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649B1 - 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 Google Patents

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649B1
KR102221649B1 KR1020190171244A KR20190171244A KR102221649B1 KR 102221649 B1 KR102221649 B1 KR 102221649B1 KR 1020190171244 A KR1020190171244 A KR 1020190171244A KR 20190171244 A KR20190171244 A KR 20190171244A KR 102221649 B1 KR102221649 B1 KR 102221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vertical direction
safety device
auxiliary body
mo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2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범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인프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인프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인프로테크
Priority to KR1020190171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6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6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with obstructing members moving in a translatory motion, e.g. vertical lift barriers, slid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crosswalk. The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crosswalk comprises: a body (11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ntrance of the crosswalk; a movable body (120) formed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or outside the body (110); a connection member (130)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connect one upper side of the movable body (120) to each other; an auxiliary body (140) formed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or outside the movable body (120); at least one spacing adjusting members (150)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connect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140) to each other; a spacing adjusting unit (142) adjusting the auxiliary body (140) and the spacing adjusting members (150) to decrease a spac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connection member (130) when the movable body (120) moves in an upward direction and adjusting the auxiliary body (140) and the spacing adjusting members (150) to increase the spac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movable body (120) moves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visibility securing member (160) formed to be unfolded or folded according to the vertical spacing by connecting the connection member (130) and the spacing adjusting members (15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by improving the visibility so that a pedestrian can stop at a crosswalk.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djusting the vertical spacing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 (130) and the spacing adjusting members (150) according to the eye level of the pedestrian.

Description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본 발명은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인성을 향상시켜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crosswalk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pedestrian crossings that improves visibility to prevent safety accidents of pedestrians in advance.

일반적으로 차량 운전자들은 녹색신호가 깜빡이게 되면 보행자의 통행 여부와 관계없이 차량을 운행하게 되므로 보행자의 심리적인 불안감을 조성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차량이 횡단보도를 통과하여 교통사고를 유발한다.In general, when the green light blinks, vehicle drivers operate the vehicle regardless of whether the pedestrian passes or not, thus creating psychological anxiety for pedestrians, and in severe cases, the vehicle passes through a crosswalk, causing a traffic accident.

또한, 학교 또는 주택단지 내의 횡단보도는 주의력과 판단력이 부족한 어린이들이 자주 통행하지만 이러한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통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제시하지 못한 실정이다.In addition, crosswalks in schools or residential complexes often pass by children who lack attention and judgment, but safety devices to induce these children to pass safely through crosswalks have not been presented.

따라서 종래에는 보행자를 통과 또는 차단하기 위한 차단봉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외팔보 구조를 갖는 차단봉을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부하가 집중되어 작동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Therefore, conventionally, a barrier bar or the like for passing or blocking a pedestrian is used, but this has a problem in that the load is concentrated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barrier bar having a cantilever structure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thereby reducing operating efficiency.

특히 일정길이 및 무게를 갖는 차단봉을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심한 흔들림이 발생하고 작동시간이 증가하여 긴급상황에서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문제를 갖게 되었다.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rotating a blocking rod having a certain length and weight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severe shaking occurs and the operation time increases, making it difficult to quickly respond in an emergency situation.

아울러 종래에는 야간 또는 우천시 시인성을 명확하게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지 못한 상태로 식별력이 부족한 어린이 또는 노약자 등이 쉽게 교통사고에 노출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children or the elderly who lack discrimination ability are easily exposed to traffic accidents, without having a means for clearly securing visibility at night or in rainy weather.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1068호(2006.11.13.)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31068 (2006.11.13.)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4407호(2010.04.29.)Korea Open Utility Model No. 20-2010-0004407 (2010.04.29.) 일본공개특허 제23058332호(2011.03.24.)Japanese Laid-Open Patent No. 23058332 (2011.03.24.)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50018호(2012.05.1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50018 (2012.05.18)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14885호(2013.10.2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14885 (2013.10.21.)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48044호(2014.12.3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48044 (Dec 31, 2014)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41210호(2015.12.1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41210 (2015.12.18.) 한국등록특허 제10-1838879호(2018.03.15.)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38879 (2018.03.1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정지할 수 있도록 시인성을 향상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crosswalks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by improving visibility so that pedestrians can stop at the crosswalk.

특히 본 발명은 연결부재와 간격조절부재의 상하 간격을 조절하여 보행자를 차단 또는 통과시킬 수 있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crosswalks capable of blocking or passing pedestrians by adjusting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횡단보도의 진입로 양측에 형성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20);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 일측을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에 있어서, The main body 11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ccess road of the crosswalk; A moving body 120 form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In the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a pedestrian crossing comprising a; connecting member 130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connect the upper one side of the moving body 120 to each other,

상기 이동몸체(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보조몸체(140); 상기 보조몸체(140)의 일측을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조절부재(150); 상기 이동몸체(12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보조몸체(140) 및 간격조절부재(150)가 상기 연결부재(130)와 수직방향으로 간격이 줄어들도록 조절하고, 상기 이동몸체(12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보조몸체(140) 및 간격조절부재(150)가 상기 연결부재(130)와 수직방향으로 간격이 멀어지도록 조절하는 간격 조절유닛(142); 상기 연결부재(130)와 간격조절부재(150)의 사이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여 상하 간격에 따라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도록 형성하는 시인성 확보부재(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xiliary body 140 form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moving body 120; At least one space adjusting member 150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connect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140 to each other; When the moving body 120 moves in the upper direction, the auxiliary body 140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150 are adjusted so that the gap is redu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connecting member 130, and the moving body 120 When moving in the lower direction, the auxiliary body 140 and the distance control member 150 is a distance control unit 142 for adjusting the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member 130 to increas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d a visibility securing member 160 formed to be unfolded or folded according to the vertical distance by connecting the connection member 130 and the space adjusting member 150 in a vertic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본체(110)의 외측 또는 일측에 형성하는 신호등(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traffic light 112 formed on the outside or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그리고 상기 이동몸체(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기 보조몸체(140)의 하부 또는 일측에 맞닿아 고정하여 상기 연결부재(130)와 간격조절부재(150)가 서로 멀어지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간격 조절구(124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formed to be fixed to the inner or outer side of the moving body 120 in contact with the lower or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140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130 and the distance adjustment member 150 can adjust the distance away from each oth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spacing control unit (124a).

또한, 상기 간격 조절구(124a)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위치 조절구(12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sition control unit (124b) formed to adjus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pace control unit (124a).

특히 상기 간격 조절유닛(142)은 상기 본체(110)의 내측 상부에 형성하는 연결구(142c); 상기 연결구(142c)에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보조몸체(140)의 일측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로프(142d); 상기 로프(142d)의 타단에 상기 이동몸체(12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로프(142d)와 함께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보조몸체(140)의 하부 또는 일측에 맞닿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구(142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spacing control unit 142 includes a connector 142c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A rope (142d) fixed to one end to the connector (142c) and formed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140)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moving body 120 moves upward at the other end of the rope (142d), it moves upward with the rope (142d)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or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140 to lift 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ocking hole (142e).

여기서 상기 걸림구(142e)는 상기 로프(142d)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보조몸체(140)와 맞닿는 거리에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130)와 간격조절부재(150)의 줄어드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locking hole (142e) adjusts the posit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pe (142d) to reduce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 130 and the distance adjustment member 150 according to the distance in contact with the auxiliary body (140).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djustable.

아울러 상기 간격 조절유닛(142)은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에 형성하는 고정구(142f); 상기 보조몸체(140)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고정구(142f)의 일측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로프(142d); 상기 로프(142d)의 타단에 상기 이동몸체(12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고정구(142f)와 맞닿아 상기 보조몸체(140)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구(142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tance adjustment unit 142 includes a fixture (142f)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120; A rope (142d) that fixes one end of the auxiliary body (140) and forms so as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fastener (142f) in a vertical direction; A locking hole (142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ope (142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xing member (142f) to lift the auxiliary body (140) upward when the moving body (120) moves upwar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때 상기 걸림구(142e)는 상기 로프(142d)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구(142f)와 맞닿는 거리에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130)와 간격조절부재(150)의 줄어드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locking hole 142e adjusts the posit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pe 142d to adjust the decreasing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130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150 according to the distance in contact with the fastener 142f.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본 발명은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정지할 수 있도록 시인성을 향상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by improving visibility so that pedestrians can stop at a crosswalk.

특히 본 발명은 보행자의 눈높이에 따라서 연결부재와 간격조절부재의 상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adjust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according to the eye level of the pedestrian.

도 1은 본 발명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crosswalks.
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crosswalks.
3 and 4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crosswal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to 7 are reference views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crosswalk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technical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crosswalks, 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crosswalks, and Figures 3 and 4 are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crosswalks, and FIGS. 5 to 7 are reference views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crosswal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횡단보도의 진입로 양측에 형성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20);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 일측을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에 있어서,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body 11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ccess road of the crosswalk; A moving body 120 form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In the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a pedestrian crossing comprising a; connecting member 130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connect the upper one side of the moving body 120 to each other,

상기 이동몸체(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보조몸체(140); 상기 보조몸체(140)의 일측을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조절부재(150); 상기 이동몸체(12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보조몸체(140) 및 간격조절부재(150)가 상기 연결부재(130)와 수직방향으로 간격이 줄어들도록 조절하고, 상기 이동몸체(12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보조몸체(140) 및 간격조절부재(150)가 상기 연결부재(130)와 수직방향으로 간격이 멀어지도록 조절하는 간격 조절유닛(142); 상기 연결부재(130)와 간격조절부재(150)의 사이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여 상하 간격에 따라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도록 형성하는 시인성 확보부재(160);를 포함한다.An auxiliary body 140 form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moving body 120; At least one space adjusting member 150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connect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140 to each other; When the moving body 120 moves in the upper direction, the auxiliary body 140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150 are adjusted so that the gap is redu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connecting member 130, and the moving body 120 When moving in the lower direction, the auxiliary body 140 and the distance control member 150 is a distance control unit 142 for adjusting the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member 130 to increase; And a visibility securing member 160 that connects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 130 and the spacing adjustment member 150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unfolded or folded according to the vertical gap.

특히 상기 본체(110)는 횡단보도의 진입로 양측 지면에 서로 바라보는 방향으로 한 쌍을 설치하되, 상부는 개방하여 내측으로 상기 이동몸체(120)가 삽입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main body 11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access road of the crosswalk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but the upper part is open so that the moving body 120 can be moved up and down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body 120 is inserted.

이때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레일(111); 상기 이동몸체(120)의 일측에 상기 레일(111)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레일 지지구(121);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몸체(120)가 상기 레일(111)을 따라서 원활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a rail 111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Including a rail support unit 121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111 on one side of the moving body 120, the moving body 120 is smooth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rail 111 You can move.

여기서 상기 레일 지지구(121)는 베어링 또는 롤러 및 LM블록 등을 이용하여 상기 레일(111)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Here, the rail support 121 may move vertically along the rail 111 using a bearing or a roller, an LM block, or the like.

특히 상기 본체(110)의 외측 또는 일측에 형성하는 신호등(112);을 포함하여 운전자가 현재 사용중인 신호등의 설치위치가 높거나 장애물로 인해서 쉽게 확인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신호등(112)을 확인하여 교통신호를 지킬 수 있다.In particular, traffic lights 112 formed outside or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including, if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traffic lights currently in use by the driver is high or cannot be easily identified due to obstacles, check the traffic lights 112 You can keep the signal.

이때 상기 신호등(112)은 현재 사용중인 교통 신호체계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raffic light 112 may automaticall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traffic signal system currently in use.

아울러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에 상기 본체(110)의 상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커버(122);를 포함하여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이 상기 본체(110)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ver 122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body 120 so as to block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including rainwater or foreign matte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10. have.

그리고 상기 커버(122)의 상부에 형성하는 경고 버저(125) 및 경광등(126);을 포함하여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교통신호에 따라서 안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 warning buzzer 125 and a warning light 126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ver 122 may be provided to guide vehicles or pedestrians according to a traffic signal.

또한,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상기 이동몸체(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동유닛(123);을 포함하며, 사용중인 교통 신호체계와 연동하여 상기 본체(110)를 상하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 driving unit 123 formed to move the moving body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main body 110; includes, and in conjunction with the traffic signal system in use, the main body 110 It can be op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러한 상기 구동유닛(123)은 상기 본체(110)의 내측 상부에 형성하는 제1회전체(123a); 상기 본체(110)의 내측 하부에 형성하는 제2회전체(123b); 상기 제2회전체(123b)와 연결하는 구동모터(123c); 상기 제1회전체(123a)와 제2회전체(123b)를 순환하여 상기 이동몸체(120)의 일측에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체(123d);를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123 includes a first rotating body 123a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10; A second rotating body (123b) formed o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A driving motor 123c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body 123b; And a connection body 123d formed to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ving body 120 by circulating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bodies 123a and 123b.

여기서 상기 제1회전체(123a) 및 제2회전체(123b)는 스프로킷 또는 풀리 등을 사용하고, 상기 연결체(123d)는 체인 또는 벨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123a and 123b may use a sprocket or a pulley, and the connecting body 123d may use a chain or a belt.

이때 상기 연결체(123d)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중량체(123e);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재(130) 및 간격조절부재(15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보행자를 차단한 상태에서 정전으로 상기 구동모터(123c)가 작동하지 않고 헛돌게 될 경우 자중에 의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대적으로 상기 이동몸체(120)와 연결부재(130) 및 간격조절부재(15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보행자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At this time, a weight body 123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body 123d; including the connection member 130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150 move downward to block the pedestrian, and the power failure causes the When the driving motor 123c does not operate and turns idle, the moving body 120, the connecting member 130,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150 are relatively moved upward by their own weight while moving downward. You can induce it to pass.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재(130) 및 간격조절부재(15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 등의 로프로 형성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130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150 are formed of a rope such as met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13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장력조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tension control unit form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connection member 130.

이를 위한 상기 장력조절유닛은 상기 이동몸체(120)의 내측에 형성하는 지지구(132); 상기 지지구(132)의 일측에 형성하는 탄성체(133); 상기 탄성체(133)와 맞닿은 상태로 상기 연결부재(130)의 일단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조절구(134);를 포함한다.For this, the tension control unit includes a support 132 formed on the inside of the moving body 120; An elastic body 133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132; It includes; a control member 134 formed to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130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elastic body 133.

즉, 상기 연결부재(130)의 일단과 결합하는 상기 조절구(134)가 상기 탄성체(133)의 탄성력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부재(13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That is, the adjusting device 134 coupled with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30 may move rear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33 to maintain a constant tens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30.

여기서 상기 탄성체(133)는 압축스프링을 사용하였다.Here, the elastic body 133 used a compression spring.

특히 상기 연결부재(130)의 일단과 상기 조절구(134)는 나사 결합형태로 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130)를 당기거나 밀면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Particularly,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30 and the adjusting member 134 are coupled in a screw-coupled form, so that the tension can be adjusted by pulling or pushing the connecting member 130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아울러 상기 이동몸체(120)의 내측 상부에 상기 연결부재(130)를 지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롤러(131);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재(130)가 상기 지지롤러(131)를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장력을 조절 및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ort roller 131 formed to rotate by supporting the connection member 130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moving body 120; including the connection member 130 along the support roller 131 The tension can be adjusted and maintained while moving smoothly.

그리고 상기 보조몸체(140)는 상기 이동몸체(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상기 간격조절부재(15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부재(130)와 상하 간격이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And the auxiliary body 140 is form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moving body 120, so that the gap adjustment member 15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connection member 130 and the vertical gap are Induces you to get closer or farther away.

특히 상기 보조몸체(140)는 자중에 의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상기 간격조절부재(150)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uxiliary body 140 may move downward by its own weight and at the same time move the gap adjusting member 150 downward.

여기서 상기 이동몸체(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레일(124); 상기 보조몸체(140)의 일측에 상기 레일(124)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레일 지지구(141);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 rail 124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moving body 120; It may include; a rail support 141 formed to move along the rail 124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140.

이때 상기 레일 지지구(141)는 베어링 또는 롤러 및 LM블록 등을 이용하여 상기 레일(124)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ail support 141 may move vertically along the rail 124 using a bearing or a roller, an LM block, or the like.

특히 상기 레일(124)의 하부 일측에 상기 보조몸체(140) 또는 상기 레일 지지구(141)의 하부와 맞닿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간격 조절구(124a); 상기 이동몸체(120)의 내측에 상기 간격 조절구(124a)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위치 조절구(124b);를 포함하여 자중에 의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보조몸체(140)를 정지시켜 상기 연결부재(130)와 간격조절부재(150)의 상하 간격을 유지 및 조절할 수 있다.In particular, a spacing adjuster (124a) formed to be stopped by conta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body 140 or the rail support member 141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ail 124; Stops the auxiliary body 140, which moves downward by its own weight, including a position adjuster 124b form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pacing adjuster 124a on the inside of the moving body 120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d adjust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130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150.

이때 상기 위치 조절구(124b)는 상기 간격 조절구(124a)와 나사 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위치 조절구(124b)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보조몸체(14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124b is a position in which the auxiliary body 140 moves downward by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124b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by screwing with the space adjusting device 124a. Can be adjusted.

한편, 상기 간격조절부재(15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바라보는 상기 보조몸체(140)의 일측에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되, 외부 충격 및 바람 등에 의해서 쉽게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acing adjustment member 150 is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140 facing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but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pport so as not to be easily shaken by external shocks and wind. At least one or more may be formed so as to b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부재(15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장력조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nd it may include a; tension control unit form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gap control member 150.

이러한 상기 장력조절유닛은 상기 보조몸체(140)의 내측에 형성하는 지지구(152); 상기 지지구(152)의 일측에 형성하는 탄성체(153); 상기 탄성체(153)과 맞닿은 상태로 상기 간격조절부재(150)의 일단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조절구(154);를 포함한다.The tension control unit includes a support 152 formed on the inside of the auxiliary body 140; An elastic body 153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152; It includes; an adjustment tool 154 formed to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gap adjustment member 150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elastic body 153.

즉, 상기 간격조절부재(150)의 일단과 결합하는 상기 조절구(154)가 상기 탄성체(153)의 탄성력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간격조절부재(15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That is, while the adjustment tool 154 coupled with one end of the gap adjustment member 150 moves back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53, the tension of the gap adjustment member 150 may be maintained constant.

여기서 상기 탄성체(153)는 압축스프링을 사용하였다.Here, the elastic body 153 was used as a compression spring.

특히 상기 간격조절부재(150)의 일단과 상기 조절구(154)는 나사 결합형태로 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간격조절부재(150)를 당기거나 밀면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Particularly, one end of the space adjusting member 150 and the adjusting device 154 are coupled in a screw-coupled form, so that the tension can be adjusted by pulling or pushing the space adjusting member 150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이때 상기 보조몸체(140)의 내측 또는 외측 상부에 상기 간격조절부재(150)를 지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롤러(151);를 포함하여 상기 간격조절부재(150)가 상기 지지롤러(151)를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장력을 조절 및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roller 151 formed to rotate by supporting the space control member 150 on the inner or outer upper part of the auxiliary body 140; including the space control member 150 is the support roller ( The tension can be adjusted and maintained while moving smoothly along 151).

한편, 상기 본체(110) 및 이동몸체(120)의 내측에 상기 이동몸체(12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보조몸체(140) 및 간격조절부재(150)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몸체(12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보조몸체(140) 및 간격조절부재(150)가 자중에 의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간격 조절유닛(142);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ving body 120 moves in the upper direction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the moving body 120, the auxiliary body 140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150 are lifted and moved upward, When the moving body 120 moves downward, the auxiliary body 140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150 may include a gap adjusting unit 142 configured to move downward by their own weight.

이를 위한 상기 간격 조절유닛(142)의 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유도롤러(142a,142b); 상기 본체(110)의 내측 상부에 형성하는 연결구(142c); 상기 연결구(142c)에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유도롤러(142a,142b)를 순환하여 상기 보조몸체(140)의 일측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로프(142d); 상기 로프(142d)의 타단에 상기 이동몸체(12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로프(142d)와 함께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보조몸체(140)의 하부 또는 일측에 맞닿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구(142e);를 포함한다.An embodiment of the spacing control unit 142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ure 2, guide rollers (142a, 142b)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ving body 120; A connector (142c)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A rope (142d) which fixes one end to the connector (142c) and circulates the guide rollers (142a, 142b)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140)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moving body 120 moves upward at the other end of the rope (142d), it moves upward with the rope (142d)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or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140 to lift it. It includes; to the locking hole (142e).

즉, 보행자를 차단할 경우 상기 보조몸체(14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로프(142d)를 관통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이동몸체(12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로프(142d)의 일단이 상기 연결구(142c)에 고정한 상태이므로 상대적으로 타단에 위치한 상기 걸림구(142e)가 점차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보조몸체(140)의 하부 또는 일측에 맞닿아 들어올리므로 상기 연결부재(130)와 간격조절부재(150)의 상하 간격이 줄어들면서 보행자를 통과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blocking a pedestrian, the auxiliary body 140 can penetrate the rope 142d while moving in the lower direction. Conversely, when the moving body 120 is moved upward, one end of the rope 142d Since it is fixed to the connector 142c, the locking hole 142e located at the other end relatively moves upward and comes in contact with the lower or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140 and lifts up,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130 and the As the upper and lower intervals of the interval adjusting member 150 are reduced, pedestrians may pass.

여기서 상기 걸림구(142e)는 상기 로프(142d)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상기 걸림구(142e)가 상기 보조몸체(140)의 하부 또는 일측과 맞닿는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보조몸체(140)와 간격조절부재(150)가 서로 상부방향으로 접히는 거리 또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locking hole 142e is formed to adjust the posit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pe 142d, so that the auxiliary body 140 adjusts the distance at which the locking hole 142e abuts the lower portion or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14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stance or spacing at which the body 140 and the spacing control member 150 are folded in the upper direction.

이때 상기 걸림구(142e)는 상기 로프(142d)와 나사 결합 또는 클램프 등과 같은 고정수단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cking hole 142e may be fixed using a fixing means such as a screw connection or a clamp with the rope 142d.

특히 상기 걸림구(142e)는 일정중량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로프(142d)가 쉽게 흔들리지 않도록 항상 수직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In particular, the locking hole 142e is formed to have a certain weight, so that the rope 142d is not easily shaken so that it can always be maintained in a vertical direction.

아울러 상기 간격 조절유닛(142)의 다른 실시예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유도롤러(142a,142b);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에 형성하는 고정구(142f); 상기 보조몸체(140)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유도롤러(142a,142b)를 순환하여 상기 고정구(142f)의 일측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로프(142d); 상기 로프(142d)의 타단에 상기 이동몸체(12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고정구(142f)와 맞닿아 상기 보조몸체(140)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구(142e);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tance adjustment unit 142 may include guide rollers 142a and 142b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120 as shown in FIG. 3; A fixture (142f)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120); A rope (142d) that fixes one end of the auxiliary body (140) and circulates the guide rollers (142a, 142b)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fixture (142f) in a vertical direction; A locking hole (142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ope (142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xing member (142f) to lift the auxiliary body (140) upward when the moving body (120) moves upward; Includes.

즉, 보행자를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보조몸체(14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보조몸체(140)의 일측에 고정한 상기 로프(142d)가 동시에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상기 이동몸체(12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로프(142d)의 타측에 위치한 상기 걸림구(142e)가 점차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구(142f)와 맞닿아 고정되므로 상대적으로 상기 이동몸체(120)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므로 상기 연결부재(130)와 간격조절부재(150)의 상하 간격이 줄어들면서 보행자를 통과시킬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block pedestrians, when the auxiliary body 140 moves downward, the rope 142d fixed to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140 simultaneously moves downward, and conversely, the moving body 120 When moving in the upward direction, the locking hole 142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pe 142d gradually moves upward and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fixing member 142f, so that the moving body 120 is relatively lifted in the upward direction. Therefore,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130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150 is reduced, and the pedestrian can pass.

여기서 상기 걸림구(142e)는 상기 로프(142d)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상기 걸림구(142e)가 상기 고정구(142f)와 맞닿는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보조몸체(140)와 간격조절부재(150)가 서로 상부방향으로 접히는 거리 또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locking hole 142e is formed to be able to adjust the posit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pe 142d to adjust the distance in which the locking hole 142e abuts the fastener 142f, and the auxiliary body 140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stance or spacing at which the spacing adjusting member 150 is folded upwardly from each other.

이때 상기 걸림구(142e)는 상기 로프(142d)와 나사 결합 또는 클램프 등과 같은 고정수단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cking hole 142e may be fixed using a fixing means such as a screw connection or a clamp with the rope 142d.

특히 상기 걸림구(142e)는 일정중량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로프(142d)가 쉽게 흔들리지 않도록 항상 수직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In particular, the locking hole 142e is formed to have a certain weight, so that the rope 142d is not easily shaken so that it can always be maintained in a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시인성 확보부재(160)의 상부 및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는 탈착부(161);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재(130)와 간격조절부재(150)의 지정위치에 탈착할 수 있다.Including a detachable portion 161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bove and below the visibility securing member 160, the connection member 130 and the spacing adjustment member 150 may be detached to a designated position.

또한, 상기 시인성 확보부재(16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재(130)와 간격조절부재(150)의 상하 간격에 따라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도록 유연성를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sibility securing member 160 may be formed of a rubber or synthetic resin material to secure flexibility so that it can be unfolded or folded according to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130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150.

특히 상기 시인성 확보부재(160)는 야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야광재질은 물론 야광물질이 표면에 도포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visibility securing member 160 may be coated with a luminous material as well as a luminous material on the surface so as to secure night visibility.

아울러 상기 시인성 확보부재(160)의 표면에는 경고문구 또는 광고문구 등을 표기할 수 있다.In addition, warning phrases or advertisement phrases may be marked on the surface of the visibility securing member 160.

따라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몸체(120) 및 연결부재(13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몸체(140)가 자중에 의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부재(130)와 간격조절부재(150)가 상하 간격이 멀어지고 동시에 상기 시인성 확보부재(160)가 펼쳐지면서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정지 및 대기할 수 있도록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moving body 120 and the connecting member 130 move downward and the auxiliary body 140 moves downward by their own weight, and the connecting member ( 130)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150, the vertical gap is increased and at the same time the visibility securing member 160 is unfolded to improve the visibility so that the pedestrian can stop and wait at the crosswalk.

반대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몸체(120) 및 연결부재(13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간격조절부재(15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부재(130)와 상하 간격이 줄어들고 동시에 상기 시인성 확보부재(160)가 접혀지면서 보행자가 간섭없이 횡단보도를 통과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moving body 120 and the connecting member 130 move upward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150 moves upward while the connecting member 130 As the upper and lower intervals are reduced and the visibility securing member 160 is folded at the same time, the pedestrian can pass through the crosswalk without interference.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to the extent substantially equal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100: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110: 본체 111: 레일
112: 신호등
120: 이동몸체 121: 레일 지지구
122: 커버 123: 구동유닛
123a: 제1회전체 123b: 제2회전체
123c: 구동모터 123d: 연결체
123e: 중량체 124: 레일
124a: 간격 조절구 124b: 위치 조절구
125: 경고 버저 126: 경광등
130: 연결부재 131: 지지롤러
132: 지지구 133: 탄성체
134: 조절구 140: 보조몸체
141: 레일 지지구 142: 간격 조절유닛
142a,142b: 유도롤러 142c: 연결구
142d: 로프 142e: 걸림구
142f: 고정구
150: 간격조절부재 151: 지지롤러
152: 지지구 153: 탄성체
154: 조절구 160: 시인성 확보부재
100: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crosswalks
110: main body 111: rail
112: traffic light
120: moving body 121: rail support
122: cover 123: drive unit
123a: first rotating body 123b: second rotating body
123c: drive motor 123d: connector
123e: weight 124: rail
124a: spacing adjuster 124b: position adjuster
125: warning buzzer 126: warning light
130: connecting member 131: support roller
132: support 133: elastic body
134: adjuster 140: auxiliary body
141: rail support 142: gap adjustment unit
142a, 142b: guide roller 142c: connector
142d: rope 142e: hook
142f: fixture
150: gap adjustment member 151: support roller
152: support 153: elastic body
154: adjuster 160: visibility securing member

Claims (8)

횡단보도의 진입로 양측에 형성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20);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 일측을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보조몸체(140); 상기 보조몸체(140)의 일측을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조절부재(150); 상기 이동몸체(12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보조몸체(140) 및 간격조절부재(150)가 상기 연결부재(130)와 수직방향으로 간격이 줄어들도록 조절하고, 상기 이동몸체(12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보조몸체(140) 및 간격조절부재(150)가 상기 연결부재(130)와 수직방향으로 간격이 멀어지도록 조절하는 간격 조절유닛(142); 상기 연결부재(130)와 간격조절부재(150)의 사이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여 상하 간격에 따라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도록 형성하는 시인성 확보부재(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The main body 11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ccess road of the crosswalk; A moving body 120 form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In the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a pedestrian crossing comprising a; connecting member 130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connect the upper one side of the moving body 120 to each other,
An auxiliary body 140 form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moving body 120; At least one or more spacing adjustment members 150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connect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140 to each other; When the moving body 120 moves upward, the auxiliary body 140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150 are adjusted so that the gap is redu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connecting member 130, and the moving body 120 When moving in the lower direction, the auxiliary body 140 and the spacing adjusting member 150 ar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ng member 130 in a vertical direction to adjust the distance adjustment unit 142; A pedestrian crossing comprising: a visibility securing member 160 that connects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130 and the gap adjusting member 150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unfolded or folded according to the vertical gap. safety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외측 또는 일측에 형성하는 신호등(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The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pedestrian crossing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a traffic light 112 formed outside or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기 보조몸체(140)의 하부 또는 일측에 맞닿아 고정하여 상기 연결부재(130)와 간격조절부재(150)가 서로 멀어지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간격 조절구(124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member 130 and the distance adjustment member 150 are fixed to each other by abutting and fixing to the lower or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140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moving body 120.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pedestrian crossing comprising;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구(124a)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위치 조절구(12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The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pedestrian crossing according to claim 3, comprising: a position control unit (124b) formed to adjus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distance control unit (124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유닛(142)은 상기 본체(110)의 내측 상부에 형성하는 연결구(142c); 상기 연결구(142c)에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보조몸체(140)의 일측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로프(142d); 상기 로프(142d)의 타단에 상기 이동몸체(12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로프(142d)와 함께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보조몸체(140)의 하부 또는 일측에 맞닿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구(142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tance control unit (142) is a connector (142c)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A rope (142d) fixed to one end to the connector (142c) and formed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140)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moving body 120 moves upward at the other end of the rope (142d), it moves upward with the rope (142d)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or one side of the auxiliary body 140 to lift it. A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a pedestrian crossing, comprising: a locking hole (142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142e)는 상기 로프(142d)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보조몸체(140)와 맞닿는 거리에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130)와 간격조절부재(150)가 서로 줄어드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ocking hole (142e) adjusts the posit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pe (142d) according to the distance in contact with the auxiliary body (140), the connection member (130) and the distance adjustment member (150)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pedestrian cros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pacing that decreases from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유닛(142)은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에 형성하는 고정구(142f); 상기 보조몸체(140)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고정구(142f)의 일측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로프(142d); 상기 로프(142d)의 타단에 상기 이동몸체(12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고정구(142f)와 맞닿아 상기 보조몸체(140)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구(142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ace control unit (142) is a fixture (142f)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120); A rope (142d) that fixes one end of the auxiliary body (140) and forms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fastener (142f) in a vertical direction; A locking hole (142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ope (142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xing member (142f) to lift the auxiliary body (140) upward when the moving body (120) moves upward;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pedestrian cros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142e)는 상기 로프(142d)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구(142f)와 맞닿는 거리에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130)와 간격조절부재(150)가 서로 줄어드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locking hole (142e) by adjusting the posit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pe (142d) according to the distance in contact with the fixing member (142f), the connection member 130 and the distance adjustment member 150 Pedestrian safety device for crosswalk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pacing that decreases from each other.
KR1020190171244A 2019-12-19 2019-12-19 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KR1022216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244A KR102221649B1 (en) 2019-12-19 2019-12-19 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244A KR102221649B1 (en) 2019-12-19 2019-12-19 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649B1 true KR102221649B1 (en) 2021-03-02

Family

ID=75169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244A KR102221649B1 (en) 2019-12-19 2019-12-19 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64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192A1 (en) * 2021-03-31 2022-10-06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Safety device for pedestrians in crosswalk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433Y1 (en) * 2000-10-25 2001-04-16 김재현 Supporting device of adjustment pipe for adjusting height of stat for restricting passable height of vehicles
KR200400235Y1 (en) * 2005-08-09 2005-11-04 한성무 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KR200431068Y1 (en) 2006-08-31 2006-11-13 이동기 For pedestrian passing cut safety device of the pedestrian crossing
KR100777657B1 (en) * 2007-04-13 2007-11-19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KR100850797B1 (en) * 2007-11-21 2008-08-11 (주)디엔테크 Crossing gate for crosswark
KR20100004407U (en) 2008-10-21 2010-04-29 (주)디엔테크 Crossing gate for crosswalk
JP2011058332A (en) 2009-09-14 2011-03-24 Koei Industry Co Ltd Passage intercepting machine
KR20120050018A (en) 2010-11-10 2012-05-18 성동희 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KR20130114885A (en) 2012-04-10 2013-10-21 신상희 Safety apparatus for passing of cross walk
KR20140148044A (en) 2013-06-21 2014-12-31 이동훈 Vehicle and pedestrian traffic off the system off automatic opening device Organization
KR20150141210A (en) 2014-06-09 2015-12-18 금광스테인레스 주식회사 Automatic shutter apparatus for safety in passing crosswalk
KR20170003119A (en) * 2015-06-30 2017-01-09 지범준 Multifunction fence
KR101838879B1 (en) 2016-11-02 2018-03-15 그린계기(주) 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433Y1 (en) * 2000-10-25 2001-04-16 김재현 Supporting device of adjustment pipe for adjusting height of stat for restricting passable height of vehicles
KR200400235Y1 (en) * 2005-08-09 2005-11-04 한성무 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KR200431068Y1 (en) 2006-08-31 2006-11-13 이동기 For pedestrian passing cut safety device of the pedestrian crossing
KR100777657B1 (en) * 2007-04-13 2007-11-19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KR100850797B1 (en) * 2007-11-21 2008-08-11 (주)디엔테크 Crossing gate for crosswark
KR20100004407U (en) 2008-10-21 2010-04-29 (주)디엔테크 Crossing gate for crosswalk
JP2011058332A (en) 2009-09-14 2011-03-24 Koei Industry Co Ltd Passage intercepting machine
KR20120050018A (en) 2010-11-10 2012-05-18 성동희 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KR20130114885A (en) 2012-04-10 2013-10-21 신상희 Safety apparatus for passing of cross walk
KR20140148044A (en) 2013-06-21 2014-12-31 이동훈 Vehicle and pedestrian traffic off the system off automatic opening device Organization
KR20150141210A (en) 2014-06-09 2015-12-18 금광스테인레스 주식회사 Automatic shutter apparatus for safety in passing crosswalk
KR20170003119A (en) * 2015-06-30 2017-01-09 지범준 Multifunction fence
KR101838879B1 (en) 2016-11-02 2018-03-15 그린계기(주) 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192A1 (en) * 2021-03-31 2022-10-06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Safety device for pedestrians in crosswal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2868B1 (en)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KR200400235Y1 (en) 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KR100777657B1 (en) 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KR101119952B1 (en) Traffic safety apparatus for pedestrian crossing and variable lane
KR102003832B1 (en) Speeding brakes on roads with buffering capability
KR102221649B1 (en) 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KR101621016B1 (en) Pole of traffic signal or street light
CN107119592A (en) A kind of road maintenance caution device
KR101842607B1 (en) Height adjustable warning lamp mounting structure
KR20100127899A (en) Apparatus to control entrance of vehicles
KR101669771B1 (en) Crossing Road Blocking Device on the Pedestrian and Bicycle Path linked to the Traffic Lights
KR101740267B1 (en) School zone crosswalk system using railroad pattern
KR101713157B1 (en) Marking apparatus for the crossroad line
KR20120050018A (en) A safety equipment for pedestrian
CN213925964U (en) Bridge height limiting device for municipal highway
CN111576276B (en) Pedestrian crossing safety facility
KR100945676B1 (en) Overspeed preventing hump system
CN112227241A (en) Crossroad blind area deceleration strip at bottom of viaduct
KR20110049423A (en) Safety apparatus on a crosswalk
KR101197134B1 (en) Bicycle rail for stairs
KR20110085169A (en) Led bollard
CN219569507U (en) Construction work platform for road lighting engineering
KR200226452Y1 (en) A brige-railing have a luminous unit
KR102260837B1 (en) Safety apparatus for crosswalk
KR102565457B1 (en) for lighting bracket capable of angle adju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