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632B1 - 헤어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헤어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632B1
KR102222632B1 KR1020200062890A KR20200062890A KR102222632B1 KR 102222632 B1 KR102222632 B1 KR 102222632B1 KR 1020200062890 A KR1020200062890 A KR 1020200062890A KR 20200062890 A KR20200062890 A KR 20200062890A KR 102222632 B1 KR102222632 B1 KR 102222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nozzle
outlet
main body
hair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현
문홍근
이정규
Original Assignee
(주)넥스트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스트업 filed Critical (주)넥스트업
Priority to KR1020200062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서 유입된 바람이 유동하면서 히터유닛에 의해 데워진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구로부터 유동된 바람이 일 영역으로 집중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 측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사노즐; 및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분사노즐로 유동되는 바람 중 상기 분사노즐 내부의 중앙 영역으로 유동하는 바람이 접촉하면 접촉 저항에 의해 바람의 세기가 약해지도록 상기 분사노즐 내부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는 공기저항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헤어 드라이어{HAIR DRYER}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어 드라이어에서 외부로 배출되기 전 바람이 부드럽게 변화하여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바람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드라이어는 젖은 모발을 말려주거나 손질하기 위해 사용되는 생활 가전도구로서 발열부에서 나오는 열을 모발을 향하여 송풍 팬으로 송출해 줌으로써 젖은 모발을 뜨거운 바람을 통하여 말려주거나 자신이 원하는 헤어스타일로 셋팅할 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헤어 드라이어는 일반적으로 그 내부에 송풍 유로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외부 공기를 인입시켜 바람을 형성하고 상기 바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 유닛과, 열풍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송풍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바람에 열을 전달하여 상기 바람이 따뜻해지도록 가열하는 발열수단인 히터로 구성된다.
헤어 드라이어에서 배출되는 바람은 자연적으로 유동되는 바람이 아니고 상기 모터 유닛에 의해 의도적으로 유동되는 바람이다. 특히, 이렇게 바람을 유동시키는 모터 유닛은 회전속도(RPM)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모터 유닛에 의해 배출되는 바람의 강도가 세다.
이렇게 센 강도로 배출되는 바람은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모발을 지나치게 건조하게 만드는 등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헤어 드라이어에서 배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조절해 줄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38979호(2019.12.17)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어에서 외부로 배출되기 전 바람이 부드럽게 변화하여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바람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입된 바람이 유동하면서 히터유닛에 의해 데워진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구로부터 유동된 바람이 일 영역으로 집중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 측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사노즐; 및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분사노즐로 유동되는 바람 중 상기 분사노즐 내부의 중앙 영역으로 유동하는 바람이 접촉하면 접촉 저항에 의해 바람의 세기가 약해지도록 상기 분사노즐 내부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는 공기저항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배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출 단면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제1 노즐 영역; 및 상기 제1 노즐 영역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출 단면의 크기가 균일하게 형성되는 제2 노즐 영역을 포함된다.
또한, 상기 공기저항부재는 일 부분은 상기 제2 노즐 영역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 노즐 영역에 위치하도록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공기저항부재는, 상기 분사노즐의 폭 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에어 포일; 및 상기 에어 포일을 연결하며, 상기 에어 포일이 상기 분사노즐 내부에 구비되도록 양 단부가 상기 분사 노즐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데워진 바람이 유동하는 방향과 나란한 단면 형상이 상기 배출구를 기준으로 상기 배출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제1 노즐 영역의 내측면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유동된 상기 데워진 바람이 마찰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제1 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한 면 이상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유동된 상기 데워진 바람이 마찰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제2 돌기들이 형성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기저항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분사노즐의 중앙 영역을 통과하는 바람이 공기저항부재와 접촉하면서 접촉 저항을 받아 바람의 세기가 약해지면서 부드럽게 변하여 배출될 수 있다.
둘째, 부드럽게 변하여 배출되는 바람이 사용자에게 전달됨으로써 바람을 사용하여 건조되는 사용자의 머리카락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히터유닛에 의해 데워진 바람이 공기저항부재에 의한 접촉 저항으로 인해 세기가 약해지고 부드러운 바람으로 변하면서 바람의 온도도 미약하게 낮아질 수 있어 지나치게 뜨거운 바람이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한 저온 화상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부분 단면이 도시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공기저항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부분 단면도의 일부를 확대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일부를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00)는 본체(110), 모터(10), 송풍팬(30), 송풍그릴(50), 히터유닛(70), 분사노즐(130) 및 공기저항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일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유입구(111) 및 배출구(113)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11)와 상기 배출구(113)를 연결하는 유로(115)가 형성된다.
도 1에는 도시가 생략되었으나,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유로(115)와 연통되며 상기 유로(115)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상기 헤어 드라이어(100)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미도시)도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는 상기 유입구(111)를 통해 외부에서 바람이 유입되며, 유입된 바람은 상기 유로(115)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10), 상기 송풍팬(30), 상기 송풍그릴(50) 및 상기 히터유닛(70)이 구비된다.
상기 송풍팬(30)은 상기 유입구(111) 측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1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모터(10)에 의해 상기 송풍팬(30)이 회전을 하여 상기 유입구(111)를 통해 외부의 바람이 상기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바람은 상기 배출구(113)를 향하여 상기 본체(110) 내부의 상기 유로(115)를 따라 유동한다. 한편, 본체(110)의 내부의 상기 유로(115) 상에는 상기 히터유닛(70)이 구비된다.
상기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바람이 상기 유로(115)를 따라 유동되어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기 전 상기 히터유닛(70)에 의해 데워진 후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헤어 드라이어(100)에 구비되는 상기 히터유닛(70)은 공지된 히터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미도시)에는 상기 모터(10) 및 상기 히터유닛(7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미도시)가 상기 모터(10) 및 상기 히터유닛(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상기 모터(10) 및 상기 히터유닛(70)을 구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배출구(113) 측에 송풍그릴(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그릴(50)은 상기 히터유닛(70)을 통해 데워진 바람이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데 장애물이 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송풍그릴(5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수로 상기 히터유닛(70)에 손을 대어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130)은 상기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노즐(130)은 상기 배출구(113) 측의 상기 본체(110)에 결합되는데 상기 배출구(113)와 연통된다.
상기 본체(110)에 상기 분사노즐(130)이 구비되지 않으면,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바람은 사방으로 퍼져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는 바람의 양이 많아져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본체(110)에 상기 분사노즐(130)를 구비하면,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바람이 배출될 때 일 영역으로 집중되어 배출되므로 불필요하게 손실되는 바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분사노즐(130)은 제1 노즐 영역(131)과 제2 노즐 영역(133)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노즐 영역(131)은 상기 배출구(113)를 기준으로 상기 배출구(11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출 단면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2 노즐 영역(133)은 상기 제1 노즐 영역(131)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노즐 영역(131)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출 단면의 크기가 균일하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에 상기 분사노즐(130)이 결합되어 구비되면, 상기 배출구(113)로부터 유동된 바람은 상기 제2 노즐 영역(133)에 해당하는 상기 분사노즐(130)의 중앙 영역으로 집중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10)에서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130)로 유동되는 바람 중 일부는 상기 제1 노즐 영역(131)의 내측면에 부딪히게 되고, 상기 제1 노즐 영역(131)의 내측면에 저항을 받으며 유동되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바람은 상기 모터(10)의 힘에 의해 상기 본체(110)의 유로(115)를 유동할 때의 바람보다 바람의 세기가 약해져 부드럽게 변하면서 배출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상기 본체(110)에서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130)로 유동되는 바람 중 상기 제2 노즐 영역(133)을 향해 유동, 즉 상기 분사노즐(130)의 중앙 영역으로 유동하는 바람은, 바람의 유동을 방해하는 요소가 없기 때문에 상기 모터(10)의 힘에 의해 유입되어 유동되는 바람의 세기 그대로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바람은 세기가 강하고 상기 헤어 드라이어(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강한 바람에 머리카락을 말리면서 불편을 겪게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히터유닛(70)을 통과하며 데워진 바람이 강하게 사용자에게 오랜 시간 전달된다면 사용자의 머리카락을 손상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저온 화상의 위험에 노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공기저항부재(150)를 구비한다.
상기 공기저항부재(150)는 상기 분사노즐(130)의 내부에 구비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분사노즐(130) 내부의 중앙 영역에 고정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저항부재(150)의 일 부분은 상기 제2 노즐 영역(133)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 노즐 영역(131)에 위치한다.
이렇게 구비된 상기 공기저항부재(150)에 의해 상기 본체(110)에서 상기 분사노즐(130)의 중앙 영역으로 유동되는 바람은 상기 공기저항부재(150)와 부딪히게 되고, 상기 공기저항부재(150)로부터 저항을 받아 세기가 약해져 부드러운 바람으로 변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저항부재(15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공기저항부재(150)는 하나 이상의 에어 포일(151) 및 고정 플레이트(153)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 포일(151)은 상기 분사노즐(130)의 폭 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 이격되어 하나 이상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상기 에어 포일(151)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53)는 상기 에어 포일(151)을 연결하여 상기 에어 포일(151)이 상기 분사노즐(130)의 내부에 구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53)는 두 개의 상기 에어 포일(151) 사이에 구비되어 두 개의 상기 에어 포일(151)을 연결하는 제1 고정부(153-1), 각각의 상기 에어 포일(151) 외측으로 구비되어 단부가 상기 분사노즐(130)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153-3)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에서 상기 분사노즐(130)로 유동되는 바람 중 상기 분사노즐(130)의 중앙 영역으로 유동되는 바람은 상기 에어 포일(151)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에어 포일(151)에 접촉하면서 저항이 발생하여 바람의 세기가 약해지고 부드럽게 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 포일(151)은 바람이 유동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의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에어 포일(151)의 단면 형상은 상기 에어 포일(151)에 접촉하는 바람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도록 바람에 저항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53)는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바람이 유동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의 단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되는데, 특히 상기 배출구(11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면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130)의 중앙 영역으로 유동되는 바람은 상기 에어 포일(151) 뿐 아니라 상기 고정 플레이트(153)에 의해서도 저항을 받아 바람의 세기가 약해지고 부드럽게 변화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분사노즐(130`) 및 상기 공기저항부재(1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로 적용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분사노즐(130`)과 상기 공기저항부재(150`)에는 상기 본체(110)에서 유동되는 바람과 마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고정돌기(135) 및 제2 고정돌기(15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고정돌기(135)는 상기 제1 노즐영역(131)의 내측면에 설정 거리만큼 상호 이격되면서 돌출되어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제2 고정돌기(155)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53)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어느 한면에만 형성되거나 상기 고정 플레이트(153)의 일면 및 타면 모두에 형성된다.
상기 제1 고정돌기(135)와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110)에서 유동된 바람은 상기 제1 노즐영역(131)의 내측면에 부딪힐 때 저항을 받을 뿐 아니라, 상기 제1 고정돌기(135)에 의해 마찰이 발생되어 바람의 흐름을 방해하고 바람의 세기를 약해지게 하여 부드러운 바람으로 변하게 한다.
또한, 상기 공기저항부재(150`)와 부딪히는 바람은 상기 공기저항부재(150`)로부터 저항을 받을 뿐 아니라 상기 제2 고정돌기(155)와 마찰이 발생되면서 바람의 흐름을 방해받고 바람의 세기를 약해지게 하여 부드러운 바람으로 변하게 된다.
이렇듯 바람이 부드럽게 변하여 배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헤어 드라이어(100)를 이용하여 머리카락을 말리고자 할 때 덜 자극적인 바람으로 머리카락을 말릴 수 있어 머리카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저항부재로부터 저항을 받아 바람의 세기가 약해지는 동안 상기 히터유닛에 의해 데워졌던 공기의 온도가 미세하게 낮아져 너무 뜨거운 바람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의 설명에서는 배출되는 바람은 전부 '바람'이라는 단어를 통일하여 사용하였으나, 배출되는 바람은 상기 히터유닛에 의해 데워져 배출되는 바람일 수도 있고 상기 히터유닛에 데워지지 않고 배출되는 바람일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헤어 드라이어 10: 모터
30: 송풍팬 50: 송풍 그릴
110: 본체 111: 유입구
113: 배출구 115: 유로
130, 130`: 분사노즐 131: 제1 노즐영역
133: 제2 노즐영역 135: 제1 고정돌기
150, 150`: 공기저항부재 151: 에어포일
153: 고정 플레이트

Claims (7)

  1. 외부에서 유입된 바람이 유동하면서 히터유닛에 의해 데워진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구로부터 유동된 바람이 일 영역으로 집중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 측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사노즐; 및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분사노즐로 유동되는 바람 중 상기 분사노즐 내부의 중앙 영역으로 유동하는 바람이 접촉하면 접촉 저항에 의해 바람의 세기가 약해지도록 상기 분사노즐 내부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는 공기저항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저항부재는,
    상기 분사노즐의 폭 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에어 포일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배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출 단면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제1 노즐 영역; 및
    상기 제1 노즐 영역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출 단면의 크기가 균일하게 형성되는 제2 노즐 영역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저항부재는 일 부분은 상기 제2 노즐 영역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 노즐 영역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헤어 드라이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포일을 연결하며, 상기 에어 포일이 상기 분사노즐 내부에 구비되도록 양 단부가 상기 분사 노즐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데워진 바람이 유동하는 방향과 나란한 단면 형상이 상기 배출구를 기준으로 상기 배출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헤어 드라이어.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제1 노즐 영역의 내측면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유동된 상기 데워진 바람이 마찰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제1 돌기가 형성되는 헤어 드라이어.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한 면 이상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유동된 상기 데워진 바람이 마찰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제2 돌기들이 형성되는 헤어 드라이어.
KR1020200062890A 2020-05-26 2020-05-26 헤어 드라이어 KR102222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890A KR102222632B1 (ko) 2020-05-26 2020-05-26 헤어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890A KR102222632B1 (ko) 2020-05-26 2020-05-26 헤어 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632B1 true KR102222632B1 (ko) 2021-03-04

Family

ID=75174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890A KR102222632B1 (ko) 2020-05-26 2020-05-26 헤어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6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858A1 (ko) * 2022-09-07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헤어 드라이어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507A (ja) * 1991-12-13 1993-06-29 Sharp Corp ヘアドライヤ
CN1121788A (zh) * 1993-08-18 1996-05-08 韦克远东有限公司 涉及毛发干燥设备的改进
KR19980032309U (ko) * 1996-12-02 1998-09-05 양범렬 혼풍용 헤어드라이어기
KR20030076813A (ko) * 2002-03-21 2003-09-29 권영호 헤어드라이어
JP3598928B2 (ja) * 2000-01-27 2004-12-08 松下電工株式会社 ヘアードライヤー
JP2008104499A (ja) * 2006-10-23 2008-05-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ヘアードライヤー
KR20180030620A (ko) * 2015-07-10 2018-03-23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노즐
KR20190138979A (ko) 2018-06-07 2019-12-17 이준형 온도 제어 가능 헤어 드라이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507A (ja) * 1991-12-13 1993-06-29 Sharp Corp ヘアドライヤ
CN1121788A (zh) * 1993-08-18 1996-05-08 韦克远东有限公司 涉及毛发干燥设备的改进
KR19980032309U (ko) * 1996-12-02 1998-09-05 양범렬 혼풍용 헤어드라이어기
JP3598928B2 (ja) * 2000-01-27 2004-12-08 松下電工株式会社 ヘアードライヤー
KR20030076813A (ko) * 2002-03-21 2003-09-29 권영호 헤어드라이어
JP2008104499A (ja) * 2006-10-23 2008-05-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ヘアードライヤー
KR20180030620A (ko) * 2015-07-10 2018-03-23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노즐
KR20190138979A (ko) 2018-06-07 2019-12-17 이준형 온도 제어 가능 헤어 드라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858A1 (ko) * 2022-09-07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헤어 드라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3100103A4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and styling hair
EP2613663B1 (en) A combined device for treating the hair
RU2670533C2 (ru) Насадка для фена для сушки волос
EP3649885B1 (en) Wind velocity changing device and hair dryer
JP4420059B2 (ja) ヘアードライヤ
EP3172985B1 (en) Hand held appliance
US20040047620A1 (en) Hair dryer assembly
JP2012501714A (ja) ヘアドライヤ、ヘアドライヤ用の付属品、及び斯様な付属品を備えたヘアドライヤ
KR102222632B1 (ko) 헤어 드라이어
JP4797928B2 (ja) ヘアードライヤー
KR101477739B1 (ko) 헤어드라이어
KR102287378B1 (ko) 헤어 드라이어
CN210314964U (zh) 衣物处理装置
KR101774033B1 (ko) 참빗 헤어드라이기
JP2012019866A (ja) ヘアードライヤー
KR101721592B1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KR19980026628U (ko) 헤어드라이어의 전열장치
CN206150739U (zh) 一种电吹风机
KR20210066347A (ko) 빗이 결합된 헤어 드라이기
KR102581690B1 (ko) 모발 건조기용 노즐
CN217851731U (zh) 卷发器
KR20030076813A (ko) 헤어드라이어
CN215382028U (zh) 一种均匀出风的导风装置、吹风设备及吹风梳子
KR200187504Y1 (ko) 헤어드라기 포밍기
KR0133628Y1 (ko) 자동 온도조절 헤어드라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