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679B1 -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패널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679B1
KR102223679B1 KR1020140099975A KR20140099975A KR102223679B1 KR 102223679 B1 KR102223679 B1 KR 102223679B1 KR 1020140099975 A KR1020140099975 A KR 1020140099975A KR 20140099975 A KR20140099975 A KR 20140099975A KR 102223679 B1 KR102223679 B1 KR 102223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substrate
mother
unit patter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7329A (ko
Inventor
오병춘
공수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9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679B1/ko
Priority to US14/588,856 priority patent/US9655243B2/en
Publication of KR20160017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4Stacked arrangements of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4Assemblies of printed circuits
    • H05K2201/042Stacked spaced PCBs; Planar parts of folded flexible circuits having mounted components in between or spaced from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51Division of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모기판과 제2 모기판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소자를 둘러싸는 제1 실링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실링부재와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의 폭이 감소하는 복수의 단위패턴들을 가지는 제2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모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패널{Display panel and mother panel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pane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패널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EP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여러 가지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러한 제조 공정에는, 제1 모기판과 제2 모기판 사이에 배치된 실링부를 용융 및 경화시켜 제1, 제2 모기판을 합착하는 공정과, 합착된 제1, 제2 모기판을 포함하는 모패널을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분리하는 절단 공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절단 공정에 의해 분리된 디스플레이 패널은, 대향하는 제1, 제2 기판과,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소자와, 디스플레이 소자를 둘러싸는 실링부를 포함한다. 절단 공정시 나타나는 오차나 파손 등을 고려하여 실링부와 기판의 단부 사이에 소정의 커팅 마진이 존재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영역 중 디스플레이 소자가 형성된 화소부를 제외한 영역을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라 한다. 데드 스페이스에는 실링부가 배치된다.
이러한 데드 스페이스는 패널의 전체영역 중 화소부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제한하므로, 데드 스페이스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데드 스페이스를 감소하기 위한 시도의 일 예로써, 실링부의 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실링부의 폭이 감소할 경우, 제1, 제2 기판의 합착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데드 스페이스를 감소하기 위한 시도의 다른 예로써, 실링부와 기판의 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인 커팅 마진을 감소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커팅 마진을 감소시킬 경우, 절단 과정에서 실링부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절단선이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절단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링부의 합착 성능을 개선하면서도 절단 과정에서 절단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패널 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모기판;
상기 제1 모기판 상에 서로 이격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들;
상기 제1 모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모기판;
상기 제1 모기판과 상기 제2 모기판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들 각각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1 실링부재들;
상기 제1 모기판과 상기 제2 모기판 사이에서 상기 제1 실링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실링부재와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의 폭이 감소하는 복수의 단위패턴들을 가지는 제2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모패널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단위패턴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이 선형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패턴들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부재는, 제1 모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톱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위패턴은, 상기 제1 모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삼각형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부재의 상기 단위패턴의 단부는, 인접한 제2 실링부재의 단위패턴의 단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부재의 상기 단위패턴의 단부는, 인접한 제2 실링부재의 단위패턴의 단부와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부재의 상기 단위패턴의 단부와, 인접한 제2 실링부재의 단위패턴의 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는 10 um ~ 30 um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재 및 상기 제2 실링부재는, 글래스 프릿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1 실링부재;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서 상기 제1 실링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실링부재와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의 폭이 감소하는 복수의 단위패턴들을 가지는 제2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단위패턴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이 선형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패턴들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부재는, 제1 모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톱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위패턴은, 상기 제1 모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삼각형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 부재는, 상기 단위패턴의 단부와 상기 제1 기판의 단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를 가지도록 배치되거나, 제1 방향으로 30 um 범위 내에서 이격된 위치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재 및 상기 제2 실링부재는, 글래스 프릿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패널은, 디스플레이 소자를 둘러싸는 제1 실링 부재의 외측에, 제1 실링 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감소하는 복수의 단위 패턴을 가지는 제2 실링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실링부의 합착 성능을 개선하면서도 절단 과정에서 절단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모패널을 Ib-I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2b는 도 1b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b에 개시된 제1, 제2 모기판이 절단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절단선이 절단 예정선으로부터 이탈되었을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절단선이 절단 예정선으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용 모패널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도 7a, 도7b 및 도 8은 도 2b에 개시된 제2 실링부재의 단위 패턴의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제조하기 위한 모패널(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모패널(1)을 Ib-I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제조하기 위한 모패널(1)은 제1 모기판(10)과, 제1 모기판(10)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모기판(20)과, 제1 모기판(10)과 제2 모기판(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모기판(10)과 제2 모기판(20)을 합착하는 복수의 실링부(30)를 포함한다.
제1 모기판(10)은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기판(10)은 유리 기판, 메탈 기판, 유연성(Flexibility)을 갖는 플라스틱 기판 등일 수 있다.
제1 모기판(10) 상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11)가 마련된다. 디스플레이 소자(11)는 유기발광 소자(OLED)일 수 있다. 유기발광 소자는 도면상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애노드, 캐소드 및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의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소자(11)는, 액정표시소자, 또는 전기영동표시소자 등일 수 있다.
제2 모기판(20)은 투명한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투명한 제2 모기판(20)을 통해, 디스플레이 소자(11)에 구현된 화상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모기판(20)은 유리 기판일 수 있다.
복수의 실링부(30) 각각은 제1 모기판(10)과 제2 모기판(20) 사이에서 각 디스플레이 소자(11)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실링부(30)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한다. 실링부(30)는 제1 모기판(10)과 제2 모기판(20) 사이의 내부공간이 밀봉되도록 제1 모기판(10)과 제2 모기판(20)을 합착한다. 상기 제1 모기판(10)과 제2 모기판(20) 사이의 내부공간에는 흡습제나 충진재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실링부(30)는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링부(30)는 글래스 프릿(glass frit)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30)에 레이저 빔이 조사되고, 그에 따라 실링부(30)가 용융(또는 소성) 및 경화되어, 제1 모기판(10)과 제2 모기판(20)이 안정적으로 합착 밀봉될 수 있다.
실링부(30)에 의해 합착 밀봉된 제1 모기판(10) 및 제2 모기판(20)은 디스플레이 소자(11)에 대응하는 셀 단위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모기판(10) 및 제2 모기판(20)은 인접한 실링부(30)들 사이에 위치한 절단 예정선(PCL, planned cutting line)을 따라 절단될 수 있다. 절단 예정선(PCL)은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단 예정선(PCL)과,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단 예정선(PCL)을 포함한다.
절단 예정선(PCL)을 따라 제1, 제2 모기판(10, 20)을 절단함으로써, 모패널(1)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100)들로 분리될 수 있다.
도 2a는 도 1a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2b는 도 1b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b에 개시된 제1, 제2 모기판(10, 20)이 절단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인접한 디스플레이 소자(11)를 각각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1, 제2 실링부(31, 32)가 배치된다. 인접한 제1, 제2 실링부들(31, 32)은, 각각 제1 실링 부재(40)와 제2 실링 부재(50)를 포함한다.
제1 실링 부재(40)는, 디스플레이 소자(11)를 둘러싸도록 폐루프를 형성하며, 제1 모기판(10)과 제2 모기판(20)을 합착 밀봉한다.
제1 실링 부재(40)는 무기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실링 부재(40)는 글래스 프릿(glass frit)일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40)의 재질로서 글래스 프릿을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소자(11)가 형성된 공간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40)의 내측에는 디스플레이 소자(11)가 배치되며, 제1 실링 부재(40)의 외측에는 제2 실링 부재(50)가 배치된다.
제2 실링 부재(50)는 제1 실링 부재(40)보다 외측에 배치되며, 절단 예정선(PCL)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즉, 제2 실링 부재(50)는 절단 예정선(PCL)과 제1 실링 부재(4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제2 모기판(10, 20)의 절단 과정에서, 제2 실링 부재(50)는 제1, 제2 모기판(10, 2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하여, 제1, 제2 모기판(10, 20)의 두께 방향으로의 절단선(CL)이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링 부재(50)는, 제1, 제2 모기판(10, 20)의 절단 과정에서 제1, 제2 모기판(10, 20)에 가해지는 진동이 제1 실링 부재(40)로 바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 실링 부재(40)와 제1, 제2 모기판(10, 20)의 합착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마찰에 의한 절단 과정, 예를 들어 블레이드에 의한 절단 과정에서 유용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50)는, 제1 실링 부재(40)와 함께, 제1 모기판(10)과 제2 모기판(20)을 합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실링 부재(50)는 제1, 제2 모기판(10, 20)과 실링부(30)의 접촉 면적을 확대함으로써, 제1, 제2 모기판(10, 20)의 합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50)는 무기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실링 부재(50)는 글래스 프릿(glass frit)일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50)는, 제1 실링 부재(40)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50)와 제1 실링 부재(40)를 동일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공정, 예를 들어 다른 재질의 보강재를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도, 제2 실링 부재(5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제2 모기판(10, 20)을 합착하기 위하여, 무기물인 제2 실링 부재(50)에 레이저 빔이 조사되며, 그에 따라 제2 실링 부재(50)가 용융 및 경화된다. 무기물인 제2 실링 부재(50)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제2 실링 부재(50)와 접촉하는 제1, 제2 모기판(10, 20)의 영역의 강도가 주변 영역보다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제2 모기판(10, 20)에서 일부 영역의 강도 상승은 제1, 제2 모기판(10, 20)의 절단 과정에서 절단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 과정에서 제1, 제2 모기판(10, 20)의 절단선(CL)이 제2 실링 부재(50)와 중첩되도록 형성될 경우, 절단선(CL)은, 강도가 강한 영역으로 연장되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영역을 따라 연장된다. 그로 인해, 절단선(CL)은 의도된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제2 실링부(30)재와 절단선(CL)의 중첩되는 폭이 작을 경우에는 절단 과정에서 문제되지 않지만, 제2 실링부(30)재와 절단선(CL)의 중첩되는 폭이 커질 경우 절단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선(CL)이 제2 실링부(30)재에 중첩되는 폭이, 제2 실링부(30)재에 중첩되지 않는 폭보다 커질 경우, 절단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절단선(CL)이 의도된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정상적인 절단을 위해서는, 절단선(CL)이 제2 실링 부재(50)에 중첩되는 것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데드 스페이스를 줄이기 위하여, 제1 실링 부재(40)와 절단 예정선(PCL) 사이의 거리(g1)는 소정 범위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링 부재(40)와 절단 예정선(PCL) 사이의 거리(g1)는 100 um 이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실링 부재(50)는, 상기와 같이 제1 실링 부재(40)와 절단 예정선(PCL) 사이의 거리(g1)가 제한된 영역 내에서 제1, 제2 모기판(10, 20)과의 접촉면적을 확대하면서도, 절단 과정에서 절단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해, 제2 실링 부재(50)는, 복수의 단위 패턴(51)들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단위 패턴(51)들 각각은, 제1 실링 부재(40)와 멀어지는 방향인 제1 방향(X1)으로 갈수록, 제1 방향(X1)과 수직인 제2 방향(Y)으로의 폭(W, 이하 '폭(W)'이라 한다)이 감소한다. 복수의 단위 패턴(51)들은 제2 방향(Y)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제1 실링 부재(40)를 기준으로 하므로, 제1 실링 부재(40)의 위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링부(31)의 제1 방향은 X1인 반면, 제2 실링부(32)의 제1 방향은 X2일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제1 방향을 제1 실링부(31)의 제1 방향(X1)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단위 패턴(51)은 제1 방향(X1)으로 갈수록 폭(W)이 감소하며, 제1 방향(X1)과 반대 방향(X2)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한다. 단위 패턴(51)의 외측에는 절단 예정선(PCL)이 형성된다. 그에 따라, 제1 방향(X1)은 절단 예정선(PCL)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단위 패턴(51)은 절단 예정선(PCL)에 가까워질수록 폭(W)이 감소하며, 절단 예정선(PCL)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W)이 증가한다.
단위 패턴(51)은 절단 예정선(PCL)에 가까운 영역이 폭(W)이 좁기 때문에 절단 불량이 감소될 수 있다. 동시에, 단위 패턴(51)은 절단 예정선(PCL)으로부터 먼 영역이 폭(W)이 넓기 때문에 제1, 제2 모기판(10, 20)과의 소정의 접촉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제2 모기판(10, 20)의 절단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절단 과정에서 단위 패턴(51)의 특징을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블레이드(B)를 이용한 절단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절단방식으로서, 레이저를 이용한 절단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제2 모기판(10, 20)의 절단 과정은 블레이드(B)에 의한 스크라이빙 과정 및 제1, 제2 기판(110, 120)에 소정의 힘을 가하는 브레이킹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블레이드(B)가 제1 모기판(10)에 접촉한 상태에서 절단 예정선(PCL)을 따라 제1 모기판(10)의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모기판(10)에 절단선(CL)이 형성된다. 또한, 블레이드(B)가 제2 모기판(20)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2 모기판(20)의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 예정선(PCL)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2 모기판(20)에 절단선(CL)이 형성된다. 블레이드(B)에 의하여 형성된 절단선(CL)은 제1, 제2 모기판(10, 20)에서 두께 방향으로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절단선(CL)이 제1, 제2 모기판(10, 20)에서 두께 방향으로 일부에 형성된 상태에서, 제1, 제2 모기판(10, 20) 중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힘을 가할 경우, 절단선(CL)은 도 3a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제1, 제2 모기판(10, 20)의 표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하여, 도 3b와 같이 제1, 제2 모기판(10, 20)이 절단될 수 있다.
다만, 실제 제조단계에서는 다양한 요인, 예를 들어, 블레이드(B)의 제어 정확도 등에 의해, 블레이드(B)가 절단 예정선(PCL)을 따라 정확히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블레이드(B)에 의한 절단선(CL)이 절단 예정선(PCL)과 일치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a와 달리 블레이드(B)에 의한 절단선(CL)이 절단 예정선(PCL)으로부터 이탈되었을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절단선(CL)이 절단 예정선(PCL)으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모패널(1)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블레이드(B)에 의한 절단선(CL)은 도 4a와 같이 절단 예정선(PCL)으로부터 좌측으로 이탈되어 제2 실링 부재(50)에 중첩되도록 형성되거나, 도 4b와 같이 우측으로 이탈되어 제2 실링 부재(50)에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절단선(CL)은 절단 예정선(PCL)으로부터 이탈되어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들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들은 절단 예정선(PCL)과 가까워질수록 제2 방향(Y)으로의 폭(W)이 좁아지는 구조를 가진다. 그에 따라, 절단선(CL)이 절단 예정선(PCL)으로부터 이탈되어 형성되더라도, 절단선(CL)이 제2 실링 부재(50)와 중첩되는 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 제2 모기판(10, 20)은 절단선(CL)의 형상대로 절단되는 정상적인 절단이 가능해진다.
만일, 단위 패턴(51)이 제1 방향(X1)으로 갈수록 폭(W)이 감소하는 구조가 아닐 경우, 예를 들어 단위 패턴(51)의 폭(W)이 일정한 구조일 경우, 제1, 제2 기판(110, 120)에서 절단선(CL)이 제2 실링 부재(50)와 중첩되는 폭은 일정하게 나타난다. 절단선(CL)이 제2 실링 부재(50)와 중첩되는 폭은, 절단선(CL)이 절단 예정선(PCL)으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났느냐에 관계 없이 일정하게 나타난다. 그에 따라, 합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 실링 부재(50)의 제2 방향(Y)으로의 폭(W)을 넓힐 경우, 그만큼 절단선(CL)과 제2 실링 부재(50)와 중첩되는 폭이 커지기 때문에 절단 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커지게 된다. 반대로 절단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실링 부재(50)의 폭(W)을 좁힐 경우, 그만큼 합착 강도 개선 효과는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방향(X1)으로 갈수록 폭(W)이 감소하는 복수의 단위 패턴(51)을 가짐으로써, 합착 강도 개선 및 절단 불량 방지라는 적어도 2가지 효과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제2 실링 부재(50)는, 제1 모기판(10)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톱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은 선형적으로 제2 방향(Y)으로의 폭(W)이 감소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이 선형적으로 폭(W)이 감소하는 예로서, 단위 패턴(51)은 제1 모기판(10)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삼각형일 수 있다. 삼각형은 도면에 개시된 정삼각형 외에도, 직각 삼각형 또는 이등변 삼각형일 수도 있다.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이 선형적으로 폭이 감소하는 다른 예로서, 단위 패턴(51a)은 제1 모기판(10)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도 6과 같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은 비선형적으로 제2 방향으로의 폭이 감소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단위 패턴(51b, 51c)은 도 7a, 7b과 같이 제1 모기판(10)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파형(wave form)일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2 실링 부재(50)는 제1 실링 부재(40)와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50)와 제1 실링 부재(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실링 부재(40)와 제2 실링 부재(50)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실링 부재(40)와 절단 예정선(PCL) 사이의 거리(g1)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제2 실링 부재(50)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로서, 도면상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실링 부재(50)는 제1 실링 부재(4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인접한 제1 실링부(31)와 제2 실링부(32)는 절단 예정선(PC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한 제2 실링 부재(50)를 포함한다.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의 단부는, 인접한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의 단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의 단부는, 인접한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의 단부와, 제2 방향(Y)으로의 위치가 동일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도 8과 같이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의 단부는, 인접한 제2 실링 부재(50a)의 단위 패턴(51)의 단부와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의 단부는, 인접한 제2 실링 부재(50a)의 단위 패턴(51)의 단부와, 제2 방향(Y)으로의 위치가 다를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의 단부와, 인접한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의 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g2)는 10 um ~ 30 um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분리하기 위하여 좌우에 인접한 셀들 사이를 1회 컷팅하고, 상하에 인접한 셀들 사이를 2회 컷팅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컷팅 회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좌우 인접한 셀들 사이를 2회 컷팅하고, 상하 인접한 셀들 사이를 2회 컷팅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상술한 모패널(1)로부터 분리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1 기판(110)과, 제1 기판(110)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기판(120)과,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을 합착하는 실링부(30)를 포함한다.
제1 기판(110)은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110)은 유리 기판, 메탈 기판, 유연성(Flexibility)을 갖는 플라스틱 기판 등일 수 있다. 제1 기판(110)의 적어도 일 단부는 상술한 절단 과정에 의해 절단된 절단선(CL)일 수 있다.
제1 기판(110) 상에는 디스플레이 소자(11)가 마련된다. 디스플레이 소자(11)는 유기발광 소자(OLED)일 수 있다. 유기발광 소자는 애노드, 캐소드 및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의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소자(11)는, 액정표시소자, 또는 전기영동표시소자 등일 수 있다.
제2 기판(120)은 투명한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투명한 제2 기판(120)을 통해, 디스플레이 소자(11)에 구현된 화상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기판(120)은 유리 기판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기판(120)은 터치패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 패턴이 형성된 온-셀 터치 스크린 패널(on-cell touch screen pane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120)의 적어도 일 단부는 상술한 절단 과정에 의해 절단된 절단선(CL)일 수 있다.
실링부(30)는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소자(11)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실링부(30)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한다. 실링부(30)는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 사이의 내부공간이 밀봉되도록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을 합착한다. 상기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 사이의 내부공간에는 흡습제나 충진재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실링부(30)는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링부(30)는 글래스 프릿(glass frit)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30)에 레이저 빔이 조사되고, 그에 따라 실링부(30)가 용융(또는 소성) 및 경화되어,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이 안정적으로 합착 밀봉될 수 있다.
실링부(30)는 제1 실링 부재(40)와, 제1 실링 부재(40)의 외측에 배치된 제2 실링 부재(50)를 포함한다.
제1 실링 부재(40)는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 사이에 디스플레이 소자(11)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1 실링 부재(40)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한다.
제2 실링 부재(50)는, 제1 실링 부재(40)와 함께,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을 합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실링 부재(50)는 제1, 제2 기판(110, 120)과 실링부(30)의 접촉 면적을 확대함으로써, 제1, 제2 기판(110, 120)의 합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50)는 복수의 단위 패턴(51)들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단위 패턴(51)들 각각은 제1 실링 부재(40)와 멀어지는 제1 방향(X1)으로 갈수록,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Y)으로의 폭(W)이 감소한다. 복수의 단위 패턴(51)들은 제2 방향(Y)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50)는, 제1 기판(110)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톱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은 선형적으로 제2 방향(Y)으로의 폭(W)이 감소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이 선형적으로 폭(W)이 감소하는 예로서, 단위 패턴(51)은 제1 기판(110)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삼각형일 수 있다. 삼각형은 도면에 개시된 정삼각형 외에도, 직각 삼각형 또는 이등변 삼각형일 수도 있다.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이 선형적으로 폭이 감소하는 다른 예로서, 단위 패턴(51)은 제1 기판(110)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은 비선형적으로 제2 방향(Y)으로의 폭(W)이 감소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단위 패턴(51)은 제1 기판(110)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파형일 수 있다.
한편, 제2 실링 부재(50)의 형상은 절단 과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일 예로서, 절단 예정선(PCL)을 따라 절단선(CL)이 형성된 경우, 절단선(CL)과 제2 실링 부재(50)가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나타난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은 모패널(1)에 나타난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실링 부재(50)는, 단위 패턴(51)의 단부와 제1 기판(110)의 단부인 절단선(CL)은 제1 방향(X1)으로 이격된 위치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단위 패턴(51)의 제1 방향으로 단부와 제1 기판(110)의 단부인 절단선(CL)의 제1 방향(X1)으로의 이격 거리(g3)는 30 um 이하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절단 예정선(PCL)을 이탈하여 절단선(CL)이 형성될 경우, 절단선(CL)이 제2 실링 부재(50)의 일부와 중첩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나타난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e)은, 모패널(1)에 나타난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왜냐하면, 모패널(1)에 나타난 제2 실링 부재(50)의 단위 패턴(51)의 일부가 절단되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모패널(1)에 나타난 단위 패턴(51)이 삼각형이라 하더라도, 그로부터 절단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나타난 단위 패턴(51e, 51f)은 도 11a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이거나, 도 11b와 같이 삼각형 형상에 그보다 작은 삼각형이 추가된 형상일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50)는, 단위 패턴(51e, 51f)의 단부와 제1 기판(110)의 단부가 제1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50)는 제1 실링 부재(40)와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50)와 제1 실링 부재(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실링 부재(50)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로서, 제2 실링 부재(50)는 제1 실링 부재(4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모패널 10 : 제1 모기판
11 : 디스플레이 소자 20 : 제2 모기판
30 : 실링부 40 : 제1 실링 부재
50 : 제2 실링 부재
51, 51a, 51b, 51c, 51e, 51f : 단위 패턴
100 : 디스플레이 패널 110 : 제1 기판
120 : 제2 기판

Claims (16)

  1. 제1 모기판;
    상기 제1 모기판 상에 서로 이격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들;
    상기 제1 모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모기판;
    상기 제1 모기판과 상기 제2 모기판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들 각각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1 실링부재들;
    상기 제1 모기판과 상기 제2 모기판 사이에서 상기 제1 실링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실링부재와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의 폭이 감소하는 복수의 단위패턴들을 가지는 제2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모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단위패턴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이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모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패턴들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모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부재는, 제1 모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톱니 형상을 가지는, 모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패턴은, 상기 제1 모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모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부재의 상기 단위패턴의 단부는, 인접한 제2 실링부재의 단위패턴의 단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된, 모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부재의 상기 단위패턴의 단부는, 인접한 제2 실링부재의 단위패턴의 단부와 엇갈리게 배치된, 모패널.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부재의 상기 단위패턴의 단부와, 인접한 제2 실링부재의 단위패턴의 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10 um ~ 30 um 인 모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재 및 상기 제2 실링부재는, 글래스 프릿을 포함하는 모패널.
  10.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1 실링부재;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서 상기 제1 실링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실링부재와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의 폭이 감소하는 복수의 단위패턴들을 가지는 제2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패턴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이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패턴들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부재는, 상기 제1 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톱니 형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패턴은, 상기 제1 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인, 디스플레이 패널.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 부재는,
    상기 단위패턴의 단부와 상기 제1 기판의 단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를 가지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제1 방향으로 30 um 범위 내에서 이격된 위치를 가지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재 및 상기 제2 실링부재는, 글래스 프릿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140099975A 2014-08-04 2014-08-04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패널 KR102223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975A KR102223679B1 (ko) 2014-08-04 2014-08-04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패널
US14/588,856 US9655243B2 (en) 2014-08-04 2015-01-02 Display panel and mother panel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975A KR102223679B1 (ko) 2014-08-04 2014-08-04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329A KR20160017329A (ko) 2016-02-16
KR102223679B1 true KR102223679B1 (ko) 2021-03-08

Family

ID=5518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975A KR102223679B1 (ko) 2014-08-04 2014-08-04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55243B2 (ko)
KR (1) KR102223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2168B (zh) * 2016-06-03 2019-04-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制造oled面板的方法
KR102570551B1 (ko) 2016-07-05 2023-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8511632A (zh) * 2018-06-11 2018-09-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母板及其制作方法
WO2022025578A1 (ko) * 2020-07-28 2022-0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882B1 (ko) 2006-01-27 2007-04-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951B1 (ko) 2002-03-06 2007-02-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68294A (ko) 2003-12-30 2005-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씰 패턴 및 그 형성 방법
KR20080051756A (ko) * 2006-12-06 2008-06-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65255B1 (ko) 2008-11-11 2010-06-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US8200942B2 (en) * 2009-06-19 2012-06-12 Kim Moon J Hybrid multifunction component system with component interface encapsulation including OS packet translator for communication over unified data bus architecture
KR101107174B1 (ko) 2010-03-23 2012-01-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234229B1 (ko) 2010-06-11 2013-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31003A (ko) 2012-09-04 2014-03-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882B1 (ko) 2006-01-27 2007-04-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55243B2 (en) 2017-05-16
KR20160017329A (ko) 2016-02-16
US20160037639A1 (en)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3679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패널
KR101009414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0136578B (zh) 用于显示装置的膜和包括该膜的显示装置
EP318247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P2023421B1 (en) Method of fabricating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70066535A (ko) 분할된 배선 패턴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276812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06785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impact resistant display apparatus
KR102117608B1 (ko) 밀봉 장치, 밀봉 장치를 포함하는 기판 밀봉 장치 및 기판 밀봉 방법
CN108461523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US20170054104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6074361A1 (zh) 用于玻璃胶涂布的掩膜板和采用该掩膜板的涂布方法
US986584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EP3282481B1 (en) Package substrate, display panel and curved display panel
KR20200048000A (ko) 복합소재 프레스 성형 방법
JP5538278B2 (ja)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
KR101121861B1 (ko) 화상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0899447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175540B2 (en) Liquid crystal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liquid crystal device
CN110289290A (zh) 一种显示母板及其制备方法、电致发光显示面板
CN106129089B (zh)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US2016014155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US11152589B2 (en) Organic EL device, organic EL lighting panel, organic EL lighting apparatus, and organic EL display
US979308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for heating sealing unit with different laser beams
US1000713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