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206B1 - 상수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상수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206B1
KR102227206B1 KR1020180089491A KR20180089491A KR102227206B1 KR 102227206 B1 KR102227206 B1 KR 102227206B1 KR 1020180089491 A KR1020180089491 A KR 1020180089491A KR 20180089491 A KR20180089491 A KR 20180089491A KR 102227206 B1 KR102227206 B1 KR 102227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discharge
transfer pipe
main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4077A (ko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이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현 filed Critical 이종현
Priority to KR1020180089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2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4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2Public or like main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 수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를 액적화하여 채수지로 이송시키는 상수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의 상수를 흡입하고, 흡입된 상수를 액적(Droplet)화하여 배출하는 취수부와, 취수부와 연결되고, 취수부로부터 배출된 액적화된 상수가 순환되는 유로를 갖는 메인 이송관부와, 메인 이송관부에 연결되고, 액적화된 상수를 응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부를 포함하고, 메인 이송관부는 내부에 기류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송풍팬이 결합되는 상수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상수 이송 장치{APPARATUS FOR TRANSFERING SERVICE WATER}
본 발명은 상수 수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를 액적화하여 채수지로 이송시키는 상수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수 이송 장치는 수원지에 위치한 상수를 수원지에서 멀리 떨어진 채수지로 이송하는 장치로서, 수원지에서 상수를 흡입하는 취수부, 취수부와 연결되어 취수부에 의해 흡입된 액체 상태의 상수를 이송하는 메인 이송관 및 메인 이송관에서 분기되며 각 채수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관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상수 이송 장치의 메인 이송관은 취수부와 인전합 일영역에서 출발한 상수가 다시 일영역으로 돌아오지 않는 비순환관 형태로 형성되어, 배출관의 위치에 따라 상수의 송출 압력이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상수 이송 장치의 메인 이송관은 액체상태의 상수를 이송하는 것으로, 액체의 압력을 견디도록 두껍게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무게가 무거워지고 단가가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메인 이송관의 두께가 비교적 얇으면서, 배출관의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한 송출압력을 갖는 상수 이송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메인 이송관의 두께가 비교적 얇으면서, 배출관의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한 송출압력을 갖는 상수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의 상수를 흡입하고, 흡입된 상수를 액적(Droplet)화하여 배출하는 취수부와, 취수부와 연결되고, 취수부로부터 배출된 액적화된 상수가 순환되는 유로를 갖는 메인 이송관부와, 메인 이송관부에 연결되고, 액적화된 상수를 응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부를 포함하고, 메인 이송관부는 내부에 기류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송풍팬이 결합되는 상수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취수부는 음압(Negative pressure)을 이용해 외부의 상수를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배출부는 메인 이송관부의 유로와 연통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배출관과, 배출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코일부재와, 코일부재와 연결되며, 코일부재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재를 포함하고, 코일부재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배출관의 내주면에 액적화된 상수가 응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이송관부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취수부는 외부의 상수가 유입 가능한 흡입관과, 흡입관을 따라 유입된 상수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내부공간과 메인 이송관부의 유로를 연통시키는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부재와, 본체부재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에 양압 또는 음압을 제공하는 펌프부재를 포함하고, 펌프부재에 의해 내부공간에 양압이 제공되는 경우, 본체부재에 수용된 상수는 중공을 통해 메인 이송관부의 유로로 배출되며, 펌프부재에 의해 내부공간에 음압이 제공되는 경우, 외부의 상수는 흡입관을 통해 본체부재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액적화된 상태로 상수를 이송시키기 때문에, 액체 상태로 상수를 이송시킬 때와 달리 메인 이송관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지 않으므로, 두꺼운 관 두께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수를 이송하는 메인 이송관이 순환관 형태로 형성되어, 배출관의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한 송출압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 이송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 이송 장치의 메인 이송관부와 결합된 취수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 이송 장치의 메인 이송관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 이송 장치의 메인 이송관부와 결합된 배출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 이송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 이송 장치(1)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 이송 장치(1)는 순환형으로 구성된 원, 타원,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의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수 이송 장치(1)는 취수부(10), 메인 이송관부(20) 및 하나 이상의 배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취수부(10)는 수원지에 설치되어, 수원지로부터 상수를 흡입하고, 흡입한 상수를 액적(droplet)화하여 메인 이송관부(20)에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취수부(10)는 음압(Negative pressure)을 이용해 수원지의 상수를 내부로 흡입하고, 양압(Positive pressure)을 이용해 흡입된 상수를 밀어 메인 이송관부(20)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이송관부(20)로 배출된 상수는 메인 이송관부(20) 내부의 공기와 부딪히며, 액적화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취수부(1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취수부(10)는 흡입관(11), 본체부재(12) 및 펌프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관(11)은 수원지와 본체부재(12)를 연결하는 것으로, 일단은 수원지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은 본체부재(12)에 연결될 수 있고, 내부에는 상수가 이송 가능한 유로(1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입관(11)은 천연수지, 합성수지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Flexible)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주름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입관(11)은 연성의 주름관 현태를 가지고 있어, 취수지에 위치에 따라 일단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체부재(12)는 흡입관(11)로부터 이송된 상수가 수용되는 내부공간(121)이 형성되며, 메인 이송관부(20)에 결합되고, 메인 이송관부(20)의 유로와 연통되는 제1중공(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중공(122)은 내부공간(121)의 크기보다 현저히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후술할 펌프부재(13)에 의해 내부공간(121)에 양압이 제공되는 경우, 내부공간(121)에 위치한 상수는 높은 압력으로 밀려 메인 이송관부(20)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메인 이송관부(20)는 본체부재(12)와의 연통을 위해 제1중공(122)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제2중공(23)이 제1중공(1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중공(122)에는 상수의 액적화를 돕는 마이크로 스트레이너(Strainer, 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즉, 본체부재(121)의 내부공간(121)에 위치한 상수는 메인 이송관부(20)와의 음압차이에 의해서 액적화 될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스트레이너(미도시)에 의해서도 액적화 될 수 있다.
펌프부재(13)는 본체부재(12)의 일면에 결합되어, 내부공간(121)에 양압(Positive pressure) 또는 음압(Negative pressure)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펌프일 수 있다.
펌프부재(13)에 의해 내부공간(121)에 음압이 제공되는 경우, 수원지의 상수는 흡입관(11)을 통해 내부공간(121)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이때, 내부공간(121)에 형성된 음압에 의해 메인 이송관부(20)에 위치한 액적화된 상수가 내부공간(121)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본체부재(12)와 메인 이송관부(20) 사이에는 이들의 연통을 차단하는 제1밸브(1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펌프부재(13)에 의해 내부공간(121)으로 양압이 제공되는 경우, 내부공간(121)에 위치한 상수는 메인 이송관부(20)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내부공간(121)에 형성된 양압에 의해 메인 이송관부(20)에 위치한 상수가 흡입관(11)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본체부재(12)와 흡입관(11) 사이에는 이들의 연통을 차단하는 제2밸브(15)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이송관부(20)는 액적화된 상수를 이송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액적화된 상수가 이동 가능한 유로(21)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 이송관부(20)의 유로(21)는 순환관 형태로 형성되어, 액적화된 상수는 배출부(30)로 이동되지 않는 한, 계속해서 유로(21)를 순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이송관부(2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송풍팬(22)이 결합될 수 있다. 송풍팬(22)은 유로(21)에 기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기류가 발생됨에 따라 액적화된 상수는 기류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이송관부(20)는 20mm 내지 30mm의 관 두께를 갖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액적화된 상수를 이송하기 때문에, 액체상태의 상수를 이송하는 관과 달리 두꺼운 두께가 요구되지 않는다.
배출부(30)는 채수지에 설치되어 메인 이송관부(20) 내부의 액적화된 상수를 응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요소로서, 메인 이송관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배출부(30)에 대한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도 1은 하나의 메인 이송관부(20)에 하나의 배출부(30)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메인 이송관부(20)에 복수의 배출부(30)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채수지마다 각각 배출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배출부(30)는 배출관(31), 코일부재(32) 및 전류공급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관(31)은 액적화된 상수(A)가 응집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단이 메인 이송관부(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메인 이송관부(20)의 유로(21)와 연통되는 유로(311)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관(31)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주면에 송풍팬(313)이 결합될 수 있다. 배출관(31)에 결합된 송풍팬(313)으로 인해, 메인 이송관부(20)에 위치한 액적화된 상수 중 일부는 기류에 의해 배출관(31)의 유로(311)로 이동될 수 있다.
코일부재(32)는 배출관(3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류공급부재(33)와 연결되어 전류공급부재(33)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코일부재(32)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음전하를 띄는 액적화된 상수(A)는 양전하를 띄는 배출관(31)의 내주면으로 이동되어 응집되어 액체 상태의 물 덩어리(B)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배출관(31)의 타단은 수집탱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고,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일단에서 일지점으로 갈수록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지점은 일단과 타단 사이에 위치한 어느 한지점이다.
이와 같이 배출관(31)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인해, 액적화된 상수(A)가 응집되어 형성된 물 덩어리(B)는 중력에 의해 수집탱크(미도시)로 쉽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액적화된 상수(A)가 접촉되는 배출관(31)의 내주면의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 배출관(31)의 상측 내주면에는 판 형태의 복수의 돌기(3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출관(31)의 상측 내주면에만 돌기(312)가 형성되기 때문에, 타단 측으로 이동하는 물 덩어리(B)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액적화된 상수(A)와 접촉되는 표면적을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관(31)의 적어도 일부 외주면(예: 밑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미도시)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수흡입부(미도시)가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되거나 고여있는 상수(A) 또는 물덩어리(B)를 흡입할 수 있고, 배수흡입부는 흡입된 액체를 수집탱크에 저장할 수 있다. 배출관(31)의 직경이 특정 임계값 이하의 직경(예: 30mm이하)의 상대적으로 얇은 관 두께를 가지는 경우, 상기 배수흡입부와 같이 강제로 수분을 흡입할 수 있는 시스템이 더 효율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배출관(31)의 직경이 상기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전술한 경사진 구성 또는 상기 배출홀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배출관(31)이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배출관(31)은 경사지거나 또는 경사지지 않을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홀과 배수흡입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 이송 장치(1)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수 이송 장치(1)는 습도 측정부(40) 및 제어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습도 측정부(40)는 메인 이송관부(20)의 유로에 설치되어 메인 이송관부(20)의 습도를 측정하는 구성요소로서,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제어부(50)로 측정된 습도값을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습도 측정부(40)로부터 송신된 습도값에 따라, 취수부(10) 및 배출부(30)를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제어부(50)는 습도 측정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펌프부재(13), 제1밸브(14) 및 제2밸브(15)를 구동하여 메인 이송관부(20)으로 액적화된 상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습도 측정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전류공급부재(33) 및 송풍팬(313)을 구동하여, 액적화된 상수를 배출부(30)에 응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이송관부(20)의 습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취수부(10) 및 배출부(30)가 제어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 및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수 이송 장치(1)는 상수 이외의 다른 액체를 이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상수 이송 장치
10 : 취수부
20 : 메인 이송관부
30 : 배출부

Claims (5)

  1. 음압(Negative pressure)을 이용해 외부의 상수를 흡입하고, 흡입된 상수를 액적(Droplet)화하여 배출하는 취수부와,
    상기 취수부와 연결되고, 상기 취수부로부터 배출된 액적화된 상수가 순환되는 유로를 갖는 메인 이송관부와,
    상기 메인 이송관부에 연결되고, 액적화된 상수를 응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이송관부는 내부에 기류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송풍팬이 결합하며,
    상기 취수부는,
    외부로부터 상수를 흡입하는 흡입관;
    상기 외부로부터 흡입된 상수가 수용되는 본체부재;
    상기 취수부와 메인 이송관부를 연통하는 제1중공;
    상기 메인 이송관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재로 상수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1밸브; 및
    상기 본체부재로부터 상기 흡입관으로 상수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2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이송관부는,
    상기 제1중공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중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중공을 포함하는, 상수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메인 이송관과 결합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홀; 및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되는 상수를 흡입하는 배수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직경이 3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 이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배출부는,
    상기 메인 이송관과 결합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코일부재; 및
    상기 코일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코일부재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재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배출관의 내주면에 액적화된 상수가 응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 이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이송관부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 이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부는,
    상기 본체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재의 내부공간에 양압 또는 음압을 제공하는 펌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부재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에 양압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재에 수용된 상수는 상기 제1중공 및 제2중공을 통해 상기 메인 이송관부의 유로로 배출되며,
    상기 펌프부재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에 음압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외부의 상수는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본체부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 이송 장치.
KR1020180089491A 2018-07-31 2018-07-31 상수 이송 장치 KR102227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491A KR102227206B1 (ko) 2018-07-31 2018-07-31 상수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491A KR102227206B1 (ko) 2018-07-31 2018-07-31 상수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077A KR20200014077A (ko) 2020-02-10
KR102227206B1 true KR102227206B1 (ko) 2021-03-12

Family

ID=6962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491A KR102227206B1 (ko) 2018-07-31 2018-07-31 상수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2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0632A (ja) * 2011-06-14 2013-01-07 Maezawa Ind Inc 揚砂装置及び揚砂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570A (ko) * 2009-02-26 2010-09-03 조기환 양돈폐수 고형물 분리장치
KR101226173B1 (ko) * 2010-07-09 2013-01-24 한삼코라(주)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
KR101898621B1 (ko) * 2016-10-06 2018-09-13 이문현 증류수 제조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0632A (ja) * 2011-06-14 2013-01-07 Maezawa Ind Inc 揚砂装置及び揚砂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077A (ko) 202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9666B2 (en) Superparticle atomizing device
CN103306950B (zh) 加湿装置
CN103306947B (zh) 加湿装置
US10054322B2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CN102307599A (zh) 雾化消毒装置
US20060201502A1 (en) Nebulizing drug delivery device with increased flow rate
US121172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HVAC cooling coils
KR102227206B1 (ko) 상수 이송 장치
US6895632B2 (en) Hand held vacuum with arcuate gliding surface
CN102670117A (zh) 手干燥装置
US20210128866A1 (en) Humidification device and respiratory humidification and blow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5051263A (ja) ミストサウナ機能付浴室暖房乾燥機
KR20190069202A (ko)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CN113243849A (zh) 清洁设备、供应装置及清洁系统
JP2013024479A (ja) 水分搬送装置
US202300163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hvac cooling coils
KR101630627B1 (ko) 생수병 가습기
CN111902218B (zh) 液体微细化装置
KR20070081444A (ko) 파우더 충진장치
CN205181223U (zh) 一种带喷水功能的液体抽汲装置
CN106904457A (zh) 一种粉尘贮存卸料装置
CN205937250U (zh) 带加热装置的真空发生管
JP2015163500A5 (ko)
CN105240979B (zh) 一种加湿空调
KR20200073895A (ko) 자동 우산 빗물 제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