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663B1 - IoT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액상을 분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액상을 분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663B1
KR102356663B1 KR1020200136407A KR20200136407A KR102356663B1 KR 102356663 B1 KR102356663 B1 KR 102356663B1 KR 1020200136407 A KR1020200136407 A KR 1020200136407A KR 20200136407 A KR20200136407 A KR 20200136407A KR 102356663 B1 KR102356663 B1 KR 102356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iquid container
present
nozzle
inj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통인에이치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통인에이치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통인에이치앤씨
Priority to KR1020200136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1/309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3046
    • B05B11/307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액상을 분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IoT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액상을 분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injecting liquid based on monitoring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Internet-of-Things sensor}
본 발명은 IoT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액상을 분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며, 누수를 방지할 수 잇는 액상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분사 장치는 용기에 액상을 담아두고, 펌프를 이용하여 액상을 외부로 분사시키거나, 미세 입자로 형태를 변형하여 분사시키는 것으로써, 일반 가정에서는 화초에 물을 주는 분무기, 화장품 등을 보관하는 디스펜서, 세재 용기 및 샴푸 용기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전염병의 위험으로 인하여, 손 세정제와 같은 화학제품을 보관하는 디스펜서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다수의 인원이 밀집되거나 통행하는 공간에서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디스펜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4151호에서는 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한 공기 제균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서는 실내의 인원수에 따라 제균 성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공기 제균 시스템에 있어서, 실내에서 이동하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실내 공간의 제균을 수행하는 제균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생성되는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균부의 제균 성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얼굴을 인식하는 카메라이며, 상기 감지신호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인식된 사람 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에 본 발명은 보다 개선된(more enhanced) IoT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액상을 분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안하려고 한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4151호 2019.12.04. 등록 (명칭: 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한 공기 제균 시스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IoT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액상을 분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액상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원하는 포인트에 정확한 분사가 가능하고, 적은 힘으로 액상을 분사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 설계가 적용된 액상 분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별도 구성요소인 캡 없이 액상을 분사하는 노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액상의 분사각을 고려한 설계가 적용된 액상 분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미사용 상태에 따라 액상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잠금설정이 가능한 액상 분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IoT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액상을 분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와, 펌핑 수단의 상하 운동을 잠금(lock) 또는 잠금해제(unlock)하는 잠금부와,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액상 분사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잠금부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comman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액상 분사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잠금부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comman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액상 분사 장치는, 상부는 밀폐되고, 하부는 개방된 액상용기와,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상기 액상용기를 수용하고, 하부면에 액상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액상용기의 하부와 결합되고, 하부면에 관통구를 포함하는 액상용기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핑 수단은 상기 액상용기고정부의 관통구에 관통하여 위치하고, 상기 노즐에 결합되며, 상기 액상용기의 상하운동에 기반하여 상기 액상을 상기 노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액상용기고정부의 외측면에는 제1 돌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돌기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제2 돌기가 더 포함되며, 상기 액상용기의 회전을 기반으로 상기 펌핑 수단의 상하운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부면이 기설정된 곡률반지름을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로 함몰되고, 상기 하부면의 중심에 상기 노즐이 위치하되, 상기 곡률반지름은, 상기 하부면이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액상의 분사각과 이격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는 상부는 밀폐되고 하부는 개방된 액상용기,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상기 액상용기를 수용하고, 하부면에 액상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액상용기의 하부와 결합되고, 하부면에 관통구를 포함하는 액상용기고정부 및 상기 액상용기고정부의 관통구에 관통하여 위치하고, 상기 노즐에 결합되며, 상기 액상용기의 상하운동에 기반하여 상기 액상을 상기 노즐로 전달하는 펌핑수단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하우징은, 하부면이 기설정된 곡률반지름을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로 함몰되고, 상기 하부면 중심에 상기 노즐이 위치하되, 상기 곡률반지름은, 상기 하부면이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액상의 분사각과 이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는, 상기 액상용기고정부의 외측면에 'ㄱ'형상의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상기 제1 돌기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제2 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액상용기의 회전을 기반으로 상기 펌핑수단의 상하운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액상용기에 저장된 액상을 상기 노즐로 전달하는 노즐관, 상기 노즐관의 입출동작을 통해 상기 액상을 펌핑하는 펌프본체, 상기 펌프본체의 하측 외부연에 위치하고, 상기 액상용기고정부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 및 상기 노즐관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펌프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펌프본체를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상기 펌핑수단의 상하운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락킹제어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 및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락킹제어모듈의 상태를 추출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락킹제어모듈의 상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락킹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락킹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선된(enhanced) 액상 분사 장치를 제안한다는 측면에서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원하는 포인트에 정확한 분사가 가능하고, 적은 힘으로 액상을 분사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 설계가 적용된 액상 분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별도 구성요소인 캡 없이 액상을 분사하는 노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액상의 분사각을 고려한 설계가 적용된 액상 분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사용 상태에 따라 액상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잠금설정이 가능한 액상 분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노즐의 높이, 하우징 하부면의 곡률반지름 및 노즐의 분사각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펌핑수단의 상하운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의 움직임 측정값을 통해 락킹잠금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석과 자석감지센서를 통해 액상용기를 구분하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게측정센서 및 거리측정센서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손 세정제 등을 보관하는 휴대용 디스펜서의 경우, 노즐이 외부에 개방되어 있고, 특히, 상부 쪽에 위치하고 있어 먼지 등으로 인하여 쉽게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으로 노즐과 외부를 격리하고 있으나, 뚜껑이 휴대용 디스펜서 본체와 연결되어 있지 않아 분실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펌프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는 구성이 없어, 휴대하면서 뚜껑이 개방되는 경우, 액상의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 또한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은 액상 분사 장치(10), 단말(20),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구성 및 성능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20)은 제1 제어 모듈(2010), 제1 통신 모듈(2020), 제1 입력 모듈(2030) 및/또는 제1 출력 모듈(20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단말(20)은 제2 제어 모듈(3010), 제2 통신 모듈(3020), 제2 입력 모듈(3030), 제2 출력 모듈(2040) 및/또는 저장 모듈(30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010, 30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단계/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서버(3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20)을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010, 301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유닛(CPU)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처리 디바이스(GPU)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020, 3020)은 본 발명의 단말(20) 및/또는 서버(30) 등과 각종 데이터, 신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020, 3020)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020, 3020)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모듈(2030, 3030)은 본 발명의 단말(20) 및/또는 서버(30)의 구성요소(예: 제어 모듈(2010, 3010) 등)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본 발명의 단말(20) 및/또는 서버(30)의 외부(예: 사용자(예;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등), 본 발명의 서버(30)의 관리자 등)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2030, 3030)은 액상 분사 장치(10), 단말(20) 및/또는 서버(30)에 설치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 음성인식센서,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은 감압식 및/또는 정전식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통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출력 모듈(2040, 3040)은 본 발명의 단말(20) 및/또는 서버(30)의 제어 모듈(2010, 3010)에 의해 생성되거나 통신 모듈(2020, 3020)을 통하여 획득된 신호(예; 음성 신호), 정보, 데이터, 이미지, 및/또는 각종 객체(object) 등을 표시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면, 출력 모듈(2040, 304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시부(displaying unit), 스피커 및/또는 발광장치(예; LED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storage module)(3050)은 본 발명의 서버(30) 및/또는 본 발명의 단말(2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 모듈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모듈은 본 발명의 단말(20) 및/또는 서버(3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이름, 아이디(ID; identifier), 패스워드, 주민등록번호, 도로명 주소,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및/또는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010, 3010)은 저장 모듈(30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010, 3010)은 IoT 기술 및/또는 ICT 기술에 기반하여 획득되거나 생성될 수 있는 액상 분사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및/또는 명령어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IoT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을 나타낼 수 있다. IoT(사물인터넷)는 세상의 모든 사물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소통하는 차세대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으로 빅데이터를 얻고, 그것을 클라우드에 저장해, 인공지능으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것이다. 사물인터넷은 지능화되어 스마트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등 스마트 세계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전 자율 자동차나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헬스 케어 서비스 등 모든 분야에 인터넷이 연결되는 세상이 되어, 마치 인터넷이 공기와 같이 되는데 굳이 인터넷이 따로 있을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사물인터넷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인터넷만 있어서는 안 된다. 센서와 네트워크 기술,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3D 프린팅 등의 다양한 기반 기술이 함께 어우러져야 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으로 빅데이터를 얻고, 그것을 클라우드(cloud)에 저장해, 인공지능으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흐름을 보여준다.
또한 ICT는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을 나타낼 수 있다.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는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과 통신 기술(Communication Technology, CT)의 합성어로 정보기기의 하드웨어 및 이들 기기의 운영 및 정보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술과 이들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 생산, 가공, 보존, 전달, 활용하는 모든 방법을 의미한다. ICT 패러다임의 변화는 콘텐츠(C)-플랫폼(P)-네트워크(N)-디바이스(D) 가치사슬 상의 각 부문간 상호의존 심화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PN-T(터미널) 가치사슬이 방송플랫폼을 설명하는데 많이 활용되었으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사실상 컴퓨터에 해당되는 기기를 감안하면 C-P-N-D라는 표현이 ICT를 설명하는데 좀 더 유용할 수 있다. 콘텐츠(C) 부문을 살펴보면, 인터넷상에서는 더 이상 사진, 서적, 음악, 동영상 등의 구분이 무의미하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이들 모든 종류의 콘텐츠는 디지털화되면서 플랫폼 제공자에 의해서 이용자에 제공되며 콘텐츠 보유자는 구글, 애플, 아마존과 같은 플랫폼 제공자와 제휴하거나 직접 플랫폼을 구성하여 콘텐츠를 제공한다. 플랫폼 부문은 C-P-N-D 가치사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인터넷 상에서 콘텐츠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축적, 처리, 저장,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소프트웨어 기술력을 보유한 ICT 기업이 주도권을 잡게 됨을 의미하는데, 특히 소프트웨어 기술력과 클라우드 인프라를 보유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대표적인 플랫폼 제공자로 부상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전통적인 네트워크 전송 서비스 제공자의 위상은 상대적으로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 원천 콘텐츠를 보유한 기업은 플랫폼 제공자와 대등한 관계의 설정도 가능할 것이다. 디지털 융합시대의 네트워크는 IP망, 즉 인터넷이다. 서킷방식 전화망과 같은 전통적인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보유자가 자체적으로 이용자 식별 등의 지능적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인터넷의 경우에는 아카마이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 제공기업들이 서버 클러스터를 통하여 효율적 트래픽 전송, 보안 등 네트워크의 다양한 기능을 경쟁 시장에서 제공한다.
이러한 지능형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기업도 일종의 플랫폼 제공기업이라는 의미에서 사실상 플랫폼과 네트워크의 구분은 어렵다. 또한 통신망을 보유한 사업자들이 직접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도 중요하다. 디바이스 부문은 언제나 인터넷과 연결되고, iOS와 같은 범용 운영체제를 갖춘 디바이스 내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플랫폼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완결한다. 애플은 플랫폼 제공자가 동시에 디바이스 제공자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으며, 구글과 안드로이드폰의 제조사간의 제휴관계를 감안하면 과거보다 플랫폼 부문과 디바이스 부문의 관계가 보다 밀접한, 상호의존적인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콘텐츠 부문과 플랫폼 부문의 제휴, 디바이스 부문의 플랫폼과의 연계, 플랫폼 부문과 네트워크 부문의 경계 모호 등은 모두 C-P-N-D 각 부문의 상호의존성 심화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방법은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센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0).
센서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움직임감지센서, 자석감지센서, 무게측정센서, 색상감지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GP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정보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움직임 측정값, 제2 움직임 측정값, 무게측정값, 감지된 색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움직임감지센서, 자석감지센서, 무게측정센서, 색상감지센서, 가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GPS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상 분사 방법은 센싱정보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20).
상기 소정의 기준은, 예를 들면, 제1 움직임 측정값, 제2 움직임 측정값, 무게측정값, 감지된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만족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기준은, 예를 들면, 움직임감지센서, 자석감지센서, 무게측정센서, 색상감지센서, 가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GPS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만족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기준은, 예를 들면, 제1 움직임 측정값, 제2 움직임 측정값, 무게측정값, 감지된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하여 만족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기준은, 예를 들면, 움직임감지센서, 자석감지센서, 무게측정센서, 색상감지센서, 가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GPS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는 과정을 통하여 만족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상 분사 방법은 센싱정보에 기반하여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30).
예를 들면, S30의 소정의 기준이 만족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센싱정보에 기반하여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정보는, 예를 들면, 펌핑수단(400)의 상하운동이 잠금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상 분사 방법은 제어 정보를 락킹제어모듈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4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20)과 서버(30)는 상호 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20) 및/또는 서버(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에 포함되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40, 50, 60, 70)와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액상용기(100), 하우징(200), 액상용기고정부(300) 및 펌핑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액상용기(100)는 분사될 액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부는 밀폐되고,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술한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고, 일반적인 용기와 마찬가지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용기 형태일 수 있으며, 이 때는 액상용기고정부(300)와 결합할 때 뒤집어서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100)는 일측이 밀폐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측(도면상 하부)이 하우징(200)에 삽입되는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액상용기(100)의 지름은 하우징(20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상용기(100)는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액상용기고정부(30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액상용기(100)는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200)은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액상용기(100)를 수용하고, 하부면(203)에 액상을 분사하는 노즐(20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00)은 일측이 밀폐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측(도면상 상부)으로 액상용기(100)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00)의 지름은 액상용기(10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상용기(100)의 상부를 가압하여 액상을 분사하기 위하여, 액상용기(100)가 결합되었을 때, 액상용기(100)의 상부가 하우징(200)의 상부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우징(200)의 높이를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200)은, 하부면(203)이 기설정된 곡률반지름을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200) 내부로 함몰되고, 상기 하부면(203) 중심에 상기 노즐(201)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를 바닥에 둔 경우에도 노즐(201)이 바닥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을 수 있어, 노즐(201)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인 액상 분사 장치는 노즐(201)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Cap)을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캡은 일반적인 액상 분사 장치 본체와 고정되어 있지 않아 분실의 위험이 매우 높다. 또한, 상기 캡을 분실한 경우에는 노즐(201)이 직접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어 오염의 위험성 또한 있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노즐(201)이 직접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오염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곡률반지름은, 상기 하부면(203)이 상기 노즐(201)에서 분사되는 액상의 분사각과 이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201)에서 분사되는 액상이 하우징(200)의 하부면(203)에 묻지 않을 수 있으며, 액상의 낭비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 때, 액상용기고정부(300)는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서 상기 액상용기(100)의 하부와 결합되고, 하부면에 관통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고정부(300)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에 밀폐된 일측면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액상용기고정부(30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액상용기(100)와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용기(100)의 하부 외주면에 제1 나사산을 형성하고, 액상용기고정부(300)의 내주면에 제1 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호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나사결합은 결합방식의 일 예시로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관통구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펌핑수단(400)이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액상용기(100)를 가압할 때, 펌핑수단(400)을 상하운동하게 하여 액상을 분사하는데, 액상용기고정부(300)는 액상용기(100)에 결합되어, 액상용기(100)가 상하운동할 때, 함께 상하운동을 한다. 따라서, 액상용기고정부(300)의 상하운동을 제한하면 액상용기(100)를 가압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펌핑수단(400)을 상하운동하게 할 수 없어 액상이 분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펌핑수단(400)의 상하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으로, 액상용기고정부(300)의 외측면에 'ㄱ'형상의 제1 돌기(301)를 포함하고,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상기 제1 돌기(301)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제2 돌기(205)를 포함하여, 상기 액상용기(100)의 회전을 기반으로 상기 펌핑수단(400)의 상하운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 때, 펌핑수단(400)은 상기 액상용기고정부(300)의 관통구에 관통하여 위치하고, 상기 노즐(201)에 결합되며, 상기 액상용기(100)의 상하운동에 기반하여 상기 액상을 상기 노즐(201)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펌핑수단(400)은, 상기 액상용기(100)에 저장된 액상을 상기 노즐(201)로 전달하는 노즐관(401), 상기 노즐관(401)의 입출동작을 통해 상기 액상을 펌핑하는 펌프본체(403), 상기 펌프본체(403)의 하측 외부연에 위치하고, 상기 액상용기고정부(300)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405) 및 상기 노즐관(401)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펌프본체(403)의 하부에서 상기 펌프본체(403)를 지지하는 스프링(407)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펌프본체(403)는 액상용기(100)가 상하운동을 함에 따라 액상용기고정부(300)와 함께 상하운동을 하게 되며, 노즐(201)과 결합된 노즐관(401)이 펌프본체(403)로 삽입되면서 발생한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액상을 노즐(201)로 분사할 수 있다. 이 때, 플랜지(405)는 펌프본체(403)가 액상용기고정부(300)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관통구에서 펌프본체(403)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스프링(407)은 펌프본체(403)의 하부에서 상기 펌프본체(403)를 지지할 수 있다. 액상용기(100)의 가압으로 하방으로 내려온 경우 펌프본체(403)도 함께 하방으로 향하는데, 스프링(407)의 탄성을 통하여 펌프본체(403)와 액상용기(100)를 기준위치로 다시 올릴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을 살펴보면,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를 가압하기 전의 모습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액상용기(100)를 가압한 액상 분사 장치(10)를 나타낸 모습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액상용기(100)의 상부에 외력을 가하면, 액상용기(100)와 액상용기고정부(300) 및 펌프본체(403)(플랜지(405) 포함)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노즐관(401)이 펌프본체(403)로 삽입된다.
이 때, 펌프본체(403)는 노즐관(401)의 삽입에 의하여 발생된 압력을 이용하여 액상용기(100)에 저장된 액상을 하우징(200)의 노즐(201)을 통하여 하방으로 분사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한손으로 쥐고, 엄지를 이용하여 액상용기(100)의 상부를 가압할 수 있어, 적은 힘으로 액상을 분사할 수 있고, 가압방향과 분사 방향이 일치 즉, 노즐(201)이 하방을 향하고 있어 분사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액상을 분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노즐(201)의 높이, 하우징(200) 하부면(203)의 곡률반지름 및 노즐(201)의 분사각(A_1, A_2)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하우징(200)은, 하부면(203)이 기설정된 곡률반지름(R_1, R_2)을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200) 내부로 함몰되고, 상기 하부면(203) 중심에 상기 노즐(201)이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캡 없이, 노즐(201)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하부면(203)의 곡률반지름(R_1, R_2)을 임의로 설정하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이 하우징(200)의 하부면(203)에 닿아, 액상의 낭비 및 노즐(201) 주변의 오염으로 인한 노즐(201) 오염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면(203)이 상기 노즐(201)에서 분사되는 액상의 분사각(A_1, A_2)과 이격되도록 하부면(203)의 곡률반지름(R_1, R_2)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액상의 낭비 및 노즐(201) 주변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노즐(201)의 분사각(A_1, A_2)뿐만 아니라 노즐(201)의 높이(H_1, H_2)도 하나의 요소로 하여 곡률반지름(R_1, R_2)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액상을 분사하는 사용자들은 분사하고자 하는 위치 상부 10cm 이내에서 분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손바닥정도의 범위를 목표로 하여 분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노즐(201)의 높이(H_1, H_2)와 노즐(201)의 분사각(A_1, A_2)은 높이 10cm 이내에서 10cm^2의 넓이에 액상을 분사할 수 있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하우징(200) 하부면(203)의 곡률반지름(R_1, R_2)도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펌핑수단(400)의 상하운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200)의 일측면을 절단하여 내부에 포함된 액상고정용기와 펌핑수단(4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액상용기고정부(300)의 외측면에 'ㄱ'형상의 제1 돌기(301)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상기 제1 돌기(301)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제2 돌기(205)를 포함하여, 상기 액상용기(100)의 회전을 기반으로 상기 펌핑수단(400)의 상하운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사용예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사용전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301)와 제2 돌기(205)가 맞닿아 있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2 돌기(205)가 제1 돌기(301)의 수평방향 돌기에 막혀 액상용기고정부(300)의 상하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301)의 수직방향 돌기를 통해, 액상용기고정부(300)의 상하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 돌기(205)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액상 분사 장치(10)를 사용하기 위하여 액상용기(100)를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방향을 제1 돌기(301)의 수직방향 돌기와 제2 돌기(205)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돌기(205)가 제1 돌기(301)의 수평방향 돌기와 마주보지 않는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액상용기(100)를 가압한 경우, 액상용기(100)와 액상용기고정부(300)가 상하운동을 할 수 있어, 펌핑수단(400)을 동작시킬 수 있고, 액상을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경우, 액상용기(100)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이 발생하여 제1 돌기(301)와 제2 돌기(205)의 위치를 변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의도하지 액상용기(100)의 가압에 의한 액상의 누수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액상용기고정부(300)의 외측면에 제1 돌기(301)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보조돌기(30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돌기(301)와는 다르게, 임계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제2 돌기(205)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완만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임계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기 전에는 제2 돌기(205)가 제1 돌기(301)와 보조돌기(303) 사이에 위치할 수 있어, 의도치 않은 액상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액상용기(100)와 액상용기고정부(300)가 나사결합에 의할 경우, 액상용기(100)의 회전에 기반하여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하는 경우, 의도치 않게 액상용기(100)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결합에 의한 용기를 분리하기 위한 힘을 F1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2 돌기(205)가 보조돌기(303)를 넘어갈 때 필요한 힘을 F2라고 정의할 때, F1 > F2 의 관계가 만족하도록 보조돌기(303)의 곡률 및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와 사용자 단말기(20)의 움직임 측정값을 통해 락킹잠금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사용자 단말기(2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상기 펌핑수단(400)의 상하운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락킹제어모듈,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모듈은, 상기 락킹제어모듈의 상태를 추출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락킹제어모듈의 상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락킹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락킹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수동으로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동으로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움직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감지센서의 제1 움직임 측정값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측정되는 제2 움직임 측정값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가 사용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사용여부판단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 움직임 측정값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보행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움직임 측정값을 통하여 사용자가 보행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1 움직임 측정값이 상기 제2 움직임 측정값과 상이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보행중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펌핑수단(400)의 상하운동이 잠금해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측정값이 상기 제2 움직임 측정값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를 사용하지 않고 보행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펌핑수단(400)의 상하운동이 잠금 상태가 되도록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 움직임 측정값을 통하여 사용자가 정지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1 움직임 측정값이 발생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정지중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펌핑수단(400)의 상하운동이 잠금해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측정값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펌핑수단(400)의 상하운동이 잠금상태가 되도록 상기 락킹제어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의 표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먼저 제2 움직임 측정값이 일정 임계치 이상 발생한 경우에만 사용자가 보행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의 표에서는 약 10 을 보행 임계치로 설정하여, CASE 1 및 2는 사용자가 보행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CASE 3 및 4는 사용자가 정지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보행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움직임 측정값과 제2 움직임 측정값의 동일여부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가 사용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완벽히 동일한 경우만으로 설정하는 경우, 오판단이 발생할 수 잇어, 약 10% 내외의 오차범위를 설정하여 비교할 수 있다.
도 11의 표를 살펴보면, CASE 1에서는 제1 움직임 측정값이 38.46, 제2 움직임 측정값이 40.31로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어, 액상 분사 장치(10)를 미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CASE 2에서는 제1 움직임 측정값이 84.72, 제2 움직임 측정값이 41.25로 오차범위를 벗어나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어, 액상 분사 장치(10)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정지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CASE 3에서는 제1 움직임 측정값이 36.19, 제2 움직임 측정값이 5.33으로 오차범위를 벗어나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어, 액상 분사 장치(10)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CASE 4에서는 제1 움직임 측정값이 6.08, 제2 움직임 측정값이 4.92로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어, 액상 분사 장치(10)를 미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의 표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시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오차 및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락킹제어모듈의 상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움직임감지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GPS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의 경우 3축 이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측정되는 제1 움직임 측정값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GPS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측정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액상 분사 장치(10)를 잠그지 않고, 주머니에 넣은 경우에도 자동으로 잠금설정을 할 수 있어 주머니에서의 누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석(101)과 자석감지센서(305)를 통해 액상용기(100)를 구분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100)는 분리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다수의 액상용기(100)에 저장된 액상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액상용기(100)의 색상을 상이하게 구성하고, 상기 액상용기(100)의 색상을 인식하여 액상을 구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상기 액상용기(100)의 색상을 감지하는 색상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색상감지센서를 통해 인식된 상기 액상용기(100)의 색상에 기반하는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액상용기(100)의 색상마다 고유의 액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색상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액상용기(100)에 담긴 액상의 종류를 사용자 단말기(20)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상기 액상용기(100)의 구분을 위하여 상기 액상용기(100)의 개방된 하부측 외주면에 특정 패턴의 자석(101)을 매립하고, 상기 액상용기고정부(300)의 내주면에 상기 자석(101)을 인식할 수 있는 자석감지센서(305)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액상용기(100)에 담긴 액상을 구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상용기(100)의 개방된 하부측 외주면에 3개의 자석수용구를 포함하고, 자석(101)이 있는 곳은 1로 자석(101)이 없는 곳은 0으로 설정하여, 상기 자석감지센서(305)에서 000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제1 액상으로, 001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제2 액상으로, 010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제3 액상으로, 011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제4 액상으로, 100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제5 액상으로, 101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제6 액상으로, 110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제7 액상으로, 2020010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제8 액상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로써, 상기 자석(101)은 일렬 또는 3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액상용기(100)와 상기 액상용기고정부(300)는 상호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자석(101)이 상기 자석감지센서(305)의 위치에 오도록 상기 액상용기(100)와 상기 액상용기고정부(300)의 나사산을 설계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게측정센서(103) 및 거리측정센서(307)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상기 액상용기(100)에 저장된 액상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10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무게측정센서(103)를 통해 상기 액상의 무게측정값을 추출하고, 상기 액상 분사 장치(10)가 1회 사용되었을 때의 1회사용량을 추출하고, 상기 무게측정값과 상기 1회사용량에 기반하여 남은 사용횟수를 산출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상기 무게측정값, 상기 1회사용량 및 상기 남은 사용횟수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가 1일에 사용하는 1일사용횟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1일사용횟수정보, 상기 무게측정값 및 상기 1회사용량을 기반으로 액상용기(100)의 예상교체일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상기 예상교체일을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액상용기(100)에 남아있는 액상의 양을 부피 또는 무게와 같은 단순 수치가 아닌 남은 사용횟수, 예상교체일 등 체감할 수 있는 수치로 제공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분사 장치(10)는 상기 액상용기(100)와 상기 액상용기고정부(3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30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무게측정센서(103)에 의한 상기 무게측정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거리측정값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액상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액상용기(100)가 분리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은 상기 액상용기(100)에 액상이 남아 있음에도 사용자가 상기 액상용기(100)를 상기 액상용기고정부(300)와 분리하는 경우 액상의 누수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이를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함이다.
다만, 액상이 전혀 없는 상황은 고려하기 힘드므로, 상기 액상용기(100)를 교체할 수 있는 최소 무게를 제1 임계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액상용기(100)가 상기 액상용기고정부(300)와 분리될 때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최소 임계거리를 제2 임계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모듈는 상기 무게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거리측정센서(307)를 동작시키지 않고, 상기 무게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만 상기 거리측정센서(307)를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무게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거리측정센서(307)를 동작시켜 상기 거리측정값을 추출하고, 상기 거리측정값이 기설정된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누수의 위험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 등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IoT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액상을 분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IoT 센서를 통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와,
    펌핑 수단의 상하 운동을 잠금(lock) 또는 잠금해제(unlock)하는 잠금부와,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액상 분사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잠금부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command)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 분사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잠금부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command)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 분사 장치는,
    상부는 밀폐되고, 하부는 개방된 액상용기와,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상기 액상용기를 수용하고, 하부면에 액상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액상용기의 하부와 결합되고, 하부면에 관통구를 포함하는 액상용기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핑 수단은 상기 액상용기고정부의 관통구에 관통하여 위치하고, 상기 노즐에 결합되며, 상기 액상용기의 상하운동에 기반하여 상기 액상을 상기 노즐로 전달하고,
    상기 액상용기고정부의 외측면에는 제1 돌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돌기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제2 돌기가 더 포함되며, 상기 액상용기의 회전을 기반으로 상기 펌핑 수단의 상하운동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부면이 기설정된 곡률반지름을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로 함몰되고, 상기 하부면의 중심에 상기 노즐이 위치하되,
    상기 곡률반지름은,
    상기 하부면이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액상의 분사각과 이격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삭제
KR1020200136407A 2020-10-21 2020-10-21 IoT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액상을 분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56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407A KR102356663B1 (ko) 2020-10-21 2020-10-21 IoT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액상을 분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407A KR102356663B1 (ko) 2020-10-21 2020-10-21 IoT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액상을 분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663B1 true KR102356663B1 (ko) 2022-02-07

Family

ID=80253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407A KR102356663B1 (ko) 2020-10-21 2020-10-21 IoT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액상을 분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6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3136A (ja) * 2015-04-01 2016-11-17 Uro電子工業株式会社 ポンプ付容器の駆動装置
KR20170059292A (ko) * 2015-11-20 2017-05-30 울산과학기술원 스마트 방향장치
KR20190134151A (ko)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넥스엠 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한 공기 제균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3136A (ja) * 2015-04-01 2016-11-17 Uro電子工業株式会社 ポンプ付容器の駆動装置
KR20170059292A (ko) * 2015-11-20 2017-05-30 울산과학기술원 스마트 방향장치
KR20190134151A (ko)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넥스엠 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한 공기 제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4355B2 (en) Sensor configuration
EP2690576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529167B2 (en) Dispense event verification for dispensers
JP6367908B2 (ja) 個人的物品の近接性を監視して自動的に安全および非安全領域を割り当て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Ranganathan et al. Middlewhere: a middleware for location awareness in ubiquitous computing applications
Fishkin et al. I sense a disturbance in the force: Unobtrusive detection of interactions with RFID-tagged objects
US11779517B2 (en) Medication bottle with anti-tampering features
US20120235812A1 (en) Device location detection
CN103529762A (zh) 一种基于传感器技术的智能家居控制方法及系统
US9930479B2 (en) Method,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for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US20220063883A1 (en) Smart container cap with digital access authentication
US20240034609A1 (en) Capacitive sensing for beverage dispenser
CA2650967C (en) Action recognition and interpretation using a precision positioning system
KR102356663B1 (ko) IoT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액상을 분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200286312A1 (en) Intelligent storage device
CN115135405B (zh) 用于分配化妆品材料的设备和系统
WO2001065415A3 (en) Managing chemical information and commerce
KR102222745B1 (ko) IoT 기반의 액상 분사 장치
US20210154103A1 (en) Electronic pill bottle tag
WO2023142990A1 (zh) 扫码识别
Alshahrany et al. WSN and RFID integration to support intelligent monitoring in smart buildings using hybrid intelligent decision support systems
CN205698505U (zh) 具有提醒机构的药盒
KR102468074B1 (ko) 문화재 실시간 도난상황 감지 및 위치 추적 시스템
CN105701993A (zh) 一种检测智能手表的方法及装置
KR102149558B1 (ko) 복수의 가이드부를 구비한 터치 도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