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939B1 - 혈소판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혈소판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939B1
KR102224939B1 KR1020190052413A KR20190052413A KR102224939B1 KR 102224939 B1 KR102224939 B1 KR 102224939B1 KR 1020190052413 A KR1020190052413 A KR 1020190052413A KR 20190052413 A KR20190052413 A KR 20190052413A KR 102224939 B1 KR102224939 B1 KR 102224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hamber
receiving space
screw thread
accommodation space
plate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8314A (ko
Inventor
조형진
김근덕
김태섭
Original Assignee
(주)웰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웰포트 filed Critical (주)웰포트
Priority to KR1020190052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93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8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9Separating blood components present in distinct layers in a contain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6Combination of a vial and a syringe for transferring or mixing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72Apparatus for treatment of blood or blood constituents prior to or for conservation, e.g. freezing, drying or centrifu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9Separating blood components present in distinct layers in a contain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M1/0295Separating blood components present in distinct layers in a contain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whereby the blood container and a solution container are compressed simultaneously by the sam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27Platelets; Thrombocy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원심분리 공정을 거쳐 나뉘어진 혈중 혈소판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혈소판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혈소판 추출장치는 제1액실부 그리고 제2액실부를 포함한다. 제1액실부는 내측에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부에 관통 형성되는 주입구와 연결되며 혈액시료를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과, 내측에 제1수용공간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하측이 개방되는 결합홈을 가진다. 제2액실부는 내측에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혈액시료를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의 외측벽을 형성하고 제1액실부의 하측에서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어 제1액실부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결합구를 가진다.

Description

혈소판 추출장치{APPARATUS FOR EXTRACTING PLATELET RICH PLASMA}
본 발명은 혈소판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심분리 공정을 거쳐 나뉘어진 혈중 혈소판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혈소판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액은 폐에서 받아들인 산소를 조직세포에 운반하고, 조직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폐로 운반하여 밖으로 방출되도록 하며, 소화관에서 흡수된 영양소를 장기나 조직 세포로 운반한다. 그리고, 혈액은 조직의 분해 산물로서 생체에 불필요한 물질을 신장으로 운반하여 몸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내분비선에서 분비된 호르몬을 작용 기관 및 조직까지 운반한다. 또한, 혈액은 체열을 균등하게 분산시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그 밖에 생체에 침입한 세균 및 이물질 등을 파괴 및 무독화(無毒化)시키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혈액은 각종 질병이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주요한 지표로 사용되는 부분도 있지만, 혈액 내에 성장인자가 풍부히 들어 있는 혈소판은 치료목적으로 사용된다.
혈액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중에서 혈소판은 주로 혈장에 존재하며 혈장은 PRP(Platelet rich plasma) 및 PPP(Platelet poor plasma)로 나누어진다. 이중 PRP는 통증부분, 특히 무릎안좌, 인대, 근육 등에 이식되어 줄기세포를 자극하여 세포가 생성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므로 치료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PRP는 채취된 혈액의 1% 정도로 소량이며, 점도가 높아 적혈구로부터 분리가 어려워 적혈구를 제외한 PRP를 추출하는 기술에 대해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PRP는 인체로부터 채취한 혈액을 PRP 분리용기에 주입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기존에는 PRP 분리용기로 시험관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PRP 추출이 번거로워 최근에는 액실이 이분할된 분리용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PRP 분리장치는 인체로부터 채취한 혈액을 주사기를 이용하여 PRP 분리장치에 주입한 후 혈액이 주입된 PRP 분리장치를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원심분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원심분리가 완료되면 비중차에 의해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적혈구, PRP 및 혈장이 3단으로 분리된다. 이때, PRP는 혈소판과 백혈구로 형성된 흰색의 얇은 층으로 구분되는 경계층인 버피코트를 포함한다.
이렇게 3단으로 분리된 구조에서 PRP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액실의 내측에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상승부재를 이용하여 적혈구를 액실이 이분할되는 부위까지 상승시킨 후 상측에 주사기를 결합하고, 주사기를 이용하여 먼저 혈장을 추출하고, 다른 주사기를 이용하여 PRP를 추출하기 때문에, 추출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PRP 분리용기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혈장을 상측으로 추출하는 과정에서 혈장이 다 추출되지 못하고 남아 이후 PRP를 추출할 때 PRP의 상부에 잔존하는 혈장이 함께 추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혈장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혈장 하부의 PRP의 일부가 함께 추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이후 추출되는 PRP의 회수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PRP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PRP 아래 층의 적혈구까지 함께 추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28163호(2012.03.23.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심분리 공정을 거쳐 나뉘어진 혈중 혈소판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혈소판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측에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부에 관통 형성되는 주입구와 연결되며 혈액시료를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과, 내측에 상기 제1수용공간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하측이 개방되는 결합홈을 가지는 제1액실부; 그리고 내측에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혈액시료를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과, 상기 제2수용공간의 외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1액실부의 하측에서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1액실부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결합구를 가지는 제2액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액실부는 상기 제2액실부가 상향 이동 시에 상기 제1수용공간에서 이동되는 혈액시료의 와류 발생이 방지되도록 상단부 내주면에 하측으로 확대 형성되는 제1와류방지부를 가지는 혈소판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에는 상기 제1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나사산 및 상기 제2나사산은, 상기 제2액실부의 1회전 당 상기 제2수용공간이 일정체적 증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에는 기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기준돌기가 삽입되는 기준홈이 형성되되, 상기 기준홈은 상기 제1액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나사산의 피치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준돌기가 상기 기준홈 중 제일 하측의 기준홈에 삽입된 상태일 때, 상기 제1수용공간은 상기 제1수용공간 및 제2수용공간의 체적의 합의 54 내지 56%의 체적을 형성하고, 상기 제2수용공간은 상기 제1수용공간 및 제2수용공간의 체적의 합의 44 내지 46%의 체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 및 상기 결합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 및 상기 결합구의 사이로 혈액시료의 누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홈 및 상기 결합구의 사이를 기밀하는 기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액실부는 상기 제2액실부가 상향 이동 시에 상기 제2수용공간에서 상기 제1수용공간으로 이동되는 혈액시료의 와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하단부 내주면에 하측으로 확대 형성되는 제2와류방지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액실부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 및 제2액실부에 형성되는 제2나사산은 제2액실부가 1회전하여 상향 이동하면 제2수용공간이 일정체적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계측기의 도움이 없이도 사용자는 제2액실부의 회전수를 기초로 혈액시료가 배출되어 추출되는 추출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액실부를 상향 이동시켜 혈소판을 밀어내어 추출할 수 있다. 즉, 수용된 혈소판을 흡입하여 추출하기 위한 별도의 흡입장치 또는 흡입도구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흡입장치 또는 흡입도구에 의한 외부물질의 침입이 방지될 수 있고, 혈소판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소판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혈소판 추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혈소판 추출장치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혈소판 추출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1나사산 및 기준홈을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혈소판 추출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소판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혈소판 추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혈소판 추출장치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혈소판 추출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혈소판 추출장치는 제1액실부(100) 그리고 제2액실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액실부(100)는 주입구(110), 제1수용공간(120) 및 결합홈(130)을 가질 수 있다.
주입구(110)는 제1액실부(10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공간(120)은 제1액실부(100)의 내측에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주입구(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수용공간(120)은 혈액시료를 수용할 수 있다.
결합홈(130)은 제1액실부(100)의 내측에 제1수용공간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30)은 제1액실부(100)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액실부(100)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홈(130)은 제1액실부(100)의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 형상이 링 형상일 수 있다. 결합홈(130)은 하측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결합홈(13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제1나사산(13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홈(130)의 외주면은 통상적으로 정의되는 외측으로 개방되는 면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지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고, 내주면은 통상적으로 정의되는 내측으로 개방되는 면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홈(130)의 외주면은 내주면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면이고, 결합홈(130)의 내주면은 외주면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이상 결합홈(130)의 내주면에 제1나사산(131)이 형성된 경우로 설명한다.
제2액실부(200)는 제2수용공간(210) 및 결합구(220)를 가질 수 있다.
제2수용공간(210)은 제2액실부(200)의 내측에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혈액시료를 수용할 수 있다.
결합구(220)는 제2수용공간(210)의 외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구(220)는 결합홈(130)에 삽입되어 제1액실부(100)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결합구(220)에는 제1나사산(131)과 나사 결합되도록 제2나사산(22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나사산(221)은 결합구(22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액실부(200)가 회전하게 되면 제2액실부(200)는 제1액실부(100)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제1나사산(131) 및 제2나사산(221)은 제2액실부(200)가 이동 시에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하고, 마찰 저항이 적어 작은 힘으로도 제2액실부(200)가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의 단면이 사각으로 되어 있는 사각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나사산(131) 및 제2나사산(221)은 제2액실부(200)의 1회전 당 제2수용공간(210)이 일정체적 증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일정체적은 바람직하게는 1cc 일 수 있다. 즉, 제1나사산(131) 및 제2나사산(221)은 제2액실부(200)가 1회전하여 상향 이동하면 제2수용공간(210)이 1cc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수용공간(120) 및 제2수용공간(210)에 혈액시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2액실부(200)가 1회전하여 상향 이동하게 되면, 제2수용공간(210)에 수용된 혈액시료의 양이 1cc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계측기의 도움이 없이도 사용자는 제2액실부(200)의 회전수를 기초로 혈액시료가 얼마만큼 배출되었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혈소판 추출장치에서 혈액시료가 추출되는 추출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혈소판 추출장치는 기밀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밀부재(300)는 결합홈(130) 및 결합구(22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기밀부재(300)는 결합홈(130) 및 결합구(220)의 사이로 혈액시료가 누출되지 않도록 결합홈(130) 및 결합구(220)의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기밀부재(300)는 제1나사산(131) 중 제일 하측의 나사산(131a)에 삽입될 수 있으며, 기밀부재(300)가 제일 하측의 나사산(131a)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구(220)의 제2나사산(221)은 제일 하측의 나사산(131a)에 삽입될 수 있다. 제일 하측의 나사산(131a)은 기밀부재(300)의 두께만큼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기밀부재(300)는 마찰계수가 작은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기밀부재(300)가 마련되더라도 제2액실부(200)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구(220)에는 기준돌기(222)가 형성될 수 있다. 기준돌기(222)는 결합구(22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기준돌기(222)는 제2나사산(221) 중 제일 상측에 형성되는 나사산(221a)의 폭방향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홈(130)에는 기준돌기(222)가 삽입되는 기준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기준홈(132)은 제1액실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구(22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기준홈(132)은 제1나사산(131)의 나사산 각각의 폭방향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제1나사산 및 기준홈을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인데, 도 5를 참조하면, 기준홈(132)은 제1나사산(131)의 피치(P1)에 대응되는 간격(P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돌기(222)기 기준홈(1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액실부(200)가 1회전하게 되면, 기준돌기(222)는 바로 이웃하는 다른 기준홈(13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기준돌기(222)가 기준홈(132)에 결합되면 제2액실부(200)의 회전이 멈추게 되므로, 사용자는 제2액실부(200)가 1회전 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기준홈(132)의 깊이 및 기준돌기(222)의 돌출 높이는 제2액실부(200)의 회전이 멈출 정도로만 충분히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홈(132)과 기준돌기(222)의 결합력은 기준홈(132)에 기준돌기(2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액실부(200)를 다시 돌기게 되면 기준돌기(222)는 기준홈(132)에서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준돌기(222)가 기준홈(132) 중 제일 하측의 기준홈(132a)에 삽입된 상태일 때, 가상의 기준선(L)을 기준으로 상측의 제1수용공간(120)은 제1수용공간(120) 및 제2수용공간(210)의 체적의 합의 54 내지 56%의 체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상의 기준선(L)을 기준으로 하측의 제2수용공간(210)은 제1수용공간(120) 및 제2수용공간(210)의 체적의 합의 44 내지 46%의 체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혈소판 추출장치 내부의 최대 용량은 50cc 일 수 있다. 즉, 제1수용공간(120) 및 제2수용공간(210)의 체적의 합은 50cc 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수용공간(120) 및 제2수용공간(210)에 수용되는 혈액시료는 원심 분리된 혈액일 수 있다. 혈액은 혈소판 추출장치에 수용된 상태에서 원심분리될 수 있으며, 이렇게 원심 분리된 혈액은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적혈구층, 혈소판층 및 혈장층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정상인의 혈액은 평균적으로 45%의 적혈구와, 55%의 혈장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정상인의 혈액이 원심분리되면 제일 하측에 마련되는 45%의 적혈구층은 제2수용공간(210)에 가득 채워질 수 있고, 이는 사용자가 가상의 기준선(L)을 기준으로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만일, 원심분리된 50cc의 혈액시료에서 적혈구층이 제2수용공간(210)에 다 채워지지 못하는 경우, 즉, 적혈구층 및 혈소판층 사이의 경계면이 가상의 기준선(L)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경우, 적혈구 감소증일 수 있다는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원심분리된 50cc의 혈액시료에서 적혈구층이 제2수용공간(210)을 넘어 제1수용공간(120)에도 일부 채워지는 경우, 즉, 적혈구층 및 혈소판층 사이의 경계면이 가상의 기준선(L)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경우, 적혈구 과다증일 수 있다는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제1액실부(100)는 제1와류방지부(140) 및 제2와류방지부(150)를 가질 수 있다.
제1와류방지부(140)는 제1수용공간(120)의 상단부 내부면에 하측으로 확대 형성될 수 있다. 제1와류방지부(140)는 제2액실부(200)가 상향 이동함에 따라 제2액실부(200)에 의해 가압되는 혈액시료에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혈액시료에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추출해야 하는 혈소판층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연관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1수용공간(120)의 상단부 내부면에 제1와류방지부(140)를 형성함으로써, 제2액실부(200)가 상향 이동 시에 혈액시료의 와류를 방지하여 혈소판의 붕괴를 막고, 혈소판이 제1수용공간(120)의 상측에 위치되었을 때 혈소판의 분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와류방지부(140)는 직선보다는 유선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제1와류방지부(140)는 종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와류방지부(150)는 제1수용공간(120)의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으로 확대 형성될 수 있다. 제2와류방지부(150)는 제2액실부(200)가 상향 이동함에 따라 제2수용공간(210)에 수용되어 있던 혈액시료가 제1수용공간(120)으로 이동할 때 혈액시료에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제1액실부(100)의 하단부가 각진 상태가 되면, 제2액실부(200)가 상향 이동 시에 제2수용공간(210)에 수용되어 있던 혈액시료가 제1액실부(100)의 하단부에 의해 가압되어 와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제1액실부(100)의 하단부 내주면에 하측으로 확대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2수용공간(210)에서 제1수용공간(120)으로 이동되는 혈액시료의 와류 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혈소판층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2와류방지부(150)는 하단부가 제2나사산(221)의 나사산의 상단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와류방지부(150)에 의해 관로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혈액시료의 와류 발생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혈소판 추출장치의 사용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혈소판 추출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수용공간(120) 및 제2수용공간(210)에 혈액시료가 수용되고 원심분리되면 원심분리된 혈액시료을 얻을 수 있다. 원심분리된 혈액시료는 아래에서부터 적혈구층(31), 혈소판층(32) 및 혈장층(33)으로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
정상인의 혈액시료인 경우, 적혈구층(31)과 혈소판층(32)의 경계선은 제1액실부(100) 및 제2액실부(200)의 경계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1액실부(100) 및 제2액실부(200)의 경계를 기준으로 적혈구층(31)과 혈소판층(32)의 경계선의 높이로부터 적혈구 과다증, 적혈구 감소증의 정보가 확인될 수 있다.
그리고, 주입구(110)에는 제1수용기(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후, 도 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액실부(200)가 회전되어 상측으로 이동되면 제1수용공간(120)에 수용된 혈장층(33)이 상측부분부터 제1수용기(10)로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제1수용기(10)로 주입되는 혈장층(33)의 양은 기준홈(132)과 기준돌기(222)의 결합에 횟수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혈소판 추출장치 내부의 최대 용량이 50cc이고, 혈액시료가 가득 채원진 경우, 혈장층(33)과 혈소판층(32)의 양을 전체 혈액시료의 55% 정도로 가정하면, 혈장층(33)과 혈소판층(32)의 합은 27.5cc 일 수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혈소판층(32)은 채취된 혈액시료의 1% 정도이기 때문에, 혈장층은 약 26.5cc 일 수 있다. 따라서, 제2액실부(200)를 26회 회전시키면 혈장층(33)의 혈장 26cc가 제1수용기(10)로 주입될 수 있기 때문에, 제2액실부(200)를 26회 까지는 비교적 빠르게 돌려 혈장층(33)의 대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혈장층(33)의 일부가 남은 경우에는 제2액실부(200)를 미세하게 회전시켜 혈장층(33)을 모두 제1수용기(10)로 주입시킬 수 있다.
이후, 도 6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입구(110)에서 제1수용기(10)를 분리하고, 제2수용기(20)가 주입구(11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에는 제1수용공간(120)의 상부에는 추출하고자 하는 대상인 혈소판층(32)이 위치될 수 있다.
이후, 도 6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액실부(200)가 회전되면서 상향 이동하면 혈소판층(32)이 제2수용기(20)로 주입되어 추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액실부(200)를 상향 이동시켜 수용된 혈액시료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제일 상측에 마련되는 혈장을 밀어내어 추출하고, 이후, 혈소판을 밀어내어 추출할 수 있다. 즉, 수용된 혈소판을 흡입하여 추출하기 위한 별도의 흡입장치 또는 흡입도구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흡입장치 또는 흡입도구에 의한 외부물질의 침입이 방지될 수 있고, 혈소판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혈소판의 추출이 완료된 혈소판 추출장치는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폐기처리를 위해 필요한 공간이 적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1: 적혈구층
32: 혈소판층
33: 혈장층
100: 제1액실부
120: 제1수용공간
130: 결합홈
131: 제1나사산
132: 기준홈
140: 제1와류방지부
150: 제2와류방지부
200: 제2액실부
210: 제2수용공간
220: 결합구
221: 제2나사산
222: 기준돌기
300: 기밀부재

Claims (7)

  1. 내측에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부에 관통 형성되는 주입구와 연결되며 혈액시료를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과, 내측에 상기 제1수용공간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하측이 개방되는 결합홈을 가지는 제1액실부; 그리고
    내측에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혈액시료를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과, 상기 제2수용공간의 외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1액실부의 하측에서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1액실부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결합구를 가지는 제2액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액실부는 상기 제2액실부가 상향 이동 시에 상기 제1수용공간에서 이동되는 혈액시료의 와류 발생이 방지되도록 상단부 내주면에 하측으로 확대 형성되는 제1와류방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소판 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에는 상기 제1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나사산 및 상기 제2나사산은, 상기 제2액실부의 1회전 당 상기 제2수용공간이 일정체적 증감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소판 추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에는 기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기준돌기가 삽입되는 기준홈이 형성되되,
    상기 기준홈은 상기 제1액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나사산의 피치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소판 추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돌기가 상기 기준홈 중 제일 하측의 기준홈에 삽입된 상태일 때, 상기 제1수용공간은 상기 제1수용공간 및 제2수용공간의 체적의 합의 54 내지 56%의 체적을 형성하고, 상기 제2수용공간은 상기 제1수용공간 및 제2수용공간의 체적의 합의 44 내지 46%의 체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소판 추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 및 상기 결합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 및 상기 결합구의 사이로 혈액시료의 누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홈 및 상기 결합구의 사이를 기밀하는 기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소판 추출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실부는 상기 제2액실부가 상향 이동 시에 상기 제2수용공간에서 상기 제1수용공간으로 이동되는 혈액시료의 와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하단부 내주면에 하측으로 확대 형성되는 제2와류방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소판 추출장치.
KR1020190052413A 2019-05-03 2019-05-03 혈소판 추출장치 KR102224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413A KR102224939B1 (ko) 2019-05-03 2019-05-03 혈소판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413A KR102224939B1 (ko) 2019-05-03 2019-05-03 혈소판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314A KR20200128314A (ko) 2020-11-12
KR102224939B1 true KR102224939B1 (ko) 2021-03-09

Family

ID=73398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413A KR102224939B1 (ko) 2019-05-03 2019-05-03 혈소판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9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993B1 (ko) 2013-04-11 2013-06-27 황의재 일회용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KR101279652B1 (ko) 2013-04-11 2013-07-05 (주) 굿모닝 바이오 응고 촉매체를 구비한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이를 이용한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 및 응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876B1 (ko) * 2011-09-20 2013-07-09 호경에스엠티 주식회사 순수지방 및 자가 농축혈소판 추출장치
KR101128163B1 (ko) 2011-09-22 2012-03-23 황의재 일회용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KR20160125850A (ko) * 2015-04-22 2016-11-01 양지훈 혈소판추출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993B1 (ko) 2013-04-11 2013-06-27 황의재 일회용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KR101279652B1 (ko) 2013-04-11 2013-07-05 (주) 굿모닝 바이오 응고 촉매체를 구비한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이를 이용한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 및 응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314A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05514A1 (en) Blood separating vessel for extracting autologous platelets,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utologous platelets
KR101049201B1 (ko) 말초혈액 내의 조혈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의 추출을 위한 바이오 디바이스
US9421319B2 (en) Blood separation container for extracting self-platelet
US895058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solating platelets from blood
US79229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luid components
KR101666451B1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추출장치
KR101433293B1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추출장치
KR101170146B1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장치
EP2823832B1 (en) Component separator
KR101284876B1 (ko) 순수지방 및 자가 농축혈소판 추출장치
KR102224939B1 (ko) 혈소판 추출장치
WO2005087292A9 (en) Method for obtaining an intermediate fraction in the centrifugal separation of blood
WO2012121452A1 (ko) 혈액 분리 및 농축 용기
CN108290086B (zh) 用于提取富含血小板的生长因子的血液分离机提取装置
KR101277993B1 (ko) 일회용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KR101250353B1 (ko) 혈소판 축출 키트
JP7388621B2 (ja) 幹細胞を含む体液抽出用バイオキット
KR20140017230A (ko) 혈소판 축출 키트
KR200471024Y1 (ko)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기
WO2022224656A1 (ja) 筒体キットおよびガスケット
KR102150716B1 (ko)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
KR101892197B1 (ko) 혈소판 추출장치
KR101367829B1 (ko) 버피코트 추출용 키트
KR102609232B1 (ko) 혈소판 풍부 혈장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소판 풍부 혈장 추출방법
KR101145173B1 (ko) 분리형 다혈소판 혈장 추출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