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206B1 - 공유 채널의 점유율 레벨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회로 - Google Patents

공유 채널의 점유율 레벨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206B1
KR102228206B1 KR1020187026710A KR20187026710A KR102228206B1 KR 102228206 B1 KR102228206 B1 KR 102228206B1 KR 1020187026710 A KR1020187026710 A KR 1020187026710A KR 20187026710 A KR20187026710 A KR 20187026710A KR 102228206 B1 KR102228206 B1 KR 102228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shared channel
channe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5268A (ko
Inventor
브라이언 알렉산더 마틴
히데지 와카바야시
마틴 워릭 빌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7007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600B1/ko
Publication of KR20180105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모바일 통신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에 할당된 제1 주파수 채널, 및 모바일 통신 시스템 및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는 공유 채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배열된 기지국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제2 기간 내의 복수의 제1 기간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 상의 채널 이용률을 측정(반송파 감지)하는 단계; 측정된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에 대한 채널 점유율 상태들(예를 들어, 점유된/비어 있는)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2 기간 동안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정은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상태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Description

공유 채널의 점유율 레벨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회로{METHO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SYSTEM AND CIRCUITRY FOR ESTIMATING AN OCCUPANCY LEVEL OF A SHARED CHANNEL}
본 개시내용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결정하는 방법,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모바일 원격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 및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배경기술"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맥락을 일반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배경기술 섹션에서 설명되는 범위까지의 현재 거명된 발명자들의 연구뿐만 아니라 출원 시점에서의 종래 기술로서 여겨질 수 없는 설명의 양태들은, 명시적으로든 묵시적으로든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인정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 분야에서는 무선 스펙트럼의 영역들이 상이한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mobile network operator)(MNO)들에게 할당되어 운영자들이 인가(license)를 통해 독점 사용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인가는 전형적으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GSM, WCDMA/HSPA, LTE/LTE-A)를 배치하기 위해 수년에 걸친 무선 주파수 스펙트럼의 미리 정해진 부분의 MNO 독점 사용을 허락한다. 예를 들어, LTE 주파수는 통상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예를 들어, LTE 통신)에만 배타적으로 할당되고, 결국 LTE 주파수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운영자에게 배타적으로 할당될 수 있는 대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접근 방식의 결과로서, 운영자는 운영자에게 할당되었던 무선 자원을 간섭하는 다른 무선 서비스들이 없음을 보장하며, 인가 조건의 제한 내에서 네트워크에 어떤 무선 기술을 배치할지에 관한 독점적 제어권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한 독점적 사용을 위해 인가되었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주로 설계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 무선 자원의 가장 효율적인 이용을 돕기 위해 어느 정도의 중앙집중식 제어 및 조정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또한, 인가가 외부 간섭원들로부터의 양호한 내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표준 사양에 기초하여 간섭 모두를 내부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MNO의 인가된 대역 상에 배치된 상이한 디바이스들의 공존은 관련 무선 표준들의 준수를 통해 관리된다. 인가된 스펙트럼은 오늘날 보통 정부-조직 경매를 통해 운영자들에게 할당되지만, 소위 "뷰티 콘테스트(beauty contest)"도 역시 계속 사용되고 있다.
무선 통신 분야에서는 가용 무선 스펙트럼의 영역들이 비인가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도 역시 잘 알려져 있다. 비인가된(인가 면제) 무선 스펙트럼은, 적어도 어느 정도는, 와이파이(Wi-Fi) 및 블루투스(Bluetooth)와 기타의 비-3GPP 무선 액세스 기술과 같은 다수의 상이한 기술에 의해 자유롭게 이용될 수 있다. 비인가된 스펙트럼 대역들을 이용하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동작 파라미터들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2.4 GHz ISM 대역에 대한 FCC Part 15 규칙과 같은 기술적 규제 요건들에 의해 규정된다. 비인가된 대역 상에 배치된 상이한 디바이스들의 공존은, 중앙집중식 조정과 제어의 결여로 인해, 보통은 이러한 기술적 규칙들 및 다양한 상류 프로토콜(politeness protocol)을 기반으로 한다.
LTE와 같은 인가된 무선 스펙트럼 상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 무선 통신 시스템 기술들의 이용은 무선 통신 기술들의 확립된 이용률의 증가와, 예를 들어 머신-타입 통신(MTC)의 개발 분야와 같은 새로운 용도의 도입의 양쪽 모두에서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 무선 통신 기술들의 증가된 이용을 지원하도록 더 많은 대역폭의 제공을 돕기 위하여, 인가된 무선 스펙트럼 상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비인가된 무선 스펙트럼 자원을 이용하는 것이 최근에 제안되었다.
그러나 인가된 스펙트럼과는 대조적으로, 비인가된 스펙트럼은, 예를 들어 간섭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어떠한 조정된/중앙집중식 제어 없이, 상이한 기술들 간에 또는 동일한 기술을 이용하는 상이한 네트워크들 간에 공유되고 이용될 수 있다. 이 결과, 비인가된 스펙트럼에서 무선 기술들의 이용은 예측 불가능한 간섭을 받을 수 있고, 스펙트럼 자원을 보장하지 않고, 즉, 무선 접속은 최선의 노력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인가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된 LTE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기술들이, 비인가된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허용하고, 특히 비인가된 스펙트럼 대역에서 동시에 동작 중일 수 있는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들과 안정적이고 공평하게 공존하도록 허용하는 수정된 접근 방식을 요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스펙트럼이 둘 이상의 당사자, 예를 들어 두 MNO에게 인가되었던 시스템에서, 각각의 MNO는 스펙트럼의 독점적 사용을 가지지 않으며 스펙트럼은 그들 사이에서 공유된다. 하나의 MNO로부터의 통신은 다른 MNO로부터의 통신을 간섭할 수 있고, 각각의 MNO는 자신의 네트워크 내에서 간섭 레벨을 감소시키려고 시도할 수 있지만, 그들은 다른 MNO의 통신으로부터의 통신을 직접 제어하지 못한다.
따라서, 공유된(비인가된 또는 인가된) 스펙트럼 대역들(즉, 관련 무선 자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독점적인 액세스를 갖지 않음)에서의 동작에 요구되는 방식으로 인가된 스펙트럼 대역들(즉, 즉 관련된 무선 자원에 대한 독점적인 액세스 및 이에 따른 제어의 레벨을 가짐)에서 동작하도록 주로 설계되는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시스템을 배치하는 것은, 새로운 기술적 과제를 야기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에 할당된 제1 주파수 채널, 및 모바일 통신 시스템 및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는 공유 채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기지국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제2 기간 내의 복수의 제1 기간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 상의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에 대한 채널 점유율 상태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2 기간 동안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점유율 레벨의 표시는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상태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에 기초하여 측정 보고를 생성하고 측정 보고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이 혼잡 임계치를 초과한다고 추정될 때 공유 채널이 혼잡하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고; 공유 채널이 혼잡하다는 것을 검출할 때, 측정 보고를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다. 측정 보고의 수신시, 모바일 통신 시스템은,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에 기초하여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와의 업 링크 및/또는 다운 링크 통신을 위해 공유 채널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측정 보고는 주기적으로, 측정 요청의 수신시에, 랜덤하게 선택된 시간에, 또는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중 하나 이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점유율 레벨의 표시는 주기적으로, 측정 요청의 수신시, 랜덤하게 선택된 시간에서, 또는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중 하나 이상에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단락에서, "미리 결정된 이벤트"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전원이 켜져 있는 것,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주파수 채널 상에서 혼잡을 경험하는 것,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소정 기간에 혼잡을 경험하는 것,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채널화 코드에 대해 혼잡을 경험하는 것, 사용자 요청,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요청, 타이머의 만료, 및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낮은 이용 레벨을 갖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공유 채널 상에서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는 단계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다고 결정될 때,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 의해 공유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에 대해 식별된 간섭 레벨을 나타내는 간섭 측정치에 기초하여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는 단계, 및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지 않다고 결정될 때, 공유 채널을 통해 수신된 전력을 나타내는 측정치에 기초하여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제1 기술을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공유 채널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1 송수신기, 및 제2 기술을 이용하여 공유 채널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2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기술은 제1 기술과 상이하다. 상기 방법은 그 후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제1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도출된 제1 채널 이용률 및 제2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도출된 제2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에 할당된 제1 주파수 채널, 및 모바일 통신 시스템 및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공유 주파수 채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배열된 기지국을 포함한다.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제어기 유닛, 및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 유닛을 포함한다. 제어기 유닛은, 제2 기간 내의 복수의 제1 기간 각각의 동안에, 송수신기 유닛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공유 채널 상의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고; 측정된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에 대한 채널 점유율 상태들을 결정하고; 제2 기간 동안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점유율 레벨의 표시는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상태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모바일 통신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에 할당된 제1 주파수 채널, 및 모바일 통신 시스템 및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공유 주파수 채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배열된 기지국, 및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제2 기간 내의 복수의 제1 기간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 상의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고; 측정된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에 대한 채널 점유율 상태들을 결정하고; 제2 기간 동안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점유율 레벨의 표시는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상태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용 회로가 제공되며, 상기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에 할당된 제1 주파수 채널, 및 모바일 통신 시스템 및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공유 주파수 채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배열된 기지국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는 제어기 요소 및 송수신기 요소를 포함하며, 이들은, 제2 기간 내의 복수의 제1 기간 각각의 동안에, 송수신기 유닛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공유 채널 상의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고; 측정된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에 대한 채널 점유율 상태들을 결정하고; 제2 기간 동안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결정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점유율 레벨의 표시는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상태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상기 문단들은 전반적인 소개로서 제공된 것이지, 이하의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설명된 예들은, 추가 이점들과 함께, 첨부된 도면들과 연계하여 취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최상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과 많은 그 부속 이점들의 더 완전한 이해는, 첨부된 도면들과 연계하여 고려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최상으로 이해할 때 쉽게 얻어질 것이며, 여기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여러 도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들을 나타내고, 여기서:
도 1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2는 LTE 무선 프레임을 나타내는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3은 LTE 다운 링크 무선 서브프레임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4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채널 점유율 측정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6은 점유율을 측정하고 보고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제공한다;
도 7은 정숙 시간(quiet time)의 이용 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시간도를 제공한다;
도 8은 정숙 시간의 다른 이용 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시간도를 제공한다;
도 9는 다른 채널 점유율 측정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및
도 10은 기지국과 단말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사다리도를 제공한다.
도 1은, LTE 원리에 따라 동작하고 후술되는 본 개시내용의 예들을 구현하도록 적응될 수 있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시스템(100)의 일부 기본 기능성을 나타내는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1의 다양한 요소와 그들 각각의 동작 모드들은 널리 공지되어 있고 3GPP(RTM) 기구(body)에 의해 관리되는 관련 표준들에 정의되어 있으며, 이 주제에 관한 많은 문헌, 예를 들어, Holma H. 및 Toskala A [1]에서도 설명된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양태들은, 예를 들어 관련 표준들에 따른 임의의 공지된 기술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네트워크(100)는 코어 네트워크(102)에 접속된 복수의 기지국(101)을 포함한다. 각각의 기지국은 단말 디바이스들(104)에 그리고 단말 디바이스들(104)로부터 데이터가 통신될 수 있는 커버리지 영역(103)(즉, 셀)을 제공한다. 데이터는 기지국들(101)로부터 단말 디바이스들(104)로 그들 각각의 커버리지 영역(103) 내에서 무선 다운 링크를 통해 전송된다. 데이터는 단말 디바이스들(104)로부터 무선 업링크를 통해 기지국들(101)에 전송된다.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통신은 네트워크(100)의 운영자에 의해 사용이 인가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코어 네트워크(102)는 각각의 기지국들(101)을 통해 단말 디바이스들(104)에 그리고 단말 디바이스들(104)로부터 데이터를 라우팅하고, 인증, 이동성 관리, 과금 등과 같은 기능들을 제공한다. 단말 디바이스들은 또한, 이동국들, 사용자 장비(UE), 사용자 단말, 모바일 라디오(mobile radio)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들은 또한, 송수신기 스테이션들/nodeB들/e-nodeB들 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3GPP 정의된 롱 텀 에볼루션(LTE) 아키텍처에 따라 배열된 것들과 같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들은, 무선 다운 링크에 대한 직교 주파수 분할 변조(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OFDM) 기반의 인터페이스(소위 OFDMA)와, 무선 업링크 상의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방식(SC-FDMA)을 이용한다. 도 2는 OFDM-기반의 LTE 다운 링크 무선 프레임(201)을 나타내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LTE 다운 링크 무선 프레임은 (향상된 Node B로서 알려진) LTE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고 10ms 지속된다. 다운 링크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각 서브프레임은 1ms 지속된다. 1차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isation signal)(PSS)와 2차 동기화 신호(secondary synchronisation signal)(SSS)가 LTE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 및 제6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PBCH)이 LTE 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도 3은 예시적인 종래의 다운 링크 LTE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그리드(grid)의 개략도이다. 서브프레임은 1ms 기간에 걸쳐 전송되는 미리 결정된 개수의 심벌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심벌은 다운 링크 무선 반송파의 대역폭에 걸쳐 분포된 미리 결정된 개수의 직교 부반송파들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적 서브프레임은, 네트워크(100)의 운영자에 의한 이용을 위해 인가된 20MHz 대역폭에 걸쳐 퍼져 있는 14개의 심벌과 1200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며, 이 예에서는 프레임 내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이다(따라서 PBCH를 포함한다). LTE에서 전송을 위한 물리적 자원의 최소 할당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는 12개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자원 블록이다. 명료화를 위해, 도 3에서, 각각의 개별 자원 요소는 도시되어 있지 않고, 대신에 서브프레임 그리드 내의 각각의 개별 박스는 하나의 심벌 상에서 전송되는 12개 부반송파에 대응한다.
도 3은 4개의 LTE 단말(340, 341, 342, 343)에 대한 자원 할당을 해칭으로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LTE 단말(UE4)에 대한 자원 할당(340)은 12개 부반송파의 5개 블록(즉, 60개 부반송파)에 걸쳐 연장되고, LTE 단말(UE2)에 대한 자원 할당(343)은 12개 부반송파의 6개 블록(즉, 72개 부반송파)에 걸쳐 연장되는 등등이다.
제어 채널 데이터는 서브프레임의 처음 "n"개 심벌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300)(도 3에서 점선-음영으로 표시됨)에서 전송될 수 있고, 여기서 "n"은 3MHz 이상의 채널 대역폭의 경우 1개 심벌과 3개 심벌 사이에서 변할 수 있고, "n"은 1.4MHz 채널 대역폭의 경우 2개 심벌과 4개 심벌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하의 설명은 3MHz 이상의 채널 대역폭을 갖는 호스트 반송파들에 관한 것이므로 "n"의 최대값은 (도 3의 예에서와 같이) 3일 것이다. 제어 영역(300)에서 전송된 데이터는,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 및 물리적 HARQ 표시자 채널(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PHICH) 상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들 채널은 물리층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제어 채널 데이터는, 또한 또는 대안으로서, 서브프레임의 지속 기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 동안 또는 "n"개의 심벌 이후에 남아있는 서브프레임의 지속 기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 동안, 다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제2 영역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 제2 영역에서 전송된 데이터는 향상된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EPDCCH) 상에서 전송된다. 이 채널은, 다른 물리층 제어 채널들 상에서 전송되는 것에 추가될 수 있는 물리층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PDCCH 및 EPDCCH는 서브프레임의 어느 부반송파들이 특정 단말들(또는 모든 단말들 또는 단말들의 서브세트)에 할당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것은 물리층 제어 시그널링/데이터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300)에서 전송된 PDCCH 및/또는 EPDCCH 데이터는, UE1이 참조 번호 342에 의해 식별된 자원 블록을 할당받았고, UE2가 참조 번호 343에 의해 식별된 자원 블록을 할당받았으며, 등등을 나타낼 것이다.
PCFICH는 제어 영역의 크기(즉, 3MHz 이상의 채널 대역폭의 경우 1개 심벌과 3개 심벌 사이, 또는 1.4MHz의 채널 대역폭의 경우 2개 심벌과 4개 심벌 사이)를 나타내는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PHICH는 이전에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HARQ(Hybrid Automatic Request) 데이터를 포함한다.
시간-주파수 자원 그리드의 중앙 대역(310) 내의 심벌들은, 1차 동기화 신호(PSS), 2차 동기화 신호(SSS) 및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을 포함하는 정보의 전송에 이용된다. 이 중앙 대역(310)은 전형적으로 (1.08MHz의 전송 대역폭에 대응하는) 72개 부반송파 폭이다. PSS 및 SSS는, 일단 검출되면, LTE 단말 디바이스가 프레임 동기화를 달성하고 다운 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향상된 Node B의 물리층 셀 신원을 결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동기화 신호들이다. PBCH는, LTE 단말이 셀에 적절히 액세스하기 위해 이용하는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MIB)을 포함하는, 셀에 관한 정보를 반송한다. 다운 링크 데이터 채널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는 물리적 다운 링크 공유 채널(PDSCH) 상에서 단말들에 전송된 데이터는, 서브프레임의 다른 자원 요소들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DSCH는 사용자-평면 데이터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및 비액세스 스트라텀(Non Access Stratum)(NAS) 시그널링과 같은) 비물리층 제어-평면 데이터의 조합을 운반한다. PDSCH 상에서 운반되는 사용자-평면 데이터와 비물리층 제어-평면 데이터는 상위층 데이터(즉, 물리층보다 높은 층과 연관된 데이터)로 지칭될 수 있다.
도 3은 또한 R344의 대역폭에 걸쳐 연장되고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PDSCH의 영역을 도시한다. 종래의 LTE 서브프레임은 또한, 명료화의 목적으로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은 기준 신호들을 포함할 것이다.
LTE 채널 내의 부반송파들의 수는 전송 네트워크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 변화는 1.4MHz 채널 대역폭 내에 포함된 72개 부반송파로부터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20MHz 채널 대역폭 내에 포함된 1200개 부반송파까지이다.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PDCCH, PCFICH 및 PHICH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통상적으로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제공하도록 서브프레임의 전체 대역폭에 걸쳐 부반송파들 상에 분포된다.
기지국들(101)과 단말 디바이스들(104) 사이의 통신은, 전통적으로 네트워크(100)의 운영자에 의한 독점적 이용을 위해 인가되었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인가된 무선 자원은 전체 무선 스펙트럼의 단지 일부일 것이다. 네트워크(100)의 환경 내의 다른 디바이스들은 다른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운영자의 네트워크는, 그 상이한 운영자에 의한 이용을 위해 인가되었던 상이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동일한 지리적 영역 내에서 동작하고 있을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는 비인가된 무선 스펙트럼 대역 내의 다른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고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스펙트럼의 인가된 부분 내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무선 스펙트럼의 비인가된 부분(즉,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독점적 액세스를 갖지 않고, 오히려 다른 액세스 기술들 및/또는 다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의해 공유되는, 무선 스펙트럼의 일부) 내의 무선 자원을 추가로 이용함으로써 지원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 특히, 비인가된 무선 자원이 인가된 무선 자원과 연계하여 이용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반송파 집성 기반의 기술들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제안되었다.
본질적으로, 반송파 집성은 기지국과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이 하나보다 많은 반송파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도록 허용한다. 이것은 단 하나의 반송파를 이용할 때와 비교하여 기지국과 단말 디바이스 사이에서 달성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킬 수 있고, 단편화된(fragmented) 스펙트럼의 더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이용을 가능케 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집성된 개별 반송파들은 흔히 컴포넌트 반송파들(또는 때로는 간단히 컴포넌트들)이라고 지칭된다. LTE의 맥락에서, 반송파 집성은 표준의 Release 10에서 소개되었다. LTE-기반 시스템에서 반송파 집성에 대한 현재 표준에 따르면, 다운 링크 및 업링크 각각에 대해 5개까지의 컴포넌트 반송파가 집성될 수 있다. 컴포넌트 반송파들은 서로 연속적일 필요는 없고 LTE-정의된 값들(1.4MHz, 3MHz, 5MHz, 10MHz, 15MHz 및 20MHz)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시스템 대역폭을 가질 수 있음으로써, 100MHz까지의 총 대역폭을 허용한다. 물론 이것은 특정 반송파 집성 구현의 일례일 뿐이고 다른 구현 예들은 상이한 개수의 컴포넌트 반송파들 및/또는 대역폭들을 허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LTE-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맥락에서 반송파 집성의 동작에 관한 추가 정보는, ETSI TS 136 211 V11.5.0(2014-01) / 3GPP TS 36.211 버전 11.5.0 Release 11 [2], ETSI TS 136 212 V11.4.0(2014-01) / 3GPP TS 36.212 버전 11.4.0 Release 11 [3]; ETSI TS 136 213 V11.6.0(2014-03) / 3GPP TS 36.213 버전 11.6.0 Release 11 [4]; ETSI TS 136 321 V11.5.0(2014-03) / 3GPP TS 36.321 버전 11.5.0 Release 11 [5]; 및 ETSI TS 136 331 V11.7.0(2014-03) / 3GPP TS 36.331 버전 11.7.0 Release 11 [6]과 같은 관련 표준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LTE-기반 시스템의 맥락에서 반송파 집성에 이용되는 용어 및 구현에 따르면, 소정의 셀이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셋업 동안에 초기에 구성된 셀인 경우, 그 셀은, 그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1차 셀' 또는 Pcell이라고 지칭된다. 따라서, 1차 셀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 확립/재확립을 처리한다. 1차 셀은 다운 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및 업 링크 컴포넌트 반송파(CoC)와 연관된다. 이들은 때때로 여기서 1차 컴포넌트 반송파라고 지칭될 수 있다. Pcell에서 초기 접속 확립 이후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이용을 위해 구성되는 셀은 '2차 셀' 또는 Scell이라고 명명한다. 따라서, 2차 셀은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해 접속 확립 이후에 구성된다. Scell들과 연관된 반송파들은 때때로 여기서는 2차 컴포넌트 반송파들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LTE에서는 5개까지의 컴포넌트 반송파가 집성될 수 있기 때문에, (대응적으로 4개까지의 2차 컴포넌트 반송파와 연관된) 4개까지의 Scell들이 (1차 컴포넌트 반송파와 연관된) 1차 셀과의 집성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Scell은 다운 링크 및 업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모두를 갖지 않을 수 있고, 업링크 컴포넌트 반송파와 다운 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사이의 연관이 각각의 다운 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의 시스템 정보를 통해 SIB2에서 시그널링된다. 1차 셀은 다운 링크 상에서 PDCCH와 PDSCH를, 업링크 상에서 PUSCH와 PUCCH를 지원하는 반면, 2차 셀(들)은 다운 링크 상에서 PDCCH와 PDSCH를, 업링크 상에서는 PUSCH를 지원하지만 PUCCH는 지원하지 않는다. 향상된 PDCCH(E-PDCCH)는 1차 셀 및 2차 셀 모두에서 PDCCH에 부가하여 또는 PDCCH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측정 및 이동성 절차는 Pcell에서 처리되며 Pcell은 비활성화될 수 없다. Scell(들)은, 예를 들어 트래픽 요구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로의 MAC 층 시그널링을 통해 동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Scell들은 또한, 임계 시간량 동안 단말 디바이스가 Scell 상에서 어떠한 전송 자원 할당도 수신하지 않는다면 자동적으로(타임 아웃) 비활성화될 수 있다.
현재의 표준에 기초한 반송파 집성의 LTE-기반의 구현을 위한 물리층 제어 시그널링의 일부 양태가 이제 설명된다.
각각의 다운 링크 컴포넌트 반송파는 정규 LTE 제어 채널들((E)PDCCH, PCFICH 및 PHICH)을 가진다. 그러나, 반송파 집성은 PDCCH 상에서 소위 크로스-반송파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XCS)의 가능성을 도입한다. 크로스-반송파 스케줄링을 지원하기 위해, PDCCH 상의 다운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DCI) 메시지는, PDCCH 메시지가 컴포넌트 반송파들 중 어느 것에 적용되는지를 나타내는 3비트를 포함하는 반송파 표시자 필드(carrier indicator field)(CIF)를 포함한다. CIF가 존재하지 않으면, PDCCH는 그것이 수신되는 반송파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취급된다. 크로스-반송파 스케줄링을 제공하기 위한 동기(motivation)는, 중첩된 매크로-셀 및 소형-셀이 동일한 대역에서 반송파 집성을 동작시킬 수 있는 이종 네트워크(het-net) 시나리오에 주로 적용된다. 각각의 매크로 셀과 소형 셀의 PDCCH 시그널링 사이의 간섭의 영향은,(매크로 셀을 가로질러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비교적 높은 전송 전력에서 매크로 셀이 자신의 PDCCH 시그널링을 하나의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전송하게 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는 반면, 소형 셀들은 그들의 PDCCH 스케줄링을 위해 대안적인 컴포넌트 반송파를 이용한다.
PDCCH를 지원하는 제어 영역은 컴포넌트 반송파들 사이의 크기(즉, OFDM 심벌들의 수)가 다를 수 있으므로, 상이한 PCFICH 값들을 반송할 수 있다. 그러나, het-net 구현에서 제어 영역에서의 간섭에 대한 잠재성은, PCFICH가 특정한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디코딩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LTE 표준은, 각각의 컴포넌트가, 어느 OFDM 심벌 PDSCH가 각각의 서브프레임에서 시작한다고 가정될 수 있는지의 반-정적인 표시(semi-static indication)를 반송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어 영역에 대해 더 적은 수의 OFDM 심벌들이 실제로 이용된다면, 자유/예비 OFDM 심벌(들)은 단말 디바이스들이 실제 PCFICH를 디코딩할 때 크로스-반송파 스케줄링되지 않는 단말 디바이스들로의 PDSCH 전송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어 영역에 대해 더 많은 수의 OFDM 심벌이 실제로 이용된다면, 크로스-반송파 스케줄링된 단말 디바이스들에 대해 어느 정도의 성능 저하가 있을 것이다.
PHICH 시그널링은, PHICH 시그널링이 관련되어 있는 PUSCH 할당을 포함하는 PDCCH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다운 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송신된다. 따라서, 하나의 다운 링크 컴포넌트 반송파는 하나보다 많은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PHICH를 반송할 수 있다.
업 링크에서, PUCCH의 기본 동작은 반송파 집성의 도입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다. 그러나, 새로운 PUCCH 포맷(포맷 3)이 도입되어 복수의 다운 링크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확인응답 시그널링(ACK/NACK 시그널링)의 송신을 지원하고, 포맷 1b에 대한 일부 변경에 의해 반송할 수 있는 ACK/NACK 비트의 수를 증가시킨다.
현재의 LTE-기반 반송파 집성 시나리오에서, 1차 및 2차 동기화 시그널링(PSS 및 SSS)은 동일한 물리층 셀 신원(physical-layer cell identity)(PCI)을 이용하는 모든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전송되고, 컴포넌트 반송파들은 모두 서로 동기화된다. 이것은 셀 검색 및 발견 절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보안 및 시스템 정보(SI)에 관련된 문제점들은 Pcell에서 처리된다. 특히, Scell을 활성화할 때, Pcell은 전용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Scell에 대한 관련 SI를 단말 디바이스에 전달한다. Scell에 관련된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면, Scell은 (하나의 RRC 메시지에서) Pcell RRC 시그널링에 의해 해제되고 재추가된다. Pcell 대역폭에 걸친 채널 품질에서의 장기 변동으로 인한 Pcell 변경은, 수정된 핸드오버 절차를 이용하여 처리된다. 소스 Pcell은, 핸드오버가 완료될 때 단말 디바이스가 모든 할당된 컴포넌트 반송파를 이용하길 시작할 수 있도록 모든 관련 반송파 집성(CA) 정보를 타겟 Pcell에 전달한다.
랜덤 액세스 절차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Pcell의 업링크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주로 취급되지만, 경쟁 해결 시그널링의 일부 양태는 또 다른 서빙 셀(즉, Scell)에 대해 크로스-반송파 스케줄링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송파 집성은, 인가된 무선 스펙트럼을 이용하도록 주로 설계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비인가된 무선 스펙트럼 자원을 이용하기 위한 하나의 접근 방식이다. 개략적으로 요약하면, 반송파 집성 기반의 접근 방식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한 이용을 위해 인가되었던 무선 스펙트럼의 영역 내의 제1 컴포넌트 반송파(예를 들어, LTE 용어에서는 Pcell과 연관된 1차 컴포넌트 반송파)를 구성하고 동작시키고, 또한 무선 스펙트럼의 비인가된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 컴포넌트 반송파(예를 들어, LTE 용어에서는 Scell과 연관된 2차 컴포넌트 반송파)를 구성하고 동작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스펙트럼의 비인가된 영역에서 동작하는 2차 컴포넌트 반송파(들)는, 이들이 이용 가능할 때 비인가된 무선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기회주의적 방식으로 그렇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류 프로토콜들(politeness protocols)이라 부를 수 있는 어떤 것을 정의함으로써, 주어진 운영자가 비인가된 무선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정도를 제약하기 위한 규정들이 또한 존재할 수 있다.
공지된 반송파 집성 방식은 비인가된 무선 스펙트럼 자원(또는 다른 형태의 공유된 무선 자원)을 인가된 무선 스펙트럼 자원과 연계하여 이용하기 위한 기준을 형성할 수 있지만, 공지된 반송파 집성 기술들에 대한 일부 수정은 성능을 최적화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적절할 수 있다. 이것은, 비인가된 무선 스펙트럼에서의 무선 간섭이 특정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한 이용을 위해 인가되었던 무선 스펙트럼의 영역 내에서 볼 수 있는 것보다 더 광범위한 시간 및 주파수에서의 알려지지 않고 예측할 수 없는 변화의 영향을 받기 쉬울 것으로 예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LTE-A와 같은 주어진 기술에 따라 동작하는 주어진 무선 통신 시스템의 경우, 비인가된 무선 스펙트럼에서의 간섭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에 따라 동작하는 다른 시스템들, 또는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다른 기술에 따라 동작하는 시스템들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통신 시스템(4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예의 통신 시스템(400)은 대체로 LTE-타입 아키텍처에 기초한다. 이와 같이, 통신 시스템(400)의 많은 동작 양태들은 표준이고 널리 이해되고 있으므로 간소화를 위해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통신 시스템(400)의 동작 양태들은, 예를 들어 확립된 LTE-표준 및 그 공지된 변형에 따른 임의의 공지된 기술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400)은 무선 네트워크부에 결합된 코어 네트워크부(진화된 패킷 코어)(402)를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부는, 기지국(진화된 노드 B)(404), 제1 단말 디바이스(406), 및 제2 단말 디바이스(408)를 포함한다. 실제로 무선 네트워크부는 다양한 통신 셀에 걸쳐 많은 수의 단말 디바이스를 서빙하는 복수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연히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간소화를 위해 1개의 기지국과 2개의 단말 디바이스만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통신 시스템(400)의 일부는 아니지만, 서로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통신 시스템(400)의 무선 환경 내에서 동작하고 있는 일부 다른 디바이스들도 역시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특히, 와이파이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링크(418)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한 쌍의 무선 액세스 디바이스(416), 및 블루투스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링크(422)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한 쌍의 블루투스 디바이스(420)가 있다. 이들 다른 디바이스는 통신 시스템(400)에 대한 잠재적인 무선 간섭원을 나타낸다. 실제로, 무선 통신 시스템(400)의 무선 환경에서 동작하는 더 많은 이러한 디바이스들이 통상적으로 존재할 것이며, 간략화를 위해 단지 2개 쌍의 디바이스들(418, 422)만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종래의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들(406, 408)은 기지국(송수신기 스테이션)(404)에 그리고 이로부터 데이터를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배열된다. 기지국은, 기지국(404)을 통한 통신 시스템(400) 내의 단말 디바이스들로의 모바일 통신 서비스의 라우팅과 관리를 수행하도록 배열된 코어 네트워크부 내의 서빙 게이트웨이(S-GW)(도시되지 않음)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동성 관리 및 접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부(402)는 홈 가입자 서버(HSS)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 디바이스들(406, 408)과의 향상된 패킷 서비스(enhanced packet service)(EPS) 접속들을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도시되지 않음)를 또한 포함한다. (간소화를 위해 역시 도시되지 않은) 코어 네트워크 내의 다른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은, 코어 네트워크부(402)로부터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PDN-GW)와, PCRF(policy charging and resource function)를 포함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400)의 다양한 요소들의 동작은, 여기서 논의된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수정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종래의 것이다.
단말 디바이스들(406, 408) 각각은 무선 신호들의 전송 및 수신을 위한 송수신기 유닛(406a, 408a), 및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각각의 디바이스들(406, 408)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유닛(406b, 408b)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어기 유닛(406b, 408b)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비에 대한 종래의 프로그래밍/구성 기술을 이용하여 여기서 설명된 원하는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적절하게 구성된/프로그램된 프로세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들(406, 408)의 각각에 대해, 그들의 각각의 송수신기 유닛들(406a, 408a) 및 제어기 유닛들(406b, 408b)은 표현의 용이성을 위해 별개의 요소로서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이들 유닛들의 기능성은,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로, 예를 들어 단일의 적절히 프로그램된 범용 컴퓨터, 적절히 구성된 주문형 집적 회로(들)/회로를 이용하여, 또는 원하는 기능성의 상이한 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개별 회로/처리 요소들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단말 디바이스들(406, 408)은, 일반적으로, 확립된 무선 통신 기술에 따라 그 동작 기능성과 연관된 다양한 다른 요소들(예를 들어, 전원, 아마도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무선 통신 분야에서 보편화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들은 셀룰러/모바일 통신 기능성 이외에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기능성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송수신기 유닛들(406a, 408a)은 상이한 무선 통신 동작 표준들에 따라 동작 가능한 기능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들의 송수신기 유닛들 각각은 LTE-기반 동작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LTE 송수신기 모듈, WLAN 동작 표준(예를 들어, 와이파이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WLAN 송수신기 모듈, 및 블루투스 동작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블루투스 송수신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송수신기 모듈들의 기본 기능성은 종래 기술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각각의 송수신기 모듈의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별개의 하드웨어 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거나, 대안으로서, 단말 디바이스는 복수의 송수신기 모듈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일부의 하드웨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단말 디바이스들(406, 408)의 송수신기 유닛들(406a, 408a)은 종래의 무선 통신 기술들에 따른 LTE 송수신기 모듈, 와이파이 송수신기 모듈 및 블루투스 송수신기 모듈의 기능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서 가정된다.
기지국(404)은 무선 신호들의 전송과 수신을 위한 송수신기 유닛(404a)과, 기지국(404)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유닛(404b)을 포함한다. 제어기 유닛(404b)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비에 대한 종래의 프로그래밍/구성 기술을 이용하여 여기서 설명된 원하는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적절하게 구성된/프로그램된 프로세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유닛(404a) 및 제어기 유닛(404b)은 표현의 편의를 위해 도 4에서 별개의 요소들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유닛의 기능성은,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로, 예를 들어, 단일의 적절히 프로그램된 범용 컴퓨터, 적절히 구성된 주문형 집적 회로(들)/회로를 이용하여, 또는 원하는 기능성의 상이한 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개별 회로/처리 요소들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기지국(404)은 일반적으로 그 동작 기능성과 연관된 다양한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404)은 일반적으로 통신의 스케줄링을 책임지는 스케줄링 엔티티를 포함할 것이다. 스케줄링 엔티티의 기능성은, 예를 들어, 제어기 유닛(404b)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404)은 제1 및 제2 무선 통신 링크들(410, 412) 각각을 통해 제1 및 제2 단말 디바이스들(406, 408)과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400)은 제1 및 제2 무선 통신 링크들(410, 412) 각각이 복수의 컴포넌트 반송파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성 동작 모드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무선 통신 링크는 1차 컴포넌트 반송파 및 하나 이상의 2차 컴포넌트 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이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400)을 포함하는 요소들은 비인가된 스펙트럼 모드에서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러한 비인가된 스펙트럼 모드에서, 기지국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한 독점적 이용을 위해 인가되었던 제1 주파수 대역 내의 무선 자원들 상에서 동작하는 1차 컴포넌트 반송파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한 독점적 이용을 위해 인가되지 않았던 제2 주파수 대역 내의 무선 자원들 상에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2차 컴포넌트 반송파를 이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제1 주파수 대역은 때때로 여기서 인가된 주파수 대역으로 지칭될 수 있고 제2 주파수 대역은 때때로 여기서 비인가된(U) 주파수 대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LTE-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맥락에서, 비인가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은 LTE-U 동작 모드로 지칭될 수 있다. 제1(인가된) 주파수 대역은 LTE 대역(또는 더 구체적으로는 LTE-A 대역)으로 지칭될 수 있고, 제2(비인가된) 주파수 대역은 LTE-U 대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LTE-U 대역 상의 자원은 U-자원으로 지칭될 수 있다. U-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 디바이스는 U-단말 디바이스(또는 U-UE)로 지칭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수식자 "U"는 비인가된 주파수 대역에 관한 동작들을 편리하게 식별하기 위해 여기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반송파 집성 기술의 이용 및 비인가된 스펙트럼 자원(즉, 중앙 집중식 조정 없이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자원)의 이용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이러한 동작 모드들에 대해 이전에 제안된 원리들에 기초할 수 있지만,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추가적인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여기서 설명된 바와 같은 수정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반송파 집성 및 비인가된 스펙트럼 동작의 양태들은 공지된 기술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소정 예들에 따른 도 4에 나타낸 무선 통신 네트워크(400)에 대한 동작 모드들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이들 예에 대한 일반적인 시나리오는, 반송파 집성 가능한 단말 디바이스가 LTE-A 셀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기지국이 LTE-U 자원을 이용하는 추가적으로 집성된 반송파를 갖는 LTE-U 가능 단말 디바이스를 구성해야 한다고 결정하는 것이라고 가정된다. 기지국이 LTE-U 기반 반송파 집성을 위해 특정 단말 디바이스를 구성해야 한다고 결정한 구체적인 이유는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LTE-A 반송파는 단말 디바이스에 Pcell을 제공하고 LTE-U 자원은 단말 디바이스에 하나 이상의 Scell(들)을 제공한다. LTE-A 자원은 또한 종래의 반송파 집성 기술들에 따라 하나 이상의 추가 Scell(들)과 연관된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예들에 대해, 인가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LTE-A 전송 및 비인가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LTE-U 전송, 및 그에 따른 Pcell 및 Scell(들)은 모두 동일한 기지국(404)으로부터 이루어지지만, 다른 예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LTE-U 반송파는 일반적으로 TDD(time division duplex) 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프레임 구조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영역에서의 비인가된 스펙트럼 사용에 대한 기존 규정 규제들의 일부 양태들의 결과는, TDD 또는 다운 링크-전용 FDD 동작이 적어도 현재는 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이 FDD의 맥락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지만, 동일한 교시가 TDD 프레임 구조에 동일하게 적용되며,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내용의 교시를 그러한 TDD 프레임 구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반송파 집성 기술에 기초하여, 비인가된 스펙트럼은 단말 디바이스와 기지국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가된 스펙트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비인가된 스펙트럼의 사용은, 특히 MNO들에 대한 자원 계획 및 이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통상적으로, MNO는 다른 당사자와 공유되지 않는 인가된 스펙트럼만을 사용하고 커버리지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커버리지, 신호 전력, 간섭, 성능 등과 관련하여 영역을 감사(audit)하기 위한 드라이브 테스트를 수행한다. 드라이브 테스트는 현장 엔지니어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그 후, 수집된 데이터는 MNO에 의해 이용되어, 영역 내의 자원 이용을 최적화하는 관점에서 필요하다면 네트워크 구성(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 전송 전력 등)을 조정한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드라이브 테스트를 피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품질 보고를 송신하는 것이 논의되고 있다. 드라이브 테스트의 최소화(Minimisation of Drive Tests)(MDT)는, 특히 3GPP TS 37.320 [7], 3GPP TR 36.805 [8] 및 3GPP TS 32.422 [9]에서 논의되었다. MDT는,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측정치를 네트워크에 다시 보고하도록 요청될 수 있다고 논의한다.
MDT는, 품질 데이터가 수집될 때 현장 엔지니어를 배치할 필요성을 줄임으로써 데이터를 수집하고 네트워크에 보고하는 방식을 단순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네트워크 최적화는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들 또는 채널들이 인가된 스펙트럼 내에 있다는 사실에 의해 계속 크게 촉진된다. 결과적으로, 네트워크 내의 전송은 동일한 네트워크로부터의 신호들, 즉 MNO의 제어 내의 신호들로부터 간섭들을 받아야만 한다. 대조적으로, 비인가된 주파수들을 이용할 때, 간섭들은 Wi-Fi 통신,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NFC) 디바이스들 또는 심지어 마이크로웨이브 디바이스들과 같은 MNO의 제어 없이 임의의 다른 타입의 신호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임의의 스펙트럼 및 자원 관리는 상당히 복잡해지며, 본질적으로 종래의 스펙트럼 관리 방법은, 인가되고 이에 따라 제어된 스펙트럼에서보다는 비인가된 스펙트럼에서 동일한 결과들을 제공할 수 없다. 또한 MNO는, 인가된 대역에서의 자원과는 달리 특정 주파수 자원이 전송을 위해 이용되거나 이용 가능한지를 MNO가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주파수 자원을 계획할 위치에 있지 않다. 따라서, 비인가된 스펙트럼을 이용할 때 MNO에 대한 주파수 계획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내용의 일례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는 측정치들을 수집하고 비인가 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채널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획득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일정 기간 동안의 채널 점유율 레벨은, 채널 점유율 레벨에 대한 해당 기간 내의 더 짧은 기간들의 세트 각각의 동안에 획득된 채널 점유율 상태에 기초하여 추정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비인가된 스펙트럼에 관한 점유율 정보를 수집하여, 채널이 (MNO가 잠재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많은 활성 디바이스들과 공유되는지 여부의 뷰를 형성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된 그런 점유율 레벨은, 비인가된 주파수 대역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네트워크(예를 들어, 기지국)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그런 점유율 레벨은, 자원이 스펙트럼에서 이용 가능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표시, 및 이에 따라 이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전송할 가능성을 MNO에 제공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을 잠재적으로 이용하는 디바이스들 및 기술들의 수를 고려하여, MNO는 비인가된 대역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가, MNO가 그 비인가된 대역을 이용하려고 시도하는 유용한 도구를 제공하도록, 종래의 계획된 자원 할당보다는 오히려 더 많은 기회주의적 할당 메커니즘에 의존할 수 있다.
도 5는 채널 점유율 측정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채널 점유율 상태는 짧은 기간 "t" 동안 측정되고, 그 기간 t에서 채널 점유율의 표시를 제공한다. 도 5의 예에서, 상태는 "점유된(occupied)" 또는 "비어 있는(free)" 중 하나일 수 있지만, 다른 예에서는 더 많은 그리고/또는 상이한 상태들이 이용될 수 있다. 채널 점유율 레벨은 더 긴 기간 "T" 동안 측정되며, 여기서 복수의 짧은 기간 "t"는 더 긴 기간 "T" 내에 있다. 이 예에서는, 긴 기간 T가 20개의 연속적인 짧은 기간 "t"로 이루어지지만, 다른 예들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은/긴 기간 배열이 이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상이할 수 있다. 나머지 설명에서는, 짧은 기간 t 및 긴 기간 T가 각각 제1 기간 및 제2 (시간) 기간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5는 시간(가로 좌표)에 따라 달라지는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전력(510)(세로 좌표에서의 dBm)을 그래픽(500)으로 도시한다. 예를 들어, LTE 송수신기는, LTE 전송이 스케줄링되지 않을 때 측정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비인가된 대역에서 수신된 모든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단말(예를 들어, 단말의 제어기 유닛)은 대역이 점유되었는지 또는 비어 있는지를 결정한다. 이는 수신된 전력(510)을 임계치(511)와 비교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510)이 기간 t의 전체 지속 기간 동안 임계치(511)를 초과한다면, 대역은 점유된 것으로 간주되고, 그렇지 않으면 비어 있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다른 예에서, 대역이 점유된 것으로 간주되기 위해서는, 전력(510)은 기간 t의 적어도 일부 p 동안 임계치(511)를 초과해야만 할 것이며, 여기서 p는, 예를 들어 50% 또는 1%-99% 범위 내의 임의의 적당한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점유율 상태는, 전력(510)이 임계치(511)를 초과하는 전송 동안 수신된 에너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전력(510)이 임계치(511)를 초과하는, 제2 짧은 기간을 갖는 도 5의 예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영역(520)(임계치보다 큰 전송 전력에 대한 에너지에 대응함)은, 이 짧은 기간 동안 점유율 상태를 결정하려고 시도할 때 계산되거나 추정될 수 있다. 이 영역(520)은 이런 짧은 기간 동안 대역의 점유율 상태를 추정하기 위해 제2 임계치와 비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제2 임계치에 따라, 일부 경우에는, 대역이 짧은 기간들 번호 2-3 및 7-11 동안에는 점유되지만 짧은 기간들 15-16 동안에는 점유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비인가된 대역 상에서 수신된 전력(511)으로부터, 채널이 기간들 1-20의 짧은 기간들 번호 2-3, 7-11 및 15-16에서 점유된다고(예를 들어, 전력(510)이 짧은 기간의 적어도 일부 p=80% 동안 임계치(511)를 초과한 것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대역은 아홉(9) 개의 짧은 기간 동안 점유된 것으로 간주되고, 이로부터 도출된 점유율 레벨은, 예컨대 9/20 = 45%로 계산될 수 있다. 이러한 점유율 레벨은 다른 당사자들이 대역을 얼마만큼 사용했는지의 표시를 제공하며, MNO는 이에 따라 자원 할당을 계획할 때 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MNO는 또한, 2차 반송파를 위해 대역을 사용할 것인지 및/또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점유율 레벨 보고에 기초하여 이런 2차 반송파를 통해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송신할 수 있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때, 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점유율을 측정하고 보고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제공한다. 이 예에서, 단말 디바이스(406, 408)는 WLAN 및 LTE 능력들을 갖는 이중 무선 능력들을 가지며, 또한 WLAN 기술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비인가된 채널 상의 점유율 레벨을 측정한다. 도 6의 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먼저 S601에서 eNB로부터 측정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요청의 수신시, 단말 디바이스는 S603에서 WLAN 모듈을 이용하여 WLAN 점유율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WLAN 모듈은 비인가된 대역에서 WLAN 전송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계 S605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LTE 모듈을 이용하여 LTE 채널 점유율을 측정하고, LTE 모듈로부터의 측정 결과들을 WLAN 모듈로부터의 측정 결과들과 결합한다. 제1 예에서는, LTE 및 WLAN 측정 결과들을 별도로 모두 포함하는 전역(global) 측정 결과를 생성함으로써 특정한 측정 결과들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예에서는, 이들이 WLAN 및 LTE에 대한 측정 결과들을 처리하여 WLAN 및 LTE 측정치들로부터 도출된 측정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역 측정 결과들을 생성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와 WLAN 측정치들 간에 중첩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측정 데이터는, 예를 들어 추가적인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이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측정 결과들, WLAN 측정 결과들 및 추정된 비-LTE 및 비-WLAN 측정 결과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전역 측정 결과들이 생성될 수 있으며, 후자는 WLAN 및 LTE 측정 결과들로부터 도출된다.
예시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 내의 특정 시점에서, LTE 및 WLAN 송수신기들 모두가 P "값에서 수신된 전력을 추정하는 동안, LTE 및 WLAN 송수신기들 각각이, P 내에서 LTE 수신 전력이" PL이고 WLAN 수신 전력이 PW라고 각각 추정하는 경우, 위의 2가지 예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아질 수 있다:
- 제1 예: 전역 측정은 WLAN 및 LTE 측정을 별도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는, WLAN 송수신기가 PW 및 P를 WLAN 및 총 전력으로서 각각 수신하고 LTE 송수신기가 PL 및 P를 LTE 및 총 전력으로서 각각 수신했다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 제2 예: 전역 측정은 선택적으로 제1 예와 동일한 측정치들, 및 다음과 같은 추가 측정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출된 측정치들은, 해당 시점 P에서, LTE 통신을 위한 PL, WLAN 통신을 위한 PW 및 비-LTE/비-WLAN 통신을 위한 (P-PL-PW)를 포함하는 전력이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되었다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WLAN 측정들 및 LTE 측정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예에서는 이들 측정이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거나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 S607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측정된 점유율에 대한 보고를 eNB(404)에 송신한다. 본 예에서, WLAN 점유율 측정치들은 영역 내에 활성 WLAN 네트워크가 있는지, 즉 공유 대역 내에 활성 전송이 있는지를 상이한 기술들로부터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반면, LTE 점유율 측정치들은 다른 모바일 네트워크가 LTE 전송을 위해 공유 대역을 이용하는지를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점유율 측정치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406, 408)는 WLAN 및 LTE 기술을 이용하여 공유 대역에서의 제3 자의 전송에 기초한 점유율 보고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보고는 기술에 관계없이 비인가된 대역에 대한 전체 채널 점유율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보고는 기술을 고려하여 비인가된 대역에 대한 채널 점유율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한 보고는, 예를 들어 WLAN에 대해 10% 점유율, 및 LTE에 대해 50% 점유율을 나타낼 수 있다. 이 보고에는 전송 기술을 고려한 경우와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점유율 레벨들이 포함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보고는, 전체 40% 점유율, WLAN에 대해 30% 점유율, 및 LTE에 대해 20% 점유율을 나타낼 수 있다(예를 들어, WLAN만이 20%의 시간 동안 활성화되는 경우, LTE만이 10%의 시간 동안 활성화되고 LTE와 WLAN 모두는 10%의 시간 동안 활성화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자신의 환경에서 비인가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선 사용량을 측정한다. 특히,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주파수 대역에 걸친 상이한 주파수들에서의 무선 사용량의 정도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Wi-Fi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활동을 스캔하기 위해 WLAN 송수신기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이로부터, 단말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주파수 자원의 표시 및/또는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연관된 무선 통신에 대한 수신된 신호 강도의 표시 및/또는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예를 들어, SSID)의 표시를 확립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다른 동작 표준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및/또는 다른 LTE 네트워크들에 따라 동작하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한 제2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선 사용량을 스캔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상이한 기술들에 의한 무선 사용량을 별도로 측정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비인가된 주파수 대역에 걸친 상이한 주파수들에서 그 자신의 환경 내의 (무선 잡음을 포함할 수 있는) 무선 신호들의 총 레벨을 간단히 측정할 수 있다. 그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주파수 대역에 걸친 상이한 주파수들에서의 무선 사용량의 측정치들의 표시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이것은, 종래의 시그널링 기술에 따라, 예를 들어 측정 보고 RRC 시그널링의 확립된 원리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 이미-구성된 1차 셀 상의 업 링크 무선 자원, 또는 다른 업 링크 무선 자원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위의 예에서, 채널 점유율의 표시는 일반적으로 기지국으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가 아닌 채널 상의 신호들에 대한 것이다. 대신에, 이들은 WLAN 네트워크, 블루투스 시스템 또는 다른 LTE 시스템(예를 들어, 다른 MNO에 의해 만들어진)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이다. 환언하면, 공유 채널 상에서 측정된 채널 이용률은 바람직하게는 단말 디바이스의 기지국 또는 모바일 네트워크와의 전송 이외의 전송을 위한 것이다. 이것은, LTE 네트워크의 에너지 전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무선 시스템에 의한 공유 채널의 이용을 추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유 채널은, MNO가 종래의 모바일 네트워크 상황에서보다 훨씬 복잡한 임의의 간섭 회피 방식을 만드는 어떠한 제어도 없는 다른 당사자에 의해 사용된다. 그러나, 다양한 MNO는 공유 채널에서 각각의 LTE 전송에 의해 야기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함께 동작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비인가된 채널 또는 공유 채널에서의 LTE 전송은 여전히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다른 전송들과의 간섭에 취약할 수 있지만, 상이한 모바일 네트워크들로부터의 LTE 전송들 간의 간섭 레벨은 감소될 수 있다. 공유 채널의 공유를 개선하는 데 동의함으로써, MNO는 이 공유 채널에서 자신의 전송의 품질 및/또는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2명(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가 공유 채널 상의 전송을 위한 공유 방식의 한 형태에 동의하는 경우, 친숙한 MNO로부터의 LTE 전송을 배제하는 채널 이용률 레벨의 표시를 얻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MNO들이 다른 기술 및 비친화적인 MNO에 대한 채널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얻는 정숙 시간(quiet time)이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정숙 시간의 사용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시간도를 제공한다. 이 예에서, 제1 모바일 운영자(MNO-A)로부터의 전송은 타임 라인(710)으로 도시되고, 제2 모바일 운영자(MNO-B)로부터의 전송은 타임 라인(720)에 도시된다. 두 운영자는 공통 정숙 시간에 동의했고, 그 동안에 이들 모두는 LTE 신호들의 전송을 중지한다. 따라서, 제1 운영자(MNO-A)는 정숙 시간 전에 신호들(711)을 전송하고, 정숙 시간(712) 동안 전송을 중지하고, 정숙 시간이 종료하면 신호들(713)을 전송함으로써 전송을 재개한다. 마찬가지로, 제2 운영자(MNO-B)는 정숙 시간 전에 신호들(721)을 전송하고, 정숙 시간(722) 동안 전송을 중지하고, 정숙 시간이 종료하면 신호들(723)를 전송함으로써 전송을 재개한다. 이에 따라, 두 모바일 운영자는 정숙 시간 동안 점유율 레벨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유 채널을 조사할 때 서로의 LTE 전송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타임 라인들(710 및 720)에서의 운영자들의 전송들이 블록들로서 표현되었지만, 이것은 정숙 시간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단순화된 것이며, 기지국들이 블록들(711, 713, 721 및 723)에 대한 전체 기간 동안 신호들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있다. 예를 들어, 두 운영자 사이의 공유 방식의 결과로서, 두 운영자 중 하나만이 특정 시점에 전송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자(MNO-A)는 기간(711) 동안에는 신호들을 전송하지만 기간(713) 동안에는 신호들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는 반면, 운영자(MNO-B)는 기간(721) 동안에는 신호들 전송하지 않을 수 있지만 기간(723) 동안에는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정숙 시간의 다른 사용 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시간도를 제공한다. 이 예에서, 타임 라인(810)은 제1 운영자(MNO-A)에 대한 활성 전송 시간을 나타내고, 타임 라인(820)은 제2 운영자(MNO-B)에 대한 활성 전송 시간을 나타낸다. 두 운영자는 MNO-A에 대한 정숙 시간(814), 및 MNO-B에 대한 정숙 시간(824)에 대응하는 공통 정숙 시간에 동의했다. 그러나 운영자 각각은 다른 운영자가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을 수 있는 각각의 정숙 시간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운영자(MNO-A)는 시간(811, 813 및 815) 동안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지만 정숙 시간(812 및 814) 동안은 전송을 중지할 것이고, 반면에 운영자(MNO-B)는 시간(821, 823 및 825) 동안 신호를 전송할 수 있지만 정숙 시간(822 및 824) 동안은 전송을 중지할 것이다. 정숙 시간(812) 동안, MNO-A는 다른 운영자로부터의 전송을 포함하는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얻을 수 있고, 정숙 시간(814) 동안 다른 운영자로부터의 전송이 없는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동일한 교시가 운영자(MNO-B)에 관한 타임 라인(820)의 대응하는 정숙 시간(822 및 824)에 적용된다.
위의 논의에서, UE에 의해 수행된 측정은 일반적으로 그의 모바일 네트워크가 전송하지 않는 동안 수행된다. 이러한 구성은 UE의 모바일 네트워크로부터의 전송 이외의 모든 전송에 기초하여 공유 채널의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는, 모바일 네트워크가 공유 채널 상에서 2차 반송파를 이용하기로 결정하면, 이들 신호(UE의 모바일 네트워크가 아닌 네트워크로부터의 신호)가 UE의 모바일 네트워크로부터의 LTE 신호들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신호들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조사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에서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임의의 신호가 잠재적인 간섭 신호이기 때문에 점유율 측정에 필요한 처리량을 간략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점유율 측정은 또한 UE의 모바일 네트워크가 신호들을 UE에 전송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UE가 기지국으로부터 LTE 신호들을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이한 측정 방법이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채널 점유율 측정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그래프(900)에서, 라인(920)(두꺼운 라인)은 공유 채널 상에서 2차 반송파를 통해 송신된 LTE 신호들을 나타내는 반면, 라인(910)(더 얇은 라인)은 UE에 의해 식별되었던, 공유 채널에서의 다른 신호, 즉 잠재적 간섭 신호들을 나타낸다. LTE 네트워크가 공유 채널을 이용하는 동안, UE는 UE의 모바일 네트워크로부터의 전송 동안 채널에서의 신호 품질의 레벨의 표시를 얻기 위해 기준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RSRQ)을 측정할 수 있고, 기지국이 공유 채널을 통해 LTE 신호들을 송신하지 않고 있을 때 수신 신호 강도 표시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RSSI)를 측정할 수 있다. RSRQ는 LTE만을 위한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간섭 신호를 포함하는 RSSI에 기초한다. 따라서, UE는, 모바일 네트워크가 UE로 신호들을 능동적으로 송신하고 있는 상황, 및 UE로 신호들을 능동적으로 송신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채널 상의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얻을 수 있다. 이 예에서, LTE 네트워크는 제2의 짧은 기간으로부터 공유 채널을 이용하기 시작하고, 5번째 짧은 기간에서는 간섭 신호가 동일 채널 상에서 전송된다. 이는 RSRQ 측정치(또는 공유 채널 상에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에 대해 식별된 간섭 레벨을 나타내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측정치)를 이용하여 식별될 수 있다. LTE-U가 비활성일 때(예를 들어, 짧은 기간들 6 내지 13으로부터), UE는 RSSI 측정치, 또는 공유 채널 상의 점유율 레벨들의 표시를 얻기 위해 공유 채널을 통해 수신된 전력을 나타내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측정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9의 예에서:
- 짧은 기간들 1, 7, 10-13, 19 및 20 동안, 공유 채널은 RSSI 또는 RSSI-유사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비어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 짧은 기간들 6, 8, 9, 17 및 18 동안, 공유 채널은 RSSI 또는 RSSI-유사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점유된 것으로 간주되고,
- 짧은 기간들 2-4, 14 및 15 동안, 공유 채널은 RSRQ 또는 RSRQ-유사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비어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 짧은 기간들 5 및 16 동안, 공유 채널은 RSRQ 또는 RSRQ-유사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점유된 것으로 간주된다.
이 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이에 따라, 공유 채널이 20의 짧은 기간들 중 13 기간 동안 비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20의 짧은 기간들 중 7 기간 동안 점유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점유율 레벨은 7/20 = 35%에서 추정된다. 이런 35% 추정은 긴 기간 T 동안 공유 채널의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제공한다.
따라서, 공유 채널의 점유율 상태 또는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측정은 LTE 모듈만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할 수 있고/있거나 모바일 네트워크가 공유 채널을 통해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는 동안 획득된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논의된 채널 점유율 레벨들은 공유 채널을 조사할 때 추가 타입의 정보를 제공하며(LTE 채널 조사 장치와 비교하여), 이 정보는 LTE-U에서 기회주의적 데이터 스케줄링에 적합하다. 네트워크는 점유율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지와, 그렇다면 얼마나 많은(시간에서) 채널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지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정보는 본 개시내용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LTE-U 2차 셀을 셋업할지를 결정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점유율 정보는, 이 셀에서 품질을 모니터링할 때 LTE-U 2차 셀이 이미 활성화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점유율 정보는 또한 정보를 보고했던 UE의 위치에 링크될 수 있어, 네트워크가 상이한 보고 UE들에 기초하고/하거나 상이한 위치들로부터의 UE 송신 보고들로부터 네트워크의 전체 뷰를 구축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시각, 요일, 기타 시간 양태, 간섭 신호의 기술 등과 같은 보고들로부터 이런 뷰를 구축할 때 추가 정보를 또한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은 도 4에 개략적으로 표현된, 단말 디바이스(UE)들(406, 408) 및 기지국(eNB)(404) 중 하나에 대한 동작 모드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시그널링 사다리도로서, 하나 이상의 UE로부터의 공유 채널의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얻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예시적인 상황들을 예시한다. 동작은, 제1 주파수 대역 내의 무선 자원에서 동작하는 (1차 셀과 연관된) 1차 컴포넌트 반송파, 및 제2 주파수 대역 내의 무선 자원에서 동작하는 (2차 셀과 연관된) 2차 컴포넌트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주파수 대역은 무선 통신 시스템(400)의 운영자에 의한 전용 이용을 위해 인가되었던 자원과 대응하도록 취해지는 반면, 제2 주파수 대역은, 다른 무선 통신 기술, 특히 본 예에서는 Wi-Fi에 의해 공유되는 자원과 대응하도록 취해진다. 개략적으로 요약하면, 상이한 네트워크 운영자들 사이에서 및/또는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무선 자원을 이용하는 반송파 집성의 맥락에서 2차 반송파에 잠재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복수의 전송 자원 구성(예를 들어, 주파수)이 확립될 수 있고, 어떤 구성이 2차 반송파 상에서 전송 자원의 할당과 연관되어 이용될 것인지를 단말 디바이스에게 나타낼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동작의 일부 양태는 이하에서 더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반복적 방식으로 수행된다. 도 10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처리는, 단말 디바이스가 1차 반송파와 연관된 1차 셀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2차 반송파와 연관된 2차 셀에서 동작하도록 아직 구성되지 않은 스테이지로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1차 셀에만 방금 접속했거나 이전의 2차 셀 구성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단계 T1에서, 기지국은 제2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선 사용량의 측정치들을 확립한다. 일부 예시적 구현에서, 기지국은 자체로 제2 주파수 대역에 걸친 상이한 주파수들에서 무선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지만, 본 예에서는 단말 디바이스가 이들 측정을 수행하여 이들을 기지국에 보고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즉, 이 예시적 구현에서, 기지국은 단말 디바이스(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중인 다른 단말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보고로부터 제2 대역(비인가된 대역)에 걸친 무선 사용량을 확립한다.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2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선 사용량에 관한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도 10에 나타낸 단계 T1에서 2차 대역에 걸쳐 무선 사용량을 확립한다.
단계 T2에서, 기지국은, 복수의 잠재적 전송 자원 구성, 예를 들어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2차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복수의 잠재적 반송파 주파수 및 대역폭을 결정한다. 이 결정은 T1 단계에서 확립된 무선 사용량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제2 주파수 대역 내에서 동작하는 2차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4개의(또는 다른 개수의) 가능한 주파수 구성들(예를 들어, 중심 주파수 및/또는 대역폭의 관점에서)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은 단계 T1에서 확립된 사용량에 따라 가장 낮은 무선 사용량을 갖는다고 결정된 제2 주파수 대역의 영역들에 대응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주파수 대역이 단말 디바이스의 무선 환경에서 동작하는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 의한 Wi-Fi 및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한다면, 기지국은 이러한 통신으로부터의 간섭으로부터 가장 적게 악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영역들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T1에서 확립된 무선 사용량의 측정이 기지국과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LTE-기반의 통신을 간섭하는 비교적 적은 무선 트래픽이 있다고 나타내는 제2 주파수 대역 스펙트럼의 영역들. 더 일반적으로, 기지국은 제2 주파수 대역 내로부터 (예를 들어, 시간 및/또는 주파수 자원의 관점에서) 적절한 전송 자원을 결정하여, 기존의 사용량의 측정을 고려할 때 경쟁적(기회주의적) 무선 환경에서 적절한 전송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확립된 기술들을 이용하여 단계 T1에서 결정된 무선 사용량에 기초하여 2차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복수의 잠재적 구성 설정(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점유율 보고를 포함함)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 디바이스 측정 보고가 비교적 높은 정도의 무선 사용량을 표시하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영역들 내의 자원을 이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그 대신에 비교적 낮은 정도의 무선 사용량을 갖는 스펙트럼 영역들 내의 전송 자원을 이용하는 2차 반송파에 대한 구성을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특정 예에서, 기지국은 가장 낮은 간섭 기대값을 갖는 것으로 식별된 구성에 대응하는 2차 반송파에 대한 4개의 잠재적 구성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일부 경우에, 처리량도 감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2차 반송파 상에서의 전송을 비교적 좁은 대역폭으로 제한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비교적 높은 무선 사용량과 연관된 서브-영역들을 회피하는 더 작은 대역폭에 비해, 비교적 높은 무선 사용량을 갖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서브-영역들을 포함하는 더 큰 대역폭이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기지국은 자신의 부하를 고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반송파는 LTU-U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이미 할당되었을 수도 있다.
이런 특정 예의 경우, 단계 T2의 결과, 예를 들어, 2차 반송파 동작을 위해 후속해서 이용될 수 있는, 반송파 주파수 및/또는 반송파 대역폭의 관점에서의, 4개의 가능한 구성 설정들이 결정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상이한 2차 반송파 구성 설정들은 제2 주파수 대역에 걸쳐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으며, 동일하거나 상이한 대역폭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다음 4개의 잠재적인 구성 설정을 결정할 수 있다: 구성 1 = 주파수 F1을 중심으로 하는 5MHz의 대역폭; 구성 2 = 주파수 F2를 중심으로 하는 10MHz의 대역폭; 구성 3 = 주파수 F3을 중심으로 하는 10MHz의 대역폭, 구성 4 = 주파수 F4를 중심으로 하는 20MHz의 대역폭이고, 여기서, 구성 3과 구성 4가 인접한 주파수 자원과 관련되도록, F4 = F3 + 15MHz이다. 그러나, 이것은 2차 반송파에 대한 잠재적 구성 설정들의 적절한 그룹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는 것들 중 하나의 특정한 예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다른 구현들에 따르면, 단계 T2에서 결정된 잠재적 구성 설정들이 더 많거나 적을 수 있고, 또한 이들 구성 설정들은 당면한 구현에 따른 제약을 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구현이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관련 동작 표준에 따라) 2차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이산적인 개수의 대역폭 및/또는 주파수만을 허용한다면, 이것은 단계 T2에서 결정될 수 있는 잠재적 반송파 구성들을 이에 따라 제약할 것이다. 따라서, 도 10의 예에서, 비인가된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2차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복수의 잠재적인 구성 설정이 결정된다.
단계 T3에서, 기지국은 잠재적 구성 설정들의 표시를 단말 디바이스에 제공한다. 이것은, 종래의 시그널링 기술들에 따라, 예를 들어, 무선 베어러 (재)구성 메시지 RRC 시그널링의 확립된 원리들에 따라, 이미-구성된 1차 셀 상의 다운링크 무선 자원에 관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T3에서 전송된 정보는 단계 T2에서 확립된 복수의 잠재적 전송 자원 구성 설정을 나타낸다.
단계 T4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상이한 전위 구성들에 따라 구성된 2차 반송파에 대한 채널 품질을 측정하기 시작한다. 2차 반송파에 대한 채널 품질의 측정은 본 개시내용에서 논의된 예시적인 측정 방법에 기초할 수 있고,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확립된 채널 품질 측정 기술과 부가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계 T4에서 수행된 측정치들은 상기 도 5의 논의에 따른 측정치들, 및 LTE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의 종래의 채널 품질 표시자(CQI) 보고를 위해 취해진 측정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단계 T3에서 수신된 상이한 잠재적인 구성 설정들에 따라 송수신기를 순차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종래의 CQI 보고 기술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각각의 2차 반송파 구성에 대한 채널 품질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수행되는 품질 측정은 종래의 LTE 품질 측정 표시(들) 및/또는 구성에 대응하는 주파수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추가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구성들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면, 구성에 대한 채널 품질 측정은 관련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만을 획득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단계 T5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채널 품질 측정의 표시를 기지국에 통신한다.
단계들 T4 및 T5는 표현의 용이성을 위해 도 10에서는 별도의 단계들로서 도시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실제로, 단계들 T4 및 T5는 잠재적 구성 설정들을 통해 단말 디바이스가 호핑(hopping)함에 따라 각 구성 설정에 대해 반복적으로 수행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잠재적 구성 설정들 중 제1 구성 설정에 따라 그 송수신기를 구성한 다음, 이 구성 설정에 대한 채널 상태를 측정 및 보고하고, 그 다음, 잠재적 구성 설정들 중 제2 구성 설정에 따라 그 송수신기를 재구성한 다음, 이 구성 설정에 대한 채널 상태를 측정 및 보고하는 등등을, 잠재적 구성 설정들 각각에 따라 동작하는 2차 반송파에 대해 채널 품질 보고가 기지국에 제공될 때까지 계속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시적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송수신기의 능력에 따라, 채널 품질 측정 및 보고는 복수의 구성 설정에 대해 병렬로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T6은, 기지국이 2차 반송파 상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일부 데이터의 전송을 스케줄링할 준비가 되어 있을 때 수행된다. 데이터의 속성과 그 데이터가 왜 전송되어야 하는지는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T5에서 수신된 채널 품질 보고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단말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할 2차 반송파에 대한 복수의 잠재적 구성 설정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와 관련하여, 기지국은, 예를 들어 단계 T5에서 보고된 최상의 채널 상태와 연관된 구성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최상의 채널 조건이 무엇인지를 결정할 때, 기지국은 링크 품질, 및 2차 반송파 상에서 제3자로부터의 예상된 전송과 같은 파라미터를 고려할 수 있다. 기지국은, 채널 품질 보고에 기초하여 2차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가장 적합한 구성 설정인 것으로 간주되는 것을 선택하는 것 외에도, 단말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통신하는데 이용할 2차 채널 내의 자원을 선택한다. 이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일반적인 종래의 스케줄링 기술에 따라, 예를 들어 관련 반송파 구성에 대한 채널 품질 보고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기지국은, 예를 들어 2차 채널에 대한 예상된 높은 레벨의 점유율 또는 열악한 링크 품질로 인해 충분한 채널 품질이 달성될 수 없는 경우, 2차 반송파를 이용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T6은, 잠재적 구성이 2차 반송파로 이용하기에 적합함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잠재적 구성에 대한 측정치를 단말 디바이스가 보고한 것에 응답하여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T5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잠재적 구성들에 대해 반복적으로 보고하고 제1 잠재적 구성으로부터의 측정 보고가 충분한 품질인 것으로 간주된다면, 단계 T6에서의 선택은 제1 잠재적 구성을 선택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제3 및 제4 잠재적 구성들에서 반복 측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단계 T7에서, 기지국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이용을 위해 스케줄링되는(할당되는/허가되는) 2차 반송파 내의 자원을 나타내는 자원 할당 메시지를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2차 반송파 내의 자원의 할당에 관한 자원 할당 메시지는 종래 기술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맥락에서는, 일반적인 종래 기술에 따라 PDSCH 상의 전송 자원을 표시하기 위하여 단계 T7의 메시지가 (E)PDCCH 상의 다운 링크 제어 정보(DCI) 시그널링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2차 반송파에 관련된 자원 할당 메시지는 반송파 집성 시나리오에서의 확립된 크로스-반송파 스케줄링 기술에 따라 1차 반송파 상에서 통신될 수 있다. 도 10의 예에서, 2차 반송파 내의 자원의 할당을 나타내는 자원 할당 메시지는, 자원 할당 메시지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2차 반송파를 구성하기 위한, 단계 T6에서의 기지국에 의해 선택된 구성 설정의 표시와 추가적으로 연관된다.
도 10에 나타낸 단계 T8에서, 기지국은, 선택된 구성 설정에 따라 구성된 2차 컴포넌트 반송파 상에서, 그리고 자원 할당 메시지에 의해 식별된 2차 컴포넌트 반송파 내의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진행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2차 반송파에 대한 선택된 구성 설정에 따라 그 송수신기를 구성하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관련 전송 자원을 디코딩할 수 있다.
선택된 반송파 구성의 표시가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 내의, 예컨대 LTE-기반의 구현에서 (E)PDCCH 자원 할당 메시지 자체 내의) 자원 할당 메시지와 관련된 데이터와 동일한 서브프레임(시간 블록)에서 제공되는 구현의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모든 잠재적 반송파 구성들과 연관된 전송 자원 상에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버퍼링할 수 있으므로, 일단 선택된 구성 설정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확립되고 나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시그널링으로부터 적절한 전송 자원이 디코딩될 수 있다. 선택된 반송파 구성의 표시가 자원 할당 메시지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에 앞서 제공되는 다른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선택된 구성 설정들에 따라 2차 반송파를 수신하도록 자신의 송수신기를 구성하여 할당된 자원이 디코딩되도록 허용한다.
단계 T8에서 데이터가 통신된 후에, 처리는 단계 T4로 복귀하여 그곳에서부터 반복적인 방식으로 계속될 수 있다.
변형들, 대안들 및 수정들
상기 논의에서, 단말에 의해 관찰되는 상태(또는 추정된 상태)의 결정은 수신기(예를 들어,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전력, 및 전력이, 예를 들어 해당 기간의 적어도 특정 부분 p 동안 임계치를 초과하는지에 기초한다. 그러나 다른 타입의 비교는 임계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짧은 기간 t 동안의 평균 전력; 이 기간 동안의 메디안 전력; 그 기간 내의 특정 시점에서의 전력(예를 들어, 그 기간의 시작, 종료, 중간에서 수신된 전력), 그 기간 동안의 최소 또는 최대 전력, 또는 임의의 다른 식별 가능한 값은 임계치와 비교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그 기간 동안 수신된 에너지는 또한 미리 결정된 값과 비교될 수 있는데, 여기서 에너지는 기준 전력보다 큰 전력에 대한 것일 수 있다(예를 들어, 도 5의 예에서 영역(520)으로 식별된 에너지는 에너지를 계산하기 위한 기준 전력으로 작용하는 임계치(511)보다 큰 전력(510)에 대응한다). 따라서, 점유율 상태를 추정하기 위해, 계산된 "에너지" 값은 음의 값일 수 있다(예를 들어, 도 5의 예에서, 임계치(511)보다 큰 전력에 대한 에너지가 4번째 짧은 기간 동안 계산되면, 획득된 값은 음수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예로부터, 채널 이용률 측정치들로부터 계산되고, 추정되고 및/또는 도출된 값들은 관련된 짧은 기간 동안 채널의 점유율 상태의 표시를 얻는 목적으로 생성되거나 추정된 인공 값들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점유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이들 상이한 메커니즘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수신 전력은 제1 임계치와 비교될 수 있는 반면, 평균 전력은 제2 임계치와 비교될 수 있고, 제3 전력 임계치보다 큰 전송에 대한 에너지는 제4 (에너지) 임계치와 비교될 수 있다.
또한, 위의 예에서, 점유율 상태(짧은 기간 t에 대응함)는 대부분 점유되었거나 비어 있는 것 중 하나로 기술된다. 그러나 다른 예들에서는 상이한 상태들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가 식별되었지만 매우 강하지 않을 때 "부분적(partial)" 상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위 임계치 "l1" 및 상위 임계치 "l2"의 2개의 임계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 5와 관련하여 논의된 교시를 이용하면, 하위 임계치 l1 아래의 신호들의 경우, 채널은 비어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하위 임계치 l1과 상위 임계치 l2 사이의 신호들의 경우, 채널은 부분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상위 임계치 l2를 초과하는 신호들의 경우, 채널은 점유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점유율 상태를 추정할 때, 짧은 기간 t 동안의 각 상태의 상대적인 부분, 짧은 기간 t 동안 수신되고 하위 임계치와 상위 임계치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초과하는 에너지 등과 같은 추가 고려 사항이 고려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점유율 상태는 0과 1 사이의 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0은 비어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채널을 나타내고, 1은 점유된 것으로 여겨지는 채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0.1의 값인 것으로 추정되는 상태는 매우 낮은 레벨의 전송이 식별되었음을 나타내는 반면, 0.8의 값인 것으로 추정되는 상태는 공유 채널에서 높은 레벨의 전송을 나타낼 수 있다. 짧은 기간 "t" 동안의 값은 임의의 적절한 추정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전송이 임계치 l0 아래에 유지되면, 그 값은 0으로 설정되고, 상위 임계치 l1보다 높은 모든 전송에 대해서는 값이 1로 설정되고, 임계치 l0과 l1 사이의 전송의 경우, 값들은 적절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선형적 방식으로 또는 비선형적 방식으로 0과 1 사이에서 분포될 수 있다. 전송들이 임계치(들)와 어떻게 비교되는지를 결정할 때, 상기 논의된 것과 동일한 양태들이 고려될 수 있다(예를 들어, 평균, 메디안, 최소 등을 고려함).
2개 이상의 가능한 값을 갖는 점유율 상태에 관계없이, 대응하는 기간(도 5 및 도 9의 예시에서는 더 긴 기간 T = 20×t)에 대한 점유율 레벨은 적절한 방법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평균(도 5 및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채널 점유 백분율은 또한, 짧은 기간들 동안에 점유이면 "1" 또는 비어 있으면 "0"인 채널의 기간 T에 걸친 평균으로서 보일 수 있다) 또는 가중 합을 계산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상태는 다른 파라미터들에 따라, 예를 들어 이전에 추정된 점유율 상태 값에 신뢰도를 반영한 신뢰 레벨에 따라 달라지는 가중치를 부여받을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라 사용될 임계치 또는 다른 파라미터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이 언급되었다. 이들은, 예를 들어 기지국, 다른 네트워크 요소, 단말 디바이스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결정되거나 구성 가능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는 관련 파라미터들을 기지국을 통해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또한, 일부 파라미터 및 특히 시간 파라미터는 적절한 경우 랜덤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들(idle) UE들은 타이머 Tnext가 만료된 후에 다음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Tnext는 두 측정 사이의 최소 대기 시간에 대응하는 고정된 컴포넌트 Tmin 및 랜덤 컴포넌트 Tran을 포함할 수 있다. 랜덤 컴포넌트로 인해, 상이한 UE들은 상이한 시간에 측정을 수행하고 상이한 시간에 대응하는 보고를 (아마도) 송신할 가능성이 있다. 결과적으로, 모바일 네트워크는 상이한 기간에 대응하고 확산되는 보고를 수신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점유율 레벨들의 보다 완전한 뷰를 구축하고 측정 보고 트래픽을 제때에 확산하는 관점에서 유리할 것이다.
상기 논의에서, (점유율 레벨을 추정하기 위한) 긴 기간은 (점유율 상태를 추정하기 위한) 20개의 연속적인 짧은 기간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짧은/긴 기간 배열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 기간은 더 많거나 더 적은 짧은 기간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0개의 짧은 기간 또는 30개의 짧은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긴 기간 내의 짧은 기간들은 연속적이지 않을 수 있고, 이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시간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긴 기간에서, 소정 수의 짧은 기간들은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으므로, 전체 긴 기간은 조사되지 않을 수 있지만, 네트워크는 단말 디바이스들이 랜덤한 시간에 전송하는 경우 경험할 수 있는 점유율에 관한 다수의 그런 보고로부터 뷰를 형성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추정된 점유율 레벨은 공유 주파수 대역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공유 대역이 이용될 수 있거나 대역 내의 서브 주파수들이 이용될 수 있는 경우, 관련 주파수 또는 서브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해 점유율 레벨이 추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로의 점유율 보고는 주파수 대역 내의 상이한 서브 주파수들에 대한, 또는 조사될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점유율 레벨들로 분리될 수 있다. 서브 주파수 대역들의 경우에, 보고는 전체 주파수 대역(서브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함)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다음과 같은 경우에서 점유율 레벨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1) 예를 들어, CQI 측정 또는 보고 기간과 같은, 새로운 반복 기간 또는 기존 반복 기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추정될 수 있다; (2) 예를 들어, 도 10과 관련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측정 요청의 수신시에 추정될 수 있다; (3) 랜덤하게 선택된 시간에 또는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에 추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기지국)로부터의 요청 시에 점유율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는 랜덤하게 선택된 시간에 아이들 모드 또는 낮은 활동 모드에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이한 단말 디바이스들은, 그렇게 하도록 요청될 때, 또는 디바이스가 낮은 활동을 갖는 동안 영역 내의 다른 단말들과 통계적으로 상이한 시간에(랜덤 컴포넌트로 인해), 통상적으로 측정을 수행할 것이다(따라서, 디바이스에 대한 처리 자원이 다른 작업을 위해 필요할 때 이를 이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미리 결정된 이벤트들은,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전원이 켜져 있는 것,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주파수 채널 상에서 혼잡을 경험하는 것, 사용자 요청,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요청, 타이머의 만료, 및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낮은 이용 레벨을 갖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말 디바이스는, 주기적으로, 측정 보고 요청의 수신시, 랜덤하게 선택된 시간에, 또는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중 하나 이상에서 점유율 레벨 추정 보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는, 레벨이 소정 임계치를 초과할 때 점유율 레벨을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주기적 기준으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결정할 수 있지만 점유율 레벨을 기지국에 자동 보고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런 주기적 기준으로 추정된 점유율 레벨이 소정 임계치를 초과한 것으로 판명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적어도) 이 점유율 레벨을 포함하는 보고를 생성하고, 이 보고를, 예를 들어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2차 채널에서의 가능한 간섭의 조용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고, 이들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어 2차 채널 상의 가능한 혼잡을 나타낼 때 추정된 점유율 레벨들을 보고하기 위한 자원만을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낮은 점유율 레벨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점유율 레벨이 임계치 아래에 있을 때 이를 기지국에 보고하여, 기지국은 2차 채널이 이용 가능할 수 있거나 이용 가능하게 될 수 있음을 알게 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네트워크 및/또는 기지국으로 송신된 보고는 적어도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포함하고, 추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하나 이상의 이전(더 긴) 기간 동안의 점유율 레벨의 표시, 측정 데이터, 관련(더 긴) 기간에서 활성으로 식별된 하나 이상의 기술의 표시, 위치 정보, 디바이스 식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네트워크는 위치, 시간, 기술, 주파수 또는 서브 주파수 대역 등과 같은 파라미터들에 따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전송들의 전체적인 뷰를 구축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보고들을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모바일 통신 또는 원격 통신 시스템이 단계를 수행하거나 피처를 제공하고 있을 때,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요소는 그 피처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반송파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결정은 기지국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서 취해질 수 있다. 모바일 시스템의 요소의 예들은, 예를 들어 기지국, MME 또는 S-GW를 포함한다.
상기 예에서, 설명된 UE들이 2 이상의 송수신기(예를 들어, WLAN 및 LTE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본 개시내용은 단지 하나의 송수신기(예를 들어, LTE 송수신기만)를 갖는 UE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8에 예시된 예는 LTE 송수신기만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들은 또한, LTE 송수신기만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거나 LTE 송수신기만으로 구현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요소들은 도 1 및 도 4에서 표현의 용이함을 위해 개별 요소들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이들 요소의 기능성은 다양한 상이한 방식, 예를 들어 단일의 적절히 프로그램된 범용 컴퓨터, 또는 적절히 구성되는 주문형 집적 회로(들)/회로를 이용하여, 또는 원하는 기능성의 상이한 요소들을 제공하는 복수의 이산 회로/처리 요소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요소들이 확립된 무선 통신 기술들(예를 들어, 전력원,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에 따라서 그들의 동작 기능성과 연관된 다양한 다른 요소들을 일반적으로 포함할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정하고 바람직한 양태들이 첨부된 독립항 및 종속항에 개시된다. 종속항의 피처들은, 조합들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면 청구항에서 명시적으로 제시된 것 이외의 다른 조합의 독립항의 피처들과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논의는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개시하고 설명할 뿐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은 그 사상이나 본질적 특성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시내용은 예시를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뿐만 아니라 다른 청구항들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교시의 임의의 용이하게 식별 가능한 변형을 포함하는 본 개시내용은 어떠한 발명의 주제도 대중에게 전용되지 않도록 상기 청구항 용어의 범위를 부분적으로 정의한다.
본 개시내용의 각각의 피처들은 이하의 넘버링된 항들에 의해 정의된다.
1항.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점유율 레벨(occupancy level)의 표시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모바일 통신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에 할당된 제1 주파수 채널, 및 모바일 통신 시스템 및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는 공유 채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배열된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제2 기간 내의 복수의 제1 기간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 상의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에 대한 채널 점유율 상태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2 기간 동안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점유율 레벨의 표시는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상태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2항. 1항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방법은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에 기초하여 측정 보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측정 보고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3항. 2항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방법은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이 혼잡 임계치보다 높거나 낮은 것으로 각각 추정될 때 공유 채널이 혼잡하거나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및
공유 채널이 혼잡하거나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검출할 때, 측정 보고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4항. 2항 또는 3항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방법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측정 보고의 수신시,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에 기초하여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와의 업 링크 및/또는 다운 링크 통신을 위해 공유 채널을 활성화할지 또는 비활성화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5항. 2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서, 측정 보고는 주기적으로, 측정 요청의 수신시에, 랜덤하게 선택된 시간에, 점유율 레벨 표시의 결정시에, 또는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중 하나 이상에서 전송된다.
6항.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서, 점유율 레벨의 표시는 주기적으로, 측정 요청의 수신시에, 랜덤하게 선택된 시간에, 또는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중 하나 이상에서 결정된다.
7항. 5항 또는 6항에 따른 방법에서, 미리 결정된 이벤트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전원이 켜져 있는 것,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주파수 채널 상에서 혼잡을 경험하는 것, 사용자 요청,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요청, 타이머의 만료, 및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낮은 이용 레벨을 갖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8항.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서, 측정하는 단계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다고 결정될 때,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 의해 공유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에 대해 식별된 간섭 레벨을 나타내는 간섭 측정치에 기초하여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는 단계, 및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지 않다고 결정될 때, 공유 채널을 통해 수신된 전력을 나타내는 측정치에 기초하여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9항. 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제1 기술을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공유 채널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1 송수신기, 및 제2 기술을 이용하여 공유 채널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2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기술은 제1 기술과 상이하며,
상기 방법은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제1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도출된 제1 채널 이용률 및 제2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도출된 제2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0항.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에 할당된 제1 주파수 채널, 및 모바일 통신 시스템 및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는 공유 주파수 채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배열된 기지국을 포함하고,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제어기 유닛, 및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기 유닛
을 포함하고, 제어기 유닛은,
제2 기간 내의 복수의 제1 기간 각각의 동안에, 송수신기 유닛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공유 채널 상의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고;
측정된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에 대한 채널 점유율 상태들을 결정하고;
제2 기간 동안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점유율 레벨의 표시는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상태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11항. 10항에 따른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에서, 제어기 유닛은,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에 기초하여 측정 보고를 생성하고, 송수신기 유닛에 의한 측정 보고의 기지국들로의 전송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12항. 11항에 따른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에서, 제어기 유닛은,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이 혼잡 임계치를 초과한 것으로 추정될 때 공유 채널이 혼잡하다는 것을 검출하고;
공유 채널이 혼잡하다는 것을 검출할 때, 측정 보고를 생성하고 그의 전송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13항. 11항 또는 12항에 따른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에서, 제어기 유닛은 주기적으로, 측정 요청의 수신시에, 랜덤하게 선택된 시간에, 또는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중 하나 이상에서 측정 보고의 전송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14항. 10항 내지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에서, 제어기 유닛은, 주기적으로, 측정 요청의 수신시에, 랜덤하게 선택된 시간에, 또는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중 하나 이상에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15항. 13항 또는 14항에 따른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에서, 미리 결정된 이벤트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전원이 켜져 있는 것,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주파수 채널 상에서 혼잡을 경험하는 것, 사용자 요청,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요청, 타이머의 만료, 및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낮은 이용 레벨을 갖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16항. 10항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에서, 제어기 유닛이 공유 채널 상의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제어기 유닛이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는지를 결정하고,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다고 결정될 때,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 의해 공유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에 대해 식별된 간섭 레벨을 나타내는 간섭 측정치에 기초하여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고,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지 않다고 결정될 때, 공유 채널을 통해 수신된 전력을 나타내는 측정치에 기초하여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17항. 10항 내지 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에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의 송수신기는 제1 기술을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1 송수신기, 및 제2 기술을 이용하여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2 송수신기이며, 제2 기술은 제1 기술과 상이하고,
제어기 유닛은, 제1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도출된 제1 채널 이용률 및 제2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도출된 제2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18항. 모바일 통신 시스템으로서,
모바일 통신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에 할당된 제1 주파수 채널, 및 모바일 통신 시스템 및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는 공유 주파수 채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배열된 기지국, 및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제2 기간 내의 복수의 제1 기간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 상의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고;
측정된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에 대한 채널 점유율 상태들을 결정하고;
제2 기간 동안에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점유율 레벨의 표시는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상태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19항. 18항에 따른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에 기초하여 측정 보고를 생성하고 측정 보고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20항. 19항에 따른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이 혼잡 임계치를 초과한 것으로 추정될 때 공유 채널이 혼잡하다는 것을 검출하고;
공유 채널이 혼잡하다는 것을 검출할 때, 측정 보고를 생성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21항. 19항 또는 20항에 따른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통신 시스템은,
측정 보고의 수신시,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에 기초하여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해 공유 채널을 활성화할지 또는 비활성화할지를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22항. 19항 내지 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주기적으로, 측정 요청의 수신시에, 랜덤하게 선택된 시간에, 또는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중 하나 이상에서 측정 보고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23항. 18항 내지 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주기적으로, 측정 요청의 수신시에, 랜덤하게 선택된 시간에, 또는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중 하나 이상에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24항. 22항 또는 23항에 따른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미리 결정된 이벤트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전원이 켜져 있는 것,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주파수 채널 상에서 혼잡을 경험하는 것, 사용자 요청,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요청, 타이머의 만료, 및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낮은 이용 레벨을 갖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25항. 18항 내지 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기지국이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는지를 결정하고,
기지국이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다고 결정될 때,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 의해 공유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에 대해 식별된 간섭 레벨을 나타내는 간섭 측정치에 기초하여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고,
기지국이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지 않다고 결정될 때, 공유 채널을 통해 수신된 전력을 나타내는 측정치에 기초하여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26항. 18항 내지 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제1 기술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1 송수신기, 및 제2 기술을 이용하여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2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제2 기술은 제1 기술과 상이하며,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제1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도출된 제1 채널 이용률 및 제2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도출된 제2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27항.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용 회로로서, 상기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에 할당된 제1 주파수 채널, 및 모바일 통신 시스템 및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는 공유 주파수 채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배열된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제어기 요소 및 송수신기 요소를 포함하며, 제어기 요소 및 송수신기 요소는,
제2 기간 내의 복수의 제1 기간 각각의 동안에, 송수신기 유닛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공유 채널 상의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고;
측정된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에 대한 채널 점유율 상태들을 결정하고;
제2 기간 동안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결정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점유율 레벨의 표시는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상태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참조문헌들
[1] Holma H. and Toskala A, "LTE for UMTS OFDMA and SC-FDMA based radio access", John Wiley and Sons, 2009
[2] ETSI TS 136 211 V11.5.0(2014-01) / 3GPP TS 36.211 version 11.5.0 Release 11
[3] ETSI TS 136 212 V11.4.0(2014-01) / 3GPP TS 36.212 version 11.4.0 Release 11
[4] ETSI TS 136 213 V11.6.0(2014-03) / 3GPP TS 36.213 version 11.6.0 Release 11
[5] ETSI TS 136 321 V11.5.0(2014-03) / 3GPP TS 36.321 version 11.5.0 Release 11
[6] ETSI TS 136 331 V11.7.0(2014-03) / 3GPP TS 36.331 version 11.7.0 Release 11
[7] ETSI TS 137 320 V11.3.0(2013-04) / 3GPP TS 37.320 V12.1.0(2014-06) Release 12
[8] 3GPP TR 36.805 V9.0.0(2009-12) Release 9
[9] ETSI TS 132 422 V11.9.0(2014-03) / 3GPP TS 32.422 V12.2.0(2014-06) Release 12

Claims (27)

  1.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점유율 레벨(occupancy level)의 표시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에 할당된 제1 주파수 채널, 및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 및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는 공유 채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배열된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제2 기간 내의 복수의 제1 기간 각각의 동안에, 상기 공유 채널 상의 채널 이용률(channel utilisation)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상기 공유 채널에 대한 채널 점유율 상태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점유율 레벨의 표시는 상기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상기 공유 채널에 대한 상기 점유율 상태들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상기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상기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다고 결정될 때,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 의해 상기 공유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상기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지 않다고 결정될 때, 수신 신호 강도 표시기(RSSI)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상기 표시에 기초하여 측정 보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보고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이 혼잡 임계치(congestion threshold)보다 높거나 낮은 것으로 각각 추정될 때 상기 공유 채널이 혼잡하거나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채널이 혼잡하거나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검출할 때, 상기 측정 보고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상기 측정 보고의 수신시, 상기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상기 표시에 기초하여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과의 업 링크 및/또는 다운 링크 통신을 위해 상기 공유 채널을 활성화할지 또는 비활성화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는 주기적으로, 측정 요청의 수신시에, 랜덤하게 선택된 시간에, 상기 점유율 레벨 표시의 결정시에, 또는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중 하나 이상에서 전송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점유율 레벨의 상기 표시는 주기적으로, 측정 요청의 수신시에, 랜덤하게 선택된 시간에, 또는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중 하나 이상에서 결정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이벤트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전원이 켜져 있는 것,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주파수 채널 상에서 혼잡을 경험하는 것, 사용자 요청,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요청, 타이머의 만료, 및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낮은 이용 레벨을 갖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제1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공유 채널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1 송수신기, 및 제2 기술을 이용하여 공유 채널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2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술은 상기 제1 기술과 상이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도출된 제1 채널 이용률 및 상기 제2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도출된 제2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에 할당된 제1 주파수 채널, 및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 및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는 공유 채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배열된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제어기 유닛, 및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기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유닛은,
    제2 기간 내의 복수의 제1 기간 각각의 동안에, 상기 송수신기 유닛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채널 상의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상기 공유 채널에 대한 채널 점유율 상태들을 결정하고;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점유율 레벨의 상기 표시는 상기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상기 공유 채널에 대한 상기 점유율 상태들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어기 유닛이 상기 공유 채널 상의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상기 제어기 유닛이,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상기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상기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다고 결정될 때,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 의해 상기 공유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고,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상기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지 않다고 결정될 때, 수신 신호 강도 표시기(RSSI)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유닛은, 상기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상기 표시에 기초하여 측정 보고를 생성하고, 상기 송수신기 유닛에 의한 상기 측정 보고의 상기 기지국들로의 전송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유닛은,
    상기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이 혼잡 임계치를 초과한 것으로 추정될 때 상기 공유 채널이 혼잡하다는 것을 검출하고;
    상기 공유 채널이 혼잡하다는 것을 검출할 때, 상기 측정 보고를 생성하고 그의 전송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유닛은, 주기적으로, 측정 요청의 수신시에, 랜덤하게 선택된 시간에, 또는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측정 보고의 전송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유닛은, 주기적으로, 측정 요청의 수신시에, 랜덤하게 선택된 시간에, 또는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중 하나 이상에서 점유율 레벨의 상기 표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15. 제13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이벤트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전원이 켜져 있는 것,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주파수 채널 상에서 혼잡을 경험하는 것, 사용자 요청,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요청, 타이머의 만료, 및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낮은 이용 레벨을 갖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16. 삭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의 송수신기는 제1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상기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1 송수신기, 및 제2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2 송수신기이며, 상기 제2 기술은 상기 제1 기술과 상이하고,
    상기 제어기 유닛은, 상기 제1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도출된 제1 채널 이용률 및 상기 제2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도출된 제2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18. 모바일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에 할당된 제1 주파수 채널, 및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 및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는 공유 채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배열된 기지국, 및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제2 기간 내의 복수의 제1 기간 각각의 동안에, 상기 공유 채널 상의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상기 공유 채널에 대한 채널 점유율 상태들을 결정하고;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점유율 레벨의 상기 표시는 상기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상기 공유 채널에 대한 상기 점유율 상태들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상기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기지국이 상기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다고 결정될 때,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 의해 상기 공유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지 않다고 결정될 때, 수신 신호 강도 표시기(RSSI)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상기 표시에 기초하여 측정 보고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 보고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이 혼잡 임계치를 초과한 것으로 추정될 때 상기 공유 채널이 혼잡하다는 것을 검출하고;
    상기 공유 채널이 혼잡하다는 것을 검출할 때, 상기 측정 보고를 생성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은,
    상기 측정 보고의 수신시, 상기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상기 표시에 기초하여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공유 채널을 활성화할지 또는 비활성화할지를 상기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주기적으로, 측정 요청의 수신시에, 랜덤하게 선택된 시간에, 또는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측정 보고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주기적으로, 측정 요청의 수신시에, 랜덤하게 선택된 시간에, 또는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중 하나 이상에서 점유율 레벨의 상기 표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
  24. 제22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이벤트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전원이 켜져 있는 것,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주파수 채널 상에서 혼잡을 경험하는 것, 사용자 요청,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요청, 타이머의 만료, 및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낮은 이용 레벨을 갖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
  25. 삭제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제1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1 송수신기, 및 제2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2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술은 상기 제1 기술과 상이하며,
    상기 제1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도출된 제1 채널 이용률 및 상기 제2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도출된 제2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
  27.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용 회로로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에 할당된 제1 주파수 채널, 및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 및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는 공유 채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배열된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제어기 요소 및 송수신기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 요소 및 상기 송수신기 요소는,
    제2 기간 내의 복수의 제1 기간 각각의 동안에, 상기 송수신기 요소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채널 상의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상기 공유 채널에 대한 채널 점유율 상태들을 결정하고;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공유 채널에 대한 점유율 레벨의 표시를 결정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점유율 레벨의 상기 표시는 상기 제1 기간들 각각의 동안에 상기 공유 채널에 대한 상기 점유율 상태들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측정은,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상기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상기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다고 결정될 때,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 의해 상기 공유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고,
    상기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상기 공유 채널 상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있지 않다고 결정될 때, 수신 신호 강도 표시기(RSSI)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이용률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회로.
KR1020187026710A 2014-07-25 2015-07-24 공유 채널의 점유율 레벨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회로 KR102228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07211A KR102415600B1 (ko) 2014-07-25 2015-07-24 공유 채널의 점유율 레벨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78654.1 2014-07-25
EP14178654 2014-07-25
PCT/EP2015/066962 WO2016012578A1 (en) 2014-07-25 2015-07-24 Metho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system and circuitry for estimating an occupancy level of a shared channe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851A Division KR20170036686A (ko) 2014-07-25 2015-07-24 공유 채널의 점유율 레벨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회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211A Division KR102415600B1 (ko) 2014-07-25 2015-07-24 공유 채널의 점유율 레벨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268A KR20180105268A (ko) 2018-09-27
KR102228206B1 true KR102228206B1 (ko) 2021-03-17

Family

ID=5122535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851A KR20170036686A (ko) 2014-07-25 2015-07-24 공유 채널의 점유율 레벨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회로
KR1020187026710A KR102228206B1 (ko) 2014-07-25 2015-07-24 공유 채널의 점유율 레벨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회로
KR1020217007211A KR102415600B1 (ko) 2014-07-25 2015-07-24 공유 채널의 점유율 레벨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회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851A KR20170036686A (ko) 2014-07-25 2015-07-24 공유 채널의 점유율 레벨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회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211A KR102415600B1 (ko) 2014-07-25 2015-07-24 공유 채널의 점유율 레벨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회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0375592B2 (ko)
EP (2) EP3477986B1 (ko)
JP (1) JP6607540B2 (ko)
KR (3) KR20170036686A (ko)
CN (1) CN106537972B (ko)
CA (1) CA2953024C (ko)
WO (1) WO20160125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7972B (zh) 2014-07-25 2020-03-03 索尼公司 估计共享信道的占用水平的方法、移动通信装置、系统及电路
WO2016021625A1 (ja) 2014-08-05 2016-02-11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CN104270819B (zh) * 2014-10-23 2018-08-24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辅助通信的方法及系统、具有基站功能的设备和终端
JP6500914B2 (ja) * 2015-01-28 2019-04-1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EP3282789B1 (en) 2015-04-06 2020-12-02 Fujitsu Limited Base st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control method
WO2017076460A1 (en) * 2015-11-06 2017-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device
US10129175B1 (en) * 2016-01-07 2018-11-13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carrier aggregation based on subframe configuration
WO2017138870A1 (en) * 2016-02-08 2017-08-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ling the channel occupancy measurement quality
US10034176B2 (en) * 2016-02-29 2018-07-24 Alcatel Lucent Extending a wireless coverage area in an unlicensed frequency band of a small cell using remote radio heads
JP6537466B2 (ja) * 2016-03-17 2019-07-03 Kddi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7166293A1 (zh) * 2016-04-01 2017-10-05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性管理的方法、装置和系统
US10517021B2 (en) 2016-06-30 2019-12-24 Evolve Cellular Inc. Long term evolution-primary WiFi (LTE-PW)
US10462788B2 (en) 2016-09-19 2019-10-29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device on a licensed spectrum and an unlicensed spectrum
US10206140B2 (en) * 2016-11-02 2019-02-12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device on a licensed spectrum and an unlicensed spectrum
US10219161B2 (en) 2016-11-02 2019-02-26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device on a licensed spectrum and an unlicensed spectrum
EP3580989B1 (en) * 2017-02-08 2021-07-14 Sony Group Corporation Media access control
WO2018201472A1 (zh) * 2017-05-05 2018-11-08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US10499430B2 (en) 2017-07-13 2019-12-0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device on a licensed spectrum and an unlicensed spectrum
US10673601B2 (en) * 2017-07-27 2020-06-0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bandwidth part management
US11070984B2 (en) * 2018-03-30 2021-07-20 T-Mobile Usa, Inc. Licensed assisted access based on low utilization of unlicensed channels
CN110784874A (zh) * 2018-07-31 2020-02-11 索尼公司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648500A1 (en) 2018-10-30 2020-05-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Measurements in the case of missing reference signals
JP2019057936A (ja) * 2018-12-05 2019-04-11 Kddi株式会社 端末装置、測定システム、測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20159733A1 (en) * 2019-01-30 2020-08-06 Mediatek Singapore Pte. Ltd. Handover improvement in new radio unlicensed
CN111565475A (zh) * 2019-02-14 2020-08-21 索尼公司 用户设备、网络侧设备、无线通信方法和存储介质
US20220264349A1 (en) * 2019-07-11 2022-08-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1582796B2 (en) * 2020-05-15 2023-02-14 Qualcomm Incorporated Listen-before-talk (LBT) failure detection in dormant cell and outside discontinuous reception (DRX) active time
CN114245472B (zh) * 2020-09-09 2024-03-15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接入方法、共享载波基站、用户设备及记录介质
US11671189B2 (en) * 2020-09-23 2023-06-06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nergy detection threshol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5672A1 (en) 2012-04-17 2013-10-24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 for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clusters of communication devices offloaded to unlicensed spectrum
US20130322279A1 (en) * 2012-05-31 2013-12-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ensing measurement configuration and reporting in a long term evolution system operating over license exempt bands
WO2013179095A1 (en) 2012-05-31 2013-12-05 Nokia Corporation Coexistence of lte operated in unlicensed band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5198B1 (en) * 2001-08-19 2014-10-28 The Directv Group, Inc. Network video unit
US7317682B2 (en) * 2003-09-04 2008-01-08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Passive and distributed admission control method for ad hoc networks
US7688724B2 (en) * 2005-12-23 2010-03-30 Avaya Inc. Call admission control for mobility-capab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s
US20100000822A1 (en) * 2008-07-03 2010-01-07 Spanz Pty Ltd Scaffolding system
KR100964187B1 (ko) * 2008-07-09 2010-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네트워크의 pcs 임계값조정방법 및 단말장치
CN101754233B (zh) * 2008-11-28 2012-10-24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跨网络载波信道支援系统
FR2957218B1 (fr) * 2010-03-04 2012-05-11 Eads Defence & Security Sys Procede d'allocation de ressources radio dans un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
CN103477678B (zh) 2011-04-15 2017-08-25 安华高科技通用Ip(新加坡)公司 电视空白波段上的lte载波聚合配置
JP5391244B2 (ja) * 2011-08-02 2014-01-15 株式会社スギノマシン 流体圧式送り速度制御装置
CN102958174A (zh) 2011-08-26 2013-03-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频谱资源重配方法、装置及系统
WO2013066018A1 (ko) * 2011-10-31 2013-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JP5896135B2 (ja) * 2012-03-02 2016-03-30 国立大学法人信州大学 無線通信装置及び通信確立方法
KR102052420B1 (ko) * 2012-11-02 2019-12-05 코란씨, 엘엘씨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측정을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EP3152945B1 (en) 2014-06-05 2020-11-04 Sony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CN110086586B (zh) 2014-06-05 2020-07-10 索尼公司 终端装置和操作终端装置的方法
EP3167668B1 (en) 2014-07-25 2020-05-27 Sony Corporation Lte carrier aggregation with wifi
CN106537972B (zh) 2014-07-25 2020-03-03 索尼公司 估计共享信道的占用水平的方法、移动通信装置、系统及电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5672A1 (en) 2012-04-17 2013-10-24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 for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clusters of communication devices offloaded to unlicensed spectrum
US20130322279A1 (en) * 2012-05-31 2013-12-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ensing measurement configuration and reporting in a long term evolution system operating over license exempt bands
WO2013179095A1 (en) 2012-05-31 2013-12-05 Nokia Corporation Coexistence of lte operated in unlicensed b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72912A1 (en) 2017-05-31
US20190327627A1 (en) 2019-10-24
CN106537972B (zh) 2020-03-03
EP3477986B1 (en) 2021-01-06
US10375592B2 (en) 2019-08-06
CA2953024C (en) 2023-03-21
JP2017531341A (ja) 2017-10-19
KR20210030502A (ko) 2021-03-17
JP6607540B2 (ja) 2019-11-20
US11463896B2 (en) 2022-10-04
CA2953024A1 (en) 2016-01-28
US20210084512A1 (en) 2021-03-18
KR20170036686A (ko) 2017-04-03
US20170150382A1 (en) 2017-05-25
KR102415600B1 (ko) 2022-07-05
KR20180105268A (ko) 2018-09-27
CN106537972A (zh) 2017-03-22
EP3477986A1 (en) 2019-05-01
US10869211B2 (en) 2020-12-15
EP3172912B1 (en) 2019-01-09
WO2016012578A1 (en)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8206B1 (ko) 공유 채널의 점유율 레벨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시스템, 및 회로
US11706745B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US11350426B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