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8180A -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8180A
KR20070068180A KR1020050130001A KR20050130001A KR20070068180A KR 20070068180 A KR20070068180 A KR 20070068180A KR 1020050130001 A KR1020050130001 A KR 1020050130001A KR 20050130001 A KR20050130001 A KR 20050130001A KR 20070068180 A KR20070068180 A KR 20070068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e
terminal
service
communica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0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8180A/ko
Publication of KR20070068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통신 서비스 모드가 구비된 단말기에서 국가별로 적절한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통신 모드 검색 시간을 단축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신호가 송/수신되는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신호를 통해서 통신 모드에 해당되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파라미터를 이용해 통신 모드를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신호가 수신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신호를 통해서 통신 모드에 해당되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파라미터를 이용해 통신 모드의 변환을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각 국가별로 서비스 되고 있는 통신 모드가 선택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통신 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통신 모드로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통신 모드 검색 및 변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빠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통신 모드, CDMA 2000, GSM, 프로토콜, 주파수 대역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장치 및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MODE TRANSFORMATION OF 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부 20 : 제어부
30 : 송/수신부 40 : 추출부
50 : 메모리 60 : 입력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통신 서비스 모드가 구 비된 단말기에서 국가별로 적절한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통신 모드 검색 시간을 단축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provider)는 사용자에게 무선 인터넷 접속,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문자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및 무선 온라인 게임 등과 같은 통신 기능과 연계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사(manufacture)는 사용자에게 카메라, 메모 작성, 스케줄 관리, 모닝콜 기능 등과 같은 통신 기능과 연계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기능들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칭함)는 로밍 서비스가 지원이 되는데, 로밍 서비스란 하나의 사업자 또는 국가의 한계를 벗어나 여러 사업자 또는 여러 국가 내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서 사업자간의 로밍 계약을 통해 각각의 가입자가 다른 사업자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근래의 단말기는 다양한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또한 각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도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는 통신 모드 별로 지원되는 프로토콜들과 주파수 대역을 단말기에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SKT에 보급된 WCDMA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경우 WCDMA와 함께 CDMA2000을 동시에 지원하고, 유럽의 경우를 보면 WCDMA를 지원하는 단말기는 대체로 GSM을 함께 지원하는 단말기를 사용하고, 또한 북미의 경우에는 CDMA2000과 함께 AMPS를 지원하는 단말기가 많이 보급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중 통신 모드(예: 이동통신 프로토콜, 주파수 대역)를 지원하는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특정 통신 모드 만을 사용하도록 내부적인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WCDMA/GSM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경우 설정을 통해 WCDMA 네트워크만을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은 로밍이 이루어진 후, 단말기의 전원을 켜면 단말기는 통신 모드를 검색을 시작한다(S100, S102). 네트워크 검색이 시작되어서 단말기에 저장된 통신 모드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제1 통신 모드의 검색이 성공되고, 검색된 통신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등록이 성공되면, 정상적으로 통신 모드를 변환하여 서비스를 시작한다(S104, S106, S108). 만일 상기 과정(S104)에서 제1 통신 모드의 검색이 실패할 경우, 상기 제1 통신 모드 보다 우선 순위가 낮고, 단말기에 저장된 제2 통신 모드를 검색하기 시작하여 제2 통신 모드의 검색이 성공되고, 검색된 통신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등록이 성공되면 서비스를 시작한다(S110, S112, S108)
만일 상기 과정(S110)에서 제2 통신 모드의 검색이 실패할 경우, 상기 과정(S104)로 궤환하여 제1 통신 모드의 검색을 다시 시작한다(S110, S104).
그런데,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은 다양한 통신 모드(예: 이동통신 프로토콜, 주파수 대역)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경우 지원되는 통신 모드가 많으면 많을수록 로밍된 지역에 해당되는 통신 모드를 검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고, 또한 국가 마다 사용하는 통신 모드에는 많은 차이가 있으며, 이로 인해 서 다른 나라를 여행하는 경우 단말기가 통신 모드를 검색하는데 있어 보다 많은 시간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WCDMA/CDMA 2000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가지고 중국에서 로밍 서비스를 받는 경우, 중국 내에는 아직 WCDMA 통신 모드를 이용한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데도, WCDMA가 먼저 검색되기 때문에 CDMA 2000 통신 모드를 검색하는데 까지 일정한 시간이 더 소요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통신 모드 검색 및 변환 시간을 최소화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빠른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신호가 송/수신 되는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신호를 통해서 통신 모드에 해당되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파라미터를 이용해 통신 모드를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은 신호가 수신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신호를 통해서 통신 모드에 해당되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파라미터를 이용해 통신 모드의 변환을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은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각 국가별로 서비스 되고 있는 통신 모드가 선택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통신 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통신 모드로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 모드는 각 국가별로 제공되는 WCDMA, CDMA 2000, GS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는 GPS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단말기가 로밍이 이루어진 경우 현재 통신 서비스 받고 있는 지역에서 수신되는 파라미터를 분석하거나, GPS를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현재 통신 모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한 지역에 해당되는 통신 모드로 변경하는 데 소요 되는 시간을 줄이는 데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0)와, 인가된 전원으로 인해 단말기의 부팅 또는 단말기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0)와, 단말기가 부팅이 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30)와,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통신 모드를 판별할 수 있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추출부(40)와, 상기 추출된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메모리(50)와, 상기 저장된 파라미터를 선택하기 위해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추출부(40)에서 추출되는 파라미터는 각 국가에서 서비스 중인 통신 모드에 따른 프로토콜과 각 프로토콜에서 사용 중인 주파수 대역 정보를 나타낸 것이며, 이는 추출된 후, 제어부(20)의 제어하에 메모리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상기 저장된 파라미터를 선택하여 서비스 받고자 하는 통신 모드를 선택하거나 단말기 자체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선택된 통신 모드는 우선순위가 가장 높게 할당이 되며, 단말기가 온/오프 과정을 거치더라도 우선순위가 가장 높게 할당된 통신 모드를 통해서 바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50)는 각 국가별 통신 모드와 프로토콜 및 주파수 대역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메뉴를 통해서 서비스 받고자 하는 통신 모드를 선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30)를 통해 GPS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추출부(40)는 수신된 GPS 신호를 통해서 서비스 받고자 하는 통신 모드에 관한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파라미터를 이용해서 원하는 통신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가 로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전원부(10)에서 전원이 인가되어 단말기 상태가 ON 상태로 되고, 송/수신부(30)를 통해 현재 로밍이 이루어진 지역에서 제공되는 통신 모드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GPS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20)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추출부(40)로 전송하고, 상기 추출부(40)는 수신된 신호에서 현재 지역에서 제공되는 통신 모드를 판별할 수 있는 프로토콜, 주파수 대역 등의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제어부의 제어 하에 메모리(50)에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20)는 단말기의 통신 모드 상태를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파라미터에 해당된 통신 모드로 변환하고,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통신 모드에 해당되는 서비스 사업자에게 등록 신청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수신부(30)를 통해 해당 기지국에 전송하고, 상기 등록 신청을 수신한 서비스 사업자가 이를 허락하여 정상적으로 등록이 되면, 등록 허가 메시지를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등록 허가 메시지가 수신되면 비로소 변환된 통신 모드를 통해서 서비스를 받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기의 메모리(50)에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별 통신 모드와, 상기 통신 모드에 따른 프로토콜 및 주파수 대역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로밍이 이루어진 지역에 해당되는 국가, 통신 모드, 프로토콜, 주파수 대역등의 정보를 입력부(60)를 통해서 선택하면, 제어부(20)는 선택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통신 모드로 변환하고, 또한,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통신 모드에 해 당되는 서비스 사업자에게 등록 신청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수신부(30)를 통해 해당 기지국에 전송하고, 상기 등록 신청을 수신한 서비스 사업자가 이를 허락하여 정상적으로 등록이 되면, 등록 허가 메시지를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등록 허가 메시지가 수신되면 비로소 변환된 통신 모드를 통해서 서비스를 받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가 로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전원부(10)에서 전원이 인가되어 단말기 상태가 ON 상태로 되고, 송/수신부(30)를 통해 현재 로밍이 이루어진 지역에서 제공되는 통신 모드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GPS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서 통신 모드를 판별 할 수 있는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파라미터를 저장한다(S200-S204). 단말기는 상기 추출된 파라미터를 이용해 해당 통신 모드 사업자에게 허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사업자로부터 등록 허가 메시지를 수신하여 등록이 성공이 되면, 단말기는 서비스를 시작한다(S206-S210).
만일 단말기가 온/오프 과정을 거치더라도 상기 과정(S204)에서 저장된 파라미터를 통해서 바로 해당 통신 모드를 통해서 서비스가 시작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 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가 로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전원부(10)에서 전원이 인가되어 단말기 상태가 ON 상태로 되고, 사용자가 메모리에 기 저장된 각 국가별 서비스 되고 있는 통신 모드 중에서 로밍이 이루어진 지역에 해당되는 통신 모드를 선택하면, 단말기는 선택된 통신 모드 사업자에게 서비스 등록 허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300-S304). 상기 등록 허가 요청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전송되고, 상기 사업자로부터 허가 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말기가 해당 통신 모드의 등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단말기는 해당 서비스로 통신 모드를 변환하고, 변환된 통신 모드로 서비스를 시작한다(S306, S308).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가 다양한 이동 통신 프로토콜과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통신 모드를 지원하더라도, 국가별로 지원 되는 모드(즉, 이동통신 프로토콜 또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분석 및 이용하여 단말기가 위치한 국가에서 서비스 중인 모드만을 검색하도록 하고,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 각 국가별로 지원되는 통신 모드에 해당되는 정보를 기 저장함으로써 추후 로밍이 이루어질 때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국가의 통신 모드를 입력 받음으로써 불필요한 통신 모드의 검색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신호가 송/수신 되는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신호를 통해서 통신 모드에 해당되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파라미터를 이용해 통신 모드를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단말기의 전원이 인가된 후, 수신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통신 모드로 서비스가 이루어진 후, 단말기가 온/오프 과정을 거치더라도 상기 변환된 통신 모드로 서비스가 바로 이루어지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는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및/또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 모드를 판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비스하고자 하는 통신 모드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통신 모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각 국가별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및/또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구분된 통신 모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신호가 수신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신호를 통해서 통신 모드에 해당되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파라미터를 이용해 통신 모드의 변환을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단말기의 전원이 인가된 후, 수신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파라미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변환된 통신 모드로 서비스가 이루어진 후, 단말기가 온/오프 과정을 거치더라도 상기 변환된 통신 모드로 서비스가 바로 이루어지게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는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및/또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 모드를 판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만일, 서비스하고자 하는 통신 모드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통신 모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각 국가별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및/또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구분된 통신 모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
  17.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각 국가별로 서비스 되고 있는 통신 모드가 선택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통신 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통신 모드로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과정은
    상기 변환된 통신 모드로 서비스가 이루어진 후, 단말기가 온/오프 과정을 거치더라도 상기 변환된 통신 모드로 서비스가 바로 이루어지게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는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및/또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각 국가별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및/또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구분된 통신 모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방법.
KR1020050130001A 2005-12-26 2005-12-26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장치 및 방법 KR20070068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001A KR20070068180A (ko) 2005-12-26 2005-12-26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001A KR20070068180A (ko) 2005-12-26 2005-12-26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180A true KR20070068180A (ko) 2007-06-29

Family

ID=3836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001A KR20070068180A (ko) 2005-12-26 2005-12-26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81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5024A (ko) 2013-10-17 2015-04-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5024A (ko) 2013-10-17 2015-04-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1019B1 (en) Subscriber identity apparatus which is wirelessly connected to communication terminal
US6993336B2 (en) Roaming indicators for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8554219B2 (en) Method of selecting a network by a mobile apparatus
CN106851610B (zh) 一种移动终端根据sim卡选择volte的方法及系统
CN100455132C (zh) 一种控制漫游用户接入网络的方法及系统
KR20090130981A (ko)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장치
CN101940033A (zh) 无线电信网络中用于控制用户设备的漫游导向的方法
WO2009127101A1 (zh) 自动选择网络方法以及终端
CN101483689A (zh) 可动态变更人机界面的电子装置及相关方法
GB2365261A (en) Network selection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JP2002320260A (ja) 移動通信端末
US8315613B1 (en) Assisting a user to store and place a call back to received international number
KR101382043B1 (ko) 음성 호 지연을 줄이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
US8238944B2 (en) Disaster and emergency mode for mobile radio phones
EP1760964B1 (en)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telephone communication switching method
CN105101336A (zh) 一种Wi-Fi接入方法、装置、移动终端及服务器
JP2002135848A (ja) 移動通信端末装置
CN105848251B (zh) 一种热点接入方法、装置及终端
JP2006222774A (ja) 移動体通信ネットワーク(plmn)の選択方法、移動体通信システ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6818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변환 장치 및 방법
EP3235302A1 (en) Method for switching from a first to a second mobile network operator and corresponding device
CN106211142B (zh) 一种WiFi AP终端广域网接入方法
KR20090101619A (ko) 국제 로밍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1132160B (zh) 路由管理方法、终端接入方法及无线接入系统
KR101666687B1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