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804A - 웨어러블 기기, 앱, 서버 기반 범죄 상황 대비 경찰 및 주변인 대상 동시다발적 위치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기기, 앱, 서버 기반 범죄 상황 대비 경찰 및 주변인 대상 동시다발적 위치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804A
KR20180130804A KR1020170066854A KR20170066854A KR20180130804A KR 20180130804 A KR20180130804 A KR 20180130804A KR 1020170066854 A KR1020170066854 A KR 1020170066854A KR 20170066854 A KR20170066854 A KR 20170066854A KR 20180130804 A KR20180130804 A KR 20180130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crime
police
present
adv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민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웬즈데이에잇피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웬즈데이에잇피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웬즈데이에잇피엠
Priority to KR1020170066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0804A/ko
Publication of KR20180130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웨어러블 기기, 앱, 서버 기반 범죄 상황 대비 경찰 및 주변인 대상 동시다발적 위치전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기기, 앱, 서버 기반 범죄 상황 대비 경찰 및 주변인 대상 동시다발적 위치전송 시스템{omitted}
본 발명은 위치전송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경찰 및 주변인을 대상으로 동시 다발적으로 범죄상황에 대비한 위치 전송을 함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 보급되어 있는 대부분의 개인휴대단말기에는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으며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의 수에는 다소의 차이가 있고, 부적절한 활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촬영시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촬영음이 나며 동영상의 촬영과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GPS칩이 내장된 단말기도 있으나 일반 휴대단말기도 이동 통신망을 이 용한 네트워크기반 측위기술에 의해 개인휴대단말기의 위치파악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 필요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현재 기능으로서는 이동통신망을 구성하는 각 지역에 설치된 기지국은 수신되는 개인휴대단말기(전파 발신원)의 전파 강도에 따라 최적의 상태를 이루는 기지국이 연결 운용되며, 전파 수신범위 내의 기지국에서는 개인휴대단말기 발신전파의 기지국 도달시간, 전파의 신호특성, 도달 신호의 각도 등으로 발신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이 동통신망을 이용한 네트워크기반 측위 기술은 기지국의 전파가 미치는 셀 단위 내에 있는 각각의 개인휴대단말 기 검색이 가능하고 셀단위의 방송서비스가 가능하다.
공개실용신안 20-2010-0000957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비상호출기 위치를 조준 촬영해 그 영상을 112. 119센터, 학교, 학부모 휴대전화 등으로 전송하는 방법으로, 평소에는 부모가 인터넷이나 휴대전화로 자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음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부녀자나 아동 등 범죄의 대상이 수 있는 일반 인이 치안당국 등 외부로부터 직접적인 보호를 받을 수 없는 비상 상황에서 사전에 개인휴대단말기로 주변정황 이나 인물 등의 위협요소를 연속 또는 단속적으로 촬영, 치안당국으로 송신하는 동시에 본인의 위치를 추적하여 줄 것을 개인휴대단말기 외부의 복합기능 단축키를 이용하여 요청하게 되면, 치안당국에서는 수신된 영상데이터 를 분석, 판단, 저장하며 필요시 요청자를 콜백하여 실시간으로 안위를 확인하고 위치정보에 의한 동선 추적 등의 방법으로 원격 관찰함으로써 발생할 수도 있는 범죄로부터 요청자의 안전을 확보하게 되고, 범죄 발생시 휴 대폰 소지자의 신고에 대한 빠른 대응을 하게 하며, 범죄가 진행되어 안위확인이 안 될 경우에도 치안당국의 판단에 따라 출동, 채증활동, 검문강화 등 빠른 대처를 할 수 있게 하고 피해자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차후 수사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전에 주변 정황이나 인물 등의 위협 요소를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 하여 치안당국으로 송신하고, 본인의 위치추적을 요청하여 발생가능한 범죄에 미리 대비하여 원격보호를 받는 방식의 범죄 예방 방법으로서, 사건발생시의 실시간 신고, 사건 후에는 비행기의 블랙박스, 건물이나 거리의 CCTV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범죄 피해 예방 시스템의 전제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기본활용 수단이 되는 개인휴대단말기에 있어 단말기의 외부에 위치하여 작동이 용이한 임의의 특정키를 지정하여 첫 번의 터치로 비상모드로 전환시키며 두 번째 터치로 휴대단말기의 폴더를 밀거나 열지 않 고 휴대단말기의 카메라가 지향된 방향의 주변 정황이나 인물 등의 위협요소를 연속 또는 단속적으로 소리없이 촬영하여 치안센터로 자동송신하며 동시에 그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는 치안센터에 자신의 위치를 추적, 관찰하여 줄 것을 요청하며 세 번째의 터치로 범죄의 발생을 치안 당국에 자동으로 신고토록 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위 기능의 개인휴대단말기 소지자(100)가 불특정 시간과 장소에서 주변으로부터 위협을 느껴, 휴대단말기의 외 부 특정키를 눌러 비상상태로 전환한 이후(111), 특정키를 다시 눌러 휴대단말기의 폴더를 밀거나 열지 않고 휴대단말기의 카메라가 지향된 방향의 주변 정황이나 인물 등의 위협요소를 연속 또는 단속적으로 소리없이 촬 영하여 치안센터로 자동송신하며 동시에 그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는 치안센터에 자신의 위치를 추적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복합 기능의 단축키가 장착된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치안센터로 원격 관찰을 요청(112)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심야시간에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부녀자가 차량 번호나 면허판을 촬영하여 치안센터로 송신하고 위치 추적을 요청(112)한다. 치안센터(200)에서는 휴대단말기로 전송한 소리, 영상, 위치정보 등의 데이터를 수신(211),판독(212), 분석하며 필요에 따라 원격보호요청자(100)를 호출하여 기등록된 요청자의 인적사항 또는 음성데이터, 약정 문답 등의 방 법으로 본인확인과 요청자의 안위를 확인(213)하고 이후 상황이 해제(215)될 때까지 원격으로 관찰(214)할 수 있게 되며, 휴대단말기 소지자(100)의 범죄 발생 신고(113)가 있을 경우 현장출동, 도로망 차단 등 즉각적인 대 응(216)을 한다.
또한 휴대단말기 소지자(100)를 호출하여 안전이 확인되지 않거나 본인이 아닌 경우이거나 연결이 안 되는 등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출동, 검문강화 등 빠른 대처(216)를 할 수 있게 되며 원격보호요청자(100)가 위치한 기지국 셀내의 다른 휴대단말기의 정보를 수집(217), 셀방송서비스를 통하여 셀내의 다른 휴대단말기 소지자에 게 주의 경보를 발령(218)하거나 주변 감시를 요청할 수도 있으며 수신된 영상, 음성 데이터는 범죄 발생 후의 용의자 프로파일링, 사후의 수사자료 등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동통신망 운영자(300)는 개인휴대단말기소지자(100)의 요청에 따라 위치정보(311), 요청자의 특정정보(312)를 치안당국(200)에 제공하게 되며 치안당국의 요청에 따라 요청자의 위치추적(313), 셀내의 다른 휴대단말기 정보 (314) 제공, 셀방송서비스(315) 등 본 고안의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사항을 수행하게 된다.
본 고안의 주안점인 영상의 촬영과 송신은 기존의 휴대단말기에서의『실시간 현장 모바일 전송 및 제보 시스템』 활용례와 같이 폴더를 밀거나 젖혀야 하고 촬영시 소리가 나며 영상을 송신하려면 # 1112 의 숫자키를 일일 이 누르는 등 여러 단계를 순차적으로 조작하여야 하므로 비상상황에서는 적합하지 못하나 본 고안의 개인휴대 단말기는 기존의 개인휴대단말기의 소프트웨어를 개선하는 것으로 가능하며 야간에도 별도의 조명이 없이 촬영 가능한 기능을 부가하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비상모드로 전환되어 개인휴대단말기로 소리없이 촬영된 영상 데이터 등은 치안당국으로만 송신되도록 하 여 초상권이나 프라이버시 침해가 없어야 할 것이다.
또한 치안센터에서는 시스템 운용 서버를 개인휴대단말기 소지자의 음성데이터나 약정신호 등을 사전등록하여 본인확인과 안전확인을 서버에서 자동처리할 수 있도록 하거나; 요청자의 위치이동속도, 정지시간 등 상황에 따 른 이용자들의 행동 규칙에 따라 판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 적용하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범죄의 발생을 예상한 개인휴대단말기 소지자가 휴대단말기의 기능을 상황 단계별로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사전 에 위협이나 위험요소를 촬영하여 치안당국에 송신하고 위치 추적요청을 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안전확인이 가 능하고 원격관찰을 받는 방식으로 예상되는 범죄에 사전 대응하며 실시간 신고가 가능한 범죄 예방시스템과 그 방법.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개인휴대단말기 외부의 특정키를 눌러 비상모드로 전환한 이후 휴대단말기의 폴더를 밀거나 열 지않고 휴대단말기의카메라를지향한후, 추가누름등의동작으로지향된방향의주변정황이나인물등의 위협요소를 연속 또는 단속적으로 소리없이 촬영하여 치안센터로 자동송신하는 동시에 그 영상데이터가 수신되 는 치안센터에 자신의 위치를 추적, 관찰하여 줄 것을 요청하며 세 번째의 누름으로 범죄 발생을 신고할 수 있 는, 상황에 따라 휴대폰 모드 전환; 촬영송신, 관찰 요청; 실시간 신고가 가능한 복합 기능의 단축키.
KR1020170066854A 2017-05-30 2017-05-30 웨어러블 기기, 앱, 서버 기반 범죄 상황 대비 경찰 및 주변인 대상 동시다발적 위치전송 시스템 KR20180130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854A KR20180130804A (ko) 2017-05-30 2017-05-30 웨어러블 기기, 앱, 서버 기반 범죄 상황 대비 경찰 및 주변인 대상 동시다발적 위치전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854A KR20180130804A (ko) 2017-05-30 2017-05-30 웨어러블 기기, 앱, 서버 기반 범죄 상황 대비 경찰 및 주변인 대상 동시다발적 위치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804A true KR20180130804A (ko) 2018-12-10

Family

ID=64670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854A KR20180130804A (ko) 2017-05-30 2017-05-30 웨어러블 기기, 앱, 서버 기반 범죄 상황 대비 경찰 및 주변인 대상 동시다발적 위치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08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651A (ko) * 2019-07-17 2021-01-27 전병문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651A (ko) * 2019-07-17 2021-01-27 전병문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5089B2 (en) Personal safety mobile notification system
US8892132B2 (en) Analytic and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over-the-air identifiers of mobile devices
US8624727B2 (en) Personal safety mobile notification system
US20150230072A1 (en) Personal safety mobile notification system
KR101417930B1 (ko) Cctv 감시장치 지능형 관제시스템
US20120003956A1 (en) Real time sound/image capture and distibution to end recipient
KR101392628B1 (ko) 통합 관제를 이용한 안심 귀가 시스템
WO2018116485A1 (ja) 映像収集システム、映像収集サーバ、映像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04272B1 (ko) Cctv 감시장치 지능형 관제시스템 제어방법
KR101654181B1 (ko) 스마트폰 앱과 스마트태그를 이용한 방범용 cctv 비상벨 호출 시스템
CN105389962A (zh) 一种基于移动智能终端的一键报警系统
WO2019059422A1 (ko) 웨어러블 기기, 앱, 서버 기반 범죄 상황 대비 경찰 및 주변인 대상 동시다발적 위치전송 시스템
KR101555991B1 (ko)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방법
JP2011142370A (ja) 緊急の通報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携帯電話機、プログラム及び通報方法
KR20180130804A (ko) 웨어러블 기기, 앱, 서버 기반 범죄 상황 대비 경찰 및 주변인 대상 동시다발적 위치전송 시스템
KR200470949Y1 (ko) 방범용 차량번호인식 스마트 치안정보 전송 시스템
KR101280353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상황 인지 이벤트 공조 통보시스템
KR101398839B1 (ko)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피사체 포착 촬영방법
KR101336825B1 (ko) 학교폭력 및 범죄 예방을 위한 감시시스템
KR101401299B1 (ko)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사용자 중심의 추적촬영 방법
CN205177118U (zh) 危险分子定点监管系统
KR102065786B1 (ko) 사전예방 스마트시티케어 비엘이 통신 시스템
JP6000829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20100000957U (ko)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범죄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90269B1 (ko) 이동통신 가입자 단말을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