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496B1 -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 - Google Patents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496B1
KR102226496B1 KR1020200137965A KR20200137965A KR102226496B1 KR 102226496 B1 KR102226496 B1 KR 102226496B1 KR 1020200137965 A KR1020200137965 A KR 1020200137965A KR 20200137965 A KR20200137965 A KR 20200137965A KR 102226496 B1 KR102226496 B1 KR 102226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quipment
air injection
expansion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성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텍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텍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텍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137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5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28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230/00Special operations in a machine tool
    • B23Q2230/002Using the spindle for performing a non machining or non measuring operation, e.g. cleaning, actuating a mechanism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이 장비 본체와, 상기 장비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가공이 필요한 가공 대상체를 가공하여 산업 시설용 부품이 형성되도록 하는 장비 가공부와, 상기 장비 가공부에 의해 상기 가공 대상체가 가공되도록 상기 장비 가공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비 제어부를 포함하는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의 내부에 에어를 분사시키는 것으로서, 몸체 부재와, 연결 부재와, 에어 공급 부재 및 에어 분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장비 가공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상기 에어의 분사가 요구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대의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Removable air injection module applied to parts processing equipment for industrial facilities}
본 발명은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는 평판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가공 대상체를 가공하여 다양한 산업시설에 적용되는 부품을 가공하는 장비로, 머시닝 센터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것들이다.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는 장비 본체와, 상기 장비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가공이 필요한 가공 대상체를 가공하여 산업 시설용 부품이 형성되도록 하는 하는 장비 가공부와, 상기 가공 대상체가 가공되도록 상기 장비 가공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비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로 상기 가공 대상체를 가공할 때에는 상기 가공 대상체에서 분리되는 칩 등의 이물질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이물질이 가공 중인 상기 가공 대상체 또는 상기 장비 가공부에 부착되면 상기 이물질의 부착에 의해 상기 가공 대상체가 미리 설정된 형태로 가공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육안으로 상기 가공 대상체의 가공 상태를 확인하기 어렵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장비 가공부 중 요구되는 부분에 에어를 분사시켜 상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에어 분사 모듈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의하면 에어를 분사시키는 상기 에어 분사 모듈이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에어가 분사되는 경로가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 내부에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가 상대적으로 더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에어 분사 모듈의 작동 불량 시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 전체를 수리하게 됨으로써 오히려 상기 가공 대상체의 가공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에어 분사 모듈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 장착됨으로써 상기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부분에 한계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0939830 호, 등록일자 : 2010.01.25., 발명의 명칭 : CNC 릴리빙 선반 등록실용 제 20-0382717 호, 등록일자 : 2005.04.15., 발명의 명칭 : 공작물 표면 가공정도 향상 CNC 세형방전가공기
본 발명은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와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 중 임의의 위치에서 착탈 가능한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은 장비 본체와, 상기 장비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가공이 필요한 가공 대상체를 가공하여 산업 시설용 부품이 형성되도록 하는 장비 가공부와, 상기 장비 가공부에 의해 상기 가공 대상체가 가공되도록 상기 장비 가공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비 제어부를 포함하는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의 내부에 에어를 분사시키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 부재; 상기 몸체 부재와 결합되면서 상기 장비 가공부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 상기 몸체 부재와 결합되고, 그 내부가 상기 몸체 부재의 내부와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몸체 부재의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하는 에어 공급 부재; 상기 몸체 부재와 결합되고, 그 내부가 상기 몸체 부재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에어 공급 부재를 통해 상기 몸체 부재의 내부로 공급된 상기 에어를 상기 장비 가공부 중 요구되는 위치에 분사시키는 에어 분사 부재; 및 상기 장비 가공부에 연결되면서 그 중앙부에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에어 분사 부재에서 상기 에어가 분사되는 동안 상기 연결 부재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 부재를 잡아 주는 위치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 가공부 중 적어도 일부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자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장비 가공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 부재의 외측면에는 함몰된 연결 부재측 함몰홈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고정 부재는 그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면서 환형 형태로 형성되되, 그 내측면은 개방 형성되는 위치 고정 몸체와, 상기 위치 고정 몸체의 개방된 내측면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팽창부와, 상기 위치 고정 몸체와 상기 에어 공급 부재를 연결시켜 상기 에어 공급 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에어 중의 일부가 상기 위치 고정 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 유입관과, 상기 에어 유입관의 내부를 열어서 상기 위치 고정 몸체로 상기 에어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에어 유입관의 내부를 닫아서 상기 위치 고정 몸체로 상기 에어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는 에어 유입 제어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위치 고정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장비 가공부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 유입 제어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에어 공급 부재를 통해 상기 에어가 공급되면, 공급되는 상기 에어 중 일부가 상기 에어 유입관을 통해 상기 위치 고정 몸체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상기 에어에 의해 상기 팽창부가 팽창되면서 상기 연결 부재측 함몰홈의 내부 공간을 채워 상기 연결 부재를 지지하게 되고, 팽창된 상기 팽창부의 지지에 의해 상기 연결 부재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에 의하면,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이 장비 본체와, 상기 장비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가공이 필요한 가공 대상체를 가공하여 산업 시설용 부품이 형성되도록 하는 장비 가공부와, 상기 장비 가공부에 의해 상기 가공 대상체가 가공되도록 상기 장비 가공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비 제어부를 포함하는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의 내부에 에어를 분사시키는 것으로서, 몸체 부재와, 연결 부재와, 에어 공급 부재 및 에어 분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장비 가공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상기 에어의 분사가 요구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대의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이 적용된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의 개략적인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을 확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을 구성하는 위치 고정 부재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위치 고정 부재에 적용된 팽창부가 팽창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을 구성하는 이물질 튐 방지 부재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이 적용된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의 개략적인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100)은 장비 본체(11)와, 상기 장비 본체(11) 내부에 설치되고 가공이 필요한 가공 대상체를 가공하여 산업 시설용 부품이 형성되도록 하는 장비 가공부(12)와, 상기 장비 가공부(12)에 의해 상기 가공 대상체가 가공되도록 상기 장비 가공부(12)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비 제어부(16)를 포함하는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10)의 내부에 에어를 분사시키는 것으로서, 몸체 부재(110)와, 연결 부재(115)와, 에어 공급 부재(120) 및 에어 분사 부재(1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장비 가공부(12)는 상기 가공 대상체를 가공시키는 가공 툴(13)과, 상기 가공 툴(13)과 연결되고 상기 장비 본체(11)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공 툴(13)이 상기 가공 대상체의 가공을 위해 이동되도록 하는 가공 툴 이동체(14)와, 요구되는 형상으로 가공되기 위한 상기 가공 대상체가 고정된 상태로 안착되는 안착대(15)를 포함한다.
상기 장비 가공부(12) 중 적어도 일부는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공 툴 이동체(14)가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몸체 부재(110)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 부재(115)는 상기 몸체 부재(110)의 상단에 배치되면서 상기 몸체 부재(110)와 결합되고, 상기 장비 가공부(12)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 부재(115) 중 적어도 일부는 자기(磁氣)를 띤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장비 가공부(12) 중 적어도 일부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부재(115)의 적어도 일부가 자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115)는 상기 장비 가공부(1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부재(115)는 그 상부가 자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의 상부가 상기 장비 가공부(12)의 저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연결 부재(115)가 상기 장비 가공부(1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면, 상기 장비 가공부(12) 중 에어 분사가 필요한 곳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115)의 위치 및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고, 여러 대의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10)에 대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에어 공급 부재(120)는 상기 몸체 부재(110)와 결합되고, 그 내부가 상기 몸체 부재(110)의 내부와 연통되어 외부에 설치된 컴프레서 등의 에어 발생 수단(20)으로부터 발생된 후 상기 몸체 부재(110)의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가스 배관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분사 부재(125)는 상기 몸체 부재(110) 중 상기 에어 공급 부재(120)가 연결된 곳과 이격된 곳에서 상기 몸체 부재(110)와 결합되고, 그 내부가 상기 몸체 부재(110)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에어 공급 부재(120)를 통해 상기 몸체 부재(110)의 내부로 공급된 상기 에어를 상기 장비 가공부(12) 중 요구되는 위치에 분사시키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에어 분사 부재(125)는 상기 가공 대상체를 가공하기 위해 분사되는 절삭유 또는 상기 가공 대상체가 가공되는 동안 발생되는 칩(Chip) 등의 이물질이 상기 장비 가공부(12)를 구성하는 상기 가공 툴(13) 및 상기 안착대(15) 등에 묻어 있거나 들러 붙어 있을 때, 상기 장비 가공부(12)에 상기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에어 분사 부재(125)는 그 일측 말단부가 상기 몸체 부재(110)에 연결된 상태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복수 개의 주름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에어 분사 부재(125)가 설치되는 공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 부재(110)가 위치된 곳으로부터 상기 에어의 분사가 필요한 곳까지의 이격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으면, 상기 에어 분사 부재(125)는 소정 곡률을 가지면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몸체 부재(110)가 위치된 곳으로부터 상기 에어의 분사가 필요한 곳까지의 이격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면, 상기 에어 분사 부재(125)를 일직선 형태로 길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에어 분사 부재(125)가 복수 개의 주름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적어도 일부분만 굽힌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몸체 부재(110)에 상기 에어 공급 부재(120) 및 상기 에어 분사 분재가 결합됨으로써, 외부의 상기 에어 발생 수단(20)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에어가 상기 에어 공급 부재(120)를 통해 공급되어 상기 몸체 부재(110)로 유동된 후 상기 에어 분사 부재(125)를 통해 상기 장비 가공부(12) 중 요구되는 부위에 분사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26은 상기 에어 분사 부재(125)의 내부를 열어서 상기 에어 분사 부재(125)의 말단부로 상기 에어가 분사되도록 하거나, 상기 에어 분사 부재(125)의 내부를 닫아서 상기 에어 분사 부재(125)의 말단부로 상기 에어가 분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에어 분사 조절 밸브이고, 온오프 밸브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몸체 부재(110)에 상기 에어 공급 부재(120) 및 상기 에어 분사 부재(125)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 부재(115)에 상기 몸체 부재(11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장비 가공부(12)에 대한 상기 연결 부재(115)의 착탈 시 상기 몸체 부재(110)와, 상기 에어 공급 부재(120) 및 상기 에어 분사 부재(125) 역시 상기 연결 부재(115)와 함께 착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몸체 부재(110)에 상기 에어 공급 부재(120) 및 상기 에어 분사 분재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 부재(110)가 결합된 상기 연결 부재(115)가 상기 장비 가공부(12)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장비 가공부(12) 중 에어 분사가 필요한 곳에 따라 상기 몸체 부재(110)가 연결된 상기 연결 부재(115)의 위치 및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10)에서만 적용되지 아니하고, 여러 대의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10)에 대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몸체 부재(110)에 상기 에어 공급 부재(120)를 결합한다.
그런 다음, 상기 몸체 부재(110)에 상기 에어 분사 부재(125)를 결합한다.
그런 다음, 상기 연결 부재(115)에 상기 몸체 부재(110)를 결합한다.
그러면, 상기 몸체 부재(110)는 상기 에어 공급 부재(120) 및 상기 에어 분사 부재(125)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결 부재(115)에 결합된다.
그런 다음, 상기 몸체 부재(110)가 결합된 상기 연결 부재(115)를 상기 장비 가공부(12)에 장착한다.
상기 에어 공급 부재(120)로부터 공급된 상기 에어가 상기 몸체 부재(110)를 경유한 후 상기 에어 분사 부재(125)를 통해 상기 장비 가공부(12) 중 요구되는 부분에 분사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100)이 상기 장비 본체(11)와, 상기 장비 본체(11) 내부에 설치되고 가공이 필요한 가공 대상체를 가공하여 산업 시설용 부품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기 장비 가공부(12)와, 상기 장비 가공부(12)에 의해 상기 가공 대상체가 가공되도록 상기 장비 가공부(12)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기 장비 제어부(16)를 포함하는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10)의 내부에 에어를 분사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 부재(110)와, 상기 연결 부재(115)와, 상기 에어 공급 부재(120) 및 상기 에어 분사 부재(125)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115)가 상기 장비 가공부(1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상기 에어의 분사가 요구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115)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대의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10)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을 구성하는 위치 고정 부재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위치 고정 부재에 적용된 팽창부가 팽창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이 몸체 부재(210)와, 연결 부재(215)와, 에어 공급 부재(220)와, 에어 분산 부재(225) 및 위치 고정 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 부재(210)는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 부재(215)는 상기 몸체 부재(210)와 결합되면서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를 구성하는 장비 가공부에 연결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부재(215)의 외측면에는 함몰된 연결 부재측 함몰홈(216)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 공급 부재(220)는 상기 몸체 부재(210)와 결합되고, 그 내부가 상기 몸체 부재(210)의 내부와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몸체 부재(210)의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에어 분사 부재는 상기 몸체 부재(210)와 결합되고, 그 내부가 상기 몸체 부재(210)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에어 공급 부재(220)를 통해 상기 몸체 부재(210)의 내부로 공급된 상기 에어를 상기 장비 가공부 중 요구되는 위치에 분사시켜 상기 장비 가공부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시키는 것이다.
상기 위치 고정 부재(230)는 상기 장비 가공부에 연결되면서 그 중앙부에 상기 연결 부재(215)가 삽입되고, 상기 에어 분사 부재에서 상기 에어가 분사되는 동안 상기 연결 부재(215)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 부재(215)를 잡아 주는 것이다.
상기 위치 고정 부재(230)는 위치 고정 몸체(231)와, 팽창부(232)와, 에어 유입관(233)과, 에어 유입 제어 밸브(234)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고정 몸체(231)는 그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면서 환형 형태로 형성되되, 그 내측면은 개방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위치 고정 몸체(231)의 중앙부에 상기 연결 부재(215)가 삽입된다.
상기 위치 고정 몸체(231)는 볼트 등의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장비 가공부에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연결 부재(215)와 같이 상기 위치 고정 몸체(231)의 적어도 일부가 자석으로 이루어져서 자성체인 상기 장비 가공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 고정 몸체(231)의 상단부가 자석으로 이루어져 상기 장비 가공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면, 상기 위치 고정 몸체(231) 내부에 상기 연결 부재(215)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위치 고정 몸체(231)및 상기 연결 부재(215)가 함께 상기 장비 가공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팽창부(232)는 상기 위치 고정 몸체(231)의 개방된 내측면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 유입관(233)은 상기 위치 고정 몸체(231)와 상기 에어 공급 부재(220)를 연결시켜 상기 에어 공급 부재(220)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에어 중의 일부가 상기 위치 고정 몸체(23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에어 유입 제어 밸브(234)는 상기 에어 유입관(233)의 내부를 열어서 상기 위치 고정 몸체(231)로 상기 에어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에어 유입관(233)의 내부를 닫아서 상기 위치 고정 몸체(231)로 상기 에어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으로, 온오프 밸브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공급 부재(220)를 통해 상기 에어가 공급된 후 상기 에어 분사 부재에서 분사될 때는 상대적으로 고압인 상태로 분사하게 되는데, 이 때, 상대적으로 고압인 상태로 분사되는 상기 에어의 힘에 의해 상기 연결 부재(215)는 상기 장비 가공부에 최초 연결된 위치에서 임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 부재(215)가 상기 위치 고정 몸체(231)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장비 가공부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 유입 제어 밸브(234)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에어 공급 부재(220)를 통해 상기 에어가 공급되면, 공급되는 상기 에어 중 일부가 상기 에어 유입관(233)을 통해 상기 위치 고정 몸체(231)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상기 에어에 의해 상기 팽창부(232)가 팽창되면서 상기 연결 부재측 함몰홈(216)의 내부 공간을 채워 상기 연결 부재(215)의 외측면을 지지하게 되고, 팽창된 상기 팽창부(232)의 지지에 의해 상기 연결 부재(215)가 임의로 흔들리지 아니하고, 상기 장비 가공부에 연결된 초기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을 구성하는 이물질 튐 방지 부재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이 이물질 튐 방지 부재(3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물질 튐 방지 부재(340)는 에어 분사 부재(325)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 분사 부재(325)에서 에어가 분사되는 동안 상기 에어 분사 부재(325)의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에어의 분사 도중 상기 장비 가공부에 있던 이물질이 몸체 부재(310) 쪽으로 튀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이물질 튐 방지 부재(340)는 확장체(341)와, 확장측 연통 홀(342)과, 확장측 배출홀(343)을 포함한다.
상기 확장체(341)는 상기 에어 분사 부재(325)의 외측면에서 상기 에어 분사 부재(325)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확장되는 형태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확장체(341)는 상기 에어 분사 부재(325)와 연결된 일측 말단부로부터 상기 에어 분사 부재(325)와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타측 말단부로 갈수록 상기 에어 분사 부재(325)의 말단부와 근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확장체(3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분사 부재의 말단부 쪽이 오목한 형태를 가지면서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장비 가공부에 있다가 튀면서 상기 확장체(341)에 부딪힌 이물질이 임의 방향으로 튀지 아니하고 상기 확장체(341)가 형성된 범위 내에서 모여지게 된다.
상기 확장측 연통 홀(342)은 상기 에어 분사 부재(325)의 내부와 상기 확장체(341)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것이다.
상기 확장측 연통 홀(342)은 그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에어가 상기 확장체(341) 내부로 유동되기 용이하도록 상기 에어 분사 부재(325)로부터 상기 확장체(341)로 갈수록 상기 에어 분사 부재(325)의 말단부와 근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홀은 상기 확장체(341) 중 상기 가공 대상체와 대면되는 쪽에서 복수 개가 이격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에어 분사 부재(325)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에어 중 일부는 상기 확장층 연통 홀을 통해 상기 확장체(341)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확장체(34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배출홀의 홀 면적은 상기 확장체(341)의 외측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확장체(341)로 유입된 상기 에어는 상기 확장체(341)를 먼저 부풀어 오르게 한 후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된다.
도면 번호 344는 상기 확장체(341) 중 상기 배출홀이 형성된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되어 상기 확장체(341)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에어에 의해 상기 확장체(341)가 부풀어 오를 때 상기 확장체(341)가 오목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부풀어오를 수 있도록 상기 확장체(341) 중 상기 배출홀이 형성된 면의 반대 면을 받쳐 주는 확장측 지지체이다.
상기 이물질 튐 방지 부재(34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에어 분사 부재(325)에서 상기 에어가 분사되는 동안, 상기 에어 분사 부재(325)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에어 중 일부는 상기 확장측 연통 홀(342)을 통해 상기 확장체(341)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확장체(341)를 부풀어 오르게 한 후 상기 확장측 배출홀(343)을 통해 배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장비 가공부 쪽에 있던 상기 이물질이 상기 몸체 부재(310) 쪽으로 튀는 것이 부풀어 오른 상기 확장체(341)에 의해 방지됨과 함께, 상기 장비 가공부 쪽에 있던 상기 이물질이 상기 확장체(341)에 들러붙는 것도 상기 확장측 배출홀(343)을 통한 상기 에어의 배출에 의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에 의하면,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 중 임의의 위치에서 착탈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여러 대의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 :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
11 : 장비 본체
12 : 장비 가공부
16 : 장비 제어부
100 :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
110 : 몸체 부재
115 : 연결 부재
120 : 에어 공급 부재
125 : 에어 분사 부재
230 : 위치 고정 부재
340 : 이물질 튐 방지 부재

Claims (4)

  1. 장비 본체와, 상기 장비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가공이 필요한 가공 대상체를 가공하여 산업 시설용 부품이 형성되도록 하는 장비 가공부와, 상기 장비 가공부에 의해 상기 가공 대상체가 가공되도록 상기 장비 가공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비 제어부를 포함하는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의 내부에 에어를 분사시키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 부재;
    상기 몸체 부재와 결합되면서 상기 장비 가공부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
    상기 몸체 부재와 결합되고, 그 내부가 상기 몸체 부재의 내부와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몸체 부재의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하는 에어 공급 부재;
    상기 몸체 부재와 결합되고, 그 내부가 상기 몸체 부재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에어 공급 부재를 통해 상기 몸체 부재의 내부로 공급된 상기 에어를 상기 장비 가공부 중 요구되는 위치에 분사시키는 에어 분사 부재; 및
    상기 장비 가공부에 연결되면서 그 중앙부에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에어 분사 부재에서 상기 에어가 분사되는 동안 상기 연결 부재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 부재를 잡아 주는 위치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 가공부 중 적어도 일부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자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장비 가공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 부재의 외측면에는 함몰된 연결 부재측 함몰홈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고정 부재는
    그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면서 환형 형태로 형성되되, 그 내측면은 개방 형성되는 위치 고정 몸체와,
    상기 위치 고정 몸체의 개방된 내측면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팽창부와,
    상기 위치 고정 몸체와 상기 에어 공급 부재를 연결시켜 상기 에어 공급 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에어 중의 일부가 상기 위치 고정 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 유입관과,
    상기 에어 유입관의 내부를 열어서 상기 위치 고정 몸체로 상기 에어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에어 유입관의 내부를 닫아서 상기 위치 고정 몸체로 상기 에어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는 에어 유입 제어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위치 고정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장비 가공부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 유입 제어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에어 공급 부재를 통해 상기 에어가 공급되면, 공급되는 상기 에어 중 일부가 상기 에어 유입관을 통해 상기 위치 고정 몸체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상기 에어에 의해 상기 팽창부가 팽창되면서 상기 연결 부재측 함몰홈의 내부 공간을 채워 상기 연결 부재를 지지하게 되고, 팽창된 상기 팽창부의 지지에 의해 상기 연결 부재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은
    상기 에어 분사 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 분사 부재에서 상기 에어가 분사되는 동안 상기 에어 분사 부재의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에어의 분사 도중 상기 장비 가공부에 있던 이물질이 상기 몸체 부재 쪽으로 튀는 것을 방지시키는 이물질 튐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튐 방지 부재는
    상기 에어 분사 부재의 외측면에서 확장되는 형태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확장체와,
    상기 에어 분사 부재의 내부와 상기 확장체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확장측 연통 홀과,
    상기 확장체 중 상기 가공 대상체와 대면되는 쪽에서 복수 개가 이격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확장측 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분사 부재에서 상기 에어가 분사되는 동안, 상기 에어 분사 부재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에어 중 일부는 상기 확장측 연통 홀을 통해 상기 확장체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확장체를 부풀어 오르게 한 후 상기 확장측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장비 가공부 쪽에 있던 상기 이물질이 상기 몸체 부재 쪽으로 튀는 것이 부풀어 오른 상기 확장체에 의해 방지됨과 함께, 상기 장비 가공부 쪽에 있던 상기 이물질이 상기 확장체에 들러붙는 것도 상기 확장측 배출홀을 통한 상기 에어의 배출에 의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
KR1020200137965A 2020-10-23 2020-10-23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 KR102226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965A KR102226496B1 (ko) 2020-10-23 2020-10-23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965A KR102226496B1 (ko) 2020-10-23 2020-10-23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496B1 true KR102226496B1 (ko) 2021-03-11

Family

ID=7514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965A KR102226496B1 (ko) 2020-10-23 2020-10-23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5195A (zh) * 2021-09-01 2022-02-18 浙江高中压阀门有限公司 一种高效全自动阀门加工用生产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717Y1 (ko) 2005-02-01 2005-04-22 임창영 공작물 표면 가공정도 향상 cnc 세혈방전가공기
KR100939830B1 (ko) 2009-07-28 2010-02-02 디티알주식회사 Cnc 릴리빙 선반
KR20200001370U (ko) * 2018-12-14 2020-06-24 하정석 공작기계용 절삭유 미스트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717Y1 (ko) 2005-02-01 2005-04-22 임창영 공작물 표면 가공정도 향상 cnc 세혈방전가공기
KR100939830B1 (ko) 2009-07-28 2010-02-02 디티알주식회사 Cnc 릴리빙 선반
KR20200001370U (ko) * 2018-12-14 2020-06-24 하정석 공작기계용 절삭유 미스트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5195A (zh) * 2021-09-01 2022-02-18 浙江高中压阀门有限公司 一种高效全自动阀门加工用生产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7982A (en) Machine tools
KR102226496B1 (ko) 산업시설용 부품 가공 장비에 적용되는 착탈식 에어 분사 모듈
CN100430147C (zh) 带有改进的针式关闭阀的密封装置的喷枪
US6997448B2 (en) Device for the detachable mounting of workpieces on machining devices
JP2007516087A (ja) 真空ホールドダウン
JPS6127604B2 (ko)
KR100656835B1 (ko) 픽 앤드 플레이스 스핀들 조립체를 위한 일체화된 공기유동 제어
CN107269698B (zh) 空气轴承
KR20090013716A (ko) 진공발생유니트
KR101781742B1 (ko) 분사노즐
JP2001269830A (ja) 締付装置
US6779985B2 (en) Vacuum generating device
JPH11138382A (ja) 主軸装置
JP2004255484A (ja) クランプ装置
US6419216B1 (en) Workpiece holddown system for machine tools
JPH11285944A (ja) 取付ニップルをクランププレートへ固定するクランプ装置
JP5504093B2 (ja) ミスト生成装置
KR101307848B1 (ko) 절삭유 분사구조 내장형 홀더
CN113710369B (zh) 高压流体喷出装置
KR101401112B1 (ko) 스핀들 에어 공급 장치
JP3320034B2 (ja) ミスト供給装置
KR19980059387A (ko) 공작기계의 에어 블로워 및 절삭유 공급장치
KR100600024B1 (ko) 터렛에 적용되는 절삭유 유로변경을 위한 절삭유 어댑터
KR20090084276A (ko) 절삭기용 냉각장치
KR20230147827A (ko) 공작기계의 절삭유 및 압축공기 분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