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635B1 - 송수신 포인트와 송수신 포인트 연결에서의 시분할 듀플렉스 멀티플렉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송수신 포인트와 송수신 포인트 연결에서의 시분할 듀플렉스 멀티플렉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635B1
KR102226635B1 KR1020187036956A KR20187036956A KR102226635B1 KR 102226635 B1 KR102226635 B1 KR 102226635B1 KR 1020187036956 A KR1020187036956 A KR 1020187036956A KR 20187036956 A KR20187036956 A KR 20187036956A KR 102226635 B1 KR102226635 B1 KR 102226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p
backhaul
trps
mode
sub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8940A (ko
Inventor
리처드 스털링-갤러처
리리 장
네이선 에드워드 테니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08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9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sectors, i.e. sector diversity
    • H04W72/04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72/04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9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n access point and the access point controll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송수신 포인트(TRP) 작동 방법은 TRP에 대한 백홀(backhaul) 통신 모드들의 제1 사이클을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1 사이클의 각각의 백홀 통신 모드는 상이한 시간 주기와 연관되어 있고, 연관된 시간 주기 동안 상기 TRP에 이용 가능한 통신 빔들의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상기 TRP에 프롬프트하며, 각각의 연관된 시간 주기에서 상기 TRP 및 상기 TRP의 이웃 TRP들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통신 빔들은 상호 간섭을 방지하도록 선택되고, 상기 제1 사이클의 적어도 하나의 백홀 통신 모드는 상기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을 사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상기 TRP에 프롬프트함 -, 제1 사이클에 따라 TRP에 대한 백홀 프레임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백홀 프레임 구성은 백홀 통신들에 대해 사용되는 프레임의 서브 프레임들의 배열을 지정함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수신 포인트와 송수신 포인트 연결에서의 시분할 듀플렉스 멀티플렉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디지털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정 실시예들에서, 송수신 포인트(TRP: transmission-reception point)와 TRP 연결에서의 시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ed) 멀티플렉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삭제
미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더 높은 대역폭과 적은 간섭을 찾기 위해 보다 더 높은 캐리어 주파수에서 작동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6GHz 이상의 주파수에서 작동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사용 가능한 더 높은 대역폭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 송수신 포인트(TRP)는 기존의 백홀(backhaul) 및/또는 프론트홀(fronthaul) 연결들에서 제공되는 것보다 더 많은 대역폭과 적은 레이턴시를 요구할 수 있다. 또한 TRP들의 밀도는 현재의 배치보다 훨씬 높을 수 있고 이러한 모든 TRP들에 대한 유선 고 성능 백홀 연결의 비용은 엄청날 수 있다. 또한, 특정 상황에서 일부 TRP는 본질적으로 일시적이거나 또는 이동될 수 있으며, 유선 연결을 지원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은 TRP와 TRP 연결에서의 TDD 멀티플렉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송수신 포인트(TRP) 작동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TRP가, TRP에 대한 백홀(backhaul) 통신 모드들의 제1 사이클을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제1 사이클의 각각의 백홀 통신 모드는 상이한 시간 주기와 연관되어 있고, 연관된 시간 주기 동안 TRP에 이용 가능한 통신 빔들의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TRP에 프롬프트하며, 각각의 연관된 시간 주기에서 TRP 및 TRP의 이웃 TRP들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빔들은 상호 간섭을 방지하도록 선택되고, 제1 사이클의 적어도 하나의 백홀 통신 모드는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을 사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TRP에 프롬프트함 - , TRP가, 제1 사이클에 따라 TRP에 대한 백홀 프레임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백홀 프레임 구성은 백홀 통신들에 대해 사용되는 프레임의 서브 프레임들의 배열을 지정함 - , 그리고 TRP가, 제1 사이클 및 백홀 프레임 구성에 따라 TRP의 이웃 TRP들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제1 사이클을 결정하는 단계가, 메모리로부터 제1 사이클을 검색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사이클을 검색하는 단계,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메시지로 제1 사이클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이웃 TRP로부터 제1 사이클을 수신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백홀 프레임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가, 메모리로부터 백홀 프레임 구성을 검색하는 단계, 백홀 프레임 구성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메시지로 백홀 프레임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이웃 TRP로부터 백홀 프레임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TRP가 TRP의 TRP 유형에 따라 제1 사이클 내의 시작 포인트에 할당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상이한 TRP 유형들이 제1 사이클 내의 상이한 시작 포인트들에 할당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제1 사이클이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이웃 TRP들 모두에 송신하도록 TRP를 지정하는 제1 백홀 모드,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의 제1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이웃 TRP들의 제1 서브 세트로부터 수신하도록 TRP를 지정하는 제2 백홀 모드, 그리고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의 제2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이웃 TRP들의 제2 서브 세트로부터 수신하도록 TRP를 지정하는 제3 백홀 모드를 포함하고, 이웃 TRP들의 제1 서브 세트 및 제2 서브 세트의 조합은 이웃 TRP들 모두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이웃 TRP들의 두 개 이상의 서브 세트들이 존재하고, 이웃 TRP들의 서브 세트들은 이웃 TRP들 모두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제1 사이클이,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이웃 TRP들 모두로부터 수신하도록 TRP를 지정하는 제4 백홀 모드,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의 제3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이웃 TRP들의 제3 서브 세트에 송신하도록 TRP를 지정하는 제5 백홀 모드, 그리고 TRP에 대해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의 제4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이웃 TRP들의 제4 서브 세트에 송신하도록 TRP를 지정하는 제6 백홀 모드를 포함하고, 이웃 TRP들의 제3 서브 세트 및 제4 서브 세트의 조합은 이웃 TRP들 모두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이웃 TRP들의 두 개 이상의 서브 세트들이 존재하고, 이웃 TRP들의 서브 세트들은 이웃 TRP들 모두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백홀 통신 모드들의 복수의 사이클들이 존재하고, 각각의 사이클의 백홀 통신 모드 각각은, 연관된 시간 주기 동안 연관된 TRP에 이용 가능한 통신 빔들의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연관된 TRP를 지정하며, 각각의 TRP 유형은 한 세트의 백홀 모드에 할당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상이한 TRP 유형은 연관된 사이클들 내의 상이한 시작 포인트들에 할당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사이클들이 상이한 개수의 백홀 통신 모드들을 갖고, TRP에 할당된 제1 사이클은 제2 세트의 백홀 모드보다 더 적은 백홀 모드들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시간 주기에서 유휴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이웃 TRP들과 통신하는 단계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고, TRP는 제2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그것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들(UEs: user equipments)과 더 통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이 중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백홀 통신에 사용되는 프레임이 사용자 장비들과의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에 삽입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백홀 통신에 사용되는 프레임이 사용자 장비들을 서비스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의 공통 부분에 삽입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공통 부분이 특수(S) 서브 프레임인,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백홀 통신에 사용되는 프레임이 사용자 장비들을 서비스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속적인 프레임들 사이에 삽입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엔티티 작동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네트워크 엔티티가, 각각의 송수신 포인트들(TRPs: transmission-reception points)의 할당된 TRP 유형에 따라 백홀 통신 모드들의 사이클들을 TRP들에 할당하는 단계, 그리고 네트워크 엔티티가, 각각의 TRP들의 할당된 TRP 유형에 따라 TRP들에 백홀 프레임 구성들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네트워크 엔티티가, 각각의 TRP들의 이웃 리스트 및 각각의 TRP들의 성능에 따라 각각의 TRP들에 TRP 유형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백홀 통신 모드의 사이클들 및 백홀 프레임 구성들을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송수신 포인트(TRP: transmission-reception point)가 제공된다.
TRP는 프로세서, 그리고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프로그래밍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프로그래밍은, TRP에 대한 백홀(backhaul) 통신 모드들의 제1 사이클을 결정하고 - 여기서 제1 사이클의 각각의 백홀 통신 모드는 상이한 시간 주기와 연관되어 있고, 연관된 시간 주기 동안 TRP에 이용 가능한 통신 빔들의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TRP에 프롬프트하며, 각각의 연관된 시간 주기에서 TRP 및 TRP의 이웃 TRP들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빔들은 상호 간섭을 방지하도록 선택되고, 제1 사이클의 적어도 하나의 백홀 통신 모드는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을 사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TRP에 프롬프트함 - , 제1 사이클에 따라 TRP에 대한 백홀 프레임 구성을 결정하며 - 여기서 백홀 프레임 구성은 백홀 통신들에 대해 사용되는 프레임의 서브 프레임들의 배열을 지정함 - , 제1 사이클 및 백홀 프레임 구성에 따라 TRP의 이웃 TRP들과 통신하도록 TRP를 구성하는 명령을 포함하고, 백홀 프레임 구성은 백홀 통신들에 대해 사용되는 프레임의 서브 프레임들의 배열을 지정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제1 사이클이,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이웃 TRP들 모두에 송신하도록 TRP를 지정하는 제1 백홀 모드,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의 제1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이웃 TRP들의 제1 서브 세트로부터 수신하도록 TRP를 지정하는 제2 백홀 모드, 그리고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의 제2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이웃 TRP들의 제2 서브 세트로부터 수신하도록 TRP를 지정하는 제3 백홀 모드를 포함하고, 이웃 TRP들의 제1 서브 세트 및 제2 서브 세트의 조합은 이웃 TRP들 모두를 포함하는, TRP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제1 사이클이,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이웃 TRP들 모두로부터 수신하도록 TRP를 지정하는 제4 백홀 모드,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의 제3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이웃 TRP들의 제3 서브 세트에 송신하도록 TRP를 지정하는 제5 백홀 모드, 그리고 TRP에 대해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의 제4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이웃 TRP들의 제4 서브 세트에 송신하도록 TRP를 지정하는 제6 백홀 모드를 포함하고, 이웃 TRP들의 제3 서브 세트 및 제4 서브 세트의 조합은 이웃 TRP들 모두를 포함하는, TRP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사이클들은 상이한 개수의 백홀 통신 모드들을 갖고, TRP에 할당된 제1 사이클은 제2 세트의 백홀 모드보다 더 적은 백홀 모드들을 가지며, 프로그래밍은 제1 사이클을 완료한 후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주기에서 유휴 상태를 유지하도록 TRP를 구성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TRP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엔티티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엔티티는 프로세서, 그리고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프로그래밍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프로그래밍은, 각각의 송수신 포인트들(TRPs: transmission-reception points)의 할당된 TRP 유형에 따라 백홀 통신 모드의 사이클들을 TRP에 할당하고, 각각의 TRP들의 할당된 TRP 유형에 따라 TRP들에 백홀 프레임 구성들을 할당하도록 네트워크 엔티티를 구성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시예의 다른 구현은 프로그래밍은, 각각의 TRP들의 이웃 리스트 및 각각의 TRP들의 성능에 따라 각각의 TRP들에 TRP 유형을 할당하도록 네트워크 엔티티를 구성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제공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실행은 각 TRP가 그것의 직접 이웃들 각각과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최소한의 오버헤드로 TRP들 사이의 완전한 멀티- 포인트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실행은 인접한 섹터들 사이의 상호 간섭(cross-interference), 예를 들어, 업링크 대 다운링크를 방지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실행은 액세스를 위해 5G mmWave TDD 프레임 구조로 통합되고 각각의 TRP의 요구에 적합하도록 백홀(또는 프론트홀)에 대한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것은 반정적(semi-static) 또는 동적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 및 그것의 이점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설명이 이제 참조된다.
도 1은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a는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프레임들(N 및 N+1)에 대한 예시적인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도 2b는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도 2a에 도시된 S 서브프레임 동안 섹터들과 셀들(즉, eNB) 사이의 통신을 강조하는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2c는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전용 연결을 사용하여 eNB들 사이의 시그널링 프레임 구성 정보를 위한 예시적인 TDD 프레임 포맷을 도시한다.
도 3a는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액세스가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고주파 백홀 링크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 할당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b는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액세스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고주파 백홀 링크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 할당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4G 기지국들 사이에 배치된 5G 스몰 셀들의 세트로의/5G 스몰 셀들의 세트로부터의 레거시(legacy) 기지국(4G 기지국)으로부터의 빔포밍 밀리미터파(mmWave) 백홀 송신/수신을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종래 기술을 도시한다.
도 5a는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TRP가 그것의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full complement of communications beams)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TRP에 대한 제1 백홀 모드를 강조하는 TRP 및 커버리지 영역을 도시한다.
도 5b는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TRP가 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수신하는 TRP에 대한 제2 백홀 모드를 강조하는 TRP 및 커버리지 영역을 도시한다.
도 5c는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TRP가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수신하는 TRP에 대한 제3 백홀 모드를 강조하는 TRP 및 커버리지 영역을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고주파 백홀 링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이한 제1예의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는 TRP를 강조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부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7a는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TRP가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수신하는 TRP에 대한 제1 백홀 모드를 강조하는 TRP 및 커버리지 영역을 도시한다.
도 7b는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TRP가 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TRP에 대한 제2 백홀 모드를 강조하는 TRP 및 커버리지 영역을 도시한다.
도 7c는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TRP가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TRP에 대한 제3 백홀 모드를 강조하는 TRP 및 커버리지 영역을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고주파 백홀 링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이한 제2예의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는 TRP를 강조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부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TRP 유형에 대한 제1 세트의 백홀 모드들의 백홀 모드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9d 내지 도 9g는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및 제3 TRP 유형에 대한 제2 세트의 백홀 모드들의 백홀 모드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고주파 백홀 링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백홀 모드의 상이한 예시적인 세트에서 작동하는 TRP를 강조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부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1은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고주파 백홀 링크 지원을 위해 TDD 서브프레임을 반송하는 데 사용되는 확장 서브프레임을 갖는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도 12는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3GPP LTE-A에 대한 TDD 프레임 구성을 도시한다.
도 13은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고주파 백홀 링크를 지원하기 위한 예시적인 TDD 프레임 포맷을 도시한다.
도 14는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일반화된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5는 TRP가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TDD 백홀 프레임 구성을 획득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도시 지역에 대한 배치 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TDD 백홀 서브프레임 매핑에 백홀 모드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발생하는 예시적인 작동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고주파 백홀 링크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TRP에서 발생하는 예시적인 작동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적응된 송수신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의 제조 및 사용은 하기에 상세히 논의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다양한 특정 상황에서 구현될 수 있는 많은 적용 가능한 발명 개념을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설명된 특정 실시예는 단지 실시예들을 만들고 사용하는 특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통신 시스템(100)은 UE(User Equipment)(110), UE(112) 및 UE(114)와 같은, 복수의 UE를 서비스하는 eNB(Evolved NodeB)(105)를 포함한다. 제1 작동 모드에서, UE들에 의한 송신뿐만 아니라 UE들에 대한 송신은 eNB를 통한다. eNB는 UE들로의 또는 UE들로부터의 송신들에 대해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한다. eNB들은 일반적으로 기지국, NodeB들, MeNB들(master eNBs), SeNB들(secondary eNBs), 원격 무선 헤드들(remote radio heads), 액세스 포인트들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으며, UE들은 일반적으로 모바일들, 모바일 스테이션들, 단말들, 가입자들, 사용자들, 스테이션들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UE들을 서비스하는 기지국(또는 eNB, NodeB, 원격 무선 헤드, 액세스 포인트, 송신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 등)은 서비스 기지국(SBS: serving base station)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송신 포인트는 송신할 수 있는 모든 디바이스를 지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송수신 포인트(TRP)들은 일반적으로 eNB들, 기지국들, NodeB들, 원격 무선 헤드들, 액세스 포인트들을 지칭하지만, UE들, 모바일들, 모바일 스테이션들, 단말들, 가입자들, 사용자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들은 다수의 UE와 통신할 수 있는 다수의 eNB(또는 TRP들)을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만, 간략함을 위해 하나의 eNB 및 다수의 UE가 도시되어 있다.
셀은 eNB의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전형적으로, 셀은 eNB의 섹터화된 안테나의 하나 이상의 섹터에 의해 서비스된다. 따라서, eNB의 커버리지 영역은 다수의 섹터로 분할된 셀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예로서, eNB가 3-섹터 안테나 시스템을 사용하는 시나리오에서, eNB의 셀은 각 섹터가 개별 안테나(예시의 120도의 빔 폭) 또는 전체 안테나 시스템의 분리된 부분에 의해 커버되는 3개의 섹터로 분할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예로서, eNB가 6-섹터 안테나 시스템(예를 들어, 각 안테나는 60도 섹터를 커버할 수 있음)을 사용하는 시나리오에서, eNB의 셀은 각 섹터가 1개 또는 2개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시스템의 부분 섹터에 의해 커버되는 6개의 섹터 또는 3개의 섹터로 분할될 수 있다.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 2015년 11월 13일자로 출원된, "System and Method for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Cellula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s Systems"이라는 명칭의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US 2016/0183232A1에서, 밀리미터 파(mmWave) 백홀을 사용하는 TRP와 TRP의 고속 통신을 위한 간단한 TDD(time division duplexed) 방식의 예가 제시된다.
여기서 제시된 기술의 목표는 mmWave 통신 시스템에서 TDD를 지원하는 송신 빔 블랭킹(transmit beam blanking)을 위한 일 실시예들의 특징을 지원하기 위해 이웃 TRP들이 프레임 단위로 제어 정보를 교환(현재 X2 인터페이스보다 훨씬 더 빠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a는 프레임 N(205) 및 프레임 N+1(210)에 대한 예시적인 서브프레임 구조들(200)을 도시한다. 프레임 N(205)의 S 서브프레임(215)에서, 셀 1의 TRP 서비스 섹터 C는 셀 2의 TRP 서비스 섹터 A 및 셀 3의 TRP 서비스 섹터 A와 통신하는 반면(하향 화살표로 도시됨), 프레임 N+1(210)의 S 서브프레임(220)에서, 셀 2의 TRP 서비스 섹터 A 및 셀 3의 TRP 서비스 섹터 A는 셀 1의 섹터 C의 TRP와 통신한다(상향 화살표로 도시됨).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S 서브프레임들 동안 상이한 섹터들 및 셀 커버리지 영역들을 서비스하는 TRP들 사이의 통신을 강조하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230)을 도시한다. TRP와 TRP의 통신에서 사용되는 빔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블랭킹되며, 블랭킹된 빔들이라고 지칭됨을 주목한다.
도 2c는 (보다 통상적인 X2 링크를 사용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전용 연결을 사용하여 TRP들 사이의 시그널링 프레임 구성 정보를 위한 예시적인 TDD 프레임 포맷(260)을 도시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S 서브프레임(267) 내의 가드 기간(GP)(265)은 TRP들 사이의 프레임 구성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 블랭킹된 빔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이때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으므로 이는 빔포밍 하드웨어를 유리하게 재사용할 수 있다. 프레임 구성 정보는 선택된 TDD 프레임 구성 및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사용된 빔 인덱스 세트,
- 대부분의 블랭크 플래그(들) 비트, 그리고
- 재조정 플래그(들).
프레임 구성 정보는 백홀/프론트홀 사용을 위해 할당된 전체 mmWave 대역(275)의 제1 부분(270)에서 송신될 수 있는 반면, 제2 부분(280)은 액세스, 예를 들어, mmWave 디바이스는 셀룰러 기반 기술을 사용하여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는 mmWave 액세스를 위해 할당된다. 사용 가능한 대역폭의 분리된 부분이 프레임 구성 정보의 교환을 위해 전용되는 상황이 대역 외 시그널링이라고 지칭된다. 블랭킹 서브프레임에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의 재사용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백홀 X2 인터페이스는 이 제어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c는 또한 임의의 프레임 포맷(TDD 및/또는 FDD(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을 갖는 대역 외 시그널링(여전히 전체 대역(들)(275) 내에 있음)을 도시한다. 기존의 빔포밍 하드웨어는 TDD 프레임들의, S 서브프레임(267)과 같은, S 서브프레임들의 GP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구성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제2 부분(280)을 사용하여, 다른 통신을 위해 전용된 대역폭의 일부가 사용되는) 대역 내 시그널링은 또한 TDD 프레임들의 S 서브프레임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TRP 대 TRP 링크는 더 많은 글로벌 셀룰러 기반으로 작동할 수 있고 단 단일의 링크라고 간주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주목한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가 다음을 포함하는 다양한 이유로 인해 하나의 TRP로부터 다른 TRP로 전달(예를 들어, 교환)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므로, 초고밀 네트워크(UDN: ultra-dense networks)에 대한 미래의 UE 중심(클라우드 셀 및 가상 셀 개념), 고속, 고용량, 낮은 레이턴시의 TRP 대 TRP 링크가 요구될 수 있다(예를 들어, 프론트홀 및/또는 백홀).
- UE 중심 셀 내의 모든 TRP가 (S1 베어러를 통해) 스위칭 게이트웨이에 대한 전용 연결을 갖는 것은 아니다. 스위칭 게이트웨이는 TRP들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는 상위 레벨 네트워크 엔티티이다. 다수의 UE 중심 개념은 마스터 TRP(또는 UE 중심 셀의 헤드-노드)만이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스위칭 게이트웨이에 연결되고 마스터 TRP는 상이한 통신 모드들을 지원하기 위해 UE 중심 셀의 다른 TRP들에 사용자 데이터를 분배할 것을 제안한다.
- UE가 TRP들의 그룹을 통해 이동하므로, 각 UE 중심 셀에 대한 TRP들의 세트는 매우 동적인 방식으로 변화할 것이고, 사용자 데이터가 UE로의 송신을 위해 제시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TRP들 사이에 사용자 데이터가 교환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2a 내지 2c는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14/941,243호에 제시된 기술의 예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 대역폭, 저 레이턴시 링크는 현재의 X2 링크를 대체하거나 보완한다. 이 링크는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에 따라 백홀 또는 프론트홀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백홀이라는 용어는 프론트홀이라는 용어와 서로 바꿔서 사용되지만 일부 정의에서 그것들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링크는 6GHz 이상의 스펙트럼(예를 들어, 15GHz, 28GHz, 38/39GHz, 70-80GHz 등의 스펙트럼 대역)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링크는 mmWave 통신 시스템의 mmWave 백홀이라고 지칭된다. 고주파에서 작동하는 통신 시스템은 높은 캐리어 주파수에 존재하는 높은 경로 손실을 보완하기 위해 빔포밍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액세스(셀룰러-기반 연결성)가 6GHz(예를 들어, 3GPP LTE-A 준수 통신 시스템들) 이하에서 작동하거나 또는 액세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높은 캐리어 주파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백홀 링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a는 액세스가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고주파 백홀 링크에 대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 할당 다이어그램(300)을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가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므로 고주파 백홀 링크에 의해 사용되는 전체 주파수 대역이 고주파 백홀 링크에 의해 사용 가능하다. 도 3b는 액세스가 백홀 링크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고주파 백홀 링크에 대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 할당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제1 대역폭 할당 다이어그램(350)은 고주파 대역이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하여 백홀 링크 및 액세스 사이에 공유되고, 제1 고주파 부분이 백홀 링크에 할당되고 제2 고주파 부분이 액세스에 할당되어, 적어도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상황을 도시한다. 제2 대역폭 할당 다이어그램(370)은 주파수 대역이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SDMA(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하여 고주파 백홀 링크와 액세스 사이에 공유되는 상황을 도시한다. TDMA가 사용되면, 백홀 링크는 특정 시간에 고주파 대역을 사용하도록 할당되고, 액세스는 다른 특정 시간에 고주파 대역을 사용하도록 할당된다. SDMA가 사용되면, 고주파 백홀 링크는 특정 공간 방향(또는 빔 방향)에서만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도록 할당되고, 액세스는 다른 특정 공간 방향(또는 빔 방향)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도록 할당되며, 공간 방향은 시간의 함수로서 변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주파 백홀 링크는 각 TRP의 요건에 따라 상이한 방향들로 그것의 데이터 레이트를 변경하는 유연성을 갖는다. 각 TRP는 (예를 들어, 액세스를 위해 선택된 다른 TDD 프레임 구조에 의해) 액세스를 위해 상이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비율로 UE들을 서비스할 수 있으므로, 고주파 백홀 링크는 또한 TRP들을 지원하기 위해 그 자체의 데이터 레이트를 변경해야 한다. 예시적인 예로서, 업링크 대 다운링크 비율이 매우 작으면(즉, 다운링크보다 훨씬 더 작은 업링크), 고주파 백홀 링크는 TRP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그것의 다운링크 데이터 레이트를 변경하여 더 많은 다운링크 데이터를 TRP들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TDMA는 고주파 백홀 링크와 액세스 사이의 고주파 대역의 사용을 멀티플렉싱하는 데 사용된다. FDMA를 사용하여 고주파 백홀 링크 및 액세스를 위해 고주파 대역의 사용이 멀티플렉싱될 수 있지만, 고주파 백홀 링크와 액세스 사이의 용량이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TDMA가 특히 매력적일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FDMA보다 TDMA에서 더 용이하다. SDMA를 사용하면, 액세스와 고주파 백홀 링크 사이의 충분한 분리가 모든 배치에 대해 보장하기 어려울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레거시 기지국(4G 기지국)으로부터 4G 기지국들 사이에 배치된 5G 스몰 셀들의 세트로의 그리고 5G 스몰 셀들의 세트로부터의 빔포밍된 mmWave 프론트홀 송신/수신을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종래 기술을 도시한다. 도 4a는 R. Taori와 A. Sridhanen, "Point-to-Multipoint In-Band mmWave Backhaul for 5G Networksl",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2015년 1월에서 제시되어 있고, 도 4b는 미국 특허 공개 번호 제2015/0036571 A1 - "Transmission and scheduling for wireless front haul"에 제시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는 본원에 참고 문헌으로 포함된다. 4G 기지국은 유선 백홀 연결(W-BS로 표시)을 갖고, 5G 기지국(U-BS로 표시)은 유선 4G 기지국 사이에 배치된다. 각 유선 4G 기지국을 각 5G 기지국에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된다. 종래 기술은 4G 및 5G 기지국들의 특정 배치 혼합들 아래에서 유선으로 연결되지 않은 5G 기지국 각각이 유선 4G 기지국 각각에 연결된다는 것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인접 5G TRP들(기지국들)이 서로 직접 연결할 수 있는 편의가 없다. 인접 5G TRP들이 정보(제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원하면, W-BS를 통해 정보가 중계되어야 하고, 이는 레이턴시 및 용량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TRP 대 TRP 교환은 W-BS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W-BS 처리뿐만 아니라 다수의 프레임 및/또는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레이턴시가 발생한다. 다른 예로서, 각 TRP 대 TRP 교환은 W-BS 대 U-BS 링크의 용량을 사용한다(따라서 제한된다). 마지막으로, 종래 기술은 모든 가능한 배치에 적용 가능하지 않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TRP로부터 그것의 모든 이웃 TRP들로의 고주파 백홀 링크를 지원하는 멀티플렉싱 방식이 제공되며, 이웃 TRP들은 스위칭 게이트웨이에 연결될 수도 있거나 또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언뜻 보기에, 문제는 상대적으로 단순해 보인다. 공동-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14/941,243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솔루션으로서, 각 셀 에지를 통한 TDD 전송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솔루션은 다른 TRP들과 통신하는 단 하나의 TRP 대신에 모든 TRP가 서로 통신해야 하는 상황을 해결하지 못한다. 또한, 제안된 솔루션은 교차 간섭(cross interference)을 감소시키기 위해 단일 TRP의 인접한 안테나 어레이가 동시에 송신 및 수신 모드에 있어야 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TRP를 그것의 이웃 TRP들 각각에 연결시키는 고주파 백홀 링크를 이네이블링하는 TDD 기술이 제공된다. TDD 기술은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해 최대한 적은 개수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TRP는 고주파 백홀 링크 상에서 통신하기 위한 정수 개의 백홀 모드 작동을 갖는다. 각 백홀 작동 모드 내에서, TRP는 다운링크 송신 또는 업링크 수신을 수행하고 다운링크 및 업링크 모두를 수행하지는 않는다. 백홀 모드 작동들 사이에서, TRP는 예를 들어, 다운링크에서 업링크로 또는 업링크에서 다운링크로 통신 모드를 스위칭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다운링크에서 또는 다운링크로 또는 업링크에서 업링크로 동일한 통신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모든 TRP는 동일한 백홀 작동 모드를 사용하지만, 상이한 TRP 유형들은 주어진 시구간에 상이한 백홀 모드들을 수행한다. 백홀 모드의 할당은 TRP 유형에 기초하여 이루어지고, TRP 유형은 예를 들어, 수동으로 또는 알고리즘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TRP들은 순차적으로 백홀 모드를 순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TRP는 고주파 백홀 링크 상에서 통신하기 위한 3개의 백홀 모드 작동을 갖는다. 첫 번째 백홀 모드에서, TRP는 그것의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그것의 모든 이웃 TRP와 통신(송신 또는 수신)한다. 제2 백홀 모드에서, TRP는 그것의 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그것의 이웃 TRP들의 제1 세트와 통신(수신 또는 송신)하고, 제3 백홀 모드에서, TRP는 그것의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그것의 이웃 TRP들의 제2 세트와 통신(수신 또는 송신)한다. 이웃 TRP들의 제1 세트 및 이웃 TRP들의 제2 세트의 조합은 모든 이웃 TRP들을 구성한다. 또한, 이웃 TRP들의 제1 세트 및 이웃 TRP들의 제2 세트는 상호 배타적일 수 있다. 통신 빔들의 제1 세트와 통신 빔들의 제2 세트의 조합은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구성한다. 또한, 통신 빔들의 제1 세트 및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는 상호 배타적이다.
TRP와 그것의 이웃 TRP들은 서브프레임 단위로 백홀 모드를 스위칭할 수 있다. 각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모드를 스위칭하는 것은 고주파 백홀 링크와 연관된 레이턴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 TRP 및 그것의 이웃 TRP들은 특정 패턴의 서브프레임들을 따라 백홀 모드를 스위칭할 수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TRP 및 그것의 이웃 TRP들은 N 번째 서브프레임마다 백홀 모드를 스위칭하는데, 여기서 N은 1, 2, 3, 4 등이다. 또 다른 예시적인 예로서, TRP 및 그것의 이웃 TRP들은 상이한 개수의 서브프레임에 대해 상이한 백홀 모드로 유지될 수 있다. TRP들은 각각의 TRP들과 시작 TRP의 관계에 따라 상이한 백홀 모드들에서 시작한다. 제1 TRP는 그것의 초기 모드로서 제1 백홀 모드로 시작할 수 있고, 제1 TRP의 바로 이웃인 일부 TRP들(즉, 일부 1차 이웃들)은 그것들의 초기 모드로서 제2 백홀 모드로 시작할 수 있는 반면, 1차 이웃인 다른 TRP들(즉, 다른 가장 가까운 이웃들)은 그것들의 초기 모드로서 제3 백홀 모드로 시작할 수 있다.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통신 시스템의 TRP들에 대한 초기 백홀 모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초기 백홀 모드가 수동으로 지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백홀 모드는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그것의 이웃 TRP들 모두에 송신하는 TRP를 포함하고, 제2 백홀 모드는 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그것의 이웃 TRP들의 제1 세트로부터 수신하는 TRP를 포함하며, 제3 백홀 모드는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그것의 이웃 TRP들의 제2 세트로부터 수신하는 TRP를 포함한다. 통신 빔들의 제1 세트와 통신 빔들의 제2 세트의 조합은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구성한다. 또한, 통신 빔들의 제1 세트 및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는 상호 배타적이다.
도 5a는 TRP가 그것의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TRP에 대한 제1 백홀 모드를 강조하는 TRP 및 커버리지 영역(500)을 도시한다.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것은, 그것의 가장 가까운 이웃 TRP들 모두에 전송하도록 TRP를 이네이블링한다.
도 5b는 TRP가 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수신하는 TRP에 대한 제2 백홀 모드를 강조하는 TRP 및 커버리지 영역(530)을 도시한다. 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수신하는 것은, 그것의 가장 가까운 이웃 TRP들의 제1 서브세트로부터 수신하도록 TRP를 이네이블링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빔들의 제1 세트는 TRP의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의 절반을 포함하며, 따라서 TRP는 그것의 가장 가까운 이웃 TRP들의 약 절반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5c는 TRP가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수신되는 TRP에 대한 제3 백홀 모드를 강조하는 TRP 및 커버리지 영역(560)을 도시한다.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수신하는 것은, 그것의 가장 가까운 이웃 TRP들의 제2 서브세트로부터 수신하도록 TRP를 이네이블링한다. 도 5b에 도시된 통신 빔들의 제1 세트 및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는 상호 배타적이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는 TRP의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의 절반을 포함하며, 따라서 TRP는 그것의 가장 가까운 이웃 TRP들의 약 절반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1 세트 및 제2 세트는 상호 배타적이므로, 제2 백홀 모드와 제3 백홀 모드 사이에서, TRP는 가장 가까운 이웃 TRP들 모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고주파 백홀 링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이한 제1예의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는 TRP를 강조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부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임의의 주어진 시구간 내에서, TRP의 백홀 모드는 이웃 TRP들에 대한 TRP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통신 시스템의 TRP들의 모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통신 시스템의 TRP들의 모드는 메모리/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엔티티, 이웃 TRP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다이어그램(600)(도 6a)은 제1 시구간 동안 TRP들의 백홀 모드를 도시한다. 제1 시구간 동안, 제1 TRP(605)(유형 C로 표시)는 제2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된다(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수신). 제1 TRP(605)의 이웃 TRP들의 제1 서브세트(유형 A로 표시), 예를 들어, 제2 TRP(607), 제3 TRP(609), 및 제4 TRP(611)는 제1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되고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송신), 제1 TRP(605)의 이웃 TRP들의 제2 서브세트(유형 B로 표시), 예를 들어, 제5 TRP(613), 제6 TRP(615), 및 제7 TRP(617)는 제3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된다(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수신). 제1 시구간 동안의 TRP들의 백홀 모드는 TRP들의 초기 백홀 모드라고 지칭된다. 도 6a에 도시된 TRP의 초기 백홀 모드는 단지 예시 및 논의를 위해 제시된 예일 뿐임을 주목한다. 통신 빔이 상이하거나, 통신 시스템의 토폴로지가 상이하거나, 구현 선택이 상이하거나, 통신 빔의 세트가 상이하면, 초기 백홀 모드는 상이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TRP들 사이의 관계가 유지되는 한, 다른 초기 백홀 모드가 가능하다.
다이어그램(630)(도 6b)은 제2 시구간 동안 TRP의 백홀 모드를 도시한다. 제2 시구간 동안, 제1 TRP(605)는 제3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되는 반면(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수신), 제1 TRP(605)의 이웃 TRP들의 제1 서브세트(유형 A로 표시), 예를 들어, 제2 TRP(607), 제3 TRP(609), 및 제4 TRP(611)는 제2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되며(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수신), 제1 TRP(605)의 이웃 TRP들의 제2 서브세트(유형 B로 표시), 예를 들어, 제5 TRP(613), 제6 TRP(615), 및 제7 TRP(617)는 제1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된다(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송신). 즉, 각 TRP는 순차적으로 다음 백홀 모드로 변경된다. 예를 들어, TRP가 제1 시구간에서 제1 백홀 모드로 작동했었다면, 제2 시구간에서 TRP는 제2 백홀 모드로 작동할 것이다. 유사하게, TRP가 제1 시구간에서 제3 백홀 모드로 작동했었다면, 제2 시구간에서 TRP는 제1 백홀 모드로 작동할 것이다. 상이한 백홀 모드들을 일관되게 순환하는 것은 과도한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통신하도록 TRP들을 이네이블링한다.
다이어그램(660)(도 6c)은 제3 시구간 동안 TRP의 백홀 모드를 도시한다. 제3 시구간 동안, 제1 TRP(605)는 제1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되는 반면(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송신), 제1 TRP(605)의 이웃 TRP들의 제1 서브세트(유형 A로 표시), 예를 들어, 제2 TRP(607), 제3 TRP(609), 및 제4 TRP(611)는 제3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되며(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수신), 제1 TRP(605)의 이웃 TRP들의 제2 서브세트(유형 B로 표시), 예를 들어, 제5 TRP(613), 제6 TRP(615), 및 제7 TRP(617)는 제2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된다(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수신).
표 1은 상이한 TRP 유형들에 대한 예시적인 백홀 모드들을 도시하며, D는 다운링크 통신을 나타내고, U는 업링크 통신을 나타낸다.
셀 유형 서브-프레임 1 서브-프레임 2 서브-프레임 3
A D(full) U(mode 2) U(mode 3)
B U(mode 3) D(full) U(mode 2)
C U(mode 2) U(mode 3) D(full)
표 1: 백홀 모드의 예.서브프레임들은 상이한 시간 순서로 존재할 수 있다. 즉, 표 1에 도시된 정보는 단지 논의의 목적을 위한 것이다. 백홀 모드들이 TRP 유형들과 동기화되는 것이 중요하다. 표 1에 도시된 정보는 섹터 당 하나의 완전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송신 세트를 허용한다. 다수의 다운링크들 및/또는 업링크들이 필요할 수 있으며, 선택된 TDD 프레임 구조에 따라 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 나와 있다. 액세스를 위한 TDD(eNB 대 UE 통신)와는 달리, TRP들 사이의 전파 지연은 알려져 있으므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의 S 서브프레임들은 필요하지 않다. TRP 대 TRP 지연은 예를 들어, 가드 타임(guard time)과 통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백홀 모드는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그것의 이웃 TRP들 모두로부터 수신하는 TRP를 포함하며, 제2 백홀 모드는 TRP가 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그것의 이웃 TRP들의 제1 세트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제3 백홀 모드는 TRP가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그것의 이웃 TRP들의 제2 세트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웃 TRP들의 제1 세트 및 이웃 TRP들의 제2 세트의 조합은 모든 이웃 TRP를 구성한다. 또한, 이웃 TRP들의 제1 세트 및 이웃 TRP들의 제2 세트는 상호 배타적일 수 있다. 통신 빔들의 제1 세트와 통신 빔들의 제2 세트의 조합은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구성한다. 또한, 통신 빔들의 제1 세트 및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는 상호 배타적이다. TRP가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수신하고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의 서브세트만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것이 TRP가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것보다 TRP에서 더 적은 개수의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를 요구하므로, 이 접근법은 이전의 접근법에 비해 몇 가지 이점을 갖는다.
도 7a는 TRP가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수신하는 TRP에 대한 제1 백홀 모드를 강조하는 TRP 및 커버리지 영역(700)을 도시한다.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수신하는 것은, 그것의 가장 가까운 이웃 TRP들 모두로부터 수신하도록 TRP를 이네이블링한다.
도 7b는 TRP가 제1 통신 빔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TRP에 대한 제2 백홀 모드를 강조하는 TRP 및 커버리지 영역(730)을 도시한다. 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것은, 그것의 가장 가까운 이웃 TRP들의 제1 서브세트로 송신하도록 TRP를 이네이블링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빔들의 제1 세트는 TRP의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의 절반을 포함하며, 따라서 TRP는 그것의 가장 가까운 이웃 TRP들의 약 절반에 송신할 수 있다.
도 7c는 TRP가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TRP에 대한 제3 백홀 모드를 강조하는 TRP 및 커버리지 영역(760)을 도시한다.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것은, 그것의 가장 가까운 이웃 TRP들의 제2 서브세트로 송신하도록 TRP를 이네이블링한다. 통신 빔들의 제1 세트 및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는 상호 배타적이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는 TRP의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의 절반을 포함하며, 따라서 TRP는 그것의 가장 가까운 이웃 TRP들의 약 절반에 송신할 수 있다. 제1 세트 및 제2 세트는 상호 배타적이므로, 제2 백홀 모드와 제3 백홀 모드 사이에서, TRP는 가장 가까운 이웃 TRP들 모두에 송신할 수 있다.
도 8a 내지 8c는 고주파 백홀 링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이한 제2예의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는 TRP를 강조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부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임의의 주어진 시구간 내에서, TRP의 백홀 모드는 이웃 TRP들에 대한 TRP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통신 시스템의 TRP들의 모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이어그램(800)(도 8A)은 제1 시구간 동안 TRP의 백홀 모드를 도시한다. 제1 시구간 동안, 제1 TRP(805)는 제2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된다(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 제1 TRP(805)의 이웃 TRP들의 제1 서브세트(유형 A로 표시), 예를 들어, 제2 TRP(807), 제3 TRP(809), 및 제4 TRP(811)는 제1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되고(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수신), 제1 TRP(805)의 이웃 TRP들의 제2 서브세트(유형 B로 표시), 예를 들어, 제5 TRP(813), 제6 TRP(815), 및 제7 TRP(817)는 제3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된다(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 제1 시구간 동안의 TRP들의 백홀 모드는 TRP들의 초기 백홀 모드라고 지칭된다. 도 8a에 도시된 TRP의 초기 백홀 모드는 단지 예시 및 논의를 위해 제시된 예일 뿐임을 주목한다. 통신 빔이 상이하거나, 통신 시스템의 토폴로지가 상이하거나, 구현 선택이 상이하거나, 통신 빔의 세트가 상이하면, 초기 백홀 모드는 상이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TRP들 사이의 관계가 유지되는 한, 다른 초기 백홀 모드가 가능하다.
다이어그램(830)(도 8b)은 제2 시구간 동안 TRP의 백홀 모드를 도시한다. 제2 시구간 동안, 제1 TRP(805)는 제3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되는 반면(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 제1 TRP(805)의 이웃 TRP들의 제1 서브세트(유형 A로 표시), 예를 들어, 제2 TRP(807), 제3 TRP(809) 및 제4 TRP(811)는 제2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되며(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 제1 TRP(805)의 이웃 TRP들의 제2 서브세트(유형 B로 표시), 예를 들어, 제5 TRP(813), 제6 TRP(815), 및 제7 TRP(817)는 제1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된다(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수신). 즉, 각 TRP는 순차적으로 다음 백홀 모드로 변경된다. 예를 들어, TRP가 제1 시구간에서 제1 백홀 모드로 작동했었다면, 제2 시구간에서 TRP는 제2 백홀 모드로 작동할 것이다. 유사하게, TRP가 제1 시구간에서 제3 백홀 모드로 작동했었다면, 제2 시구간에서 TRP는 제1 백홀 모드로 작동할 것이다. 상이한 백홀 모드들을 일관되게 순환하는 것은 과도한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통신하도록 TRP들을 이네이블링한다.
다이어그램(860)(도 8c)은 제3 시구간 동안 TRP의 백홀 모드를 도시한다. 제3 시구간 동안, 제1 TRP(805)는 제1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되는 반면(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수신), 제1 TRP(805)의 이웃 TRP들의 제1 서브세트(유형 A로 표시), 예를 들어, 제2 TRP(807), 제3 TRP(809), 및 제4 TRP(811)는 제3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되며(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 제1 TRP(805)의 이웃 TRP들의 제2 서브세트(유형 B로 표시), 예를 들어 제5 TRP(813), 제6 TRP(815), 및 제7 TRP(817)는 제2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된다(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
표 2는 상이한 TRP 유형들에 대한 예시적인 백홀 모드들을 도시하며, D는 다운링크 통신을 나타내고, U는 업링크 통신을 나타낸다.
셀 유형 서브-프레임 1 서브-프레임 2 서브-프레임 3
A U(full) D(mode 2) D(mode 3)
B D(mode 3) U(full) D(mode 2)
C D(mode 2) D(mode 3) U(full)
표 2: 상이한 TRP 유형에 대한 백홀 모드의 예.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부 TRP 유형은 개별적인 빔포밍 능력뿐만 아니라, TRP 유형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할당되는 상이한 백홀 모드를 가지며, 서로 상이한 TRP 유형 중 적어도 일부는 백홀 모드들의 상이한 세트를 순환한다. 백홀 모드들의 상이한 세트마다 모드의 개수가 상이하면, 백홀 모드들의 상이한 세트를 사용하는 다른 TRP들이 그들의 사이클을 완료하도록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보다 적은 모드로 백홀 모드들의 세트를 사용하는 TRP들은 그들 각각의 백홀 모드들의 세트를 순환한 후에 유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백홀 모드들의 상이한 세트들이 존재하지만, 백홀 모드들의 한 세트에 할당된 TRP 유형의 모든 TRP는 백홀 모드들의 동일한 세트를 사용할 것이다. 또한, 모든 TRP는 동일한 레이트로 백홀 모드들을 순환한다. 상이한 TRP들에 대해 상이한 백홀 모드들의 세트의 사용은 교차 간섭 없이 TRP들 사이에서 송신 및 수신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이한 빔포밍 능력을 갖는 TRP들에 대한 고주파 백홀 링크의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TRP는 수행할 수 있는 동시 전송 또는 수신 빔의 개수에 대해 상이한 제한이 있으므로, 일부 TRP는 그들 각각의 가용한 통신 빔들에서 더 많은 개수의 통신 빔을 사용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제1 TRP 유형, 예를 들어 유형 A의 TRP들에 대한 제1 세트의 백홀 모드들의 백홀 모드들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유형 A의 TRP들은 모든 통신 빔을 동시에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다이어그램(900)(도 9a)은 TRP가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유형 A의 TRP들의 제1 백홀 모드를 도시한다. 다이어그램(910)(도 9b)은 유형 A의 TRP들이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수신하는 유형 A의 TRP들의 제2 백홀 모드를 도시한다. 다이어그램(920)(도 9c)은 그것들의 통신 빔들 중 어느 것에도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유형 A의 TRP들이 유휴 상태인, 유형 A의 TRP들의 제3 백홀 모드를 도시한다.
도 9d 내지 도 9g는 제2 및 제3 TRP 유형들, 예를 들어 유형 B 및 C의 TRP들에 대한 제2 세트의 백홀 모드들의 백홀 모드들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다이어그램(930)(도 9d)은 유형 B 및 C의 TRP들의 제1 백홀 모드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TRP는 그것의 가용한 통신 빔들(complement of communications beams)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수신한다. 다이어그램(940)(도 9e)은 유형 B 및 C의 TRP들의 제2 백홀 모드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TRP는 그것의 가용한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수신한다. 다이어그램(950)(도 9f)은 유형 B 및 C의 TRP들의 제3 백홀 모드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TRP는 그것의 가용한 통신 빔들의 제3 세트를 사용하여 수신한다.. 다이어그램(960)(도 9g)은 유형 B 및 C의 TRP들의 제4 백홀 모드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TRP는 그것의 가용한 통신 빔들의 제4 세트를 사용하여 수신한다.. 도 9a 내지 도 9g에 도시된 백홀 노드 및 TRP 유형의 세트의 구성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며, 일 실시예의 범위 또는 사상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주목한다.
제1 세트 및 제3 세트는 상호 배타적이며, 결합될 때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 전체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세트 및 제4 세트는 상호 배타적이며, 결합될 때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 전체를 포함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고주파 백홀 링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백홀 모드의 상이한 예시적인 세트에서 작동하는 TRP를 강조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부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임의의 주어진 시구간 내에서, TRP의 백홀 모드는 이웃 TRP들에 대한 TRP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의 TRP들의 모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백홀 모드는 TRP의 성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다이어그램(1000)(도 10a)은 제1 시구간 동안 TRP들의 백홀 모드들을 도시한다. 제1 시구간 동안, (유형 C의) 제1 TRP(1005)는 제2 세트의 백홀 모드의 제3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된다(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수신). 제1 TRP(1005)의 이웃 TRP들은 제2 세트(유형 B의 TRP들), 예를 들어 제2 TRP(1007), 제3 TRP(1009), 및 제4 TRP(1011)는 제2 세트의 백홀 모드들의 제1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되고(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수신), 제1 TRP(1005)의 이웃 TRP들의 제2 서브세트(유형 A의 TRP들), 예를 들어, 제5 TRP(1013), 제6 TRP(1015), 및 제7 TRP(1017)는 제1 백홀 모드 세트의 제1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된다(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송신).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제1 TRP(1005)의 이웃 TRP들의 제2 서브세트는, 제1 TRP(1005)의 이웃 TRP들의 제1 서브세트(유형 B의 TRP들)의 능력과 상이할 수 있는 그것들의 능력으로 인해 백홀 모드들의 상이한 세트를에 할당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된 백홀 노드 및 TRP 유형의 세트의 구성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며, 일 실시예의 범위 또는 사상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주목한다.
다이어그램(1030)(도 10b)은 제2 시구간 동안 TRP들의 백홀 모드들을 도시한다. 제2 시구간 동안, 제1 TRP(1005)는 제2 세트의 백홀 모드(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수신)의 제1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된다. 제1 TRP(1005)의 이웃 TRP들의 제1 서브세트(유형 B의 TRP들), 예를 들어, 제2 TRP(1007), 제3 TRP(1009), 및 제4 TRP(1011)는 제2 세트의 백홀 모드의 제2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되고(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 제1 TRP(1005)의 이웃 TRP들의 제2 서브세트, 예를 들어 제5 TRP(1013), 제6 TRP(1015), 및 제7 TRP(1017)는 제1 세트의 백홀 모드의 제3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된다(TRP들은 침묵하며, 송신도 수신도 하지 않는다).
다이어그램(1050)(도 10c)은 제3 시구간 동안 TRP의 백홀 모드를 도시한다. 제3 시구간 동안, 제1 TRP(1005)(유형 B의 TRP들)는 제2 세트의 백홀 모드의 제4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된다(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 제1 TRP(1005)의 이웃 TRP들의 제1 서브세트, 예를 들어, 제2 TRP(1007), 제3 TRP(1009), 및 제4 TRP(1011) 는 제2 세트의 백홀 모드의 제3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되고(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수신), 제1 TRP(1005)의 이웃 TRP들의 제2 서브세트, 예를 들어, 제5 TRP(1013), 제6 TRP(1015), 및 제7 TRP(1017)는 제1 세트의 백홀 모드의 제3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된다(TRP들은 침묵하며 전송도 수신도 하지 않는다).
다이어그램(1070)(도 10d)은 제4 시구간 동안 TRP의 백홀 모드를 도시한다. 제4 시구간 동안, 제1 TRP(1005)는 제2 세트의 백홀 모드의 제2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된다(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 제1 TRP(1005)의 이웃 TRP들의 제1 서브세트, 예를 들어, 제2 TRP(1007), 제3 TRP(1009), 및 제4 TRP(1011)는 제2 세트의 백홀 모드의 제4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되고(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 제1 TRP(1005)의 이웃 TRP들의 제2 서브세트, 예를 들어, 제5 TRP(1013), 제6 TRP(1015), 및 제7 TRP(1017)는 제1 세트의 백홀 모드의 제2 백홀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된다(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수신).
표 3은 상이한 TRP 유형에 대한 예시적인 백홀 모드를 도시하며, X는 통신 없음을 나타내고, D는 다운링크 통신을 나타내며, U는 업링크 통신을 나타낸다.
셀 유형 서브-프레임 1 서브-프레임 2 서브-프레임 3 서브-프레임 4
A D full(mode A1) X(mode A3) X(mode A3) U full(mode A2)
B U partial(mode 1) D partial(mode 2) U partial(mode 3) D partial(mode 4)
C U partial(mode 3) U partial(mode 1) D partial(mode 4) D partial(mode 2)
표 3: 상이한 TRP 유형에 대한 백홀 시간의 예.전술한 일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서브프레임들의 시간 순서는 중요하지 않으며, TRP들에 대한 백홀 모드들만이 이웃 TRP들과 동기화된다. 서브프레임들의 상이한 시간 순서(예를 들어, 1, 4, 2, 및 3)는 TRP 유형 A에 대한 서브프레임 2 및 3에서 백홀 빔포밍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TRP 유형 A가 서브프레임 2 및 3을 액세스에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주파 백홀 링크에 사용되는 TDD 서브프레임은 액세스에 사용되는 TDD 서브프레임으로써 시간 멀티플렉싱된다(TDMA를 사용하여). 스펙트럼이 FDMA를 사용하여 분리되더라도, 복잡성과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TRP들의 무선 주파수(RF) 빔포밍 체인은 고주파 백홀 링크와 액세스 사이에 공유된 시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주파 백홀 링크에 사용된 TDD 서브프레임을 액세스에 사용된 TDD 서브프레임과 시간 멀티플렉싱하기 위해(여기서 제시된 백홀 모드에 관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생성된 바와 같이), 액세스에 사용되는 TDD 서브프레임의 공통 부분이 사용된다. 표 4는 3GPP LTE-A에 대한 TDD 프레임 구성을 나타낸다. "S"로 표시된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 1)은 모든 TDD 프레임 구성에 공통적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고주파 백홀 링크에 사용되는 TDD 서브프레임은 액세스에 사용되는 TDD 서브프레임들 사이에 삽입된다.
Figure 112018127999707-pct00001
표 4: 3GPP LTE-A에 대한 TDD 프레임 구성.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고주파 백홀 링크 지원을 위해 TDD 서브프레임을 반송하는 액세스에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의 지속 기간은 고주파 백홀 링크 지원을 위해 사용되는 TDD 서브프레임을 수용하도록 확장된다. 적절한 대역폭을 제공하기 위해 액세스 서브프레임을 확장해야 할 수 있다. 도 11은 고주파 백홀 링크 지원을 위해 TDD 서브프레임을 반송하는 데 사용되는 액세스 프레임 내에 확장된 서브프레임을 갖는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1100)를 도시한다. 고주파 백홀 링크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완전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통신하기 위해, 이들 백홀 서브프레임을 반송하는 데 사용되는 확장 액세스 서브프레임은 백홀 모드마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반송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도 5a-도 5c 내지 도 8a-도 8c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지원하기 위해, 적어도 3개의 서브프레임을 지원하는 확장이 필요한 반면, 도 9a-도 9g 및 도 10a-도 10d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지원하기 위해, 적어도 4개의 서브프레임을 지원하는 확장이 필요하다. 확장은 부가적인 고주파 백홀 링크 정보를 지원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의 최소 개수보다 더 클 수 있음에 주목한다. 또한, 백홀 서브프레임의 TDD 프레임 포맷 및 확장된 서브프레임의 지속 기간은 TRP들 사이의 상이한 방향들에서 동적으로 변하는 데이터 레이트들을 지원하도록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대안으로, 고주파 백홀 링크에 대한 하나의 완전한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TDD 서브프레임이 지원될 수 있다. 그러나, 완전한 고주파 백홀 링크 정보는 전체적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액세스에 사용된 가변 통신 빔 방향과는 반대로, TRP들 사이의 고주파 백홀 링크가 고정된 통신 빔 방향(TRP들은 일반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을 사용할 것이므로, 고주파 백홀 링크에 사용되는 통신 빔의 빔 폭은 액세스를 위해 사용된 빔 폭보다 실질적으로 더 좁을 수 있어서, 더 높은 신호 대 잡음비(SNR)를 초래하고, 이는 액세스(예를 들어, 16 QAM)보다 고주파 백홀 링크(예를 들어, 256 QAM)에 대해 보다 높은 레벨의 변조 방식의 사용을 차례로 용이하게 한다는 것을 주목한다. 또한, TRP들은 일반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액세스보다 고주파 백홀 링크에 대해 낮은 사운딩(sounding) 오버헤드가 필요하다. 따라서, 서브프레임 단위로, 고주파 백홀 링크는 액세스 링크보다 2배 내지 2.5배 정도 더 빠른 데이터 레이트를 달성할 수 있다. 보다 큰 데이터 레이트는 TRP가 다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예를 들어, 프레임 포맷 5) 또는 업링크 서브프레임(U)(예를 들어, 프레임 포맷 0)을 갖는 액세스에 대한 TDD 프레임 구성을 선택한 때에도, 각 프레임의 모든 UE 데이터에 대해 고주파 백홀 링크를 지원하기 위해 훨씬 더 적은 서브프레임이 필요하다. 도 12는 3GPP LTE-A, 강조 프레임 포맷 0 및 프레임 포맷 5에 대한 TDD 프레임 구성(1200)을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포맷 0은 D 서브프레임보다 많은 U 서브프레임을 갖는 반면(6 U 대 2 D), 프레임 포맷 5는 U 서브프레임보다 많은 D 서브프레임을 갖는다(8 D 대 1 U). 이러한 서브프레임 불균형으로도, 고주파 백홀 링크에서 달성 가능한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는 액세스 링크에서 지원되는 데이터 레이트를 지원하기 위해 보다 적은 고주파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의 요건을 초래한다.
액세스 링크 및 고주파 백홀 링크가 상이한 주파수들(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구성)에서 작동하는 통신 시스템들에서, 상이한 링크들의 숫자의 차이(즉, 액세스 링크에 대한 3GHz에서의 3GPP LTE 및 고주파 백홀 링크에 대한 30GHz에서의 mmWave는 10배의 차수의 서브프레임 지속 기간 차이를 초래할 수 있음) 및 작동 주파수들의 차이는 2개의 프레임 구조가 완전히 독립적일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구현을 단순화하고 고주파 백홀 링크를 통해 적시에 액세스 링크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두 개의 상이한 프레임 구조 사이의 타이밍을 일치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주파 백홀 링크에 대한 서브프레임들은 사용자 데이터가 필요하기 전에 TRP들 사이에 전달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충분한 빈도로 발생해야 한다.
도 13은 고주파 백홀 링크를 지원하기 위한 예시적인 TDD 프레임 포맷(1300)을 도시한다. 도 13은 액세스 프레임(1310)의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GP, 및 UpPTS(uplink pilot time slot)을 포함하는 S 서브프레임(1305)의 상세도를 제공한다. 또한, 도 13은 고주파 백홀 링크에 대한 프레임(1315)을 표시한다. 다양한 TDD 프레임 포맷들이 이용 가능하며, 각 TRP 연결은 그것들 각각의 데이터 레이트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상이한 서브프레임 시구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속 백홀 링크 프레임의 정확한 타이밍 위치는 유연한다. 그러나, 타이밍의 일관성은 구현을 더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일정한 형상(육각형 커버리지 영역) 및 일정한 크기(동일한 크기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 모든 TRP)를 갖는 커버리지 영역은 상이한 통신 빔 멀티플렉싱 기술의 일반적인 원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실제 배치에서 TRP들의 커버리지 영역은 모두 동일한 모양 및/또는 크기가 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각 TRP의 커버리지 영역은 지형 및 전파 조건에 따라 임의의 모양 및 크기를 가질 것이다. 또한, 각 TRP는 정확히 6개의 이웃 TRP를 갖지 않을 수 있다.
도 14는 일반화된 통신 시스템(1400)을 도시한다. 통신 시스템(1400)은 연관된 커버리지 영역(1410)을 갖는 TRP X(1405)를 포함한다. 커버리지 영역(1410)의 형태는 지형(예를 들어, 신호를 차단하는 큰 구조 또는 지형, 명확한 신호 전파를 허용하는 넓은 개방 공간 등) 및 전파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RP X (1405) 는 Yx 이웃 TRP들이 있다. 이웃 TRP들의 개수는 통신 시스템(1400)에 대한 TRP X(1405)의 위치(예를 들어, 시스템 중심, 시스템 에지 등), 사용자의 밀도, 간섭의 존재 또는 부족 등에 달려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화된 통신 시스템에서, 각 TRP는 고주파 백홀 링크 상에서 통신하기 위한 정수의 백홀 모드 작동을 갖는다. 각 백홀 작동 모드 내에서, TRP는 다운링크 송신 또는 업링크 수신을 수행하고 다운링크 및 업링크 모두를 수행하지 않는다. 백홀 모드 작동들 사이에서, TRP는 예를 들어, 다운링크에서 업링크로 또는 업링크에서 다운링크로 통신 모드를 스위칭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다운링크에서 또는 다운링크로 또는 업링크에서 업링크로 동일한 통신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모든 TRP는 동일한 백홀 작동 모드를 사용하지만, 상이한 TRP 유형들은 주어진 시구간에 상이한 백홀 모드들을 수행한다. 백홀 모드의 할당은 TRP 유형에 기초하여 이루어지고, TRP 유형은 예를 들어, 수동으로 또는 알고리즘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TRP들은 순차적으로 백홀 모드를 순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화된 통신 시스템에서, 각 TRP는 고주파 백홀 링크 상에서 통신하기 위한 3개의 백홀 모드 작동을 갖는다. 첫 번째 백홀 모드에서, TRP는 그것의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그것의 모든 이웃 TRP와 통신(송신 또는 수신)한다. 제2 백홀 모드에서, TRP는 그것의 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그것의 이웃 TRP들의 제1 세트와 통신(수신 또는 송신)하고, 제3 백홀 모드에서, TRP는 그것의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그것의 이웃 TRP들과 통신(수신 또는 송신)한다. 제2 및 제3 백홀 모드는 이웃 TRP들의 일부와의 통신과 관련있으므로, 부분 모드라고 지칭될 수 있다. 통신 빔들의 제1 세트와 통신 빔들의 제2 세트의 조합은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구성한다. 또한, 통신 빔들의 제1 세트 및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는 상호 배타적일 수 있다. 2개 이상의 부분 모드를 갖는 3개 이상의 백홀 모드가 있을 수 있음을 주목한다. 그러나, 결합 시에, 2개 이상의 부분 모드는 모든 이웃 TRP들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화된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백홀 모드는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그것의 이웃 TRP들 모두에 송신하는 TRP X를 포함하고, 제2 백홀 모드는 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통해 그것의 이웃 TRP들의 제1 세트로부터 수신하는 TRP X를 포함하며, 제3 백홀 모드는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통해 그것의 이웃 TRP들의 제2 세트로부터 수신하는 TRP X를 포함한다. 이웃 TRP들의 제1 세트 및 제2 세트는 TRP X의 이웃 TRP들 모두를 구성하며, 상호 배타적일 수 있다. 이웃 TRP들의 제1 세트 및 제2 세트는, 예를 들어, 홀수개의 이웃 TRP가 있으면, 크기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통신 빔들의 제1 세트 및 제2 세트는 TRP X의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구성하며, 상호 배타적일 수 있다. TRP의 할당은 정적, 반정적, 또는 동적일 수 있다. 필요한 서브프레임 대응하는 개수는 실제 배치에 따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화된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백홀 모드는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그것의 이웃 TRP들 모두로부터 수신하는 TRP X를 포함하고, 제2 백홀 모드는 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통해 그것의 이웃 TRP들의 제1 세트에 송신하는 TRP X를 포함하며, 제3 백홀 모드는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통해 그것의 이웃 TRP들의 제2 세트에 송신하는 TRP X를 포함한다. . 이웃 TRP들의 제1 세트 및 제2 세트는 TRP X의 이웃 TRP들 모두를 구성하며, 상호 배타적일 수 있다. 이웃 TRP들의 제1 세트 및 제2 세트는, 예를 들어 홀수개의 이웃 TRP들이 있거나 또는 이웃 TRP들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으면, 크기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세트 및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는 TRP X의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구성하며, 상호 배타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화된 통신 시스템에서, 일부 TRP 유형은 개별 빔포밍 능력뿐만 아니라 TRP 유형 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할당되는 상이한 백홀 모드를 갖고, 서로 상이한 TRP 유형 중 적어도 일부는 백홀 모드들의 상이한 세트를 순환한다. 백홀 모드들의 상이한 세트마다 모드의 개수가 상이하면, 백홀 모드들의 상이한 세트를 사용하는 다른 TRP들이 그들의 사이클을 완료하도록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보다 적은 모드로 백홀 모드들의 세트를 사용하는 TRP들은 그들 각각의 백홀 모드들의 세트를 순환한 후에 유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백홀 모드들의 상이한 세트들이 존재하지만, 백홀 모드들의 한 세트에 할당된 TRP 유형의 모든 TRP는 백홀 모드들의 동일한 세트를 사용할 것이다. 또한, 모든 TRP는 동일한 레이트로 백홀 모드들을 순환한다. 상이한 TRP들에 대해 상이한 백홀 모드들의 세트의 사용은 상이한 빔포밍 능력을 갖는 TRP들에 대한 고주파 백홀 링크의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TRP는 그들 각각의 가용한 통신 빔들에서 더 많은 개수의 통신 빔을 사용한다. 또 다른 예로, 일부 TRP는 수행할 수 있는 동시 전송 또는 수신 빔의 개수에 대해 상이한 제한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화된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유형의 TRP는 3개의 백홀 모드들의 세트에 할당되고, 하나보다 많은 제2 유형의 TRP는 4개의 백홀 모드들의 세트에 할당된다. 3개의 백홀 모드들의 세트는 TRP가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그것의 이웃 TRP들 모두에 송신하는 제1 백홀 모드, TRP가 모든 가용한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그것의 이웃 TRP들 모두로부터 수신하는 제2 백홀 모드, 및 TRP가 유휴 상태인 제3 백홀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백홀 모드들의 세트는 TRP가 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이웃 TRP들의 제1 세트에 송신하는 제1 백홀 모드, TRP가 통신 빔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제1 세트의 이웃 TRP들로부터 수신하는 제2 백홀 모드, TRP가 통신 빔들의 제2 세트에 송신하는 제3 백홀 모드, 및 TRP가 통신 빔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제2 세트의 이웃 TRP로부터 수신하는 제4 백홀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은 더 많은 개수의 부분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TDD 백홀 프레임의 각 서브프레임에 대한 백홀 모드가 어느 TRP에 할당되는지는 어떻게 이웃 TRP들이 공간에 위치하는지 뿐만 아니라,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육각형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규 배치의 예가 상기에 설명되어 있다. 각 TRP에 대한 백홀 모드 대 서브프레임 매핑은 TDD 백홀 프레임 구성의 일부로서 수행될 수 있다.
매핑은 네트워크 계획 중에 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각 TRP는 각각의 백홀 모드를 갖는 TRP 지정 TDD 백홀 프레임 구성에 할당될 수 있다. 구성은 저장되고, 나중에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될 수 있다.
매핑은 반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새롭게 배치된 TRP는 그것의 모든 이웃 TRP 및 그것들 각각의 식별자를 탐색하기 위해 빔 스윕(sweep)을 수행할 수 있다. 새롭게 배치된 TRP는 TDD 백홀 프레임 구성 엔티티에 보고할 수 있고, 보고는 이웃 TRP들의 식별자들(및 선택적으로, 각각의 이웃 TRP들과 연관된 새롭게 배치된 TRP의 빔 인덱스들, 예를 들어, 빔 방향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이웃 목록 보고라고 지칭한다. 새롭게 배치된 TRP의 빔포밍 능력이라면, 이는 TRP 능력 보고라고 지칭된다. 새롭게 배치된 TRP는 TDD 백홀 프레임 구성 엔티티로부터 연관된 백홀 모드를 갖는 TRP 지정 TDD 백홀 프레임 구성을 수신한다. TDD 백홀 프레임 구성 엔티티는 구성 전용의 네트워크 엔티티일 수도 있거나, 또는 그것은 기존의 네트워크 엔티티와 함께 배치될 수도 있다.
매핑은 동적으로(즉, 반정적보다 큰 주파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 엔티티는 각 TRP에 TRP 지정 TDD 백홀 프레임 구조를 동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는 각 TRP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선택된 TDD 프레임에 기초할 수 있고, 및/또는 업데이트된 이웃 리스트는 각각의 TRP로부터 보고하며, 이는 TRP가 특별한 이벤트 (콘서트, 스포츠, 컨벤션 등)를 위해 켜지거나 또는 꺼질 때, 로드로 인해 켜지거나 또는 꺼질 때, 또는 TRP가 비-고정적일 때(차량, 버스, 기차 등) 유용할 수 있다.
TDD 백홀 프레임 구조를 각 TRP에 반정적 또는 동적으로 할당하도록 네트워크 제어 엔티티와 각 TRP 사이의 통신은 네트워크 제어 엔티티 연결(유선 또는 무선 중 하나일 수 있음)에 대한 전용 TRP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이 연결은 mmWave 백홀이 사용되어 일반 X2 인터페이스를 보완하는 때, 구현이 간단할 수 있다. 단지 낮은 데이터 레이트가 연결에 필요하다는 것을 주목한다.
도 15는 TRP가 TDD 백홀 프레임 구성을 획득하는 예시적인 방법(1500)을 도시한다. TRP X(1505)는 메모리(1510), 네트워크 엔티티(1515), 또는 이웃 TRP(1520)(예를 들어, 마스터 TRP)로부터 TDD 백홀 프레임 구성을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TDD 백홀 프레임 구성의 파라미터들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 TDD 프레임 포맷 인덱스: 이 옵션은 사용 가능한 포맷(예를 들어, 2, 4, 8, 12, 16 등)의 고정된 세트를 가정하며, 매우 낮은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 대안으로, 각 액세스 프레임 및 모드(1, 2, 3 등) 또는 TDD 백홀 프레임의 각 서브프레임에 대한 서브프레임 유형(다운링크-풀, 업링크-풀, 다운링크-부분, 업링크-부분 등)에 대해 프레임 길이(예를 들어, 서브프레임들)가 지정될 수 있다.
- 전체 서브프레임에 대한 TRP들(또는 각 방향(angular directions))의 인덱스.
- 개별 부분 서브프레임 또는 모드에 대한 TRP들(또는 방향)의 인덱스.
도 16a 및 16b는 도시 지역을 위한 예시적인 배치를 도시한다. 그림 16a는 A. Goldsmith 외, "A Measurement-based Model for Predicting Coverage Areas of Urban Microcells", IEEE Journal on Sel. Communications, Vol. 11, No. 7, September 1993, pp. 1013-11023에서 제시되며, 이는 여기서 참조 문헌으로 포함되고 직사각형 도시 배치의 신호 전력 레벨을 도시한다. 도 16b는 3GPP RAN 1 WG 1 Meeting #84-R1 160924, "Diamond Shaped Cell Layouts for Above 6 GHz Channel Modeling"에서 제시되며, 이는 여기에 참조로 포함되고 9개의 구획을 갖는 다이아몬드 형 도시 전개를 도시한다.
도 17은 TDD 백홀 서브프레임 매핑에 백홀 모드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발생하는 예시적인 작동들(1700)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네트워크 엔티티가 TDD 백홀 서브프레임 매핑에 백홀 모드를 수행하므로, 작동(1700)은 TDD 프레임 구성 엔티티 또는 네트워크 제어 엔티티와 같은,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발생하는 작동을 나타낼 수 있다.
작동(1700)은 TRP들로부터 이웃 리스트 및 TRP 능력 보고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로 시작한다(블록 1705). 이웃 리스트 및 TRP 능력 보고는 통신 시스템의 모든 TRP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대안으로, 이웃 리스트 및 TRP 능력 보고는 새롭게 배치된 TRP들 또는 변경된 구성을 갖는 TRP로부터 수신된다. 예를 들어, TRP가 이웃 TRP가 변경되었다고 결정할 때, TRP는 이웃 리스트 및/또는 TRP 능력 보고를 전송한다. 다른 예로서, TRP의 능력이 변할 때, TRP는 TRP 능력 보고 및/또는 이웃 리스트를 전송한다. 대안으로, 네트워크 엔티티는 네트워크 계획 중에 TRP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네트워크 엔티티는 TRP 유형을 TRP들에 할당한다(블록 1710). TRP 유형들의 할당은 통신 시스템의 토폴로지에 기초한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TRP 유형의 할당은 TRP 능력도 고려한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는 할당된 TRP 유형들에 따라 TRP들에 백홀 모드들을 할당한다(블록 1715). 네트워크 엔티티는 할당된 TRP 유형들에 따라 TDD 백홀 프레임 구성들을 TRP들에 할당한다(블록 1720). 네트워크 엔티티는 TDD 백홀 프레임 구성 및 백홀 모드를 저장한다(블록 1725). TDD 백홀 프레임 구성 및 백홀 모드는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대안으로, TDD 백홀 프레임 구성 및 백홀 모드가 TRP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도 18은 고주파 백홀 링크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TRP에서 발생하는 예시적인 작동들(1800)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작동들(1800)은 고주파 백홀 링크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TRP에서 발생하는 작동들을 나타낼 수 있다.
작동(1800)은 TRP가 TDD 백홀 프레임 구성 및 백홀 모드를 결정하는 것으로 시작한다(블록(1805)). TDD 백홀 프레임 구성 및 백홀 모드는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되거나,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이웃 TRP(마스터 TRP와 같은)에서 검색될 수 있다. 대안으로, 백홀 프레임 구성 및 백홀 모드는 할당을 수행한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서 직접 지시될 수 있다. 시구간 동안, TRP는 시구간에 대응하는 백홀 모드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고주파 백홀을 사용하여 통신한다(블록 1810). TRP는 시구간이 끝났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검사를 수행한다(블록 1815). 시구간이 끝나지 않으면, TRP는 블록(1810)에서와 같이 통신을 계속한다. 시구간이 끝나면, TRP는 다음 시구간으로 스위칭하고(블록 1820), 블록 1810으로 복귀하여 다음 시구간에 대응하는 백홀 모드에 따라 통신한다.
도 19는 호스트 장치에 설치될 수 있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 실시예 처리 시스템(19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시스템(1900)은 프로세서(1904), 메모리(1906), 및 인터페이스(1910 내지 1914)를 포함하며, 이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될 수 있다. 프로세서(1904)는 계산 및/또는 다른 프로세싱 관련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집합일 수 있으며, 메모리(1906)는 프로세서(1904)에 의한 실행을 위한 프로그래밍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906)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910, 1912, 1914)는 처리 시스템(1900)이 다른 장치/컴포넌트 및/또는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 집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1910, 1912, 1914)는 데이터, 제어, 또는 관리 메시지를 프로세서(1904)로부터 호스트 장치 및/또는 원격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1910, 1912, 1914)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PC) 등)가 프로세싱 시스템(1900)과 상호 작용/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시스템(1900)은 장기간 스토리지(예를 들어, 비 휘발성 메모리 등)와 같은, 도 19에 도시되지 않은 부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시스템(1900)은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포함된다. 하나의 예에서, 처리 시스템(1900)은 기지국, 중계국, 스케줄러, 제어기, 게이트웨이, 라우터,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의 임의의 다른 장치와 같은, 무선 또는 유선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측 장치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처리 시스템(1900)은 UE(user equipment), PC(personal computer), 태블릿, 웨어러블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등), 또는 원격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장치와 같은, 무선 또는 유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측 장치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터페이스들(1910, 1912, 1914) 중 하나 이상은 프로세싱 시스템(1900)을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에 연결시킨다. 도 2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20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송수신기(2000)는 호스트 디바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기(2000)는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2002), 커플러(2004), 송신기(2006), 수신기(2008), 신호 처리기(2010), 및 디바이스측 인터페이스(2012)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2002)는 무선 또는 유선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2004)는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2002)를 통한 양방향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2006)는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를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2002)를 통한 송신에 적합한 변조된 캐리어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 집합(예를 들어, 업 컨버터, 전력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2008)는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2002)를 통해 수신된 캐리어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 집합(예를 들어, 다운 컨버터, 저잡음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기(2010)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장치 측 인터페이스(들)(2012)를 통한 통신에 적합한 데이터 신호로 또는 그 역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측 인터페이스(들)(2012)는 신호 프로세서(2010)와 호스트 장치 내의 컴포넌트들 사이에서 데이터 신호를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 집합(예를 들어, 처리 시스템(1900), LAN(local area network)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000)는 임의의 유형의 통신 매체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송수신기(2000)는 무선 매체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 및 수신한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2000)는 셀룰러 프로토콜(예를 들어, LTE(long-term evolution) 등),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프로토콜(예를 들어, Wi-Fi 등),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무선 프로토콜(예를 들어,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무선 전기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송수신기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2002)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방사 소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2002)는 SIMO(single input multiple output), MISO(multiple input single output),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등과 같은, 다층 통신을 위해 구성된 단일 안테나, 다중 분리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수신기(2000)는 유선 매체, 예를 들어 꼬인 쌍(twisted-pair) 케이블, 동축(coaxial) 케이블, 광섬유 등을 통해 시그널링을 전송 및 수신한다. 특정 처리 시스템 및/또는 송수신기는 도시된 모든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서브세트만을 이용할 수 있으며, 통합 수준은 디바이스마다 다를 수 있다.
본 발명과 그 이점이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개시 내용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 대체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7)

  1. 송수신 포인트(TRP: transmission-reception point) 작동 방법으로서,
    TRP가, TRP에 대한 백홀(backhaul) 통신 모드들의 제1 사이클을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1 사이클의 각각의 백홀 통신 모드는 상이한 시간 주기와 연관되어 있고, 연관된 시간 주기 동안 상기 TRP에 이용 가능한 통신 빔들의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상기 TRP에 프롬프트하며, 각각의 연관된 시간 주기에서 상기 TRP 및 상기 TRP의 이웃 TRP들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통신 빔들은 상호 간섭을 방지하도록 선택되고, 상기 제1 사이클의 적어도 하나의 백홀 통신 모드는 상기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을 사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상기 TRP에 프롬프트함 - ,
    TRP가, 제1 사이클에 따라 TRP에 대한 백홀 프레임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백홀 프레임 구성은 백홀 통신들에 대해 사용되는 프레임의 서브 프레임들의 배열을 지정함 - , 그리고
    TRP가, 제1 사이클 및 백홀 프레임 구성에 따라 상기 TRP의 이웃 TRP들과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백홀 통신 모드들의 복수의 사이클들이 존재하고, 각각의 사이클의 백홀 통신 모드 각각은, 연관된 시간 주기 동안 연관된 TRP에 이용 가능한 통신 빔들의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상기 연관된 TRP를 지정하며, 각각의 TRP 유형은 한 세트의 백홀 모드에 할당되며,
    상기 사이클들은 상이한 개수의 백홀 통신 모드들을 갖고, 상기 TRP에 할당된 상기 제1 사이클은 제2 세트의 백홀 모드보다 더 적은 백홀 모드들을 가지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시간 주기에서 유휴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수신 포인트 작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클을 결정하는 단계는, 메모리로부터 제1 사이클을 검색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사이클을 검색하는 단계,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메시지로 제1 사이클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이웃 TRP로부터 제1 사이클을 수신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는,
    송수신 포인트 작동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홀 프레임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메모리로부터 백홀 프레임 구성을 검색하는 단계, 백홀 프레임 구성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메시지로 백홀 프레임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이웃 TRP로부터 백홀 프레임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는,
    송수신 포인트 작동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클은 상기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상기 이웃 TRP들 모두에 송신하도록 상기 TRP를 지정하는 제1 백홀 모드,
    상기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의 제1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이웃 TRP들의 제1 서브 세트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TRP를 지정하는 제2 백홀 모드, 그리고
    상기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의 제2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이웃 TRP들의 제2 서브 세트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TRP를 지정하는 제3 백홀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웃 TRP들의 상기 제1 서브 세트 및 상기 제2 서브 세트의 조합은 이웃 TRP들 모두를 포함하는,
    송수신 포인트 작동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클은,
    상기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상기 이웃 TRP들 모두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TRP를 지정하는 제4 백홀 모드,
    상기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의 제3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이웃 TRP들의 제3 서브 세트에 송신하도록 상기 TRP를 지정하는 제5 백홀 모드, 그리고
    상기 TRP에 대해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의 제4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이웃 TRP들의 제4 서브 세트에 송신하도록 상기 TRP를 지정하는 제6 백홀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웃 TRP들의 상기 제3 서브 세트 및 상기 제4 서브 세트의 조합은 이웃 TRP들 모두를 포함하는,
    송수신 포인트 작동 방법.
  6. 송수신 포인트(TRP: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서,
    프로세서,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프로그래밍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래밍은,
    TRP에 대한 백홀(backhaul) 통신 모드들의 제1 사이클을 결정하고 - 여기서 상기 제1 사이클의 각각의 백홀 통신 모드는 상이한 시간 주기와 연관되어 있고, 연관된 시간 주기 동안 상기 TRP에 이용 가능한 통신 빔들의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상기 TRP에 프롬프트하며, 각각의 연관된 시간 주기에서 상기 TRP 및 상기 TRP의 이웃 TRP들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빔들은 상호 간섭을 방지하도록 선택되고, 제1 사이클의 적어도 하나의 백홀 통신 모드는 상기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을 사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상기 TRP에 프롬프트함 - ,
    제1 사이클에 따라 TRP에 대한 백홀 프레임 구성을 결정하며 - 여기서 백홀 프레임 구성은 백홀 통신들에 대해 사용되는 프레임의 서브 프레임들의 배열을 지정함 - ,
    제1 사이클 및 백홀 프레임 구성에 따라 TRP의 이웃 TRP들과 통신하도록 상기 TRP를 구성하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백홀 프레임 구성은 백홀 통신들에 대해 사용되는 프레임의 서브 프레임들의 배열을 지정하며,
    상기 사이클들은 상이한 개수의 백홀 통신 모드들을 갖고, 상기 TRP에 할당된 상기 제1 사이클은 제2 세트의 백홀 모드보다 더 적은 백홀 모드들을 가지며,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제1 사이클을 완료한 후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주기에서 유휴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TRP를 구성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송수신 포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클은,
    상기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상기 이웃 TRP들 모두에 송신하도록 상기 TRP를 지정하는 제1 백홀 모드,
    상기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의 제1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이웃 TRP들의 제1 서브 세트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TRP를 지정하는 제2 백홀 모드, 그리고
    상기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의 제2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이웃 TRP들의 제2 서브 세트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TRP를 지정하는 제3 백홀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웃 TRP들의 상기 제1 서브 세트 및 상기 제2 서브 세트의 조합은 이웃 TRP들 모두를 포함하는,
    송수신 포인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클은,
    상기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을 사용하여 상기 이웃 TRP들 모두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TRP를 지정하는 제4 백홀 모드,
    상기 TRP에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의 제3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이웃 TRP들의 제3 서브 세트에 송신하도록 상기 TRP를 지정하는 제5 백홀 모드, 그리고
    상기 TRP에 대해 이용 가능한 모든 통신 빔들의 제4 서브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이웃 TRP들의 제4 서브 세트에 송신하도록 상기 TRP를 지정하는 제6 백홀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웃 TRP들의 상기 제3 서브 세트 및 상기 제4 서브 세트의 조합은 이웃 TRP들 모두를 포함하는,
    송수신 포인트.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187036956A 2016-05-26 2017-05-16 송수신 포인트와 송수신 포인트 연결에서의 시분할 듀플렉스 멀티플렉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226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41877P 2016-05-26 2016-05-26
US62/341,877 2016-05-26
US15/289,638 2016-10-10
US15/289,638 US10116349B2 (en) 2016-05-26 2016-10-10 System and method for time division duplexed multiplexing in transmission-reception point to transmission-reception point connectivity
PCT/CN2017/084614 WO2017202230A1 (en) 2016-05-26 2017-05-16 System and method for time division duplexed multiplexing in transmission-reception point to transmission-reception point connectiv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940A KR20190008940A (ko) 2019-01-25
KR102226635B1 true KR102226635B1 (ko) 2021-03-10

Family

ID=6041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956A KR102226635B1 (ko) 2016-05-26 2017-05-16 송수신 포인트와 송수신 포인트 연결에서의 시분할 듀플렉스 멀티플렉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116349B2 (ko)
EP (1) EP3453213B1 (ko)
JP (1) JP6692929B2 (ko)
KR (1) KR102226635B1 (ko)
CN (1) CN109196932B (ko)
WO (1) WO20172022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5235B2 (en) 2015-06-10 2020-02-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network resource routing and resource optimization
US10485054B2 (en) * 2016-05-26 2019-11-19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neighbors in a communications system with beamforming
EP3566336A1 (en) * 2017-01-06 2019-11-13 IDAC Holdings, Inc. Beam failure recovery
KR102465266B1 (ko) * 2017-05-24 2022-1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iso 동작을 위한 게이트웨이 시그널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216999A1 (ko) * 2017-05-24 2018-1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iso 동작을 위한 게이트웨이 시그널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226028A1 (ko) * 2017-06-07 2018-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파수/타이밍 옵셋을 위한 게이트웨이 시그널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133804A (ko) * 2017-06-07 2018-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파수/타이밍 옵셋을 위한 게이트웨이 시그널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575240B2 (en) 2017-09-12 2020-02-25 Sony Corporation Multi-band millimeter wave network discovery
US10716053B2 (en) 2017-10-02 2020-07-14 Sony Corporation Adaptive network discovery signaling
EP3718371A1 (en) * 2017-11-30 2020-10-07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backhaul in 5g networks
CN109996338A (zh) * 2017-12-29 2019-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bwp状态的方法、设备及系统
US10728733B2 (en) * 2018-01-12 2020-07-28 Sony Corporation Multi-band millimeter wave discovery in WLAN distribution networks
CN111133797A (zh) * 2018-06-21 2020-05-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能力交互方法及相关设备
US10637563B2 (en) 2018-08-06 2020-04-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ynamic adjustment of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link partition for emergency communications
US10742299B2 (en) 2018-08-20 2020-08-11 Sony Corporation Allocation and directional information distribution in millimeter wave WLAN networks
US20220078751A1 (en) 2019-01-10 2022-03-10 Sony Group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20149653A1 (en) * 2019-01-16 2020-07-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dio resource for a redundant route for a dual-connecting iab-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265883B1 (en) * 2019-09-12 2022-03-01 T-Mobile Innovations Llc Dedicating antenna elements to specific wireless devices
US10728009B1 (en) 2019-10-10 2020-07-28 T-Mobile Usa, Inc. Mitigating interference between base stations and microwave backhaul transceivers
US20210112550A1 (en) * 2019-10-10 2021-04-15 T-Mobile Usa, Inc. Detecting interference between base stations and microwave backhaul transceivers
US11665714B2 (en) * 2019-10-11 2023-05-30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ing by adapting active beam number related parameters
US20220159650A1 (en) * 2020-11-17 2022-05-19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Industry, through the C Inter-towe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s
US11342970B1 (en) * 2020-11-25 2022-05-2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indicating preferred beams in multi-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multi-TRP) systems based on default operating frequency (DOF) mismatc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5263A (ja) * 2010-09-16 2012-04-26 Ricoh Co Ltd 無線通信方式、無線通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251B1 (ko) 2009-03-17 2013-05-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릴레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EP2465313A4 (en) 2009-08-14 2016-10-19 Nokia Technologies Oy FLEXIBLE WAYS FOR DISPLAYING DOWNLINK UPLINK BACKHAUL SUB-FRAME CONFIGURATIONS IN A RELAY SYSTEM
CN102196581B (zh) 2010-03-19 2015-12-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回程链路下行子帧的配置方法及系统
CN101877856B (zh) 2010-07-02 2013-02-27 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无线资源管理方法
CN102468904B (zh) 2010-11-05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回程子帧配置指示方法及系统
US9231681B2 (en) * 2013-01-21 2016-01-05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backhaul and access communication via a common antenna array
US9402268B2 (en) * 2013-08-02 2016-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and scheduling schemes for wireless fronthaul
US20160183232A1 (en) * 2014-12-19 2016-06-23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Cellula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s Systems
KR102427299B1 (ko) 2015-08-13 2022-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백홀을 통해서 무선 접속망과의 연결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5263A (ja) * 2010-09-16 2012-04-26 Ricoh Co Ltd 無線通信方式、無線通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16349B2 (en) 2018-10-30
US10932234B2 (en) 2021-02-23
CN109196932B (zh) 2021-05-14
WO2017202230A1 (en) 2017-11-30
US20190068237A1 (en) 2019-02-28
CN109196932A (zh) 2019-01-11
KR20190008940A (ko) 2019-01-25
EP3453213A4 (en) 2019-05-01
EP3453213A1 (en) 2019-03-13
EP3453213B1 (en) 2020-09-02
JP6692929B2 (ja) 2020-05-13
JP2019523580A (ja) 2019-08-22
US20170346525A1 (en)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635B1 (ko) 송수신 포인트와 송수신 포인트 연결에서의 시분할 듀플렉스 멀티플렉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3626011B1 (en) System and method for backhaul and access in beamformed communications systems
CN105830496B (zh) 波束成形系统中的控制信令发送
CN107078787B (zh) Sudac、用户设备、基站和sudac系统
CN106465465B (zh) 在活跃使用的频谱内进行并行频谱使用的系统和方法
JP5154582B2 (ja) マルチホップ中継局を有するワイヤレスセルラ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無線リソース管理
KR100901374B1 (ko) 다중홉 릴레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셀 내 간섭 없이 다중링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35950A (ko) SUDA(Shared User Equipment-side Distributed Antenna, 사용자 단말기 측 공유 분산 안테나) 시스템 제어장치
KR20150018625A (ko) 통신 시스템
KR20140035255A (ko) 밀리미터파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및 밀리미터파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KR20130107949A (ko) 다중 셀을 가지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및 빔 형성 장치
US11979948B2 (en) Methods,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and infrastructure equipment
US10667284B2 (en) Method and communication node of scheduling radio resources
US10764878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signal
JP7218290B2 (ja) アクティブに使用されるスペクトル内での干渉を緩和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2611230A1 (en) Method for deploying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KR20230088395A (ko) 반복 전송 개량
US202203684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lexing switching of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117856A1 (en) Multi-phase frame structure to support multi-hop wireless broadband access communications
JP2017527150A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KR102048751B1 (ko) 밀리미터파 기반의 인빌딩 릴레이 동작 방법 및 장치
US202201664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within actively used spectrum
Manasa et al. Architecture and technology components for 5G mobile and wireless communication
KR102024313B1 (ko)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KR102667404B1 (ko) 능동적으로 사용되는 스펙트럼 내에서의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