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589B1 - 빛 가림 기능이 구비된 보안등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빛 가림 기능이 구비된 보안등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589B1
KR102228589B1 KR1020200101741A KR20200101741A KR102228589B1 KR 102228589 B1 KR102228589 B1 KR 102228589B1 KR 1020200101741 A KR1020200101741 A KR 1020200101741A KR 20200101741 A KR20200101741 A KR 20200101741A KR 102228589 B1 KR102228589 B1 KR 102228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lock
housing
main body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두식
Original Assignee
신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두식 filed Critical 신두식
Priority to KR1020200101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4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mounted by means of a rigid support, e.g. bracket or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06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crossed laminae or strips, e.g. grid-shaped louvers; using lattices or honeycom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08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diaphragms containing one or more apertures
    • F21V11/14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diaphragms containing one or more apertures with many small aper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빛가림 기능이 구비된 보안등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발광수단, 상기 하우징을 지주에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투광부가 하우징 저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게 구성하고, 상기 발광수단이 상기 투광부 상단에 위치하도록 하여 빛이 외측으로 분산되는 것을 막고, 더 나아가 투광부에 빛가림벽을 구비하여 각 발광부재들의 빛이 서로 섞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발산될 수 있도록 하는 빛가림 기능이 구비된 보안등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빛 가림 기능이 구비된 보안등 어셈블리{SECURITY LIGHT ASSEMBLY}
본 발명은 빛 가림 기능이 구비된 보안등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발광수단, 상기 하우징을 지주에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투광부가 하우징 저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게 구성하고, 상기 발광수단이 상기 투광부 상단에 위치하도록 하여 빛이 외측으로 분산되는 것을 막고, 더 나아가 투광부에 빛가림벽을 구비하여 각 발광부재들의 빛이 서로 섞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발산될 수 있도록 하는 빛 가림 기능이 구비된 보안등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보도(步道) 또는 공원이나 주거단지의 주변에는 야간에 어둠을 밝혀 운전자나 보행자 또는 공원을 이용하는 사람이나 주민들이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통사고를 포함한 각종 안전사고 및 범죄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안등(保安燈)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보안등 장치는 도로나 공원 또는 주거단지 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支柱)와, 상기 지주의 상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대략 수평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전류의 인가여부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 제어되는 램프(Lamp)가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저면부에 설치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은 통상적으로 일몰(日沒)시에는 자동으로 점등 제어되고 일출(日出)시에 자동적으로 소등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20-0064373호 "방열기능이 향상된 LED 보안등" (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 등록특허 제10-1590071호 "감시카메라 일체형 LED 보안등" (이하 '종래기술2'라 함.), 등록특허 제10-1376079호 "엘이디 보안등" (이하 '종래기술3'이라 함)을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1은 전면에 투명창을 갖는 케이스본체(A)와, 케이스본체(A)에 방열핀(1)과 방열판(2)로 이루어진 방열수단(B)과, LED조명 PCB어셈블리(C)가 순차 내삽되는 LED 보안등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A) 및 상기 방열수단(B)이 각각 알루미늄과 탄소나노튜브(CNT)로 조성된 열전도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LED조명 PCB 어셈블리(C)의 비아홀(7)에 알루미늄과 탄소나노튜브(CNT)로 조성된 열전도성 칩(T)이 삽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방열기능을 향상시킨 LED 보안등에 관한 것이고,
상기 종래기술2는 LED를 광원으로 채용한 보안등과 감시카메라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LED의 높은 조도 특성과 저전력 특성 및 고수명성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 전송시 역광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은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의 보안등 등주에서 기존 보안등을 분리하고 기존 등주에 설치되며, 모니터링을 위한 통신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비용 절감됨은 물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도 배터리에 의해 감시카메라의 전원이 공급되어 24시간 사용되는 감시카메라 일체형 LED 보안등에 관한 것이며,
상기 종래기술3은 다수개의 엘이디가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형성되는 엘이디모듈; 상기 엘이디모듈이 설치되는 엘이디모듈 설치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가 설치되는 전원공급장치 설치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엘이디 모듈의 전면을 커버하는 윈도우 커버; 상기 전원공급장치 설치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내부 방열핀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외부 방열핀을 구비하는 방열핀;을 포함하는 기술로, 방열성능을 향상시킨 보안등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들은 방열성능 또는 카메라와 같이 방범기능을 추가하여 내구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방범효과는 높일 수 있으나 근래에는 또 다른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방범등은 일정부분을 밝게 비출 수 있지만, 농촌과 같이 농작물이 차도 또는 인도와 인접하게 재배되고 있을 때에는 방범등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한 농작물 작황 저하로 농민이 피해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범등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담장 너머에 위치한 주택으로까지 조사되어 숙면방해를 일으키고, 사생활을 침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농작물 작황 저하 방지 및 숙면을 위하여 일부 방범등이 무단으로 소등되는 사례가 있으나, 이는 차량과 보행자들의 통행권이 침해되고 안전 사고위험이 증가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종래의 방범등에 별도의 빛 가림을 설치하지 않아 빛 공해로 인한 피해사례가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페인트, 라커 등을 이용하여 등 외면을 도색하여 빛을 감소시키기도 하나, 미관이 좋지 못하고 빛의 휘도가 감소하여 방범등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발광수단, 상기 하우징과 지주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광수단의 구성요소인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투광부 내측에 구비되어, 빛이 외측으로 산란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안등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광부가 본체 저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인입된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투광부 상부에 발광부재가 위치하도록 하여 빛이 외측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투광부 내에도 빛가림벽을 더 구비하여 각각의 발광부재의 빛이 서로 혼합되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안등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수단은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하우징에 결합됨에 따라, 빛이 조사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보안등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빛 가림 기능이 구비된 보안등 어셈블리는
투광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광부를 통하여 빛을 상기 하우징 하부로 발산하는 복수의 발광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광수단;
상기 본체 후단에 결합되면서 나머지 단부가 지주 일단에 결속되는 연결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투광부는 내벽부와, 상기 내벽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와 연통되는 투광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부재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투광공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 어셈블리는
하우징, 발광수단 및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도록 하여 내벽부에 의해 빛이 외측으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더 나아가 투광부에 빛가림벽을 더 구비하여 복수의 발광부재들 사이의 빛이 서로 혼합, 교차 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도 및 휘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내벽부의 좌우 폭이 하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도록 이루어져 조사되는 빛이 소정의 넓이를 비출 수 있도록 하여 방범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각도조절수단을 통하여 지주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조사각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불필요한 곳에 빛이 조사되어 생기는 불편함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커버를 손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고안하여 유지보수의 편의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 어셈블리의 실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등 어셈블리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보안등 어셈블리(A)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발광수단(20), 및 상기 하우징(10)을 지주에 고정 결합하는 연결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10)은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부(111)가 형성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본체(11)는 외벽부(112)를 통하여 내측에 수용부(114)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와 연통되는 투광부(111)가 구비되어 빛이 상기 본체(11) 하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의 후단에는 힌지봉(115)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봉(115)에 상기 커버(12)의 후단이 힌지 결합되어 힌지봉(115)을 축으로 회전 운동하여 상기 수용부(114)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12)의 닫힘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1)와 커버(12) 전방에는 개폐결합수단(50)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본체(11)에는 투광부(11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투광부(111)는 상기 본체(11)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인입된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체(11) 하부 중앙에서 상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내벽부(111A)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투광부(111)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11) 내부와 본체(11) 하부를 연통시키는 투광공(11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총 3개의 발광부재(21)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투광공(111B) 또한 격벽(111C)에 의해 구획화되어 하나의 발광부재(21)에 하나의 투광공(111B)이 대응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발광수단(20)은 빛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LED와 같은 발광부재(21)와, 상기 발광부재(21)의 열을 발산하기 위하여 상기 발광부재(21)에 구비되는 방열판(22), 상기 발광부재(21)에 연결되는 안정기, 제어기 등의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발광부재(21) 및 방열판(22)만 도시하였다.
상기 발광부재(21)는 상기 투광공(111B) 상단, 즉 수용부(114) 내에서 투광공(111B)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방식은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발광부재(21)가 빛을 조사함에 있어, 빛이 외측으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는 투광부(1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부(111)라는 공간이 상기 본체(11)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광부(111) 상부에 형성되는 투광공(111B) 내측에 발광부재(21)가 고정 결합됨에 따라, 발광부재(21)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광부(111)의 내벽부(111A)에 의해 가려져 외측으로 빛이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빛가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발광부재(21)가 도5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본체(11)(하우징(10))의 저면보다 높은 위치의 내측에 구비됨에 따라 내벽부(111A)가 외측으로 발산되는 빛을 가릴 수 있도록 구현된다.
그러나 빛이 조사됨에 있어 일정한 공간을 밝힐 수 있도록 조사면적을 확보해야 하는 바, 상기 내벽부(111A) 중 일부, 보다 정확하게는 내벽부(111A) 중 양측의 내벽부(111A)가 하부로 갈수록 점차 그 폭(가로폭)이 넓어질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이를 해결하고 있다.(내벽부(111A) 중 일부는 경사부(111a)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내벽부(111A),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내벽부(111A) 중 좌우 내벽부(111A)는 투광부(111)의 하부 가로폭이 투광공(111B)의 가로폭보다 커지도록 구현되어 빛이 조사되는 최소한의 면적을 확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투광부(111)에는 빛가림벽(111D)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빛가림벽(111D)은 각각의 발광부재(21)들 사이, 즉 상기 격벽(111C)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됨에 따라 각각의 발광부재(21)에서 조사되는 빛이 서로 겹쳐 난반사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시인성을 확보하고 조도 및 휘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커버(12)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 후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힌지운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1) 및 커버(12)의 전방에는 상기 커버(12)가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개폐결합수단(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결합수단(50)은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2) 전방에 고정핀(51)에 의해 힌지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클램핑부재(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1)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클램핑부재(52)의 단부에 구비되는 걸림부(521)가 인입되는 인입공간(5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핀(51)은 상기 클램핑부재(52)를 회전 할 때, 상기 본체(11)의 전단보다 더 전방에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커버(12)를 덮은 후 상기 클램핑부재(52)의 걸림부(521)가 상기 본체(11)의 인입공간(54)에 인입되도록 한 후, 상기 클램핑부재(52)의 후단을 커버(12)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클램핑부재(52)의 걸림부(521)가 상기 인입공간(54) 내에서 본체(11)의 전단 하부를 지지함에 따라 커버(12)와 본체(11)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11)의 후단에는 상기 하우징(10)을 지주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30)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이 연결수단(30)은 상기 하우징(10) 후단,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본체(11) 후단에 각도조절수단(40)을 통하여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의 경사각을 조정하여 빛의 조사방향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도조절수단(40)은 상기 하우징(10) 후단에 구비되는 제1톱니부(41)와, 상기 연결수단(30)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톱니부(41)에 맞물리는 제2톱니부(42)와, 상기 연결수단(30) 전단에 세로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장공(43) 및 상기 장공(43)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0) 후단에 체결되는 결합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도3 내지 도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연결수단(30)의 전단은 곡선형의 연결헤드부(3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수단(30)은 내부에 지주인입부(33)가 구비되어 후단에서 지주가 인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헤드부(31)에는 횡방향의 제2톱니부(42)가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이 제2톱니부(42)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제2톱니부(42)로서, 이들 사이에 가이드공(44)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톱니부(42) 양측에는 상하방향의 장공(43)이 형성되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 장공(43)을 통하여 상기 본체(11)에 결합볼트가 볼트 결합이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 후단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수단(30)의 연결헤드부(31)의 곡선과 대응되는 곡선형의 연결부(116)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연결부(116)에는 상기 제2톱니부(42)에 맞물림 결합되는 제1톱니부(4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44)에 인입되는 가이드블록(46)이 상기 제1톱니부(41) 중앙 상부에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톱니부(41)와 제2톱니부(42)에 의해 상기 본체(11)는 연결수단(30)으로부터 단계별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각도조절이 완료된 후, 상기 장공(43)을 관통하는 결합볼트를 통하여 상기 본체(11)를 견고하게 고정함에 따라 손쉽게 하우징(10)의 조사각을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공(44)에 가이드블록(46)이 인입됨에 따라 각도변경 시 좌우 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조사각을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11)와 커버(12)를 결합함에 있어, 상기 개폐결합수단(50)을 대체할 수 있는 고정블록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정블록유닛(B)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에 구비되는 제1블록(B1)과, 본체(11)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이 인입되는 인입홀(B21)이 형성된 제2블록(B2), 상기 제1블록(B1) 내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홀(B21)에 형성된 끼움홈(B22)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팔(B14) 및 상기 제1블록(B1) 내부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 후퇴를 제한하는 승하강봉돌(B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블록(B1)이 상기 인입홀(B21)에 인입되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을 양측으로 돌출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팔(B14)이 상기 끼움홈(B22)에 내삽 되어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고정하고,
상기 하강한 승하강봉돌(B13)이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팔(B14)이 후퇴를 제한하여 상기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블록(B1) 하부에는 상기 승하강봉돌(B13) 하면에 밀착되며 복귀스프링(B163)을 포함하는 복귀부재(B16)가 구비되어,
상기 복귀스프링(B16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복귀부재(B16)가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하면을 타격하여 승하강봉돌(B13)을 상승시키면, 상기 고정팔(B14)의 후퇴를 허용하여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7a 및 도7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상기 도7a의 [A]는 상기 고정블록유닛(B)이 설치되는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상기 도7a의 [B], [C], 도7b의 [D], [E], [F]는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결합하는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며, 명세서 보기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부호는 도7a에만 도시하였으며, 이하 나머지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으로 도면부호는 도7a를 참조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2블록(B2)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7a의 [A] 및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 전방에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상하 개방된 인입홀(B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입홀(B21)에는 양측으로 끼움홈(B2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팔(B14)이 내삽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인입홀(B21)에는 상기 제1블록(B1)이 내삽되는 것으로, 도7a[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블록(B1)은 커버(12)의 전방에 구비되되 상기 커버(12)의 저면보다 하향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커버(12)를 본체(11)에 결합할 때 상기 제1블록(B1)의 하부가 상기 인입홀(B2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블록(B1)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승하강봉돌(B13)이 상하로 승하강 동작을 할 수 있는 이동공간부(B11)가 상기 제1블록(B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공간부(B11)의 상부에는 상기 이동공간부(B11)보다 넓은 공간을 갖는 승하강공간부(B126)가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1블록(B1)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구성요소들을 내부에 조립하기 위하여 상분체 및 하분체의 두 분체로 이루어져 상호간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상기 이동공간부(B11)는 승하강봉돌(B13)이 승하강하는 공간이고, 상기 승하강공간부(B126)는 후술하는 풀업부재(B12)가 승하강하는 공간으로, 상기 이동공간부(B11)의 상부에는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멈춤턱(B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공간부(B11)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복귀부재(B16)의 하강을 제한하는 하부단턱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자성에 영향을 받는 쇠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부는 평탄하고 하부에는 진입뾰족부(B13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팔(B14)을 벌리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진입뾰족부(B131)의 양측에는 상기 진입뾰족부(B131)보다 경사가 완만한 완만경사부(B132)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팔(B14)의 인입 동작 시 이를 간섭하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상기 고정팔(B14)은 상기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각각의 고정팔(B14)의 양측에는 스프링지지날개(B141)가 형성되고, 이 스프링지지날개(B141)를 지지하는 제2스프링(B143)이 구비되어 도7a[B]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팔(B14)이 상기 제1블록(B1)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팔(B14)의 내측 상부에는 진입안내경사부(B142)가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손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블록(B1) 상부에는 풀업부재(B12)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풀업부재(B12)는 상기 승하강공간부(B126)에 구비되어 상하로 승하강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마그넷몸체(B121)와, 상기 마그넷몸체(B121)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되는 풀업손잡이(B122)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그넷몸체(B121) 상부에는 제1스프링(B123)이 구비되어, 상기 풀업부재(B12)가 아랫방향으로 밀릴 수 있는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으며, 상기 풀업손잡이(B122)에는 후술하는 풀업라인(B124)이 결합되는 라인결합부(B122a)가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임의 상승을 제한하는 회전스토퍼(B15)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스토퍼(B15)는 상기 제1블록(B1) 내부 양측에 제1탄성힌지부(B154)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토핑몸체(B151)와, 상기 스토핑몸체(B151)에 제2탄성힌지부(B155)를 통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이동공간부(B11)를 침범하도록 돌출되는 스토핑다리(B152)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스토핑다리(B152)는 상기 스토핑몸체(B151)를 기준으로 아랫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는 제한적 회전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탄성힌지부(B155)와 상기 풀업부재(B12)의 풀업손잡이(B122)를 연결하는 풀업라인(B124)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풀업라인(B124)이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블록(B1)의 내측에는 라인공간부(B125)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풀업부재(B12) 및 풀업라인(B12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봉돌(B13)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탄성힌지부(B154) 또한 도7a[B]의 형상과 같이 상기 풀업부재(B12)를 아랫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코일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제1블록(B1)의 하부에는 복귀부재(B16)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복귀부재(B16)는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진입뾰족부(B131)가 내삽 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뾰족부수용홈(B161a)이 형성된 복귀몸체(B161)와, 상기 복귀몸체(B161)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 하부로 돌출 구비되는 복귀핸들(B162) 및 상기 복귀몸체(B161) 하부에서 상기 복귀핸들(B162)을 외삽 하도록 구비되는 복귀스프링(B1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귀핸들(B162)의 하부에는 직경이 넓은 핸들홀딩부(B162a)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홀딩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블록유닛(B)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7a[B]와 같이,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이 결합되기 전에는 상기 풀업부재(B12)가 상기 승하강봉돌(B13)을 자력에 의해 고정하여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이동공간부(B11)의 상부에 위치한다.
그 후, 상기 제1블록(B1)을 인입홀(B21)에 끼워 넣은 후, 도7a[C]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풀업손잡이(B122)를 잡고 풀업부재(B12)를 상승시키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멈춤턱(B111)에 의해 상승이 불허되고, 상기 마그넷몸체(B121)와 승하강블록이 멀어져 자성이 약해짐에 따라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회전스토퍼(B15)는 풀업라인(B124)이 당겨지면서 회전하여 상기 스토핑다리(B152)가 이동공간부(B11)를 침범하게 되나, 상기 스토핑다리(B152)는 도7a[C]와 같은 방향으로는 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승하강봉돌(B13)의 하강을 방해하지 않는다.
사익 승하강봉돌(B13)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 상기 진입뾰족부(B131)가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의 진입안내경사부(B142)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을 제1블록(B1) 양측으로 전진시켜 도7b[D]와 같이, 상기 고정팔(B14)이 상기 제2블록(B2)에 끼움홈(B22)에 내삽 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 사이에 승하강봉돌(B13)이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의 후퇴를 불허하여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하강하면 도7b의 [D]와 같이 상기 복귀부재(B16)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조금 하강시킨 후, 상기 도7b의 [E]와 같이 중력가속도에 의한 힘이 없어지면 상기 복귀부재(B16)의 복귀스프링(B163)의 탄성력에 의해 일부 상승하여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상부에 상기 회전스토퍼(B15)의 스토핑다리(B152)가 밀착되어 승하강봉돌(B13)의 임의 상승을 제한하게 된다.
즉, 상기 도7b의 [D]와 같은 상태를 통하여 상기 도7a의 [C]와 같이 접혀진 스토핑다리(B152)가 다시 펼쳐지는 공간이 확보되고, 도7b의 [E]와 같이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상부를 지지하여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7b의 [F]와 같이, 상기 복귀부재(B16)의 복귀몸체(B161) 하단이 하부단턱부(B112)에 밀착될 때 까지 상기 복귀핸들(B162)을 잡고 당기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자중에 의해 함께 하강하고, 이 때 사용자가 복귀부재(B16)를 놓으면 복귀스프링(B16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승하강봉돌(B13)을 위로 타격시키며, 승하강봉돌(B13)이 상승하다가 상기 풀업부재(B12)의 마그넷몸체(B121)와 자력에 의해 붙어 앞서 도7a의 [B]와 같은 상태로 원위치 되어 제1블록(B1)을 손쉽게 제2블록(B2)으로부터 빼 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은 보다 손쉽게 결합, 고정유지 및 분리를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보안등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보안등 어셈블리
10 : 하우징 11 : 본체
111 : 투광부 111A : 내벽부
111a : 경사부 111B : 투광공
111C : 격벽 111D : 빛가림벽
112 : 외벽부 114 : 수용부
115 : 힌지봉 116 : 연결부
12 : 커버
20 : 발광수단 21 : 발광부재
22 : 방열판
30 : 연결수단 31 : 연결헤드부
33 : 지주인입부
40 : 각도조절수단 41 : 제1톱니부
42 : 제2톱니부 43 : 장공
44 : 가이드공 46 : 가이드블록
50 : 개폐결합수단 51 : 고정핀
52 : 클램핑부재 521 : 걸림부
54 : 인입공간

Claims (4)

  1. 투광부(111)가 형성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광부(111)를 통하여 빛을 상기 하우징(10) 하부로 발산하는 복수의 발광부재(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광수단(20);
    상기 본체(11) 후단에 결합되면서 나머지 단부가 지주 일단에 결속되는 연결수단(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투광부(111)는 내벽부(111A)와, 상기 내벽부(111A)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 내부와 연통되는 투광공(11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부재(21)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상기 투광공(111B)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11)와 커버(12)는 고정블록유닛(B)에 의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고정블록유닛(B)은
    상기 커버(12)에 구비되는 제1블록(B1)과, 상기 본체(11)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이 인입되는 인입홀(B21)이 형성된 제2블록(B2), 상기 제1블록(B1) 내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홀(B21)에 형성된 끼움홈(B22)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팔(B14) 및 상기 제1블록(B1) 내부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 후퇴를 제한하는 승하강봉돌(B1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B1)이 상기 인입홀(B21)에 인입되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을 양측으로 돌출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팔(B14)이 상기 끼움홈(B22)에 내삽 되어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고정하고,
    상기 하강한 승하강봉돌(B13)이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팔(B14)이 후퇴를 제한하여 상기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블록(B1) 하부에는 상기 승하강봉돌(B13) 하면에 밀착되며 복귀스프링(B163)을 포함하는 복귀부재(B16)가 구비되어,

    상기 복귀스프링(B16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복귀부재(B16)가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하면을 타격하여 승하강봉돌(B13)을 상승시키면, 상기 고정팔(B14)의 후퇴를 허용하여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111)에는
    상기 각각의 발광부재(21)들의 경계에 빛가림벽(111D)이 더 구비되어, 각각의 발광부재(21)에서 나오는 빛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부(111A)는
    상기 투광부(111)의 하부 가로폭이 투광공(111B)의 가로폭보다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30)은 상기 하우징(10) 후단에 각도조절수단(40);을 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의 경사각을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각도조절수단(40)은
    상기 하우징(10) 후단에 구비되는 제1톱니부(41)와, 상기 연결수단(30)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톱니부(41)에 맞물리는 제2톱니부(42)와, 상기 연결수단(30) 전단에 세로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장공(43) 및 상기 장공(43)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 후단에 체결되는 결합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 어셈블리.
KR1020200101741A 2020-08-13 2020-08-13 빛 가림 기능이 구비된 보안등 어셈블리 KR102228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41A KR102228589B1 (ko) 2020-08-13 2020-08-13 빛 가림 기능이 구비된 보안등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41A KR102228589B1 (ko) 2020-08-13 2020-08-13 빛 가림 기능이 구비된 보안등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589B1 true KR102228589B1 (ko) 2021-03-15

Family

ID=7513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741A KR102228589B1 (ko) 2020-08-13 2020-08-13 빛 가림 기능이 구비된 보안등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5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491B1 (ko) * 2014-09-12 2015-01-02 (주)엠이씨 조명 장치
KR101619058B1 (ko) * 2015-11-19 2016-05-10 (주) 세광산업조명 Led 터널등
KR101642133B1 (ko) * 2015-04-01 2016-07-29 주식회사 성훈라이팅 Led 터널등기구
JP2017004894A (ja) * 2015-06-15 2017-01-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
KR101963398B1 (ko) * 2018-03-26 2019-03-28 주식회사 루멘에어텍 등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491B1 (ko) * 2014-09-12 2015-01-02 (주)엠이씨 조명 장치
KR101642133B1 (ko) * 2015-04-01 2016-07-29 주식회사 성훈라이팅 Led 터널등기구
JP2017004894A (ja) * 2015-06-15 2017-01-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
KR101619058B1 (ko) * 2015-11-19 2016-05-10 (주) 세광산업조명 Led 터널등
KR101963398B1 (ko) * 2018-03-26 2019-03-28 주식회사 루멘에어텍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47036B (zh) Led照明灯
KR101065173B1 (ko) 조명을 구비하는 어닝용 프론트바
KR101800540B1 (ko)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
KR102228589B1 (ko) 빛 가림 기능이 구비된 보안등 어셈블리
DE102010015210A1 (de) Leuchte
KR101103600B1 (ko) 조사각 제한을 위한 가로등의 램프 헤드용 차광기구
KR101073883B1 (ko) 가로등용 등기구
WO2017094955A1 (ko) 빛공해 방지를 위한 조명등 조사범위 조절장치
KR10198501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명모듈을 구비한 가로등용 등기구
EP1623154B1 (de) Beleuchtungseinrichtung
KR101782069B1 (ko) Led 가로등
KR101216957B1 (ko) 등기구
KR102228588B1 (ko) 벽부용 조명등 어셈블리
KR101425520B1 (ko)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CN216113567U (zh) 一种带挡板的洗墙灯
KR101045914B1 (ko) 가로등의 등구조
EP3339529A1 (en) A window assembly
KR101821492B1 (ko) 가로등용 조명장치
KR101456666B1 (ko) 디밍모듈 장착형 led 등기구
CN213513517U (zh) 一种带有驱虫结构的两用庭院灯
Dick Guidelines for Outdoor Lighting in RASC Dark-sky Preserves and IDA Dark Sky Places (RASC-DSP-GOL, IDA-DSP-GOL)
AU2013100138A4 (en) High Efficiency Thoroughfare Illuminator
KR102200509B1 (ko) 낙하방지 기능을 갖는 가로등
CN210921077U (zh) 一种智能传感模组led壁灯
KR102078256B1 (ko) 빛 공해 방지용 옥외 조명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