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121B1 - 레일형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레일형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121B1
KR102226121B1 KR1020200108520A KR20200108520A KR102226121B1 KR 102226121 B1 KR102226121 B1 KR 102226121B1 KR 1020200108520 A KR1020200108520 A KR 1020200108520A KR 20200108520 A KR20200108520 A KR 20200108520A KR 102226121 B1 KR102226121 B1 KR 102226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alue
value
unit
rail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짱쉐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하
Priority to KR1020200108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121B1/ko
Priority to KR1020210028588A priority patent/KR102360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21V21/35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with direct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supporting element and electric conductors running along the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2001/000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전원단자를 통하여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레일에 결합되는 레일형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레일과 결합되고, 상기 외부전원을 조명부로 전달하는 레일연결부 및 상기 레일연결부와 결합되고, 상기 레일연결부로부터 상기 외부전원을 전달받아 발광하는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일형 조명 장치{APPARATUS OF RAIL TYPE LIGHTING}
본 발명은 레일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공급레일에 손쉽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며, 안정적인 전류 공급이 가능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구는 천정이나 벽체에 고정설치되는데, 필요에 따라 조명기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천정에 전원공급레일을 설치하고, 조명기구가 전원공급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조명기구를 전원공급레일을 따라 슬라이드시켜서 조명기구의 위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스스로 인테리어를 꾸미는 셀프인테리어(Self-interior)의 인기가 많아짐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레일형 조명 장치가 나오고 있다.
이에 등록특허공보 제10-1276710호는 이동식 엘이디 조명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전류의 인가에 따라 점등되는 다수의 엘이디를 구비한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의 후방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광원부상의 엘이디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안정기 및 엘이디의 조도조절을 위한 제어부가 설치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한쪽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ㄱ"자 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 끝단에 축결합되며, 상기 본체부에 내장된 안정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안정기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직선이동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내측면에 전원공급부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접점편이 형성된 레일과 상기 광원부의 선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엘이디에서 발생된 빛이 확산, 조사(照射)되도록 하는 렌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엘이디 조명장치를 개시한다.
이에 본 발명은 보다 개선된(enhanced) 레일형 조명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76710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원공급레일 내에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레일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공급레일과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레일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균일한 전류를 조명부에 공급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고, 이상 전류가 발생했을 때 조명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조명 장치는 외부전원단자를 통하여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레일에 결합되는 레일형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레일과 결합되고, 상기 외부전원을 조명부로 전달하는 레일연결부 및 상기 레일연결부와 결합되고, 상기 레일연결부로부터 상기 외부전원을 전달받아 발광하는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레일연결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천공된 제1 관통구를 포함하는 레일연결부본체, 상기 레일연결부본체의 상부면에 장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원공급레일에 삽입 결합되고, 양측면에 천공된 제2 관통구 및 상기 전원공급레일의 내측 단턱에 걸려지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돌출부 및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 일단부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전원단자와 접촉하되 상기 제2 관통구를 통과하는 내부전원단자, 상기 중심축 중단에 위치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외측에 돌출되며 상기 제1 관통구를 통과하는 한 쌍의 조작돌기를 포함하는 회전조작부를 포함하는 레일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레일연결부는, 상기 내부전원단자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외부전원을 상기 조명부에 사용되는 내부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내부전원에 기반하여 상기 조명부에 공급되는 전류를 가변시키는 전류가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류가변부는, 상기 내부전원에 기반하는 제1 전류값, 상기 조명부에 인가되는 제2 전류값 및 가변부하부에 인가되는 제3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측정부, 상기 조명부와 병렬로 연결되고, 부하임피던스값이 가변되는 가변부하부 및 상기 제1 전류값, 상기 제2 전류값, 상기 제3 전류값, 현재 시점의 상기 부하임피던스값 및 기설정된 목표전류값을 기반으로 상기 가변부하부의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전류값과 상기 목표전류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제2 전류값이 상기 목표전류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전류값이 상기 목표전류값보다 큰 경우,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선된(enhanced) 레일형 조명 장치를 제안한다는 측면에서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공급레일과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레일형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균일한 전류를 조명부에 공급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고, 이상 전류가 발생했을 때 조명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조작부의 사시도 및 회전조작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용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원의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가변부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조명 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조명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조명 장치(10)는 외부전원단자(300)를 통하여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전원을 기반으로 발광체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원공급레일과 결합되고 상기 외부전원을 조명부(200)로 전달하는 레일연결부(100) 및 레일연결부(100)와 결합되고 상기 레일연결부(100)로부터 상기 외부전원을 전달받아 발광하는 조명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레일연결부(100)는 레일연결부본체(110), 돌출부(120) 및 회전조작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레일연결부본체(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천공된 제1 관통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일연결부본체(1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명부(200)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면의 양측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거치부는 조명부(200)와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구멍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관통구(1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조작부(130)의 조작돌기(137)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조작돌기(137)가 중심축(131)을 기준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가로가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천공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120)는 레일연결부본체(110)의 상부면에 장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원공급레일에 삽입 결합되고, 양측면에 천공된 제2 관통구(121) 및 상기 전원공급레일의 내측 단턱에 걸려지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120)의 너비는 상기 전원공급레일의 개방부에 대응되는 너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120)의 높이 또한 상기 전원공급레일의 개방부 깊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관통구(12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조작부(130)의 내부전원단자(133)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내부전원단자(133)가 중심축(131)을 기준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가로가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천공될 수 있다.
이 때, 걸림돌기(123)는 상기 전원공급레일의 내측 단턱에 탄성적으로 걸려지도록, 일단이 돌출부(120)의 외측면과 연결되는 판형상의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타단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걸림부의 수직 단면은 반구형상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어 상기 전원공급레일의 내측 단턱과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회전조작부(13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심축(131), 상기 중심축(131) 일단부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전원단자(300)와 접촉하되 상기 제2 관통구(121)를 통과하는 내부전원단자(133), 상기 중심축(131) 중단에 위치하는 회전판(135) 및 상기 회전판(135)의 외측에 돌출되며 상기 제1 관통구(111)를 통과하는 한 쌍의 조작돌기(137)를 포함하는 회전조작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연결부(100)는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나뉘어진 박스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연결부(100)는 전원공급부(140) 및 전류가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200)는 레일연결부(100)와 결합되고, 레일연결부(100)로부터 상기 외부전원을 전달받아 발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200)는 상부면에 레일연결부(100)의 레일연결부본체(11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 및 빛을 발하는 발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조명부(200)의 내측 상부면은 'ㄴ'형상으로 중심을 향하여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발광체거치부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체가 지지 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발광체는 외부전원을 기반으로 빛을 발할 수 있는 모든 조명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200)는 내부에 포함된 발광체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200)는 상부면에 상기 거치부의 나사구멍과 대응되는 나사수용구멍을 포함할 수 있고, 레일연결부(100)와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200)는 양단부에 결합되는 마감커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조작부(130)의 사시도 및 회전조작부(130)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용예시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4(a)는 회전조작부(130)의 사시도고, 도 4(b) 및 도 4(c)는 회전조작부(130)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용예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조작부(13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심축(131), 상기 중심축(131) 일단부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전원단자(300)와 접촉하되 상기 제2 관통구(121)를 통과하는 내부전원단자(133), 상기 중심축(131) 중단에 위치하는 회전판(135) 및 상기 회전판(135)의 외측에 돌출되며 상기 제1 관통구(111)를 통과하는 한 쌍의 조작돌기(137)를 포함하는 회전조작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내부전원단자(133)는, 측단면의 형상이 'ㄱ'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전원단자(300)의 극성에 따라 두개의 전도성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두 개의 내부전원단자(133)는 서로 다른 극성의 외부전원단자(300)와 접촉해야하고, 상호간에 접촉되면 쇼트(Short)가 발생할 염려가 있으므로, 두 개의 내부전원단자(133) 사이에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를 개재할 수 있다.
이 때, 중심축(131)은 레일연결부(100) 내부에 기립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이 때, 레일연결부(100)는 내측면에 중심축(13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지지판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중심축(131)은 위치만 고정될 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중심축(131) 일단부 외측에 내부전원단자(133)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내부전원단자(133)가 별개의 구성요소로도 실시될 수 있어, 별개의 구성요소로 실시되는 경우 내부전원단자(133)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내부전원단자(133)는 중심축(131) 일단부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전원단자(300)와 접촉하되 상기 제2 관통구(121)를 통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내부전원단자(133)는 중심축(131)과 별개의 구성요소로써, 중심축(131) 상단부에 형성된 수용부에 결합되는 것이 수리 또는 조립 등에 유리하여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때, 내부전원단자(133)는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조작부(130)의 회전에 의하여 외부전원단자(300)와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내부전원단자(133)는 외부전원단자(300)와 접촉하면 외부전원을 조명부(200)에 전달하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140) 및 전류가변부(150)를 통하여 조명부(2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 때, 회전판(135)은 중심축(131) 중단에 형성되어, 한 쌍의 조작돌기(137)를 레일연결부(100)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조작돌기(137)는 회전판(135)의 외측에 돌출되면 상기 제1 관통구(111)를 통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사용자는 레일연결부(100) 외부에 노출된 조작돌기(137)를 조작함으로써, 회전판(135), 중심축(131) 및 내부전원단자(1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전원단자(133)는 외부전원단자(300)와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조명 장치(10)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와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조작부(130) 및 내부전원단자(133)와 외부전원단자(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때, 도 4(b)는 내부전원단자(133)와 외부전원단자(300)가 분리되어 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c)는 내부전원단자(133)와 외부전원단자(300)가 접촉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레일연결부(100) 외부에 노출된 조작돌기(137)를 중심축(131)을 기준으로 회전조작시킴으로써, 내부전원단자(133)와 외부전원단자(300)를 접촉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원의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연결부(100)는 상기 내부전원단자(133)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외부전원을 상기 조명부(200)에 사용되는 내부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40) 및 상기 내부전원에 기반하여 상기 조명부(200)에 공급되는 전류를 가변시키는 전류가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조명 장치(10)는 외부전원단자(300)를 통해 전달받는 외부전원의 종류에 상관없이 조명부(200)에서 사용될 수 있는 내부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조명부(200)에서 사용되기 안전한 전류범위로 전류값을 유지하면서 제공할 수 있어, 조명부(200)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 및 전류가변부(150)와 관련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가변부(150)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가변부(150)는 전류측정부(151), 가변부하부(153) 및 제어부(155)를 포함하여, 조명부(200)에 공급되는 전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전류측정부(151)는 전원공급부(140)에서 공급하는 제1 전류값, 조명부(200)에 인가되는 제2 전류값 및 가변부하부(153)에 인가되는 제3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가변부하부(153)는 조명부(200)와 병렬로 연결되고, 부하임피던스값이 가변될 수 있다. 이 때, 부하임피던스값은 외부에서 바라본 가변부하부(153)의 입력임피던스값일 수 있으며, 테브넌 또는 노턴 임피던스 값일 수 있다. 가변부하부(153)는 조명부(200)와 병렬로 연결되기 때문에, 조명부(200)의 임피던스 값과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에 기반하여 조명부(200)로 인가되는 제2 전류값이 정해질 수 있으며,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이 변함에 따라 제2 전류값 또한 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5)는 상기 제1 전류값, 상기 제2 전류값, 상기 제3 전류값, 현재 시점의 상기 부하임피던스값 및 기설정된 목표전류값을 기반으로 상기 가변부하부(153)의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목표전류값은 조명부(200)에 포함된 발광체가 안정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허용전류범위에 해당하는 전류값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전에 미리 설정한 전류값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표전류값은 하나의 전류값일 수도 있으나, 오차범위가 포함되도록 최저목표전류값과 최고목표전류값을 포함하는 목표전류범위일 수도 있다.
이 때, 제어부(155)는 상기 제2 전류값과 상기 목표전류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제2 전류값이 상기 목표전류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전류값이 상기 목표전류값보다 큰 경우,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목표전류값이 상기 최저목표전류값과 상기 최고목표전류값을 포함하는 상기 목표전류범위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155)는 상기 최저목표전류값과 상기 최고목표전류값 중 상기 제2 전류값과 가장 가까운 어느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것이 상기 최저목표전류값일 때, 상기 제2 전류값과 상기 최저목표전류값과 비교하여, 상기 최저목표전류값보다 작으면,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전류값이 상기 목표전류값보다 크면,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유지시키는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추출된 것이 상기 최고목표전류값일 때, 상기 제2 전류값과 상기 최고목표전류값과 비교하여, 상기 최고목표전류값보다 작으면,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유지시키고, 상기 제2 전류값이 상기 목표전류값보다 크면,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감소시키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이 때, 제어부(155)는 전류가변부(150)가 전원공급부(140)로부터 최초 전원을 공급받으면, 가변부하부(153)의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0에서부터 상기 제2 전류값이 상기 목표전류값이 되는 목표임피던스값까지 서서히 증가시키는 제3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55)는 조명부(200)의 동작정지명령(ex. 전원 off)을 전달받으면, 가변부하부(153)의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상기 목표임피던스값부터 0까지 서서히 감소시키는 제4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이 때, 가변부하부(153)는 전원을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소자(커패시터, 인덕터)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제3 모드일 때, 목표임피던스값은 아래 수학식 1처럼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0090431519-pat00001
이 때, Z는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의미하고, TZ는 상기 목표임피던스값을 의미하고, t는 시간을 의미하고, a는 상기 부하임피던스가 증가하는 속도에 상응하는 계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모드일 때, 목표임피던스값은 아래 수학식 2처럼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0090431519-pat00002
이 때, Z는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의미하고, TZ는 상기 목표임피던스값을 의미하고, t는 시간을 의미하고, a는 상기 부함임피던스가 감소하는 속도에 상응하는 계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140)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140)는 상기 내부전원단자(133)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외부전원을 상기 조명부(200)에 사용되는 내부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 공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전원공급부(140)는 전류가변부(150)를 통하여 조명부(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전원입력부(141), 정류평활부(143) 및 전원인가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원공급부(140)는 내부전원단자(133)를 통하여 외부전원을 입력받는데, 외부전원은 60Hz의 220V 교류전압임에 반하여, 조명부(200)에 포함된 발광체 중 LED는 5V 또는 12V 등 비교적 낮은 직류전압으로 동작하여 상기 외부전원을 감압, 정류 및 평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원입력부(141)는 상기 외부전원을 입력받되, LED 등에 인가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외부전원을 감압하는 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류평활부(143)는 상기 외부전원을 정류 및 평활시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조명 장치(10)의 내부에서 사용될 수 있는 내부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정류평활부(143)는 정류다이오드를 통하여, AC 전원의 (+), (-) 중 하나를 선택하여 DC로 변환하는 반파 정류회로 또는 AC 전원의 (+), (-) 전부를 정류하는 전파 정류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정류평활부(143)는 변환 효율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파 정류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전파 정류회로는 변압기의 2차측 출력에 중간탭을 설정하여 2개의 반파 정류회로를 결합한 형태로 구성되는 중간탭 전파 정류회로와 변압기의 2차측 출력에 4개의 다이오드를 브릿지 형태로 조합하여 전파를 정류하는 브릿지 전파 정류회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류평활부(143)는 상기 정류회로에 더하여 평활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정류회로를 거친 직류화된 맥류는 직류성분과 교류성분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상기 평활회로는 상기 맥류에서 교류 성분과 불요파를 제거하고 직류와 가깝게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전원인가부(145)는 전류가변부(150)를 통하여 상기 내부전원을 조명부(200)에 인가하되, 상기 조명부(200)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추출하고, 상기 전류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조명부(200)에 인가되는 내부전원의 차단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전원인가부(145)는 전류값을 추출하는 구성요소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가변부(150)의 전류측정부(151)를 통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이 때, 이상이 발생한 조명부(200)에는 과전류가 인가될 수 있는데, 과전류 발생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전원인가부(145)는 조명부(200)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지속적으로 추출하고, 상기 전류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조명부(200)에 이상이 생겼는지 판단을 할 수 있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내부전원을 차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조명부(200)에 인가되는 내부전원에는 외부 환경에 따라 일시적인 노이즈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일시적인 노이즈임에도 불구하고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오판하여 조명부(200)에 인가되는 내부전원이 차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일시적인 노이즈에도 정확하게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인가부(145)는, 기설정된 제1 시간마다 조명부(200)에 인가되는 (a) 전류값을 측정하고, 상기 (a) 전류값을 기설정된 제1 개수만큼 합산하여 그 평균치인 (b) 전류값을 상기 전류값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시간이 1us(Micro second)이고, 상기 제1 개수가 1000개인 경우, 1us 마다 조명부(200)에 인가되는 (a)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a) 전류값 1000개의 평균치를 (b) 전류값으로 산출하고, 상기 (b) 전류값을 상기 전류값으로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1초 마다 한번씩 전류값을 추출할 수 있고, 일시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조명부(200)의 이상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하여 그 기준이 되는 임계값은 상기 내부전원이 최초 인가되고 난 후 기설정된 제2 시간 마다 조명부(200)에 인가되는 (c) 전류값을 측정하고, 기설정된 제2 개수만큼 합산하되, 상기 (c) 전류값 중 최고치와 최저치를 제외한 평균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명부(200)는 초기 불량이 아닌 이상 처음 전원이 인가될 때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므로, 정상적인 전류값을 임계값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다만, 임계값을 위하여 (c) 전류값을 측정하는 경우에도 일시적인 노이즈가 추가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제2 시간마다 측정하고, 제2 개수만큼 합산하되, 최고치와 최저치를 제외한 평균값을 임계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균값에 약 10%의 오차범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조명 장치(10)는 인공지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전원, 전류값 및 이상여부 판단결과를 입력으로 상기 임계값을 출력하는 기계학습 모델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기계학습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임계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인공지능망에 기반하여 소정의 임계값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은 저장 모듈에 저장된 빅데이터(big data)에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조명 장치(10)는 저장 모듈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입력변수로 하여 인공지능망을 학습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머신러닝의 한 분야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상관 관계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학습을 수행한다. 특히, 상술한 상관 관계의 경우, 입력(input)은 상기 내부전원, 전류값 및 이상여부 판단결과 등에 관한 정보이고, 출력(output)은 상기 소정의 임계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은 딥러닝을 통하여 상기 함수에서의 복수 개의 입력들의 가중치(weight)를 학습을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학습을 위하여 활용되는 인공지능망 모델로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및 DRNN(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모델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RNN은 현재의 데이터와 과거의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는 딥 러닝 기법으로서, 순환 신경망(RNN)은 인공 신경망을 구성하는 유닛 사이의 연결이 방향성 사이클(directed cycle)을 구성하는 신경망을 나타낸다. 나아가, 순환 신경망(RNN)을 구성할 수 있는 구조에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완전순환망(Fully Recurrent Network), 홉필드망(Hopfield Network), 엘만망(Elman Network), ESN(Echo state network), LSTM(Long short term memory network), 양방향(Bi-directional) RNN, CTRNN(Continuous-time RNN), 계층적 RNN, 2차 RNN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순환 신경망(RNN)을 학습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경사 하강법, Hessian Free Optimization, Global Optimization Method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조명 장치(10)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전원공급부(140) 및 제어부(155)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조명부(200)의 동작여부, 전류값, 임계값 등에 관한 정보와 이상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부(140)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제어부(155)를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모듈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레일형 조명 장치
100 : 레일연결부
110 : 레일연결부본체
111 : 제1 관통구
120 : 돌출부
121 : 제2 관통구
123 : 걸림돌기
130 : 회전조작부
131 : 중심축
133 : 내부전원단자
135 : 회전판
137 : 조작돌기
140 : 전원공급부
141 : 전원입력부
143 : 정류평활부
145 : 전원인가부
150 : 전류가변부
151 : 전류측정부
153 : 가변부하부
155 : 제어부
200 : 조명부
300 : 외부전원단자

Claims (5)

  1. 외부전원단자를 통하여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레일에 결합되는 레일형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레일과 결합되고, 상기 외부전원을 조명부로 전달하는 레일연결부; 및
    상기 레일연결부와 결합되고, 상기 레일연결부로부터 상기 외부전원을 전달받아 발광하는 조명부; 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연결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천공된 제1 관통구를 포함하는 레일연결부본체;
    상기 레일연결부본체의 상부면에 장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원공급레일에 삽입 결합되고, 양측면에 천공된 제2 관통구 및 상기 전원공급레일의 내측 단턱에 걸려지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돌출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 일단부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전원단자와 접촉하되 상기 제2 관통구를 통과하는 내부전원단자, 상기 중심축 중단에 위치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외측에 돌출되며 상기 제1 관통구를 통과하는 한 쌍의 조작돌기를 포함하는 회전조작부;
    상기 내부전원단자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외부전원을 상기 조명부에 사용되는 내부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내부전원에 기반하여 상기 조명부에 공급되는 전류를 가변시키는 전류가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기설정된 제1 시간마다 상기 내부전원으로 공급하는 A 전류값들을 측정하고, 상기 A 전류값들을 기설정된 제1 개수만큼 합산하여 그 평균치를 기준전류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내부전원으로 최초 공급 후 기설정된 제2 시간마다 상기 내부전원으로 공급하는 B 전류값들을 측정하고, 기설정된 제2 개수만큼 합산하되, 상기 B 전류값들 중 최고치와 최저치를 제외한 평균치를 임계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전류값과 상기 임계값을 기반으로 상기 조명부에 인가되는 상기 내부전원를 차단하고,
    상기 전류가변부는,
    상기 내부전원에 기반하는 제1 전류값, 상기 조명부에 인가되는 제2 전류값 및 가변부하부에 인가되는 제3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측정부;
    상기 조명부와 병렬로 연결되고, 부하임피던스값이 가변되는 가변부하부; 및
    상기 제1 전류값, 상기 제2 전류값, 상기 제3 전류값, 현재 시점의 상기 부하임피던스값 및 기설정된 목표전류값을 기반으로 상기 가변부하부의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전류값이 단일 값인 경우, 상기 제2 전류값과 상기 목표전류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제2 전류값이 상기 목표전류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전류값이 상기 목표전류값보다 큰 경우,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감소시키는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목표전류값이 최저목표전류값 및 최고목표전류값을 포함하는 목표전류범위인 경우, 상기 최저목표전류값과 상기 최고목표전류값 중 상기 제2 전류값과 가장 가까운 어느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것이 상기 최저목표전류값일 때, 상기 제2 전류값과 상기 최저목표전류값과 비교하여, 상기 최저목표전류값보다 작으면,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전류값이 상기 목표전류값보다 크면,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유지시키는 제2-1 모드로 동작하고,
    추출된 것이 상기 최고목표전류값일 때, 상기 제2 전류값과 상기 최고목표전류값과 비교하여, 상기 최고목표전류값보다 작으면,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유지시키고, 상기 제2 전류값이 상기 목표전류값보다 크면,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감소시키는 제2-2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전류가변부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최초 전원을 공급받으면,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0에서부터 상기 제2 전류값이 상기 목표전류값이 되는 목표임피던스값까지
    Figure 112020138452414-pat00010

    위 수학식을 기반으로 증가시키는 제3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조명부의 동작정지명령을 전달받으면,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상기 목표임피던스값부터 0까지
    Figure 112020138452414-pat00011

    위 수학식을 기반으로 감소시키는 제4 모드로 동작하되,
    Z는 상기 부하임피던스값을 의미하고, TZ는 상기 목표임피던스값을 의미하고, t는 시간을 의미하고, a는 상기 부하임피던스의 증가율 또는 감소율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08520A 2020-08-27 2020-08-27 레일형 조명 장치 KR102226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520A KR102226121B1 (ko) 2020-08-27 2020-08-27 레일형 조명 장치
KR1020210028588A KR102360007B1 (ko) 2020-08-27 2021-03-04 안정적인 전류 공급이 가능한 레일형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520A KR102226121B1 (ko) 2020-08-27 2020-08-27 레일형 조명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588A Division KR102360007B1 (ko) 2020-08-27 2021-03-04 안정적인 전류 공급이 가능한 레일형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121B1 true KR102226121B1 (ko) 2021-03-10

Family

ID=751478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520A KR102226121B1 (ko) 2020-08-27 2020-08-27 레일형 조명 장치
KR1020210028588A KR102360007B1 (ko) 2020-08-27 2021-03-04 안정적인 전류 공급이 가능한 레일형 조명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588A KR102360007B1 (ko) 2020-08-27 2021-03-04 안정적인 전류 공급이 가능한 레일형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261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927B1 (ko) * 2022-02-21 2022-06-15 유한회사 하이에스텍 레일형 라인조명 등기구
KR102590688B1 (ko) * 2023-04-12 2023-10-19 민훈기 레일등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710B1 (ko) 2011-05-25 2013-06-19 주식회사 필립인텍스 이동식 엘이디 조명장치
KR20130135775A (ko) * 2012-06-01 2013-12-11 파나소닉 주식회사 점등 장치 및 차량용 전조등
KR20170021680A (ko) * 2015-08-18 2017-02-28 (주)니즈텍 일정한 휘도의 유지가 가능한 el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844460B1 (ko) * 2016-08-05 2018-04-02 유아이티전자주식회사 호환형 엘이디 램프 제어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램프 등기구
KR102090899B1 (ko) * 2019-05-15 2020-03-18 김동환 레일고정부의 이동이 가능한 직선형 레일 등기구
KR102095430B1 (ko) * 2018-11-14 2020-03-31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양방향에서 회전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는 레일조명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710B1 (ko) 2011-05-25 2013-06-19 주식회사 필립인텍스 이동식 엘이디 조명장치
KR20130135775A (ko) * 2012-06-01 2013-12-11 파나소닉 주식회사 점등 장치 및 차량용 전조등
KR20170021680A (ko) * 2015-08-18 2017-02-28 (주)니즈텍 일정한 휘도의 유지가 가능한 el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844460B1 (ko) * 2016-08-05 2018-04-02 유아이티전자주식회사 호환형 엘이디 램프 제어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램프 등기구
KR102095430B1 (ko) * 2018-11-14 2020-03-31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양방향에서 회전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는 레일조명등
KR102090899B1 (ko) * 2019-05-15 2020-03-18 김동환 레일고정부의 이동이 가능한 직선형 레일 등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007B1 (ko)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121B1 (ko) 레일형 조명 장치
US9516707B2 (en) LED lighting apparatus, current regulator for the LED lighting apparatus, and current regulation method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CN103906990A (zh) 使用分裂波束照明器的距离估计
JP4470787B2 (ja) 照明システム
US20120068608A1 (en) Color and position auto-commissioning
US9548794B2 (en) Power factor correction for constant current input with power line communication
CN103907400A (zh) 使用分束照明装置的存在探测
WO2007004530A1 (ja) 照明光通信装置および照明光通信方法
CN103477717A (zh) 用于日光结合的照射控制的系统和方法
US20110012528A1 (en) Control Switch
US20160135265A1 (en) Control System for Phase-Cut Dimming
JP5461528B2 (ja) 電源をランプに結合する装置
US20140312880A1 (en) Wireless lamp power supply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5190631B2 (ja) Led照明装置用電源システム及び給電方法
CN104770067A (zh) 校准光传感器
CN102415213A (zh) 用于led灯的驱动器
KR102226124B1 (ko) 전류안정공급을 위한 평방형 led 조명 장치
Munir et al. Passive localization through light flicker fingerprinting
CN108414949B (zh) 基于照度特征的高压发光二极管灯具故障诊断方法及介质
JP2021192387A (ja) 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装置
US9615424B2 (en) Light source device, lighting device, and luminaire
US10051712B2 (en) Driving module and light source system having the driving module
CN104066226A (zh) 串联负载控制装置及标识灯装置
CN103517497A (zh) 发光二极管的控制器、发光系统与控制方法
Abdurohman et al. An improvement of led lighting system accuracy with voltage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