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798B1 -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798B1
KR102224798B1 KR1020190087786A KR20190087786A KR102224798B1 KR 102224798 B1 KR102224798 B1 KR 102224798B1 KR 1020190087786 A KR1020190087786 A KR 1020190087786A KR 20190087786 A KR20190087786 A KR 20190087786A KR 102224798 B1 KR102224798 B1 KR 102224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video
image
individual
p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0191A (ko
Inventor
송창규
Original Assignee
송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창규 filed Critical 송창규
Priority to KR1020190087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798B1/ko
Publication of KR20210010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 G06K9/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1Higher-level, semantic clustering, classification or understanding of video scenes, e.g. detection, labelling or Markovian modelling of sport events or news items
    • G06V20/42Higher-level, semantic clustering, classification or understanding of video scenes, e.g. detection, labelling or Markovian modelling of sport events or news items of sport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스포츠 경기 영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선수들의 기술을 추출한 개별 영상을 선택적으로 보다 쉽게 확인하도록 하는데 있다.
일례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스포츠 경기 중계 영상에서 선수 별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각각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선수 간 포지션 관계에 따라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에서 적어도 두 선수 간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개별 이벤트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이벤트 영상 생성부; 및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 별 해당 선수의 조합을 하나의 항목으로 각각 구성되는 리스트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고, 상기 리스트 중 선택된 항목에 대한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을 제공하는 이벤트 영상 제공부를 포함하는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FOR SPORTS GAME VIDEO}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거리나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편리하게 의사 소통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현대인들에게 필수품처럼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프로세서의 성능이 향상되고, 메모리의 리소스가 증대됨에 따라 종래의 이동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방면에서 여러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정보를 습득하거나 다른 사람과 네트워크 게임, 온라인 게임 등을 즐길 수도 있다. 특히, 축구나 야구와 같은 스포츠 소식을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동 중이나 또는 기타 자신의 현재 위치에 구애 받지 않고 경기장에서 벌어지는 정보를 신속하게 받아볼 수 있다.
그러나, 스포츠 영상을 중간부터 또는 다시보기를 시청하는 경우에 스포츠 양팀의 현재 스코어만을 알 수 있을 뿐 자신이 응원하는 선수가 스포츠 경기에서 어떠한 기록을 달성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1562호(공개일자: 2015년02월02일) 등록특허공보 제10-1950971호(등록일자: 2019년02월15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스포츠 경기 영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선수들의 기술을 추출한 개별 영상을 선택적으로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스포츠 경기 중계 영상에서 선수 별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각각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선수 간 포지션 관계에 따라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에서 적어도 두 선수 간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개별 이벤트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이벤트 영상 생성부; 및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 별 해당 선수의 조합을 하나의 항목으로 각각 구성되는 리스트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고, 상기 리스트 중 선택된 항목에 대한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을 제공하는 이벤트 영상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영상 생성부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스포츠 경기 중계 영상에서의 홈 팀과 어웨이 팀의 유니폼, 선수 별 얼굴 특징, 선수의 움직임과 자세, 선수 별 등번호, 중계 해설 정보 및 문자 중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선수 별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 별로 해당 선수 정보를 메타정보에 추가하거나 메타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과 함께 각각 저장하는 이벤트 베이스 영상 생성부; 및 상기 선수 간 포지션 관계에 따라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 생성부로부터 적어도 두 선수 간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조합하여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을 생성하되, 상기 선수 간 포지션 관계에 따른 선수 정보를 메타정보에 추가하거나 메타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과 함께 각각 저장하는 개별 이벤트 영상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 생성부는, 스포츠 경기 중계 영상 중 하나의 장면 내에 해당 팀의 유니폼과 등 번호가 인식되되 미리 설정된 수 이상의 객체가 동시에 인식되거나, 좌석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에서 배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영상 제공부는,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 별 해당 선수의 조합을 하나의 키워드 항목으로 각각 구성하는 상기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 받고, 선택된 각 항목 별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을 요청하는 리스트 제공부; 및 상기 리스트 제공부를 통해 선택된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을 상기 이벤트 영상 생성부로부터 각각 추출하여 개별 재생 파일로 제공하거나, 상기 개별 재생 파일을 하나의 재생 파일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개별 이벤트 영상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 제공부는, 상기 개별 재생 파일을 하나의 재생 파일로 생성하는 경우,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의 재생 구간 이전에 해당 메타정보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의 재생 구간이 영상 내에서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스포츠 경기 중계 영상에서 선수 간 포지션 관계를 변경 설정하고, 변경 설정된 선수 간 포지션 관계에 따라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에서 적어도 두 선수 간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커스터마이징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커스터마이징 이벤트 영상 생성부; 및 상기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 별 해당 선수의 조합을 하나의 항목으로 각각 구성되는 커스터마이징 리스트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고, 상기 커스터마이징 리스트 중 선택된 항목에 대한 상기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을 제공하는 커스터마이징 이벤트 영상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스터마이징 이벤트 영상 생성부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스포츠 경기 중계 영상에서 선수 간 포지션 관계를 변경 설정하는 영상 추출 기준 변경 설정부; 및 상기 영상 추출 기준 변경 설정부를 통해 변경 설정된 선수 간 포지션 관계에 따라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 생성부로부터 적어도 두 선수 간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추출하되, 추출되는 이벤트 베이스 영상이 있는 경우, 추출된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조합하여 상기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 추출 기준 변경 설정부를 통해 변경 설정된 선수 간 포지션 관계에 따른 선수 정보를 메타정보에 추가하거나 메타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과 함께 각각 저장하는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스포츠 경기 영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선수들의 기술을 추출한 개별 영상을 선택적으로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의 전체 서비스 흐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리스트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재생 파일로 개별 이벤트 영상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포츠 중계 영상에 대한 기계 학습 방법 및 이벤트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프로그램 캡쳐 사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의 전체 서비스 흐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리스트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재생 파일로 개별 이벤트 영상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1000)은 이벤트 영상 생성부(100)와 이벤트 영상 제공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1000)은 커스터마이징 이벤트 영상 생성부(300)와 커스터마이징 이벤트 영상 제공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되는 모바일 앱, 모바일 웹, 웹 사이트 등의 사용자 프로그램과, 스포츠 관련 각종 이벤트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웹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웹 서버는 스포츠 경기 중계 서버(20)와 연결되어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스포츠 경기 이벤트 영상의 소스인 스포츠 경기 중계 영상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휴대통신기기 뿐만 아니라, 일반 PC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과 연결되는 웹 서버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Python,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웹 서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0)과 연결되며,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이벤트 영상 생성부(100)는, 스포츠 경기 영상 중계 서버(20)로부터 야구, 축구, 배구, 농구 등의 녹화되거나 실시간 중계 중인 스포츠 경기 중계 영상을 수신하고,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스포츠 경기 중계 영상에서 선수 별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각각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베이스 영상은 스포츠 경기 중계 영상에서 출현하는 각각의 선수가 포착된 부분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영상 생성부(100)는 미리 설정된 선수 간 포지션 관계에 따라 이벤트 베이스 영상에서 적어도 두 선수 간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개별 이벤트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선수 간 포지션 관계는 예를 들어 야구 경기의 경우 '투수와 타자'의 관계가 야구 팬의 입장에서는 가장 큰 관심사이며 이러한 선수 간 포지션 관계가 미리 설정되어 있어, 이를 기준으로 이벤트 베이스 영상들을 재생시간에 근거하여 조합하여 개별 이벤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벤트 영상 생성부(100)는 이벤트 베이스 영상 생성부(110)와 개별 이벤트 영상 생성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 생성부(110)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스포츠 경기 중계 영상에서의 홈 팀과 어웨이 팀의 유니폼, 선수 별 얼굴 특징, 선수 별 등번호, 선수의 움직임이나 자세, 중계 해설 정보 및 문자 중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선수 별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각각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 경기 영상 중계 서버(20)에서 수신된 스포츠 중계 영상이 'LG와 키움히어로즈'의 경기이고, 해당 경기의 홈 팀이 'LG'이고, 어웨이 팀이 '키움히어로즈'인 경우, 기본적으로 인식해야 할 유니폼 정보를 세팅할 수 있다. 이는, 대부분의 스포츠 경기에서 팀 간의 유니폼 색상이나 디자인이 서로 유사할 경우 홈 팀과 어웨이 팀에 따라 해당 경기 일의 유니폼 색상이나 디자인이 부분적으로 변경되고, 이를 유니폼에 대한 기본 정보로서 설정함으로써 스포츠 중계 영상에서 팀 별로 유니폼을 보다 쉽게 구분 및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스포츠 종류, 팀 별 유니폼, 선수 별 얼굴 특징과 등번호 등을 미리 학습하여 제공된 스포츠 중계 영상 내 출현하는 객체를 정확히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 해설 정보의 경우 스포츠 중계 영상 내 해설자 혹은 아나운서의 음성이나 영상 내 텍스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 내용을 파악하여 재생시간을 고려해 현재 재생 중인 영상의 내용과 각 선수 및 선수의 이벤트를 인식하는데 참고할 수 있다. 또한, 중계 해설 정보와 유사하게 포털 사이트 등에서 제공하는 문자 중계 정보를 수집하여 각 선수들에 대한 이벤트를 인식하는데 참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벤트 베이스 영상 생성부(110)는, 다양한 정보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포츠 중계 영상 내 각 선수를 인식하여, 각각의 이벤트 별로 영상을 추출함으로써,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추출된 각각의 이벤트 베이스 영상 별로 해당 선수 정보를 메타정보로 생성하여 이벤트 베이스 영상과 함께 각각 저장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이벤트 베이스 영상 데이터에 대한 본연의 메타정보가 있겠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메타정보에 선수 식별정보를 추가하거나 메타정보로 생성함으로써, 다수 개로 존재하는 이벤트 베이스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필요한 영상을 추출할 때 보다 빠르고 쉽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벤트 베이스 영상 생성부(110)는, 스포츠 경기 중계 영상 중 하나의 장면 내에 해당 팀의 유니폼과 등 번호가 인식되더라도, 미리 설정된 수 이상의 객체(유니폼을 입은 사람 혹은 유니폼 자체)가 동시에 인식되거나, 좌석이 인식되는 이벤트 베이스 영상에서 배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구 경기 중 일반적으로 그라운드에서 포착될 수 인원은 대략 10명 이하로 한정되어 있다. 그런데 만약, 특정 팀의 유니폼을 입은 20명 정도의 인원이 한 장면에 포착되는 경우, 이러한 장면에서 실제 등록된 선수의 등번호가 포착되더라도 해당 장면은 관중석을 촬영한 장면으로 인식함으로써, 특정 선수에 대한 이벤트 베이스 영상 추출 과정에서 배제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관중석에 관중이 10명 이하이면서 특정 팀의 유니폼과 등번호가 인식되는 경우, 이러한 경우 또한 선수의 경기 활동을 촬영한 영상이 아니므로, 이를 배제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인식 조건에서 좌석이 인식되는 경우 해당 영상을 이벤트 베이스 영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영상 배제 기술은 후보 선수들이 벤치에 착석한 모습을 촬영한 장면을 제외시킬 때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외적인 상황으로, 투수의 투구를 촬영하는 영상에 있어서 관중석의 일부가 동일한 화면에서 포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화면 중앙에 위치한 객체를 우선순위로 인식한 후 인식된 객체의 얼굴, 자세(투구자세), 등번호 등을 근거로 등록된 선수로 인식되면, 후순위로 관중들이 인식되더라도 이를 무시하고, 해당 선수에 대한 이벤트 베이스 영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는, 투수뿐만 아니라, 수비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미리 설정된 화면 중앙 영역을 대상으로 인식된 객체가 얼굴, 자세, 등번호 등이 인식되면 후순위로 관중들이 인식되더라도 인식된 선수에 대한 이벤트 베이스 영상으로서 추출할 수 있다.
물론, 단체 스포츠의 경우 하나의 장면에 한 선수만 포착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선수들이 포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면 전체 영역에 대하여 등장한 선수들을 인식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설정된 중앙 영역 내에 포착된 선수를 타겟으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최대한 선수 별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 생성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선수 간 포지션 관계에 따라 이벤트 베이스 영상 생성부(110)로부터 적어도 두 선수 간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조합하여 각각의 개별 이벤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선수 간 포지션 관계 예를 들어, '투수와 타자'라는 포지션 관계에 따라 특정 투수에 대한 이벤트 베이스 영상과 특정 타자에 대한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재생시간에 근거하여 병합할 수 있다.
이때, 재생시간을 이용하는 것은 A 투수가 00:10:05에 출현한 이벤트 베이스 영상이 있고, B 타자가 00:10:07에 출현한 또 다른 이벤트 베이스 영상이 있다고 가정하면, 두 이벤트 베이스 영상에 대한 재생시간은 연속적이며, 미리 설정된 선수 간 포지션 관계도 만족하므로, 해당 이벤트 베이스 영상들은 조합 혹은 병합되어 하나의 영상 즉, 개별 이벤트 영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개별 이벤트 영상 생성부(120)는 미리 설정된 선수 간 포지션 관계에 따른 선수 정보를 메타정보에 추가하거나 메타정보로 생성하여 개별 이벤트 영상과 함께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즉, 생성된 개별 이벤트 영상에 대한 메타정보에 해당 선수들의 정보를 추가 혹은 메타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이벤트 영상 제공부(200)는, 개별 이벤트 영상 별 해당 선수의 조합을 하나의 항목으로 각각 구성되는 리스트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고, 해당 리스트 중 선택된 항목에 대한 개별 이벤트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벤트 영상 제공부(200)는 리스트 제공부(210)와 개별 이벤트 영상 제공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 제공부(210)는, 개별 이벤트 영상 별 해당 선수의 조합을 하나의 키워드 항목으로 각각 구성하는 리스트를 제공하고, 제공되는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으면, 선택된 각 항목 별 개별 이벤트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선수와 어웨이 선수를 구분하고, 이러한 두 선수를 하나의 항목으로 묶은 후 해당 항목에 대한 개별 이벤트 영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리스트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리스트 항목은 개별 이벤트 영상을 근거로 생성되는 데이터이며, 이러한 데이터는 개별 이벤트 영상의 메타정보에 포함된 선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개별 이벤트 영상의 메타정보에 '박해민-임찬규'라는 선수정보가 있고, 이를 기반으로 리스트의 항목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 제공부(220)는, 리스트 제공부(2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개별 이벤트 영상을 이벤트 영상 생성부(100) 즉, 개별 이벤트 영상 생성부(120)로부터 각각 추출하여 개별 재생 파일로 제공하거나, 개별 재생 파일을 하나의 재생 파일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개별 재생 파일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박해민-임찬규'와 관련된 여러 개의 영상을 각각 제공하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투수와 타자가 1이닝 내에서만 만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매 이닝 별로 만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선수와 관련된 영상 자체가 개별적으로 존재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두 선수 간의 영상을 개별적인 영상 파일로 각각 제공 받고자 하는 경우 개별 재생 파일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두 선수 간의 플레이를 취합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끊김 없이 보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각각의 항목에 대한 개별 이벤트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병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별 이벤트 영상 제공부(220)는, 개별 재생 파일을 하나의 재생 파일로 생성하는 경우 개별 이벤트 영상의 재생 구간 이전에 해당 메타정보를 각각 삽입하여 개별 이벤트 영상의 재생 구간이 영상 내에서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이벤트 영상 A, B, C를 하나의 재생 파일로 병합하는 경우, A 영상 시작 전에 A 영상에 등장하는 관련 선수들의 이름을 약 1초 정도 표시하거나 A 영상이 잠시 정지된 상태에서 선수 이름을 1초 정도 플로팅한 후 재생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으며, A 영상에서 B 영상으로 넘어가는 경우, B 영상이 시작되기 직전 타임에 B 영상에 등장하는 관련 선수들의 이름을 약 1초 정도 표시하거나 B 영상이 잠시 정지된 상태에서 선수 이름을 1초 정도 플로팅한 후 재생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영상들이 병합되더라도 부분적으로 재생될 구간에 어떠한 선수가 등장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간략히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청하기 전 보다 쉽게 해당 영상이 무엇인지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커스터마이징 이벤트 영상 생성부(3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스포츠 경기 중계 영상에서 선수 간 포지션 관계를 변경 설정하고, 변경 설정된 선수 간 포지션 관계에 따라 이벤트 베이스 영상에서 적어도 두 선수 간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커스터마이징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스터마이징 이벤트 영상 생성부(300)는 영상 추출 기준 변경 설정부(310)와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 생성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추출 기준 변경 설정부(31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스포츠 경기 중계 영상에서 선수 간 포지션 관계를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 영상 생성부(100)에서는 선수 간 포지션 관계가 '투수와 타자'와 같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영상 추출 기준 변경 설정부(310)는 사용자가 원하는 선수 포지션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이에 따라 생성되는 리스트 항목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투수와 타자'가 아닌, '투수와 포수', '타자와 1루수', '투수와 외야수' 등 미리 설정된 선수 간 포지션 관계가 아닌 사용자가 임의로 조합한 새로운 선수 간 포지션 관계를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 생성부(320)는, 영상 추출 기준 변경 설정부(310)를 통해 설정 변경된 새로운 선수 간 포지션 관계에 따라 이벤트 베이스 영상 생성부(110)로부터 적어도 두 선수 간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스포츠 중계 영상의 내용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선 수 간 포지션 관계에 따른 이벤트 영상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 다만 추출되는 이벤트 베이스 영상이 있는 경우,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 생성부(320)는 추출된 해당 이벤트 베이스 영상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 생성부(320)는 영상 추출 기준 변경 설정부(310)를 통해 변경 설정된 선수 간 포지션 관계에 따른 선수 정보를 메타정보로 생성하여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과 함께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커스터마이징 이벤트 영상 제공부(400)는,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 별 해당 선수의 조합을 하나의 항목으로 각각 구성되는 커스터마이징 리스트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커스터마이징 리스트 중 선택된 항목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스터마이징 방식으로 생성되는 리스트는 그 자체에 포함된 항목들에 관한 영상들을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본 시스템(1000)에 가입된 회원과 공유할 수 있도록 SNS와 연동하여 해당 재생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다.
또한, 제3자가 커스터마이징 된 리스트를 본 시스템(1000)에서 제공하는 기본 리스트 선택 정보로서 제공함으로써, 제3자가 보다 다양한 선수들 간의 활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포츠 중계 영상에 대한 기계 학습 방법 및 이벤트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프로그램 캡쳐 사진이다.
본 발명의 스포츠 중계 영상에 대한 기계학습 방법과, 기계 학습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벤트 베이스 영상 생성부(100)에서 선수를 인식하는 방법은,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츠 중계 영상 내에서 선수를 먼저 인식한 후, 인식된 객체들에 대한 골격을 형성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된 각 객체들의 골격 정보를 기반으로 각 선수의 자세를 추적하여 특정 포지션, 예를 들어 투수의 자세를 식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된 투수만을 추적하여 해당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는, 기계학습 과정에서도 이용되는데, 도 9에 도시된 정보를 이용하여 골격 분석을 수행하고, 투수가 공을 던질 때 골격이 변하는 과정을 기계학습에 적용하여 골격변화가 일어나면 투수가 공을 던진 것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
100: 이벤트 영상 생성부
110: 이벤트 베이스 영상 생성부
120: 개별 이벤트 영상 생성부
200: 이벤트 영상 제공부
210: 리스트 제공부
220: 개별 이벤트 영상 제공부
300: 커스터마이징 이벤트 영상 생성부
310: 영상 추출 기준 변경 설정부
320: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 생성부
400: 커스터마이징 이벤트 영상 제공부

Claims (7)

  1.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스포츠 경기 중계 영상에서 선수 별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각각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선수 간 포지션 관계에 따라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에서 적어도 두 선수 간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개별 이벤트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이벤트 영상 생성부; 및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 별 해당 선수의 조합을 하나의 항목으로 각각 구성되는 리스트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고, 상기 리스트 중 선택된 항목에 대한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을 제공하는 이벤트 영상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영상 생성부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스포츠 경기 중계 영상에서의 홈 팀과 어웨이 팀의 유니폼, 선수 별 얼굴 특징, 선수의 움직임과 자세, 선수 별 등번호, 중계 해설 정보 및 문자 중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선수 별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 별로 해당 선수 정보를 메타정보에 추가하거나 메타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과 함께 각각 저장하는 이벤트 베이스 영상 생성부;
    상기 선수 간 포지션 관계에 따라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 생성부로부터 적어도 두 선수 간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조합하여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을 생성하되, 상기 선수 간 포지션 관계에 따른 선수 정보를 메타정보에 추가하거나 메타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과 함께 각각 저장하는 개별 이벤트 영상 생성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스포츠 경기 중계 영상에서 선수 간 포지션 관계를 변경 설정하고, 변경 설정된 선수 간 포지션 관계에 따라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에서 적어도 두 선수 간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커스터마이징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커스터마이징 이벤트 영상 생성부; 및
    상기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 별 해당 선수의 조합을 하나의 항목으로 각각 구성되는 커스터마이징 리스트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고, 상기 커스터마이징 리스트 중 선택된 항목에 대한 상기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을 제공하는 커스터마이징 이벤트 영상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 생성부는,
    스포츠 경기 중계 영상 중 하나의 장면 내에 해당 팀의 유니폼과 등 번호가 인식되되 미리 설정된 수 이상의 객체가 동시에 인식되거나, 좌석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에서 배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영상 제공부는,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 별 해당 선수의 조합을 하나의 키워드 항목으로 각각 구성하는 상기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 받고, 선택된 각 항목 별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을 요청하는 리스트 제공부; 및
    상기 리스트 제공부를 통해 선택된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을 상기 이벤트 영상 생성부로부터 각각 추출하여 개별 재생 파일로 제공하거나, 상기 개별 재생 파일을 하나의 재생 파일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개별 이벤트 영상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 제공부는,
    상기 개별 재생 파일을 하나의 재생 파일로 생성하는 경우,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의 재생 구간 이전에 해당 메타정보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개별 이벤트 영상의 재생 구간이 영상 내에서 구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스터마이징 이벤트 영상 생성부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스포츠 경기 중계 영상에서 선수 간 포지션 관계를 변경 설정하는 영상 추출 기준 변경 설정부; 및
    상기 영상 추출 기준 변경 설정부를 통해 변경 설정된 선수 간 포지션 관계에 따라 상기 이벤트 베이스 영상 생성부로부터 적어도 두 선수 간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추출하되, 추출되는 이벤트 베이스 영상이 있는 경우, 추출된 이벤트 베이스 영상을 조합하여 상기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 추출 기준 변경 설정부를 통해 변경 설정된 선수 간 포지션 관계에 따른 선수 정보를 메타정보에 추가하거나 메타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과 함께 각각 저장하는 커스터마이징 개별 이벤트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
KR1020190087786A 2019-07-19 2019-07-19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 KR102224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786A KR102224798B1 (ko) 2019-07-19 2019-07-19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786A KR102224798B1 (ko) 2019-07-19 2019-07-19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191A KR20210010191A (ko) 2021-01-27
KR102224798B1 true KR102224798B1 (ko) 2021-03-09

Family

ID=7423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786A KR102224798B1 (ko) 2019-07-19 2019-07-19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7044A1 (ja) * 2021-12-27 2023-07-06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2974B1 (ja) * 2018-08-20 2019-01-30 富士フイルム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画像管理システム、画像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画像管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458B1 (ko) * 1996-11-20 2003-11-20 가부시키가이샤 아소보우즈 야구에있어서의자동편집시스템장치와동작분석시스템장치와야구에있어서의정보처리총합시스템장치
KR20150011562A (ko) 2013-07-23 2015-02-02 주식회사 케이티 이벤트별 스포츠 경기의 기록과 동영상을 이용한 스포츠 경기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950971B1 (ko) 2017-08-09 2019-02-21 정지훈 스포츠 영상 제공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2974B1 (ja) * 2018-08-20 2019-01-30 富士フイルム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画像管理システム、画像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画像管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191A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1920B2 (en) Interaction interleaver
US9138652B1 (en) Fantasy sports integration with video content
US9440152B2 (en) Fantasy sports integration with video content
US9056253B2 (en) Fantasy sports interleaver
US92025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ewing videos and statistics of sports events
US201902670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robabilistic play analyses from sports videos
US201803011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highlight reel of a sporting event
US20170072321A1 (en) Highly interactive fantasy sports interleaver
US20170223415A1 (en) Participative sports game system and method by real-time analyzing and predicting
WO20161381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sports video
US11490130B2 (en) Multi-camera live-streaming method and devices
US201802276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vent-Related Video Sharing Services
US118755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robabilistic play analyses
US20130222418A1 (en) Providing a Graphic for Video Production
CA2882282A1 (en) Method for overlaying timelines for event-based social networking
KR102224798B1 (ko) 스포츠 경기 영상 제공 시스템
JP2003250142A (ja) 映像配信サーバ
EP27247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ewing videos and statistics of sports events
US11290766B2 (en) Automatic generation of augmented reality media
KR102596551B1 (ko) 야구 경기의 스케줄링 정보를 통한 경기 영상 자동 획득 및 메이킹 시스템
JP2017055175A (ja) 画像処理装置
CN106254627A (zh) 用户图像的展示方法及装置
WO20201544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robabilistic play analyses from sports videos
JP2014003612A (ja) 通信網を活用したコンテンツ中継サーバ、移動通信端末及び方法
KR102194397B1 (ko) 농구 경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