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456B1 - 안전성을 강화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 - Google Patents

안전성을 강화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456B1
KR102221456B1 KR1020190002595A KR20190002595A KR102221456B1 KR 102221456 B1 KR102221456 B1 KR 102221456B1 KR 1020190002595 A KR1020190002595 A KR 1020190002595A KR 20190002595 A KR20190002595 A KR 20190002595A KR 102221456 B1 KR102221456 B1 KR 102221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tube
needle
check valv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6440A (ko
Inventor
성광모
Original Assignee
(주)지 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 메디 filed Critical (주)지 메디
Priority to KR1020190002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456B1/ko
Priority to CN201910188113.1A priority patent/CN109908430A/zh
Publication of KR20200086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5Guid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62Guid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08Subcutaneous access sites for injecting or removing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58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vascular access, e.g. blood stream ac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having a particular valve, seal or septum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을 강화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에 대한 구조적 개선을 통하여 사용의 편리성과 함께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혈관에 연질바늘의 시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카테터부(10)와; 상기 카테터부(10)의 일측에 연장되는 튜브(20)와; 상기 튜브(20)의 일단 일측에 구성되어 주입 및 채취가 가능하도록 양방향 체크밸브(330)를 포함하는 제1주입부(30)와; 상기 튜브(20)의 일단 타측에 구성되어 주입만 이루어지도록 일방향 체크밸브(430)를 포함하는 제2주입부(40); 및 상기 튜브(2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튜브(20)를 단속 또는 해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속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성을 강화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Safety intra-vascular catheter set}
본 발명은 안전성을 강화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에 대한 구조적 개선을 통하여 사용의 편리성과 함께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안전성을 강화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 목적상 인체에 링거액과 같은 수액을 주사하는 경우에는 인체의 혈관에 주사바늘을 꽂은 상태에서 수액 튜브를 연결하고, 상기 수액 튜브와 주사바늘을 통해서 인체로 수액을 투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사바늘은 금속성으로 강도가 높고 매우 날카롭기 때문에 혈관에 주사바늘을 꽂은 상태에서 환자가 잘못 움직이면 혈관이 손상되거나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질 주사관이 설치된 소켓부재를 통해서 수액을 투입하는 혈관 카테터 세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질 주사관을 혈관에 삽입하기 위하여 경질 가이드 니들이 설치된 가이드 부재를 사용한다.
즉, 연질 주사관 속으로 가이드 니들이 삽입된 상태에서 연질 주사관과 가이드 니들을 함께 혈관에 삽입한 다음, 상기 소켓 부재로부터 가이드 부재를 분리 제거한다.
이렇게 하면,연질 주사관만 환자 혈관에 삽입된 상태로 남게 되고, 여기에 수액튜브를 연결하면 환자에게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액을 주입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혈관 카테터는 환자의 혈과에다 연질 주사관과 가이드 니들을 함께 삽입한 다음, 소켓 부재로부터 가이드부재를 분리한 과정에서 상기 소켓부재를 통해서 환자의 혈액이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7850호의 혈관 주사용 바늘 소켓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부재(50)의 몸체가 피어서 수용부(51)와 연결관 수용부(52)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 내부에는 혈액의 역류를 막아주는 플러그(54)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일례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 제10-843163호의 혈액 역류 방지 카테터는 카테터 허브(14) 내부에 혈액 차단막(2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혈액 차단막(22)은 카테터 튜브(20) 쪽으로 향하도록 돌출된 원뿔 형상으로서, 뿔 영역에는 원상 복원력이 있는 스플릿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플릿은 카테터 튜브(20) 쪽으로부터 역류되는 혈액이 상기 카테터 허브(14)의 후단 쪽으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막아주고, 상기 카테터 허브(14)의 후단 쪽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액은 상기 카테터 튜브(20)쪽으로 통과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는 가이드 니들을 이탈시킬 때, 상기 가이드 니들 쪽으로 혈액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에만 치중함에 따라 다른 기능, 예컨대, 수액을 주입시키기 위해 연장된 주입관으로 혈액이 역류되는 문제점, 상기 주입관으로 주입된 수액 등이 역류되는 문제점 등을 해결하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303269호(2013.09.03.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916813호(2018.11.08.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660713호(2016.09.28.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에 대한 구조적 개선을 통하여 사용의 편리성과 함께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안전성을 강화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혈관에 연질바늘의 시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카테터부와; 상기 카테터부의 일측에 연장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일단 일측에 구성되어 주입 및 채취가 가능하도록 양방향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제1주입부와; 상기 튜브의 일단 타측에 구성되어 주입만 이루어지도록 일방향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제2주입부; 및 상기 튜브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튜브를 단속 또는 해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카테터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일단에 연질바늘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구성되어 시침 후 역류발생을 차단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허브; 및 상기 연질바늘에 삽입되고, 시침 후 상기 연질바늘에서 이탈시켜 혈관에 연질바늘만 시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유도바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체크밸브는 중앙에 형성되어 유도바늘이 삽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유도바늘을 이탈시키면 자체 탄성에 의해 밀착되어 역류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삽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바늘의 일단에는 직경 또는 폭이 확대되도록 하는 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허브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중앙에 유도바늘이 삽입되는 삽입공과 일단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유도바늘을 이탈시킬 때 상기 유도바늘의 눌림부가 걸림되어 동반 이탈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유도바늘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도홈이 형성되는 안전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체크밸브의 일단에는 일측에 상기 체크밸브에 고정되고 타측이 자체 탄성에 의해 탄성작용을 수행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작용으로 상기 체크밸브의 삽입구에 밀착되어 역류방지 기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밀폐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캡에는 상기 안전캡이 허브에 삽입된 상태일 경우 판스프링의 타측이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안전캡이 이탈되면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작용이 수행되도록 지지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및 제2주입부는, 일단이 튜브에 고정되고 타단이 외부 기구와 연결되는 구조를 채택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성되는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주입부에는 상기 주입구의 하방에 구성되어 주입 및 채취가 가능하도록 'U'자형의 양방향 체크밸브가 구성되며; 상기 제2주입부에는 상기 주입구의 하방에 구성되어 주입만 이루어지도록 'ㅡ'자형의 일방향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속부는, 튜브가 삽입되는 제2삽입공과, 상기 제2삽입공과 교차되게 형성되는 출입공을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출입공에 삽입되고, 튜브가 삽입되는 제3삽입공이 형성되어,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튜브가 동반 이동됨에 따른 접혀짐으로 상기 튜브의 단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누름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속부에는, 상기 누름선택부를 튜브를 단속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누름선택부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에 대한 구조적 개선을 통하여 사용의 편리성과 함께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를 도시한 혈관 주사용 바늘 세트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혈관 주사용 바늘 세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혈관 주사용 바늘 세트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부의 요부 확대도.
도 5a 및 5b는 유도바늘이 이탈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주입부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주입부의 작용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주입부의 작용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속부의 구성도.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속부의 작용상태를 보인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혈관 카테터 세트(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부(10)와, 튜브(20)와, 제1주입부(30)와, 제2주입부(40), 및 단속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카테터부(10)는 연질의 바늘부가 환자의 혈관에 원활하게 시침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카테터부(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111)을 가지는 허브(110)를 포함한다.
상기 허브(110)의 일단에는 내부 수용공간(111)과 연통되고,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연질바늘(112)이 구성된다.
상기 연질바늘(112)은 환자의 혈관에 직접 시침되는 됨에 따라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연질바늘(112)은 혈관에 시침된 상태에서 환자의 움직임에도 고통이 수반되지 않도록 부드러운 움직임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허브(110)의 수용공간(111)에는 시침 후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114)를 포함한다.
상기 체크밸브(114)는 마찰계수 및 탄성력이 우수한 실리콘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크밸브(114)는 상기 수용공간(111)에 억지끼워 맞춤으로 삽입된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114)의 중앙에는 유도바늘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구(1142)가 구성된다.
상기 삽입구(1142)는 상기 유도바늘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유도바늘을 이탈시키면 체크밸브(114)의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삽입구(1142)가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114)의 일단 중앙에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삽입홈(114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114)의 일단 즉, 삽입홈(1144)이 형성된 일단에는 일단이 상기 체크밸브(114)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삽입홈(1144)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판스프링(1146)을 포함한다.
상기 판스프링(1146)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홈(1144)에 삽입되어, 중앙의 삽입구(1142)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밀폐돌기(1148)를 포함한다.
상기 판스프링(1146)은 삽입구(1142)에 유도바늘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유도바늘의 외주연에 상기 판스프링(1146)의 일단이 얹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유도바늘이 삽입구(1142)에서 이탈되면 상기 판스프링(1146)의 자체 탄성에 의해 체크밸브(114)의 일단으로 밀착되면서 상기 판스프링(1146)의 일단에 구성된 밀폐돌기(1148)가 상기 체크밸브(114)의 삽입홈(1144)에 삽입되어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삽입구(1142)를 통한 혈액 등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체크밸브(114)의 외주연에는 허브(110)의 수용공간(111)과 체크밸브(114) 사이에 확고한 밀폐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폐링(115)이 구성된다.
상기 유도바늘(1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110)의 연질바늘(112) 내부에 삽입되어, 혈관으로 연질바늘(112)의 시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이후 혈관에 연질바늘(112)만 위치되도록 이탈되는 경질 즉, 금속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도바늘(120)의 일단에는 간호사 등과 같은 시침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지지하는 손잡이부(122)가 구성되어, 작업의 편리성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 유도바늘(120)의 타단에는 상기 유도바늘(120)의 일부가 눌림 등에 의해 직경 또는 폭이 확대된 눌림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눌림부(124)는 상기 유도바늘(120)의 끝단부 즉, 시침시 혈관으로 삽입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도바늘(120)에는 상기 허브(110)의 수용공간(111)에 수용되어, 상기 유도바늘(120)을 이탈시킨 후, 상기 유도바늘(120)의 끝단부에 의해 시침자 등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캡(126)을 포함한다.
상기 안전캡(126)은 상기 허브(110)의 수용공간(111)에 삽입된 체크밸브(114)의 일측 즉, 유도바늘(120)을 이탈시킬 때 허브(110)에서 유도바늘(120)과 함께 이탈되는 방향에 구성되어, 상기 유도바늘(120)을 이탈시키면 끝단부를 감싸도록 구성됨으로써, 유도바늘(120)에 의해 상해를 입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안전캡(126)은 중앙에 구성되는 삽입공(1262)과, 일단에서 중앙의 삽입공(1262)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일정깊이의 유도홈(1264), 및 외주연 일측에 길이방향에 형성되는 일정깊이의 안착홈(1266)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공(1262)은 유도바늘(120)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유도홈(1264)은 상기 유도바늘(120)을 이탈시키면 상기 유도바늘(120)의 눌림부(124)가 상기 삽입공(1262)에 걸림되어, 상기 유도바늘(120)과 함께 안전캡(126)이 동반 이탈됨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유도홈(1264)은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유도바늘(120)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안전캡(126)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상기 유도홈(1264)은 유도바늘(120)의 눌림부(124)가 안정적으로 삽입공(1262)의 일단에 밀착될 수 있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266)은 상기 안전캡(126)의 일측 길이방향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판스프링(1146)의 일단이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튜브(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부(10)의 허브(110) 일측에 구성되어, 제1 및 제2주입부(30)(40)를 통해 주입되는 수액 등이 혈관으로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유로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 및 제2주입부(30)(4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20)의 일단에 구성되어, 수액 등의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주입부(30)는 혈액 채취 또는 수액 주입과 같이 양방향으로 채취 및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U'자형의 양방향 체크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2주입부(40)는 수액의 주입만 이루어지도록 'V'자형의 일방향 체크밸브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주입부(30)(40)는 전체적인 구조는 유사하고, 다만 체크밸브에서 차이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주입부(30)(40)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 제10-1815632호의 약액 주입용 여과기에서 기본적인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및 제2주입부(30)(4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410), 및 주입구(320)(4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310)(410)는 일단에 튜브(20)와 연결되고, 타단에 주사기 등과 같은 기구가 착탈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결합구조를 가진다.
상기 주입구(320)(420)는 상기 본체(310)(410) 내에 구성되어, 수액 등의 주입 또는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상기 주입구(320)(420)는 중앙에 구성되는 주입니들(322)(422)와, 상기 주입니들(322)(422)의 외주연을 감싸고 있는 주름관(328)(428)을 포함한다.
상기 주입니들(322)(422)은 원뿔형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 수액(또는 약액)이 주입되는 주입공(324)(424)이 형성된다.
상기 주입공(324)(424)는 통상 4개소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액의 원활한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개소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주입니들(322)(422)의 내측에는 상기 주입공(324)(424)에서 주입된 수액이 내측으로 연통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연통공(326)(426)이 형성된다.
상기 주름관(328)(428)은 상기 주입니들(322)(422)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함으로써, 상기 주입니들(322)(42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켜 오염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이 경우, 상기 주름관(328)(428)은 탄성력이 우수한 실리콘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주입구(320)(420)의 하방에는 제1 및 제2주입부(30)(40) 각각의 기능에 맞춰 양방향 체크밸브(330) 또는 일방향 체크밸브(430)가 구성된다.
상기 양방향 체크밸브(330)는 제1주입부(30)의 주입구(320) 하방에 구성되고,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액 등의 주입뿐만 아니라 환자의 혈액 채취 등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양방향 체크밸브(3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과 같은 연질이면서 탄성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고, 중앙에 'ㅡ' 또는 '×'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됨으로써,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 자체 탄성에 의해 절개부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여 역류를 방지하고, 주입력 또는 채취력 등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절개부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개방이 이루어져 주입 또는 채취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일방향 체크밸브(4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과 같은 연질이면서 탄성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고, 중앙에 'ㅡ' 또는 '×'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됨으로써,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 자체 탄성에 의해 절개부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여 역류를 방지하고, 또한 채취력이 작용할 경우 구조적 특징에 의해 절개부가 더욱 밀착상태를 유지하여 채취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이와 반대로 주입력이 작용할 경우 절개부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개방이 이루어져 주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주입부(30)(40)에는 상기 제1 또는 제2주입부(30)(40)를 통해 주입 또는 추출되는 수액에 이물질 예컨대, 유리조각 또는 공기가 포함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관로를 확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대경(340)(440)을 포함한다.
상기 확대경(340)(440)은 제1 또는 제2주입부(30)(40)를 통해 수액의 주입 또는 추출되는 수액 등에 이물질 또는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는 지를 간호사 등의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확대경(340)(440)은 볼록렌즈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주입부(30)(40)에는 주입되는 수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필터(350)(450)가 구성된다.
상기 필터(350)(450)는 상기 제1 및 제2주입부(30)(40)의 본체(310)(410)와 체크밸브(330)(430) 사이에 구성되어, 수액이 체크밸브(330)(430)를 통해 주입되는 과정 전에 여과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필터(350)(450)는 수액에 대한 여과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는 위치 또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필터(350)(450)는 PE 또는 PP를 소결처리 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여과기능 및 본체(310)(4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단속부(50)는 튜브(2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튜브(20)를 통한 수액의 주입 또는 채취가 불가하도록 상기 튜브(20)를 폐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단속부(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10)와, 누름선택부(520), 및 탄성부재(5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510)는 중앙에 튜브(20)가 삽입되도록 관통되는 제2삽입공(51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510)는 상기 제2삽입공(512)과 교차되는 방향에 구성되어, 누름선택부(520)의 작용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출입공(51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입공(514)에는 누름선택부(520)에 의해 튜브(20)가 눌림될 때 확고한 눌림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튜브(20)에 대한 확고한 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박돌기(516)를 포함한다.
상기 압박돌기(516)는 누름선택부(520)에 의해 튜브(20)가 눌림되는 부분, 예컨대, 제2삽입공(512)과 출입공(514)이 교차되는 부분에 일정높이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튜브(20)의 눌림력 작용이 확고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압박돌기(516)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누름선택부(520)는 상기 몸체(510)의 출입공(514)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일방향으로 왕복시킴에 따라 튜브(20)의 일부가 접었다, 펼쳤다하여, 상기 튜브(20)를 단속 또는 해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누름선택부(520)는 중앙에 튜브(20)가 삽입되는 제3삽입공(5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누름선택부(520)의 일측에는 탄성부재(530)의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530)에 의해 작용상태가 단속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홈(524)이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530)는 상기 몸체(510) 내에 구성되어, 상기 누름선택부(520)의 작용상태를 단속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탄성부재(530)는 자체 탄성을 가지는 판스프링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30)의 일측에는 상기 누름선택부(520)의 단속홈(524)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누름선택부(520)의 작용이 단속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단속돌기(532)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전성을 강화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혈관에 시침할 경우를 살펴보면, 허브(110)의 연질바늘(112) 내에 유도바늘(120)이 삽입된 상태의 카테터부(10)를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혈관에 사기 유도바늘(120)을 시침한다.
시침이 완료되면, 혈관에 유도바늘(120)이 삽입된 연질바늘(112)이 삽입된 상태를 이룬다.
이어서, 상기 연질바늘(112)은 혈관에 시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유도바늘(120)의 일단에 구성된 손잡이부(122)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유도바늘(120)을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혈관에 연질바늘(112)이 시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도 5a와 같이, 유도바늘(120)을 연질바늘(112)을 거쳐 허브(110)의 체크밸브(114)의 삽입구(1142)에서 빠지면, 상기 체크밸브(114)의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삽입구(1142)가 밀착되어, 1차 역류방지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114)에서 이탈된 유도바늘(120)을 계속적으로 빼내면, 상기 유도바늘(120)의 일단에 구성된 눌림부(124)가 안전캡(126)의 유도홈(1264)을 거쳐 삽입공(1262)으로 삽입이 이루어지지만, 상기 눌림부(124)의 직경 또는 폭이 상기 삽입공(1262)의 직경보다 크기때문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유도바늘(120)을 계속적으로 빼내면, 상기 눌림부(124)가 삽입공(1262)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유도바늘(120)과 함께 안전캡(126)이 상기 허브(110)에서 동반 이탈되게 된다.
또한, 도 5b와 같이, 상기 안전캡(126)이 허브(110)의 수용공간(111)에서 이탈될 때, 체크밸브(114)의 일단에 구성된 판스프링(1146)의 일측이 상기 안전캡(126)의 안착홈(1266)에 빠지게 되어, 상기 판스프링(1146)의 자체 탄성에 의한 복귀력으로 상기 판스프링(1146)의 일측에 구성된 밀폐돌기(1148)가 체크밸브(114)의 삽입홈(1144)에 삽입됨으로써, 결국, 상기 체크밸브(114)에 대한 2차 역류방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허브(110)에서 이탈된 유도바늘(120)은 일단의 눌림부(124)에 의해 안전캡(126)이 동반 이탈됨과 함께, 상기 안전캡(126)에 의해 상기 유도바늘(120)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이탈된 유도바늘(120)에 의한 작업자 또는 불특정인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침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 또는 제2주입부(30)(40)를 통해 수액 등을 주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1 또는 제2주입부(30)(40) 중 어느 하나의 본체(310)(410)에 주사기 등을 연결시켜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또한, 혈액 등을 채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1주입부(30)의 본체(310)에 주사기 등을 연결시켜 채취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도 10a와 같이, 몸체(510)의 제2삽입공(512)과 누름선택부(520)의 제3삽입공(522)이 연통된 상태이므로, 튜브(20)를 통한 수액 등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튜브(20)를 단속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기 누름선택부(520)를 타방으로 이동시킨다.
즉, 도 10b와 같이, 누름선택부(520)를 타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누름선택부(520)의 제3삽입공(522)에 삽입된 튜브(20) 부분이 동반 이동하게 된다.
이때, 몸체(510)의 내부에 구성된 압박돌기(516)에 의해 튜브(20)의 일측이 눌림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튜브(20)가 이동됨으로써, 상기 튜브(20)가 접혀져 단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타방으로 이동된 누름선택부(520)는 몸체(510)에 구성된 탄성부재(530)의 단속돌기(532)가 단속홈(524)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큰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누름선택부(520)가 임의로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튜브(20)의 단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안전성을 강화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혈관 카테터 세트 10: 카테터부
110: 허브 111: 수용공간
112: 연질바늘 114: 체크밸브
1142: 삽입구 1144: 삽입홈
1146: 판스프링 1148: 밀폐돌기
115: 밀폐링 120: 유도바늘
122: 손잡이부 124: 눌림부
126: 안전캡 1262: 삽입공
1264: 유도홈 1266: 안착홈
20: 튜브 30: 제1주입부
310, 410: 본체 320, 420: 주입구
330: 양방향 체크밸브 430: 일방향 체크밸브
340, 440: 확대경 350, 450: 필터
40: 제2주입부 50: 단속부
510: 몸체 512: 제2삽입공
514: 출입공 516: 압박돌기
520: 누름선택부 522: 제3삽입공
524: 단속홈 530: 탄성부재
532: 단속돌기

Claims (7)

  1. 혈관에 연질바늘의 시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카테터부(10)와;
    상기 카테터부(10)의 일측에 연장되는 튜브(20)와;
    상기 튜브(20)의 일단 일측에 구성되어 주입 및 채취가 가능하도록 양방향 체크밸브(330)를 포함하는 제1주입부(30)와;
    상기 튜브(20)의 일단 타측에 구성되어 주입만 이루어지도록 일방향 체크밸브(430)를 포함하는 제2주입부(40); 및
    상기 튜브(2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튜브(20)를 단속 또는 해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속부(50)를 포함하고;
    상기 단속부(50)는, 튜브(20)가 삽입되는 제2삽입공(512)과, 상기 제2삽입공(512)과 교차되게 형성되는 출입공(514)을 포함하는 몸체(510)와;
    상기 몸체(510)의 출입공(514)에 삽입되고, 튜브(20)가 삽입되는 제3삽입공(522)이 형성되어,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튜브(20)가 동반 이동됨에 따른 접혀짐으로 상기 튜브(20)의 단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누름선택부(5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강화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부(10)는,
    내부에 수용공간(111)을 포함하고 일단에 연질바늘(112)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11)에 구성되어 시침 후 역류발생을 차단하는 체크밸브(114)를 포함하는 허브(110); 및
    상기 연질바늘(112)에 삽입되고, 시침 후 상기 연질바늘(112)에서 이탈시켜 혈관에 연질바늘(112)만 시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유도바늘(1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강화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114)는 중앙에 형성되어 유도바늘(120)이 삽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유도바늘(120)을 이탈시키면 자체 탄성에 의해 밀착되어 역류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삽입구(1142)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바늘(120)의 일단에는 직경 또는 폭이 확대되도록 하는 눌림부(124)를 포함하며;
    상기 허브(110)의 수용공간(111)에 삽입되고, 중앙에 유도바늘(120)이 삽입되는 삽입공(1262)과 일단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유도바늘(120)을 이탈시킬 때 상기 유도바늘(120)의 눌림부(124)가 걸림되어 동반 이탈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유도바늘(120)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도홈(1264)이 형성되는 안전캡(12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강화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114)의 일단에는 일측에 상기 체크밸브(114)에 고정되고 타측이 자체 탄성에 의해 탄성작용을 수행하는 판스프링(1146)과, 상기 판스프링(1146)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판스프링(1146)의 탄성작용으로 상기 체크밸브(114)의 삽입구(1142)에 밀착되어 역류방지 기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밀폐돌기(1148)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캡(126)에는 상기 안전캡(126)이 허브(110)에 삽입된 상태일 경우 판스프링(1146)의 타측이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안전캡(126)이 이탈되면 상기 판스프링(1146)의 탄성작용이 수행되도록 지지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안착홈(126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강화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주입부(30)(40)는,
    일단이 튜브(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외부 기구와 연결되는 구조를 채택하는 본체(310)(410); 및
    상기 본체(310)(410)에 구성되는 주입구(320)(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주입부(30)에는 상기 주입구(320)의 하방에 구성되어 주입 및 채취가 가능하도록 'U'자형의 양방향 체크밸브(330)가 구성되며;
    상기 제2주입부(40)에는 상기 주입구(420)의 하방에 구성되어 주입만 이루어지도록 'ㅡ'자형의 일방향 체크밸브(4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강화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50)에는,
    상기 누름선택부(520)를 튜브(20)를 단속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누름선택부(520)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5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강화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
KR1020190002595A 2019-01-09 2019-01-09 안전성을 강화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 KR102221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595A KR102221456B1 (ko) 2019-01-09 2019-01-09 안전성을 강화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
CN201910188113.1A CN109908430A (zh) 2019-01-09 2019-03-13 一种加强安全性的医疗血管插管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595A KR102221456B1 (ko) 2019-01-09 2019-01-09 안전성을 강화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440A KR20200086440A (ko) 2020-07-17
KR102221456B1 true KR102221456B1 (ko) 2021-03-02

Family

ID=66964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595A KR102221456B1 (ko) 2019-01-09 2019-01-09 안전성을 강화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21456B1 (ko)
CN (1) CN10990843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1052B2 (ja) * 2006-08-11 2013-06-12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カテーテルアッセンブリーのための一体型セプタムおよび注射針用チップシールド
US20160243349A1 (en) * 2011-01-28 2016-08-25 Johan-Christoph Geller Stopcock on a catheter-like or a sheath-like medical installation
KR101660713B1 (ko) * 2015-09-21 2016-09-28 이상운 안전 혈관 카테터 세트
US20170319822A1 (en) * 2014-10-27 2017-11-09 Jiangxi Fenglin Medical Technology Co.,Ltd Intravenous Cathet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90382A1 (en) * 1985-02-06 1986-08-13 Liang-Tung Hu Liquid flow controller
US4787406A (en) * 1987-09-21 1988-11-29 Baxter International Inc. Fluid flow control clamp and method for using same
US7243676B2 (en) * 2004-05-19 2007-07-17 Vernay Laboratories, Inc. Combination umbrella and inverted bi-directional valve
CN101112639B (zh) 2006-07-27 2012-07-18 贝克顿·迪金森公司 带有安全装置的导管和引入针组件
CN202010359U (zh) * 2010-09-05 2011-10-19 张国 双安全留置针
CN202185012U (zh) * 2011-07-29 2012-04-11 成都市新津事丰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无肝素帽静脉留置针及其导管座
ITMO20120309A1 (it) * 2012-12-20 2014-06-21 Delta Med Spa Unipersonale Ago-cannula con elemento di protezione
CN105209109B (zh) * 2013-04-16 2017-10-17 福建省百仕韦医用高分子股份有限公司 止流夹装置
CN203971057U (zh) * 2014-06-27 2014-12-03 陈伟权 一种留置针
US11406794B2 (en) * 2015-01-02 2022-08-09 Greiner Bio-One Gmbh Needle hub and IV catheter system comprising such needle hub
CN205007372U (zh) * 2015-10-08 2016-02-03 郑伟 防回血式静脉留置针
KR101916813B1 (ko) 2018-08-03 2018-11-08 이화용 안전 정맥주사 카테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1052B2 (ja) * 2006-08-11 2013-06-12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カテーテルアッセンブリーのための一体型セプタムおよび注射針用チップシールド
US20160243349A1 (en) * 2011-01-28 2016-08-25 Johan-Christoph Geller Stopcock on a catheter-like or a sheath-like medical installation
US20170319822A1 (en) * 2014-10-27 2017-11-09 Jiangxi Fenglin Medical Technology Co.,Ltd Intravenous Catheter Assembly
KR101660713B1 (ko) * 2015-09-21 2016-09-28 이상운 안전 혈관 카테터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440A (ko) 2020-07-17
CN109908430A (zh) 2019-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15093B (zh) 导管插入装置的血液控制
KR102168021B1 (ko) 위험 약액 주입용 플러싱 장치 및 위험 약액 주입 장치
US9227012B2 (en) Winged medical needle device
JP5211052B2 (ja) カテーテルアッセンブリーのための一体型セプタムおよび注射針用チップシールド
ES2284218T3 (es) Dispositivo para la recogida de fluidos con aguja retractil capturada.
US20160361490A1 (en) Safety needle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CA2634244C (en) Protective priming cap for self-sealing male luer valve
US5098410A (en) Adapter cap attachment
KR20160053981A (ko) 피동 안전 i.v 채혈 카테터
JP5033635B2 (ja) 留置針組立体
KR101303269B1 (ko) 안전 장치를 구비한 카테터-유도바늘 어셈블리
JPWO2007132732A1 (ja) 留置針組立体
JP2010510039A (ja) 血管アクセスデバイスの血液のシールおよび露出防止
CA2149725A1 (en) Needleless injection site with bypass valve arrangement
WO2007052656A1 (ja) 留置針組立体
JP2009273515A (ja) ろ過器具
US9498580B2 (en) Hypodermic syringe apparatus having a needle guard assembly with shielding for protection from the needle after use
KR102221456B1 (ko) 안전성을 강화한 의료용 혈관 카테터 세트
RU2562107C2 (ru) Игла с защит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2277725B1 (ko) 개선된 의료용 커넥터
US4932945A (en) Disposable shielded catheter-cannula insertion needle
CN104105520B (zh) 锐器回缩装置
CN207837973U (zh) 一种安全针和针座组件以及一种致动按钮
KR101723820B1 (ko) 의료용 필터안전주사기
US20130110045A1 (en) Single use intravenous therapy administering device with needle safety cov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