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728B1 - 다기능 경광봉 - Google Patents

다기능 경광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728B1
KR102220728B1 KR1020180083814A KR20180083814A KR102220728B1 KR 102220728 B1 KR102220728 B1 KR 102220728B1 KR 1020180083814 A KR1020180083814 A KR 1020180083814A KR 20180083814 A KR20180083814 A KR 20180083814A KR 102220728 B1 KR102220728 B1 KR 102220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ubstrate
cap
light emitting
emit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439A (ko
Inventor
종 두 박
Original Assignee
박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신라 filed Critical 박신라
Priority to KR1020180083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7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4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e.g. dovetail interlocking means fixed by sli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personal use, e.g. hand-he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광봉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형태로 구비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발광부재가 구비되고, 상단에 조명용 발광부재가 결합된 기판과; 내부에 상기 기판이 수용되는 발광본체와, 상기 발광본체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기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가 수용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경광봉본체와; 상기 경광봉본체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조명용 발광부재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외부로 조사하는 상부렌즈와; 상기 경광봉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렌즈의 위치를 고정하는 상부캡과; 상기 경광봉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충전지를 고정하는 하부캡을 포함하되, 상기 기판의 하부에는 원판형상의 걸림판이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경광봉본체의 상부 양측 내벽면에는 상기 기판이 끼워지는 한 쌍의 기판결합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와 상기 발광본체의 경계영역의 내벽면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판이 걸림지지되는 기판지지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경광봉{MULTI FUNCTION SIGNAL LIGHT}
본 발명은 경광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구조를 간소화하여 무게를 가볍게 하고, 간편하게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광봉에 관한 것이다.
경광봉은 유도봉, 신호봉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경광봉은 빛을 발산하는 막대 형태로, 야간에 주변사람에게 위험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종래 경광봉의 일례가 등록특허 제10-0874293호에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경광봉은 복수개의 발광부재가 구비된 기판과, 기판을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와, 본체의 하부에 연장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종래 경광봉은 기판을 본체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기판을 지지하는 별도의 몰드를 만들어 본체 내부에 수용하였다. 그리고, 투명한 본체를 통해 내부의 기판이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사지를 본체 내벽면에 배치하였다.
이에 의해 경광봉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과정이 증가되고, 몰드와 반사지 등에 의해 전체 무게가 증가하였다. 경광봉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하게 되므로, 경광봉의 무게 증가는 사용자의 손과 손목에 피로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종래 경광봉은 야간에 조명으로 사용하기 위해, 기판의 상단에 고휘도 LED를 배치하고, 이를 감싸는 보호케이싱을 결합시켰다. 그리고, 고휘도 LED에서 발생하는 광을 외부로 조사하기 위한 투명렌즈를 배치하고, 투명렌즈를 고정시키기 위한 캡을 결합시켰다.
즉, 조명을 위해 4개의 구성이 결합되어야 하므로, 각 구성의 제조에 시간이 소요되고, 이들을 조립하는데도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경광봉은 손잡이 내부에 건전지를 수용하여, 건전지의 전원이 기판의 발광부재로 전달되어 사용하였다. 그런데, 건전지의 수명이 짧아 자주 건전지를 교체해야하므로 경광봉의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 구조를 간소화해 무게를 경량화한 경광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확산패턴을 이용해 별도의 반사지 없이도 내부 구조를 은폐할 수 있는 경광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명구조를 간소화한 경광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편하게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광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광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광봉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광봉은,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형태로 구비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발광부재가 구비되고, 상단에 조명용 발광부재가 결합된 기판과; 내부에 상기 기판이 수용되는 발광본체와, 상기 발광본체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기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가 수용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경광봉본체와; 상기 경광봉본체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조명용 발광부재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외부로 조사하는 상부렌즈와; 상기 경광봉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렌즈의 위치를 고정하는 상부캡과; 상기 경광봉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충전지를 고정하는 하부캡을 포함하되, 상기 기판의 하부에는 원판형상의 걸림판이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경광봉본체의 상부 양측 내벽면에는 상기 기판이 끼워지는 한 쌍의 기판결합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와 상기 발광본체의 경계영역의 내벽면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판이 걸림지지되는 기판지지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본체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는 나선방향으로 형성된 불규칙광산란패턴이 요철되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광봉본체의 상부와 상기 상부캡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발광본체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본체와 상기 연장캡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렌즈는 상기 연장캡의 상단에 끼움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에는 전원 온(on) 스위치와, 전원 오프(off) 스위치 및 충전 소켓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발광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전원 온(on) 스위치와 상기 전원 오프(off) 스위치 및 충전소켓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삽입공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충전소켓은 휴대단말기용 충전 커넥터 또는 USB 충전 커넥터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은 경광봉본체 외주면에 형성된 불규칙광산란패턴에 의해 내부에 반사지를 넣지 않고도 내부의 기판의 구조를 은폐할 수 있다.
또한, 경광봉본체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기판결합레일과 하부의 기판지지턱의 구조에 의해 별도의 몰딩 없이 기판을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은 반사지와 몰딩의 구성을 없앨 수 있어 전체적으로 부품수를 줄이며,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고, 부품 조립과정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은 필요에 따라 연장캡을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어 경광봉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은 필요에 따라 손잡이 하부에 자석이 구비된 하부캡과 부저가 구비된 보조하부캡을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상황에서 본인에 맞는 맞춤 경광봉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의 경광봉본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100)의 길이를 길게 조립했을 때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경광봉본체(1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경광봉(10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경광봉(100)의 길이를 짧게 조립했을 때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100)은 하부에 손잡이(113)가 구비된 경광봉본체(110)와, 경광봉본체(110)의 내부에 삽입되며 복수개의 발광부재(122)와 조명용 발광부재(126)가 구비된 기판(120)과, 경광봉본체(110)의 상단에 끼워져 조명용 발광부재(126)에서 발생된 광을 외부로 조사하는 상부렌즈(130)와, 경광봉본체(1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렌즈(13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상부캡(140)과, 손잡이(113)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150)과, 손잡이(113)의 내부에 수용되는 충전지(170)를 포함한다.
그리고 손잡이(113)의 상부에는 미끄럼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시 미끄럼방지턱이 엄지와 검지에 의해 걸리게 하여 경광봉(100)이 미끄러지지 않으며, 힘들이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100)은 경광봉본체(110)의 상단과 상부캡(140) 사이에 삽입되어 전체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연장캡(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100)은 하부캡(150) 대신 부저(미도시)를 내부에 수용한 보조하부캡(180)을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100)은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장캡(160)을 끼울수 있어 길이를 가변할 수 있고(도 1과 도 5 참조), 자석(153)이 내장된 하부캡(150)과 부저(미도시)가 내장된 보조하부캡(180)을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경광봉(100)은 사용자의 편의대로 다양하게 형상과 기능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100)은 본체의 표면에 불규칙광산란패턴(A)이 요철되어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기판(120)의 형상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내부에 별도의 반사지를 수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체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경광봉본체(110)는 내부에 기판(120)을 수용하여 발광부재(122)의 빛이 외부로 산란되어 균일하게 발광되도록 하고, 기판(120)을 보호한다. 경광봉본체(110)는 긴 길이를 갖는 봉 형태로 형성된다.
도 3의 (a)는 경광봉본체(11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경광봉본체(110)의 측면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광봉본체(110)는 내부에 기판(120)이 수용되는 발광본체(111)와, 발광본체(111)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손잡이(113)를 포함한다.
발광본체(111)는 기판(120) 보다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기판(120)을 수용한다. 발광본체(111)는 기판(120)에 구비된 복수개의 발광부재(122)로부터 발생된 빛을 외부로 확산시켜 주변의 사람들에게 위치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발광본체(111)의 외주면에는 불규칙광산란패턴(A)이 요철형상으로 형성된다. 불규칙광산란패턴(A)은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나선에 의해 형성된다. 한 쌍의 나선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발광본체(111)의 상단까지 연장형성된다. 한 쌍의 나선이 서로 겹쳐지면서 발광본체(111)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마름모가 형성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본체(111)의 표면은 요철형상을 갖게 되고, 내부의 기판(120)에서 조사된 빛은 발광본체(111) 표면의 요철에 부딪치며 난반사되어 다양한 각도로 굴절되어 퍼져나가게 된다. 이러한 광의 불규칙 난반사에 의해 발광본체(111)의 외부에서 내부를 보았을 때, 내부의 형상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
특히, 발광본체(111)를 기판(120)과 동일한 색상 또는 붉은색이나 청색과 같은 원색으로 도색할 경우, 내부의 기판(120) 형상을 정확하게 알아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판(120)의 형상을 은폐하기 위해 내부에 별도의 반사지를 사용했었으나, 본 발명의 경광봉(100)은 반사지 없이 발광본체(111) 표면의 패턴형상만으로 기판(120)을 은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본체(111)의 하부 표면에는 기판(120)의 전원 온(on) 스위치(123)와 전원 오프(off) 스위치(124)에 대응되는 전원스위치삽입공(111a,111b)이 각각 관통형성되고, 이들과 수직한 방향으로 충전소켓삽입공(111c)이 관통형성된다. 전원스위치삽입공(111a,111b)에는 고무로 형성된 전원 온(on) 캡(116a), 전원 오프(off) 캡(116b)이 각각 배치되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전원 스위치(123,124)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충전소켓삽입공(111c)에는 충전캡(116c)이 개폐되게 구비된다. 사용자는 충전지(170)의 충전이 필요한 때 충전캡(116c)을 개방하고 충전소켓(125)에 충전커넥터(미도시)가 끼워질 수 있게 한다. 충전이 완료되었을 때는 충전커넥터(미도시)를 분리하고, 충전캡(116c)을 닫아 충전소켓(125)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발광본체(111)의 상부 내벽면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한 쌍의 기판결합레일(112)이 구비된다. 기판결합레일(11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20)이 끼워진다. 기판(120)의 양측이 좌우 한 쌍의 기판결합레일(112) 사이에 끼워져 발광본체(111) 내부에서 기판(120)의 위치가 고정된다.
손잡이(113)는 발광본체(111)의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손잡이(113)의 내부에는 충전지(17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손잡이(113)와 발광본체(111)의 경계영역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경계돌기(113a)가 구비된다.
손잡이(113)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했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방지고무관(118)이 끼워진다. 경계돌기(113a)는 미끄럼방지고무관(118)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경계돌기(113a)가 형성된 손잡이(113)의 내벽면에는 내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기판지지턱(114)이 내벽면을 따라 구비된다. 기판지지턱(11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20)의 걸림판(127)에 걸림지지된다.
기판(120) 하부의 걸림판(127)은 기판지지턱(114)에 접촉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상부는 앞서 설명한 한 쌍의 기판결합레일(112)에 끼워져 위치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113) 내부에 충전지(170)가 수용되면 기판(120)의 위치가 발광본체(111) 내부에 구속된다.
따라서, 종래 기판(1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몰딩을 사용했던 것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경광봉(100)은 몰딩 없이도 기판(120)을 발광본체(111) 내부에 고정할 수 있어 전체 부품수를 줄이고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광본체(111)의 상단에는 상부캡(140) 또는 연장캡(160)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상부캡결합관(115)이 연장형성되고, 손잡이(113)의 하단에는 하부캡(150) 또는 보조하부캡(180)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하부캡결합관(117)이 구비된다.
상부캡결합관(115)과 하부캡결합관(117)은 각각 발광본체(111) 및 손잡이(113)의 외경 보다 일정 길이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캡결합관(115)과 하부캡결합관(117)의 외주면에는 각각 제1나사산(115a)과 제2나사산(117a)이 형성된다.
이 때, 제1나사산(115a)과 제2나사산(117a)이 형성된 길이(d)는 1cm 미만으로 짧게 형성된다. 제1나사산(115a)과 제2나사산(117a)의 형성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은 작업자의 작업공정을 짧게 하기 위함이다. 나사산의 길이가 길 경우, 두 개의 부품을 나사결합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본 발명의 경광봉(100)은 나사산의 길이를 짧게 하여 부품 조립시간을 단축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미끄럼방지고무관(118)의 외주연 또는 손잡이(113)의 외주연에는 금속으로 형성된 걸쇠(119)가 구비된다. 걸쇠(119)는 경광봉(100)을 사용자의 의복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기판(120)은 경광봉본체(110) 내부에 수용되어 광을 발생시킨다. 기판(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얇은 판상 재질로 형성된 기판본체(121)와, 기판본체(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발광부재(122)와, 기판본체(121)의 하부 판면에 구비된 전원 온(on) 스위치(123)과, 전원 오프(off) 스위치(124)와, 충전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소켓(125)과, 기판본체(121)의 상단에 결합된 조명용 발광부재(126)와, 기판본체(121)의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일정 면적 형성된 걸림판(127)과, 걸림판(127)의 하부에 구비되어 충전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128)를 포함한다.
발광부재(122)는 LED로 구비될 수 있다. 발광부재(122)는 기판본체(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전원 온(on) 스위치(123)은 사용자가 가압했을 때 충전지(170)의 전원이 기판(120)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전원 오프(off) 스위치(124)는 충전지(17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한다.
충전소켓(125)은 충전지(170)를 충전할 수 있도록 외부 커넥터(미도시)가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100)은 충전소켓(125)이 USB 커넥터(미도시)가 결합되어 충전되도록 구비되거나, 스마트폰을 충전할 때 사용되는 휴대단말기용 커넥터(미도시)가 결합되어 충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양한 장소에서 USB커넥터(미도시)나 휴대단말기용 커넥터(미도시)를 이용해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다.
조명용 발광부재(126)는 기판(120)의 상단에 타 발광부재(122)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조명용 발광부재(126)는 고휘도 LED로 구비되어 야간에 경광봉(100)을 손전등과 같은 조명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배치된다.
조명용 발광부재(126)는 별도의 지지기판(126a)에 의해 지지된다.
걸림판(127)은 기판본체(121)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앞서 설명한 손잡이(113) 내부의 기판지지턱(114)에 접촉지지되어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걸림판(127)은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걸림판(127)의 직경은 기판지지턱(114) 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되어 기판지지턱(114)에 접촉될 수 있게 구비된다.
상부렌즈(130)는 기판(120)의 상단에 구비된 조명용 발광부재(126)에서 발생된 광을 외부로 멀리 조사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부렌즈(130)는 발광본체(111) 또는 연장캡(160)으로 삽입되는 삽입관(131)과, 발광본체(111) 또는 연장캡(160)의 상단에 거치되는 거치턱(132)과, 거치턱(132)의 상단에 구비되는 조명렌즈(133)를 포함한다.
도 5는 상부렌즈(130)가 연장캡(16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발광본체(111)의 상단에 결합될 때도 동일한 구조로 결합되게 된다.
삽입관(131)은 연장캡(160)의 제6나사산(163)이 형성된 내벽면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연장캡(160)의 내부로 억지끼워맞춤 된다. 거치턱(132)은 연장캡(160)의 제6나사산(163)의 외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거치턱(132)은 삽입관(131)과 직경 차이에 의해 단차를 갖게 된다.
조명렌즈(133)는 상부캡(140)의 렌즈수용공(141)에 끼워져 위치가 고정된다. 이 때, 상부캡(140)의 내경이 조명렌즈(133)의 내경보다 작으므로 상부캡(140)이 조명렌즈(133)의 상단을 가압하여 상부캡(140)의 외부 이탈이 방지된다.
상부캡(140)은 발광본체(111)의 상단 또는 연장캡(16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조명렌즈(133)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부캡(140)은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렌즈결합공(141)이 관통형성된 중공관 형태로 구비된다.
상부캡(140)의 하부에는 제3나사산(143)이 형성된다. 제3나사산(143)은 발광본체(111)의 제1나사산(115a)에 나사결합되거나, 연장캡(160)의 제6나사산(163)에 나사결합된다.
상부캡(140)의 내경은 상부렌즈(130)의 조명렌즈(133)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부캡(140)이 조명렌즈(133)의 상단 외주연을 가압하게 되어 조명렌즈(133)의 위치를 구속하게 된다.
즉, 상부렌즈(130)는 발광본체(111)의 상단 또는 연장캡(160)의 상단에 끼워맞춤 되고, 상부는 상부캡(140)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가 구속된다.
이러한 상부렌즈(130)와 상부캡(140)의 구조는 종래 4개의 부품으로 형성된 복잡한 조명구조에 비해 현저히 간소화되며, 조명용 발광부재(126)의 광을 외부로 멀리 조사할 수 있다.
하부캡(150)은 손잡이(113)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된 충전지(170)를 구속한다. 하부캡(150)은 개방된 상단의 내벽면에 제4나사산(151)이 형성된다. 제4나사산(151)은 하부캡결합관(117)의 제2나사산(117a)에 나사결합된다.
하부캡(150)의 내부에는 자석(153)이 매립된다. 자석(153)은 경광봉(100)을 차량과 같은 금속 표면에 부착할 때 사용된다.
한편, 하부캡(150)에는 경보장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보장치를 호르라기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연장캡(160)은 경광봉본체(110)의 상부와 상부캡(140) 사이에 삽입되어 경광봉(100)의 전체 길이를 연장하는데 사용된다. 전체 경광봉(100)의 길이가 길수록 발광되는 봉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반면에, 길이가 길어지면 휴대와 보관이 불편해질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캡(160)을 결합하여 길이를 길게 사용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캡(160)을 빼로 짧은 길이로 사용할 수 있다.
연장캡(160)은 하부에 발광본체(111)의 제1나사산(115a)과 나사결합되는 제5나사산(161)이 내벽면에 구비되고, 상부 외벽면에 상부캡(140)의 제3나사산(143)과 나사결합되는 제6나사산(163)이 구비된다.
연장캡(160)의 표면에도 발광본체(111)와 동일한 불규칙광산란패턴(A)이 형성된다. 여기서, 연장캡(160)은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경광봉본체(110)와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경광봉본체(110)가 빨간색으로 구비될 때, 연장캡(160)은 초록색 또는 파란색으로 구비되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충전지(170)는 손잡이(113) 내부에 수용되어 기판(12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충전지(17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보조하부캡(180)은 위험상황에서 주변에 위급상황을 알릴 수 있는 부저(미도시)를 내부에 수용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평소에는 하부캡(150)을 결합하여 사용하고, 위급시에 보조하부캡(180)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조하부캡(180)은 내부에 부저(미도시)가 수용된 것 외에는 하부캡(15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100)의 조립 및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경광봉(100)의 조립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 형태의 경광봉본체(110)에 기판(120)을 삽입한다. 기판(120)을 손잡이(113) 부분을 통해 삽입하고, 기판(120)의 상단 양측이 한 쌍의 기판결합레일(112)에 끼워지게 배치한다. 이 때, 기판(120) 하부의 걸림판(127)이 손잡이(113) 내부의 기판지지턱(114)에 닿으며 더 이상 기판(120)의 삽입이 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충전지(170)를 손잡이(113) 내부에 넣고, 하부캡(150)을 손잡이(113)의 하부에 결합시킨다.
도 5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3)의 하부캡결합관(117)의 제2나사산(117a)에 하부캡(150)의 제4나사산(151)이 나사결합된다. 이에 의해 경광봉본체(110) 내부의 기판(120)과 충전지(170)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경광봉본체(110)의 상단에 연장캡(160)을 조립한다. 경광봉본체(110)의 제1나사산(115a)에 연장캡(160)의 제5나사산(161)을 나사결합한다. 그리고, 연장캡(160)의 상부로 상부렌즈(130)를 삽입한다.
상부렌즈(130)의 삽입관(131)을 연장캡(160)의 내부로 억지끼움되게 삽입하고, 거치턱(132)이 연장캡(160)의 상단에 거치되게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부캡(140)의 제3나사산(143)을 연장캡(160)의 제6나사산(163)에 나사결합시켜 조립을 완료한다.
이렇게 경광봉(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USB커넥터 또는 휴대단말기 충전커넥터를 충전소켓(125)에 끼워 충전지(170)를 충전시킨다. 일정시간 충전하여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소켓(125)으로부터 충전커넥터를 분리한다.
그리고, 차량 내부에 보관한다. 야간에 응급한 상황이 벌어지면, 사용자는 전원 온(on0 캡(116a)을 통해 전원 온(on) 스위치(123)을 가압한다. 충전지(170)의 전원이 기판(120)으로 공급되고 발광부재(122)와 조명용 발광부재(126)가 발광된다.
발광부재(122)에서 발생된 광은 발광본체(111)에 난반사되며 발광본체(111)의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발광하게 된다. 그리고, 조명용 발광부재(126)에서 발생된 광은 상부렌즈(130)를 통해 직진하여 외부로 조사된다.
응급상황을 알려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함께 보관하는 보조하부캡(180)을 하부캡(150)과 교체하여 손잡이(113)에 끼운다. 그리고, 부저(미도시)를 울려 주변에 응급상황을 알리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은 경광봉본체 외주면에 형성된 불규칙광산란패턴에 의해 내부에 반사지를 넣지 않고도 내부의 기판의 구조를 은폐할 수 있다.
또한, 경광봉본체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기판결합레일과 하부의 기판지지턱의 구조에 의해 별도의 몰딩 없이 기판을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은 반사지와 몰딩의 구성을 없앨 수 있어 전체적으로 부품수를 줄이고,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고, 부품 조립과정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은 필요에 따라 연장캡을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어 경광봉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광봉은 필요에 따라 손잡이 하부에 자석이 구비된 하부캡과 부저가 구비된 보조하부캡을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상황에서 본인에 맞는 맞춤 경광봉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부캡(140)에는 뾰족한 가격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이 가격돌기는 차량에 사고가 발생되거나 차량이 물에 빠져서 차문이 열리지 않을 시에 차의 유리문을 깨고 탈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충전단자(128)에는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으며, 부식방지도포층은 토일트리아졸 20중량%, 벤즈이미다졸 15중량%, 트리옥틸아민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산화알루미늄40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구성된다.
토일트리아졸, 벤즈이미자졸 및 트리옥틸아민은 부식방지 및 변색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조명렌즈(133)의 외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가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카놀아마이드 0.1 몰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본체(111)의 외면에는 호흡기계 질환치료 등의 기능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피로회복, 건강증진 등에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탄저린 오일(Tangerine oil) 50중량%, 팔미토레익산 오일(Palmitoleic acid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기능성 오일 중 탄저린 오일(Tangerine oil)은 주 화학성분으로는 citronellol, linalool, cital 등을 들 수 있으며 방부, 진경, 진정작용 등을 하여 스트레스 완화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팔미토레익산 오일(Palmitoleic acid oil) 오일은 항산화작용을 하며 건조하거나 노화된 피부에 좋으며 세포 재생, 살균, 피부 염증 치료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발광본체(111)에 코팅됨에 따라, 사용자의 피로회복, 건강증진 등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경광봉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경광봉 110 : 경광봉본체
111 : 발광본체 111a,b : 전원스위치삽입공
111c : 충전소켓삽입공 112 : 기판결합레일
113 : 손잡이 113a : 경계돌기
114 : 기판지지턱 115 : 상부캡결합관
115a : 제1나사산 116a : 전원 on 캡
116b : 전원 off 캡 116c : 충전캡
117 : 하부캡결합관 117a : 제2나사산
118 : 미끄럼방지고무관 119 : 걸쇠
120 : 기판 121 : 기판본체
122 : 발광부재 123 : 전원on 스위치
124 : 전원off 스위치 125 : 충전소켓
126 : 조명용 발광부재 126a : 지지기판
127 : 걸림판 128 : 충전단자
130 : 상부렌즈 131 : 삽입관
132 : 거치턱 133 : 조명렌즈
140 : 상부캡 141 : 렌즈수용공
143 : 제3나사산 150 : 하부캡
151 : 제4나사산 153 : 자석
160 : 연장캡 161 : 제5나사산
163 : 제6나사산 170 : 충전지
180 : 보조하부캡
A : 불규칙광산란패턴

Claims (3)

  1.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형태로 구비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발광부재가 구비되고, 상단에 조명용 발광부재(126)가 결합된 기판(120);
    내부에 상기 기판(120)이 수용되는 발광본체(111)와, 상기 발광본체(111)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기판(12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170)가 수용되는 손잡이(113)가 구비된 경광봉본체(110);
    상기 경광봉본체(110)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조명용 발광부재(126)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외부로 조사하는 상부렌즈(130);
    상기 경광봉본체(11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렌즈(1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상부캡(140);
    상기 경광봉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충전지(170)를 고정하는 하부캡(150)을 포함하되,
    상기 기판(120)의 하부에는 원판형상의 걸림판(127)이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경광봉본체(110)의 상부 양측 내벽면에는 상기 기판(120)이 끼워지는 한 쌍의 기판결합레일(112)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113)와 상기 발광본체(111)의 경계영역의 내벽면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판(127)이 걸림지지되는 기판지지턱(114)이 구비되고;
    상기 발광본체(111)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는 나선방향으로 형성된 불규칙광산란패턴(A)이 요철되게 형성되며;
    상기 경광봉본체(110)의 상부와 상기 상부캡(14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발광본체(111)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캡(1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본체(111)와 상기 연장캡(160)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렌즈(130)는 상기 연장캡(160)의 상단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기판(120)에는 전원 온(on) 스위치(123)와, 전원 오프(off) 스위치(124) 및 충전 소켓(125)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발광본체(111)의 외주면에는 상기 전원 온(on) 스위치(123)와 상기 전원 오프(off) 스위치(124) 및 충전소켓(125)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삽입공(111a,111b,111c)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충전소켓(125)은 휴대단말기용 충전 커넥터 또는 USB 충전 커넥터가 결합되며;
    손잡이(113)의 상부에는 미끄럼방지턱이 형성되고, 손잡이(113)와 발광본체(111)의 경계영역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경계돌기(113a)가 구비되며, 손잡이(113)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했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방지고무관(118)이 끼워지고, 하부캡(150)의 내부에는 자석(153)이 매립되고, 상부캡에는 뾰족한 가격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봉.
  2. 삭제
  3. 삭제
KR1020180083814A 2018-07-19 2018-07-19 다기능 경광봉 KR102220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814A KR102220728B1 (ko) 2018-07-19 2018-07-19 다기능 경광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814A KR102220728B1 (ko) 2018-07-19 2018-07-19 다기능 경광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439A KR20200009439A (ko) 2020-01-30
KR102220728B1 true KR102220728B1 (ko) 2021-03-03

Family

ID=6932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814A KR102220728B1 (ko) 2018-07-19 2018-07-19 다기능 경광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7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215B1 (ko) * 2022-10-05 2023-07-24 장석호 자체발전 및 나노 캐패시터 저장 구조를 갖는 경광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488Y1 (ko) * 2004-03-03 2004-07-07 윤석진 휴대용 표시장치
KR200409301Y1 (ko) * 2005-07-25 2006-02-24 이상걸 교통 신호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209B1 (ko) * 2015-09-08 2017-08-28 이성영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488Y1 (ko) * 2004-03-03 2004-07-07 윤석진 휴대용 표시장치
KR200409301Y1 (ko) * 2005-07-25 2006-02-24 이상걸 교통 신호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439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0047B2 (en) Light therapy device
US4099535A (en) Light emitting walking cane
US7419294B2 (en) Night lamp
KR102220728B1 (ko) 다기능 경광봉
US8523376B2 (en) Self-defense walking aid
KR101759686B1 (ko) 다기능 안전 지팡이
KR101498473B1 (ko)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
WO2005053773A1 (fr) Methode et dispositif de recherche de vaisseau sanguin
KR101467831B1 (ko) 다기능 지팡이
WO2014196484A1 (ja) ライト付きコルク
KR200413605Y1 (ko) 지팡이용 손잡이 구조
JPH0327288Y2 (ko)
WO2015120332A1 (en) Guyline illuminator
US20210299299A1 (en) Device for eradicating bacteria and viruses
JPH09322813A (ja) 発光傘
CN217900625U (zh) 一种物业保安安防用的警棍
TWM653684U (zh) 拐杖
JP2004136048A (ja) 光源付目薬容器
JP3106560U (ja) 発光装置
JP2859128B2 (ja) セーフティグリップ付浴槽
KR200229480Y1 (ko) 안전 지팡이
JP6188450B2 (ja) 杖歩行者用点灯装置とその装置を備えた杖
JP2003000469A (ja) 発光機能付き耳衛生具並びに着脱式発光綿棒
KR200418373Y1 (ko) 지팡이
KR200432945Y1 (ko) 안전 지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