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991B1 - 패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의 초점 조절기능 제공 유무를 판별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패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의 초점 조절기능 제공 유무를 판별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991B1
KR102221991B1 KR1020180156076A KR20180156076A KR102221991B1 KR 102221991 B1 KR102221991 B1 KR 102221991B1 KR 1020180156076 A KR1020180156076 A KR 1020180156076A KR 20180156076 A KR20180156076 A KR 20180156076A KR 102221991 B1 KR102221991 B1 KR 102221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display device
view display
photo detecto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9012A (ko
Inventor
이광훈
한부전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156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991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0Optical focusing a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패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초점 조절기능 제공유무를 판별하는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의 초점 조절 가능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광 검출기로 출력할 패턴을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에 생성되는 제1 초점, 상기 제1 초점으로부터 상기 광 검출기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생성되는 제2 초점 및 상기 제1 초점으로부터 상기 광 검출기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생성되는 제3 초점의 위치를 파악하고, 시청거리(Viewing Distance) 및 광을 수신할 수 있는 광 검출기의 사이즈를 파악하며, 상기 시청거리와 상기 광 검출기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각 초점에서 상기 광 검출기에 상이 맺히도록 하기 위해 발광해야 할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위치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패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의 초점 조절기능 제공 유무를 판별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whether Display Serves Function of Accommodation to the Observer or not by Generating Patterns}
본 발명은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한 패턴을 생성하여,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초점 조절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정량적으로 판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다시점 디스플레이는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면으로부터 앞 또는 뒤 방향의 깊이감을 갖는 대상이 있는 것처럼 입체감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종래의 다시점 디스플레이는 양안시차량을 조절하여 표현 대상 간의 상대적인 깊이감을 조절함으로서, 시청자로 하여금 효과적인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입체 디스플레이는 수렴조절불일치(VAC: Vergence Accommodation Conflict) 문제를 일으킨다. 이는 관찰자가 디스플레이를 시청할 시, 관찰자의 양안은 대상의 깊이감을 인지하기 위해 수렴하고, 해당 대상의 면 상에서 수렴 점을 포함한 수렴 면을 형성한다. 반면 관찰자의 좌-우 안은 각각 해당 디스플레이 면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따라서 각 단안에 의한 초점 면은 해당 디스플레이 면이 되므로, 결국 양안에 의해 형성된 수렴 면과 단안에 의해 형성된 초점 면의 위치는 불일치하게 된다. 이를 수렴조절불일치라 한다. 따라서 관찰자는 입체디스플레이를 시청할 시, 일반 시청 환경 즉, 수렴 면과 초점 면이 일치하는 자연스런 환경과 달리 인위적이고 불편한 시청환경에 놓이게 되므로, 장시간 시청 시 어지러움, 메스꺼움 등의 시청피로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등장한 것이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이다.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는 양안시차로 인한 깊이감 제공 및 단안에 의한 초점조절 기반 깊이감을 동시에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입체 디스플레이이다. 더욱 더 상세한 설명으로, 초다시점 디스플레이는 다시점 디스플레이가 형성할 수 있는 시점 수가 많고, 각 시점영상을 독립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시역간 중심 거리가 매우 짧아 최소 관찰자의 동공 크기 내에 두 개 이상의 시역이 형성될 수 있을 정도의 특성을 가진 다시점 디스플레이를 칭한다. 최근에는 다시점, 초다시점 디스플레이의 개념이 통합된 용어인 LFD(Light Field Display)로 대표된다.
초점조절 기능이란 디스플레이면을 기준으로 전·후의 위치에 다수의 초점면을 생성할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 따라서 초점조절된 면의 정보는 매우 선명히 인지될 것이고, 초점조절되지 않은 나머지 면의 정보들은 상대적으로 흐리게 인지될 것이다.
초 다시점, 다시점을 포함한 시역형성광학계 기반의 입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면을 제외한 물리적인 초점면이 없다. 따라서 관찰자가 단안에 의한 복수의 초점조절을 수행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가상의 초점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장치는 시청자가 디스플레이를 시청할 시 단안에 의해 초점 조절이 가능한 비 물리적인 복수의 초점면 위치를 설계하고, 설계된 각 초점면 깊이에 해당하는 출력 대상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픽셀 영상들의 광선경로를 조절해야 한다. 조절된 광선들은 해당 초점면에서 교차하고 가상의 깊이감을 갖는 물체면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복수로 수행된다면, 공간상에 비 물리적으로 형성된 초점면들은 실제 물리적인 초점면을 대신하고, 이를 통해 관찰자는 실제 물리적 환경과 유사한 상대 깊이감을 인지하게 된다.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의 입체시 구현방식은 근본적으로 관찰자가 위치한 관찰면에서 독립적인 시역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다시점 디스플레이와 유사하다. 그러나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가 다시점 디스플레이와 대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시역 중심간 거리이다.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는 시역 중심간 거리가 다시점 디스플레이의 경우보다 매우 짧다. 따라서 초점조절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관찰자의 동공면에 형성된 시역 중심간 최대 거리는 동공의 지름 이내이며, 최소 시역 수는 두 개 이상이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만약 동공 지름 내로 입사하는 시역의 수가 무수히 많다면, 시청자는 물리적인 실제 환경에서의 초점조절 현상과 비 물리적인 초점조절 현상과의 차이를 구분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시역형성광학계와 고정세 화소를 갖는 2D 디스플레이 제조 기술의 한계로 물리적 초점조절 환경을 완벽히 모사하기는 어렵다.
최근 초점조절 기능을 갖춘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시청자의 나안으로는 이러한 효과를 충분히 인지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시청자가 직접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의 초점조절 기능 구비여부를 판별하는 것은 상당히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의 초점조절 기능 구비여부를 판별에 대한 필요가 존재하나,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초점조절 기능을 정량화하여 판별하는 방법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초점조절 기능을 구비하였는지, 구비한 경우 어느 정도 성능의 초점조절 기능을 구비하였는지를 판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초점 조절기능을 판별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초점조절 기능을 구비하였는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해야 할 패턴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초점 조절기능을 판별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의 초점 조절 가능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광 검출기로 출력할 패턴을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에 생성되는 제1 초점, 상기 제1 초점으로부터 상기 광 검출기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생성되는 제2 초점 및 상기 제1 초점으로부터 상기 광 검출기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생성되는 제3 초점의 위치를 파악하고, 시청 거리(Viewing Distance) 및 광을 수신할 수 있는 광 검출기의 사이즈를 파악하며, 상기 시청 거리와 상기 광 검출기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각 초점에서 상기 광 검출기에 상이 맺히도록 하기 위해 발광해야 할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위치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1 초점, 제2 초점 및 제3 초점은 동일한 광축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2 초점은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을 맺을 수 있는 초점 중 상기 광 검출기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생성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3 초점은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을 맺을 수 있는 초점 중 상기 광 검출기와 가장 먼 위치에 생성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의 초점 조절 가능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광 검출기로 출력할 패턴을 패턴 생성장치가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에 생성되는 제1 초점, 상기 제1 초점으로부터 상기 광 검출기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생성되는 제2 초점 및 상기 제1 초점으로부터 상기 광 검출기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생성되는 제3 초점의 위치를 파악하는 제1 파악과정과 시청 거리(Viewing Distance) 및 광을 수신할 수 있는 광 검출기의 사이즈를 파악하는 제2 파악과정 및 상기 시청 거리와 상기 광 검출기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각 초점에서 상기 광 검출기에 상이 맺히도록 하기 위해 발광해야 할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위치를 연산하는 연산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2 초점은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을 맺을 수 있는 초점 중 상기 광 검출기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생성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3 초점은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을 맺을 수 있는 초점 중 상기 광 검출기와 가장 먼 위치에 생성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패턴에 따라 광을 조사하는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지 판별하는 디스플레이 초점조절 기능 판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광 파워(Optical Power)를 조절하는 제1 광학계와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을 검출하는 광 검출기 및 상기 제1 광학계가 광 파워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광 검출기에 형성되는 상의 선명도 및 개수를 파악하여,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초점조절 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초점조절 기능 판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패턴에 따라,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에 생성되는 제1 초점, 상기 제1 초점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초점조절 기능 판별장치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생성되는 제2 초점 및 상기 제1 초점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초점조절 기능 판별장치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생성되는 제3 초점에 각각 상이 생기도록 하는 픽셀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1 광학계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광 검출기에 상기 제1 초점, 제2 초점 및 제3 초점 중 어느 하나의 초점에 의한 상이 선명히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검출기에 어느 하나의 초점에 의한 상이 선명히 형성된 경우, 상기 광 검출기에 나머지 초점에 의한 상이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초점조절 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검출기에 어느 하나의 초점에 의한 상이 선명히 형성된 경우, 상기 광 검출기에 나머지 초점에 의한 상이 선명히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초점조절 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초점조절 기능 판별장치를 이용하여 패턴에 따라 광을 조사하는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지 판별하는 디스플레이 초점조절 기능 판별방법에 있어서,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을 검출하는 검출과정 및 상기 검출과정에서 형성되는 상의 선명도 및 개수를 파악하여,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초점조절 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초점조절 기능 판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패턴에 따라,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에 생성되는 제1 초점, 상기 제1 초점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초점조절 기능 판별장치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생성되는 제2 초점 및 상기 제1 초점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초점조절 기능 판별장치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생성되는 제3 초점에 각각 상이 생기도록 하는 픽셀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초점조절 기능을 구비하였는지, 구비한 경우 어느 정도 성능의 초점조절 기능을 구비하였는지를 판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해야 할 패턴을 생성함으로서, 어떠한 종류의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라도 초점조절 기능 구비 여부 등을 판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시스템의 구성을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근거리 초점에서의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에 대한 패턴을 연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원거리 초점에서의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에 대한 패턴을 연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의 판별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의 판별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가 패턴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초점조절 기능을 판별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시스템의 구성을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시스템(100)은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를 포함한다.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양안 시차에 의한 입체감뿐만 아니라, 단안에 의해 초점 조절이 가능한 비 물리적인 복수의 초점면 위치를 설계하여 단안으로도 초점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 내 포함된 (서브) 픽셀들을 N 개의 단위 픽셀로 다시 구분하여 각각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서, 디스플레이 면의 전·후로 복수의 초점면이 형성될 수 있다.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장치 내 포함된 각 픽셀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의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각 초점면의 위치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대상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각 초점면의 위치는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픽셀 수 또는 위치, 즉, 영상좌표에 따라 상이해진다.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의 숫자가 달라지는 경우, 각각의 픽셀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은 인접한 시점영상의 정보가 함께 포함된 것과 다르지 아니하므로, 해당 시점에 대응하는 픽셀 영상의 광선 경로는 설계된 경로와 상이해지며 이에 따라 형성되는 초점면의 위치도 상이해진다. 초점면의 위치가 상이해지기 때문에, 특정 초점면에 출력하고자 하는 대상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발광해야 하는 픽셀의 위치 또한 상이해진다.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는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종류에 따라 출력 패턴을 생성하며, 패턴에 따른 출력에 의해 맺히는 상을 분석하여 초점조절 기능을 구비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전술한 대로,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장치마다 픽셀 수가 달라져, 형성되는 초점면의 위치와 해당 초점면에 출력하고자 하는 대상을 출력하기 위해 발광해야 할 픽셀 위치, 즉, 영상좌표도 상이해진다.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는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110)이 초점조절 기능을 구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디스플레이 면에 생성되는 초점(이하에서는 '중앙 초점'이라 칭함), 중앙 초점으로부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와 가까워지는 방향에 생성되는 초점(이하에서는 '근거리 초점'이라 칭함) 및 중앙 초점으로부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와 멀어지는 방향에 생성되는 초점(이하에서는 '원거리 초점'이라 칭함) 각각에 출력하고자 하는 대상을 출력하기 위해 발광해야 할 픽셀의 위치를 연산한다. 여기서, 근거리 초점과 원거리 초점은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110)로부터 각 초점이 위치하는 방향에 형성된 초점 중 임의의 초점일 수 있고,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110)로부터 각 초점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가장 먼 거리에 형성 가능한 초점일 수도 있다.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각 초점의 위치에 출력하고자 하는 대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는 각 초점에 부합하는 픽셀들이 발광하도록 하는 패턴을 생성하여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인가한다.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는 패턴을 생성하고 인가함으로써, 어떠한 성능의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라 하더라도 해당 장치의 초점조절 기능 구비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인가받은 패턴에 따라 광을 출력하는 경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는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출력광에 의해 맺히는 상을 분석하여 해당 장치가 초점조절 기능을 구비하였는지, 구비한 경우 어느 정도 성능의 초점조절 기능을 구비하였는지를 판단한다. 패턴에 따라,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각 초점의 위치에 출력하고자 하는 대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광을 조사하는 경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에는 복수의 상이 맺힌다.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는 맺힌 상의 선명도나 개수를 분석하여,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초점조절 기능을 구비하였는지, 구비한 경우 어느 정도 성능의 초점조절 기능을 구비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는 광학계(220), 광 검출기(23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에서는 판별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10, 이하에서는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로 약칭함) 내 픽셀의 일 행 또는 일 열만이 판별 대상이 된다. 어차피,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라면 내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 내 각 픽셀의 동작은 동일하므로, 픽셀의 일 행 또는 일 열에서 초점조절이 가능한지 여부로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 전체의 초점조절 가부가 판단될 수 있다.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패턴을 입력받아, 원거리 초점(242), 중앙 초점(244) 및 근거리 초점(246)에 출력하고자 하는 대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적절한 픽셀들에서 광을 조사한다. 패턴의 연산과 판별이 용이하도록, 각 초점은 동일한 광축상에 위치한다. 원거리 초점(242)에 출력하고자 하는 대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제1 픽셀들(212)이 발광한다. 중앙 초점(244)에 출력하고자 하는 대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중앙 초점(244) 위치 상의 픽셀이 발광한다. 근거리 초점(246)에 출력하고자 하는 대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제2 픽셀들(216)이 발광한다. 이처럼,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각 초점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대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각 픽셀들이 동시에 발광한다.
광학계(220)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광 파워(Optical Power)를 조절하여 광 검출기(230)에 맺히는 상의 위치를 조절한다. 광학계(220)는 광 파워를 조절하여,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에서 패턴에 따라 각 초점(242, 244, 246)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대상이 형성되도록 조사된 각 광이 굴절되는 정도를 조절한다. 광학계(220)는 광이 굴절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광 검출기(230)에 맺히는 상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광 검출기(230)에 맺히는 일부 또는 전부의 상이 선명해지거나 흐릿해진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광학계(220)는 인체의 각막과 동공에 대응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여, 각 렌즈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광 파워를 조절하여 광 검출기(230)에 맺히는 상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광 검출기(230)로는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로부터 조사되어 광학계(220)를 거친 광에 의해 상이 맺힌다. 도 2에는 광학계(220)의 광 파워는 중앙 초점(244) 위치에서의 픽셀에 의해 조사된 광으로부터 광 검출기(230)에서 선명한 상이 맺히도록 제어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를 예로 들면, 광 검출기(230)에는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 내 중앙 초점(244) 위치의 픽셀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한 선명한 상(254)이 맺히고 있다. 반면, 제1 픽셀(212)에서 조사된 광에 의한 상은 광 검출기(230)의 (광학계 방향의) 전방에 맺히기 때문에, 광 검출기(230)에서는 df 길이 만큼 퍼진 상이 맺힌다. 이에 따라, 광 검출기(230)에는 선명한 상이 맺히지 않고 흐릿한 상이 맺힌다. 제2 픽셀(216)에서 조사된 광에 의한 상은 광 검출기(230)의 (광학계 방향의) 후방에 맺히기 때문에, 광 검출기(230)에서는 dn 길이 만큼 퍼진 상이 맺힌다. 마찬가지로, 광 검출기(230)에는 선명한 상이 맺히지 않고 흐릿한 상이 맺힌다. 초점의 위치에 따라 맺히는 상의 위치가 상이하기 때문에, 광 검출기(230)에 맺히는 상의 길이는 달라진다.
제어부(미도시)는 광 검출기(230)에 맺히는 상을 분석하여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초점 조절기능을 제공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동축에 위치한 각 초점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대상이 시청자의 단안에서도 인식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광 경로로 디스플레이 장치 내 픽셀들이 광을 조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다시점 디스플레이나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라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초점조절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위 초점을 구비하지 못하기 때문에, 서브 픽셀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밖에 광을 조사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다시점 디스플레이나 초점조절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검출기(230)의 전·후방으로 상이 맺히도록 할 수 없으며, 일괄적으로 광 검출기(230) 상에 상이 맺히거나 상이 맺히지 않게 된다. 반면, 초점조절 기능이 온전히 제공되는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미세 단위로 구분된 단위 픽셀을 이용하여 다양한 광 경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광 검출기(230) 상이나 광 검출기(230)의 전·후방으로 상이 맺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제어부(미도시)는 광학계(220)의 광 파워를 조절하여, 복수의 상이 선명하게 광 검출기(230)에 맺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패턴에 따라,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광을 출력할 경우, 초점조절 기능이 제공되는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라면, 광학계(220)의 광 파워 조정에 따라 맺히는 상 모두가 흐릿하거나, 하나의 상만이 선명하게 맺히고 나머지 상은 흐릿하게 맺힌다. 반면,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니거나 초점조절 기능이 온전히 제공되지 않는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라면, 광학계(220)의 광 파워 조정에 따라 맺히는 상 모두가 흐릿하거나, 적어도 2개 이상의 상이 선명하게 맺힌다.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상이 선명하게 광 검출기(230)에 맺히는지 여부로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초점조절 기능을 제공하는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인지를 판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의 구성에 광 마스크(310)를 더 포함한다.
광 마스크(310)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개구(312)를 포함하여,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로부터 조사된 광이 개구(312)로만 전파될 수 있도록 한다. 광 마스크(310)는 광학계(220)의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 방향으로의) 전방에 배치되어, 개구(312)로만 광이 전파되어 광학계(220)를 거칠 수 있도록 한다. 광 마스크(310)에 의해 개구(312)를 통과하는 광 만이 광학계(220)를 거쳐 상을 맺기 때문에, 광 검출기(230)에는 선명한 상(324)이 맺히거나 개구의 개수만큼 분리된 상(322, 326)이 맺힌다. 광 마스크(310)는 하트만 마스크(Hartmann Mask)로 구현될 수 있으나, 개구를 갖는 마스크라면 어떠한 것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먼지, 제어부(미도시)는 초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이 광 검출기(230) 상에 모두 맺혔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미도시)는 분리된 상이든 선명한 상이든 관계없이 광 검출기(230) 상에 제1 픽셀(212)이 발광한 광에 의해 생성된 상,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 내 중앙 초점 위치에서의 픽셀이 발광한 광에 의해 생성된 상 및 제2 픽셀(216)이 발광한 광에 의해 생성된 상 모두가 맺혔는지를 판단한다. 각 초점의 위치에 상을 맺기 위해, 광 마스크(310)의 개구(312)를 지나도록 조사되어야 할 광 경로가 존재한다. 그러나 종래의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나 초점조절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 경로 구현에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광 마스크(310)의 개구(312)를 지나도록 조사되어야 할 광 경로 중 일부로 광을 조사하지 못하는 문제를 갖는다. 이에 따라, 각 초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모든 상 중 일부의 상만이 광 검출기(230) 상에 맺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어부(미도시)는 초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이 광 검출기(230) 상에 모두 맺혔는지를 판단하고, 초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이 광 검출기(230) 상에 모두 맺히지 않은 경우,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초점조절 기능이 구비된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닌 것으로 판별한다.
이후, 제어부(미도시)는 광학계(220)의 광 파워를 조절하여, 복수의 상이 분리되지 않고 광 검출기(230)에 맺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술한 대로, 광학계의 광 파워가 어떻게 조절되더라도, 초점조절 기능이 구비된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조사되는 광은 모두가 분리되지 않거나, 하나의 상만이 분리되지 않고 선명하게 맺히고 나머지 상은 분리되어 맺힌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광 검출기(230)에 상이 맺히는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미도시)는 분리되지 않고 광 검출기(230)에 맺히는 상의 개수를 파악한다. 하나의 상만이 광 검출기(230)에 분리되지 않고 맺힌 경우라면,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초점조절 기능이 구비된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한다. 반면, 복수의 상이 광 검출기(230)에 분리되지 않고 맺히는 경우라면, 초점조절이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초점조절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한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분리된 상의 거리를 파악하여,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초점조절 성능을 판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황을 가정하면, 중앙 초점(244)에 대응되는 상(324)이 광 검출기(230)에 분리되지 않고 맺히며, 원거리 초점(242)에 대응되는 상(322)과 근거리 초점(246)에 대응되는 상(326)은 광 검출기(230)에 분리되어 맺힌다. 이때, 원거리 초점(242)에 대응되는 상(322)의 분리 거리(df)와 근거리 초점(246)에 대응되는 상(326)의 분리거리(dn)는 서로 상이하다. 도 3에는 근거리 초점(246)에 대응되는 상(326)의 분리거리(dn)가 원거리 초점(242)에 대응되는 상(322)의 분리 거리(df)보다 큰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초점의 위치에 따라 각 분리 거리는 상이해질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제어부(미도시)는 광 파워를 최대한으로 조절하도록 광학계(220)를 제어하여, 각 초점(242, 244, 246)에 대응되는 상의 최대 분리거리를 파악한다. 제어부(미도시)는 파악한 최대 분리거리와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가지고 있는 초점조절 기능의 성능(디스플레이면으로부터 떨어진 근거리 및 원거리 초점의 최대 위치)을 비교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연산된 패턴의 내용과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성능에 해당하는 각 초점의 위치를 토대로 각 초점(242, 244, 246)에 대응되는 상의 최대 분리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실제 초점(242, 244, 246)에 대응되는 상의 최대 분리거리와 연산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가지고 있는 것으로 주장되는 초점조절 성능의 진위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초점조절 기능 보유여부 및 초점조절 성능의 진위여부까지 판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근거리 초점에서의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에 대한 패턴을 연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미도시)는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근거리 초점(246)의 위치를 파악하고, 광 검출기의 사이즈(d1)를 파악한다. 이때, 광 검출기의 사이즈(d1)는 단안의 수정체의 크기만큼의 길이에 해당할 수 있다. 어차피,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는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시청자의 나안(裸眼)에 대해서 초점조절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지를 판별하는 장치이므로, 광 검출기의 사이즈(d1)는 통상적으로 단안의 수정체 크기만큼으로 설정된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와 광 검출기(230)까지의 거리인 시청거리를 파악한다. 시청거리까지 파악될 경우, 광 검출기의 양 끝단과 초점이 이루는 삼각형과,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에서 근거리 초점(246)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을 광 검출기 상에 출력하기 위해 발광해야 하는 양 픽셀과 초점이 이루는 삼각형은 닮음에 해당한다. 양 삼각형은 초점의 위치와 시청거리로부터 닮음비가 연산되기 때문에, 양 픽셀간 거리(d2)가 연산된다. 제어부(미도시)는 양 픽셀간 거리(d2)를 이용하여 근거리 초점(246)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을 광 검출기 상에 출력하기 위해 발광해야 하는 양 픽셀(216)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원거리 초점에서의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에 대한 패턴을 연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미도시)는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원거리 초점(242)의 위치, 광 검출기의 사이즈(d1) 및 시청거리를 파악한다. 파악한 내용을 토대로, 제어부(미도시)는 원거리 초점(242)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을 광 검출기 상에 출력하기 위해 발광해야 하는 양 픽셀(212)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미도시)는 어떠한 종류의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라 하더라도 패턴을 연산할 수 있으며, 연산된 패턴대로 발광하는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초점조절 기능 보유여부 및 초점조절 성능의 진위여부까지 판별할 수 있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의 판별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중앙초점에 대응되는 상(254)은 광 검출기(230)에 선명하게 맺혀진 반면, 근거리 초점에 대응되는 상(252)과 원거리 초점에 대응되는 상(256)은 광 검출기(230)에 흐릿하게 맺혀졌다. 이는 각 초점에 출력하고자 하는 대상이 각각 출력되도록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 내 픽셀에서 초점을 조절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는 해당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는 초점조절 기능을 보유한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로 판별한다.
반대로, 도 7을 참조하면, 중앙초점에 대응되는 상(254), 근거리 초점에 대응되는 상(252) 및 원거리 초점에 대응되는 상(256) 모두가 광 검출기(230)에 선명하게 맺혀졌다. 이는 각 초점에 출력하고자 하는 대상이 각각 출력되도록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 내 픽셀들이 초점조절을 위해 다양한 광 경로로 광을 조사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는 해당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는 초점조절 기능을 보유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판별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의 판별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중앙초점에 대응되는 상(254)은 광 검출기(230)에 분리되지 않고 선명하게 맺혀진 반면, 근거리 초점에 대응되는 상(252)과 원거리 초점에 대응되는 상(256)은 각각 광 검출기(230)에 분리되어 맺혀졌다. 이는 각 초점에 출력하고자 하는 대상이 각각 출력되도록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 내 픽셀에서 초점을 조절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는 해당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는 초점조절 기능을 보유한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로 판별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가 패턴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는 측정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근거리, 중앙 및 원거리 초점 위치를 파악한다(S810).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는 시청거리와 광 검출기의 사이즈를 파악한다(S820).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는 시청거리 및 광 검출기 사이즈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내 패턴을 생성한다(S830).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는 시청거리 및 광 검출기 사이즈를 이용하여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 각 초점 위치에 대응되는 상을 광 검출기 상에 출력하기 위해 발광해야 하는 각 픽셀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는 연산된 픽셀의 위치를 이용하여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할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초점조절 기능을 판별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는 광 검출기에 맺히는 상을 파악한다(S910).
선명한 1개의 상이 형성되었을 때,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는 3개의 상이 모두 광 검출기에 맺혔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20). 선명한 1개의 상이 형성되었을 때,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는 선명한 상이든 분리된 상이든 어떠한 상이라도 광 검출기에 모든 상이 맺혔는지를 판단한다.
모든 상이 광 검출기에 맺힌 경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는 선명한 상이 복수 개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30).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는 선명한 상이 복수 개가 형성되었는지 판단한다. 전술한 대로, 초점조절 기능이 부여된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든 상이 흐릿하거나, 하나의 선명한 상이 맺혀지고 나머지 상은 흐릿하거나 분리된 상이 맺혀져야 한다. 이를 판별하고자,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120)는 선명한 상이 복수 개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든 상이 광 검출기에 맺히고 선명한 상이 하나가 맺힌 경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장치(120)는 시험 디스플레이가 초점조절이 가능한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인 것으로 판단한다(S940).
일부 상이 광 검출기에 맺히지 않았거나 선명한 상이 복수개 맺힌 경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장치(120)는 시험 디스플레이가 초점조절이 가능한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S950).
도 9 및 10에서는 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9 및 10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9 및 10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9 및 10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시스템
110: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
120: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판별 장치
210: 시험 디스플레이 장치
212: 제1 픽셀
216: 제2 픽셀
220: 광학계
230: 광 검출기
242: 원거리 초점
244: 중앙 초점
246: 근거리 초점
310: 광 마스크
312: 개구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디스플레이 초점조절 기능 판별장치를 이용하여 패턴에 따라 광을 조사하는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지 판별하는 디스플레이 초점조절 기능 판별방법에 있어서,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에 생성되는 제1 초점, 상기 제1 초점으로부터 상기 광 검출기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생성되는 제2 초점 및 상기 제1 초점으로부터 상기 광 검출기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생성되는 제3 초점의 위치를 파악하는 제1 파악과정;
    시청거리(Viewing Distance) 및 광을 수신할 수 있는 광 검출기의 사이즈를 파악하는 제2 파악과정;
    상기 시청거리와 상기 광 검출기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각 초점에서 상기 광 검출기에 상이 맺히도록 하기 위해 발광해야 할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위치를 연산하여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할 패턴을 생성하는 생성과정;
    패턴에 따라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을 검출하는 검출과정;
    광 파워(Optical Power)를 조절하여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상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과정;
    상기 조절과정에 따라 형성되는 상 중 하나의 상만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선명도를 갖는 경우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는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절과정에 따라 형성되는 상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상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선명도를 갖는 경우 상기 초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는 초점을 온전히 조절할 수 없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초점조절 기능 판별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80156076A 2018-12-06 2018-12-06 패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의 초점 조절기능 제공 유무를 판별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21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076A KR102221991B1 (ko) 2018-12-06 2018-12-06 패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의 초점 조절기능 제공 유무를 판별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076A KR102221991B1 (ko) 2018-12-06 2018-12-06 패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의 초점 조절기능 제공 유무를 판별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012A KR20200069012A (ko) 2020-06-16
KR102221991B1 true KR102221991B1 (ko) 2021-03-04

Family

ID=71141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076A KR102221991B1 (ko) 2018-12-06 2018-12-06 패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의 초점 조절기능 제공 유무를 판별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99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3008B2 (ja) * 2010-08-11 2015-02-1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ならびに立体画像表示装置の視差ずれ検出方法および立体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592980B1 (ko) * 2015-11-04 2023-10-20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광 필드 디스플레이 계측
KR102002922B1 (ko) * 2016-12-29 2019-07-23 한국광기술원 초점조절능 판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012A (ko)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774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xed reality
US11614631B1 (en) Adaptive viewports for a hyperfocal viewport (HVP) display
JP7253342B2 (ja) 3d映像提供方法及び装置
JP6502586B2 (ja) 焦点調整するバーチャルリアリティヘッドセット
EP3894893A1 (en) Optical hyperfocal reflective systems and methods, and augmented reality and/or virtual reality displays incorporating same
JP2022189914A (ja) 改良された回折格子構造を有する仮想および拡張現実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095870B (zh) 光学显示系统、显示控制装置和增强现实设备
IL308780A (en) Improved positioning for a display device
CN105894567B (zh) 放缩三维场景中的用户控制的虚拟对象的像素深度值
US20070171276A1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detected eye information
JP2022075797A (ja) コンテンツをクリッピングし、視認快適性を増加させるための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477305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hereon
JP2019508724A (ja) 深度平面にわたって分配される等しくない数の成分色画像を有する仮想および拡張現実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10316984A1 (en) Adaptive adjustment of depth cues in a stereo telepresence system
JP2022078037A (ja) 裸眼光学立体スクリーン
EP3001681B1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3d rendering
CN118112802A (zh) 图像显示控制方法及头戴式显示设备
CN114114873A (zh) 全息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KR102221991B1 (ko) 패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의 초점 조절기능 제공 유무를 판별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02922B1 (ko) 초점조절능 판별시스템
US1111957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virtual image
KR102002919B1 (ko) 스테레오스코픽 환경에서의 초점조절능 판별시스템
US11503202B1 (en) Optical focus adjustment
KR20190050737A (ko) 표시 장치와 방법
KR102065233B1 (ko) 수렴초점 불일치 문제 해결을 위한 포비티드 Near-Eye 디스플레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