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655B1 - 잔류세제측정기 - Google Patents

잔류세제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655B1
KR102220655B1 KR1020190115738A KR20190115738A KR102220655B1 KR 102220655 B1 KR102220655 B1 KR 102220655B1 KR 1020190115738 A KR1020190115738 A KR 1020190115738A KR 20190115738 A KR20190115738 A KR 20190115738A KR 102220655 B1 KR102220655 B1 KR 102220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ion
module
battery
sodium hydroxide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원
Original Assignee
김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원 filed Critical 김시원
Priority to KR1020190115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2Specific anions in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판 및 식기류에 남은 세제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잔류세제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수용하며 배터리로부터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는 몸통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수용하며 배터리로부터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는 몸통부;
몸통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양극에 연결되는 양전극모듈과 배터리의 음극에 연결되는 음전극모듈을 포함하여, 전원모듈이 턴-온 되어 배터리에서 전류가 출력되고 양전극모듈과 음전극모듈 사이에 상수 또는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가 접촉되었을 때, 상수 또는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을 측정하는 측정부;
제1조정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점보정버튼과 제2조정신호를 발생시키는 초기화버튼을 포함하는 조정부;
측정부에서 측정한 수산화나트륨농도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모듈을 포함하여 조정부와 연결되고,
전원모듈이 배터리에서 전류가 출력되도록 작동된 후 영점보정버튼이 작동되어 제1조정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산화나트륨의 농도를 데이터저장모듈에 기준농도로 저장해 전원모듈이 턴-오프 된 후 다시 턴-온 되면,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과 기준농도를 연산해 제1연산농도를 데이터저장모듈에 저장하는 연산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잔류세제측정기{Measuring Device for Residual Sodium Hydroxide}
본 발명은 잔류세제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식판 및 식기류에 남은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분야에 속한다.
일반 가정 및 식당에서는 음식물이 뭍은 각종 식기류를 계면활성제로 닦고 각종 식기류에 뭍은 세제를 흐르는 물로 제거하는 방식으로 설거지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오래 전부터 이어져 온 일반적인 설거지 방식이며 아직도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따라서, 오래 전부터 많은 식당 및 급식소에서 각종 식기류에 남아 있는 잔류 세제에 대한 체크 과정이 특별히 행해지고 있지 않다.
많은 식당 및 급식소에서 제대로 설거지 되지 않은 식기류가 사용되고 있다. 이때 미흡한 설거지에 남아있는 잔류세제는 사용자에게 알레르기 및 각종 질병을 발생시킨다. 특히, 유아 및 어린이들의 급식을 제공하는 식당에서 설거지가 미흡하였을 때, 식기류에 잔류된 세제에 의해 음식물이 오염되어 유아 및 어린이들이 단체로 배탈이 날 수 있다.
이러한 위생문제에 기반하여 발생되는 사고를 대비하고자 잔류 세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인지에 기초하여 잔류 세제를 판정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0428호 (2013.09.2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편한 방식으로 각종 식기류에 남아있는 잔류세제를 수치데이터 및 수소이온지수로 나타내며 수산화나트륨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잔류세제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식기를 세척하는 물의 수산화나트륨을 기본값으로 설정하여 식기 세척 후, 세척수에 녹아 있는 수산화나트륨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잔류세제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잔류세제측정기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수용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의 양극에 연결되는 양전극모듈과 상기 배터리의 음극에 연결되는 음전극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전원모듈이 턴-온 되어 배터리에서 전류가 출력되고 상기 양전극모듈과 상기 음전극모듈 사이에 상수 또는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가 접촉되었을 때, 상기 상수 또는 상기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을 측정하는 측정부;
제1조정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점보정버튼과 제2조정신호를 발생시키는 초기화버튼을 포함하는 조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수산화나트륨 농도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조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모듈이 상기 배터리에서 전류가 출력되도록 작동된 후 상기 영점보정버튼이 작동되어 상기 제1조정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수산화나트륨의 농도를 상기 데이터저장모듈에 기준농도로 저장해 상기 전원모듈이 턴-오프 된 후 다시 턴-온 되면,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과 상기 기준농도를 연산해 제1연산농도를 상기 데이터저장모듈에 저장하는 연산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출력부는,
상기 데이터저장모듈에 상기 제1연산농도가 저장된 후, 상기 전원모듈의 작동 변화 없이 상기 측정부에서 상기 세척수를 재 측정하였을 때, 상기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과 상기 기준농도를 연산해 제2연산농도를 출력하는 연산농도출력모듈과
상기 제1연산농도와 상기 제2연산농도를 복수 개의 설정구간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설정구간에 배당하는 설정구간모듈 그리고
복수 개의 설정구간과 상기 설정구간에 서로 다른 크기로 설정된 구간오차를 포함하여, 상기 제1연산농도와 상기 제2연산농도가 연산되어 산출된 제3연산농도가 상기 제1연산농도가 배당된 설정구간의 상기 구간오차 이하 일 때, 상기 제1연산농도를 출력하고 상기 제3연산농도가 구간오차 보다 클 때 상기 제2연산농도를 출력하는 보정출력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연산출력부는 상기 초기화버튼이 작동되어 상기 제2조정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데이터저장모듈에 저장된 상기 기준농도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세척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온도계모듈과 상기 양전극모듈 또는 상기 온도계모듈과 상기 음전극모듈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에 포함된 불순물에 의한 이온을 당겨 상기 이온이 상기 양전극모듈 또는 상기 음전극모듈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댐핑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는 상기 연산출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산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잔류세제측정기는 식기류를 세척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의 용해된 수산화나트륨을 기본값으로 설정하며 영점을 맞출 수 있다. 그리고 설정된 영점 보정 값을 기준으로 식기세척 후 식기에 남아 있는 세척수에 대한 수산화나트륨농도를 ppm(part per million)단위의 수치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잔류세제측정기는 식기에 남아 있는 세제 잔류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류세제측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류세제측정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류세제측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정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류세제측정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잔류세제측정기가 실리콘스푼에 끼워져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류세제측정기가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농도를 측정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잔류세제측정기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류세제측정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잔류세제측정기(1)는 식기류를 세척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에 용해된 수산화나트륨을 기본값으로 설정해 영점을 맞춰 세척수의 세제 잔류량을 수산화나트륨을 ppm(part per million)단위의 수치로 나타낸다. 이와 같은 잔류세제측정기(1)는 세제 잔류량을 수치로 나타내며 사용자에게 식기에 남아 있는 세제 잔류값을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잔류세제측정기(1)는 상수 내의 전기 전도도를 이용해 상수 내에 존재하는 수산화나트륨을 기준점으로 영점 보정해 세척수 내에 남아 있는 세제 잔류량을 측정해 수치로 출력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류세제측정기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류세제측정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류세제측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측정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잔류세제측정기(1)는 몸통부(10), 측정부(20), 조정부(30) 및 연산출력부(4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몸통부(10)는 잔류세제측정기(1)의 몸통이 된다. 이러한 몸통부(10)의 내부에는 하나의 배터리(A)가 수용되고 배터리(A)를 덮는 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외부에는 전원모듈(110), 스피커(50) 및 디스플레이 등이 형성 될 수 있다. 아울러, 몸통부(1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쉽게 잡을 수 있는 형상 일례로, 중간부의 종단면이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모듈(110)은 배터리(A)와 측정부(20) 간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버튼 스위치가 될 수 있다. 일례로, 전원모듈(110)은 사용자가 전원모듈(110)을 턴-온 시키면 배터리(A)로부터 측정부(20)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배터리(A)와 측정부(20)를 단락(short)시키고 전원모듈(110)를 턴-오프 시키면 배터리(A)로부터 측정부(20)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배터리(A)와 측정부(20)를 오픈(open)시킬 수 있다.
측정부(20)는 몸통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수 또는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농도 및 온도를 측정한다. 이와 같은 측정부(20)는 배터리(A)의 양극에 연결된 양전극모듈(210)과 음극에 연결된 음전극모듈(220)을 포함한다. 측정부(20)는 전원모듈(110)이 턴-온 되었을 때 양전극모듈(210)과 음전극모듈(220) 사이에 있는 상수 및 세척수(F, 도 6참조)에 전류를 도통시켜 상수 및 세척수(F)에 용해된 수산화나트륨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20)는 온도계모듈(230)을 포함하여 상수 및 세척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할 수 있으며 댐핑선모듈(240)을 포함하여 세척수(F)에 포함된 불순물의 이온이 양전극모듈(210)과 음전극모듈(220)의 전류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측정부(20)는 백금(白金)으로 형성되어, 상수 및 세척수(F)에 존재하는 수산화나트륨의 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측정부(20)는 0 ~ 1000ppm 범위 내의 상수 및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농도를 1ppm 차이까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아울러, 측정부(20)는 온도계모듈(230)을 통해 상수 및 세척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계모듈(230)은 1℃ ~ 60℃까지 넓은 범위의 온도를 측정하며, 1℃ 차이까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조정부(30)는 영점보정버튼(310)과 초기화버튼(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영점보정버튼(310)은 제1조정신호를 발생시키고, 초기화버튼(320)은 제2조정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정부(30)는 몸통부(10)의 내측 및 외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연산출력부(4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즉, 데이터를 연산 처리한다. 이러한 연산출력부(40)는 몸통부의 일면에 노출되어 백라이트가 탑재된 출력모듈과 출력모듈과 연결되며 몸통부의 내부에 설치된 데이터저장모듈(410), 연산농도출력모듈(420), 설정구간모듈(430) 및 보정출력모듈(440) 즉, 연산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연산출력부(40)는 조정부(40)와 연결되어 조정부(40)에서 전달되는 제1조정신호와 제2조정신호를 기초로 측정부(2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연산모듈에서 연산한다.
이러한 연산출력부(40)는 전원모듈(110)이 턴-온 되어 배터리(A)에서 전류가 출력되고 영점보정버튼(310)이 작동되어 제1조정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측정부(20)에서 측정된 수산화나트륨농도를 데이터저장모듈(410)에 기준농도로 저장한다. 그리고 전원모듈(110)이 턴-오프 된 후 다시 턴-온 되면, 측정부(20)에서 측정되는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농도와 기준농도를 연산해 제1연산농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제1연산농도를 데이터저장모듈(410)에 저장한다. 또한, 연산출력부(40)는 연산농도출력모듈(420)을 통해 데이터저장모듈(410)에 제1연산농도가 저장된 후, 전원모듈의 작동 변화 없이 측정부(20)에서 세척수(F)를 재 측정하였을 때,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농도와 기준농도를 연산해 제2연산농도를 출력한다. 그리고 설정구간모듈(430)을 통해 제1연산농도와 제2연산농도를 복수 개의 설정구간 가운데 어느 하나에 설정구간에 배당할 수 있다. 일례로, 연산출력부(40)는 제1연산농도가 0~124ppm일 경우 제1설정구간에 할당할 수 있고, 제2연산농도가 125~249ppm일 경우 제2설정구간에 할당할 수 있다.
아울러, 연산출력부(40)는 보정출력모듈(440)에 설정된 복수 개의 설정구간과 설정구간에 서로 다른 크기로 설정된 구간오차를 이용해 제3연산농도 즉, 제3연산농도 값이 제3연산농도가 배당된 설정구간의 구간오차 값과 비교하여 같거나 작을 때, 제1연산농도를 그대로 출력한다. 반면, 제3연산농도의 값이 제3연산농도가 배당된 설정구간의 구간오차 보다 클 때 제2연산농도 즉, 새롭게 측정한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농도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산출력부(40)의 작동에 따른 수산화나트륨농도의 산출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연산출력부(40)는 초기화버튼(320)이 작동되어 제2조정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데이터저장모듈(410)에 저장된 기준농도를 비롯해 연산모듈들에 저장 및 연산된 모든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잔류세제측정기를 이용해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농도를 측정하는 상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잔류세제측정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앞서, 잔류세제측정기(1)는 전원모듈(110)이 턴-온(on)되고 영점보정버튼(310)이 작동되어 영점 보정된 상태인 것으로 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류세제측정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류(B) 일례로, 식판은 세척액(C)으로 세척되고, 식판과 세척액(C)은 상수로 세척될 수 있다. 이때, 식판에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F)가 잔류할 수 있다. 이러한 세척수(F)는 용기(D)에 담겨 수산화나트륨이 측정될 수 있다. 용기(D)에 담긴 세척수(F)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류세제측정기(1)의 양전극모듈(210)과 음전극모듈(220)에 의해, 세첵수에 용해된 수산화나트륨농도는 정확히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잔류세제측정기(1)는 기준농도와 세척수(F)의 수산화나트륨농도를 연산해 제1연산농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1연산농도를 저장한다.
잔류세제측정기(1)는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D)에 의도치 않게 섞인 불순물(G)을 접촉하더라도 댐핑선모듈(240)을 통해, 불순물(G)의 이온을 당겨 불순물(G)이 양전극모듈(210)과 음전극모듈(220) 간에 전류 간섭 형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잔류세제측정기(1)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산농도를 ppm(part per million)단위의 수치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모듈(110)이 한번 더 눌려지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류세제측정기(1)는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농도를 수소이온농도 지수 pH 그리고 pH에 해당하는 색상 다시 말해 리트머스 종이에서 나타나는 색을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잔류세제측정기(1)에 5ppm이 표시되면, 5ppm에 해당하는 pH 7과 pH 7에 해당하는 녹색이 표시될 수 있다.
잔류세제측정기(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모듈의 작동 변화 없이 세척수(F)를 재 측정하였을 때,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농도와 기준농도를 연산해 제2연산농도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연산농도와 제2연산농도를 복수 개의 설정구간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설정구간에 배당한다. 일례로, 잔류세제측정기(1)는 제1연산농도가 0~124ppm에 해당하면 제1연산농도를 제1설정구간에 배당하고, 125~249ppm에 해당하면 제2설정구간에 배당하고, 250~374ppm에 해당하면 제3설정구간에 배당할 수 있다. 또한 375~499ppm에 해당하면 제4설정구간에 배당하고, 500~624ppm에 해당하면 제5설정구간에 배당하고, 625~749ppm에 해당하면 제6설정구간에 배당할 수 있다. 아울러 750~874ppm에 해당하면 제7설정구간에 배당하고, 875~1000ppm에 해당하면 제8설정구간에 배당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설정구간에는 -12ppm 내지 +12ppm의 오차범위가 설정되고, 제2설정구간에는 -25 내지 +25ppm의 오차범위가 설정되고, 제3설정구간에는 -37 내지 +37ppm의 오차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4설정구간에는 -50 내지 +50ppm의 오차범위가 설정되고, 제5설정구간에는 -62 내지 +62ppm의 오차범위가 설정되고, 제6설정구간에는 -75 내지 +75ppm의 오차범위가 설정되고, 제7설정구간에는 -100 내지 +100ppm의 오차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제1설정구간 내지 제7설정구간 각각은 수소이온농도 지수 pH 7 내지 pH 14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잔류세제측정기(1)는 일례로 세척수(F)를 최초 측정하였을 때 3ppm이 측정되었으면 이를 제1설정구간에 할당하며 출력하고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수(F)를 재 측정하였을 때 5ppm이 측정되면 이를 제1설정구간에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잔류세제측정기(1)는 재 측정된 5ppm과 최초 측정된 3ppm을 감산하여 2ppm을 산출하고, 산출된 3ppm이 할당된 제1설정구간의 오차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산출값이 제1설정구간의 오차범위에 포함되면 재 측정된 값을 연산출력부(30)에 출력하지 않고, 최소 측정된 값 즉 3ppm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세척수(F)를 재 측정하였을 때, 16ppm이 측정되면 제1설정구간의 오차범위에 포함되지 않아, 연산출력부(30)를 통해 재 측정된 값을 ppm 그리고 pH로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잔류세제측정기(1)는 세척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연산출력부(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잔류세제측정기(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10)의 일측에 설치된 스피커(50)를 통해,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농도 측정이 완료되며 측정부(2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잔류세제측정기(1)는 스피커(50)를 통해 측정시작에 대응하는 소리 및 측정 완료에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하며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세척수의 수소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잔류세제측정기(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스푼(H)을 하나의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잔류세제측정기(1)는 실리콘 스푼(H)의 일측에 삽입되어, 실리콘 스푼(H)의 내부에 수용된 상수 또는 세척수(F)의 수소 농도를 측정해보다 정확한 영점 보정 그리고 수산화나트륨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지금까지 설명한 잔류세정측정기(1)에 대한 설명을 바탕으로 잔류세정측정기의 작동과 이러한 잔류세정측정기를 이용해 식기류 세척 후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농도를 측정하는 과정에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류세제측정기가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농도를 측정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잔류세제측정기를 이용해 잔류 세제를 측정하는 과정은 잔류세제측정기(1)의 전원모듈(110)이 턴-온(on)되고 영점보정버튼(310)이 작동되면, 측정부(20)가 상수의 수산화나트륨농도를 측정해 연산출력부(30)에 측정한 수산화나트륨농도를 기준농도로 저장하는 단계로 시작될 수 있다. 즉, 잔류세제측정기(1)에 영점 보정이 진행되는 단계로 시작될 수 있다(S110). 이후, 잔류세제측정기(1)는 전원모듈(110)이 턴-오프 그리고 턴-온 되어 턴-온 신호음을 출력하며 수소이온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S120). 이후, 잔류세제측정기(1)는 측정부(20)에 의해 세척수(F)의 수소이온 농도를 측정하며 세척수(B)의 희석 농도를 출력하는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S340). 이때, 잔류세제측정기(1)는 스피커(50)를 통해 측정완료 신호음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잔류세제측정기(1)는 전원모듈(110)에 의해 다시 턴-온 상태에서 턴-오프로 전환되며 연산출력부(40)를 통해 세척수의 온도를 출력할 수 있다.
잔류세제측정기(1)는 수소이온 농도 측정을 마친 후, 중성세제 등으로 측정부(20)가 세척된 후(S150), 다른 세척수의 수소이온 농도를 측정 하는데 사용되거나 케이스에 보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잔류세제측정기
10: 몸통부 110: 전원모듈
20: 측정부 210: 양전극모듈
220: 음전극모듈 230: 온도계모듈
240: 댐핑선모듈
30: 연산출력부
310: 영점보정버튼 320: 초기화버튼
40: 조정부
410: 데이터저장모듈 420: 연산농도출력모듈
430: 설정구간모듈 440: 보정출력모듈
50: 스피커 60: 커버
A: 배터리 B: 식기류
C: 식기세제 D: 용기
E: 사용자 F: 세척수
G: 불순물 H: 실리콘 스푼

Claims (5)

  1.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수용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의 양극에 연결되는 양전극모듈과 상기 배터리의 음극에 연결되는 음전극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전원모듈이 턴-온 되어 배터리에서 전류가 출력되고 상기 양전극모듈과 상기 음전극모듈 사이에 상수 또는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가 접촉되었을 때, 상기 상수 또는 상기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을 측정하는 측정부;
    제1조정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점보정버튼과 제2조정신호를 발생시키는 초기화버튼을 포함하는 조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수산화나트륨 농도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조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모듈이 상기 배터리에서 전류가 출력되도록 작동된 후 상기 영점보정버튼이 작동되어 상기 제1조정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수산화나트륨의 농도를 상기 데이터저장모듈에 기준농도로 저장해 상기 전원모듈이 턴-오프 된 후 다시 턴-온 되면,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과 상기 기준농도를 연산해 제1연산농도를 상기 데이터저장모듈에 저장하는 연산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출력부는,
    상기 데이터저장모듈에 상기 제1연산농도가 저장된 후, 상기 전원모듈의 작동 변화 없이 상기 측정부에서 상기 세척수를 재 측정하였을 때, 상기 세척수의 수산화나트륨과 상기 기준농도를 연산해 제2연산농도를 출력하는 연산농도출력모듈과
    상기 제1연산농도와 상기 제2연산농도를 복수 개의 설정구간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설정구간에 배당하는 설정구간모듈 그리고
    복수 개의 설정구간과 상기 설정구간에 서로 다른 크기로 설정된 구간오차를 포함하여, 상기 제1연산농도와 상기 제2연산농도가 연산되어 산출된 제3연산농도가 상기 제1연산농도가 배당된 설정구간의 상기 구간오차 이하 일 때, 상기 제1연산농도를 출력하고 상기 제3연산농도가 구간오차 보다 클 때 상기 제2연산농도를 출력하는 보정출력모듈을 포함하는, 잔류세제측정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출력부는 상기 초기화버튼이 작동되어 상기 제2조정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데이터저장모듈에 저장된 상기 기준농도를 삭제하는, 잔류세제측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세척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모듈을 더 포함하는, 잔류세제측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온도계모듈과 상기 양전극모듈 또는 상기 온도계모듈과 상기 음전극모듈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에 포함된 불순물에 의한 이온을 당겨 상기 이온이 상기 양전극모듈 또는 상기 음전극모듈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댐핑선모듈을 더 포함하는, 잔류세제측정기.
KR1020190115738A 2019-09-20 2019-09-20 잔류세제측정기 KR102220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738A KR102220655B1 (ko) 2019-09-20 2019-09-20 잔류세제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738A KR102220655B1 (ko) 2019-09-20 2019-09-20 잔류세제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655B1 true KR102220655B1 (ko) 2021-02-25

Family

ID=7473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738A KR102220655B1 (ko) 2019-09-20 2019-09-20 잔류세제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6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6986A (ko) * 2006-01-06 2008-09-29 가부시키가이샤 루미카 잔류 세제의 검출 방법 및 잔류 세제 검출 도구
JP4593269B2 (ja) * 2002-05-24 2010-12-0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洗濯または食器洗浄環境中の化学的・物理的特性の測定方法
KR101942022B1 (ko) * 2018-07-05 2019-01-24 김시원 염소농도측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3269B2 (ja) * 2002-05-24 2010-12-0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洗濯または食器洗浄環境中の化学的・物理的特性の測定方法
KR20080086986A (ko) * 2006-01-06 2008-09-29 가부시키가이샤 루미카 잔류 세제의 검출 방법 및 잔류 세제 검출 도구
KR101310428B1 (ko) 2006-01-06 2013-09-24 가부시키가이샤 루미카 잔류 세제의 검출 방법 및 잔류 세제 검출 도구
KR101942022B1 (ko) * 2018-07-05 2019-01-24 김시원 염소농도측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93379B (zh) 液體容器及管理系統
CN103829794B (zh) 电加热煲的防溢出控制方法
JP7288281B2 (ja) 塩素濃度測定器
US9557309B2 (en) Pen type of apparatus for measuring multiple water qualities
EP1136037A1 (en) Portable bioelectrical impedance measuring instrument
KR102220655B1 (ko) 잔류세제측정기
WO2010042255A1 (en) Food product measuring vessel with integrated scale
CN103445691A (zh) 一种智能米桶
US8044811B2 (en) Sensing device and method
KR20190109256A (ko) 액체 용기 및 관리 시스템
KR102229262B1 (ko) 재연성을 보장하는 염소농도측정기
CN110879284B (zh) 水质的检测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CN208211979U (zh) 一种扫地机器人
CN208420113U (zh) 一种检测集成器及电茶壶
CN207779947U (zh) Tds测试装置与手机背夹
US9823214B2 (en) Biological sample measuring apparatus
JP6436161B2 (ja) 計測システム、電極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51624A (ko) 염분 섭취량 측정 기능을 가지는 식판
CN214048630U (zh) 一种带温度检测的皂液器
US20110232374A1 (en) Measurement device with resonator
JP5934563B2 (ja) 電極故障診断装置
JP6321152B2 (ja) 多グループ電気ネットワークで使用される分離装置
CN211292682U (zh) 乳化沥青电荷试验仪
KR101600368B1 (ko) 시험지를 이용한 선택성 이온측정기
CN109602337A (zh) 一种扫地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