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655B1 - 유압 잭 장치 - Google Patents

유압 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655B1
KR102226655B1 KR1020190048275A KR20190048275A KR102226655B1 KR 102226655 B1 KR102226655 B1 KR 102226655B1 KR 1020190048275 A KR1020190048275 A KR 1020190048275A KR 20190048275 A KR20190048275 A KR 20190048275A KR 102226655 B1 KR102226655 B1 KR 102226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hydraulic jack
fastening
hydraulic jacks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4873A (ko
Inventor
김경남
홍대희
정명민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48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655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46Combinations of several jacks with means for interrelating lifting or lower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복수개의 유압 잭 장치를 원하는 만큼 병렬로 연결 가능한 유압 잭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압 잭 장치는 실린더 내부의 유압에 의해 작동체가 전후진하는 복수개의 유압 잭 및 상기 복수 개의 유압 잭 중 서로 이웃하는 유압 잭 사이에 서로 이웃하는 유압 잭을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병렬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압 잭 장치 {Hydraulic pump apparatus}
본 발명은 유압 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유압 잭 장치를 원하는 만큼 병렬로 연결 가능한 유압 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잭은 실린더 내부에 유압을 가하여 작동체인 램이나 플러저를 왕복시키는 장비이다. 이러한 유압 잭은 적은 펌프의 힘으로 큰 힘을 낼 수 있기 때문에 널리 다양한 곳에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유압 잭은 소위 IPS공법, 프리스트레스트 방식을 도입한 지하가시설 공법에 적용할 수 있는 바, 이때, 프리스트레스트 방식을 도입한 지하가시설 공법(이하, 'IPS 공법: Innovative Pre-stressed Support 공법' 이라 함)은 지하가시설 구조물에서 촘촘히 다량으로 설치되는 버팀보의 효과를, 곡선으로 배치된 긴장재의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에 의한 효과로 대체하여, 설치되어야 하는 버팀보의 사이 간격을 크게 하여 지하가시설 공사에 투입되는 강재량을 대폭 줄이는 획기적인 공법이다.
이러한 IPS 공법에서 긴장재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유압 잭이 수평으로 놓인 상태로 제공되어 사용되는데, 여러가지 이유로 하나의 유압 잭이 아니라 여러 개의 유압 잭이 동시에 힘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상태로 사용된다.
그러나, IPS공법에서는 수직으로 유압 잭을 여러 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 다른 문제점이 없으나, 수평으로 유압 잭을 여러 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중에 의해 그 위치 확보가 어려워 그에 해당하는 연결부재를 각각의 유압 잭의 개수와 위치에 따라 그때그때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66148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압 잭들을 연결부재로 원하는 거리와 원하는 개수로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한 유압 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실린더 내부의 유압에 의해 작동체가 전후진하는 복수 개의 유압 잭 및 상기 복수 개의 유압 잭 중 서로 이웃하는 유압 잭 사이에 서로 이웃하는 유압 잭을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병렬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유압 잭이 3개 이상의 유압 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3 개 이상의 유압 잭이 다각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유압 잭이 서로 이웃하는 유압 잭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병렬연결부는 상기 복수 개의 유압 잭 중 제 1 유압 잭의 실린더 일측에 형성되어 제 1 체결볼트가 통과되는 제 1 체결부; 상기 복수 개의 유압 잭 중 상기 제 1 유압 잭에 이웃하는 제 2 유압 잭의 실린더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는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제 2 체결볼트와 나사 결합되는 제 2 체결부; 상기 제 1 체결부와 연통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제 1 체결볼트와 체결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와 연통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제 2 체결볼트가 통과되는 제 2 연결부를 구비한 병렬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병렬연결부재는,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중간연결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연결부, 상기 제 2 연결부 및 상기 중간연결부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체결부, 상기 제 2 체결부, 상기 제 1 연결부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부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압 잭의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체결볼트 및 상기 제 2 체결볼트가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체결부의 하단과 상기 제 2 체결부의 상단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부의 상단과 상기 제 2 연결부의 하단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유압 잭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지지대 사이에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지 않은 수평 방향 혹은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가압됨으로써 상기 두 개의 지지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병렬연결부가 상기 서로 이웃하는 유압 잭 사이를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서로 구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병렬연결부에 의해 복수개의 유압 잭을 모듈화하여 원하는 위치와 형태로 배열하여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수평방향 혹은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 시 하중방향에 대하여 병렬연결부가 서로 이웃하는 유압 잭 사이를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서로 구속하여 상호 지지함으로써 설계대로의 위치와 형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2) 본 발명은 병열연결부재에 의해 평면 상 다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중공타입의 펌프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압 잭 장치를 적용하기 위한 IPS 공법 적용시의 가설물 내측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설물에 유압 잭 장치가 적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설물에 유압 잭 장치가 적용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유압 잭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유압 잭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유압 잭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유압 잭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유압 잭 장치의 개략도와 일부 구성요소인 병렬연결부재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잭 장치(1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유압 잭 장치(100)가 적용될 수 있는 IPS 공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흙막이용 띠장 구조체(10)는 흙막이 가시설 공사시 프리스트레스트 방식의 띠장(30)에 설치되는 강선(32)에 긴장력을 가하여 띠장(30)이 굴착으로 인한 지반의 토압을 지지하도록 한다. 이때, 띠장(30)은 흙막이 벽체(11) 내측에 설치되고, 흙막이 벽체(11)는 직사각형 평면구조를 갖는 흙막이 가시설 공사를 위해 굴착된 부위의 내벽에 시동될 수 있다. 띠장(3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편심보가 설치되며, 편심보의 상단을 강선(32)이 지나가게 할 수 있다.
이때, 강선(32)의 긴장력은 굴착으로 인한 흙막이 벽체(11)의 변형을 억제하여 대도심 굴착 등에서 인접 구조물에 피해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편심보는 띠장에서 돌출된 길이를 조절하여 긴장력이 가해졌을 경우 띠장에 작용하는 압축력을 상쇄할 수 있다.
이러한, 흙막이용 띠장 구조체는 강선에 긴장력을 증가시켜줌으로써 지반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러한 강선의 긴장력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압 잭 장치(100)를 수평으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유압 잭은 2개 혹은 3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유압 잭은 일렬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3개 이상의 유압 잭은 서로 연결되어 다각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하 제 1 실시예에서는 2개의 유압 잭(110,190)이 결합된 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잭 장치(100)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복수 개의 유압 잭 중 이웃하는 유압 잭인 제 1 유압 잭(110)과 제 2 유압 잭(190)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병렬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유압 잭(110)은 실린더(111)와 작동체(112) 그리고 실린더(111) 내부에 작동유를 제공하는 펌프를 통상 포함한다. 작동체(112)는 램 또는 플런저라 불리는 바, 유압에 따라 직선으로 왕복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병렬연결부는 제 1 체결부(111a), 제 2 체결부(191b), 병렬연결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111a)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 1 유압 잭(110)의 실린더(1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체결볼트(130) 중 제 1 체결볼트(131)가 통과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1 체결부(111a)는 상기 실린더(111)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유압 잭(110)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체결부(111a)는 제 1 체결볼트(131)가 통과하기만 하는 것이지 나사 결합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 체결부(191b)는, 상기 제 2 유압 잭(190)의 실린더(191)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체결부(111a)와는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제 2 체결볼트(132)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체결부(191b)도 상기 실린더(191)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유압 잭(190)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유압 잭에 한쪽에는 제 1 체결부가 반대편 쪽에는 제 2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체결부는 상기 제 1 체결부의 반대편 즉 180도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유압 잭(110)의 제 1 체결부(111a) 반대편에는 제 2 체결부(111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물론 그 외 다른 각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 1 체결부(111a)와 제 2 체결부(191b)는 그 길이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체결부(111a)의 하단이 상기 제 2 체결부(191b)의 상단과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압 잭(110, 190)은 각 실린더(111, 191)에 상술한 제 1, 2 체결부(111a, 191b)가 동일한 형태를 이루도록 여러 개 형성하여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병렬연결부재(120)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제 1 연결부(121a), 제 2 연결부(121b), 중간연결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부(121a)는 상기 제 1 체결부(111a)와 연통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제 1 체결볼트(131)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121a)는 상기 제 1 체결부(111a)와 마찬가지로 긴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제 2 연결부(121b)는 상기 제 2 체결부(191b)와 연통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제 2 체결볼트(132)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1, 2 연결부(121a, 121b)는 그 높이가 다를 뿐 동일한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연결부(121a) 내부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중간연결부(121)는 상기 제 1 연결부(121a)와 제 2 연결부(121b)가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간연결부(121)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에는 제 1 연결부(121a)가 반대 타단에는 제 2 연결부(121b)가 각각 연결 형성되어 있다. 중간연결부의 길이는 이웃하는 유압 잭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체결부(111a), 제 2 체결부(191b), 제 1 연결부(121a) 그리고 제 2 연결부(121b)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1 체결부(111a), 제 2 체결부(191b), 제 1 연결부(121a) 그리고 제 2 연결부(121b)는 유압 잭(110, 190)의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체결볼트(130)가 통과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유압 잭 장치(100)의 연결을 보여주는 분해도를 볼 수 있다. 두 개의 유압 잭(110, 190) 사이에 이를 연결하기 위한 병렬연결부재(120)가 위치하고 있다. 제 1, 2 유압 잭(110, 190)은 두 개가 모두 동일한 형태로 제 1 체결부(111a)와 제 2 체결부(191b)가 형성되어 있고, 유압 잭(110, 190)은 상기 병렬연결부재(12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두 유압 잭(110, 190)의 모듈화를 위한 조립은, 상기 제 1 유압 잭(110)의 제 1 체결부(111a)에 상기 병렬연결부재(120)의 제 1 연결부(121a)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위치시키고, 동시에 인접하게 연결될 다른 유압 잭(190)의 제 2 체결부(191b) 상부에 제 2 연결부(112b)가 위치시킨 상태에서 두 개의 체결볼트(130)를 이용하여 도 5와 같이 체결함으로써 두 개의 유압 잭(110, 190)을 연결하여 모듈화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병렬연결부재(120)에 의해 두 개의 유압 잭(110, 190)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압 잭 장치(100)를 수평 혹은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하여 IPS공법에 사용하게 되면 하중방향에 대하여 상호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설계대로의 위치와 형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유압 잭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유압 잭(210, 280, 290)의 실린더를 연결하는 병렬연결부재(220)를 하나가 아니라 둘 이상을 적용한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또한, 3 개의 유압 잭(210, 280, 290)이 삼각형으로 배열되고, 이와 같이 삼각형으로 배열된 유압 잭 장치(200)의 중앙 부분에 홀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홀에는 배관 혹은 전선 등이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유압 잭이 삼각 형상으로 배치된 예가 도시되었으나, 유압 잭이 4개로 이루어진 경우 사각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와 유사하게 5개 이상의 유압 잭이 다각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유압 잭(210, 280, 290)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실린더(211, 281, 291)와 작동체(212, 282, 292)로 이루어지고, 실린더(211, 281, 291)의 외면에 제 1 체결부(211a)와 제 2 체결부(291b)가 형성된 것도 동일하다. 상기 유압 잭 장치(200)는 제 1 유압 잭(210), 제 2 유압 잭(290), 제 3 유압 잭(280)으로 이루어지는 세 개의 유압 잭(210, 280, 290)이 120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모듈화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압 잭(210, 280, 290)은 병렬연결부가 하나의 병렬연결부재(220)에 의해 연결된 것이 아니라 두 개의 병렬연결부재(220)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필요에 따른 두 개 이상의 병렬연결부재(220)를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때, 상기 병렬연결부재(220)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연결부(221a)와 제 2 연결부(221b), 그리고 중간연결부재(221)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 1, 2 유압 잭(210, 290)의 제 1, 2 체결부(211a, 291b)와 연결하는 것처럼 병렬연결부재(220)를 여러 개의 체결볼트(231, 232, 233 : 230)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유압 잭 장치(3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유압 잭 장치(30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연결의 유연성에서 차이점이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유압 잭(310)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들과 병렬연결부재의 구성은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그 재질의 일부를 유연한 재질로 변경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유압 잭 장치(300)는, 실린더(311) 내부의 유압에 의해 작동체가 전후진하는 복수개의 유압 잭을 포함하는 유압 잭 장치(310)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3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체결볼트가 통과되는 제 1 체결부와,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는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체결볼트와 나사 결합되는 제 2 체결부를 동일하게 포함한다.
또한, 벙렬연결부재(3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체결부와 연통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체결볼트와 체결되는 제 1 연결부(321a)와, 상기 제 2 체결부와 연통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체결볼트가 통과하는 제 2 연결부(321b)와, 상기 제 1 연결부(321a)와 제 2 연결부(321b)가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하는 중간연결부(321)를 구비한다. 여기서, 특히 상기 제 2 연결부(321b)와 중간연결부(321) 중에 어느 하나의 일부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중간연결부(321)의 일부가 유연한 재질인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중간연결부(321)가 고무로 이루어짐으로써 도 8과 같이, 모듈화되어 설치된 유압 잭 장치(310)가 상황과 위치에 따라 약간이 틀어질 경우 이를 보상하여 유압 잭(310)이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각도가 도면에는 과장되어 표현되어 있으나, 매우 작은 각도로 틀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병렬연결부가 제 1 체결부, 제 2 체결부 및 병렬연결 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병렬연결부재가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서로 이웃하는 유압 잭을 상호 연결하는 병렬연결부는 서로 이웃하는 유압 잭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잭 장치는, 복수의 유압 잭이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지지대 사이에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지 않은 수평 방향 혹은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가압됨으로써 상기 두 개의 지지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병렬연결부가 상기 서로 이웃하는 유압 잭 사이를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서로 구속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유압 잭이 수평 방향 혹은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복수의 유압 잭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두 개의 지지대를 지지하는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200, 300 : 유압 잭 장치
110, 210, : 제 1 유압 잭 111, 191, 211, 281, 291, 311 : 실린더
111a, 211a : 제 1 체결부 112, 192, 212, 281, 292, 312 : 작동체
120, 220 : 병렬연결부재 121a, 221a : 제 1 연결부
121b, 221b : 제 2 연결부 190, 290 : 제 2 유압 잭
191b, 291b : 제 2 체결부 280 : 제 3 유압 잭

Claims (10)

  1. 실린더 내부의 유압에 의해 작동체가 전후진하는 복수 개의 유압 잭 및
    상기 복수 개의 유압 잭 중 서로 이웃하는 유압 잭 사이에 서로 이웃하는 유압 잭을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병렬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병렬연결부는
    상기 복수 개의 유압 잭 중 제 1 유압 잭의 실린더 일측에 형성되어 제 1 체결볼트가 통과되는 제 1 체결부;
    상기 복수 개의 유압 잭 중 상기 제 1 유압 잭에 이웃하는 제 2 유압 잭의 실린더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는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제 2 체결볼트와 나사 결합되는 제 2 체결부;
    상기 제 1 체결부와 연통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체결볼트와 체결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와 연통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체결볼트가 통과되는 제 2 연결부를 구비한 병렬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유압 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유압 잭이 3개 이상의 유압 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3개 이상의 유압 잭이 다각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유압 잭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유압 잭이 서로 이웃하는 유압 잭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배치된 유압 잭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연결부재는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중간연결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연결부, 상기 제 2 연결부 및 상기 중간연결부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유압 잭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 상기 제 2 체결부, 상기 제 1 연결부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부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된 유압 잭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볼트 및 상기 제 2 체결볼트가 상기 유압 잭의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유압 잭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의 하단과 상기 제 2 체결부의 상단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 유압 잭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의 상단과 상기 제 2 연결부의 하단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 유압 잭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유압 잭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지지대 사이에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지 않은 수평 방향 혹은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가압됨으로써 상기 두 개의 지지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병렬연결부가 상기 서로 이웃하는 유압 잭 사이를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서로 구속하도록 형성되는 유압 잭 장치.
KR1020190048275A 2019-04-25 2019-04-25 유압 잭 장치 KR102226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275A KR102226655B1 (ko) 2019-04-25 2019-04-25 유압 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275A KR102226655B1 (ko) 2019-04-25 2019-04-25 유압 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873A KR20200124873A (ko) 2020-11-04
KR102226655B1 true KR102226655B1 (ko) 2021-03-10

Family

ID=7357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275A KR102226655B1 (ko) 2019-04-25 2019-04-25 유압 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6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447Y1 (ko) 2005-11-25 2006-03-28 한전기공주식회사 회전기기용 커플링을 분해 또는 조립하는 장치
KR101673984B1 (ko) * 2016-02-24 2016-11-08 강혜경 강콘크리트 합성과 인장강선을 이용한 버팀보 및 이의 시공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246B2 (ja) * 1992-07-07 1995-08-30 博 吉田 耐荷材
KR19980041052U (ko) * 1996-12-23 1998-09-15 김종진 끼워맞춤공구 분해용 지그
KR100661486B1 (ko) 2005-12-29 2006-12-27 한국철도시설산업 (주) 틈새용 역 유압잭
KR20110086235A (ko) * 2010-01-22 2011-07-28 (주)일진에너지 커플링의 분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447Y1 (ko) 2005-11-25 2006-03-28 한전기공주식회사 회전기기용 커플링을 분해 또는 조립하는 장치
KR101673984B1 (ko) * 2016-02-24 2016-11-08 강혜경 강콘크리트 합성과 인장강선을 이용한 버팀보 및 이의 시공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873A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208B1 (ko) 개량된 흙막이 가시설용 프리스트레스 강재띠장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28700B1 (ko) 흙막이 가시설용 보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 구조
KR100776373B1 (ko) 2열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0908321B1 (ko) 흙막이 가시설용 프리스트레스 합성띠장 시공방법
KR101599327B1 (ko)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102226655B1 (ko) 유압 잭 장치
KR101974378B1 (ko) 유압장치를 통한 철근 콘크리트 건물의 내진보강 구조
JP6664699B2 (ja) 山留め工法及び支保工システム
KR101026583B1 (ko) 토류벽체 지지용 띠장재
KR20110009644U (ko) 흙막이 벽체 시공용 버팀보 연결장치
KR100648409B1 (ko) 가설 흙막이 공법
KR102309544B1 (ko)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2275450B1 (ko) 강관 버팀보 연결구의 커버 밴드 및 이를 갖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
KR100808939B1 (ko)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
KR102008991B1 (ko) 복수 띠장을 이용한 버팀보 지지 시스템
KR20130038461A (ko) 흙막이 파일용 가변지지기구
KR200436405Y1 (ko) 버팀보 보강용 브레이싱 서포트 체결구조
JP2017022850A (ja) 取付架台
DE102011050355A1 (de) Schwingungsisolationseinrichtung
CN111042574A (zh) 外墙的保护装置及其施工方法
KR102088260B1 (ko) 흙막이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481653B1 (ko) 흙막이용 벽체의 버팀보 연결부재
KR101894576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빗물 저류조
KR102047897B1 (ko) 보강구조를 갖는 버팀보 연결구조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KR102076081B1 (ko) 버팀보 연결재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