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535B1 - 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535B1
KR102221535B1 KR1020190060820A KR20190060820A KR102221535B1 KR 102221535 B1 KR102221535 B1 KR 102221535B1 KR 1020190060820 A KR1020190060820 A KR 1020190060820A KR 20190060820 A KR20190060820 A KR 20190060820A KR 102221535 B1 KR102221535 B1 KR 102221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ensors
humidity
valu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795A (ko
Inventor
타카다 마사키
강성민
히라키 카츠요시
사토 오사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0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535B1/ko
Priority to JP2021566953A priority patent/JP7269374B2/ja
Priority to PCT/KR2020/000917 priority patent/WO2020235768A1/ko
Priority to US17/613,223 priority patent/US20220221415A1/en
Publication of KR20200134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2Circuits particularly adapted therefor, e.g. linearising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5Circuits
    • G01N27/046Circuits provided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14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 G01N27/4141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specially adapted for gas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7/00Simultaneous control of variable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5D1/00 - G05D25/00
    • G05D27/02Simultaneous control of variable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5D1/00 - G05D25/00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에는 복수의 주사선, 적어도 하나의 검출선 및 상기 복수의 주사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출선이 교차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센서에는, 후각센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SENSOR ASSEMBLY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간의 오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기술적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인간의 후각을 모방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자세하게는, 냄새의 화학적 성분을 탐지하고 분석하는 후각센서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후각센서는 냄새를 구성하는 물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정보를 통해 냄새의 종류, 농도, 특징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상기 후각센서는 사람처럼 냄새를 식별할 수 있다. 그를 통하여,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나 음식물의 부패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은 특정 냄새에 오래 노출되는 경우 그 냄새에 익숙해져 다른 냄새를 맡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후각센서는 쉽게 피로해지는 사람의 후각을 대신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후각센서는 사람이 분간하기 어려운 극소량의 냄새 물질까지도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각센서는 온도 및 습도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상기 후각센서가 감지하는 냄새입자 또는 가스입자의 농도가 낮은 경우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후각센서는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따른 보정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온도 및 습도의 변화를 고려한 후각센서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이 공개된 바 있다.
1. 일본 공개특허 : JP2004-93241 (공개일자 : 2003년 11월 6일)
2. 발명의 명칭 : 가스센서 특성 보상장치 및 가스농도 측정장치
상기 선행문헌은 후각센서의 일 종인 가스센서의 온도 및 습도의 변화를 고려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상기 가스센서의 근방에 습도센서 및 온도센서를 배치하고, 그로부터 얻은 습도값 및 온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가스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보정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때, 상기 선행문헌은 가스센서, 습도센서 및 온도센서를 별도의 장치로 구비하고 있다. 그에 따라, 각 센서장치의 설치 및 유지관리를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체 장치의 소형화 및 집적화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장치로 구비되는 상기 가스센서, 상기 습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는 물리적으로 떨어져 배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가스센서의 결과값에 영향을 주는 온도값 및 습도값이 정확하게 측정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가스센서에서의 습도 및 온도와 상기 습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가 설치된 공간의 습도 및 온도는 서로 상이할 가능성있다. 따라서, 상이한 공간의 습도값 및 온도값을 통해, 상기 가스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보정하여도 정확한 값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후각센서, 습도센서 및 온도센서를 하나의 설치공간에 구비하고, 후각값, 습도값 및 온도값을 함께 출력하는 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후각값은 같은 설치공간 내에 설치된 습도값 및 온도값에 의해 보정되어 출력됨에 따라, 비교적 정확한 후각값을 출력하는 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는 후각센서, 습도센서 및 온도센서가 정렬되어 배치되어 하나의 장치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후각센서, 상기 습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는 복수의 주사선 및 적어도 하나의 검출선이 교차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된다. 즉, 상기 후각센서, 상기 습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에는, 복수의 주사선, 상기 복수의 주사선과 교차되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선 및 상기 복수의 주사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출선이 교차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센서에는, 냄새 성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감지재료가 구비된 후각센서,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감지재료가 구비된 온도센서 및 습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감지재료가 구비된 습도센서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센서는 복수의 후각센서와 단일의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센서는 복수의 후각센서, 복수의 온도센서 및 복수의 습도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의 제어방법을 통해 후각센서의 반응값, 온도센서의 반응값 및 습도센서의 반응값을 보다 간편하게 함께 얻을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후각센서의 반응값을 상기 온도센서의 반응값 및 상기 습도센서의 반응값으로 보정함에 따라, 보다 정확한 후각값을 얻을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의 제어방법에는, n(n은 1보다 큰 자연수)개의 주사선 및 m(m은 1이상의 자연수)개의 검출선이 교차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되는 [1,1]센서 내지 [n,m]센서가 포함된다.
일단, 상기 [1,1]센서 내지 [n,m]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포함된 감지재료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도록 반응한다.
그리고, 상기 [1,1]센서 내지 [n,m]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포함된 감지재료가 습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도록 반응한다.
그리고, 상기 [1,1]센서 내지 [n,m]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포함된 감지재료가 냄새 성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도록 반응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반응값을 통해 온도값, 습도값 및 후각값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냄새 성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도록 반응한 값을,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도록 반응한 값 및 습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도록 반응한 값으로 보정하여 상기 후각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해결수단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후각센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하나의 센서 어셈블리로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후각센서,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습도센서가 복수의 주사선 및 적어도 하나의 검출선이 교차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됨에 따라, 비교적 쉽게 제어하여 검출값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값으로 상기 후각센서에서 감지된 값을 보정하여 보다 정확한 후각값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후각센서,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습도센서는 하나의 장치 내에 구비되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매우 인접하게 위치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온도 및 습도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습도센서는 단일로 구비되고 나머지는 모두 후각센서로 구비됨에 따라, 보다 많은 개수의 후각센서를 통해 보다 정확한 후각값을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후각센서,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습도센서를 모두 복수 개로 구비하여 감지된 값의 평균값을 도출함에 따라, 보다 정확한 온도값, 습도값 및 후각값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가 설치된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의 최소단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의 출력값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의 센서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의 센서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의 센서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가 설치된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0)는 냉장고(1)에 설치될 수 있다.
<설치예 : 냉장고>
상기 냉장고(1)에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2) 및 상기 캐비닛(2)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냉장고 도어(3, 4)가 포함된다.
상기 캐비닛(2)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보관되는 저장실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실에는, 냉장실(5) 및 상기 냉장실(5)의 하방에 위치되는 냉동실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냉동실은 상기 냉장실(5)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냉장고(1)는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에 해당된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냉장고(1)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 및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에는, 상기 냉장실(5)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3) 및 상기 냉동실을 개폐시키는 냉동실 도어(4)가 포함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3) 및 상기 냉동실 도어(4)에는, 좌우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3) 및 상기 냉동실 도어(4)는 회전가능하게 상기 캐비닛(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냉장실 도어(3) 및 상기 냉동실 도어(4)는 다양한 형태 및 개수로 상기 캐비닛(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 어셈블리(10)는 상기 냉장실(5)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냉장실(5)을 형성하는 내벽에 상기 센서 어셈블리(10)가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센서 어셈블리(10)는 상기 냉장실(5)의 내부에 해당되는 물리값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0)는 온도값, 습도값 및 후각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온도값, 습도값 및 후각값은 각각 온도에 대한 물리량, 습도에 대한 물리량 및 냄새에 대한 물리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어셈블리(10)는 상기 냉장실(5)의 내부에 해당되는 온도값, 습도값 및 후각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각값은 상기 냉장실(5)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특정 냄새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어셈블리(10)는 부패된 음식물의 냄새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 어셈블리(10)는 상기 냉장실(5)의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이 부패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상기 냉장고(1)에 음식물을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도 1과 같은 센서 어셈블리(10)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 상기 센서 어셈블리(10)는 어느 장소에나 설치되어 온도값, 습도값 및 후각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센서 어셈블리(10)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어셈블리(10)에는, 감응부(11), 제어부(20) 및 검출부(30)가 포함된다.
상기 감응부(11)는 소정의 온도, 습도 및 냄새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자세하게는, 상기 감응부(11)는 소정의 온도, 습도 및 냄새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감응재료가 배치되는 구성에 해당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응부(11)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 감응부(11) 중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응부(11)에 의한 감지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소정의 전원부(6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60)는 상기 감응부(11)에 의한 감지 타이밍을 상기 제어부(2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부(6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응부(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30)는 상기 감응부(11)에서 감지된 냄새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구성이다. 자세하게는, 상기 검출부(30)는 상기 감응부(11)에서 전달된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는 회로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출부(30)는 검출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검출부(30)에서 전달된 정보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는 통신부(50)를 통해 상기 검출부(30)에서 전달된 정보를 외부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바일기기이거나 홈 네트워크에 해당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감응부(11)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동작되고, 상기 검출부(30)는 상기 감응부(11)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검출부(30)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전달받는다.
이와 같은 센서 어셈블리(1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일부 구성이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0)에서 필수적인 구성은 상기 감응부(11), 상기 제어부(20) 및 상기 검출부(30)에 해당된다.
이하, 상기 감응부(11)의 구성 및 상기 감응부(11)와 상기 제어부(20) 및 상기 검출부(30)의 연결관계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의 최소단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응부(11)에는 복수의 센서(100)가 포함된다.
상기 센서(10)에는 감지재료(500)가 포함된다. 상기 감지재료(500)는 온도, 습도 및 냄새에 따라 저항치가 변화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재료(500)는 무기재료, 유기재료 또는 무기재료 및 유기재료의 복합재료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재료는 도전성 고분자나 유기반도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재료는 산화물 반도체(metal oxide semiconductor), 화합물 반도체 또는 단일의 원소로 이루어지는 반도체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재료(500)에는 다양한 종류의 재료가 모두 포함된다
그리고, 하나의 센서(100)에는 하나의 감지재료(500)가 포함된다. 즉, 상기 감응부(11)에는 상기 센서(100)의 개수와 대응되는 복수의 감지재료(500)가 포함된다. 도 3을 참고하면, 3개의 센서(100) 및 상기 센서(100)에 각각 포함된 3개의 감지재료(500)가 도시되었다.
이때, 상기 감지재료(500)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물질인 경우, 해당 감지재료(500)가 설치된 센서(100)는 온도센서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재료(500)가 습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물질인 경우, 해당 감지재료(500)가 설치된 센서(100)는 습도센서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재료(500)가 냄새 성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물질인 경우, 해당 감지재료(500)가 설치된 센서(100)는 후각센서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0)에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후각센서가 포함된다. 즉, 상기 복수의 센서(100)에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후각센서가 포함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3개의 센서(100)는 각각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후각센서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100)에는, 상기 감지재료(5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감지재료 전원(VDD, Voltage Drain Drain, 502)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감응부(11)에는, 상기 제어부(20)와 연결되는 주지선(gate line, 200)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감응부(11)에는, 상기 검출부(30)와 연결되는 검출선(300)이 포함된다. 상기 센서(100)는 상기 주지선(200) 및 상기 검출선(30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센서(100)에는 트랜지스터(600)가 포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600)는 상기 감지재료(500)와 상기 검출선(300)의 접속을 전환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특히, 상기 트랜지스터(600)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600)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주지선(200)을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600)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600)는 해당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검출선(300)과 상기 감지재료(500)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0)에는 상기 주사선(200)에 순차적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시프트 레지스터(미도시)가 포함된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복수 개로 구비된 주사선(200)에 순차적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0)가 순차적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주사선(200)의 개수 및 순서는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감응부(11)에는, 상기 센서(100), 상기 주지선(200) 및 상기 검출선(300)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센서(100)은 상기 주지선(200) 및 상기 검출선(300)과 모두 연결되도록, 상기 주지선(200)과 상기 검출선(300)이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감응부(11)에는 복수의 센서(100)가 구비된다. 그에 따라, 상기 주지선(200) 및 상기 검출선(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센서(100)가 3개가 설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주지선(200)과 상기 검출선(300)의 교차되는 부분이 3개 이상 마련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상기 주지선(200)이 3개가 마련되어 3개의 센서(10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어셈블리(10)에는 상기 제어부(20)와 상기 검출부(30)를 연결하는 전달선(400)이 포함된다. 상기 전달선(400)을 통해 상기 검출부(30)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감응부(11)가 최소단위로 설계된 형태를 도시하였다. 자세하게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후각센서가 각각 하나씩 구비된 형태를 도시하였다. 이는 상기 감응부(11)의 일 예에 불과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상기 감응부(11)의 형태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이해의 편의상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실제와는 상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4는 일반적인 센서 어셈블리의 형태를 도 3에 대응되는 회로의 형태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서 센서 및 감지재료를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응부(11)에는 n개의 주지선(200) 및 m 개의 검출선(300)이 포함된다. 이때, 1보다 큰 자연수에 해당되고, m은 1이상의 자연수에 해당된다. 도 4 및 도 5에서는 n 및 m이 3이상인 경우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상 도시된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n개의 주지선(200)을 제 1 주지선(210), 제 2 주지선(220) 내지 제 n 주지선(290)으로 표현한다. 이때, 상기 제 1 주지선(210)은 상기 제어부(20)로부터 가장 먼저 신호를 받는 주지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주지선(220)은 상기 제 1 주지선(210)의 다음으로 신호를 받는 주지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주지선(210), 상기 제 2 주지선(220) 내지 상기 제 n 주지선(290)은 상기 제어부(20)로 부터 신호를 받는 순서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이해의 편의상, 상기 제 1 주지선(210), 상기 제 2 주지선(220) 내지 상기 제 n 주지선(290)을 차례로 정렬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m개의 검출선(300)을 제 1 검출선(310), 제 2 검출선(320) 내지 제 m 검출선(390)으로 표현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검출선(310), 상기 제 2 검출선(320) 내지 상기 제 m 검출선(390)은 상기 검출부(3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30)에는 복수의 검출회로가 포함된다. 상기 검출회로는 상기 감지재료(500)의 저항치에 따라 변화되는 값을 검출하는 회로로 이해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검출회로에는, 검출저항 및 변환부(ADC, A/D Converter)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재료(500)의 저항치에 따라 전압값(Vadc)이 변화되고, 상기 변환부에 의해 이와 같은 변화값이 검출된다. 즉, 상기 감지재료(500)에서 감지되는 온도, 습도 및 냄새에 따른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출부(30)에는, 상기 검출선(30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의 검출회로가 포함된다. 다시 말하면, 하나의 검출선(300)에 하나의 검출회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검출부(30)에는 m개의 검출선(300)에 대응하는 m개의 검출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검출회로는 제 1 검출회로(31), 제 2 검출회로(32) 내지 제 m 검출회로(39)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검출선(300)과 각 검출회로가 대응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검출선(310)은 상기 제 1 검출회로(31)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검출선(320)은 상기 제 2 검출회로(32)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검출회로(31), 상기 제 2 검출회로(32) 내지 상기 제 m 검출회로(39)는 상기 전달선(400)과 연결된다. 즉, 상기 제 1 검출회로(31), 상기 제 2 검출회로(32) 내지 상기 제 m 검출회로(39)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20)로 전달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100)는 상기 주지선(200) 및 상기 검출선(300)과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센서(100)는 상기 주지선(200)과 상기 검출선(300)이 교차되는 지점에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개의 주지선(200)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세로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m개의 검출선(300)은 세로방향으로 연장되고 가로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주지선(200)이 행을 형성하고, 상기 검출선(300)이 열을 형성하여, 일종의 행렬구조(매트릭스)가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주지선(210)에 상기 제 1 검출선(310) 내지 상기 제 m 검출선(390)이 가로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검출선(310) 내지 상기 제 m 검출선(390)과 교차되도록 상기 제 2 주지선(220) 내지 제 n 주지선(290)이 세로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100)는 상기 제 1 주지선(210) 내지 제 n 주지선(290)과 상기 제 1 검출선(310) 내지 상기 제 m 검출선(390)가 교차되는 지점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센서(100)는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정열되어 배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감응부(11)에는 n*m개의 센서(1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각 센서를 결합되는 주지선 및 검출선의 번호에 따라 명칭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주지선(210) 및 상기 제 1 검출선(310)에 결합되는 센서는 [1, 1]센서(111)라 한다. 또한, 제 n 주지선(290) 및 상기 제 m 검출선(390)에 결합되는 센서는 [n,m]센서(199)라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주지선(210)에는 상기 [1,1]센서(111) 및 [1,2]센서(112) 내지 [1,m]센서(119)가 차례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검출선(310)에는, 상기 [1,1]센서(111) 및 [2,1]센서(121) 내지 [n,1]센서(191)가 차례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센서의 배치에 따라 상기 감응부(11)에는 n*m개 보다 많은 수의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주지선에 연결된 한 쌍의 센서가 하나의 검출선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감응부(11)에는 n*m*2개의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센서가 상기 주지선의 개수 및 상기 검출선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n개의 주지선, m개의 검출선 및 n*m개의 센서가 구비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센서(100)에는 하나의 감지재료(500)가 포함된다. 즉, 상기 감응부(11)에는 동일한 개수의 센서(100) 및 감지재료(500)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감지재료는 각 센서와 대응되도록 명칭한다. 예를 들어, 상기 [1,1]센서(111)에 구비되는 감지재료는 [1,1]감지재료(511)라 한다. 또한, 상기 [n,n]센서(199)에 구비되는 감지재료는 [n,m]감지재료(599)라 한다.
이하, 상기 센서 어셈블리(1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센서 어셈블리(10)를 통해 도 6에 기재된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어셈블리(10)가 동작을 시작하면 A는 1로 설정된다(S10). 이때, A는 주사선(200)의 구별을 위한 임의의 수로 이해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주사선(200)은 n개로 마련되기 때문에, A는 1 내지 n 중 하나의 자연수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제 A 주사선이 ON된다(S20). 이때, 상기 제 A 주사선이 ON된다는 것은 상기 제 A 주사선에 위치된 센서가 작동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제 A 주사선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즉, 상기 제 A 주사선에 위치된 센서로 제어신호가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제 A 주사선에 위치된 센서는 [A,1]센서 내지 [A,m]센서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1]센서 내지 [A,m]센서에 구비된 트랜지스터(600)가 작동된다. 즉, 상기 [A,1]센서 내지 [A,m]센서에 구비된 감지재료(500)가 반응하여 소정의 출력값이 발생된다.
상기 센서 어셈블리(10)가 동작을 시작하면 A는 1로 설정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주사선(210)이 ON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제 1 주사선(210)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주사선(210)에 위치된 상기 [1,1]센서(111), 상기 [1, 2]센서(112) 내지 [1,m]센서(119)로 제어신호가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1,1]센서(111) 내지 [1,m]센서(119)의 반응을 검출한다(S30). 자세하게는, [1,1]감지재료(511), [1,2]감지재료(512) 내지 [1,m]감지재료(519)의 반응을 검출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A,1]센서 내지 [A,m]센서에서 발생된 출력값은 제 1 검출선(310) 내지 제 m 검출선(390)을 따라 제 1 검출회로(31) 내지 제 m 검출회로(39)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검출회로(31) 내지 제 m 검출회로(39)는 상기 [A,1]센서 내지 [A,m]센서에서 발생된 출력값을 각각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1,1]센서(111) 내지 [1,m]센서(119)에서 발생된 출력값은 제 1 검출선(310) 내지 제 m 검출선(390)을 따라 제 1 검출회로(31) 내지 제 m 검출회로(39)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검출회로(31) 내지 제 m 검출회로(39)는 상기 [1,1]센서(111) 내지 [1,m]센서(119)에서 발생된 출력값을 각각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A 주사선이 OFF된다(S40). 이때, 상기 제 A 주사선이 OFF된다는 것은 상기 제 A 주사선에 위치된 센서의 작동을 중지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A,1]센서 내지 [A,m]센서에서 발생된 출력값이 상기 제 1 검출선(310) 내지 제 m 검출선(390)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 1 주사선(210)이 OFF된다. 그에 따라, 상기 [1,1]센서(111) 내지 [1,m]센서(119)의 작동이 중지된다. 즉, 상기 [1,1]센서(111) 내지 [1,m]센서(119)의 출력값이 상기 제 1 검출선(310) 내지 제 m 검출선(390)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A+1이 A로 설정된다(S50). 즉, 하나의 주사선의 출력값을 얻은 후, 다음 주사선의 출력값을 얻기 위하여 A가 변경된다.
그리고, A가 n보다 큰지 판단한다(S6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는 1 내지 n 중 하나의 값에 해당되기 때문에, A가 n보다 큰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제 n 주사선까지 존재하기 때문에, A가 n보다 큰 경우는 더이상 해당되는 주사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1로 설정되었던 A가 1+1값인 2로 설정된다. 그리고, n은 1보다 큰 자연수에 해당되기 때문에 2는 n보다 큰 수가 될 수 없다. 따라서, 도 6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주사선(220)이 ON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제 2 주사선(220)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주사선(220)에 위치된 상기 [2,1]센서(121), 상기 [2,2]센서(122) 내지 [2,m]센서(129)로 제어신호가 전달된다. 그리고, [2,1]감지재료(521), [2,2]감지재료(522) 내지 [2,m]감지재료(529)가 반응한다.
그에 따라, 상기 [2,1]센서(121) 내지 [2,m]센서(129)에서 발생된 출력값은 제 1 검출선(310) 내지 제 m 검출선(390)을 따라 상기 제 1 검출회로(31) 내지 제 m 검출회로(39)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검출회로(31) 내지 제 m 검출회로(39)는 상기 [2,1]센서(121) 내지 [2,m]센서(129)에서 발생된 출력값을 각각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주사선(220)이 OFF된다. 그에 따라, 상기 [2,1]센서(121) 내지 [2,m]센서(129)의 작동이 중지된다.
그리고, 다시 A+1이 A로 설정되고, A가 n보다 큰지 판단한다. 따라서, 2로 설정되었던 A가 2+1값인 3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n이 2인 경우는 상기 주지선(200)이 2개로 마련된 경우에 해당된다. 즉, 상기 제 1 주지선(210) 및 상기 제 2 주지선(220)만 존재하고, 상기 제 1 주지선(210) 및 상기 제 2 주지선(220)은 ON/OFF를 완료하였다.
따라서, 더이상 ON/OFF될 수 있는 주지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A가 n보다 큰 값이 되는 경우 모든 주지선(200)의 ON/OFF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ON/OFF가 완료된 것은 해당 주지선(200)에 위치된 센서(100)의 출력값이 검출된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제 1 주지선(210)이 ON/OFF되며, 상기 [1,1]센서(111) 내지 [1,m]센서(119)의 출력값이 검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주지선(220)이 ON/OFF되며, 상기 [2,1]센서(121) 내지 [2,m]센서(129)의 출력값이 검출된다.
이와 같이 차례로 상기 제 1 주지선(210)에서 상기 제 n 주지선(290)이 ON/OFF되며, 상기 [1,1]센서(111)에서 [n,m]센서(199)의 출력값이 검출된다.
따라서, A가 n보다 큰 값이 되는 경우 모든 주지선(200)에 위치된 센서(100)의 출력값이 검출된 것을 의미한다. 즉, A가 n보다 큰 값이 되는 경우, 모든 센서(100)의 출력값이 검출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70). 자세하게는, 상기 검출부(30)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상기 전달선(400)을 통해 상기 제어부(20)로 전송한다.
이때, 이와 같은 데이터의 전송은 하나의 주지선의 검출된 완료된 후 바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주지선(210)이 OFF됨과 동시에 상기 [1,1]센서(111) 내지 상기 [1,m]센서(119)의 검출값이 상기 제어부(20)로 전송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응부(11)에 배치된 모든 센서(100)의 검출값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검출값을 통해 온도값, 습도값 및 후각값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후각값은 온도값 및 습도값에 의해 보정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센서 어셈블리(10)에 도출되는 출력값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의 출력값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어셈블리(10)에는 후각센서(100a), 온도센서(100b) 및 습도센서(100c)가 포함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후각센서(100a), 상기 온도센서(100b) 및 상기 습도센서(100c)에는, 각각 후각,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재료(500)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서, 상기 후각센서(100a), 상기 온도센서(100b) 및 상기 습도센서(100c)에서 감지된 값이 상기 검출부(30)에 검출되어 상기 제어부(20)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온도센서(100b)에서 감지된 값에 따라 온도값(B)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습도센서(100c)에서 감지된 값에 따라 습도값(C)을 출력한다. 이때, 출력된다는 것은 사용자나 서버에 해당 값을 전송하거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어셈블리(10)가 상기 냉장고(1)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냉장고(1)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에 감지된 온도값(B) 및 습도값(C)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0)는 상기 후각센서(100a)에서 감지된 값을 상기 온도센서(100b) 및 상기 습도센서(100c)에서 감지된 값으로 보정한다. 실제로 상기 온도센서(100b) 및 상기 습도센서(100c)에서 감지된 값도 소정의 조건에 따라 보정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센서 어셈블리(10)에는, 데이터부(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데이터부(40)는 상기 제어부(20)에 포함된 구성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부(40)에는, 온도 및 습도에 따른 후각값의 변화에 대한 자료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후각센서(100a)에서 감지된 값을 상기 데이터부(40)에 저장된 자료와 상기 온도센서(100b) 및 상기 습도센서(100c)에서 감지된 값으로 보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후각센서(100a)에서 감지된 값을 온도보정(S80) 및 습도보정(S90)한다.
이때, 상기 온도보정(S80) 및 상기 습도보정(S90)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서는 상기 온도보정(S80)을 먼저 수행하고, 상기 습도보정(S90)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같은 순서에 제한되지 않는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데이터부(40)에 저장된 온도의 변화에 대한 후각값의 변화에 대한 자료에서 상기 온도센서(100b)에서 감지된 값을 대입하여 조정값을 도출한다. 그리고, 상기 후각센서(100a)에서 감지된 값을 해당 자료에서 도출된 조정값으로 보정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후각센서(100a)에서 감지된 값을 상기 온도센서(100b)에서 감지된 값으로 온도보정(S80)한다.
또힌,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데이터부(40)에 저장된 습도의 변화에 대한 후각값의 변화에 대한 자료에서 상기 습도센서(100c)에서 감지된 값을 대입하여 조정값을 도출한다. 그리고, 상기 후각센서(100a)에서 감지된 값을 해당 자료에서 도출된 조정값으로 보정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후각센서(100a)에서 감지된 값을 상기 습도센서(100c)에서 감지된 값으로 습도보정(S90)한다.
이와 같이, 상기 후각센서(100a)에서 감지된 값은 상기 온도보정(S80) 및 상기 습도보정(S90)을 통해 후각값(A)으로 출력된다.
정리하면, 상기 센서 어셈블리(10)는 후각값(A), 온도값(B) 및 습도값(C)을 통합적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후각값(A)은 상기 온도값(B) 및 상기 습도값(C)에 의해 보정된 값에 해당된다.
이하, 상기 센서(100)에 구비된 상기 감지재료(500)의 종류 및 배치에 대하여 다양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감지재료(500)의 종류 및 배치에 따라 검출된 값을 통한 분석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의 센서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16개의 센서 및 각 센서에 구비되는 16개의 감지재료를 도시하였다. 이는 설명의 편의상, 예시적으로 설정한 숫자에 해당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실시 예 ; 복수의 후각센서 및 단일의 온도,습도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어셈블리(10a)에는, 복수의 센서(100)가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센서(100)에는 각각 감지재료(5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센서(100)에는 복수의 후각센서(100a) 및 단일의 온도센서(100b), 습도센서(100c)가 포함된다.
즉, 상기 센서 어셈블리(10a)에는 1개의 온도센서(100b) 및 1개의 습도센서(100c)가 포함된다. 그리고, 나머지 센서는 모두 후각센서(100a)에 해당된다.
이는 상기 온도보정(S80) 및 상기 습도보정(S90)을 위해, 상기 온도센서(100b) 및 상기 습도센서(100c)를 설치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100b) 및 상기 습도센서(100c)는 1개로도 비교적 정확한 온도값(B) 및 습도값(C)을 출력하기 때문에 많은 수가 필요없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 어셈블리(10a)에는 [1,1]센서(711) 내지 [4,4]센서(74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1,1]센서(711) 내지 [4,4]센서(744)에는, 하나의 온도센서(100b) 및 습도센서(100c)가 포함된다. 즉, 상기 센서 어셈블리(10a)에는 14개의 후각센서(100a)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1,1]센서(711) 내지 [4,4]센서(744)에는, [1,1]감지재료(811) 내지 [4,4]감지재료(844)가 각각 포함된다. 이때, 이해의 편의상 습도에 따른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재료는 세모로 표시하고, 습도에 따른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재료는 네모로 표시하였다. 더하여, 냄새에 따른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재료는 동그라미로 표시하였다.
다만, 도 5에서 표시된 감지재료는 모두 동그라미로 표시되었으나, 이는 감지재료를 구분하지 않고 표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도 5에 표시된 감지재료에는 냄새에 따른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재료만 포함된 것은 아니다.
그에 따라, [1,4]감지재료(814)는 습도에 따른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재료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또한, [4,1]감지재료(841)는 온도에 따른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재료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즉, [1,4]센서(714)는 습도센서에 해당되고, [4,1]센서(741)는 온도센서에 해당된다.
그리고, 나머지 감지재료는 냄새에 따른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재료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1,4]센서(714) 및 상기 [4,1]센서(741)를 제외한 상기 [1,1]센서(711) 내지 [4,4]센서(744)는 후각센서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습도센서 및 온도센서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 상기 습도센서 및 온도센서는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1,1]센서(711), [1,2]센서(712), [1,3]센서(713) 및 [1,4]센서(714)의 출력값이 검출된다. 그리고, [2,1]센서(721), [2,2]센서(722), [2,3]센서(723) 및 [2,4]센서(724)의 출력값이 검출된다. 그리고, 상기 [3,1]센서(731), [3,2]센서(732), [3,3]센서(733) 및 [3,4]센서(734)의 출력값이 검출된다.
마지막으로, [4,1]센서(741), [4,2]센서(742), [4,3]센서(743) 및 [4,4]센서(744)의 출력값이 검출된다. 그리고, 상기 [1,1]센서(711) 내지 [4,4]센서(744)의 출력값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2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1,4]센서(714)의 출력값을 습도값(C)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4,1]센서(741)의 출력값을 온도값(B)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1,4]센서(714) 및 상기 [4,1]센서(741)의 출력값을 통해 상기 [1,4]센서(714) 및 상기 [4,1]센서(741)를 제외한 상기 [1,1]센서(711) 내지 [4,4]센서(744)의 출력값을 보정한다. 이와 같이 보정된 값을 후각값(A)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센서 어셈블리(10a)는 후각값(A), 온도값(B) 및 습도값(C)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단일의 온도센서(100b) 및 습도센서(100c)를 구비하여 보다 많은 개수의 후각센서(100a)를 설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센서 어셈블리(10a)는 보다 측정정밀도 및 분석정밀도가 높은 후각값을 도출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 ; 복수의 후각센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어셈블리(10b)에는, 복수의 센서(100)가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센서(100)에는 각각 감지재료(5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센서(100)에는 복수의 후각센서(100a) 및 복수의 온도센서(100b)와 습도센서(100c)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100b) 및 상기 습도센서(10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센서(100b) 및 상기 습도센서(100c)가 모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100b)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습도센서(100c)는 단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도센서(100c)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온도센서(100b)는 단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00b) 또는 상기 습도센서(100c)는 온도값(B) 및 습도값(C)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서 어셈블리(10b)가 비교적 많은 개수의 센서(100)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온도센서(100b) 또는 상기 습도센서(100c)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100b) 및 상기 습도센서(100c)의 개수는 상기 후각센서(100c)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센서 어셈블리(10b)에는 상기 후각센서(100c)가 상기 온도센서(100b) 및 상기 습도센서(100c)보다 더 많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100b) 및 상기 습도센서(100c)의 개수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10b)의 필요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의 변화가 많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센서 어셈블리(10b)에는 보다 많은 개수의 온도센서(100b)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10b)에 복수 개의 온도센서(100b) 및 복수 개의 습도센서(100c)가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습도센서(100c)의 개수가 상기 온도센서(100b)의 개수보다 더 많은 경우를 도시하였다. 다만, 이는 예시적이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 어셈블리(10b)에는 [1,1]센서(911) 내지 [4,4]센서(94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1,1]센서(911) 내지 [4,4]센서(944)에는, 복수의 온도센서(100b), 습도센서(100c) 및 후각센서(100a)가 포함된다. 즉, 상기 센서 어셈블리(10a)에는 각각 2개 이상의 온도센서(100b), 습도센서(100c) 및 후각센서(100a)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1,1]센서(911) 내지 [4,4]센서(944)에는, [1,1]감지재료(1011) 내지 [4,4]감지재료(1044)가 각각 포함된다. 이때, 이해의 편의상 습도에 따른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재료는 세모로 표시하고, 습도에 따른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재료는 네모로 표시하였다. 더하여, 냄새에 따른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재료는 동그라미로 표시하였다.
그에 따라, [1,4]감지재료(1014), [2,3]감지재료(1023) 및 [4,1]감지재료(1041)는 습도에 따른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재료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즉, [1,4]센서(914), [2,3]센서(923) 및 [4,1]센서(941)는 습도센서에 해당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센서 어셈블리(10b)에는 3개의 습도센서가 포함된다.
또한, [2,2]감지재료(1022) 및 [3,4]감지재료(1034)는 온도에 따른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재료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즉, [2,2]센서(922) 및 [3,4]센서(934)는 온도센서에 해당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센서 어셈블리(10b)에는 2개의 온도센서가 포함된다.
그리고, 나머지 감지재료는 냄새에 따른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재료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1,4]센서(914), [2,3]센서(923), [4,1]센서(941), [2,2]센서(922) 및 [3,4]센서(934)를 제외한 상기 [1,1]센서(911) 내지 [4,4]센서(944)는 후각센서에 해당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1,1]센서(911), [1,2]센서(912), [1,3]센서(913) 및 [1,4]센서(914)의 출력값이 검출된다. 그리고, [2,1]센서(921), [2,2]센서(922), [2,3]센서(923) 및 [2,4]센서(924)의 출력값이 검출된다. 그리고, 상기 [3,1]센서(931), [3,2]센서(932), [3,3]센서(933) 및 [3,4]센서(934)의 출력값이 검출된다.
마지막으로, [4,1]센서(941), [4,2]센서(942), [4,3]센서(943) 및 [4,4]센서(944)의 출력값이 검출된다. 그리고, 상기 [1,1]센서(911) 내지 [4,4]센서(944)의 출력값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2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1,4]센서(914), [2,3]센서(923) 및 [4,1]센서(941)의 출력값을 통해 습도값(C)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1,4]센서(914), [2,3]센서(923) 및 [4,1]센서(941)의 출력값의 평균값을 상기 습도값(C)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2,2]센서(922) 및 [3,4]센서(934)의 출력값을 통해 온도값(B)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2,2]센서(922) 및 [3,4]센서(934)의 출력값의 평균값을 상기 온도값(B)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1,4]센서(914), [2,3]센서(923), [4,1]센서(941), [2,2]센서(922) 및 [3,4]센서(934)를 제외한 상기 [1,1]센서(911) 내지 [4,4]센서(944)의 출력값을 보정한다. 그리고, 보정된 값을 후각값(A)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4]센서(914), [2,3]센서(923) 및 [4,1]센서(941)의 출력값의 평균값을 통해 습도보정(S90)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2]센서(922) 및 [3,4]센서(934)의 출력값의 평균값을 통해 온도보정(S80)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센서 어셈블리(10b)는 후각값(A), 온도값(B) 및 습도값(C)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온도센서(100b) 및 습도센서(100c)를 구비하여 보다 정확한 온도값(B) 및 습도값(B)을 출력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보정된 후각값(A)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 어셈블리(10b)는 보다 정확한 후각값(A), 온도값(B) 및 습도값(C)을 출력할 수 있다.
<제 3 실시 예 ; 서로 다른 종류의 후각센서와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어셈블리(10c)에는, 복수의 센서(100)가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센서(100)에는 각각 감지재료(5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센서(100)에는 복수의 후각센서(100a) 및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100b)와 습도센서(100c)가 포함된다.
즉, 상기 온도센서(100b) 및 상기 습도센서(100c)는 도 8과 같이 단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9와 같이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에서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10c)에 단일의 온도센서(100b) 및 습도센서(100c)가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센서 어셈블리(10c)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감지재료를 포함하는 복수의 후각센서(100a)가 포함된다. 이때, 다른 종류의 감지재료는 서로 다른 냄새입자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 어셈블리(10c)에는 [1,1]센서(1111) 내지 [4,4]센서(114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1,1]센서(1111) 내지 [4,4]센서(1144)에는, 하나의 온도센서(100b) 및 습도센서(100c)가 포함된다. 즉, 상기 센서 어셈블리(10c)에는 14개의 후각센서(100a)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1,1]센서(1111) 내지 [4,4]센서(1144)에는, [1,1]감지재료(1211) 내지 [4,4]감지재료(1244)가 각각 포함된다. 이때, 이해의 편의상 습도에 따른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재료는 세모로 표시하고, 습도에 따른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재료는 네모로 표시하였다. 더하여, 냄새에 따른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재료는 동그라미로 표시하였다.
그에 따라, [1,4]감지재료(1214)는 습도에 따른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재료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또한, [4,1]감지재료(1241)는 온도에 따른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재료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즉, [1,4]센서(1114)는 습도센서에 해당되고, [4,1]센서(1141)는 온도센서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습도센서 및 온도센서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 상기 습도센서 및 온도센서는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감지재료는 냄새에 따른 저항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재료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1,4]센서(1114) 및 상기 [4,1]센서(1141)를 제외한 상기 [1,1]센서(1111) 내지 [4,4]센서(1144)는 후각센서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1,4]센서(1114) 및 상기 [4,1]센서(1141)를 제외한 상기 [1,1]센서(1111) 내지 [4,4]센서(1144)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감지재료가 포함된다.
도 10에서는 모든 후각센서가 서로 다른 종류의 감지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10c)에는 서로 다른 14가지 냄새입자를 감지하는 감지재료가 포함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1,1]센서(1111), [1,2]센서(1112), [1,3]센서(1113) 및 [1,4]센서(1114)의 출력값이 검출된다. 그리고, [2,1]센서(1121), [2,2]센서(1122), [2,3]센서(1123) 및 [2,4]센서(1124)의 출력값이 검출된다. 그리고, 상기 [3,1]센서(1131), [3,2]센서(1132), [3,3]센서(1133) 및 [3,4]센서(1134)의 출력값이 검출된다.
마지막으로, [4,1]센서(1141), [4,2]센서(1142), [4,3]센서(1143) 및 [4,4]센서(1144)의 출력값이 검출된다. 그리고, 상기 [1,1]센서(1111) 내지 [4,4]센서(1144)의 출력값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2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1,4]센서(1114)의 출력값을 습도값(C)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4,1]센서(1141)의 출력값을 온도값(B)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1,4]센서(1114) 및 상기 [4,1]센서(1141)의 출력값을 통해 상기 [1,4]센서(1114) 및 상기 [4,1]센서(1141)를 제외한 상기 [1,1]센서(1111) 내지 [4,4]센서(1144)의 출력값을 보정한다. 이와 같이 보정된 값을 후각값(A)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서로 다른 종류의 감지재료에 의한 출력값을 통해 소정의 냄새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서로 다른 냄새 입자를 감지한 값에 의해 냄새를 판별 또는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센서 어셈블리(10c)는 후각값(A), 온도값(B) 및 습도값(C)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서 어셈블리(10c)는 다양한 종류의 감지재료가 감지하는 냄새 입자를 통해 보다 정확한 후각값(A)을 도출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센서 어셈블리(10)에는 서로 동일한 종류의 감지재료를 포함하는 복수의 후각센서(100a)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어셈블리(10c)에는 다른 종류의 감지재료를 포함하는 후각센서(100a)가 복수 개씩 포함될 수 있다. 동일한 종류의 감지재료를 포함하는 복수의 후각센서(100a)가 포함된 경우, 이들의 평균값을 출력값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0)에는, 후각센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가 포함된다. 그리고, 각 후각센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는 다양한 개수 및 배치로 마련될 수 있다.
10 : 센서 어셈블리 20 : 감응부
30 : 제어부 40 : 검출부
100 : 센서 100a : 후각센서
100b : 온도센서 100c : 습도센서
200 : 주사선 300 : 검출선
500 : 감지재료 600 : 트랜지스터(TFT)

Claims (22)

  1. 복수의 주사선;
    상기 복수의 주사선과 교차되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선;
    상기 검출선에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검출선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의 검출 회로; 및
    상기 복수의 주사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출선이 교차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센서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냄새 성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감지재료가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후각센서;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감지재료가 구비된 온도센서; 및
    습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감지재료가 구비된 습도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값은 온도값으로 출력되고,
    상기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값은 습도값으로 출력되며,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에서 감지된 값은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값 및 상기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값에 의해 보정되어 후각값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와 단일의 온도센서 및 단일의 습도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 복수의 온도센서 및 복수의 습도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값은 평균화되어 온도값으로 출력되고,
    상기 복수의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값은 평균화되어 습도값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는 상기 복수의 온도센서 및 상기 복수의 습도센서 보다 더 많은 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에는,
    상기 복수의 감지재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출선의 접속을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가 각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사선 중 어느 하나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재료와 상기 검출선을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사선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출선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선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복수의 주사선 및 복수의 검출선의 교차구조에 의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사선에는 제 1 주사선 내지 제 n(n은 1보다 큰 자연수)주사선이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출선에는 제 1 검출선 내지 제 m(m은 1이상의 자연수) 검출선이 포함되며,
    상기 복수의 센서에는, 상기 제 1 주사선 및 상기 제 1 검출선에 연결되는 [1,1]센서 내지 상기 제 n 주사선 및 상기 제 m 검출선에 연결되는 [n,m]센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사선 내지 상기 제 n 주사선에 차례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 1 주사선 내지 상기 제 n 주사선과 연결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검출선 내지 상기 제 m 검출선을 통해 차례로 검출값을 도출하는 검출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1,1]센서 내지 상기 [n,m]센서의 검출값은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
  15. 삭제
  16. n(n은 1보다 큰 자연수)개의 주사선 및 m(m은 1이상의 자연수)개의 검출선이 교차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되는 [1,1]센서 내지 [n,m]센서 및 상기 검출선에 대응되어 연결되는 m개의 검출회로가 포함되는 센서 어셈블리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1,1]센서 내지 [n,m]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포함된 감지재료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도록 반응하고,
    상기 [1,1]센서 내지 [n,m]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포함된 감지재료가 습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도록 반응하고,
    상기 [1,1]센서 내지 [n,m]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포함된 각각 서로 다른 냄새 성분을 감지하는 감지재료가 냄새 성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도록 반응하고,
    상기 냄새 성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도록 반응한 값을,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도록 반응한 온도값; 및
    습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도록 반응한 습도값으로 보정하여 후각값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의 제어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1,1]센서 내지 [n,m]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에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도록 반응되는 감지재료가 구비되고,
    상기 [1,1]센서 내지 [n,m]센서 중 다른 어느 하나의 센서에는 습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도록 반응되는 감지재료가 구비되며,
    상기 [1,1]센서 내지 [n,m]센서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센서 및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센서에는 냄새 성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도록 반응하는 감지재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의 제어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A의 초기값은 1로 설정되고,
    제 A 주사선으로 제어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제 A 주사선에 연결된 [A,1]센서 내지 [A,m]센서에 각각 포함된 [A,1]감지재료 내지 [A,m]감지재료가 온도의 변화, 습도의 변화 또는 냄새 성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도록 반응하고,
    상기 [A,1]센서 내지 [A,m]센서에 각각 연결된 제 1 검출선 내지 제 m 검출선으로 반응값이 전달되고,
    A가 차례로 1씩 증가하여 n보다 커질 때까지 상기 제 A 주사선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A,1]센서 내지 [A,m]센서의 반응값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의 제어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제 1 주사선 내지 제 n 주사선에 차례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 1 검출선 내지 제 m 검출선에 차례로 반응값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1,1]센서 내지 [n,m]센서의 반응값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의 제어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A,1]센서 내지 [A,m]센서에 각각 연결된 제 1 검출선 내지 제 m 검출선으로 반응값이 전달되면,
    상기 제 A 주사선으로의 제어신호 전송을 중지하고, A+1이 A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의 제어방법.
KR1020190060820A 2019-05-23 2019-05-23 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KR102221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820A KR102221535B1 (ko) 2019-05-23 2019-05-23 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JP2021566953A JP7269374B2 (ja) 2019-05-23 2020-01-20 センサアセンブリ及びその制御方法
PCT/KR2020/000917 WO2020235768A1 (ko) 2019-05-23 2020-01-20 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US17/613,223 US20220221415A1 (en) 2019-05-23 2020-01-20 Sensor assembly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820A KR102221535B1 (ko) 2019-05-23 2019-05-23 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795A KR20200134795A (ko) 2020-12-02
KR102221535B1 true KR102221535B1 (ko) 2021-03-02

Family

ID=7345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820A KR102221535B1 (ko) 2019-05-23 2019-05-23 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21415A1 (ko)
JP (1) JP7269374B2 (ko)
KR (1) KR102221535B1 (ko)
WO (1) WO20202357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4262B (zh) * 2022-07-15 2022-11-18 启思半导体(杭州)有限责任公司 数据采集方法、气味检测方法、数据存储系统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1650B2 (ja) 1998-08-31 2003-03-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臭気検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空調室内機
JP3101712B2 (ja) 1998-12-03 2000-10-23 東京工業大学長 匂い・ガス流可視化計測装置
JP4184007B2 (ja) * 2002-08-30 2008-11-19 小糸工業株式会社 ガスセンサ特性補償装置およびガス濃度測定装置
KR101268028B1 (ko) * 2010-11-08 2013-05-27 (주)와이즈산전 가스 센서
KR101510861B1 (ko) * 2013-01-16 2015-04-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악취 분석 시스템 및 방법
WO2016031080A1 (ja) 2014-08-29 2016-03-03 株式会社アロマビット 嗅覚システム、匂い識別装置、匂い識別方法
JP6862134B2 (ja) 2016-09-23 2021-04-21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センサ装置
KR20190005607A (ko) * 2017-07-07 2019-01-16 전자부품연구원 마이크로 가스센서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35768A1 (ko) 2020-11-26
JP7269374B2 (ja) 2023-05-08
KR20200134795A (ko) 2020-12-02
JP2022531955A (ja) 2022-07-12
US20220221415A1 (en)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1132B2 (en) Display systems with compensation for line propagation delay
US549902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utomated sensor diagnosis through quantitative measurement of one of sensor-to-earth conductance or loop resistance
EP1274972B1 (en) Capacitance level measurement circuit and system
US829609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te of components therein according to angle between cover and main body thereof
JP2018532440A5 (ko)
KR102221535B1 (ko) 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US7843324B2 (en) Detection arrangements
CN107608002B (zh) 基于人体探测装置的人体探测方法
RU2006144663A (ru) Терминал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меющий функцию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шибки клавишного ввода, способ для этого
MX2010004817A (es) Tiras de prueba y sistema para medir niveles de analito en una muestra de fluido.
US20020190865A1 (en) Pressure sensor and door opening/closure monitoring system
US20190017960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easurement site, and measurement site
CN100397272C (zh) 示教遮阳卷帘激励器行程限位的过程及实现该过程的装置
CN107367639A (zh) 电容值测定方法和装置
KR102227957B1 (ko) 후각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KR102221574B1 (ko) 후각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KR920022828A (ko) Tv 레벨미터
JP2019120672A (ja) ガス検出センサー装置
US11493492B2 (en) Compensation of environmentally-induced drift in an electrochemical carbon-monoxide sensor
GB2439200A (en) Map pocket illumination
US20070024591A1 (en) Retrofit touch sensor controls
US10051711B2 (en) Energy measurement for a lighting system
KR20210088104A (ko) 통합형 스위치
US10281609B2 (en) Multi-frequency landscape analysis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furniture sensing
JP2005024558A (ja) 基板および基板を組み込んだ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