의지가 범죄에 이르게 하는 노력보다 더 크다면 어떠한 상황에서도 범죄를 저지르겠지만, 대부분 범죄인 자신이 감옥에 갈 두려움을 범죄의지가 이기지 못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예방효과가 크다고 하겠다. 이에 따라, 인력과 드론을 적절히 배치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정리하면, 일대일 관리부(391)는, 등록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와 매핑되도록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한 후,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가 기 저장된 사용자 이동 패턴 중 귀가 경로에 위치하고 이동 시각이 기 설정된 시간대인 경우, 개인 드론이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로 이동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일대일 관리부(391)는, 사용자 단말(100)을 추적하여 개인 드론이 비행하도록 제어하게 되지만, 사용자 단말(100)의 전원이 꺼지거나 객체 자체를 추적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를 오류없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영상에서 조명변화, 객체와 유사한 배경, 가려짐, 잡음 등에 의한 객체 추적의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평균쉬프트(meanshift) 기반 객체 추적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대상 객체의 색상 히스토그램과 현재 프레임의 색상 히스토그램을 비교하여 유사한 히스토그램을 갖는 영역을 추정하여 객체를 추적하는 방법이다. 이는, 객체의 겹침이 없는 환경에서 강건한 객체 추적을 실시하므로, 외진 곳에 혼자가는 사용자를 추적하기에 좋다. 다만, 이러한 환경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므로, 환경변화가 심한 실외환경에서도 강건하도록 칼만 필터 기반 객체 추적을 이용하거나 비선형적 객체 추적에 적합한 파티클 필터를 이용하여 반복적 예측을 통해 객체를 추적하는 방법, 또는 객체특징 분석을 통한 강건한 객체 추적알고리듬(SURF: Speed Up Robust Features)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서, 사용자 단말(100)이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통신을 하면서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등 컴퓨팅 자원 및 네트워킹 자원을 과다하게 소모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기도 전에 사용자 단말(100)의 배터리가 닳아 전원이 꺼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무선충전통신을 더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무선충전통신은 디바이스가 무선 신호로부터 에너지를 하베스팅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데이터 수집을 위해 보통 하향링크 무선전력전송과 상향링크 무선정보전송으로 이루어진다. 무선충전통신은 전력과 정보 전송 방향이 서로 다르다는 점에서 같은 방향으로 전송하는 동시무선정보전력전송과는 차별이 있다. 무선충전통신은 대부분 에너지 하베스터(EH)가 선형 특성을 지닌다고 가정하지만, 실제 성능에서는 비선형 특성을 보이고, 성능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제적인 에너지 실제적인 EH 모형을 이용하거나, 다중안테나 무선충전통신, 다중 디바이스를 시분할다중접속으로 지원할 때 합 전송률과 최소 전송률을 최대로 하는 빔포밍 및 자원할당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상술한 모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하베스팅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a)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다양하게 정의되거나, 사용자의 입력으로 학습되거나, 기 정의된 방식에 의해 입력된 호출 이벤트를 인식하고 출동 단말(400)로 출동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b) 상황이 종료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이를 다시 한번 재확인함으로써 수수료를 부과하기 이전에 상황종료에 대한 확인을 실시한다. 그리고, 도 3b의 (a)와 같이 공용 드론(500)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따라가게 하거나 범죄인의 범죄행위를 차단할 수 있으며, (b)와 같이 웨어러블 카메라(600)로부터 수집된 영상을 출동 단말(400) 또는 수사기관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과 공용 드론(500)으로부터 위치와 정보를 등록하여 각 구역(관할)과 담당을 나누어 배정하고, 이를 저장한다(S4100, S4200). 그리고,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회원가입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S4300), 사용자를 위치 등을 기준으로 각 구역에 등록하고 관리가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과 공용 드론(500)와 연동시킨다(S4400). 물론, 사용자의 주소지를 기준으로 해서만 범죄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므로, 이를 관할에 국한시키지 않고 전국적으로 공유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호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S4600), 사용자의 현재 위치 등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 및 공용 드론(500)으로 출동을 요청하고(S4600), 공용 드론(500)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여(S4700), 현재 공용 드론(500)이 요청자인 사용자에게 접근하고 있음을 사용자 단말(100)로 알려줄 수 있다(S4700, S4710).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에 연동된 웨어러블 카메라(600)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을 경유하여 사용자 시점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받아 현재 상황을 파악하거나 범죄인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S4720).
또한,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용 드론(500)의 빔(Beam), 카메라, 사이렌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때 광원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고 빔이 아니더라도 다른 광원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S4810). 그리고,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용 드론(500)으로부터 수집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받아(S4820),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로 공유하고 출동자가 상황을 파악하도록 한다(S4830).
한편,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400)로부터 상황종료 보고가 출력되는 경우(S4900),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확인을진행하고(S4910),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응답이 긍정인 경우(S4920) 상황을 종료하고(S4950) 수수료를 청구할 수 있다(S4960). 그리고, S4930에서 부정(Negative)의 답변이 수신되는 경우,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출동 단말(400)로 상황을 다시 한번 확인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수수료 결제는 선불로 이루어지나 상황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등록된 카드로 수수료를 후불결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들(S4100~S496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6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와 매핑되도록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사용자 단말을 등록한다(S5100).
그리고,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는 호출 이벤트가 생성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주소 또는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GPS 좌표로 수신하고(S5200), 수신된 주소 또는 GPS 좌표를, 주소 또는 GPS 좌표에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로 전송한다(S5300).
마지막으로,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로부터 상황종료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신변확인 정보를 수신한 후 상황종료를 완료한다(S5400).
이와 같은 도 5의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매핑되도록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는 호출 이벤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소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GPS 좌표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주소 또는 GPS 좌표를, 상기 주소 또는 GPS 좌표에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동 단말로부터 상황종료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신변확인 정보를 수신한 후 상황종료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매핑되도록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위험지역을 기 설정된 시간대에 도보로 이동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대에 도보로 이동하는 것이 모니터링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될 호출 이벤트의 거짓 알람(False Alarm)을 제거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매핑되도록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 이전에,
    메쉬형 또는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용 드론을 상기 배치된 좌표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는 호출 이벤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소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GPS 좌표로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소 또는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의 기 설정된 반경 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용 드론을 호출하여 상기 주소 또는 현재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호출된 공용 드론이 상기 주소 또는 현재 위치에 이동한 경우, 상기 공용 드론에 설치된 빔을 턴온시키고 촬영을 시작하도록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공용 드론으로부터 수신된 촬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받아 상기 주소 또는 현재 위치를 관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찰 단말로 전송하여 공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배치된 버튼의 누름 입력, 화면의 터치 입력, 및 기 설정된 패턴의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는 호출 이벤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소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GPS 좌표로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의 음성 인식의 종류가 위급상황 음성으로 인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공용 드론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공용 드론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도착한 경우, 사이렌을 구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시점에서 촬영하도록 사용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카메라와 연동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는 호출 이벤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소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GPS 좌표로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을 경유하여 스트리밍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매핑되도록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을 가로등 식별번호에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로부터 제어권을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입력에 대응하는 호출 이벤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소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GPS 좌표로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소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트래킹하면서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을 점멸 및 점등의 반복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은 사이렌 출력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의 점멸 및 점등이 반복될 때 상기 사이렌 출력기도 동기화되어 사이렌 알람을 출력하는 것인,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개인 드론과 연동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매핑되도록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기 저장된 사용자 이동 패턴 중 귀가 경로에 위치하고 이동 시각이 기 설정된 시간대인 경우, 상기 개인 드론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10. 범죄 예방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20190086452A 2019-07-17 2019-07-17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28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452A KR102228933B1 (ko) 2019-07-17 2019-07-17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452A KR102228933B1 (ko) 2019-07-17 2019-07-17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651A KR20210009651A (ko) 2021-01-27
KR102228933B1 true KR102228933B1 (ko) 2021-03-18

Family

ID=74238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452A KR102228933B1 (ko) 2019-07-17 2019-07-17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9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12347A1 (de) 2021-11-02 2023-05-0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ystem zur Unterstützung in einer Notfallsituation
KR102369351B1 (ko) * 2021-12-14 2022-03-02 (주)에스엔디글로벌 범죄 예방을 위한 스마트 드론의 운용 방법
KR102507086B1 (ko) * 2022-07-28 2023-03-07 (주)아이씨티 인공 지능형 영상 저장 장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9053A (ja) * 2013-05-30 2014-09-25 Eco Trust Japan Co Ltd 街路灯及び撮影システム
KR101813102B1 (ko) * 2016-06-23 2017-12-28 김성주 경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906428B1 (ko) * 2018-05-10 2018-10-10 이정도 음성인식 기반 인공지능형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6040A (ko) * 2014-06-20 2015-12-3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경호용 무인 항공기
KR20180130804A (ko) * 2017-05-30 2018-12-10 주식회사 웬즈데이에잇피엠 웨어러블 기기, 앱, 서버 기반 범죄 상황 대비 경찰 및 주변인 대상 동시다발적 위치전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9053A (ja) * 2013-05-30 2014-09-25 Eco Trust Japan Co Ltd 街路灯及び撮影システム
KR101813102B1 (ko) * 2016-06-23 2017-12-28 김성주 경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906428B1 (ko) * 2018-05-10 2018-10-10 이정도 음성인식 기반 인공지능형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651A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9165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mergency responses and safety
US10531266B2 (en) Emergency messaging system and method of responding to an emergency
US11062589B2 (en) Drone-augmented emergency response services
KR102228933B1 (ko)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302840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activating emergency response assets
US10943463B1 (en) Technologies for assistance and security services
US11423764B2 (en) Emergency communications using client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201603306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ublic safety in at least one of unknown, unexpected, unwanted and untimely situations via offering indemnity in conjunction with wearabl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devices
US20160027292A1 (en) Security and Public Safety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US2011004692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hreat assessment, safety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individuals and groups
US20130329047A1 (en) Escort security surveillance system
US20200151841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recommending public safety resource allocation
KR101840922B1 (ko) 드론을 이용한 가입자 서비스 방법
US11749094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larm and sensor data to emergency networks
KR102207713B1 (ko) 사용자의 상태 정보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13102B1 (ko) 경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049187A (ko) 사용자의 위험 상태 공유를 위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내 타이머를 실행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WO2017095568A1 (en) Data analytics system
KR102052735B1 (ko) 사용자의 상태 정보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462639B2 (en) Enhanced gateway safety system
US11216900B1 (en) Investigation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positioning information from non-resident devices used for communications with controlled-environment facility residents
WO2019216585A1 (ko) 음성인식 기반 인공지능형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CA3164831C (en) Using a sensor hub to generate a tracking profile for tracking an object
KR102579572B1 (ko) 음향 기반의 비상벨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32462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사회 안전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