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563B1 -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 - Google Patents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563B1
KR102221563B1 KR1020200049047A KR20200049047A KR102221563B1 KR 102221563 B1 KR102221563 B1 KR 102221563B1 KR 1020200049047 A KR1020200049047 A KR 1020200049047A KR 20200049047 A KR20200049047 A KR 20200049047A KR 102221563 B1 KR102221563 B1 KR 102221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plug
hole
ai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태
정철호
오병진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9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18Details; Accessories
    • F23C10/20Inlets for fluidisation air, e.g. grids; Bott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1/00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 F22B31/0007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노즐을 구성하는 각 부품들을 독립된 개별체로 구성하여 분해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냉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 보수에 대한 효율성 및 경제성을 높이고 고온 마모 방지를 통한 기계적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로를 향해 공기가 이송되는 관로를 제공하며, 일측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되 둘레에는 관로와 통하는 복수의 토출공이 형성된 노즐 파이프; 상기 노즐 파이프의 개구부를 덮어씌워 상기 토출공을 감싸며, 상기 노즐 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둘레에는 상기 토출공을 통해 토출된 공기가 연소로 내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복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노즐캡; 및 상기 노즐캡을 상기 노즐 파이프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캡에는 노즐캡의 내외부를 통하게 하는 중앙통공이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중앙통공을 통해 상기 노즐캡을 노즐 파이프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노즐 파이프의 내주면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는 노즐 파이프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인플러그가 위치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인플러그에 결합되고, 상기 인플러그는 상기 토출공과 상기 노즐캡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인플러그에는 노즐 파이프의 관로와 상기 중앙통공을 통하게 하는 냉각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인플러그를 통해 상기 중앙통공에 위치되며, 암나사가 형성된 노즐 플러그; 및 상기 노즐 플러그에 나사 결합된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An air-nozzle of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본 발명은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지 보수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고, 기계적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에 관한 것이다.
유동층(fluidized bed) 연소 기술은 현재까지 개발된 연소 기술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새로운 석탄 연소이용 방식으로서 석탄을 적당하게 분쇄하여 만든 석탄 입자들과 석회석과 같은 유동 매체의 혼합가루 층에 적정속도의 공기를 불어넣어 부유 유동층(suspended fluidzed bed)상태로 만들어 연소시키는 방법이다. 이 기술은 그 독특한 연소 원리 때문에 재래식 석탄 연소 기술에 비하여 여러 가지 석탄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연소시 비교적 안정성을 잘 유지시킬 수 있고 낮은 온도에서도 연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질 연탄이나 원탄 폐석까지도 연소를 가능하게 하고 석회석의 엉겨붙음을 막으며 그 때문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부작용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NOx라는 공해성 기체(과열 때문에 공기중 질소가 산화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를 적게 배출하고 보일러 제작시 특수재료를 많이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보일러를 제작할 수 있다.
유동층 연소를 위해 순환 유동층 보일러가 제공되며, 순환 유동층 보일러는 열에너지를 발생하여 스팀을 생산한다. 이때 생산된 스팀은 터빈으로 공급되어 터빈을 구동시킴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순환 유동층 보일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로(20)의 하단에 공기가 투입되는 제1에어노즐(50)이 구비되고, 상기 연소로(20)의 측면에 공기가 투입되는 제2에어노즐(30)과 상기 제2에어노즐(30) 하단에서 연료탄이 투입되는 연료투입관(40)이 구비된다. 연소로(fluidized bed combustor)(20)에서는 수백개의 에어노즐(50,30)을 통해 공기가 연료탄을 향해 분사됨에 따라 상기 연료탄은 유동되면서 연소된다. 연료탄이 유동될 때, 입자가 작은 층물질은 순환되면서 연료탄과 열교환되고, 층물질이 연료탄과 열교환됨에 따라 연소로의 온도 편차가 감소된다. 상기 에어노즐(50,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캡(C)과 노즐 파이프(P)로 구성되며, 공기는 노즐 파이프(P)를 따라 노즐캡(C)을 통해 분사된 후 분사공(H)을 통해 토출된다. 이러한 종래의 에어노즐(50,30)은 노즐캡(C)과 노즐 파이프(P)가 일체로 용접되어 있어, 에어노즐(50,30)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일체형 에어노즐(50,30)은 간단한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용접부를 절단하여 보수하는 등, 정비 작업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될 뿐만아니라 작업성이 떨어지며, 절단 및 용접하는 과정이 반복될 경우 에어노즐(50,30)의 강성이 저하되어 기계적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신규 에어노즐로 교체할 경우 수입에 의존하는 고가의 에어노즐로 인해 교체 비용 부담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종래의 에어노즐(50,30)은 간단한 청소조차 이루어지기가 용이하지 않은 설계적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일체형 에어노즐(50,30)은 냉각 효율성이 떨어짐에 따라, 용접부위에 열응력이 집중되면서 용접부 크립(creep)과 피로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일체형 에어노즐은 고온 마모 방지를 위한 설계적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7-003140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노즐을 구성하는 각 부품들을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상호간에 분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 보수 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고, 고온에 의한 열응력이 집중되는 부위에 복수의 통공을 마련하여 냉각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고온 마모 방지 효율성을 높인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로를 향해 공기가 이송되는 관로를 제공하며, 일측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되 둘레에는 관로와 통하는 복수의 토출공이 형성된 노즐 파이프; 상기 노즐 파이프의 개구부를 덮어씌워 상기 토출공을 감싸며, 상기 노즐 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둘레에는 상기 토출공을 통해 토출된 공기가 연소로 내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복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노즐캡; 및 상기 노즐캡을 상기 노즐 파이프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캡에는 노즐캡의 내외부를 통하게 하는 중앙통공이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중앙통공을 통해 상기 노즐캡을 노즐 파이프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노즐 파이프의 내주면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는 노즐 파이프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인플러그가 위치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인플러그에 결합되고, 상기 인플러그는 상기 토출공과 상기 노즐캡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인플러그에는 노즐 파이프의 관로와 상기 중앙통공을 통하게 하는 냉각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인플러그를 통해 상기 중앙통공에 위치되며, 암나사가 형성된 노즐 플러그; 및 상기 노즐 플러그에 나사 결합된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은 각 부품들이 분해 및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자는 에어노즐 유지 보수 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일부 부품만 교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시 비용 절감을 통한 경제성을 높일 수 있으며, 용접에 따른 화기 작업이 소요되지 않으므로 유지 보수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은 열응력이 집중되는 부위에 복수의 통공들을 형성함으로써, 연소로 내에서의 고온에 대한 냉각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고온 마모 방지에 따른 기계적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순환 유동층 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을 구성하는 인플러그와 노즐 플러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이하, '에어노즐'이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에어노즐은 각 부품들간 분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에어노즐은 유지 보수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부분별 교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에어노즐은 열응력이 집중되는 상부에 복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에어노즐의 표면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에어노즐은 고온 마모 방지를 위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기계적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에어노즐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파이프(100)와, 노즐캡(200)과, 인플러그(300)와, 결합수단(400)을 포함한다.
노즐 파이프(100)는 연소로(20)를 향한 공기의 이송관로를 제공하며, 관체로 제공된다. 노즐 파이프(100)의 일측에는 관로의 내외부를 통하게 하는 개구부(110)가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상 노즐 파이프(100)의 일측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파이프(00)의 상부측을 말하기로 한다. 노즐 파이프(100)의 상부 둘레면에는 그 둘레면을 따라 복수의 토출공(120)이 형성된다. 토출공(120)은 노즐 파이프(100)의 관로를 통해 이송되는 공기가 노즐 파이프(100) 밖으로 토출되는 통공으로써 노즐 파이프(100)의 둘레면에 형성된다. 토출공(120)은 공기의 토출 통로로써의 역할 및 후술하는 노즐캡(200)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공으로써의 역할을 겸한다. 토출공(120)은 노즐 파이프(100)의 둘레면에 복수로 형성됨으로써 노즐캡(200) 냉각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노즐 파이프(100)의 상부 내주면에는 단턱(130)이 형성된다. 단턱(130)은 후술하는 인플러그(3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단턱(130)의 위치는 노즐 파이프(100)의 개구부(11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며, 후술하는 인플러그(300)가 단턱(130)에 안착되었을 때 인플러그(300)와 노즐 파이프(100)의 상단 사이에 높이차가 발생할 수 있는 곳에 단턱(130)이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노즐캡(200)은 에어노즐의 상부를 구성하며, 노즐 파이프(100)와 분리될 수 있도록 독립된 개체로 제공된다. 노즐캡(200)은 노즐 파이프(100)의 개구부(110)를 덮어씌울 수 있도록 하방이 개구된 형태로 제공되며, 노즐캡(200)의 내경은 노즐 파이프(100)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노즐캡(200)와 노즐 파이프(100) 사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격이 발생하며, 그 유격은 토출공(120)을 통해 토출된 공기가 연소로(20)를 향해 이송되는 관로 역할을 하게 된다. 노즐캡(200)의 하단부는 상기 유격으로 인한 직경차를 보상하여 노즐 파이프(100)와 노즐캡(200)간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내향 절곡 형성된다. 노즐캡(200)의 상부에는 중앙통공(210)이 형성되고, 노즐캡(200)의 하단부 둘레면에는 복수의 분사공(220)이 형성된다. 중앙통공(210)은 노즐캡(200)의 내외부가 통하도록 양측이 관통된 형태이며, 결합수단(400)의 설치를 위해 제공된다. 또한 중앙통공(210)은 노즐 파이프(100)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냉각공으로써의 역할도 겸한다. 분사공(220)은 연소로(20)를 향해 공기가 분사되는 통로로써, 노즐캡(200)의 하단부 둘레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인플러그(300)는 노즐 파이프(100)에 노즐캡(200)을 결합시키기 위한 매개수단으로써, 노즐 파이프(100)의 내측에 위치된다. 인플러그(300)는 노즐 파이프(100)의 토출공(120)과 노즐 파이프(100)의 개구부(1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인플러그(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노즐 플러그(100)의 단턱(130)에 위치된다. 인플러그(300)는 단턱(130)에 위치되더라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파이프(100)의 상단과 높이차가 발생하므로 노즐캡(200)과는 일정 높이의 에어공간(A)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에어공간(A)은 노즐 파이프(100)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머무를 수 있으므로 노즐캡(200)의 냉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인플러그(300)는 노즐 파이프(10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노즐 파이프(100)의 단턱(130)에 안착된다. 인플러그(300) 역시 독립적으로 구성됨에 따라 에어노즐은 유지 보수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부품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인플러그(300)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결합수단(400)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310)이 형성되고, 결합공(310)의 양측에는 각각 냉각공(320)이 형성된다. 결합공(310)은 인플러그(300)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결합공(310)의 상부는 단턱(311)을 형성한다. 단턱(311)의 형성으로 인해 결합공(310)의 상부 직경과 하부 직경은 차이가 발생한다. 이는 후술하는 노즐 플러그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냉각공(320)은 노즐 파이프(100)의 관로를 따라 이송되는 공기를 인플러그(300) 상방의 중앙통공(210)으로 가이드하여 노즐캡(200)의 냉각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노즐 파이프(100)의 관로를 따라 이송되는 공기는 토출공 뿐만아니라 인플러그(300)의 냉각공(320)을 통해 노즐캡(200)의 중앙통공(210)으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공냉에 따른 노즐캡(200)의 냉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결합수단(400)은 노즐 파이프(100)에 노즐캡(20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확하게는 결합수단(400)은 노즐캡(200)을 노즐 파이프(100)의 인플러그(3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합수단(400)은 노즐 플러그(410)와, 볼트(420)와, 체결플레이트(430)를 포함한다. 노즐 플러그(410)는 인플러그(300)를 통해 상방으로 돌출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노즐 플러그(410)는 인플러그(300)를 통해 중앙통공(210)에 위치되며, 노즐 플러그(410)의 외경은 중앙통공(210)의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노즐 플러그(410)와 중앙통공(210) 간 직경차에 의해 노즐 플러그(410)와 중앙통공(210)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하며 그 유격은 인플러그(300)의 냉각공(320)에 대응된다. 노즐 플러그(410)는 중공(中空)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암나사를 형성한다. 노즐 플러그(410)의 하단부 직경은 노즐 플러그(410)의 상단부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노즐 플러그(410)의 하단부 및 상단부 직경차로 인해 노즐 플러그(410)의 하단부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노즐 플러그(410)의 하단부는 인플러그(300)의 결합공(310)에 위치되며, 인플러그(300)의 결합공(310)에 형성된 단턱(311)에 걸려 구속된다. 볼트(420)는 노즐캡(200)의 중앙통공(210)을 통해 노즐 플러그(4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체결플레이트(430)는 노즐 플러그(410)와 중앙통공(210) 간 직경차에 의해 발생한 간격을 보상하기 위해 볼트(420)의 구속력을 노즐캡(2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체결플레이트(430)의 직경은 중앙통공(210)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며 노즐캡(200)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체결플레이트(430)의 중앙에는 볼트(420)가 통과하는 볼트공(431)이 형성되며, 볼트공(431)의 양측에는 각각 플레이트공(432)이 형성된다. 플레이트공(432)은 중앙통공(210) 및 인플러그(300)의 냉각공(320)에 대응되며 노즐캡(200)의 냉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제공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노즐 결합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작업자는 인플러그(300)의 하방에서 결합공(310)을 통해 노즐 플러그(410)를 삽입시킨다. 노즐 플러그(410)는 인플러그(300)의 결합공(310)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되며 노즐 플러그(410)의 하단부는 결합공(310)에 형성된 단턱(311)에 걸려 지지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노즐캡(200)을 노즐 파이프(100)의 상부에 덮어씌운다. 노즐캡(200)은 노즐 파이프(100)의 상단에 안착되며 노즐 파이프(100)의 상부를 감싼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캡(200)과 인플러그(300) 사이에는 인플러그(300)와 노즐 파이프(100)의 상단 사이의 높이차로 인한 에어공간(A)이 형성된다. 또한, 인플러그(300)의 상방으로 돌출된 노즐 플러그(410)는 노즐캡(200)의 중앙통공(210)에 위치된다. 작업자는 노즐캡(200)의 상면에 체결플레이트(430)를 위치시키고, 볼트(420)를 노즐 플러그(410)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에어노즐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에어노즐은 연소로 내부에 위치되고, 공기는 노즐 파이프(100)의 관로를 통해 계속해서 이송된다. 공기는 토출공(120) 및 분사공을 통해 (220)연소로 내부에 지속적으로 분사되면서 연소로 내부의 연료를 유동시킨다. 또한, 공기는 노즐 파이프(100) 상부의 인플러그(300) 냉각공(320)을 통해 중앙통공(210)으로 배출되면서 노즐캡(200)의 상부를 냉각시킨다. 즉, 에어노즐 상부에는 냉각공(320), 중앙통공(210), 플레이트공(432) 및 에어공간(A) 등 공기가 배출되거나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므로 에어노즐의 냉각 효율성은 극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노즐이 고온의 연소로 내부에 위치되더라도, 에어노즐은 냉각 효율성이 높으므로 고온에 따른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인플러그와 노즐 플러그의 결합 구성은 쐐기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인플러그(300)에 형성된 결합공(3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을 형성하고, 노즐 플러그(410)의 하단부 역시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인플러그(300)에 대한 노즐 플러그(41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플러그(4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인플러그(300)의 결합공(310)은 장공(長空)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 플러그(410)가 삽입된 결합공(310)은 결합공(310)의 타원형과 노즐 플러그(410)의 원형 형상 차이에 따른 공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공간은 공기가 빠져나가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플러그(300)는 상기와 같이 결합공(310)과 노즐 플러그(410)의 형태 차이로 인해 형성된 공간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냉각공(320)을 대신할 수 있으며, 인플러그(310)에 별도의 냉각공(320) 구성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유동츨 보일러의 에어노즐은 에어노즐을 구성하는 각 부품들을 독립된 객체로 구성하여 분해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열응력이 집중되어 고온 마모가 발생할 수 있는 에어노즐의 상부에 복수의 통공을 구성하여 공냉을 통한 고온 마모를 방지하였다. 이에 따라, 에어노즐 유지 보수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고 부분 교체를 통한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냉각 효율성을 높여 고온 마모 방지를 통한 기계적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노즐 파이프 110 : 개구부
120 : 토출공 130,311 : 단턱
200 : 노즐캡 210 : 중앙통공
220 : 분사공 300 : 인플러그
310 : 결합공 400 : 결합수단
410 : 노즐 플러그 420 : 볼트
430 : 체결플레이트 431 : 볼트공
432 : 플레이트공

Claims (1)

  1.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로를 향해 공기가 이송되는 관로를 제공하며, 일측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되 둘레에는 관로와 통하는 복수의 토출공이 형성된 노즐 파이프;
    상기 노즐 파이프의 개구부를 덮어씌워 상기 토출공을 감싸며, 상기 노즐 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둘레에는 상기 토출공을 통해 토출된 공기가 연소로 내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복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노즐캡; 및
    상기 노즐캡을 상기 노즐 파이프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캡에는 노즐캡의 내외부를 통하게 하는 중앙통공이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중앙통공을 통해 상기 노즐캡을 노즐 파이프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노즐 파이프의 내주면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는 노즐 파이프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인플러그가 위치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인플러그에 결합되고,
    상기 인플러그는 상기 토출공과 상기 노즐캡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인플러그에는 노즐 파이프의 관로와 상기 중앙통공을 통하게 하는 냉각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인플러그를 통해 상기 중앙통공에 위치되며, 암나사가 형성된 노즐 플러그; 및 상기 노즐 플러그에 나사 결합된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
KR1020200049047A 2020-04-23 2020-04-23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 KR102221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047A KR102221563B1 (ko) 2020-04-23 2020-04-23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047A KR102221563B1 (ko) 2020-04-23 2020-04-23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753A Division KR102153032B1 (ko) 2019-11-13 2019-11-13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563B1 true KR102221563B1 (ko) 2021-03-02

Family

ID=7516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047A KR102221563B1 (ko) 2020-04-23 2020-04-23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5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9894A (zh) * 2014-03-19 2014-07-23 南京凯盛开能环保能源有限公司 一种可拆卸旋转防磨型流化床锅炉风帽
US20160281977A1 (en) * 2013-12-11 2016-09-29 Doosan Lentjes Gmbh Air distribution nozzle and a fluidized bed reactor
KR20170031407A (ko) 2015-09-11 2017-03-21 한국전력공사 순환 유동층 보일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81977A1 (en) * 2013-12-11 2016-09-29 Doosan Lentjes Gmbh Air distribution nozzle and a fluidized bed reactor
CN103939894A (zh) * 2014-03-19 2014-07-23 南京凯盛开能环保能源有限公司 一种可拆卸旋转防磨型流化床锅炉风帽
KR20170031407A (ko) 2015-09-11 2017-03-21 한국전력공사 순환 유동층 보일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7861B2 (en) Gas turbine combustor
KR102153032B1 (ko)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
AU2012375461B2 (en) Turbomachine combustor assembly
JP5911672B2 (ja) タービンエンジン用の燃焼器ライナ
US8281594B2 (en) Fuel injector for use in a gas turbine engine
US7316117B2 (en) Can-annular turbine combustors comprising swirler assembly and base plate arrangements, and combinations
US9038396B2 (en) Cooling apparatus for combustor transition piece
JP5340410B2 (ja) バーナ用燃料ランス
JP2016011828A (ja) 燃焼器冷却構造
US20060174631A1 (en) Turbine engine combustor with bolted swirlers
RU2541482C2 (ru) Горелка и газовая турбин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ую горелку
US20140230442A1 (en) Gas Turbine Combustor Equipped with Heat-Transfer Device
US9188336B2 (en) Assemblies and apparatus related to combustor cooling in turbine engines
CN101776013A (zh) 用以增强燃气涡轮发动机中的过渡导管冷却的方法和装置
JP2004340564A (ja) 燃焼器
JP2013185813A (ja) ガスタービンのための燃料ノズルおよび燃焼器
US20120234012A1 (en) Impingement sleeve and methods for designing and forming impingement sleeve
JP2013194734A (ja) ガスタービンを流れる高温ガスを循環させ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3238389A (ja) タービンシステム用の冷却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1876452A (zh) 用于涡轮机的喷射装置
JP2013170814A (ja) 燃焼ライナガイドストッパ及び燃焼器を組み立てる方法
US20110083440A1 (en) High strength crossover manifold and method of joining
KR102221563B1 (ko)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에어노즐
US20110110761A1 (en) Gas turbine having an improved cooling architecture
CN105972637B (zh) 具有双壁的燃烧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