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698B1 - 실리콘 파우더를 이용한 승온용 발열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 파우더를 이용한 승온용 발열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698B1
KR102221698B1 KR1020190035758A KR20190035758A KR102221698B1 KR 102221698 B1 KR102221698 B1 KR 102221698B1 KR 1020190035758 A KR1020190035758 A KR 1020190035758A KR 20190035758 A KR20190035758 A KR 20190035758A KR 102221698 B1 KR102221698 B1 KR 102221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powder
raw material
bind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4289A (ko
Inventor
조남수
Original Assignee
조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수 filed Critical 조남수
Priority to KR1020190035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698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5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using exothermic reaction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2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of slags
    • C21B2400/032Separating slag from liquid, e.g. from water, after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4Specific shape of slag after cooling
    • C21B2400/044Briquettes or moulded bodies other than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파우더를 이용한 승온발열제 제조 방법은, 산업용 부산물 또는 폐슬러지로부터 회수한 실리콘 파우더 함유의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준비된 상기 원료의 비중 조절 및 용탕의 승온을 위해 탄화칼슘(CaC2) 부산물을 배합하는 단계와, 밀링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원료와 상기 탄화칼슘 부산물이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원료와 상기 탄화칼슘 부산물 간의 균질한 결합을 위한 결합제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결합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고압력으로 압착하여 단광화 및 펠렛화하는 단계와, 상기 단광화 및 펠렛화된 혼합물을 소정의 온도 조건에서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된 단광체에 산화방지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리콘 파우더를 이용한 승온용 발열제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BRIQUETTE FOR RISING TEMPERATURE BY USING SILICONE POWDER}
본 발명은 제강 공정에서 용탕의 승온을 위해 사용되는 승온용 발열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웨이퍼 또는 반도체 웨이퍼의 제작(생산)을 위해 잉곳(Ingot)을 절단(Saw)할 때 발생(배출)하는 부산물인 실리콘 슬러지를 이용하여 간소화된 공정으로 승온용의 발명제를 제조할 수 있는 실리콘 파우더를 이용한 승온용 발열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태양 전지 또는 반도체 산업의 웨이퍼는, 예컨대 절삭유와 함께 다이아몬드 소(diamond saw)를 이용하여 실리콘 잉곳을 절단(절삭)하는 방식으로 제작되는데, 이때 실리콘 절삭 후의 폴리싱 공정에서 실리콘 등의 슬러지가 발생하게 된다.
최근 들어, 태양광 웨이퍼 실리콘 산업이 새로운 에너지 산업으로 급속한 성장을 하고 있는 상황 등을 고려하면, 이러한 실리콘 슬러지의 발생량은 더욱 증가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슬러지에서 회수된 실리콘은 실리콘 함량이 70 내지 97%로서, 예컨대 탈산제 및 실리콘 공급원, 고로, 전로의 에너지원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주철과 주물에는 실리콘이 규소 성분을 높이는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공정상의 슬러지는 기존 SiC 함유 슬러지에 비해 실리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을 뿐만 아니라 용탕(용강)의 승온용 발열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우수한 부자재이다.
일반적으로, 제강조업에 사용되는 승온용 발명제로는, 예컨대 Si 함량이 대약 75중량% 전후인 페로실리콘(Fe-Si) 괴나 무연탄 또는 코크스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페로실리콘은 그 융점이 1,350℃ 정도로 용탕의 온도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비교적 높은 편이고, 비중 또한 용탕 대비 낮다.
따라서, 페로실리콘 괴를 용탕 내에 투입시 용해 속도가 느려 산화반응 속도가 지연되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용탕의 승온 효과를 얻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무연탄의 경우 괴도 융점이 상대적으로 높아 괴 상태로 용탕 내에 투입시 산화반응 속도가 느리고, 비중이 매우 낮아 용탕 위로 뜨게 되기 때문에 산화 발열량의 상당 부분이 용탕의 승온에 기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3418호(공고일: 2012. 03. 23.)
본 발명은 산업용 부산물 또는 폐슬러지로부터 회수한 실리콘 슬러지를 이용하여 용해반응 속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실리콘 파우더를 이용한 승온용 발열제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산업용 부산물 또는 폐슬러지로부터 회수한 실리콘 파우더 함유의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준비된 상기 원료의 비중 조절 및 용탕의 승온을 위해 탄화칼슘(CaC2) 부산물을 배합하는 단계와, 밀링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원료와 상기 탄화칼슘 부산물이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원료와 상기 탄화칼슘 부산물 간의 균질한 결합을 위한 결합제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결합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고압력으로 압착하여 단광화 및 펠렛화하는 단계와, 상기 단광화 및 펠렛화된 혼합물을 소정의 온도 조건에서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된 단광체에 산화방지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콘 파우더를 이용한 승온용 발열제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원료는, 실리콘 금속 파우더(Si Metal powder), 실리콘 금속 슬래그 파우더(Si Metal slag powder), 폐로 실리콘 파우더(FeSi powder), 실리콘 탄화물 파우더(SiC powd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리콘 공급원이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리콘 공급원은, 5 내지 30wt%의 범위로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리콘 공급원은, 상기 실리콘 파우더의 산화반응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산화안정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결합제는, 무기바인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무기바인더는, 1 내지 5wt%의 범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무기바인더는, 벤토나이트, 덱스트린, 옥수수 전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80 내지 120℃ 온도 범위와 1 내지 2H 시간 범위의 공정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단광화 및 펠렛화의 파괴 강도가 20Mpa 이상이 되도록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산화방지제는, 0.05 내지 0.1mm의 두께 범위로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산업용 부산물 또는 폐슬러지로부터 회수한 실리콘 슬러지를 이용하여 용해반응 속도를 개선시켜 줌으로써, 용탕 내의 승온 효율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산업용 부산물 또는 폐슬러지로부터 회수한 실리콘 파우더를 이용하여 승온용 발열제를 제조하는 주요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지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산업용 부산물 또는 폐슬러지로부터 회수한 실리콘 파우더를 이용하여 승온용 발열제를 제조하는 주요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원료 준비 단계(단계 102)
단계(102)에서는 산업용 부산물 또는 폐슬러지로부터 회수한 실리콘 파우더 함유의 원료를 준비, 예컨대 태양 전지 또는 반도체용의 실리콘 웨이퍼를 생산할 때 배출되는 부산물인 실리콘 슬러지를 수집하여 원료로 준비한다. 여기에서, 실리콘 슬러지(원료)에는 다량의 실리콘(Si)과 수분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원료는, 예컨대 실리콘 금속 파우더(Si Metal powder), 실리콘 금속 슬래그 파우더(Si Metal slag powder), 폐로 실리콘 파우더(FeSi powder), 실리콘 탄화물 파우더(SiC powd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리콘 공급원이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여기에서, 실리콘 공급원은, 예컨대 5 내지 30wt%의 범위로 원료에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실리콘 공급원은 실리콘 파우더의 산화반응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산화안정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기존의 태양광 웨이퍼 생산시 실리콘 웨이퍼 절단 공정에서 발생한 실리콘 슬러지는 SiC 와이어 소(Wire saw)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이고, 비교적 안정된 SiC를 함유하고 있었으나, 최근 들어 다이아몬드 소(Diamond Saw)를 사용함에 따라 실리콘 슬러지로 부터 70 내지 95%인 실리콘 파우더(분말)가 나오고, 절단된 웨이퍼를 폴리싱할 때 나오는 실리콘 파우더 역시 실리콘 함량이 고순도인 85 내지 95wt%이며, 또한 이때 회수된 실리콘의 평균 입도가 20㎛ 정도이다.
그러나, 순도가 높아 공기나 수분과 접촉시 산화 가능성이 높고 입도가 미세하여 단광화 및 펠렛화의 경우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을 함유하고 있는 공기와 수분에 안정화되어 있는 실리콘 메탈이나 이의 슬래그, 부산물, 페로실리콘이나 이의 슬래그, 부산물, 실리콘 탄화물 등과 배합하여 Si 공급원으로 사용한다.
탄화칼슘(CaC 2 ) 부산물 배합 단계(104)
단계(104)에서는 수집된 원료(실리콘 파우더 함유의 원료)에 비중 조절 및 실리콘(Si) 함량 증가를 위한 유가 금속, 즉 탄화칼슘(CaC2) 부산물을 배합할 수 있는데, 이러한 탄화칼슘 부산물은, 예컨대 Si 25% min, Fe 65% min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즉, 실리콘 파우더는, 예컨대 비중이 0.8 내지 1.1mg/ml이므로 용강에 투입시 부유할 수 있어 용탕 상부에서만 반응이 발생하고, 심층부에서의 반응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고 승온 효울이 우수한 원료(탄산칼슘(CaC2) 부산물)를 추가적으로 배합한다.
여기에서, 탄산칼슘 부산물의 경우 심층부까지 반응할 수 있게 하여 제강공정에서 용탕의 승온을 위한 발열제, 승온제로써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제강 공정의 수율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용제 소비량을 감소시키는 역할(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회수된 실리콘의 평균 입도가, 예컨대 20㎛로 미세하여 입자간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탄산칼슘 부산물을 배합할 경우 입도를 0 내지 5mm로 조정하여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균일한 혼합을 위한 밀링 단계(106)
단계(106)에서는 밀링 공정을 진행하여 원료(실리콘 파우더 함유의 원료)와 탄산칼슘이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물을 생성, 예컨대 비중 차이로 인한 혼합의 어려움이 해소될 수 있도록, 예컨대 상하 연동형 혼합기, 스크류 방식 혼합기, 이중주걱 혼합기 등을 이용하여 혼합한 후 밀링 공정을 수행하여 균일한 혼합물을 생성한다.
결합제(또는 접착제) 혼합 단계(108)
단계(108)에서는 원료(실리콘 파우더 함유의 원료)와 탄산칼슘 간의 균질한 결합을 위한 결합제(또는 접착제)가 혼합(첨가)되는데, 여기에서 결합제는, 예컨대 무기바인더로서 1 내지 5wt%의 범위로 혼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무기바인더는, 예컨대 벤토나이트, 덱스트린, 옥수수 전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수된 실리콘과 이에 배합되는 재료는, 예컨대 5배 이상의 비중 차이로 무기바인더(결합제)를 첨가하여 혼합할 경우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균일한 혼합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360도 회전 가능한 프로펠러식 혼합기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비중과 관계없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균일한 혼합은 단광과 펠렛의 품질에 중요한 요인이므로 매우 중요한 생산 공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제(접착제)로는, 예컨대 벤토나이트, 덱스트린, 옥수수 전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전로나 LF(Ladle Furnace)에 투입시는 스모그 현상을 최대한 저감시켜서 작업성을 좋게 해야 하므로 무기 바인더를 사용하여 스모그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후속하는 공정(예컨대, 단광화 및 펠렛화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화를 저감시키기 위해 산화방지제를 결합제와 함께 혼합할 수도 있다.
단광화 및 펠렛화 단계(110)
단계(110)에서는 결합제(또는 접착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고압력으로 압착하여 단광화 및 펠렛화하는데, 이러한 단광화 및 펠렛화 공정은 강도 증가 및 용탕 내에서의 신속한 용해 반응을 위해서이다. 여기에서, 단광화 및 펠렛화는 유압 프레스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원료의 주성분인 회수된 실리콘의 평균 입도가 20㎛로 미세하므로, 용탕에 직접 투입하면 부유할 수가 있기 때문에 성형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결합제(접착제)를 사용하더라도 입자간 결합력, 단광, 펠렛의 강도 증가를 위해 유압프레스 단광화 장비나 압출식 펠렛 장비를 사용하여 단광화 및 펠렛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단광의 길이는 20 내지 40mm, 직경은 25mm 이하로 할 경우, 후속하는 건조 공정에서 건조시 실리콘의 손실없이 건조가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펠렛의 길이는 5 내지 30mm, 직경은 8mm 정도로 함으로써, 실리콘 손실없이 건조가 잘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예컨대 15분 내지 30분에 반응을 종결해야 하는 공정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처럼 펠렛의 경우에는 표면적이 넓어 용강 내에서 부유하지 않고 신속하게 확산되도록 용강 내 반응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신속한 확산을 통해 용탕에서의 승온 반응 및 실리콘 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건조 단계(112)
단계(112)에서는 단광화 및 펠렛화된 혼합물을 소정의 온도 조건에서 건조(가압 성형)하는데, 이러한 건조 공정은, 예컨대 80 내지 120℃ 온도 범위와 1 내지 2H 시간 범위의 공정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건조 공정을 통해 얻어지는 단광화 및 펠렛화의 파괴 강도는, 예컨대 20Mpa 이상이 될 수 있다.
즉, 실리콘은 공기 및 수분과의 친화력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쉽게 산화되거나 혹은 이러한 산화 반응에 따른 발열로 발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건조 공정을 진행한다.
그리고, 건조의 공정 온도가 120℃ 이상이 되면, 공기 및 수분과의 친화력이 급상승하기 때문에 건조의 공정 온도는, 예컨대 80 내지 1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방지제 도포 단계(114)
단계(114)에서는 실리콘이 산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실리콘의 산화안정성을 위해) 건조된 단광체에 산화방지제를 도포할 수 있는데, 이때 도포되는 산화방지제는, 예컨대 0.05 내지 0.1mm의 두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 두께의 산화방지제가 도포된 승온용 발열제는 실온에서 건조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산업용 부산물 또는 폐슬러지로부터 회수한 실리콘 파우더 함유의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준비된 상기 원료의 비중 조절 및 용탕의 승온을 위해 실리콘과 페로가 함유된 탄화칼슘(CaC2) 부산물을 배합하는 단계와,
    밀링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원료와 상기 탄화칼슘 부산물이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원료와 상기 탄화칼슘 부산물 간의 균질한 결합을 위한 결합제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결합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고압력으로 압착하여 단광화 및 펠렛화하는 단계와,
    상기 단광화 및 펠렛화된 혼합물을 소정의 온도 조건에서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된 단광체에 산화방지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료는 실리콘 공급원이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실리콘 공급원은, 5 내지 30wt%의 범위로 배합되고,
    상기 결합제는,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무기바인더이고,
    상기 무기바인더는, 1 내지 5wt%의 범위로 혼합되고,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80 내지 120℃ 온도 범위와 1 내지 2H 시간 범위의 공정 조건에서 수행되고, 상기 단광화 및 펠렛화의 파괴 강도가 20Mpa 이상이 되도록 건조하고,
    상기 산화방지제는, 0.05 내지 0.1mm의 두께 범위로 도포되는,
    실리콘 파우더를 이용한 승온용 발열제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공급원은,
    실리콘 금속 파우더(Si Metal powder), 실리콘 금속 슬래그 파우더(Si Metal slag powder), 폐로 실리콘 파우더(FeSi powder), 실리콘 탄화물 파우더(SiC powd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리콘 파우더를 이용한 승온용 발열제 제조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공급원은,
    상기 실리콘 파우더의 산화반응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산화안정제로서 기능하는
    실리콘 파우더를 이용한 승온용 발열제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바인더는,
    덱스트린 및 옥수수 전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실리콘 파우더를 이용한 승온용 발열제 제조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35758A 2019-03-28 2019-03-28 실리콘 파우더를 이용한 승온용 발열제 제조 방법 KR102221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758A KR102221698B1 (ko) 2019-03-28 2019-03-28 실리콘 파우더를 이용한 승온용 발열제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758A KR102221698B1 (ko) 2019-03-28 2019-03-28 실리콘 파우더를 이용한 승온용 발열제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289A KR20200114289A (ko) 2020-10-07
KR102221698B1 true KR102221698B1 (ko) 2021-03-02

Family

ID=7288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758A KR102221698B1 (ko) 2019-03-28 2019-03-28 실리콘 파우더를 이용한 승온용 발열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6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277B1 (ko) * 2020-12-16 2023-11-01 주식회사 에스에이텍 전기로용 승열제 단광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7127A (ja) * 2001-07-19 2003-01-29 Fuji Raito Kogyo Kk 低発煙アルミニウム含有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418B1 (ko) 2009-07-07 2012-03-23 이승환 실리콘-카본-철계 용탕 발열제 및 그 고형 성형화 방법
KR102641812B1 (ko) * 2016-08-23 2024-02-27 조남수 브리켓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7127A (ja) * 2001-07-19 2003-01-29 Fuji Raito Kogyo Kk 低発煙アルミニウム含有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289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8987B1 (ko) 석회계 제강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US866876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esulfurizing agent
CN102251073B (zh) 半钢用脱氧增碳剂及其制造和使用方法
KR20130056992A (ko) 실리콘 웨이퍼 폐슬러지의 처리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Fe-Si-SiC 브리켓
CN105198457A (zh) 一种转炉挡渣内水口砖及其制备方法
KR102221698B1 (ko) 실리콘 파우더를 이용한 승온용 발열제 제조 방법
CN100369865C (zh) 一种方镁石-碳化硅-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WO2009123115A1 (ja) 還元鉄の製造方法
CN113106313B (zh) 一种稀土掺杂wc颗粒增强钢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2527829A (en) Foundry additives
KR102042845B1 (ko) Fe 함유 슬래그 중 Fe의 회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환원제
KR102237891B1 (ko) 실리콘 파우더를 이용한 가규제, 탈산 및 탈황제 제조 방법
US6241808B1 (en) Production of iron ore pellets
KR20180022004A (ko) 브리켓 및 그 제조 방법
CN115893990A (zh) 一种低碳镁碳砖
KR101123418B1 (ko) 실리콘-카본-철계 용탕 발열제 및 그 고형 성형화 방법
CN105039637A (zh) 一种含镁提钒冷却剂及其制备方法
CN114457209A (zh) 一种降低预合金胎体粉熔炼过程氧含量的工艺方法
KR20190106296A (ko) 페로실리콘 제조방법
KR101009034B1 (ko) 페로니켈의 제조 방법
KR20110124408A (ko) 합금철 브리켓의 제조방법과 그에 따라 제조된 합금철 브리켓
KR100554732B1 (ko) 용탕 승온용 실리콘-카본계 발열제
CN105039636A (zh) 一种含钙提钒冷却剂及其制备方法
CN112028653A (zh) 一种高导热耐侵蚀高炉自护炭砖及制备方法
KR100406920B1 (ko) 용탕 승온용 실리콘(Si)-카본(C)계 브리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