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574B1 - 후각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후각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574B1
KR102221574B1 KR1020190061918A KR20190061918A KR102221574B1 KR 102221574 B1 KR102221574 B1 KR 102221574B1 KR 1020190061918 A KR1020190061918 A KR 1020190061918A KR 20190061918 A KR20190061918 A KR 20190061918A KR 102221574 B1 KR102221574 B1 KR 102221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factory sensor
olfactory
detection
unit
sens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190A (ko
Inventor
타카다 마사키
류희범
강성민
스즈키 다이키
사토 오사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1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574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1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comprising two or more sensors, e.g. a sensor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각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에는, 감응부, 제어부 및 검출부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감응부에는, 복수의 주사선, 복수의 검출선 및 상기 복수의 주사선 및 상기 복수의 검출선이 교차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후각센서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는 활성화 상태 및 비활성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구비된다.

Description

후각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ODOR SENSOR ASSEMBLY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후각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간의 오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기술적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인간의 후각을 모방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자세하게는, 냄새의 화학적 성분을 탐지하고 분석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장치를 후각센서 어셈블리라 한다.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는 냄새를 구성하는 물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정보를 통해 냄새의 종류, 농도, 특징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는 사람처럼 냄새를 식별할 수 있다. 그를 통하여,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나 음식물의 부패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은 특정 냄새에 오래 노출되는 경우 그 냄새에 익숙해져 다른 냄새를 맡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는 쉽게 피로해지는 사람의 후각을 대신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는 사람이 분간하기 어려운 극소량의 냄새 물질까지도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후각센서 어셈블리도 측정을 위해 소정의 냄새에 계속하여 노출되는 경우 그 수명이 단축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는 시간에 따라 감도가 떨어지며, 정확한 결과값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수명과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이 공개된 바 있다.
1. 일본 공개특허 : JP6-11471 (공개일자 : 1994년 1월 21일)
2. 발명의 명칭 : 가스센서
상기 선행문헌은 센서의 효율 저하를 조사하여 감도를 보정하고, 보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검출부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 오랜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수명 연장), 신뢰성이 높은 센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선행문헌은 복수 개의 센서를 구비하고, 검출부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센서의 수명을 연장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모두 측정대상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즉, 모든 센서가 항상 특정 대상이 되는 가스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미사용센서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센서의 수명이 효과적으로 연장되지 못하며, 센서가 교체되어도 정확한 결과값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센서의 수명이 짧고 신뢰성이 보장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하나의 기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후각센서가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구비되는 후각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가 차례로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수명이 연장되고 신뢰성이 높은 후각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는 복수의 후각센서가 정렬되어 배치되어 하나의 장치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는 복수의 주사선 및 복수의 검출선이 교차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된다. 즉,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는 활성화 상태 및 비활성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구비된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엔느, 소정의 냄새를 감지하는 감응부, 상기 감응부에 의한 감지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감응부에서 감지된 반응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검출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감응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주사선, 상기 검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주사선과 교차되어 연장되는 복수의 검출선 및 상기 복수의 주사선 및 상기 복수의 검출선이 교차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후각센서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값이 출력되는 활성화 상태 및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값이 출력되는 않는 비활성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검출선 중 어느 하나의 검출선에 연결된 복수의 후각센서는 모두 활성화 상태로 구비되거나 모두 비활성화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제어방법을 통해 복수의 후각센서가 차례로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제어방법에는, n(n은 1보다 큰 자연수)개의 주사선 및 m(m은 1보다 큰 자연수)개의 검출선이 교차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되는 [1,1]후각센서 내지 [n,m]후각센서가 포함된다.
우선, 제 B 검출선에 연결된 [1,B]후각센서 내지 [n,B]후각센서가 활성화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1,B]후각센서 내지 [n,B]후각센서에 각각 포함된 [1,B]감지재료 내지 [n,B]감지재료가 냄새 성분과 접촉되어 검출값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1,B]후각센서 내지 [n,B]후각센서의 수명이 측정된다.
그리고, 상기 [1,B]후각센서 내지 [n,B]후각센서의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B+1이 B로 설정되고, 새로운 제 B 검출선에 연결된 [1,B]후각센서 내지 [n,B]후각센서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한 해결수단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구비되는 복수의 후각센서를 하나의 후각센서 어셈블리로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가 복수의 주사선 및 복수의 검출선이 교차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됨에 따라, 비교적 쉽게 제어하여 검출값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를 차례로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활성화 상태의 후각센서에 포함된 감지재료가 냄새 입자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의 후각센서를 청결한 상태로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명이 종료된 활성화 상태의 후각센서를 청결할 상태로 보호된 비활성화 상태의 후각센서로 교체함에 따라 검출값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가 설치된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최소단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수명연장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활성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활성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활성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활성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가 설치된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10)는 냉장고(1)에 설치될 수 있다.
<설치예 : 냉장고>
상기 냉장고(1)에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2) 및 상기 캐비닛(2)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냉장고 도어(3, 4)가 포함된다.
상기 캐비닛(2)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보관되는 저장실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실에는, 냉장실(5) 및 상기 냉장실(5)의 하방에 위치되는 냉동실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냉동실은 상기 냉장실(5)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냉장고(1)는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에 해당된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냉장고(1)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 및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에는, 상기 냉장실(5)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3) 및 상기 냉동실을 개폐시키는 냉동실 도어(4)가 포함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3) 및 상기 냉동실 도어(4)에는, 좌우로 배치되는 복수의 도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3) 및 상기 냉동실 도어(4)는 회전가능하게 상기 캐비닛(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냉장실 도어(3) 및 상기 냉동실 도어(4)는 다양한 형태 및 개수로 상기 캐비닛(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10)는 상기 냉장실(5)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냉장실(5)을 형성하는 내벽에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10)가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10)는 상기 냉장실(5)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10)는 부패된 음식물의 냄새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10)는 상기 냉장실(5)의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이 부패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음식물을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1과 같은 후각센서 어셈블리(10)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10)는 어느 장소에나 설치되어 소정의 냄새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10)는 차량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음주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10)는 보일러실 등에 설치되어 가스 누출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10)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10)에는, 감응부(11), 제어부(20) 및 검출부(30)가 포함된다.
상기 감응부(11)는 소정의 냄새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자세하게는, 상기 감응부(11)는 소정의 냄새 성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감지재료가 배치되는 구성에 해당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응부(11)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 감응부(11) 중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응부(11)에 의한 감지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소정의 전원부(6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60)는 상기 감응부(11)에 의한 감지 타이밍을 상기 제어부(2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부(6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응부(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30)는 상기 감응부(11)에서 감지된 냄새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구성이다. 자세하게는, 상기 검출부(30)는 상기 감응부(11)에서 전달된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는 회로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출부(30)는 검출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검출부(30)에서 전달된 정보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는 통신부(50)를 통해 상기 검출부(30)에서 전달된 정보를 외부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바일기기이거나 홈 네트워크에 해당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감응부(11)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동작되고, 상기 검출부(30)는 상기 감응부(11)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검출부(30)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전달받는다.
이와 같은 후각센서 어셈블리(1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일부 구성이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10)에서 필수적인 구성은 상기 감응부(11), 상기 제어부(20) 및 상기 검출부(30)에 해당된다.
이하, 상기 감응부(11)의 구성 및 상기 감응부(11)와 상기 제어부(20) 및 상기 검출부(30)의 연결관계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최소단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응부(11)에는 복수의 후각센서(100)가 포함된다.
상기 후각센서(100)에는 감지재료(500)가 포함된다. 상기 감지재료(500)는 냄새 성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재료(500)는 무기재료, 유기재료 또는 무기재료 및 유기재료의 복합재료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재료는 도전성 고분자나 유기반도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재료는 산화물 반도체(metal oxide semiconductor) , 화합물 반도체 또는 단일의 원소로 이루어지는 반도체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재료(500)에는 다양한 종류의 재료가 모두 포함된다.
그리고, 하나의 후각센서(100)에는 하나의 감지재료(500)가 포함된다. 즉, 상기 감응부(11)에는 상기 후각센서(100)의 개수와 대응되는 복수의 감지재료(500)가 포함된다. 도 3을 참고하면, 2개의 후각센서(100) 및 상기 후각센서(100)에 각각 포함된 2개의 감지재료(500)가 도시되었다.
또한, 상기 후각센서(100)에는, 상기 감지재료(5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감지재료 전원(VDD, Voltage Drain Drain, 502)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감응부(11)에는, 상기 제어부(20)와 연결되는 주사선(gate line, 200)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감응부(11)에는, 상기 검출부(30)와 연결되는 검출선(300)이 포함된다. 상기 후각센서(100)는 상기 주사선(200) 및 상기 검출선(30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후각센서(100)에는 트랜지스터(600)가 포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600)는 상기 감지재료(500)와 상기 검출선(300)의 접속을 스위칭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특히, 상기 트랜지스터(600)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600)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주사선(200)을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600)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600)는 해당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검출선(300)과 상기 감지재료(500)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0)에는 상기 주사선(200)에 순차적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시프트 레지스터(미도시)가 포함된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복수 개로 구비된 주사선(200)에 순차적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0)가 순차적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주사선(200)의 개수 및 순서는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감응부(11)에는, 상기 후각센서(100), 상기 주사선(200) 및 상기 검출선(300)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후각센서(100)은 상기 주사선(200) 및 상기 검출선(300)과 모두 연결되도록, 상기 주사선(200)과 상기 검출선(300)이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감응부(11)에는 복수의 후각센서(100)가 구비된다. 그에 따라, 상기 주사선(200) 및 상기 검출선(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후각센서(100)가 2개가 설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주사선(200)과 상기 검출선(300)의 교차되는 부분이 2개 이상 마련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상기 주사선(200)이 2개가 마련되어 2개의 후각센서(10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10)에는 상기 제어부(20)와 상기 검출부(30)를 연결하는 전달선(400)이 포함된다. 상기 전달선(400)을 통해 상기 검출부(30)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감응부(11)가 최소단위로 설계된 형태를 도시하였다. 즉, 도 3은 상기 감응부(11)의 일 예에 불과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상기 감응부(11)의 형태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이해의 편의상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실제와는 상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4는 일반적인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형태를 도 3에 대응되는 회로의 형태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서 후각센서 및 감지재료를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응부(11)에는 n개의 주사선(200) 및 m 개의 검출선(300)이 포함된다. 이때, n은 1보다 큰 자연수에 해당되고, m은 1이상의 자연수에 해당된다. 도 4 및 도 5에서는 n 및 m이 3이상인 경우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상 도시된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n개의 주사선(200)을 제 1 주사선(210), 제 2 주사선(220) 내지 제 n 주사선(290)으로 표현한다. 이때, 상기 제 1 주사선(210)은 상기 제어부(20)로부터 가장 먼저 신호를 받는 주사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주사선(220)은 상기 제 1 주사선(210)의 다음으로 신호를 받는 주사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주사선(210), 상기 제 2 주사선(220) 내지 상기 제 n 주사선(290)은 상기 제어부(20)로 부터 신호를 받는 순서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이해의 편의상, 상기 제 1 주사선(210), 상기 제 2 주사선(220) 내지 상기 제 n 주사선(290)을 차례로 정렬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m개의 검출선(300)을 제 1 검출선(310), 제 2 검출선(320) 내지 제 m 검출선(390)으로 표현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검출선(310), 상기 제 2 검출선(320) 내지 상기 제 m 검출선(390)은 상기 검출부(3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30)에는 복수의 검출회로가 포함된다. 상기 검출회로는 상기 감지재료(500)의 저항값에 따라 변화되는 값을 검출하는 회로로 이해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검출회로에는, 검출저항 및 변환부(ADC, A/D Converter)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재료(500)의 저항값에 따라 전압값(Vadc)이 변화되고, 상기 변환부에 의해 이와 같은 변화값이 검출된다. 즉, 상기 감지재료(500)에서 감지되는 냄새의 농도에 따른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출부(30)에는, 상기 검출선(30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의 검출회로가 포함된다. 다시 말하면, 하나의 검출선(300)에 하나의 검출회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검출부(30)에는 m개의 검출선(300)에 대응하는 m개의 검출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검출회로는 제 1 검출회로(31), 제 2 검출회로(32) 내지 제 m 검출회로(39)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검출선(300)과 각 검출회로가 대응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검출선(310)은 상기 제 1 검출회로(31)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검출선(320)은 상기 제 2 검출회로(32)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검출회로(31), 상기 제 2 검출회로(32) 내지 상기 제 m 검출회로(39)는 상기 전달선(400)과 연결된다. 즉, 상기 제 1 검출회로(31), 상기 제 2 검출회로(32) 내지 상기 제 m 검출회로(39)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20)로 전달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후각센서(100)는 상기 주사선(200) 및 상기 검출선(300)과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후각센서(100)는 상기 주사선(200)과 상기 검출선(300)이 교차되는 지점에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개의 주사선(200)은 제 1 방향(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2 방향(세로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m개의 검출선(300)은 제 2 방향(세로방향)으로 연장되고 가로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주사선(200)이 행을 형성하고, 상기 검출선(300)이 열을 형성하여, 일종의 행렬구조(매트릭스)가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주사선(210)에 상기 제 1 검출선(310) 내지 상기 제 m 검출선(390)이 상기 제 1 방향(가로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검출선(310) 내지 상기 제 m 검출선(390)과 교차되도록 상기 제 2 주사선(220) 내지 제 n 주사선(290)이 상기 제 2 방향(세로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각센서(100)는 상기 제 1 주사선(210) 내지 제 n 주사선(290)과 상기 제 1 검출선(310) 내지 상기 제 m 검출선(390)가 교차되는 지점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후각센서(100)는 상기 제 1 방향(가로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세로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후각센서(100)는 상기 주사선(200) 및 상기 검출선(300)의 교차구조에 의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감응부(11)에는 n*m개의 후각센서(1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각 후각센서를 결합되는 주사선 및 검출선의 번호에 따라 명칭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주사선(210) 및 상기 제 1 검출선(310)에 결합되는 후각센서는 [1, 1]후각센서(111)라 한다. 또한, 제 n 주사선(290) 및 상기 제 m 검출선(390)에 결합되는 후각센서는 [n,m]후각센서(199)라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주사선(210)에는 상기 [1,1]후각센서(111) 및 [1,2]후각센서(112) 내지 [1,m]후각센서(119)가 차례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검출선(310)에는, 상기 [1,1]후각센서(111) 및 [2,1]후각센서(121) 내지 [n,1]후각센서(191)가 차례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후각센서의 배치에 따라 상기 감응부(11)에는 n*m개 보다 많은 수의 후각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주사선에 연결된 한 쌍의 후각센서가 하나의 검출선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감응부(11)에는 n*m*2개의 후각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후각센서가 상기 주사선의 개수 및 상기 검출선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n개의 주사선, m개의 검출선 및 n*m개의 후각센서가 구비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후각센서(100)에는 하나의 감지재료(500)가 포함된다. 즉, 상기 감응부(11)에는 동일한 개수의 후각센서(100) 및 감지재료(500)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감지재료는 각 후각센서와 대응되도록 명칭한다. 예를 들어, 상기 [1,1]후각센서(111)에 구비되는 감지재료는 [1,1]감지재료(511)라 한다. 또한, 상기 [n,n]후각센서(199)에 구비되는 감지재료는 [n,m]감지재료(599)라 한다.
이하,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1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후각센서 어셈블리(10)를 통해 도 6에 기재된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10)가 동작을 시작하면 A는 1로 설정된다(S10). 이때, A는 주사선(200)의 구별을 위한 임의의 수로 이해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주사선(200)은 n개로 마련되기 때문에, A는 1 내지 n 중 하나의 자연수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제 A 주사선이 ON된다(S20). 이때, 상기 제 A 주사선이 ON된다는 것은 상기 제 A 주사선에 위치된 후각센서가 작동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제 A 주사선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즉, 상기 제 A 주사선에 위치된 후각센서로 제어신호가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제 A 주사선에 위치된 후각센서는 [A,1]후각센서 내지 [A,m]후각센서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1]후각센서 내지 [A,m]후각센서에 구비된 트랜지스터(600)가 작동된다. 즉, 상기 [A,1]후각센서 내지 [A,m]후각센서에 구비된 감지재료(500)가 반응하여 소정의 출력값이 발생된다.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10)가 동작을 시작하면 A는 1로 설정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주사선(210)이 ON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제 1 주사선(210)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주사선(210)에 위치된 상기 [1,1]후각센서(111), 상기 [1, 2]후각센서(112) 내지 [1,m]후각센서(119)로 제어신호가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1,1]후각센서(111) 내지 [1,m]후각센서(119)의 반응을 검출한다. 자세하게는, [1,1]감지재료(511), [1,2]감지재료(512) 내지 [1,m]감지재료(519)의 반응을 검출한다(S30).
자세하게는, 상기 [A,1]후각센서 내지 [A,m]후각센서에서 발생된 출력값은 제 1 검출선(310) 내지 제 m 검출선(390)을 따라 제 1 검출회로(31) 내지 제 m 검출회로(39)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검출회로(31) 내지 제 m 검출회로(39)는 상기 [A,1]후각센서 내지 [A,m]후각센서에서 발생된 출력값을 각각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1,1]후각센서(111) 내지 [1,m]후각센서(119)에서 발생된 출력값은 제 1 검출선(310) 내지 제 m 검출선(390)을 따라 제 1 검출회로(31) 내지 제 m 검출회로(39)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검출회로(31) 내지 제 m 검출회로(39)는 상기 [1,1]후각센서(111) 내지 [1,m]후각센서(119)에서 발생된 출력값을 각각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A 주사선이 OFF된다(S40). 이때, 상기 제 A 주사선이 OFF된다는 것은 상기 제 A 주사선으로 더이상 제어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A,1]후각센서 내지 [A,m]후각센서에서 발생된 출력값이 상기 제 1 검출선(310) 내지 제 m 검출선(390)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 1 주사선(210)이 OFF된다. 그에 따라, 상기 [1,1]후각센서(111) 내지 [1,m]후각센서(119)의 작동이 중지된다. 즉, 상기 [1,1]후각센서(111) 내지 [1,m]후각센서(119)의 출력값이 상기 제 1 검출선(310) 내지 제 m 검출선(390)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A+1이 A로 설정된다(S50). 즉, 하나의 주사선의 출력값을 얻은 후, 다음 주사선의 출력값을 얻기 위하여 A가 변경된다.
그리고, A가 n보다 큰지 판단한다(S6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는 1 내지 n 중 하나의 값에 해당되기 때문에, A가 n보다 큰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제 n 주사선까지 존재하기 때문에, A가 n보다 큰 경우는 더이상 해당되는 주사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1로 설정되었던 A가 1+1값인 2로 설정된다. 그리고, n은 1보다 큰 자연수에 해당되기 때문에 2는 n보다 큰 수가 될 수 없다. 따라서, 도 6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주사선(220)이 ON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제 2 주사선(220)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주사선(220)에 위치된 상기 [2,1]후각센서(121), 상기 [2,2]후각센서(122) 내지 [2,m]후각센서(129)로 제어신호가 전달된다. 그리고, [2,1]감지재료(521), [2,2]감지재료(522) 내지 [2,m]감지재료(529)가 반응한다.
그에 따라, 상기 [2,1]후각센서(121) 내지 [2,m]후각센서(129)에서 발생된 출력값은 제 1 검출선(310) 내지 제 m 검출선(390)을 따라 제 1 검출회로(31) 내지 제 m 검출회로(39)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검출회로(31) 내지 제 m 검출회로(39)는 상기 [2,1]후각센서(121) 내지 [2,m]후각센서(129)에서 발생된 출력값을 각각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주사선(220)이 OFF된다. 그에 따라, 상기 [2,1]후각센서(121) 내지 [2,m]후각센서(129)의 작동이 중지된다.
그리고, 다시 A+1이 A로 설정되고, A가 n보다 큰지 판단한다. 따라서, 2로 설정되었던 A가 2+1값인 3으로 설정된다. 이때, n이 2인 경우는 상기 주사선(200)이 2개로 마련된 경우에 해당된다. 즉, 상기 제 1 주사선(210) 및 상기 제 2 주사선(220)만 존재하고, 상기 제 1 주사선(210) 및 상기 제 2 주사선(220)은 ON/OFF를 완료하였다.
따라서, 더이상 ON/OFF될 수 있는 주사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A가 n보다 큰 값이 되는 경우 모든 주사선(200)의 ON/OFF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ON/OFF가 완료된 것은 해당 주사선(200)에 위치된 후각센서(100)의 출력값이 검출된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제 1 주사선(210)이 ON/OFF되며, 상기 [1,1]후각센서(111) 내지 [1,m]후각센서(119)의 출력값이 검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주사선(220)이 ON/OFF되며, 상기 [2,1]후각센서(121) 내지 [2,m]후각센서(129)의 출력값이 검출된다.
이와 같이 차례로 상기 제 1 주사선(210)에서 상기 제 n 주사선(290)이 ON/OFF되며, 상기 [1,1]후각센서(111)에서 [n,m]후각센서(199)의 출력값이 검출된다.
따라서, A가 n보다 큰 값이 되는 경우 모든 주사선(200)에 위치된 후각센서(100)의 출력값이 검출된 것을 의미한다. 즉, A가 n보다 큰 값이 되는 경우, 모든 후각센서(100)의 출력값이 검출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70). 자세하게는, 상기 검출부(30)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상기 전달선(400)을 통해 상기 제어부(20)로 전송한다.
이때, 이와 같은 데이터의 전송은 하나의 주사선의 검출된 완료된 후 바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주사선(210)이 OFF됨과 동시에 상기 [1,1]후각센서(111) 내지 상기 [1,m]후각센서(119)의 검출값이 상기 제어부(20)로 전송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응부(11)에 배치된 모든 후각센서(100)의 검출값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검출값을 통해 냄새를 분석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10)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통한 수명연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10)에는 상기 제어부(20), 상기 감응부(11) 및 상기 검출부(30)가 포함된다. 더하여,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10)에는 상기 전원부(60) 및 상기 통신부(50)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10)에는, 수명 측정부(70) 및 활성부(80)가 포함된다.
상기 수명 측정부(70)는 활성화 상태에 해당되는 후각센서(100)의 수명을 측정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수명 측정부(70)는 상기 제어부(20)의 일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명 측정부(70)는 소정의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의 일 종에 해당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수명 측정부(70)에는, 상기 후각센서(100)의 수명에 대한 특성 데이터의 변화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명 측정부(70)에는 상기 후각센서(100)의 수명과 오프셋변화에 대한 자료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활성부(80)는 비활성화 상태에 해당되는 후각센서(100)를 활성화 상태로 변환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활성부(80)는 상기 감응부(11)에 포함되는 구성에 해당된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활성부(80)와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활성부(80)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3에서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10)의 수명연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수명연장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후각센서 어셈블리(10)를 통해 도 8에 기재된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10)가 동작을 시작하면 A는 1로 설정된다(S110). 이때, B는 검출선(300)의 구별을 위한 임의의 수로 이해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검출선(300)은 m개로 마련되기 때문에, B는 1 내지 m 중 하나의 값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제 B 검출선이 ON된다(S120). 이때, 상기 제 B 검출선이 ON된다는 것은 상기 제 B 검출선에 위치된 후각센서(100)가 활성화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B 검출선에 위치된 후각센서(100)는 도 6과 같은 과정에 의해 검출값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B 검출선에 위치되지 않는 후각센서(100)는 비활성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후각센서(100)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 B 검출선에 위치된 후각센서(100)는 [1, B]후각센서 내지 [n, B]후각센서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1,B]후각센서 내지 [1n,B]후각센서에 구비된 트랜지스터(600)가 작동된다. 즉, 상기 [1,B]후각센서 내지 [1n,B]후각센서에 구비된 감지재료(500)가 반응하여 소정의 출력값이 발생된다.
상기 후각센서 어셈블리(10)가 동작을 시작하면 B는 1로 설정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검출선(310)이 ON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 1 검출선(310)에 위치된 상기 [1,1]후각센서(111), 상기 [2,1]후각센서(121) 내지 [n,1]후각센서(191)에 구비된 감지재료(500)가 반응하여 결과값이 출력된다. 자세하게는, [1,1]감지재료(511), [2,1]감지재료(521) 내지 [n,1]감지재료(591)가 반응한다.
이때, 상기 제 2 검출선(320) 내지 제 m 검출선(390)에 위치된 상기 [1,2]후각센서(112) 내지 [n,m]후각센서(199)는 비활성화된 상태에 해당된다. 즉, [1,2]감지재료(512) 내지 [n,m]감지재료(599)는 반응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1,B]후각센서 내지 [n,B]후각센서의 수명을 측정한다(S130). 즉, 활성화된 후각센서의 수명을 측정한다. 이때, 활성화된 후각센서의 수명 측정은 일정한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어셈블리(10)가 100번 측정을 수행할 때마다 활성화된 후각센서의 수명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어셈블리(10)의 측정횟수가 10000번 이상인 경우에는 10번 측정을 수행할 때마다 활성화된 후각센서의 수명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어셈블리(10)의 작동기간 및 동작시간에 따라 그 주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활설화된 후각센서(100)의 수명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수명 측정부(70)를 통해 활성화 상태에 해당되는 후각센서(100)의 수명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활성화된 후각센서(100)의 오프셋과 상기 수명 측정부(70)에 저장된 상기 후각센서(100)의 수명과 오프셋변화에 대한 자료를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활성화된 후각센서(100)의 오프셋이 미리 결정된 범위이상인 경우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화된 후각센서(100) 중 미리 결정된 개수 이상 후각센서의 오프셋이 미리 결정된 범위이상인 경우,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활성화된 후각센서(100)의 오프셋 값으로부터 평균 및 분산값을 계산하여,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수명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 활성화된 후각센서(100)의 전부 또는 일부의 오프셋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활성화된 후각센서(100)에는 서로 다른 냄새 성분을 감지하는 서로 다른 종류의 후각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종류의 후각센서의 오프셋 값으로부터 평균 및 분산값을 계산하여,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수명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종류의 후각센서 중 특정 종류의 후각센서의 오프셋 값으로부터 평균 및 분산값을 계산하여,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수명을 판단할 수 있다. 즉, 같은 냄새 성분을 감지하는 센서만을 선택하여 수명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종류의 후각센서는 다른 센서보다 수명이 빨리 종료되는 후간센서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수명이 종료되었다는 것은 상기 후각센서(100)가 더이상 신뢰성있는 결과값을 도출할 수 없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수명의 종료를 판단하는 기준은 설계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화된 후각센서(100)의 수명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계속하여 해당 후각센서(100)를 이용하여 출력값을 검출한다.
한편, 상기 활성화된 후각센서(100)의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B+1이 B로 설정된다(S150). 즉, 활성화되는 후각센서(100)를 변경한다.
이때, 활성화된 후각센서를 비활성화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후각센서의 출력값을 더이상 검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검출부(30) 또는 상기 제어부(20)에서는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후각센서의 출력값을 무시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비활성화부를 구비하여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후각센서의 작동을 영구적으로 중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B가 m보다 큰지 판단한다(S16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B는 1 내지 m 중 하나의 값에 해당되기 때문에, B가 m보다 큰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제 m 검출선까지 존재하기 때문에, B가 m보다 큰 경우는 더이상 해당되는 검출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1로 설정되었던 B가 1+1값인 2로 설정되고, 상기 제 2 검출선(320)에 위치된 후각센서(100)가 활성화된다.
즉, 상기 제 2 검출선(320)에 위치된 상기 [1,2]후각센서(112), 상기 [2,2]후각센서(122) 내지 [n,2]후각센서(192)에 구비된 감지재료(500)가 반응하여 결과값이 출력된다. 자세하게는, [1,2]감지재료(512), [2,2]감지재료(522) 내지 [n,2]감지재료(592)가 반응한다.
정리하면, 우선, 상기 제 1 검출선(310)에 위치된 상기 [1,1]후각센서(111) 내지 [n,1]후각센서(191)를 활성화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검출선(310)에 위치된 후각센서(111-191)가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2 검출선(320)에 위치된 상기 [1,2]후각센서(112) 내지 [n,2]후각센서(192)를 활성화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검출선(310)에 위치된 후각센서(111-191)에서 상기 제 m 검출선(390)에 위치된 후각센서(191-199)까지 차례로 활성화한다. 그에 따라, 상기 검출선(300)의 수만큼 상기 센서 어셈블리(1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 B가 m보다 큰 값이 되는 경우 모든 검출선(300)에 위치된 후각센서의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이때, 상기 센서 어셈블리(10)의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도 8에서는 하나의 검출선에 배치된 후각센서를 한번에 활성화하는 방안을 설명하였다. 다만, 이는 예시적이 것으로 설계에 따라서 복수의 검출선에 배치된 후각센서를 한번에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상기 제 1 검출선(310) 및 상기 제 2 검출선(320)에 위치된 후각센서를 활성화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검출선(310) 및 상기 제 2 검출선(320)에 위치된 후각센서가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3 검출선 및 제 4 검출선에 위치된 후각센서를 활성화한다.
이하, 상기 활성부(80)에 의해 비활성화 상태의 후각센서를 활성화하는 방안에 대하여 다양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활성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에서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환되는 하나의 후각센서(100)를 도시하였다. 특히, 해당도면의 (a)는 비활성화 상태를 도시하고, 해당도면의 (b)는 활성화 상태를 도시하였다. 또한, 기재의 편의상 상기 후각센서(100)를 개략적인 형태로 도시하였다.
<제 1 실시 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각센서(100)에는 상기 감지재료(50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후각센서(100)를 상기 감지재료(500)가 상기 감응부(11)에 설치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감응부(11)는 상기 감지재료(500)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활성부(80)에는, 상기 후각센서(100)를 구획하는 격벽(9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활성부(80)에는, 상기 격벽(920)에 의해 형성되는 측정유로(930)가 포함된다.
상기 격벽(920)은 각각의 후각센서(100)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유로(930)는 측정을 위한 냄새 입자들이 유동될 수 있는 유로로 이해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격벽(920)은 상기 감응부(11)에서 상기 감지재료(500)보다 더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감지재료(500)가 배치되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공간을 측정유로(930)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920)은 함께 활성화되는 후각센서(100)를 구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검출선(310), 상기 제 2 검출선(320)이 차례로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격벽은 상기 제 1 검출선(310)에 위치된 후각센서와 상기 제 2 검출선(320)에 위치된 후각센서를 구획하도록 구비된다.
그에 따라, 함께 활성화되는 후각센서(100)는 상기 측정유로(930)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유로(930)는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폐쇄되고, 활성화 상태에서는 개방된다. 즉, 상기 측정유로(930)가 개방되는 경우, 해당 측정유로(930)에 배치된 후각센서(100)가 활성화된다.
상기 활성부(80)에는, 상기 측정유로(930)를 개폐하는 보호부재(910)가 포함된다.
상기 보호부재(910)는 상기 격벽(92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910)에는 관통되어 형성된 측정개구(9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호부재(910)가 상기 측정개구(912)와 상기 측정유로(930)가 서로 대응되도록 이동되는 경우, 상기 측정유로(930)가 개방된다.
또한, 상기 활성부(80)에는, 상기 보호부재(910)를 이동시키는 보호부재 구동부(9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900)에는 모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변환되는 후각센서 및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환되는 후각센서가 함께 도시되었다. 구별을 위해,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변환되는 후각센서를 제 1 후각센서라 하고 관련 구성의 도면부호에 a를 붙인다. 또한,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환되는 후각센서를 제 2 후각센서라 한다.
도 9의 (a)를 참고하면, 상기 제 1 후각센서(100a)와 상기 제 2 후각센서(100)는 상기 격벽(920)에 의해 서로 구획된다. 즉, 상기 제 1 후각센서(100a)와 상기 제 2 후각센서(100)는 서로 개별적으로 활성화된다.
상기 제 1 후각센서(100a)의 감지재료(500a)가 배치된 측정유로(930a)는 상기 측정개구(912)와 대응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후각센서(100a)는 활성화된 상태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측정유로(930a)로 냄새가 유입되고, 상기 감지재료(500a)에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후각센서(100)의 감지재료(500)가 배치된 측정유로(930)는 폐쇄된 상태이다. 즉, 상기 제 2 후각센서(100)는 비활성화된 상태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측정유로(930)로는 냄새가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감지재료(500)는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후각센서(100a)의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후각센서(100a)를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후각센서(100)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90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보호부재(910)가 이동되어 도 9의 (b)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정유로(930a)는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측정개구(912)가 이동됨에 따라 폐쇄된다. 즉, 상기 제 1 후각센서(100a)는 활성화된 상태에서 비활성화 된 상태로 변환된다. 따라서, 상기 측정유로(930a)로는 냄새가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감지재료(500a)는 더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측정유로(930)는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측정개구(912)가 이동됨에 따라 개방된다. 즉, 상기 제 2 후각센서(100)는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활성화 된 상태로 변환된다. 따라서, 상기 측정유로(930)로 냄새가 유입되고, 상기 감지재료(500)에서 감지될 수 있다.
<제 2 실시 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각센서(100)에는 상기 감지재료(50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후각센서(100)를 상기 감지재료(500)가 상기 감응부(11)에 설치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감응부(11)는 상기 감지재료(500)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활성부(80)에는, 상기 후각센서(100)를 구획하는 격벽(10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활성부(80)에는, 상기 격벽(1020)에 의해 형성되는 측정유로(1030)가 포함된다.
상기 격벽(1020)은 각각의 후각센서(100)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유로(1030)는 측정을 위한 냄새 입자들이 유동될 수 있는 유로로 이해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격벽(1020)은 상기 감응부(11)에서 상기 감지재료(500)보다 더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감지재료(500)가 배치되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공간을 측정유로(1030)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920)은 함께 활성화되는 후각센서(100)를 구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함께 활성화되는 후각센서(100)는 상기 측정유로(1030)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유로(1030)는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폐쇄되고, 활성화 상태에서는 개방된다. 즉, 상기 측정유로(1030)가 개방되는 경우, 해당 측정유로(1030)에 배치된 후각센서(100)가 활성화된다.
상기 활성부(80)에는, 상기 측정유로(1030)를 개폐하는 보호부재(1012)가 포함된다.
상기 보호부재(1012)는 상기 격벽(102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보호부재(1012)는 상기 측정유로(1030)를 개방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부(80)에는, 상기 보호부재(1012)를 이동시키는 보호부재 구동부(1000, 101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1000, 1010)에는 가열부(1000) 및 상기 가열부(1000)에 의해 변형되는 변환부(10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1010)는 상기 부호부재(1012)의 일면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환부(1010)에는 형상기억필름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1000)는 상기 변환부(1010)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변환부(101)를 변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부(1000)는 전기의 입력에 의해 열을 방출하는 전기히터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0의 (a)를 참고하면, 상기 후각센서(100)의 감지재료(500)가 배치된 측정유로(1030)는 상기 보호부재(1012)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다. 즉, 상기 후각센서(100)는 비활성화된 상태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측정유로(1030)로는 냄새가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감지재료(500)는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각센서(100)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1000, 1010)에 의해 상기 보호부재(1012)가 이동되어 도 10의 (b)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가열부(1000)가 상기 변환부(1010)에 열을 가함에 따라, 상기 변환부(1010)가 변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변환부(1010)와 결합된 상기 보호부재(1012)가 변형되며 일 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측정유로(1030)가 개방되고, 상기 후각센서(100)는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활성화된 상태로 변환된다. 따라서, 상기 측정유로(1030)로 냄새가 유입되고, 상기 감지재료(500)에서 감지될 수 있다.
<제 3 실시 예>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각센서(100)에는 상기 감지재료(50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후각센서(100)를 상기 감지재료(500)가 상기 감응부(11)에 설치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감응부(11)는 상기 감지재료(500)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활성부(80)에는, 상기 후각센서(100)를 구획하는 격벽(11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활성부(80)에는, 상기 격벽(1120)에 의해 형성되는 측정유로(1130)가 포함된다.
상기 격벽(1120)은 각각의 후각센서(100)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유로(1130)는 측정을 위한 냄새 입자들이 유동될 수 있는 유로로 이해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격벽(1120)은 상기 감응부(11)에서 상기 감지재료(500)보다 더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감지재료(500)가 배치되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공간을 측정유로(1130)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1120)은 함께 활성화되는 후각센서(100)를 구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함께 활성화되는 후각센서(100)는 상기 측정유로(1130)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유로(1130)는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폐쇄되고, 활성화 상태에서는 개방된다. 즉, 상기 측정유로(1130)가 개방되는 경우, 해당 측정유로(1130)에 배치된 후각센서(100)가 활성화된다.
상기 활성부(80)에는, 상기 측정유로(1130)를 개폐하는 보호부재(1110)가 포함된다. 상기 보호부재(1110)는 상기 격벽(112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활성부(80)에는, 상기 보호부재(910)를 이동시키는 보호부재 구동부(11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1100)는 전기의 입력에 의해 열을 방출하는 전기히터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부재(1110)는 열에 의해 쉽게 용융되는 물질에 해당될 수 잇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부재(1110)는, 파라핀이나 지방산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부재(1110)는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1100)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도 11의 (a)를 참고하면, 상기 후각센서(100)의 감지재료(500)가 배치된 측정유로(1130)는 폐쇄된 상태이다. 즉, 상기 후각센서(100)는 비활성화된 상태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측정유로(1130)로는 냄새가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감지재료(500)는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1120)에는 상기 감지재료(500)의 상부에 배치된 보조격벽(111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조격벽(1112)은 상기 격벽(1120)의 일부에 해당된다. 이는 상기 보호부재(1110)가 상기 격벽(1120)의 상부가 아닌 일 측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1110)의 용융에 의해 상기 감지재료(500)가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보호부재(1110)는 상기 격벽(1120)의 일 측을 폐쇄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1100)는 상기 감응부(11)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각센서(100)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110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보호부재(1110)가 이동되어 도 11의 (b)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1100)가 상기 보호부재(1110)에 열을 가함에 따라, 상기 보호부재(1100)가 용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측정유로(110)가 개방되고, 상기 후각센서(100)는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활성화된 상태로 변환된다. 따라서, 상기 측정유로(1130)로 냄새가 유입되고, 상기 감지재료(500)에서 감지될 수 있다.
<제 4 실시 예>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각센서(100)에는 상기 감지재료(50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후각센서(100)를 상기 감지재료(500)가 상기 감응부(11)에 설치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감응부(11)는 상기 감지재료(500)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활성부(80)에는, 상기 감지재료(500)에 부착되는 보호부재(1200)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보호부재(1200)는 상기 감지재료(500)를 덮는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의 (a)와 같이, 상기 보호부재(1200)가 상기 감지재료(500)에 덮여 있는 경우, 상기 후각센서(100)는 비활성화 상태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활성부(80)에는, 상기 보호부재(1200)를 이동시키는 보호부재 구동부가 더 포함된다. 특히,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는 상기 보호부재(1200)가 상기 감지재료(500)와 이격되도록 이동시킨다. 즉,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에 의해 상기 보호부재(1200)가 상기 감지재료(5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12의 (b)와 같이, 상기 보호부재(1200)가 상기 감지재료(500)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후각센서(100)는 활성화 상태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부재(1200)는 열에 의해 승화되는 물질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는 상기 보호부재(1200)에 열을 가하는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는 상기 감응부(11)에 설치되는 전기 히터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재료(500)가 발열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보호부재(1200)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는 상기 감지재료(500)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1200)는 광에 의해 상기 감지재료(500)에서 분리되는 물질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부재(1200)에는, 자외선이나 관선 조사에 의해 분해되는 광분해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는 상기 보호부재(1200)에 광을 조사하는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1200)는 전극에 의해 이동되는 물질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부재(1200)에는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승화되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는 상기 보호부재(1200)에 전압을 인가하는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비활성화 상태로 보호되던 후각센서가 활성화될 수 있다.
10 : 후각센서 어셈블리 20 : 감응부
30 : 제어부 40 : 검출부
70 : 수명 측정부 80 : 활성부
100 : 후각센서 200 : 주사선
300 : 검출선 400 : 전달선
500 : 감지재료 600 : 트랜지스터(TFT)

Claims (18)

  1. 소정의 냄새를 감지하는 감응부;
    상기 감응부에 의한 감지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감응부에서 감지된 반응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검출부;가 포함되고,
    상기 감응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주사선;
    상기 검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주사선과 교차되어 연장되는 복수의 검출선;
    상기 복수의 주사선 및 상기 복수의 검출선이 교차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값이 출력되는 활성화 상태 또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값이 출력되지 않는 비활성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것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후각센서;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 중 비활성화 상태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각센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는 활성부; 및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 중 활성화 상태에 해당되는 후각센서의 수명을 측정하는 수명 측정부가 포함되고,
    상기 수명 측정부에 의해 상기 활성화 상태에 해당되는 후각센서의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활성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 중 비활성화 상태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각센서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센서 어셈블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에는 냄새 성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감지재료가 각각 포함되고,
    상기 활성부에는 상기 감지재료와 상기 냄새 성분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보호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보호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 중 비활성화 상태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각센서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센서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부에는,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를 구획하는 격벽;
    상기 격벽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감지재료가 수용되는 측정유로; 및
    상기 보호부재가 상기 측정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보호부재를 이동시키는 보호부재 구동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에 의해 상기 보호부재가 이동되어 상기 측정유로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 중 비활성화 상태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각센서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센서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에는, 관통되어 형성된 측정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에 의해 상기 측정개구와 상기 측정유로가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측정유로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센서 어셈블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에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에 의해 변형되며 상기 보호부재의 일 측에 결합되는 변환부가 포함되고,
    상기 변환부의 변형에 따라 상기 보호부재가 일 측으로 회동되며 상기 측정유로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센서 어셈블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에는, 열에 의해 용융되는 물질이 포함되고,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에는 상기 보호부재에 용융에 필요한 열을 제공하는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보호부재 구동부에 의해 상기 보호부재가 용융되어 상기 측정유로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센서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에는 냄새 성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감지재료가 각각 포함되고,
    상기 활성부에는 상기 감지재료와 상기 냄새 성분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감지재료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보호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보호부재가 상기 감지재료에 탈착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 중 비활성화 상태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각센서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센서 어셈블리.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명 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 중 활성화 상태에 해당되는 후각센서의 오프셋 값으로부터 평균 및 분산값을 계산하여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활성화 상태에 해당되는 후각센서의 수명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센서 어셈블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에는,
    냄새 성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도록 구비되는 감지재료; 및
    상기 감지재료와 상기 검출선의 접속을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가 각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센서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주사선 중 어느 하나로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감지재료와 상기 검출선을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센서 어셈블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센서 어셈블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사선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검출선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후각센서는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으로 정렬되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센서 어셈블리.
  15. n(n은 1보다 큰 자연수)개의 주사선 및 m(m은 1보다 큰 자연수)개의 검출선이 교차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되는 [1,1]후각센서 내지 [n,m]후각센서가 포함되는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 B(B는 1에서 m 사이의 자연수) 검출선에 연결된 [1,B]후각센서 내지 [n,B]후각센서가 활성화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1,B]후각센서 내지 [n,B]후각센서에 각각 포함된 [1,B]감지재료 내지 [n,B]감지재료가 냄새 성분과 접촉되어 검출값이 출력되고,
    상기 [1,B]후각센서 내지 [n,B]후각센서의 수명이 측정되고,
    상기 [1,B]후각센서 내지 [n,B]후각센서의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B의 값이 차례로 1씩 증가하고,
    B의 값이 1 증가된 제 B 검출선에 연결된 [1,B]후각센서 내지 [n,B]후각센서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A의 초기값은 1로 설정되고,
    제 A 주사선으로 제어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제 A 주사선에 연결된 [A,1]후각센서 내지 [A,m]후각센서 중 활성화 상태에 해당되는 후각센서에 포함된 감지재료가 냄새 성분과 접촉되어 검출값이 출력되고,
    A가 차례로 1씩 증가하여,
    A가 n보다 커질 때까지 상기 제 A 주사선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A,1]후각센서 내지 [A,m]후각센서 중 활성화 상태에 해당되는 후각센서의 반응값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제 1 주사선 내지 제 n 주사선에 차례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1,1]후각센서 내지 [n,m]후각센서 중 활성화 상태에 해당되는 후각센서의 반응값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제어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B의 초기값이 1로 설정되고,
    B가 차례로 1 씩 증가하여 m보다 커질 때까지 상기 제 B 검출선에 연결된 [1,B]후각센서 내지 [n,B]후각센서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센서 어셈블리의 제어방법.
KR1020190061918A 2019-05-27 2019-05-27 후각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KR102221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918A KR102221574B1 (ko) 2019-05-27 2019-05-27 후각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918A KR102221574B1 (ko) 2019-05-27 2019-05-27 후각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190A KR20200136190A (ko) 2020-12-07
KR102221574B1 true KR102221574B1 (ko) 2021-03-02

Family

ID=7379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918A KR102221574B1 (ko) 2019-05-27 2019-05-27 후각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5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3968B1 (en) * 2020-12-31 2023-08-02 Arçelik Anonim Sirketi A refrigerator comprising odor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028B1 (ko) * 2010-11-08 2013-05-27 (주)와이즈산전 가스 센서
KR20130078235A (ko) * 2011-12-30 2013-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H711415B1 (fr) * 2015-08-13 2019-04-30 Take Off Diffusion S A Dispositif de mesure de gaz incorporé dans une montre-bracelet
KR101771590B1 (ko) * 2015-09-16 2017-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05607A (ko) * 2017-07-07 2019-01-16 전자부품연구원 마이크로 가스센서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190A (ko) 202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1574B1 (ko) 후각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JP5133971B2 (ja) 加熱アレイを有する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デバイス
EP2404675B1 (en) Array element circuit and active matrix device
US9662651B2 (en) Active matrix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06456814B (zh) 带有用于监视容器内的环境的电池供电的传感器模块的消毒容器
EP2008717B1 (en) Reaction device with accurate temperature control
KR20090094260A (ko) 공기 처리제 분배장치
CN101292151A (zh) 数字气体检测器和噪声降低技术
US20100119408A1 (en) Active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CN109564180A (zh) 环境传感器系统
US20060174683A1 (en) Functionalized field effect transistor sensor with self checking
KR102221535B1 (ko) 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KR102227957B1 (ko) 후각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CN109563724A (zh) 车窗控制装置
US8329104B2 (en) Measurement device with at least one sensor
CA2562732C (en) Temperature compensated vapor sensor
CN115666372A (zh) 电化学传感器装置、呼吸酒精测量设备和用于确定电化学传感器的电极活力的方法
CA3164750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gas sensor
KR20010064186A (ko) 도어록 액추에이터용 클러치 스프링의 내구시험기
KR20090062228A (ko) 조명장치
US20210380331A1 (en) Automatic Spray Dispenser
RU8266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температуры
WO2006057550A1 (en) Sensing module, method for detecting pollutants in air and vehicle ventilation system
CA3232618A1 (en) Automatic spray dispenser
KR200428190Y1 (ko) 온도 반응형 조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