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498B1 -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498B1
KR102227498B1 KR1020130123879A KR20130123879A KR102227498B1 KR 102227498 B1 KR102227498 B1 KR 102227498B1 KR 1020130123879 A KR1020130123879 A KR 1020130123879A KR 20130123879 A KR20130123879 A KR 20130123879A KR 102227498 B1 KR102227498 B1 KR 102227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user device
content
information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024A (ko
Inventor
서동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3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498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통 서비스 제공부와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를 고려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별 서비스 제공부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서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가 다른 경우에도 통합적인 서비스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장치에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Integrated service provider,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본 발명은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프로파일 정보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 장치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업의 비즈니스의 확장과 e-비즈니스화에 힘입어 대부분의 데이터센터 내 서버 수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들 서버는 ERP, DB, CRM, 전자 상거래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대부분 핵심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한다. 이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IT서비스를 위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지보수, 갱신, 그리고 운영 등 TCO(Total Cost of Ownership) 비용이 증가하면서 데이터센터는 서버 수의 축소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탄소 배출의 축소와 에너지 효율화와 같은 그린 IT 실현,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 등 시대적 요구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등장은 이를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서버 통합은 서로 다른 운영 체제와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여러 서비스 실행 환경을 하나의 강인 플랫폼에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게 함으로써 IT 인프라 구축 및 서버 운용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68180 [명칭: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통합적인 서비스 장치를 통해 프로파일 정보가 서로 다른 사용자 장치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장치로 제공되는 서비스 중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개별 서비스 컨텐츠에 식별자를 부여하고 개별 서비스 컨텐츠의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프로파일 정보를 가진 사용자 장치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비스 장치의 부하에 따라 서비스 장치에 액세스된 사용자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포맷을 서로 다르게 결정하기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별 서비스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개별적으로 변환을 수행하여 서로 다른 프로파일을 가지는 사용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요청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장치의 국가 식별 정보, 통신사 식별 정보 및 요청 서비스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서비스 컨텐츠를 공통 서비스 컨텐츠 또는 개별 서비스 컨텐츠로 결정하는 컨텐츠 판단부; 국가 식별 정보 및 통신사 식별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컨텐츠 판단부에서 결정된 공통 서비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공통 서비스 제공부; 국가 식별 정보 및 통신사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고려하여 컨텐츠 판단부에서 결정된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개별 서비스 제공부; 및 공통 서비스 컨텐츠 및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포함하는 서비스 프레임을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컨텐츠 판단부는, 요청 서비스 컨텐츠가 국가 식별 정보, 통신사 식별 정보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공통 서비스 컨텐츠로 결정하고, 요청 서비스 컨텐츠가 국가 식별 정보, 통신사 식별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는 경우, 개별 서비스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개별 서비스 제공부는 국가 식별 정보 및 통신사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고려하여 텍스트, 이미지, 멀티미디어 또는 서비스 페이지를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개별 서비스 제공부는 국가 식별 정보 및 통신사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고려하여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을 사용자 장치에서 지원하는 마크업 언어로 변환하거나 중간 단계인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변경한 후에 XSL(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치에서 지원하는 마크업 언어로 변환하는 텍스트 변환 모듈, 국가 식별 정보 및 통신사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고려하여 이미지의 포맷을 사용자 장치가 지원하는 이미지 포맷으로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 모듈, 국가 식별 정보 및 통신사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고려하여 멀티미디어의 포맷을 사용자 장치가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포맷으로 변환하는 멀티미디어 변환 모듈 및 국가 식별 정보 및 통신사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고려하여 변환된 개별 서비스 컨텐츠가 사용자 장치의 메모리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복수의 단위로 페이지를 분할하여 전송하기 위한 페이지 변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개별 서비스 컨텐츠는 사용자 장치에 서비스되는 웹 페이지의 계층 구조를 기반으로 결정된 계층적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고, 사용자 장치는 계층적 식별자를 기반으로 개별 서비스 컨텐츠의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사용자 장치의 국가 식별 정보는 MCC(mobile country code)이고, 사용자 장치의 통신사 식별 정보는 MNC(mobile network cod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은 통합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요청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장치의 국가 식별 정보, 통신사 식별 정보, 사용자 장치 정보 및 요청 서비스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서비스 컨텐츠를 공통 서비스 컨텐츠 또는 개별 서비스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 통합 서비스 장치가 국가 식별 정보, 통신사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장치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결정된 공통 서비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통합 서비스 장치가 국가 식별 정보, 통신사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장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된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통합 서비스 장치가 공통 서비스 컨텐츠 및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포함하는 서비스 프레임을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통합 서비스 장치가 통합 서비스 장치에 접속된 사용자 장치의 개수 정보 및 접속된 사용자 장치와 송신 및 수신하는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에 기반하여 부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개별 서비스 컨텐츠의 컨텐츠 포맷은 부하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는 데이터를 소리 카테고리, 동영상 카테고리, 이미지 카테고리, 텍스트 카테고리 중 하나로 분류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개별 서비스 컨텐츠는, 통합 서비스 장치의 부하 정보가 제1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기준 컨텐츠 포맷보다 낮은 데이터량을 가지는 컨텐츠 포맷으로 결정되고, 개별 서비스 컨텐츠는, 통합 서비스 장치의 부하 정보가 제2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기준 컨텐츠 포맷보다 높은 데이터량을 가지는 컨텐츠 포맷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사용자 장치 정보는 사용자 장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공통 서비스 컨텐츠는 사용자 장치로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통합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장치로부터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소리 카테고리, 동영상 카테고리, 이미지 카테고리, 텍스트 카테고리 중 하나로 카테고리 분류 후 각각의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상위 및 하위 계층 구조로 분할하여 결정한 개별 서비스 컨텐츠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한 재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통합 서비스 장치가 개별 서비스 컨텐츠의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사용자 장치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의 국가별 정보 또는 통신사별 정보에 따라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없이 동일한 웹 URL이나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국가별 또는 통신사별로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프로파일을 가지는 사용자 장치에 제공되는 개별 서비스 컨텐츠와 공통 서비스 컨텐츠를 분리하여 하나의 통합적인 서비스 장치를 통해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장치의 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 장치에 적응적으로 컨텐츠를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각 사용자 장치에 따라 적응적으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서비스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변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식별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시그널링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별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서비스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기존의 사용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장치의 국가, 통신사에 따라 서비스를 별도로 구축함으로서 서버의 운영에 비효율적인 요소가 존재했다. 즉, 사용자 장치는 국가별, 통신사별로 별도 URL(uniform resource location)을 기반으로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거나 국가별, 통신사별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기존의 경우, 사용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공통적인 URL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IP(internet protocol) 대역으로 서비스를 구분하여 통신사별로 별도의 서비스가 사용자 장치로 제공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가, 통신사 또는 사용자 장치 정보가 서로 다른 사용자 장치들이 동일한 웹 URL 및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10, 120, 130)는 국가별 및 통신사별로 별도의 식별자 정보를 할당받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사용자 장치(110, 120, 130)는 MCC(mobile country code), MNC(mobile network code)를 기반으로 사용자 장치(110, 120, 130)의 국가 및 통신사 정보가 식별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MNC, MCC는 사용자 장치(110, 120, 130)의 국가 및 통신사를 식별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이다. 즉, MNC, MCC가 아닌 다른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장치(110, 120, 130)의 국가 및 통신사가 식별될 수도 있고 이러한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사용자 장치(110, 120, 130)는 서비스 장치(160)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110, 120, 130)의 국가 및 통신사에 대한 식별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 120, 130)의 국가별 식별자 정보는 MCC(mobile country code), 사용자 장치(110, 120, 130)의 통신사별 식별자 정보는 MNC(mobile network code)를 기반으로 식별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 120, 130)는 할당받은 MCC 및 MNC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MCC 또는 MNC 정보가 서로 다른 사용자 장치(110, 120, 130)의 경우에도 동일한 URL 또는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장치(160)는 국가 식별 정보 및 통신사 식별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사용자 장치(110, 120, 130)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통 서비스 제공부(150)와 국가별 식별 정보 또는 통신사별 식별 정보를 고려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별 서비스 제공부(14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공통 서비스 제공부(150)는 사용자 장치(110, 120, 130)의 국가 식별 정보 또는 통신사 식별 정보가 서로 다르더라도 사용자 장치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부로서 사용자 장치의 국가 및 통신사 정보에 의해 제한 받지 않고 공통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개별 서비스 제공부(150)는 사용자 장치(110, 120, 130)가 국가별, 통신사별로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부이다. 예를 들어, 개별 서비스 제공부의 경우, 사용자 장치(110, 120, 130)의 통신사별 식별 정보를 고려하여 통신사별로 다른 전자 결제 시스템, 결제 수단, 언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개별 서비스 제공부는 추가적으로 사용자 장치(110, 120, 130)의 개별적인 장치 정보(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정보 등)에 따라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서비스 장치(160)에 공통 서비스 제공부(150)와 개별 서비스 제공부(140)를 구현함으로써 국가별 또는 통신사별로 별도의 서비스 장치를 구현하지 않고 사용자 장치(110, 120, 130)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서비스 장치를 통합 서비스 장치라는 용어로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0, 120, 130)의 국가별 식별자, 통신사별 식별자, 장치 정보(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정보)를 프로파일 정보라는 용어로 표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통합 서비스 장치의 운용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서비스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합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장치 요청 수용부(200), 세션 관리부(210), 컨텐츠 판단부(220), 공통 서비스 제공부(230), 개별 서비스 제공부(240), 통신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 수용부(200)는 사용자 장치의 접속 요청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 수용부(200)는 사용자 장치의 액세스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장치가 통합 서비스 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서비스 장치에 접속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신호를 다시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 신호를 통합 서비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장치 요청 수용부(200)는 접속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장치의 접속을 허용할지 여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세션 관리부(210)는 사용자 장치 요청 수용부(200)에서 사용자 장치의 접속을 허용한 경우, 사용자 장치의 장치의 세션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션 관리부는 모바일 네트워크의 간헐적 단절성을 극복하여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상태와 무관하게 세션을 유지하고, 서로 다른 프로파일 정보를 가진 사용자 장치에 대해 일관된 세션을 유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컨텐츠 판단부(220)는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 및 요청 서비스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서비스 컨텐츠를 공통 서비스 컨텐츠 또는 개별 서비스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는 서비스 장치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 신호에는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 및 요청 서비스 컨텐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요청 서비스 컨텐츠 정보는 사용자 장치가 서비스 장치에 요청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판단부(220)는 서비스 요청 신호에 포함된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공통 서비스 컨텐츠인지 개별 서비스 컨텐츠인지 여부를 결정하여 후술할 공통 서비스 제공부(230), 개별 서비스 제공부(240)를 통해 서비스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공통 서비스 제공부(230)는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사용자 장치에 제공될 수 있는 공통 서비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공통 서비스 제공부(230)에서는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공통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를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가 요구하는 서비스가 공통 서비스 제공부(230)만으로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가 아닌 경우, 개별 서비스 제공부(240)를 통해 사용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공통 서비스 제공부(230)에서 생성된 공통 서비스 컨텐츠는 사용자 장치로 전송되는 서비스 컨텐츠에 포함되어 사용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개별 서비스 제공부(240)는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개별 서비스 제공부(240)는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별도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변환 모듈(245)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변환 모듈(245)이 개별 서비스 제공부(240)에 포함되어 구현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컨텐츠 변환 모듈(245)은 개별 서비스 제공부(240)와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컨텐츠 변환 모듈(245)는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변환하여 사용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변환부(245)에는 사용자 장치의 국가별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의 언어를 변환하기 위한 텍스트 변환 모듈, 사용자 장치의 하드웨어 정보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변환하기 위한 페이지 변환 변환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서비스 제공부(240)는 컨텐츠 변환 모듈(245)과는 별도로 각 통신사별, 국가별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과 같은 별도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개별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여 개별적인 서비스를 사용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개별 서비스 제공부(240)에서 생성된 개별 서비스 컨텐츠는 사용자 장치로 전송되는 서비스 프레임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통신부(250)는 개별 서비스 제공부(240) 및 공통 서비스 제공부(230)를 기반으로 생성된 서비스 프레임을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 별로 별도의 서비스 장치를 구현하지 않고 공통적으로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를 분리하여 하나의 서비스 장치로 통합하여 운용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국가별, 통신사별로 사용자 장치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서비스 장치를 구축할 필요가 없다. 또한 사용자 장치는 별도의 URL 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하나의 URL 및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사용자 장치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서비스 장치를 기반으로 국가별 또는 통신사별로 서비스를 커스터마이징하여 개별 사용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변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변환 모듈은 프로파일 정보 인식부(300)및 개별 컨텐츠 변환 모듈(310, 320, 330, 34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파일 정보 인식부(300)는 수신한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개별 컨텐츠 변환 모듈에 전달하여 개별 컨텐츠 변환 모듈이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변환 모듈은 텍스트 변환 모듈(310), 이미지 변환 모듈(320), 멀티미디어 변환 모듈(330), 페이지 변환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변환 모듈(310)은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을 사용자 장치에서 지원하는 마크업 언어로 변환할 수도 있고, 중간 단계인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변경한 후에 XSL(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치에서 지원하는 마크업 언어로 변환할 수도 있다.
이미지 변환 모듈(320)은 사용자 장치 정보를 기반으로 이미지 형태를 사용자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WBM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bitmap), GIF(graphic interchange format) 타입과 같은 이미지 형태로 변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변환 모듈(330)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사용자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멀티미디어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페이지 변환 모듈(340)은 변환된 컨텐츠가 사용자 장치의 메모리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복수의 단위로 페이지를 분할하고 이를 전송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페이지 변환 모듈(340)은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와 같은 하드웨어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하드웨어 정보에 맞도록 페이지를 변환하기 위해 구현될 수도 있다.
변환을 수행함에 있어 위의 컨텐츠 변환 모듈에 의한 컨텐츠 변환은 사용자 장치로 서비스되는 웹 페이지에서 특정한 부분만을 인덱싱하여 변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로 웹 페이지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국가별 또는 통신사별로 구분하여 변환하지 않아도 되는 부분 및 변환해야 할 부분을 지정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또한, 변환을 수행하는 경우 변환되는 부분을 사용자 장치 정보를 기반으로 동일하게 인덱싱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각 사용자 장치로 제공되는 웹 페이지 중에서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에 상관없이 변하지 않는 부분(이하, 공통 서비스 컨텐츠)과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변하는 부분(개별 서비스 컨텐츠)을 구분하여 사용자 장치에 서비스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도 4에서는 동일한 국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가정하고 통신사 및 기종이 서로 다른 사용자 장치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즉, 사용자 장치의 국가별 식별자 정보는 동일한 경우를 가정한다.
서비스 장치에서 프로파일 정보가 서로 다른 사용자 장치에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통신사와 사용자 장치의 장치 정보에 따라 지원하는 마크업 언어와 멀티미디어 파일 타입 및 파일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개별적으로 변하는 부분을 특정하여 개별 서비스 제공부를 통해서 서비스 컨텐츠를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 서비스 컨텐츠(450)를 제공하기 위해 컨텐츠 변환을 수행함에 있어, 웹페이지 상에서 개별 서비스 컨텐츠(450)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 인덱싱을 수행하여 식별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개별 서비스 컨텐츠(450)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개별 서비스 컨텐츠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페이지 상에서 공통 서비스 컨텐츠(400)의 경우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변환 여부에 대한 판단이 없이 각 사용자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웹 페이지 중 일부의 컨텐츠는 공통 서비스 컨텐츠(400)이고 일부는 개별 서비스 컨텐츠(450)일 수 있다. 서비스 장치는 공통 서비스 컨텐츠(400)의 경우 변환 여부를 검토하지 않을 수 있도록 따로 지시자를 부여하여 컨텐츠 변환부에서 공통 서비스 컨텐츠(400)에 대해 컨텐츠 변환 과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개별 서비스 컨텐츠(450)의 경우,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별도의 변환된 컨텐츠를 부여할 수 있다. 컨텐츠를 변환하기 위해서는 개별 서비스 컨텐츠(45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정보를 따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별 서비스 컨텐츠의 경우, 통신사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해야 하고, 제2 개별 서비스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 장치의 하드웨어 정보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컨텐츠 판단부에서 제1 개별 서비스 컨텐츠와 제2 개별 서비스 컨텐츠에 별도의 지시자를 부여하여 각각의 컨텐츠가 변환시 고려해야 할 정보가 통신사에 대한 정보인지 사용자 장치의 장치 정보인지를 지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식별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개별 서비스 컨텐츠는 계층 구조를 기반으로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웹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상위 계층 카테고리에서 하위 계층 카테고리로 나뉘어져 인덱싱될 수 있다. 이러한 계층 구조를 기반으로 하나의 웹 페이지에서 개별 서비스 컨텐츠인 부분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별 서비스 컨텐츠(510)는 제2 계층에서 1-1-2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개별 서비스 컨텐츠이고 제2 개별 서비스 컨텐츠(520)는 제3 계층에서 1-1-2-2에 해당하는 개별 서비스 컨텐츠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개별 서비스 컨텐츠는 1-1-2라는 식별자 정보에 의해 식별될 수 있고, 제2 개별 서비스 컨텐츠는 1-1-2-2라는 식별자 정보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개별 서비스 컨텐츠에 식별자를 할당하고, 각각 사용자 장치로 서비스하기 위해 컨텐츠 변환을 수행시 할당된 식별자를 사용함으로써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가 변하는 경우에도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개별 서비스 컨텐츠의 데이터의 종류를 분류하고 분류된 데이터 종류마다 식별자 정보를 새롭게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컨텐츠의 성격에 따라 소리,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과 같은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한 후 각각의 카테고리마다 계층 구조를 생성하여 개별 서비스 컨텐츠에 대한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사용자 장치가 특정한 개별 서비스 컨텐츠에 대해 재전송을 요청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개별적인 사용자 장치가 재전송을 요청하는 개별 서비스 컨텐츠에 대한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재전송 요청 신호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재전송 요청 신호에 포함된 개별 컨텐츠의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재전송이 요청된 개별 컨텐츠에 대해서만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서비스 장치가 각각의 사용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부하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 장치로 제공되는 서비스 컨텐츠의 포맷을 다르게 결정하여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는 서비스 장치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치로 인한 부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의 성능과 현재 액세스하고 있는 사용자 장치의 개수, 사용자 장치가 요청하는 데이터의 종류(소리, 동영상 또는 텍스트 등) 등을 기반으로 산출한 부하 정보를 비교하여 서비스 장치에 현재 어느 정도의 부하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의 부하 판단부(600)는 현재 액세스하고 있는 사용자 장치의 개수, 사용자 장치가 요청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기반으로 산출한 부하를 복수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분류된 카테고리에 따라 개별 서비스 컨텐츠의 정보 포맷을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의 부하를 3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제1 카테고리는 서비스 장치의 부하가 낮음을 지시하고, 제2 카테고리는 서비스 장치의 부하가 정상 범위에 있음을 지시하고, 제3 카테고리는 서비스 장치의 부하가 높음을 지시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는 임계값을 설정하여 서비스 장치의 부하가 제1 임계값보다 낮을 경우, 서비스 장치의 부하가 낮음을 지시하고, 서비스 장치의 부하가 제2 임계값보다 높을 경우, 서비스 장치의 부하가 높음을 지시할 수 있다.
만약 서비스 장치의 부하가 제2 카테고리(정상)에 속해있는 경우, 각 사용자 장치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포맷이 기본 포맷(제2 데이터 포맷(620))으로 변환되어 제공될 수 있다. 반면 서비스 장치의 부하가 제1 카테고리(낮음) 에 속해있거나 서비스 장치의 부하가 제3 카테고리(높음)에 속해있는 경우 사용자 장치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포맷이 기본 포맷과 다른 포맷(제1 데이터 포맷(610))으로 변환되어 전송될 수 있다. 서비스 장치의 부하가 제1 카테고리(낮음)에 속해있는 경우, 멀티미디어 포맷이 기본 포맷보다 좀더 나은 화질 및 음질을 가진 포맷(예를 들어, 데이터량이 기본 포맷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포맷)으로 변환되어 전송될 수 있다. 반대로 서비스 장치의 부하가 제3 카테고리(높음)에 속해있는 경우, 멀티미디어 포맷이 기본 포맷보다 좀더 낮은 화질 및 음질을 가진 포맷(즉, 데이터량이 기본 포맷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포맷)(제3 데이터 포맷(630))으로 변환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서비스 장치의 부하를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서로 다른 포맷을 가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개별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 장치의 우선 순위, 사용자 장치의 단말 카테고리에 따라서도 다른 포맷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시그널링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컨텐츠 판단부(700)와 공통 서비스 제공부(710), 개별 서비스 제공부(720), 컨텐츠 변환 모듈(725), 부하 판단부(730) 및 통신부(75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개시한다.
사용자 장치는 서비스 장치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 신호에는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국가 식별자, 통신사 식별자, 사용자 장치의 장치 정보), 사용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요청 서비스 컨텐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를 접속 시 전송한 경우,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를 따로 서비스 요청 신호에서 전송하지 않고, 사용자 장치의 식별자 정보만을 서비스 요청 신호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요청 서비스 컨텐츠 정보에 사용자 장치의 국가 또는 통신사에 따라 변하지 않고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데이터(공통 서비스 컨텐츠) 및 사용자 장치의 국가 또는 통신사에 따라 변하여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데이터(개별 서비스 컨텐츠)에 대한 요청이 모두 포함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컨텐츠 판단부(700)는 요청 서비스 컨텐츠에 포함된 데이터가 공통 서비스 컨텐츠인지 개별 서비스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공통 서비스 제공부(710) 및 개별 서비스 제공부(720)에서 각각의 컨텐츠를 생성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공통 서비스 컨텐츠를 요청 받은 공통 서비스 제공부(710)는 요청 받은 공통 서비스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될 서비스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서비스 컨텐츠는 사용자 장치로 공통적으로 전송되는 서비스 프레임에 포함되는 헤더 정보 또는 제어 정보일 수 있다.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요청 받은 개별 서비스 제공부(720)는 요청 받은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개별 서비스 제공부(720)는 수신한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개별적인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 서비스 제공부는 컨텐츠 변환부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에 따른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개별 서비스 컨텐츠의 생성을 요청 받은 컨텐츠 변환 모듈(725)은 사용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개별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컨텐츠를 변환하여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변환 모듈(725)에서 변환되어 생성된 개별 서비스 컨텐츠는 사용자 장치로 전송될 서비스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공통 서비스 제공부(710) 및 개별 서비스 제공부(720)에 의해 생성된 서비스 프레임은 통신부(750)를 통해 사용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는 추가적이 구성부로 부하 판단부(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하 판단부(730)에서는 현재 서비스 장치에 부하 정보를 판단하고 공통 서비스 제공부(710) 및 개별 서비스 제공부(720)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포맷을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 판단부(730)에서 판단을 수행한 결과 현재 서비스 장치에 부하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 포맷을 낮은 용량에 해당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현재 서비스 장치에 부하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 포맷을 높은 용량에 해당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7에서 개시한 각 구성부는 기능적으로 구분되어 표현된 것이다. 따라서 복수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져서 구현되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의 구성부로 분할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별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서비스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통합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장치로부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800).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요청 신호에는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 사용자 장치의 식별자 정보 및 요청 서비스 컨텐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통합 서비스 장치가 수신한 서비스 요청 신호에 포함된 요청 서비스 컨텐츠 정보를 공통 서비스 컨텐츠 및 개별 서비스 컨텐츠 요청 정보로 분류한다(단계 S810).
서비스 요청 신호에 포함된 요청 서비스 컨텐츠를 공통 서비스 컨텐츠와 개별 서비스 컨텐츠로 분류하여 어떠한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할지 여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공통 서비스 컨텐츠는 사용자 장치의 프로파일 정보(국가별 식별자, 통신사별 식별자)에 따라 변하지 않는 정보일 수 있고, 개별 서비스 컨텐츠는 사용자 장치의 국가별, 통신사별 식별자에 다라 변하는 정보일 수 있다.
통합 서비스 장치가 공통 서비스 컨텐츠를 생성하여 서비스 프레임에 포함시킨다(단계 S820).
통합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요청된 공통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공통 서비스 제공부에 공통 서비스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통합 서비스 장치는 공통 서비스 제공부에서 생성된 공통 서비스 컨텐츠를 서비스 프레임에 포함시킬 수 있다.
통합 서비스 장치가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생성하고 서비스 프레임에 포함시킨다(단계 S830).
통합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요청된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개별 서비스 제공부로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통합 서비스 장치는 개별 서비스 제공부에서 생성된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서비스 프레임에 포함시킬 수 있다.
통합 서비스 장치가 서비스 프레임을 사용자 장치로 전송한다(단계 S840).
통합 서비스 장치는 공통 서비스 컨텐츠 및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포함하는 서비스 프레임을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서비스 프레임에 포함된 공통 서비스 컨텐츠 및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기반으로 서비스 장치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통합 서비스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통합 서비스 장치, 사용자 장치 등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합 서비스 장치, 사용자 장치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의 국가별 정보 또는 통신사별 정보에 따라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없이 동일한 웹 URL이나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국가별 또는 통신사별로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장치의 서비스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프로파일을 가지는 사용자 장치에 제공되는 개별 서비스 컨텐츠와 공통 서비스 컨텐츠를 분리하여 하나의 통합적인 서비스 장치를 통해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장치의 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200: 사용자 장치 수용부 210: 세션 관리부
220: 컨텐츠 판단부 230: 공통 서비스 제공부
240: 개별 서비스 제공부 245: 컨텐츠 변환 모듈
250: 통신부 300: 프로파일 정보 인식부
310: 텍스트 변환 모듈 320: 이미지 변환 모듈
330: 멀티미디어 변환 모듈 340: 페이지 변환 모듈
400: 공통 서비스 컨텐츠 450: 개별 서비스 컨텐츠
600: 부하 판단부 700: 컨텐츠 판단부
710: 공통 서비스 제공부 720: 개별 서비스 제공부
725: 컨텐츠 변환 모듈 730: 부하 판단부
750: 통신부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통합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장치의 국가 식별 정보, 통신사 식별 정보, 사용자 장치 정보 및 요청 서비스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서비스 컨텐츠를 공통 서비스 컨텐츠 또는 개별 서비스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합 서비스 장치가 상기 국가 식별 정보, 상기 통신사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장치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결정된 상기 공통 서비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합 서비스 장치가 상기 국가 식별 정보, 상기 통신사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장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된 상기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서비스 장치가 상기 공통 서비스 컨텐츠 및 상기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포함하는 서비스 프레임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서비스 장치가 상기 통합 서비스 장치에 접속된 사용자 장치의 개수 정보 및 상기 접속된 사용자 장치와 송신 및 수신하는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에 기반하여 부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부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개별 서비스 컨텐츠의 컨텐츠 포맷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는 상기 데이터를 소리 카테고리, 동영상 카테고리, 이미지 카테고리, 텍스트 카테고리 중 하나로 분류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서비스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서비스 장치가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소리 카테고리, 동영상 카테고리, 이미지 카테고리, 텍스트 카테고리 중 하나로 카테고리 분류 후 각각의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상위 및 하위 계층 구조로 분할하여 결정한 상기 개별 서비스 컨텐츠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한 재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서비스 장치가 상기 개별 서비스 컨텐츠의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개별 서비스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 서비스 방법.
  13. 제 7항 및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30123879A 2013-10-17 2013-10-17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27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879A KR102227498B1 (ko) 2013-10-17 2013-10-17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879A KR102227498B1 (ko) 2013-10-17 2013-10-17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024A KR20150045024A (ko) 2015-04-28
KR102227498B1 true KR102227498B1 (ko) 2021-03-12

Family

ID=5303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879A KR102227498B1 (ko) 2013-10-17 2013-10-17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4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8927A (ja) * 2011-02-23 2011-06-16 Ntt Data Corp コンテンツ配信制御装置、コンテンツ配信制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1247A2 (en) * 2004-06-02 2007-01-04 Yahoo! Inc. Content-management system for user behavior targeting
KR20060080318A (ko) * 2005-01-05 2006-07-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 통합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0321A (ko) * 2005-01-05 2006-07-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68180A (ko) 2005-12-26 200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장치 및 방법
KR20100024370A (ko) * 2008-08-25 2010-03-05 이은영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8927A (ja) * 2011-02-23 2011-06-16 Ntt Data Corp コンテンツ配信制御装置、コンテンツ配信制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024A (ko) 201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49271B (zh) 自动生成api接口的描述文档的方法和装置
CN103389969B (zh) 一种用于移动终端预览pdf文件的方法、装置和系统
US8230040B2 (en) Open mobile business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CN101827302B (zh) 多业务统一处理方法及统一业务平台
CN111818136B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N109670081B (zh) 业务请求处理的方法及装置
CN107172176B (zh) 基于配置管理的app网络连接方法、设备及配置服务器
CN108337127B (zh) 应用性能监控方法、系统、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765103B (zh) 一种文件解析方法、系统、装置及设备
CN109617647A (zh) 报文转换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995239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和装置
KR20210043865A (ko) Ngsi-ld api 래핑 방법
CN105160018A (zh) 一种复制/粘贴图片的方法、装置和系统
US20130226998A1 (en) Providing machine-to-machine service
CN111427613A (zh) 一种应用程序接口api管理方法和装置
CN112417016B (zh) 一种数据交换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01039320A (zh) 用于提供客户应用和Web服务之间的接口的方法和系统
KR102227498B1 (ko)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16781586A (zh) 一种gRPC流量解析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9067649B (zh) 节点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1314495A (zh) 基于物联网LoRaWAN的通信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系统
CN115242787B (zh) 消息处理系统及方法
CN107872472A (zh) 一种通过web界面与车机交互的方法及系统
CN114648012A (zh) 一种票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N111459819A (zh) 软件测试方法及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