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415B1 -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 Google Patents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415B1
KR102224415B1 KR1020180138280A KR20180138280A KR102224415B1 KR 102224415 B1 KR102224415 B1 KR 102224415B1 KR 1020180138280 A KR1020180138280 A KR 1020180138280A KR 20180138280 A KR20180138280 A KR 20180138280A KR 102224415 B1 KR102224415 B1 KR 102224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nection
pin
substrat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4687A (ko
Inventor
한성구
이상돈
박명희
Original Assignee
한성구
이상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구, 이상돈 filed Critical 한성구
Priority to KR1020180138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415B1/ko
Publication of KR20200054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 F21K2/06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using chemiluminescence
    • F21K2/08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using chemiluminescence activated by an electric field, i.e. electrochemiluminesce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찌 상부에 결합하여 야간 낚시할 때 수면 위의 낚시찌가 잘 보이도록 발광하는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발광 캡이 결합된 외부 몸체(11)와 전지가 삽입되는 내부 몸체(12)를 기밀 결합하면서 전지의 +,- 극을 접속하여 기판에 실장된 엘이디(35)를 발광하되, 상기 기판(30) 저면에 설치되는 핀 접속단자(40)는 양 측방이 하부로 수직 절곡되는 좌우 절곡부(41)(41')에 좌우 접속부(42)(42')를 내향 돌출되게 절곡 형성하여 상기 좌우 접속부 사이로 전지 상부의 -극 단자핀(3)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극 단자핀의 양 측방을 탄발 가압하면서 접속 연결함과, 상기 좌우 절곡부 사이로 전지의 -극 단자핀 이탈을 지지하는 스토퍼(44)를 형성함에 의해 단자의 접속 면적 및 접속력을 종래보다 크게 향상시켜 주므로 접속 불량 방지는 물론 전지의 이탈에 의한 오 작동을 방지하여 작동 신뢰도를 극대화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ELECTRONIC CHEMICAL LIGHT FOR FISHING FLOAT}
본 발명은 낚시찌 상부에 결합하여 야간 낚시할 때 수면 위의 낚시찌가 잘 보이도록 엘이디에 의해 발광하는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발광 캡이 결합된 외부 몸체와 전지가 삽입되는 내부 몸체를 기밀 결합하면서 전지의 +,- 극을 접속하여 기판에 실장된 엘이디를 발광하되, 상기 전지 상부의 -극 단자핀과 기판 저면의 단자 접속 구조 개선에 의해 단자의 접속 면적 및 접속력 향상으로 접속 불량 방지는 물론 전지의 이탈에 의한 오 작동을 방지하는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낚시찌는 낚시에서 물고기의 입질 신호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낚시 도구이다.
이와 같은 낚시찌는 물고기의 입질 신호를 잘 파악하기 위해 찌톱에 식별 띠를 형성하였으나 야간 낚시의 경우 이를 용이하게 확인하기 어려워 별도의 케미컬 라이트(Chemical Light)를 찌톱에 결합 사용하는 방식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케미컬 라이트는 용기 내부의 화학 약품에 의한 화학 반응으로 발광을 일으키는 구조로 밝기의 세기가 부족한 한계와 내부의 화학 약품으로 인해 취급시 약품 누출에 의한 인체의 유해 문제와 사용 후 폐기시 환경 오염의 문제 등을 유발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 케미컬 라이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화학 약품 대신에 전지의 전원에 의해 엘이디를 발광시키는 방식의 전자 케미라이트가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외부 몸체와 내부 몸체를 결합하고, 상기 내부 몸체 내부에 전지를 결합하되, 상기 전지의 +, - 극을 기판의 접점에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하므로 기판에 실장된 엘이디를 발광하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전지(2) 상부의 -극 단자핀(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5) 저면의 스프링 단자(6)에 탄발 밀착되게 접속하는데, 상기 스프링 단자(6)는 일측이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하여 전지 상부의 단자판 상부에 밀착되면서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 단자(6)와 전지의 -극 단자핀(3)이 단일의 접점 부위에서 상하로 접속됨과 함께 접속력이 상하로 일정하게 작용하지 못하면서 접속 면적 및 접속력이 약해 접속 불량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상기 전지 상부의 -극 단자핀에서 전지 부유물이 끼는 경우나 낚시의 챔질이나 그 밖의 외부 충돌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스프링 단자에서 전지 상부의 -극 단자핀이 접속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쉽게 이탈되면서 작동 불량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기판과 단자의 구조 및 조립 구조가 다수의 부품에 의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어 부품의 제조 및 조립 생산성이 크게 떨어질뿐 아니라 작동 신뢰성, 작동 편리성도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82085호(2002년07월05일) 등록실용신안 제20-0452428호(2011년02월18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발광 캡이 결합된 외부 몸체와 전지가 삽입되는 내부 몸체를 기밀 결합하면서 전지의 +,- 극을 접속하여 기판에 실장된 엘이디를 발광하되, 상기 전지 상부의 -극 단자핀과 기판 저면의 단자 접속 구조 개선에 의해 단자의 접속 면적 및 접속력 향상으로 접속 불량 방지는 물론 전지의 이탈에 의한 오 작동을 방지하므로 작동 신뢰도를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외부 몸체를 내부 몸체에서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온,오프 작동 제어하면서 사용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잇다.
본 발명은 상기 기판과 단자의 구조 및 조립 구조를 단순하고 간편하게 마련하여 부품의 제조 및 조립 생산성, 작동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에 발광 캡이 결합되는 몸체 내부에 전지를 삽입하여 전기 상부의 -극 단자핀과 전지 몸체의 +극을 엘이디가 실장된 기판에 접속 연결하되, 상기 -극 단자핀을 기판 저면의 핀 접속단자에 접속하되;
상기 핀 접속단자는 양 측방이 하부로 절곡되는 좌우 절곡부에 좌우 접속부를 내향 돌출되게 절곡 형성하여 상기 좌우 접속부 사이로 전지 상부의 -극 단자핀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극 단자핀의 양 측방을 탄발 가압하면서 접속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핀 접속단자는 역 "U"자 형태로 절곡 형성하되, 좌우 절곡부 사이에 전지의 -극 단자핀이 좌우 절곡부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를 수직 형성하여 구성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내측에 스위칭 접속단자가 결합되는 외부 몸체와 내부에 전지가 결합되는 내부 몸체로 분리하여 상기 외부 몸체를 내부 몸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되, 상기 내부 몸체의 내측과 외측 원주상에 제1,2 조립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2 조립홈에 전지 몸체의 +극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스위칭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를 결합하여 상기 외부 몸체의 회전 조작에 의해 스위칭 접속단자가 제2 접속부의 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속하면서 온,오프 작동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판은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레그를 연장하여 절곡 형성하되, 상기 전후 방향의 레그 내측에 제1 접속부를 형성하고, 상기 좌우 방향의 레그 외측에 제2 접속부를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위칭 접속단자는 내측을 절개 및 절곡한 탄발 접속부를 내향 돌출 형성하여 기판의 제2 접속부에 탄발 접속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발광 캡이 결합된 외부 몸체와 전지가 삽입되는 내부 몸체를 기밀 결합하면서 전지의 +,- 극을 접속하여 기판에 실장된 엘이디를 발광하되, 상기 기판 저면에 설치되는 핀 접속단자는 양 측방이 하부로 수직 절곡되는 좌우 절곡부에 좌우 접속부를 내향 돌출되게 절곡 형성하여 상기 좌우 접속부 사이로 전지 상부의 -극 단자핀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극 단자핀의 양 측방을 탄발 가압하면서 접속 연결함과, 상기 좌우 절곡부 사이로 전지의 -극 단자핀 이탈을 지지하는 스토퍼를 형성함에 의해 단자의 접속 면적 및 접속력을 종래보다 크게 향상시켜 주므로 접속 불량 방지는 물론 전지의 이탈에 의한 오 작동을 방지하여 작동 신뢰도를 극대화하게 되는 것이다.
그 밖에 상기 외부 몸체를 내부 몸체에서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온,오프 작동 제어하면서 사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또한 상기 기판과 단자의 구조 및 조립 구조를 단순하고 간편하게 마련하여 부품의 제조 및 조립 생산성, 작동 편리성을 종래보다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케미라이트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핀 접속단자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기판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기판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기판의 절곡 성형 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단자 접속 부위를 보여주는 평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온,오프 작동 구조를 보여주는 평 단면도.
도 10은 종래 기판의 단자와 전지 상부의 -극 단자핀 접지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는 도 1 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 기판(30), 핀 접속단자(40) 및 스위칭 접속단자(50)로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하는데, 상부에 빛이 투과되는 발광 캡(15)이 결합되는 외부 몸체(11)와 내부에 전지(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내부 몸체(12)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외부 몸체(11)는 내부 몸체(12) 외측에 뮬기 유입을 방지하는 기밀 구조를 갖도록 삽입 결합하되, 상기 외부 몸체(11)는 내부 몸체(12)에 고정 결합하거나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판(30)은 FPCB(연성회로기판)으로 형성하다. 상기 기판의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레그(33)를 연장하여 절곡 형성하되, 상기 전후 방향의 레그 내측에 전지 몸체의 +극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31)를 형성하고, 상기 좌우 방향의 레그 외측에 스위칭 접속 단자와 접속되는 제2 접속부(32)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기판의 레그(33)는 도면에서 90도 등각 위치에 4개를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3개 또는 5개 이상의 수효로 등각이 아닌 비 등각 위치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기판(30)은 내부 몸체(12) 상부에 안착 설치하는데, 상기 기판의 제1,2 접속부는 내부 몸체의 내측과 외측 원주상에 전후 및 좌우 위치에서 수직 형성되는 제1,2 조립홈(12a)(12b)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판의 레그(33) 중에서 제2 조립홈(12b)으로 삽입되는 제2 접속부의 레그는 절곡된 부위에서 발생하는 탄발력으로 인해 제2 접속부(32)가 외측으로 펼쳐지려는 탄발력이 발생하면서 스위칭 접속단자(50)에 더욱 탄발 밀착하도록 접속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기판에서 제1 접속부가 형성되는 기판의 레그(33) 하부에는 전지의 원활한 삽입 안내를 위해 삼각 형태의 안내 요홈(33a)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핀 접속단자(40)는 기판(30)의 저면 중앙에 설치하는데, 양 측방이 하부로 절곡되는 좌우 절곡부(41)(41')에 좌우 접속부(42)(42')를 내향 돌출되게 절곡 형성하여 상기 좌우 접속부 사이로 전지 상부의 -극 단자핀(3)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단자핀의 양 측방을 탄발 가압하면서 접속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핀 접속단자(40)는 좌우 절곡부 사이에 전지의 -극 단자핀(3)이 좌우 절곡부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44)를 수직 형성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핀 접속단자(40)는 전지 상부의 -극 단자핀(3)의 좌우 측방을 좌우 접속부(42)(42')가 탄발 가압하면서 접속하고, 전후 방향에서 스토퍼(44)가 지지하기 때문에 종래보다 접속 면적 및 접속력 향상으로 접속 불량을 개선함은 물론 챔질이나 외부 충돌, 충격에도 전지의 -극 단자핀이 핀 접속단자에서 이탈되는 오작동의 우려를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핀 접속단자(40)는 역 "U"자 형태로 절곡 형성하여 상부 중앙을 기판(30)의 저면에 솔더링으로 결합 설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스위칭 접속단자(50)는 외부 몸체(11) 내측의 수직 조립홈(11a)에 삽입 설치하여 기판의 제2 접속부(32)에 접속하가능하도록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 접속단자(50)는 베릴 동의 판 소재로 형성하되, 내측을 절개 및 절곡한 탄발 접속부(52)를 내향 돌출 형성하여 기판의 제2 접속부에 탄발 접속하면서 기판에 실장된 엘이디(35)를 온,오프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 밖에 상기 외부 몸체(11)와 내부 몸체(12)의 외측에는 외부 몸체의 회전 조작시 엘이디의 온,오프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표시부(미도시)를 별도 형성하여 사용자가 엘이디의 온,오프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전지(2)는 몸체 외측에 링형 요홈(2a)을 형성하여 내부 몸체(12)의 내부로 결합시 링형 요홈에 몸체 내부의 링형 돌기(12c)가 삽입되어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로서, 18은 기판 상부를 눌러 고정하는 역활과 함께 동작시 빛치 절단되는 구조를 갖는 투광폴, 19 및 29는 내부 몸체 외주연과 외부 몸체의 내주연에 대응 형성되는 회전 안내홈 및 회전 단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조립 과정은 내부 몸체(12)의 상부에 FPCB(연성회로기판)으로 형성된 기판(30)을 안착 조립한다.
즉, 상기 기판(30)을 내부 몸체(12) 상부에 안착시키고 상기 기판 몸체의 외측에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 및 절곡 형성된 레그(33)를 내부 몸체의 내측과 외측 원주상에 형성되는 제1,2 조립홈(12a)(12b)에 삽입하여 기판을 고정 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조립홈(12a)에 조립하는 레그의 제1 접속부(31)는 내부 몸체(12) 내부로 조립되는 전지 몸체의 +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조립홈(12a)에 조립하는 레그의 제2 접속부(32)는 외부 몸체 내측에 조립되는 스위칭 접속단자(50)에 접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내부 몸체(12) 외부에 외부 몸체(11)를 결합는데, 상기 외부 몸체(11)는 내부 몸체(12)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 몸체(12) 내부에 전지(2)를 삽입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내부 몸체(12) 내부로 삽입되는 전지(2)는 상부의 -극 단자핀(3)이 기판 저면에 역 U자 형태로 고정 설치된 핀 접속단자(40)의 좌우 절곡부(41)(41') 사이로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좌우 절곡부(41)(41')에는 내향 돌출되는 좌우 접속부(42)(42')가 형성되어 있어 전지 상부의 -극 단자핀(3)에 의해 좌우로 벌어지면서 탄발력에 의해 -극 단자핀 좌우에서 탄발 밀착하며 접속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핀 접속단자의 하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스토퍼(44)가 수직 형성되어 전지 상부의 -극 단자핀(3)이 좌우는 물론 전후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즉, 상기 핀 접속단자(40)는 좌우 접속부(42)(42')가 전지 상부의 -극 단자핀(3) 좌우 측방을 탄발 가압하면서 접속하고 전후 방향에서 스토퍼(44)가 지지하기 때문에 종래보다 접속 면적 및 접속력 향상으로 접속 불량을 개선함은 물론 챔질이나 외부 충돌, 충격에도 전지의 -극 단자핀이 핀 접속단자에서 이탈되는 오 작동을 확실히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한 상태에서 낚시찌의 상부에 결합 사용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내부 몸체(12) 외측의 외부 몸체(11)를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엘이디(35)를 선택적으로 온, 오프 작동하는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면하면,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외부 몸체(11)의 회전 조작으로 외부 몸체 내측에 결합된 스위칭 접속단자(50)의 탄발 접속부(52)가 기판의 레그에 형성된 제2 접속부(32)에 탄발 밀착하면서 접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전지의 +,-극이 기판의 접점에 모두 접속되면서 기판에 실장된 엘이디(35)가 발광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의 오프 작동은 외부 몸체(11)의 회전 조작으로 스위칭 접속단자(50)의 탄발 접속부(52)가 기판의 레그(31)에 형성된 제2 접속부(32)에서 벗어나도록 이동시켜 전기적 접속 상태를 끊어주므로 엘이디(35)가 오프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판의 레그(33)는 90도 간격 위치에 4개로 형성되고 상기 레그 중에 2개의 위치에 제2 접속부(32)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외부 몸체를 90도 각도로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온/오프/온/오프 작동을 반복하도록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 몸체(11)의 회전 조작은 외부 몸체(11)와 내부 몸체(12)의 외측에 형성된 표시부(미도시)에 의해 정확한 위치로 회전 조작이 가능한 것이다.
2: 전지 3: -극 단지핀
10: 몸체 11: 외부 몸체
11a: 수직 조립홈 12: 내부 몸체
12a,12b: 제,2 조립홈 15: 발광 캡
30: 기판 31,32: 제1,2 접속부
33: 레그 35: 엘이디
40: 핀 접속단자 41,41': 좌우 절곡부
42,42': 좌우 접속부 44: 스토퍼
50: 스위칭 접속단자 52: 탄발 접속부

Claims (5)

  1. 상부에 발광 캡(15)이 결합되는 몸체(10) 내부에 전지(2)를 삽입하여 전지(2) 상부의 -극 단자핀(3)과 전지 몸체의 +극을 엘이디(35)가 실장된 기판(30)에 접속 연결하되, 상기 -극 단자핀(3)을 기판(30) 저면의 핀 접속단자(40)에 접속하는 전자 케미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핀 접속단자(40)는 양 측방이 하부로 절곡되는 좌우 절곡부(41)(41')에 좌우 접속부(42)(42')를 내향 돌출되게 절곡 형성하여 상기 좌우 접속부(42)(42') 사이로 전지(2) 상부의 -극 단자핀(3)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극 단자핀(3)의 양 측방을 탄발 가압하면서 접속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핀 접속단자(40)는 역 "U"자 형태로 절곡 형성하되, 좌우 절곡부(41)(41') 사이에 전지(2)의 -극 단자핀(3)이 좌우 절곡부(41)(41')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44)를 수직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2. 상부에 발광 캡(15)이 결합되는 몸체(10) 내부에 전지(2)를 삽입하여 전지(2) 상부의 -극 단자핀(3)과 전지 몸체의 +극을 엘이디(35)가 실장된 기판(30)에 접속 연결하되, 상기 -극 단자핀(3)을 기판(30) 저면의 핀 접속단자(40)에 접속하는 전자 케미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핀 접속단자(40)는 양 측방이 하부로 절곡되는 좌우 절곡부(41)(41')에 좌우 접속부(42)(42')를 내향 돌출되게 절곡 형성하여 상기 좌우 접속부(42)(42') 사이로 전지(2) 상부의 -극 단자핀(3)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극 단자핀(3)의 양 측방을 탄발 가압하면서 접속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몸체(10)는 내측에 스위칭 접속단자(50)가 결합되는 외부 몸체(11)와 내부에 전지(2)가 결합되는 내부 몸체(12)로 분리하여 상기 외부 몸체(11)를 내부 몸체(12)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되,
    상기 내부 몸체(12)의 내측과 외측 원주상에 제1,2 조립홈(12a)(12b)을 형성하고 상기 제1,2 조립홈(12a)(12b)에 전지 몸체의 +극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31)와 스위칭 접속단자(50)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32)를 결합하여 상기 외부 몸체(11)의 회전 조작에 의해 스위칭 접속단자(50)가 제2 접속부(32)의 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속하면서 온,오프 작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30)은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레그(33)를 연장하여 절곡 형성하되, 상기 전후 방향의 레그 내측에 제1 접속부(31)를 형성하고, 상기 좌우 방향의 레그 외측에 제2 접속부(32)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접속단자(50)는 내측을 절개 및 절곡한 탄발 접속부(52)를 내향 돌출 형성하여 기판의 제2 접속부에 탄발 접속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5. 삭제
KR1020180138280A 2018-11-12 2018-11-12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KR102224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280A KR102224415B1 (ko) 2018-11-12 2018-11-12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280A KR102224415B1 (ko) 2018-11-12 2018-11-12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687A KR20200054687A (ko) 2020-05-20
KR102224415B1 true KR102224415B1 (ko) 2021-03-05

Family

ID=70919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280A KR102224415B1 (ko) 2018-11-12 2018-11-12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4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728Y1 (ko) * 2004-02-10 2004-04-30 한현직 야간 민물 낚시용 발광장치
KR101406564B1 (ko) * 2012-12-20 2014-06-11 김영선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장치
KR200483561Y1 (ko) 2015-06-24 2017-05-29 백종수 밝기 조절과 온/오프 기능을 갖는 전자케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085Y1 (ko) 2002-04-09 2002-07-19 박종민 전자발광 낚시찌
KR200454522Y1 (ko) * 2007-08-17 2011-07-11 지영근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KR200452428Y1 (ko) 2008-10-27 2011-02-25 김정대 낚시찌용 전자 발광장치
KR20120033400A (ko) * 2010-09-30 2012-04-09 정경길 전자찌
KR101934565B1 (ko) * 2016-04-05 2019-01-04 신영진 어신 감지용 전자찌
KR101904936B1 (ko) * 2016-11-23 2018-11-21 홍성희 낚시찌용 발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728Y1 (ko) * 2004-02-10 2004-04-30 한현직 야간 민물 낚시용 발광장치
KR101406564B1 (ko) * 2012-12-20 2014-06-11 김영선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장치
KR200483561Y1 (ko) 2015-06-24 2017-05-29 백종수 밝기 조절과 온/오프 기능을 갖는 전자케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687A (ko)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0812B1 (ja) 高透光性の発光積木
RU2536819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4288481B2 (ja) 発光ダイオード
US8963410B2 (en) LED bulb
EP3309452B1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of light bulb cap
AU2013100442A4 (en) LED bulb
JP2006295083A (ja) 発光ユニット
JP2007005078A (ja) ボタン電池ホルダ
JP2001357701A (ja) 小型携帯電灯
US2011025071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emitting device
TWM337834U (en) Package structure for light emitting diode
KR102224415B1 (ko)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JP2010201046A (ja) 発光装置
KR102224399B1 (ko) 발광 성능 개선형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JP2007234470A (ja) 発光装置
CN107230574B (zh) 按压开关结构
CN105605537B (zh) 全金属灯头电连接结构、正负极端子及应用的led灯泡
JP2018148186A (ja) 発光装置
US10145545B2 (en)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having quick disconnect means
US8633507B2 (en) LED with versatile mounting ways
JP4489325B2 (ja) 小型携帯電灯の防水構造及び防水シール部材
KR200284521Y1 (ko) 밤낚시용 전자찌 led결합구조
CN201804752U (zh) 按压式开关结构
KR20150000556U (ko) 엘이디 발광소자를 갖는 귀걸이
JP2010206035A (ja) 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