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473B1 - 철강공정 부산물을 활용한 제강용 철 대체재 단광 - Google Patents

철강공정 부산물을 활용한 제강용 철 대체재 단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473B1
KR102224473B1 KR1020200174877A KR20200174877A KR102224473B1 KR 102224473 B1 KR102224473 B1 KR 102224473B1 KR 1020200174877 A KR1020200174877 A KR 1020200174877A KR 20200174877 A KR20200174877 A KR 20200174877A KR 102224473 B1 KR102224473 B1 KR 102224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iron
products
conten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수
손일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이앤티스소재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앤티스소재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앤티스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4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24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06Adding metallic addi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철부산물(Fe oxide) 46~61중량%, 산화칼슘(CaO) 23~28중량%, 산화마그네슘(MgO) 6~21중량%, 실리카(SiO2) 5중량%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철강공정 부산물을 활용한 제강용 철 대체재 단광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고 Fe함량의 부산물과 폐내화재를 재활용하는 동시에 종래 기술과 달리 내화물과 슬래그 접촉 부근의 용강이 내화물 성분에 대해 포화에 가까운 준안정상태로 만들어 내화재 보호 효과를 가지는 제강용 철 대제재 단광의 조성을 제공함으로써 철강공정 부산물의 재활용을 통한 비용절감과 자원의 활용성을 높이고 고온에서의 내화재 침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철강공정 부산물을 활용한 제강용 철 대체재 단광{Bruquette composition for steel process substitute using steel making process by-products (high Fe content by-product, waste refractories)}
본 발명은 철강공정 부산물을 활용한 제강용 철 대체재 단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광 내 산화마그네슘의 함량을 조절하여 상기 단광의 융점이 내화벽면의 온도(1400~1500℃)와 상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내화재의 침식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철강공정 부산물을 활용한 제강용 철 대체재 단광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철강 산업은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미래에도 소재 성능대비 가격경쟁력, 성형성과 특성제어의 용이성으로 철강은 여전히 광범위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철강 생산으로 인해 온실가스와 공정 부산물을 포함한 환경에 끼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전술된 이유로 현재 철강업계에서는 친환경적이며, 고효율의 공정개발을 위해 다양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철강공정 부산물의 발생량은 매년 약 500만톤으로 부산물 처리 및 회수를 극대화하는데 국내 철강사들은 초점을 두고 있다. 그 중 고 Fe 함량의 부산물 (제강슬러지, 연주슬러지, 냉연슬러지)은 주로 펠렛(Pellet)이나 단광 (Briquette)으로 제조하여 일부 철원료로 재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비균질한 입자로 인해 낮은 성형성, 낮은 강도 및 고온 분화특성 문제로 인해 철 회수 효율이 낮은 이유로 현재 대부분 매립되고 있어 유용한 자원을 낭비하고 있다.
또한, 점차 강화되는 국내 슬러지 매립에 대한 환경 규제 및 강화된 환경부 자원순환기본법에 의해 철강산업에서 발생되는 부산물 처리비용이 증가하고 있어 부산물 재활용에 대한 적절한 연구가 필요하다.
전술한 철강공정 부산물 중 고 Fe 함량의 부산물 뿐만 아니라, 공정 후 발생한 폐내화재도 상당량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제선공정 후 용선 내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제강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용선에 랜스를 통해 산소를 불어 넣으므로써 산화반응을 통해 슬래그나 가스형태로 용선 내부에 있는 C, Si, P, S, Mn 등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이때 산화반응으로 인해 1200~1400℃의 용선은 1600~1700℃의 용강이 된다.
이러한 고온의 용강을 담는 전로, 전기로, 래들을 보호하기 위해 내화재 사용이 필수적이다. 내화재는 주로 경소 돌로마이트(CaO·MgO)나 마그카본(MgO-C)의 염기성 내화재를 사용한다. 내화재는 용강에 의해 침식되어 로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기에 내화재에 Al이나 Si를 첨가하여 내화벽돌의 내부식성을 향상 또는 추가적으로 경소 돌로마이트나 마그카본을 용강에 투입하여 내화재 침식을 방지하지만, 일정량의 용강을 처리한 후에는 내화재를 주기적으로 보수해줘야 하며 이때 상당량의 폐내화재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폐내화재를 대부분 매립하여 처리했지만, 상당한 처리비용과 매립과정에서 환경오염을 초래하기에 점차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적합하지 않는 방법이다.
따라서 폐내화재를 재활용하기 위해 분쇄하여 내화재를 재성형하거나 스프레이 형식으로 분사하는 방법이 고안되었지만 기존과 다른 물리화학적 특성에 의해 내화재의 품질이 급격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 Fe함량의 부산물과 폐내화재를 재활용하는 동시에 종래 기술과 달리 내화물과 슬래그 접촉 부근의 용강이 내화물 성분에 대해 포화에 가까운 준안정상태로 만들어 내화재 보호 효과를 가지는 제강용 철 대제재 단광의 조성을 제공함으로써 철강공정 부산물의 재활용을 통한 비용절감과 자원의 활용성을 높이고 고온에서의 내화재 침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철강공정 부산물을 활용한 제강용 철 대체재 단광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강공정 부산물을 활용한 제강용 철 대체재 단광은, 함철부산물 46~61중량%, 산화칼슘(CaO) 23~28중량%, 산화마그네슘(MgO) 6~21중량%, 실리카(SiO2) 5중량%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철부산물은 Fe oxide 형태의 Fe로 구성되고, 1400~1500℃의 내화벽면 온도에서 완전히 용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 Fe함량의 부산물과 폐내화재를 재활용하는 동시에 종래 기술과 달리 내화물과 슬래그 접촉 부근의 용강이 내화물 성분에 대해 포화에 가까운 준안정상태로 만들어 내화재 보호 효과를 가지는 제강용 철 대제재 단광의 조성을 제공함으로써 철강공정 부산물의 재활용을 통한 비용절감과 자원의 활용성을 높이고 고온에서의 내화재 침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철강공정 부산물을 활용한 제강용 철 대체재 단광은, 철강공정 부산물 재활용 및 내화재 보호 효과를 가지는 제강용 철 대체재 단광의 조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단광의 융점을 내화벽면 온도(1400~1500℃)와 이하 또는 유사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에서 단광의 조성은 고 Fe 함량의 부산물과 폐내화재의 조성을 고려하여 Fe oxide, CaO, MgO, SiO2 4개의 조성으로 구성하였다.
위 조성 중 MgO는 경소돌로마이트나 마그카본 내화재에 주로 사용되며, 고융점인 물질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폐내화재 재활용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 전술된 용융온도 범위에서 단광내 MgO의 함량을 높이고자 하였다. 단광 내 MgO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타 조성 (T-Fe, CaO)의 함량을 감소시키고자 각 조성의 범위는 Fe oxide(함철부산물): 46~61wt%, CaO: 23~28wt%, MgO: 6~21wt%, SiO2: 5wt%로 구성했다.
본 조성에 포함된 Total Fe는 Fe2O3, FeO 등 Fe oxide 형태의 Fe의 총 함량을 의미한다.
실시예
본 발명 공정에 대하여 Lab-scale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고온에서 용융분화 시 명확한 형상분석을 하기 위해 구형의 펠렛(직경: 9.5~11.5mm)으로 샘플을 만들었으며, 전술한 조성을 기반으로 총 8개의 샘플 (sample)을 만들었다.
각각의 샘플에 대한 조성은 아래의 [표 1]에 명시되어 있다.
[표 1] 개발된 샘플의 조성
Figure 112020135767230-pat00001
위 단계에서 준비된 샘플은 Dry oven을 이용해 105℃에서 24시간 건조과정을 거쳤다. 건조된 샘플은 알루미나 Plate 위에 위치한 뒤 Kanthal을 발열체로 하는 수평 관상로에 장입되어 Air (300 sccm)분위기에서 가열되었다. 샘플이 완전히 용융될 때까지 승온시켜 가열 및 촬영장비를 이용해 각각의 샘플의 용융특성을 분석하였다. 가열은 1000℃부터 했으며, 실험에 사용된 수평관상로와 가열조건은 아래의 [그림 2,3]에 명시되어있다. 여기서 샘플이 완전히 용융될 때란 샘플이 90% 이상 용융될 때를 말하며 이때 용융온도 (melting point)를 측정하였다.
[그림 2] 본 실험에 사용한 수평관상로 실험의 모식도
Figure 112020135767230-pat00002
[그림 3] 수평관상로를 이용한 샘플 가열조건
Figure 112020135767230-pat00003
본 실험결과 준비한 조성에서 모든 샘플들이 내화벽면 온도(1400~1500℃) 이하 또는 유사한 온도에서 완전히 용융됨을 확인했다. 각 조성에 대한 샘플의 용융온도는 아래의 [표 2]에 명시되어 있으며, 대표적으로 샘플 1의 용융형태는 아래의 [그림 4]에 명시되어있다. 추가적으로 실험 결과를 통해서 같은 CaO함량을 갖는 조성에서 Fe oxide의 함량이 줄고 MgO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샘플 용융온도가 증가를 확인했고, 같은 Fe oxide 함량에서 CaO 함량이 줄고 MgO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샘플 용융온도가 감소함을 확인했다.
[표 2] 본 실험을 통한 각 샘플의 용융온도
Figure 112020135767230-pat00004
[그림 4] 수평관상로를 이용한 샘플 1의 용융형태
Figure 112020135767230-pat00005
아래의 [그림 5,6]은 본 실험결과를 통한 각 샘플의 실시간 용융온도분석으로부터 각 Fe2O3, FeO를 포함하는 샘플에 대해 가열온도에 따른 용강에 용융투입될 수 있는 펠렛당 MgO content를 보여준다.
분석결과 가열온도, 즉 용강온도가 증가할수록 용강에 용융투입될 수 있는 펠렛당 MgO content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내화벽면 온도(1400~1500℃) 이하 또는 유사한 온도에서 용강내 MgO 공급이 원활함을 의미하며, 용강의 준포화상태 도달이 촉진되어 용강과 인접한 내화재의 침식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림 5] Fe2O3를 포함하는 각 샘플의 온도에 따른 펠렛당 용강 내 공급 MgO content(wt%)
Figure 112020135767230-pat00006
[그림 6] FeO를 포함하는 각 샘플의 온도에 따른 펠렛당 용강 내 공급 MgO content(wt%)
Figure 112020135767230-pat00007
이를 통해 철강공정에서 발생한 고 Fe함량의 부산물과 폐내화재를 재활용하여 내화재 보호 효과를 가지는 제강용 철 대제재 단광의 조성을 제공하였으며, 내화벽면 온도이하에서 용융조건으로 단광내 MgO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단광내 Fe oxide와 CaO 조성의 조건을 확인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Claims (2)

  1. 함철부산물 46~61중량%; 산화칼슘(CaO) 23~28중량%; 산화마그네슘(MgO) 6~21중량%; 실리카(SiO2) 5중량%;를 가지도록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강공정 부산물을 활용한 제강용 철 대체재 단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철부산물은 Fe oxide 형태의 Fe로 구성되고, 1400~1500℃의 내화벽면 온도에서 완전히 용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강공정 부산물을 활용한 제강용 철 대체재 단광.
KR1020200174877A 2020-12-14 2020-12-14 철강공정 부산물을 활용한 제강용 철 대체재 단광 KR102224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877A KR102224473B1 (ko) 2020-12-14 2020-12-14 철강공정 부산물을 활용한 제강용 철 대체재 단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877A KR102224473B1 (ko) 2020-12-14 2020-12-14 철강공정 부산물을 활용한 제강용 철 대체재 단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473B1 true KR102224473B1 (ko) 2021-03-08

Family

ID=75184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877A KR102224473B1 (ko) 2020-12-14 2020-12-14 철강공정 부산물을 활용한 제강용 철 대체재 단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4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393A (ko) *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포스코 단광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용강 정련 방법
JP2018150571A (ja) * 2017-03-09 2018-09-27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酸化鉱石の製錬方法、ペレット及び容器の製造方法
JP2019519687A (ja) * 2017-03-22 2019-07-11 首鋼集団有限公司Shougang Group Co., Ltd. ペレット鉱、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200033464A (ko)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아이에스원 제철용 페라이트 단광 소성품의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393A (ko) *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포스코 단광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용강 정련 방법
JP2018150571A (ja) * 2017-03-09 2018-09-27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酸化鉱石の製錬方法、ペレット及び容器の製造方法
JP2019519687A (ja) * 2017-03-22 2019-07-11 首鋼集団有限公司Shougang Group Co., Ltd. ペレット鉱、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200033464A (ko)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아이에스원 제철용 페라이트 단광 소성품의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52515B (zh) 一种高铁赤泥用作炼钢造渣剂的回收再利用方法
EA011796B1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влечения цветных металлов из отходов производства цинка
KR930001334B1 (ko) 아연을 함유하는 금속성 더스트 및 슬러지의 활용방법
CN101033496A (zh) 碱性氧气转炉炼钢造渣助熔剂及其制备方法及造渣方法
CN102206729A (zh) 一种循环利用lf炉钢渣的方法
RU2012116068A (ru) Способ и реактор для обработки содержащего углерод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KR101835708B1 (ko) 용융환원 전기로(saf)를 이용한 스테인리스 제강 전로 슬래그 중 유가금속 회수방법
CN101837996B (zh) 一种利用废旧镁制品熔融提纯镁砂的方法
KR102224473B1 (ko) 철강공정 부산물을 활용한 제강용 철 대체재 단광
Duan et al. EAF steelmaking process with increasing hot metal charging ratio and improving slagging regime
KR101934756B1 (ko) 카본을 함유하는 폐 내화재의 탈탄방법 및 장치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내화원료
CN105177195A (zh) 一种直接用粉状含铁尘泥冶炼铁水工艺
KR101686768B1 (ko) 동 슬래그로부터 주철용 선철을 제조하는 방법
CN108330243A (zh) 一种降低转炉炉衬侵蚀的方法
RU2321641C1 (ru) Комплексный синтетический легкоплавкий флюс для черной металлургии
CN114058768B (zh) 一种提高转炉废钢比的转炉冶炼方法
JP2000297313A (ja) フェロマンガン製造時の副成スラグの再利用方法
FI69647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och behandling av ferrokrom
CN111434783A (zh) 电炉炼钢用造渣剂及其制造方法
KR960010591B1 (ko) 제강용 조재제
RU2321643C2 (ru) Способ выплавки стали в дуговой электросталеплавильной печи
CN113337673B (zh) 一种转炉炼钢高效脱磷剂的制备方法
CN111960835B (zh) 降低电炉镁碳砖氧化的勾缝料及其制备和使用方法
KR101257266B1 (ko) 전기로에서의 용강 탈린제 및 탈린 방법
KR101934758B1 (ko) 시멘트용 폐 마그네시아-스피넬 벽돌의 정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