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781B1 - 빙수기 - Google Patents

빙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781B1
KR102227781B1 KR1020180059857A KR20180059857A KR102227781B1 KR 102227781 B1 KR102227781 B1 KR 102227781B1 KR 1020180059857 A KR1020180059857 A KR 1020180059857A KR 20180059857 A KR20180059857 A KR 20180059857A KR 102227781 B1 KR102227781 B1 KR 102227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frame
rotation shaft
ice
moun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343A (ko
Inventor
이한상
Original Assignee
이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상 filed Critical 이한상
Priority to KR1020180059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78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12Ice-shav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가 장착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연동이 되는 회전축이 장착되고 한 쌍의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는 슬라이드프레임; 상기 슬라이드홀을 관통하는 슬라이드봉이 형성되어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이 상,하로 슬라이드 되는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프레임을 관통하면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과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수평회전축과 상기 수평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조작부; 상기 장착프레임의 하부에 구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받침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에 탈착이 되며 하면에 절삭날이 형성되는 얼음용기;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 부착되며 플렌지 형상으로 하면에 복수의 돌기가 돌출되는 가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빙수기{Ice crusher}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기기부하 없이 빙삭이 가능하도록 하는 빙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빙수기는 본체의 중앙부 하단에 칼날이 설치된 얼음받침대가 설치되고, 얼음받침대의 하부에는 칼날에서 눈처럼 갈아져 나오는 갈은 얼음을 받는 그릇을 놓을 수 있는 공간부가 개구된 상태로 마련되어 있으며, 본체의 상부에는 하단부에 얼음을 고정시키는 얼음고정대가 고정 설치된 회전축이 모터 또는 수동조작에 의하여 회전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0-0053921호에서는 캐비넷 형태의 본체를 상,중,하단의 3개의 공간부로 구획하여 상부에 구동장치설치실과, 중앙에는 -18∼-24℃의 저온을 유지하는 냉동실, 그리고 하부에 갈은얼음받이실을 각각 구비하며, 냉동실과 갈은얼음받이실에는 도어를 각각 개폐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구동장치설치실에는 감속기를 구비하고 회전축에 웜기어를 설치한 승하강모터가 설치되고, 이 웜기어의 일측에는 웜기어의 일측이 삽입되는 개구부를 구비한 축관이 수직 설치되며, 상기 축관의 내부에는 외주연에 웜기어와 맞물리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키홈을 형성하며 구동장치설치실의 하부벽을 관통한 하단에는 얼음고정대가 설치된 승하강회전축이 수직 설치되고, 상기 축관 상부의 승하강회전축에는 키이가 내향 설치된 종동풀 리가 회전자유롭게 설치되고, 축관의 외측에는 종동풀리와 벨트로서 연결되는 구동풀리를 축설한 회전모터가 브라켓트에 수직 설치되며, 구동장치설치실의 내측 후방측에는 방열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냉동실의 바닥면에는 장공형태의 얼음배출구에 칼날이 경사지게 설치된 얼음받침대가 설치되며, 상기 갈은얼음받이실의 바닥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접시회전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냉동실과 갈은얼음받이실의 후방에 형성되는 냉동장치 설치실에는 냉동콤푸레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삭기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승하강모터에 의해 얼음고정대를 승하강하도록 한 뒤에 별도의 회전모터에 의해 얼음덩어리를 홀딩한 얼음고정대를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얼음덩어리를 분쇄할 수 있도록 하여 승하강모터와 연결된 웜기어에 의해 얼음덩어리에 압축력을 작용하게 함으로써 얼음덩어리가 공회전하지 않고 잘 분쇄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상기 기술의 경우 절삭과정에서 절삭날에 얼음이 낀 상태로 모터에 부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절삭날이 파단되는 문제 등 기기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0-005392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절삭과정에서 모터부하, 절삭날 파단 등 기기고장을 제어할 수 있는 빙수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빙수기는, 모터가 장착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연동이 되는 회전축이 장착되고 한 쌍의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는 슬라이드프레임; 상기 슬라이드홀을 관통하는 슬라이드봉이 형성되어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이 상,하로 슬라이드 되는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프레임을 관통하면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과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수평회전축과 상기 수평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조작부; 상기 장착프레임의 하부에 구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받침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에 탈착이 되며 하면에 절삭날이 형성되는 얼음용기;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 부착되며 플렌지 형상으로 하면에 복수의 돌기가 돌출되는 가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과 상기 장착프레임 간에는 스프링이 장착되되 상기 장착프레임에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시 스프링에 복원력이 발생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가압판은 하면에 돌기가 돌출된 플렌지부와 상기 플렌지부 상면에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주연에 부착되는 패킹링을 포함하는 수용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 끝단부에는 직경이 작아지는 슬라이드관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에 상기 가압판을 장착시 상기 패킹링이 상기 슬라이드관부에 가압이 된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수용홈의 저면과 상기 회전축의 끝단면 사이에는 절곡된 판형상의 절곡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빙수기는 완충구조를 가진 가압 상태에서 얼음을 빙삭토록 함으로써 모터부하, 절삭날파단 등의 전체기기 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케이싱이 제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빙수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빙수기(1)에 의해 컷팅된 얼음이 담겨지는 각종 용기(미도시)가 올려지도록 용기받침(12)이 마련되는 밑판(11)과 상기 밑판(11)과는 다리(13)에 의해 이격되는 케이싱(10)이 포함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일면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작동스위치(부호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케이싱(10) 내측에는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다양한 구성들이 배치되어 빙수기(1)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 및 도 3에서는 도 1의 빙수기(1)에서 상기 케이싱(10)이 제외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빙수기(1)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21)가 장착되며 모터(21)에 의해 회전연동이 되는 회전축(22)이 장착되고 한 쌍의 슬라이드홀(24)이 형성되는 슬라이드프레임(2); 상기 슬라이드홀(24)을 관통하는 슬라이드봉(31)이 형성되어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이 상,하로 슬라이드 되는 장착프레임(3); 상기 장착프레임(3)을 관통하면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과 링크(42)에 의해 연결되는 수평회전축(41)과 상기 수평회전축(41)의 일단에 형성되는 핸들(43)을 포함하는 조작부(4); 상기 장착프레임(3)의 하부에 구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22)이 관통하는 관통홀(51)이 형성되는 받침프레임(5); 상기 받침프레임(5)에 탈착이 되며 하면에 절삭날(61)이 형성되는 얼음용기(6); 상기 회전축(22)의 끝단에 부착되며 플렌지 형상으로 하면에 복수의 돌기(71)가 돌출되는 가압판(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면에 모터(21)가 장착되며 모터(21)에 의해 회전연동 되는 회전축(22)이 장착되는 바, 상기 모터(21)는 상면에서 소 직경 풀리(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며 소직경 풀리는 벨트에 의해 대직경 풀리(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고 대직경풀리는 상기 회전축(22)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21)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축(22)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에는 도면상 회전축(22)의 후방에 한 쌍의 슬라이드홀(24)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렇게 슬라이드홀(24)이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장착프레임(3)의 슬라이드봉(31)에 상기 슬라이드홀(24)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이 상,하 슬라이드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에는 무게추(23)가 구성되는데 이렇게 무게추(23)가 구성되는 이유는 외력에 의하지 않고 슬라이드프레임(2)의 하중에 의해 상기 회전축(22)과 일체로 회전연동을 하는 가압판(7)에 의해 얼음용기(6)에 수용된 얼음을 절삭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착프레임(3)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이 수용되는 형상으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홀(24)을 관통하는 슬라이드봉(31)이 형성되어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이 상,하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조작부(4)는 상기 장착프레임(3)을 관통하면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과 링크(42)에 의해 연결되는 수평회전축(41)과 상기 수평회전축(41)의 일단에 형성되는 핸들(4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은 상기 수평회전축(41)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과 상기 수평회전축(41)은 관절이 형성된 링크(42)에 의해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핸들(43)을 수동으로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장착프레임(3)에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이 상,하로 슬라이드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받침프레임(5)은 상기 장착프레임(3)의 하부에 구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22)이 관통하는 관통홀(51)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받침프레임(5)의 구성에 의해 얼음용기(6)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이 도면상 후방에서 상기 슬라이드봉(31)에 상기 슬라이드홀(24)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방에서 회전축(22)이 상기 관통홀(51)에 관통된 상태에서 상,하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슬라이드프레임(2)이 장착프레임(3)에서 슬라이드 시 위치를 견고하게 잡아주는 기능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얼음용기(6)는 상기 받침프레임(5)에 탈착이 되며 하면에 절삭날(61)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받침프레임(5)의 하면에서 탈착이 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받침프레임(5)과 상기 얼음용기(6)의 탈착구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도면에서는 받침프레임(5) 하면 양단에 챈널형상으로 슬라이드레일이 형성되도록 하고 얼음용기(6) 상단에 돌출되는 테두리가 구성되도록 하여 얼음용기(6)가 받침프레임(5)에서 탈착이 되도록 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얼음용기(6) 하면에는 절삭날(61)이 구성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절삭날(61)과 연동하는 유동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2)과 일체로 회전연동을 하는 가압판(7)이 얼음용기(6)에 수용된 얼음을 회전시키면서 얼음이 절삭날(61)에 의해 컷팅이 되도록 하고 컷팅된 얼음이 유동홀을 통해 하부로 낙하하여 도 1의 용기받침(12)에 안치된 용기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압판(7)은 상기 받침프레임(5) 하부에서 상기 회전축(22)의 끝단에 부착되며 플렌지 형상으로 하면에 복수의 돌기(71)가 돌출되는 구성으로 돌기(71)에 의해 상기 얼음용기(6)에 수용된 얼음이 상기 가압판(7)과 같이 회전연동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빙수기(1)의 작동기작은, 우선 핸들(43)을 손으로 들어 올려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을 상승시켜 상기 가압판(7)도 상승시킨다. 그 다음 얼음용기(6)를 받침프레임(5)에서 탈착시켜 얼음용기(6)에 얼음을 넣고 다시 얼음용기(6)를 상기 받침프레임(5)에 체결한다.
그 다음 핸들(41)을 내림으로써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을 하강시킴에 의해 상기 가압판(7)이 얼음용기(6)에 수용된 얼음을 가압토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가압판(7)에 의한 가압은 외력에 의한 것이 아닌 무게추(23)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프레임(2)의 하중에 의한 것이다. 그 다음 모터(21)를 가동시켜 회전축(22)이 회전토록 함으로써 가압판(7)과 얼음이 함께 회전토록 하여 얼음용기(6)의 절삭날(61)에 의해 얼음이 절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절삭된 얼음은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하부의 용기로 낙하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빙수기(1)는 외력의 작용없이 자중에 의한 가압에 의해 얼음이 절삭되도록 하는데 경우에 따라 얼음형상 등에 기인하여 슬라이드프레임(2)이 상방향으로 튀어버림에 의해 용이한 절삭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즉 공회전이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삭과정에서 슬라이드프레임(2)이 상방향으로 튀어버리는 현상을 제어하기 위한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과 상기 장착프레임(3) 간에는 스프링(8)이 장착되되 상기 장착프레임(3)에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시 스프링(8)에 복원력이 발생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프레임(3)의 양단의 내주연에서 체결바(32)가 돌출되도록 하고 각 체결바(32)에 스프링(8)의 일단을 고정하고 스프링(8)의 타단을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에 장착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착프레임(3)에서 슬라이드프레임(2)이 상방향 슬라이드 시 스프링(8)에 복원력이 작용되도록 장착되어 슬라이드프레임(2)에도 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슬라이드프레임(2)을 장착프레임(3)에서 하강시켜 회전축(22) 및 가압판(7)의 회전에 의해 얼음 절삭시 슬라이드프레임(2)의 상방향 튐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완전히 고정됨에 의한 것이 아닌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8)에 의해 이러한 현상을 제어함으로써 절삭날(61)의 파단 등이 유발되지 않으면서 얼음 절삭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프레임(2)의 자중에 의해서만 절삭이 이루어지는 경우 슬라이드프레임(2)이 상방향으로 튀어버리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제어하여 좀더 강한 가압에 의해 절삭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외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외력을 작용시키는 경우 절삭과정에서 얼음에 절삭날(61)이 강하게 끼워져 절삭날(61)의 파단되거나 모터(21)에 부하가 발생되는 등 기기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시 예가 도 5에서 도시되고 있는 바,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가압판(7)은 하면에 돌기(71)가 돌출된 플렌지부(72)와 상기 플렌지부(72) 상면에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주연에 부착되는 패킹링(731)을 포함하는 수용관(73)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22) 끝단부에는 직경이 작아지는 슬라이드관부(221)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2)에 상기 가압판(7)을 장착시 상기 패킹링(731)이 상기 슬라이드관부(221)에 가압이 된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수용홈의 저면과 상기 회전축(22)의 끝단면 사이에는 절곡된 판형상의 절곡스프링(74)이 개재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가압판(7)은 플렌지부(72)와 상기 플렌지부(72) 상면에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주연에 부착되는 패킹링(731)을 포함하는 수용관(73)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관(73)에 상기 회전축(22)이 강제 끼움방식으로 체결되는데 상기 패킹링(731)이 상기 회전축(22)에 형성된 슬라이드관부(221)에 위치한 상태로 체결되도록 하여 수밀성이 유지된 상태에서 가압판(7)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22)의 상,하 연동이 슬라이드관부(221)의 길이만큼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절곡스프링(74)이 개재되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외력이 더해지면서 절삭이 이루어지더라도 절삭과정에서 강한 충격은 상기 절곡스프링(74)에 의해 완화되도록 할 수 있어 상기에서 언급한 절삭날(61) 파단, 모터(21) 부하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본 발명의 빙수기 2 : 슬라이드프레임
3 : 장착프레임 4 : 조작부
5 : 받침프레임 6 : 얼음용기
7 : 가압판 8 : 스프링

Claims (3)

  1. 모터가 장착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연동이 되는 회전축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의 후방에 한 쌍의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며 하중 부여를 위한 무게추가 결합되는 슬라이드프레임;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이 수용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홀을 관통하는 슬라이드봉이 형성되어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이 상,하로 슬라이드 되는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프레임의 측면을 관통하면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과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수평회전축과 상기 수평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되는 핸들을 포함하하여 상기 핸들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연동하여 상기 장착프레임에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하는 조작부;
    상기 장착프레임의 하부에 구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면 양단에 슬라이드레일이 형성되는 받침프레임;
    상부의 양단에 돌출되는 테두리가 구성되어 상기 받침프레임의 슬라이드레일로부터 탈착되며 하면에 절삭날과 유동홀이 형성되는 얼음용기; 및
    상기 받침프레임 하부에서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 부착되며 플렌지 형상으로 저면에 복수의 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얼음용기에 수용된 얼음을 가압하면서 회전연동되게 하는 가압판;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프레임과 상기 장착프레임 간에는 스프링이 장착되되 상기 장착프레임의 양단 내주연에 체결바가 돌출되고, 각 체결바에 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며, 스프링의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에 장착되게 하고, 상기 장착프레임에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시 상기 스프링에 복원력 작용되게 하고,
    상기 가압판은 하면에 돌기가 돌출된 플렌지부와 상기 플렌지부 상면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주연에 부착되는 패킹링을 포함하는 수용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 끝단부에는 직경이 작아지는 슬라이드관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관에 상기 회전축이 강제 끼움으로 체결되는데 상기 패킹링이 회전축에 형성된 슬라이드관부에 위치한 상태로 체결되도록 하여 수밀성이 유지된 상태에서 가압판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의 상, 하 연동이 슬라이드관부의 길이만큼만 가능해지게 하고, 상기 수용홈의 저면과 상기 회전축의 끝단면 사이에는 절곡된 판 형상의 절곡스프링이 개재되어 외력이 부가되면서 절삭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절곡스프링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수기.
  2. 삭제
  3. 삭제
KR1020180059857A 2018-05-25 2018-05-25 빙수기 KR102227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857A KR102227781B1 (ko) 2018-05-25 2018-05-25 빙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857A KR102227781B1 (ko) 2018-05-25 2018-05-25 빙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43A KR20190134343A (ko) 2019-12-04
KR102227781B1 true KR102227781B1 (ko) 2021-03-15

Family

ID=6900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857A KR102227781B1 (ko) 2018-05-25 2018-05-25 빙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7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4198A (ja) * 2015-01-06 2015-04-09 株式会社中部コーポレーション 氷削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199B1 (ko) * 1995-09-29 1997-11-13 배순훈 얼음분쇄장치
KR20000053921A (ko) 2000-05-09 2000-09-05 김태문 빙삭기
KR101716810B1 (ko) * 2015-02-13 2017-03-1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에스카랩 아이스크림 빙삭기의 압착구 탄성 결합장치
KR20170077363A (ko) * 2015-12-28 2017-07-06 임명호 아이스 볼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4198A (ja) * 2015-01-06 2015-04-09 株式会社中部コーポレーション 氷削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43A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107B1 (ko) 상부 구동식 주서기
US8267493B2 (en) Refrigerator
KR100608688B1 (ko)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CN106163296A (zh) 冰淇淋刨冰及压榨机
KR20080059758A (ko) 냉장고
KR20140123322A (ko) 전기 빙삭기
KR102227781B1 (ko) 빙수기
CN104720550B (zh) 上部通电榨汁机
RU2011121054A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регулируемой по высоте полкой для охлаждаемых продуктов
GB2305717A (en) Ice shaving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KR100565249B1 (ko) 바스켓 승강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RU2008143651A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о встроенным узлом
KR101174538B1 (ko) 냉장고
JPH07246155A (ja) 果汁搾り装置
KR101174945B1 (ko) 냉장고
KR100222987B1 (ko) 냉장고용 선반의 높이 조절 장치
KR102147705B1 (ko) 빙삭기
KR20080060151A (ko) 냉장고
KR101716810B1 (ko) 아이스크림 빙삭기의 압착구 탄성 결합장치
KR102476851B1 (ko)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용 픽스쳐 장치
US2007300A (en) Kitchen utility device
ES2965750T3 (es) Refrigerador y/o congelador
US1169854A (en) Belt-gearing.
US2962958A (en) Crushing machine
CN219750633U (zh) 一种下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