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745B1 - IoT 기반의 액상 분사 장치 - Google Patents

IoT 기반의 액상 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745B1
KR102222745B1 KR1020200085586A KR20200085586A KR102222745B1 KR 102222745 B1 KR102222745 B1 KR 102222745B1 KR 1020200085586 A KR1020200085586 A KR 1020200085586A KR 20200085586 A KR20200085586 A KR 20200085586A KR 102222745 B1 KR102222745 B1 KR 102222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iquid container
measurement value
nozzle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통인에이치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통인에이치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통인에이치앤씨
Priority to KR1020200085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745B1/ko
Priority to CN202022609703.8U priority patent/CN214139688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745B1/ko
Priority to PCT/KR2021/008782 priority patent/WO202201030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1/309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9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the dispensing stroke being affected by the stored energy of a spring
    • B05B11/1091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the dispensing stroke being affected by the stored energy of a spring being first hold in a loaded state by locking means or the like, then relea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 B05B11/3046
    • B05B11/307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는 상부는 밀폐되고, 하부는 개방된 액상용기,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상기 액상용기를 수용하고, 하부면에 액상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액상용기의 하부와 결합되고, 하부면에 관통구를 포함하는 액상용기고정부 및 상기 액상용기고정부의 관통구에 관통하여 위치하고, 상기 노즐에 결합되며, 상기 액상용기의 상하운동에 기반하여 상기 액상을 상기 노즐로 전달하는 펌핑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기반의 액상 분사 장치{APPARATUS OF SPRAYING LIQUID BASED ON IoT}
본 발명은 액상 분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며, 누수를 방지할 수 잇는 액상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분사 장치는 용기에 액상을 담아두고, 펌프를 이용하여 액상을 외부로 분사시키거나, 미세 입자로 형태를 변형하여 분사시키는 것으로써, 일반 가정에서는 화초에 물을 주는 분무기, 화장품 등을 보관하는 디스펜서, 세재 용기 및 샴푸 용기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전염병의 위험으로 인하여, 손 세정제와 같은 화학제품을 보관하는 디스펜서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다수의 인원이 밀집되거나 통행하는 공간에서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디스펜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78918호에는 휴대용 향수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은 휴대용 향수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일 실시예에서는 몸체부 및 상부 몸체부의 상부와 체결되는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부에 향수 주입홀이 형성된 내부 몸체, 상기 내부 몸체 하부에 결합된 회전 손잡이 및 상기 향수 주입홀과 체결되고, 푸쉬되면 향수액을 분사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향수 주입홀을 통해 외부의 향수를 내부 몸체에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향수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손 세정제 등을 보관하는 휴대용 디스펜서의 경우, 노즐이 외부에 개방되어 있고, 특히, 상부쪽에 위치하고 있어 먼지 등으로 인하여 쉽게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으로 노즐과 외부를 격리하고 있으나, 뚜껑이 휴대용 디스펜서 본체와 연결되어 있지 않아 분실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펌프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는 구성이 없어, 휴대하면서 뚜껑이 개방되는 경우, 액상의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 또한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보다 개선된(enhanced) 액상 분사 장치를 제안하려고 한다.
국내특허공보 제10-1378918호 2014.03.21. 등록 (명칭 : 휴대용 향수용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액상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원하는 포인트에 정확한 분사가 가능하고, 적은 힘으로 액상을 분사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 설계가 적용된 액상 분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별도 구성요소인 캡 없이 액상을 분사하는 노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액상의 분사각을 고려한 설계가 적용된 액상 분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미사용 상태에 따라 액상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잠금설정이 가능한 액상 분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는 상부는 밀폐되고 하부는 개방된 액상용기,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상기 액상용기를 수용하고, 하부면에 액상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액상용기의 하부와 결합되고, 하부면에 관통구를 포함하는 액상용기고정부 및 상기 액상용기고정부의 관통구에 관통하여 위치하고, 상기 노즐에 결합되며, 상기 액상용기의 상하운동에 기반하여 상기 액상을 상기 노즐로 전달하는 펌핑수단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하우징은, 하부면이 기설정된 곡률반지름을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로 함몰되고, 상기 하부면 중심에 상기 노즐이 위치하되, 상기 곡률반지름은, 상기 하부면이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액상의 분사각과 이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는, 상기 액상용기고정부의 외측면에 'ㄱ'형상의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상기 제1 돌기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제2 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액상용기의 회전을 기반으로 상기 펌핑수단의 상하운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액상용기에 저장된 액상을 상기 노즐로 전달하는 노즐관, 상기 노즐관의 입출동작을 통해 상기 액상을 펌핑하는 펌프본체, 상기 펌프본체의 하측 외부연에 위치하고, 상기 액상용기고정부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 및 상기 노즐관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펌프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펌프본체를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상기 펌핑수단의 상하운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락킹제어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 및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락킹제어모듈의 상태를 추출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락킹제어모듈의 상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락킹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락킹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선된(enhanced) 액상 분사 장치를 제안한다는 측면에서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원하는 포인트에 정확한 분사가 가능하고, 적은 힘으로 액상을 분사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 설계가 적용된 액상 분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별도 구성요소인 캡 없이 액상을 분사하는 노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액상의 분사각을 고려한 설계가 적용된 액상 분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사용 상태에 따라 액상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잠금설정이 가능한 액상 분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노즐의 높이, 하우징 하부면의 곡률반지름 및 노즐의 분사각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펌핑수단의 상하운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의 움직임 측정값을 통해 락킹잠금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석과 자석감지센서를 통해 액상용기를 구분하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게측정센서 및 거리측정센서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액상용기(100), 하우징(200), 액상용기고정부(300) 및 펌핑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액상용기(100)는 분사될 액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부는 밀폐되고,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술한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고, 일반적인 용기와 마찬가지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용기 형태일 수 있으며, 이 때는 액상용기고정부(300)와 결합할 때 뒤집어서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100)는 일측이 밀폐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측(도면상 하부)이 하우징(200)에 삽입되는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액상용기(100)의 지름은 하우징(20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상용기(100)는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액상용기고정부(30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액상용기(100)는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200)은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액상용기(100)를 수용하고, 하부면(203)에 액상을 분사하는 노즐(20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00)은 일측이 밀폐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측(도면상 상부)으로 액상용기(100)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00)의 지름은 액상용기(10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상용기(100)의 상부를 가압하여 액상을 분사하기 위하여, 액상용기(100)가 결합되었을 때, 액상용기(100)의 상부가 하우징(200)의 상부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우징(200)의 높이를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200)은, 하부면(203)이 기설정된 곡률반지름을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200) 내부로 함몰되고, 상기 하부면(203) 중심에 상기 노즐(201)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를 바닥에 둔 경우에도 노즐(201)이 바닥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을 수 있어, 노즐(201)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인 액상 분사 장치는 노즐(201)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Cap)을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캡은 일반적인 액상 분사 장치 본체와 고정되어 있지 않아 분실의 위험이 매우 높다. 또한, 상기 캡을 분실한 경우에는 노즐(201)이 직접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어 오염의 위험성 또한 있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노즐(201)이 직접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오염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곡률반지름은, 상기 하부면(203)이 상기 노즐(201)에서 분사되는 액상의 분사각과 이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201)에서 분사되는 액상이 하우징(200)의 하부면(203)에 묻지 않을 수 있으며, 액상의 낭비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 때, 액상용기고정부(300)는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서 상기 액상용기(100)의 하부와 결합되고, 하부면에 관통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고정부(300)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에 밀폐된 일측면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액상용기고정부(30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액상용기(100)와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용기(100)의 하부 외주면에 제1 나사산을 형성하고, 액상용기고정부(300)의 내주면에 제1 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호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나사결합은 결합방식의 일 예시로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관통구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펌핑수단(400)이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액상용기(100)를 가압할 때, 펌핑수단(400)을 상하운동하게 하여 액상을 분사하는데, 액상용기고정부(300)는 액상용기(100)에 결합되어, 액상용기(100)가 상하운동할 때, 함께 상하운동을 한다. 따라서, 액상용기고정부(300)의 상하운동을 제한하면 액상용기(100)를 가압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펌핑수단(400)을 상하운동하게 할 수 없어 액상이 분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펌핑수단(400)의 상하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으로, 액상용기고정부(300)의 외측면에 'ㄱ'형상의 제1 돌기(301)를 포함하고,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상기 제1 돌기(301)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제2 돌기(205)를 포함하여, 상기 액상용기(100)의 회전을 기반으로 상기 펌핑수단(400)의 상하운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 때, 펌핑수단(400)은 상기 액상용기고정부(300)의 관통구에 관통하여 위치하고, 상기 노즐(201)에 결합되며, 상기 액상용기(100)의 상하운동에 기반하여 상기 액상을 상기 노즐(201)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펌핑수단(400)은, 상기 액상용기(100)에 저장된 액상을 상기 노즐(201)로 전달하는 노즐관(401), 상기 노즐관(401)의 입출동작을 통해 상기 액상을 펌핑하는 펌프본체(403), 상기 펌프본체(403)의 하측 외부연에 위치하고, 상기 액상용기고정부(300)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405) 및 상기 노즐관(401)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펌프본체(403)의 하부에서 상기 펌프본체(403)를 지지하는 스프링(407)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펌프본체(403)는 액상용기(100)가 상하운동을 함에 따라 액상용기고정부(300)와 함께 상하운동을 하게 되며, 노즐(201)과 결합된 노즐관(401)이 펌프본체(403)로 삽입되면서 발생한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액상을 노즐(201)로 분사할 수 있다. 이 때, 플랜지(405)는 펌프본체(403)가 액상용기고정부(300)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관통구에서 펌프본체(403)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스프링(407)은 펌프본체(403)의 하부에서 상기 펌프본체(403)를 지지할 수 있다. 액상용기(100)의 가압으로 하방으로 내려온 경우 펌프본체(403)도 함께 하방으로 향하는데, 스프링(407)의 탄성을 통하여 펌프본체(403)와 액상용기(100)를 기준위치로 다시 올릴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를 가압하기 전의 모습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액상용기(100)를 가압한 액상 분사 장치(10)를 나타낸 모습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액상용기(100)의 상부에 외력을 가하면, 액상용기(100)와 액상용기고정부(300) 및 펌프본체(403)(플랜지(405) 포함)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노즐관(401)이 펌프본체(403)로 삽입된다.
이 때, 펌프본체(403)는 노즐관(401)의 삽입에 의하여 발생된 압력을 이용하여 액상용기(100)에 저장된 액상을 하우징(200)의 노즐(201)을 통하여 하방으로 분사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한손으로 쥐고, 엄지를 이용하여 액상용기(100)의 상부를 가압할 수 있어, 적은 힘으로 액상을 분사할 수 있고, 가압방향과 분사 방향이 일치 즉, 노즐(201)이 하방을 향하고 있어 분사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액상을 분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노즐(201)의 높이, 하우징(200) 하부면(203)의 곡률반지름 및 노즐(201)의 분사각(A_1, A_2)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하우징(200)은, 하부면(203)이 기설정된 곡률반지름(R_1, R_2)을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200) 내부로 함몰되고, 상기 하부면(203) 중심에 상기 노즐(201)이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캡 없이, 노즐(201)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하부면(203)의 곡률반지름(R_1, R_2)을 임의로 설정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이 하우징(200)의 하부면(203)에 닿아, 액상의 낭비 및 노즐(201) 주변의 오염으로 인한 노즐(201) 오염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면(203)이 상기 노즐(201)에서 분사되는 액상의 분사각(A_1, A_2)과 이격되도록 하부면(203)의 곡률반지름(R_1, R_2)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액상의 낭비 및 노즐(201) 주변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노즐(201)의 분사각(A_1, A_2)뿐만 아니라 노즐(201)의 높이(H_1, H_2)도 하나의 요소로 하여 곡률반지름(R_1, R_2)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액상을 분사하는 사용자들은 분사하고자 하는 위치 상부 10cm 이내에서 분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손바닥정도의 범위를 목표로 하여 분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노즐(201)의 높이(H_1, H_2)와 노즐(201)의 분사각(A_1, A_2)은 높이 10cm 이내에서 10cm^2의 넓이에 액상을 분사할 수 있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하우징(200) 하부면(203)의 곡률반지름(R_1, R_2)도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펌핑수단(400)의 상하운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200)의 일측면을 절단하여 내부에 포함된 액상고정용기와 펌핑수단(4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액상용기고정부(300)의 외측면에 'ㄱ'형상의 제1 돌기(301)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상기 제1 돌기(301)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제2 돌기(205)를 포함하여, 상기 액상용기(100)의 회전을 기반으로 상기 펌핑수단(400)의 상하운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사용예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사용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301)와 제2 돌기(205)가 맞닿아 있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2 돌기(205)가 제1 돌기(301)의 수평방향 돌기에 막혀 액상용기고정부(300)의 상하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301)의 수직방향 돌기를 통해, 액상용기고정부(300)의 상하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 돌기(205)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액상 분사 장치(10)를 사용하기 위하여 액상용기(100)를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방향을 제1 돌기(301)의 수직방향 돌기와 제2 돌기(205)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돌기(205)가 제1 돌기(301)의 수평방향 돌기와 마주보지 않는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액상용기(100)를 가압한 경우, 액상용기(100)와 액상용기고정부(300)가 상하운동을 할 수 있어, 펌핑수단(400)을 동작시킬 수 있고, 액상을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경우, 액상용기(100)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이 발생하여 제1 돌기(301)와 제2 돌기(205)의 위치를 변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의도하지 액상용기(100)의 가압에 의한 액상의 누수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액상용기고정부(300)의 외측면에 제1 돌기(301)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보조돌기(30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돌기(301)와는 다르게, 임계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제2 돌기(205)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완만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임계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기 전에는 제2 돌기(205)가 제1 돌기(301)와 보조돌기(303) 사이에 위치할 수 있어, 의도치 않은 액상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액상용기(100)와 액상용기고정부(300)가 나사결합에 의할 경우, 액상용기(100)의 회전에 기반하여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하는 경우, 의도치 않게 액상용기(100)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결합에 의한 용기를 분리하기 위한 힘을 F1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2 돌기(205)가 보조돌기(303)를 넘어갈 때 필요한 힘을 F2라고 정의할 때, F1 > F2 의 관계가 만족하도록 보조돌기(303)의 곡률 및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와 사용자 단말기(20)의 움직임 측정값을 통해 락킹잠금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사용자 단말기(2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상기 펌핑수단(400)의 상하운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락킹제어모듈,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모듈은, 상기 락킹제어모듈의 상태를 추출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락킹제어모듈의 상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락킹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락킹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수동으로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동으로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움직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감지센서의 제1 움직임 측정값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측정되는 제2 움직임 측정값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가 사용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사용여부판단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 움직임 측정값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보행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움직임 측정값을 통하여 사용자가 보행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1 움직임 측정값이 상기 제2 움직임 측정값과 상이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보행중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펌핑수단(400)의 상하운동이 잠금해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측정값이 상기 제2 움직임 측정값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를 사용하지 않고 보행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펌핑수단(400)의 상하운동이 잠금 상태가 되도록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 움직임 측정값을 통하여 사용자가 정지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1 움직임 측정값이 발생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정지중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펌핑수단(400)의 상하운동이 잠금해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측정값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펌핑수단(400)의 상하운동이 잠금상태가 되도록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의 표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먼저 제2 움직임 측정값이 일정 임계치 이상 발생한 경우에만 사용자가 보행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의 표에서는 약 10 을 보행 임계치로 설정하여, CASE 1 및 2는 사용자가 보행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CASE 3 및 4는 사용자가 정지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보행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움직임 측정값과 제2 움직임 측정값의 동일여부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가 사용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완벽히 동일한 경우만으로 설정하는 경우, 오판단이 발생할 수 잇어, 약 10% 내외의 오차범위를 설정하여 비교할 수 있다.
도 7의 표를 살펴보면, CASE 1에서는 제1 움직임 측정값이 38.46, 제2 움직임 측정값이 40.31로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어, 액상 분사 장치(10)를 미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CASE 2에서는 제1 움직임 측정값이 84.72, 제2 움직임 측정값이 41.25로 오차범위를 벗어나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어, 액상 분사 장치(10)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정지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CASE 3에서는 제1 움직임 측정값이 36.19, 제2 움직임 측정값이 5.33으로 오차범위를 벗어나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어, 액상 분사 장치(10)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CASE 4에서는 제1 움직임 측정값이 6.08, 제2 움직임 측정값이 4.92로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어, 액상 분사 장치(10)를 미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의 표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시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오차 및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락킹제어모듈의 상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움직임감지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GPS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의 경우 3축 이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측정되는 제1 움직임 측정값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GPS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측정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액상 분사 장치(10)를 잠그지 않고, 주머니에 넣은 경우에도 자동으로 잠금설정을 할 수 있어 주머니에서의 누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석(101)과 자석감지센서(305)를 통해 액상용기(100)를 구분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100)는 분리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다수의 액상용기(100)에 저장된 액상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액상용기(100)의 색상을 상이하게 구성하고, 상기 액상용기(100)의 색상을 인식하여 액상을 구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상기 액상용기(100)의 색상을 감지하는 색상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색상감지센서를 통해 인식된 상기 액상용기(100)의 색상에 기반하는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액상용기(100)의 색상마다 고유의 액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색상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액상용기(100)에 담긴 액상의 종류를 사용자 단말기(20)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상기 액상용기(100)의 구분을 위하여 상기 액상용기(100)의 개방된 하부측 외주면에 특정 패턴의 자석(101)을 매립하고, 상기 액상용기고정부(300)의 내주면에 상기 자석(101)을 인식할 수 있는 자석감지센서(305)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액상용기(100)에 담긴 액상을 구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상용기(100)의 개방된 하부측 외주면에 3개의 자석수용구를 포함하고, 자석(101)이 있는 곳은 1로 자석(101)이 없는 곳은 0으로 설정하여, 상기 자석감지센서(305)에서 000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제1 액상으로, 001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제2 액상으로, 010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제3 액상으로, 011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제4 액상으로, 100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제5 액상으로, 101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제6 액상으로, 110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제7 액상으로, 111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제8 액상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로써, 상기 자석(101)은 일렬 또는 3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액상용기(100)와 상기 액상용기고정부(300)는 상호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자석(101)이 상기 자석감지센서(305)의 위치에 오도록 상기 액상용기(100)와 상기 액상용기고정부(300)의 나사산을 설계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게측정센서(103) 및 거리측정센서(307)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상기 액상용기(100)에 저장된 액상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10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무게측정센서(103)를 통해 상기 액상의 무게측정값을 추출하고, 상기 액상 분사 장치(10)가 1회 사용되었을 때의 1회사용량을 추출하고, 상기 무게측정값과 상기 1회사용량에 기반하여 남은 사용횟수를 산출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상기 무게측정값, 상기 1회사용량 및 상기 남은 사용횟수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가 1일에 사용하는 1일사용횟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1일사용횟수정보, 상기 무게측정값 및 상기 1회사용량을 기반으로 액상용기(100)의 예상교체일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상기 예상교체일을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액상용기(100)에 남아있는 액상의 양을 부피 또는 무게와 같은 단순 수치가 아닌 남은 사용횟수, 예상교체일 등 체감할 수 있는 수치로 제공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상기 액상용기(100)와 상기 액상용기고정부(3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30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무게측정센서(103)에 의한 상기 무게측정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거리측정값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액상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액상용기(100)가 분리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은 상기 액상용기(100)에 액상이 남아 있음에도 사용자가 상기 액상용기(100)를 상기 액상용기고정부(300)와 분리하는 경우 액상의 누수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이를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함이다.
다만, 액상이 전혀 없는 상황은 고려하기 힘드므로, 상기 액상용기(100)를 교체할 수 있는 최소 무게를 제1 임계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액상용기(100)가 상기 액상용기고정부(300)와 분리될 때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최소 임계거리를 제2 임계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모듈는 상기 무게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거리측정센서(307)를 동작시키지 않고, 상기 무게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만 상기 거리측정센서(307)를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무게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거리측정센서(307)를 동작시켜 상기 거리측정값을 추출하고, 상기 거리측정값이 기설정된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누수의 위험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 등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액상 분사 장치
100 : 액상용기
200 : 하우징
300 : 액상용기고정부
400 : 펌핑수단

Claims (5)

  1. 상부는 밀폐되고, 하부는 개방된 액상용기;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상기 액상용기를 수용하고, 하부면에 액상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액상용기의 하부와 결합되고, 하부면에 관통구를 포함하는 액상용기고정부;
    상기 액상용기고정부의 관통구에 관통하여 위치하고, 상기 노즐에 결합되며, 상기 액상용기의 상하운동에 기반하여 상기 액상을 상기 노즐로 전달하는 펌핑수단;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액상 분사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센서;
    상기 펌핑수단의 상하운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락킹제어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 및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하부면이 기설정된 곡률반지름을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로 함몰되고, 상기 하부면의 중심에 상기 노즐이 위치하되, 상기 곡률반지름은 상기 하부면이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액상의 분사각과 이격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액상용기의 회전을 기반으로 상기 펌핑수단의 상하운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액상용기고정부의 외측면에 'ㄱ'형상의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상기 제1 돌기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제2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액상용기에 저장된 액상을 상기 노즐로 전달하는 노즐관;
    상기 노즐관의 입출동작을 통해 상기 액상을 펌핑하는 펌프본체;
    상기 펌프본체의 하측 외부연에 위치하고, 상기 액상용기고정부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 및
    상기 노즐관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펌프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펌프본체를 지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락킹제어모듈의 상태를 추출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락킹제어모듈의 상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락킹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락킹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움직임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제1 움직임 측정값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측정되는 제2 움직임 측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액상 분사 장치의 사용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여부판단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되,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2 움직임 측정값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보행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보행중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움직임 측정값과 상기 제2 움직임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움직임 측정값이 상기 제2 움직임 측정값과 동일하거나 10%의 오차범위에 포함되면 미사용중으로 판단하여 상기 펌핑수단의 상하운동이 잠금상태가 되도록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측정값과 상기 제2 움직임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움직임 측정값이 상기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사용중으로 판단하여 상기 펌핑수단의 상하운동이 잠금해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하는 제2-1 모드; 및
    상기 제2 움직임 측정값을 기반으로 정지중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움직임 측정값이 발생하면 사용중으로 판단하여 상기 펌핑수단의 상하운동이 잠금해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측정값이 발생하지 않으면 미사용중으로 판단하여 상기 펌핑수단의 상하운동이 잠금상태가 되도록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하는 제2-2 모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분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85586A 2020-07-10 2020-07-10 IoT 기반의 액상 분사 장치 KR102222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586A KR102222745B1 (ko) 2020-07-10 2020-07-10 IoT 기반의 액상 분사 장치
CN202022609703.8U CN214139688U (zh) 2020-07-10 2020-11-12 液体喷射设备
PCT/KR2021/008782 WO2022010304A1 (ko) 2020-07-10 2021-07-09 Iot 기반의 액상 분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586A KR102222745B1 (ko) 2020-07-10 2020-07-10 IoT 기반의 액상 분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745B1 true KR102222745B1 (ko) 2021-03-04

Family

ID=7517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586A KR102222745B1 (ko) 2020-07-10 2020-07-10 IoT 기반의 액상 분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22745B1 (ko)
CN (1) CN214139688U (ko)
WO (1) WO20220103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304A1 (ko) * 2020-07-10 2022-01-13 주식회사 통인에이치앤씨 Iot 기반의 액상 분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939Y1 (ko) * 2005-03-23 2005-06-03 주식회사 태평양 아이 크림 용기 구조
KR101378918B1 (ko) 2012-05-15 2014-03-28 (주) 뱅크 휴대용 향수용기
KR20140122494A (ko) * 2013-04-10 2014-10-20 (주)연우 금속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디스펜서 용기
KR101563848B1 (ko) * 2015-04-22 2015-10-29 주식회사 스킨푸드 화장품 용기
KR20200039668A (ko) * 2017-08-09 2020-04-16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토출 용기, 토출 용기를 갖는 커스터마이즈 토출 시스템, 토출 용기에서의 토출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193Y1 (ko) * 2013-02-26 2014-07-04 (주)톨리코리아 회전 토출 작동 방식을 갖는 화장품 용기
DE102016012651A1 (de) * 2016-10-24 2018-04-26 Beiersdorf Ag Mehrkomponentenapplikator
KR20180056097A (ko) * 2016-11-18 2018-05-28 서윤재 약 복용 관리 장치
KR102222745B1 (ko) * 2020-07-10 2021-03-04 주식회사 통인에이치앤씨 IoT 기반의 액상 분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939Y1 (ko) * 2005-03-23 2005-06-03 주식회사 태평양 아이 크림 용기 구조
KR101378918B1 (ko) 2012-05-15 2014-03-28 (주) 뱅크 휴대용 향수용기
KR20140122494A (ko) * 2013-04-10 2014-10-20 (주)연우 금속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디스펜서 용기
KR101563848B1 (ko) * 2015-04-22 2015-10-29 주식회사 스킨푸드 화장품 용기
KR20200039668A (ko) * 2017-08-09 2020-04-16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토출 용기, 토출 용기를 갖는 커스터마이즈 토출 시스템, 토출 용기에서의 토출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304A1 (ko) * 2020-07-10 2022-01-13 주식회사 통인에이치앤씨 Iot 기반의 액상 분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4139688U (zh) 2021-09-07
WO2022010304A1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745B1 (ko) IoT 기반의 액상 분사 장치
US20010016701A1 (en) Discharge apparatus for media
US7237577B1 (en) System for controlling chemical substance applicators
KR200425584Y1 (ko) 화장품용기의 뚜껑회전식 노즐 개폐장치
US8622256B2 (en) Actuator for spray container with restraint structure
KR101115166B1 (ko) 만능 칼라 키 및 만능 칼라 키를 포함하는 분배기
US5226563A (en) Device for spraying or dispensing a fluid, with improved actuating security
KR20140084039A (ko) 전용 분배 용기 시스템
CN101821176B (zh) 用于喷射装置的致动器帽
CN107594852B (zh) 用于具有给定开盒期限的化妆品的容器和用于该容器的筒
IE54231B1 (en) Liquid dispensing pump arrangement with selective stroke restriction
EP1502567A2 (en) Flask for a liquid precision dispenser
NO322139B1 (no) Doseringsanordning og fremgangsmate ved dens bruk
US8783520B2 (en) Dispenser
KR20210000398U (ko) 토출량 조절이 가능한 회장품 용기
CN102906793A (zh) 用于分配系统的标签剂上锁系统
JP2004043023A (ja) 収容および分与装置に取り付けるための、可動性カニューレを備えた分与キャップ
US4775081A (en) Device for the actuator of a valve fitted on a pressurized container
US20200114378A1 (en) Liquid tank for an atomizer
US20120006857A1 (en) Pumping device of fluid container and press button
WO1989011442A1 (en) Product dispenser with shiftable closure blade
CN111770884A (zh) 用于非接触式化学品分配的包装和对接系统
GB2283234A (en) Valved closure for portable vacuum bottle
US7775406B2 (en) Trigger sprayer with venting membrane in protective housing cavity
US11298713B2 (en) Device for dispensing essential oil or tin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