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716B1 -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 - Google Patents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716B1
KR102150716B1 KR1020190169718A KR20190169718A KR102150716B1 KR 102150716 B1 KR102150716 B1 KR 102150716B1 KR 1020190169718 A KR1020190169718 A KR 1020190169718A KR 20190169718 A KR20190169718 A KR 20190169718A KR 102150716 B1 KR102150716 B1 KR 102150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housing
platelets
platelet extraction
plas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진
김근덕
김태섭
Original Assignee
(주)웰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웰포트 filed Critical (주)웰포트
Priority to KR1020190169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716B1/ko
Priority to US17/099,791 priority patent/US20210186391A1/en
Priority to EP20208745.8A priority patent/EP383841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53Details for enhanced collection of blood or interstitial fluid at the sample site, e.g. by applying compression, heat, vibration, ultrasound, suction or vacuum to tissue; for reduction of pain or discomfort; Skin piercing elements, e.g. blades, needles, lancets or canulas, with adjustable piercing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3Source of blood for venous or arteria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36Pistons, i.e. cylindrical bodies that sit inside the syringe barrel, typically with an air tight seal, and slide in the barrel to create a vacuum or to expe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44Rods for actuating or driving the piston, i.e. the cylindrical body that sits inside the syringe barrel, typically with an air tight seal, and slides in the barrel to create a vacuum or to expe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51Caps, stoppers or lids for sealing or closing a blood collection vessel or container, e.g. a test-tube or syringe barr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55Blood sample preparation for further analysis, e.g. by separating blood components or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venous or arterial blood, e.g. with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81Apparatus for treatment of blood or blood constituents prior to transfusion, e.g. washing, filtering or tha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9Separating blood components present in distinct layers in a contain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89Apparatus for withdrawing or distributing predetermined quantities of fluid
    • B01L3/0293Apparatus for withdrawing or distributing predetermined quantities of fluid for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1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27Platelets; Thromb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7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rotatable, e.g. bayonet or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09Holders integrated in container to position an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09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75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 B01L2400/0478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pist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소판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채취된 혈액을 수용하는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에 주사바늘이 결합되는 오리피스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오리피스에 결합되는 캡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압입결합되는 컬렉터와, 상기 컬렉터의 상부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되, 상기 컬렉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하단이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함몰형성되고, 추출하고자 하는 혈소판의 양과 대응되는 체적을 갖는 컵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부로 연장형성되고, 혈장과 혈소판 추출을 위한 주사기가 각각 삽입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컵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통하는 연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채혈 주사기의 형태로 제작되어 채혈, 원심분리 및 혈소판 추출을 단일 기구에서 수행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공기노출에 따른 혈액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혈소판 추출시 와류발생을 방지하여 순도 높은 혈소판을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Syringe integrated platelet extraction device}
본 발명은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소판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채혈과 혈소판 추출 기구를 일체화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혈소판 추출절차가 간소화될 수 있으며, 공기노출에 따른 혈액의 오염을 최소화하는 한편 순도 높은 혈소판을 추출할 수 있는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소판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혈액은 폐에서 받아들인 산소를 조직세포에 운반하고, 조직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폐로 운반하여 밖으로 방출되도록 하며, 소화관에서 흡수된 영양소를 장기나 조직 세포로 운반한다.
그리고, 혈액은 조직의 분해 산물로서 생체에 불필요한 물질을 신장으로 운반하여 몸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내분비선에서 분비된 호르몬을 작용 기관·조직까지 운반한다. 또한, 혈액은 체열을 균등하게 분산시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그 밖에 생체에 침입한 세균·이물질 등을 파괴·무독화(無毒化)시키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혈액은 각종 질병이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주요한 지표로 사용되는 부분도 있지만, 혈액 내에 성장인자가 풍부히 들어 있는 혈소판은 치료목적으로 사용된다.
혈액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중에서 혈소판은 주로 혈장에 존재하며, 혈장은 혈장 내 혈소판이 풍분한 PRP(Platelet rich plasma) 및 혈장 내 혈소판 함유량이 낮은 PPP(Platelet poor plasma)로 나누어진다. 이중 PRP는 주로 주름개선이나 피부의 색소질환 또는 흉터나 피부개선 뿐 아니라 통증부분, 특히 무릎안좌, 인대, 근육 등에 이식되어 줄기세포를 자극하여 세포가 생성되는 것을 도와주는 치료목적으로도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PRP는 채취된 혈액의 1% 정도로 소량이며, 점도가 높아 적혈구로부터 분리가 어려워 적혈구를 제외한 PRP를 추출하는 기술에 대해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에는 PRP 분리용기를 시험관으로 주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신속한 분리와 동시에 분리된 상태가 완전한 층을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원심분리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원심분리된 혈액으로부터 PRP를 추출하기 위해 혈소판 추출기구가 사용되고 있다.혈소판 추출기구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채혈 주사기를 이용하여 인체로부터 채집한 혈액을 혈소판 추출기구에 주입한 후, 원심분리 과정을 통해 3개의 층으로 분리된 추출기구의 상부에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PRP 층만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상대적으로 PRP 층 분리과정이 간단한 장점이 있으나, 채혈 주사기와 혈소판 추출기구가 개별적으로 사용되므로 혈액이 공기에 노출되어 오염되기 쉬운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주사바늘로 PRP 층만을 분리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일 예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혈액분리용기(100)는 하우징(110) 중앙영역에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도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병목부(120)가 형성되고, 원심분리 후 상기한 병목부(120)에 PRP층이 배치되어 주사기의 주사바늘(N)을 병목부(120)와 대응되는 영역에 삽입한 후 PRP를 추출하였으나, 이는 병목부(120)에서 직경이 급격하게 감소함에 따라 와류가 발생함으로써 PRP층과 혈구가 섞이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최근에는 원심분리를 통해 층분리된 혈액으로부터 PRP 층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추출기구들이 제안되고 있다.
도2는 종래의 혈소판 추출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3은 종래의 혈소판 추출기구에 혈장 추출 주사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 및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혈소판 추출기구(200)는 하단부에 캡(C) 또는 커넥터(230)가 연결되는 오리피스(211)가 형성되고 내부에 혈액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212)이 형성되며 일단부가 개방된 하우징(210)과, 외면에 패킹부(221)가 형성된 일단부가 하우징(210)의 개방된 일단부로부터 압입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런저(220) 및 하우징 오리피스(211)에 결합되는 커넥터(230)로 구성된다.
이러한, 혈소판 추출기구(200)를 사용하여 혈소판을 추출하는 종래의 혈소판 추출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별도의 채혈용 주사기로 채혈하고, 하우징(210)에서 플런저(220)가 분리된 상태에서 채혈한 혈액을 하우징(210) 내부로 인입한다.
그리고, 혈액을 원심분리하기 위해 하우징의 오리피스(211)에 캡(C)을 결합하고, 하우징(210) 일단부에 덮개(미도시)를 결합한다.
이후, 하우징(210)을 원심분리장치(미도시)에 인입하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혈액을 혈장과, 혈소판 및 적혈구로 분리한다. 그리고, 하우징(210)으로부터 덮개 (미도시)를 분리하고 플런저(220)를 재결합한 후 하우징(210) 선단부에 커넥터(230)의 일단부를 결합하여 커넥터(230) 타단부에 혈장 추출 주사기(P)를 연결한다.
다음, 하우징(210) 내부에 플런저(220)의 일단부를 압입하고, 하우징(210)으로부터 플런저(220)를 가압하여 하우징(210) 내부의 혈장이 커넥터(230)를 통해 혈장 추출 주사로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혈장을 먼저 추출한다.
혈장 추출이 완료되면, 커넥터(230)로부터 혈장 추출 주사기(P)를 분리하고, 혈소판 추출 주사기를 결합한다. 그리고, 혈장추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플런저(220)를 밀어 혈소판을 추출한다.
이후, 혈소판 추출 주사기의 선단부에 니들을 결합하고, 대상자에게 혈소판을 주사하게 된다.
여기서, 추출된 혈소판은 혈장이 포함되는 경우 그 비중에 따라 혈소판의 효과가 저하되고, 적혈구가 섞이는 경우에는 시각적으로도 거부감을 일으킬 뿐 아니라 대상자에게 혈소판 주사시 심한 통증을 수반하게 되므로 추출할 혈소판에는 적혈구가 포함되지 않으면서 혈장의 비중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혈소판 추출기구(200) 또한 채혈 주사기가 개별적으로 요구되는 동일한 문제가 있다. 또한, 혈소판을 추출하는 경우 혈액 원심분리 후 혈장 추출 주사기 또는 혈소판 추출 주사기를 결합하기 위해 하우징(210)에 커넥터(230)를 나사결합해야 하는 동작이 요구될 뿐 아니라 혈장 또는 혈소판 추출시 추출압력에 의해 각 추출 주사기가 커넥터(2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추출주사기를 반드시 커넥터에 나사결합해야 하는 바 이들을 커넥터(230)에 나사결합하는 과정에서 하우징(210)이 흔들리면서 원심분리된 혈장과 혈소판 및 적혈구가 일부 혼합되므로 혈소판의 순도가 크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혈소판 추출기구(200)를 사용하여 혈소판을 추출하는 경우 채혈동작, 원심분리작업, 혈장 및 혈소판 추출 주사기 결합동작등과 같이 혈소판을 추출하기 위한 필수동작외에 채혈 후 혈액 인입동작과, 커넥터(230) 연결동작 등 추가적인 부가동작들이 요구되므로 혈소판 추출 작업이 매우 많은 단계로 이루어져 상당한 시간을 요할 뿐 아니라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혈소판 추출기구(200) 및 이를 이용한 혈소판 추출방법의 경우 채혈한 혈액을 하우징(210) 내부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에 노출되어 혈액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종래의 혈소판 추출기구(200)는 하우징(210)의 선단부에 캡을 제거하고 커넥터(230)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하우징(210) 내 혈액이 공기중에 2차 노출되어 혈액의 오염 가능성이 크게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원심분리 하우징을 채혈 주사기의 본체로 사용하여 종래 채혈된 혈액을 원심분리 하우징으로 인입하는 동작을 생략함으로써 혈액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혈소판 추출기구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개발된 혈소판 추출기구 또한 원심분리된 혈장과 혈소판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원심분리 후 하우징에 별도의 커넥터를 나사결합해야 하고, 각 추출주사기를 커넥터에 나사결합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 바 혈장 또는 혈소판 추출시 혈장, 혈소판 및 적혈구가 일부 혼합되어 혈소판의 순도가 낮고, 커넥터를 하우징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혈액이 공기 중에 노출되어 혈액이 오염되는 등 여전히 종래의 문제점이 해결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혈소판 추출기구들과 마찬가지로 혈소판만을 정밀하게 추출하기 곤란하고, 추출 과정에서 와류 발생에 의한 층간 혼합이 발생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86336호 '혈소판 농축 혈장 추출용 혈액분리장치' 일본등록특허 제4431929호와 한국등록특허 제1110576호 일본등록특허 제44319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채혈 주사기의 형태로 제작되어 채혈, 원심분리 및 혈소판 추출을 단일 기구에서 수행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공기노출에 따른 혈액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혈소판 추출시 와류발생을 방지하여 순도 높은 혈소판을 추출할 수 있는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 및 이를 이용한 혈소판 추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채취된 혈액을 수용하는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에 주사바늘이 결합되는 오리피스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오리피스에 결합되는 캡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압입결합되는 컬렉터와, 상기 컬렉터의 상부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되, 상기 컬렉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하단이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함몰형성되고 혈소판을 수용하는 컵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부로 연장형성되고, 혈장과 혈소판 추출을 위한 주사기가 각각 삽입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컵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통하는 연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컵부는 추출하고자 하는 혈소판의 양과 대응되는 체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컵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 내주에 상기 몸체부의 내측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제1 만곡부와, 상기 제1 만곡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상부로부터 연장형되고,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제2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되,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혈장 추출 주사기 또는 혈소판 추출 주사기의 선단 외주영역이 지지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 결합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혈장 추출 주사기 또는 혈소판 추출 주사기의 오리피스가 삽입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컬렉터는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연질의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스킷은 외면에 복수의 환형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단 내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환형 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면 일측에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이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을 거치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거치대는 내부 일측에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을 지지하는 유동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에 오리피스가 형성되는 원통형 하우징, 플런저, 상기 플런저 하단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하단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저면에 컵부가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는 컬렉터를 준비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하우징의 외리피스에 니들을 체결한 후 채혈하는 채혈단계와, 상기 니들을 분리한 후 상기 하우징의 오리피스에 캡을 결합하고, 상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플런저를 분리하는 원심분리 준비단계와, 상기 하우징을 외부의 원심분리기에 장착하고, 채취한 혈액을 원심분리하는 원심분리단계와, 상기 커넥터를 분리하고, 혈장 추출 주사기를 상기 커넥터 상단에 삽입한 후 상기 혈장 추출 주사기의 본체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원심분리된 혈액 중 혈장을 추출하는 혈장추출단계와, 상기 혈장 추출 주사기를 분리하고, 혈소판 추출 주사기를 상기 커넥터 상단에 삽입한 후 상기 혈소판 추출 주사기의 본체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컵부에 수용된 혈소판을 추출하는 혈소판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를 이용한 혈소판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혈장추출단계 전에 상기 하우징을 고정하는 거치대에 거치하는 하우징 거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채혈 주사기의 형태로 제작되어 채혈, 원심분리 및 혈소판 추출을 단일 기구에서 수행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공기노출에 따른 혈액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혈소판 추출시 와류발생을 방지하여 순도 높은 혈소판을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기존의 혈액분리용기로부터 PRP층을 추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는 종래의 혈소판 추출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3은 종래의 혈소판 추출기구에 혈소판 추출주사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의 분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주사바늘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에 혈액이 채취된 상태를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 혈액이 원심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혈장을 추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혈소판을 추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의 단면도이다.
도4 내지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1)는 하우징(10)과, 캡(20)과, 컬렉터(30)와, 커넥터(40)와, 플런저(50) 및 거치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은 일정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혈액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수용공간(1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은 하부에 주사바늘 또는 캡(20)이 결합되는 중공의 오리피스(12)가 형성됨과 아울러 오리피스(12)의 외측부에 하부가 개방된 지지벽부(13)가 형성되고 지지벽부(13)의 내면에 니들 및 캡(20)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아울러, 하우징(10)은 상단 내면에 내측방향으로 환형 턱(14)이 돌출형성되어 컬렉터(3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플런저(50)의 인출 높이를 식별하거나 제한하여 적량의 혈액이 채취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은 기존의 주사기 하우징(10)이 사용될 수 있는데, 추출하고자 하는 혈액 양에 따라 주로 10cc ~ 20cc 크기의 주사기가 사용될 수 있다.
캡(20)은 원통형상의 본체(21)와, 본체(21)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하우징(10)의 오리피스(12)가 삽입되는 삽입구(22a)가 형성된 결합돌기(22) 및 결합돌기(22)의 삽입구(22a) 내에 형성되고 오리피스(12)와 결합돌기(22)의 틈을 밀폐하는 패킹부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캡(20)은 결합돌기(22)가 하우징(10)의 지지벽부(13)에 나사결합되고, 패킹부재(23)를 통해 오리피스(12)를 밀폐하여 채혈 후 하우징(10) 내에 수용된 혈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컬렉터(30)는 하우징(10) 내부에 압입되는 몸체부(31)와, 몸체부(31)의 외면에 결합되는 개스킷(32)과, 몸체부(31)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부(33)와, 몸체부(31)의 저면에 형성되는 컵부(34)와, 몸체부(31)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부(35) 및 컵부(34)와 지지부(35)를 연통하는 연통공(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31)는 대략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면에는 개스킷(3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홈(31a)이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부(31)는 하우징(10) 내에 압입설치됨과 아울러 타측에 혈장 추출 주사기, 혈소판 추출 주사기가 결합되어 하우징(10)과 각 주사기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개스킷(32)은 몸체부(31)의 외면에 결합되어 일측이 지지홈(31a)이 형성된 몸체부(31)의 외면 일측에 지지되고, 하우징(10) 내벽에 밀착되어 혈장 또는 혈소판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혈액이 몸체부(31)와 하우징(10) 내벽 사이의 틈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개스킷(32)은 몸체부(31)와 하우징(10) 내벽 사이의 실링 기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외면에 적어도 3개의 환형돌출부(32a)가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33)는 몸체부(31)의 상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되고, 내면에 후술하는 커넥터(40)와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결합부(33)는 커넥터(40)가 몸체부(31)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컵부(34)는 몸체부(31)의 저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되되, 추출하고자 하는 혈소판의 추출량과 대응되는 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혈액 20cc 추출을 기준으로 1cc의 체적으로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컵부(34)는 혈장추출시 혈장과 혈소판의 경계영역 및 혈소판의 추출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혈장 또는 혈소판 추출시 추출압력에 의한 와류 발생을 방지하여 혈장과 혈소판, 혈소판과 적혈수가 섞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술하면, 컵부(34)는 몸체부(31)의 하부 내면에 몸체부(31)의 내측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제1 만곡부(34a)와, 제1 만곡부(34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지지부(35) 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34b) 및 경사부(34b)의 상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지지부(35)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제2 만곡부(34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컵부(34)는 대략 종 모양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혈장 또는 혈소판 추출시 하우징(10) 내 혈액이 상대적으로 좁은 직경을 갖는 컵부(34)로 이동하는 경우 만곡진 표면을 따라 혈액이 컵부(34)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하는 한편 컵부(34) 입구부분에서의 와류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35)는 결합부(33)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되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결합부(35a) 및 제1 결합부(35a)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제1 결합부(35a)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 결합부(3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 결합부(35a)는 혈장 또는 혈소판 추출시 혈장 추출 주사기 또는 혈소판 추출 주사기의 선단 외주연을 지지하고, 제2 결합부(35b)는 혈장 추출 주사기 또는 혈소판 추출 주사기의 오리피스가 삽입결합되어 이들을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혈장 및 혈소판 추출 시 각 주사기가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연통공(36)은 제2 결합부(35b)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지지부(35)와 컵부(34)를 연결하여 하우징(10) 내 혈장 또는 혈소판이 지지부(35)에 결합된 혈장 추출 주사기 또는 혈소판 추출 주사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연통공(36)은 하우징(10)의 내부에 비해 매우 작은 체적을 갖는 바 지지부(35)에 결합된 혈장 추출 주사기 또는 혈소판 추출 주사기로 이동하는 경우 혈장과 혈소판, 혈소판과 적혈구의 경계영역을 보다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커넥터(40)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몸체(41)와, 연결몸체(41)의 하부로부터 돌출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지지부(35) 상부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나사부(42)와, 연결몸체(41)의 상부에 함몰형성되고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후술하는 플런저(50)가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암나사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우징(10)에 압입결합된 컬렉터(30)와 플런저(50)를 연결하여 채혈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커넥터(40)는 혈액의 원심분리작업이 완료되면 컬렉터(30)로부터 분리되는데, 이때 그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채혈 후 상부 일측이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될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런저(50)는 기존 주사기의 플런저(5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선단에 체결부(51)가 형성되어 체결부(51)를 통해 암나사부(43)에 결합된다.
이러한 플런저(50)는 채혈하고자 하는 경우 컬렉터(30)에 결합되어 채혈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거치부(60)는 내부에 공간부(61a)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측부에 하우징(10)이 인입되는 인입구(61b)가 형성된 거치몸체(61)와, 거치몸체(61)의 상부에 결합되고 인입구(61b)와 대응되는 일측이 인입홈(62a)이 형성되며 상면에 하우징(10)의 일측이 지지되는 지지덮개(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거치부(60)는 하우징(10)이 인입구(61b) 및 인입홈(62a)을 통해 내측으로 인입되고, 인입된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이 지지덮개(62)의 상부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하우징(10) 내부의 혈액 중 혈장 및 혈소판을 추출하기 위해 하우징(10)에 혈장 추출 주사기 또는 혈소판 추출 주사기를 결합한 후 이들 주사기 본체(21)를 하방으로 누르는 경우 하우징(10)을 지면에 지지하여 혈장 또는 혈소판의 추출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거치부(60)는 내면 일측에 유동방지부(63)가 형성되는 바 거치부(60)에 하우징(10)이 거치되는 경우 하우징(10)의 외면 일측을 지지하여 PRP 및 PPP 추출과정에서 하우징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주사바늘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에 혈액이 채취된 상태를 도면이며,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 혈액이 원심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혈장을 추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혈소판을 추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1)를 이용한 혈소판 추출방법을 첨부된 도7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1)와, 혈장 추출 주사기(P) 및 혈소판 추출 주사기(R)를 준비한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선단부에 니들(N)을 결합함과 아울러 하우징(10) 후단에 구비된 커넥터(40)에 플런저(50)를 결합한 후 대상자의 혈액을 채혈한다. 이때, 1cc의 혈소판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통상 20cc의 혈액을 채혈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채혈 완료 후 커넥터(40)의 상부가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된다.(도 8 참조)
채혈이 완료되면, 하우징(10)으로부터 니들 및 플런저(50)를 분리하고, 하우징(10) 선단부에 캡(20)을 나사결합하여 하우징(10)을 밀봉한다.
밀봉된 하우징(10)을 원심분리기에 장착하고, 원심분리작업을 수행하여 혈액을 혈장과 혈소판 및 적혈구로 분리한다.
이후, 도 9와 같이 하우징(10)을 거치부(60)의 인입구(61b) 및 인입홈(62a)을 통해 거치부(60) 내부로 인입하고,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을 지지덮개(62)의 상면에 거치한다. 하우징(10)의 상부가 지지덮개(62)의 상면에 거치되면, 하우징(10)의 외면 일측이 유동방지부(63)에 접촉지지되어 하우징(10)이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된다.
다음, 컬렉터(30)로부터 커넥터(40)를 분리하고(도 9 참조), 지지부(35)에 주사기의 선단을 삽입하여 결합한다(도 10(a) 참조). 이때, 혈장 추출 주사기(P)의 오리피스(P1)가 제2 결합부(35b)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더라도 제1 결합부(35a)의 경사면에 의해 제2 결합부(35b) 방향으로 안내되어 용이하게 삽입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35)에 삽입결합된 혈장 추출 주사기(P)는 그 외주연이 제1 결합부(35a)에 면접촉되어 지지되며, 오리피스는 제2 결합부(35b)에 삽입결합되어 혈장 추출 주사기(P)가 컬렉터(30)에 견고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밀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혈장 추출 주사기(P)를 컬렉터(30)에 연결하고, 혈장 추출 주사기(P)의 주사기 본체(21)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하우징(10)에 수용된 혈장을 추출한다.
이때, 혈장이 이동되는 이동로에 위치한 연통공(36)은 하우징(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바 연통공(36)을 통해 혈장과 혈소판의 경계부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혈장을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컵부(34)가 혈소판과 대응되는 체적을 갖도록 설계되는 바 혈장 추출과정에서 수용홈(34) 내에 혈소판이 충진되는 경우 혈장의 추출동작을 중단하는 것으로 PRP층을 컵부(34) 내에 정확하게 충진할 수 있다.
한편, 혈장과 혈소판의 경계 부근에서는 혈장과 혈소판이 일부 섞여있어 혈소판의 순도가 낮은 바 혈장 추출시 혈장과 함께 혈소판을 1~2cc 추가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장 추출이 완료되면, 컬렉터(30)로부터 혈장 추출 주사기(P)를 분리하고, 혈장 추출 주사기(P)와 동일한 방법으로 컬렉터(30)에 혈소판 추출 주사기(R)를 삽입결합한다.(도 11 참조)
여기서, 컵부(34) 내 PRP 층은 제1 만곡부(34a)와, 경사부(34b) 및 제2 만곡부(34c)를 따라 지지부(35) 방향, 즉 혈소판 추출 주사기(R)로 자연스럽게 이동함으로써 혈소판 이동시 와류발생을 최소화하여 혈소판과 적혈구 일부가 혼합되지 않고 순도 높은 혈소판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 : 수용공간
12 : 오리피스 13 : 지지벽부
20 : 캡 21 : 본체
22 : 결합돌기 30 : 컬렉터
31 : 몸체부 31a : 지지홈
32 : 개스킷 32a : 환형돌출부
33 : 결합부 34 : 컵부
34a : 제1 만곡부 34b : 경사부
34c : 제2 만곡부 35 : 지지부
35a : 제1 결합부 35b : 제2 결합부
36 : 연통공 40 : 커넥터
41 : 연결몸체 42 : 수나사부
43 : 암나사부 50 : 플런저
51 : 체결부 60 : 거치부
61 : 거치몸체 61a : 공간부
61b : 인입구 62 : 지지덮개
62a : 인입홈 63 : 유동방지부

Claims (11)

  1. 내부에 채취된 혈액을 수용하는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에 주사바늘이 결합되는 오리피스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오리피스에 결합되는 캡;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압입결합되는 컬렉터;
    상기 컬렉터의 상부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런저; 및
    상면 일측에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이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을 거치하고, 내부 일측에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을 지지하는 유동방지부가 형성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컬렉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하단이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함몰형성되고, 혈소판을 수용하는 컵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부로 연장형성되고, 혈장과 혈소판 추출을 위한 주사기가 각각 삽입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컵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통하는 연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되,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혈장 추출 주사기 또는 혈소판 추출 주사기의 선단 외주영역이 지지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 결합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혈장 추출 주사기 또는 혈소판 추출 주사기의 오리피스가 삽입결합되며, 상기 연통공과 연통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 내주에 상기 몸체부의 내측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제1 만곡부와;
    상기 제1 만곡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상부로부터 연장형되고,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제2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부는 추출하고자 하는 혈소판의 양과 대응되는 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렉터는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연질의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외면에 복수의 환형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단 내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환형 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169718A 2019-12-18 2019-12-18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 KR102150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718A KR102150716B1 (ko) 2019-12-18 2019-12-18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
US17/099,791 US20210186391A1 (en) 2019-12-18 2020-11-17 Syringe integrated platelet extraction device
EP20208745.8A EP3838413A1 (en) 2019-12-18 2020-11-19 Syringe integrated platelet extra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718A KR102150716B1 (ko) 2019-12-18 2019-12-18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716B1 true KR102150716B1 (ko) 2020-09-01

Family

ID=72450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718A KR102150716B1 (ko) 2019-12-18 2019-12-18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186391A1 (ko)
EP (1) EP3838413A1 (ko)
KR (1) KR102150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9108A1 (es) * 2021-06-22 2022-12-29 CANTERO BURGAZ, Sr. José Sistema para el tratamiento de material biológic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1929B2 (ja) 2001-03-29 2010-03-17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血液成分分離用血液バッグ及び血液分離方法
KR20110012312A (ko) * 2009-07-30 2011-02-09 한상범 혈액 원심 분리형 주사기
KR101250353B1 (ko) * 2011-10-19 2013-04-09 최득수 혈소판 축출 키트
KR20140004890A (ko) * 2012-07-03 2014-01-14 주식회사 무한기업 혈액 채취용 주사기
KR20160086336A (ko) 2013-11-19 2016-07-19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모발 노화의 예방을 위한 모발 관리에서 에델바이스 추출물의 용도
KR200486998Y1 (ko) * 2017-04-24 2018-07-24 주식회사 씨피엘 특정성분 추출이 가능한 의료용 주사기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37541B1 (es) * 2012-07-03 2014-11-25 Biotechnology Institute, I Mas D, S.L. Dispositivo para la extracción, el almacenamiento y/o el procesado de sangre u otras sustancias de origen humano o animal, y para la aplicación de compuestos sanguíneos u otros compuestos biológicos
TWM483797U (zh) * 2014-04-03 2014-08-11 Maria Von Med Biotechnology Co Ltd 血液分離裝置
DE202016008016U1 (de) * 2016-12-29 2017-02-13 Heinz Rohrer Vorrichtung zum Aufnehmen von Flüssigkeiten sowie zur exakten Entnahme von einzelnen Phasen der aufgenommenen Flüssigkeit
KR102025496B1 (ko) * 2017-09-05 2019-09-25 이준석 원심분리용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
JP6703648B2 (ja) * 2017-10-18 2020-06-03 イーライ リリ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注射器におけるシリコーンドレナージの促進試験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1929B2 (ja) 2001-03-29 2010-03-17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血液成分分離用血液バッグ及び血液分離方法
KR20110012312A (ko) * 2009-07-30 2011-02-09 한상범 혈액 원심 분리형 주사기
KR101250353B1 (ko) * 2011-10-19 2013-04-09 최득수 혈소판 축출 키트
KR20140004890A (ko) * 2012-07-03 2014-01-14 주식회사 무한기업 혈액 채취용 주사기
KR20160086336A (ko) 2013-11-19 2016-07-19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모발 노화의 예방을 위한 모발 관리에서 에델바이스 추출물의 용도
KR200486998Y1 (ko) * 2017-04-24 2018-07-24 주식회사 씨피엘 특정성분 추출이 가능한 의료용 주사기 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9108A1 (es) * 2021-06-22 2022-12-29 CANTERO BURGAZ, Sr. José Sistema para el tratamiento de material biológico
ES2932094A1 (es) * 2021-06-22 2023-01-11 Pentia Dynamics S L Dispositivo médico-veterinario para la extracción y contención de material biológi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38413A1 (en) 2021-06-23
US20210186391A1 (en)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05514A1 (en) Blood separating vessel for extracting autologous platelets,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utologous platelets
US9421319B2 (en) Blood separation container for extracting self-platelet
CN107613939B (zh) 药剂容器的盖罩
US7488297B2 (en) Blood collecting devices
RU2602743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емкости с резервуаром, способ сборки 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CN107970117A (zh) 用于流体封闭转移的系统
KR20110046621A (ko) 말초혈액 내의 조혈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의 추출을 위한 바이오 디바이스
CN105142593A (zh) 不排气的药瓶接入注射器
EP2823832B1 (en) Component separator
KR101982766B1 (ko)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KR20100105282A (ko) 피알피 및 필러 추출과 피브린 생성을 위한 혈액분리 및 농축용기
KR101433293B1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추출장치
KR101279652B1 (ko) 응고 촉매체를 구비한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이를 이용한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 및 응고방법
KR102150716B1 (ko) 주사기 일체형 혈소판 추출기구
CN108654141B (zh) 一种富血小板血浆制备装置
TW201306824A (zh) 用於透析的容器
KR101666451B1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추출장치
US11357929B2 (en) Needle storage magazine assembly
KR20120103032A (ko) 혈액 분리 및 농축 용기
CN218106820U (zh) 一种血液分离装置
KR200471024Y1 (ko)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기
CN106821749A (zh) 一种螺纹式密封配药盖双接口
CN218167376U (zh) 一种prp制备装置
KR102609232B1 (ko) 혈소판 풍부 혈장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소판 풍부 혈장 추출방법
KR101968150B1 (ko) 위생적인 마개와 삼방밸브로 구성된 수액배출장치를 갖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수액병 복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