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603B1 - 통합형 착유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형 착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603B1
KR102220603B1 KR1020200074536A KR20200074536A KR102220603B1 KR 102220603 B1 KR102220603 B1 KR 102220603B1 KR 1020200074536 A KR1020200074536 A KR 1020200074536A KR 20200074536 A KR20200074536 A KR 20200074536A KR 102220603 B1 KR102220603 B1 KR 102220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ing
pipe
immersion
integrated
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철
이현정
김태일
기광석
김현종
최영경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주식회사 다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주식회사 다운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00074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5/00Milking machines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5/00Milking machines or devices
    • A01J5/04Milking machines or devices with pneumatic manipulation of teats
    • A01J5/047Vacuum generating means, e.g. by connecting to the air-inlet of a tractor engine
    • A01J5/048Vacuum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7/00Accessories for milking machines or devices
    • A01J7/04Accessories for milking machine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udders or teats, e.g. for clea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통합형 착유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젖소의 우유를 착유하는 공정에서 소요되는 착유시간을 줄이고 빠른 착유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세척 공정, 전착유 공정, 착유 공정 및 침지 공정을 하나의 프로세스로 통합하여 착유컵의 부착만으로 착유와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가 한 번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착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착유에 필요한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통합형 착유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통합형 착유 장치{Apparatus for Milking Clus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합형 착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대부분의 착유농가에서 착유 전 유두에 묻어있는 분뇨나 흙 등을 제거하고 깨끗한 상태에서 착유컵을 부착하여 깨끗한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인 농가에서의 착유방법은 소가 입장하면 총 4단계의 착유방법이 권장되고 있다. 1단계로 세척 공정으로 젖소의 유두를 유방 전용 수건, 유두세척장치, 물 등을 이용하여 유두 주위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물기를 제거한다. 2단계로 전착유 공정으로 젖소의 유두 끝에 모여있는 세균이 많을 수 있는 우유의 제거를 위한 전착유를 수행한다. 즉, 착유 전에 3~4회 손으로 우유를 짜서 버린다. 전착유를 수행하여 유질이 나쁜우유를 버린다. 3단계로 착유 공정으로 착유컵 4개를 젖소의 젖꼭지에 장착하여 착유를 시작한다. 4단계로 침지공정으로 요오드 등 유두 보호약품을 유두에 뿌리거나 침지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일반적인 로봇착유기를 이용한 착유방법은 다음과 같다. 1단계로 유두세척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브러시나 전용 세척컵을 이용하여 약 20초 정도 세척한다. 세척솔의 회전으로 전착유공정 이루어진다. 2단계로 착유공정을 수행한다. 3단계로 침지제 분사를 위해 로봇이 유두인식 후 전용 침지제를 젖꼭지에 분사한다.
종래의 착유 공정에서는 젖소의 젖꼭지 4개의 세척이 모두 끝나야만, 4개의 꼭지의 전착유를 하고, 착유가 시작 및 종료되면 4개의 꼭지를 하나씩 침지해야 하는 이유로 착유시간이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젖소의 우유를 착유하는 공정에서 소요되는 착유시간을 줄이고 빠른 착유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세척 공정, 전착유 공정, 착유 공정 및 침지 공정을 하나의 프로세스로 통합하여 착유컵의 부착만으로 착유와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가 한 번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착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착유에 필요한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통합형 착유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젖소의 유두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유두에 직접 체결되어 상기 유두로부터 착유한 우유가 일차적으로 담기도록 하는 착유컵; 상기 착유컵의 일측에 세척배관으로 연결되어, 착유 시작전에 고압으로 세척액을 분사하여 상기 착유컵 내에 삽입된 상기 유두를 세척하는 세척액 분사부; 상기 착유컵의 타측과 제1 착유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착유컵으로부터 전착유 공정으로 기 설정된 횟수로 착유된 우유를 상기 제1 착유배관으로 입력받아 보관하는 배수탱크; 상기 착유컵의 타측과 상기 제1 착유배관을 분기하여 연결되며, 상기 착유컵으로부터 상기 전착유 공정이 완료된 후 착유된 우유를 상기 제1 착유배관으로 입력받아 보관하는 우유집유 탱크; 상기 배수탱크와 상기 우유집유 탱크와 제2 착유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착유배관으로부터 내부 공기를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착유컵 내에 삽입된 상기 유두로부터 우유를 착유하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착유컵 내에 삽입된 상기 유두로부터 착유된 우유가 상기 배수탱크 및 상기 우유집유 탱크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착유컵의 일측에 침지배관으로 연결되어, 착유가 완료된 후 침지제를 분사하여 상기 착유컵 내에 삽입된 상기 유두가 침지되도록 하는 침지제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착유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젖소의 우유를 착유하는 공정에서 소요되는 착유시간을 줄이고 빠른 착유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세척 공정, 전착유 공정, 착유 공정 및 침지 공정을 하나의 프로세스로 통합하여 착유컵의 부착만으로 착유와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가 한 번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착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착유에 필요한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로봇착유기에 통합형 착유 방법을 적용 가능하며, 세척 공정, 전착유 공정, 착유 공정, 침지 공정을 하나의 공정(착유컵 부착)으로 통합하여 기기당 착유두수를 현저하게 높임으로 운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젖소의 하나의 젖꼭지에 착유컵이 삽입되면 다른 착유컵과 무관하게 자동으로 세척이 시작되고, 다른 착유컵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착유 및 침지를 수행하므로 독립적인 운영으로 착유시간의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로봇착유기에 통합형 착유 방법을 적용하여, 우유의 유질 향상, 세균감수, 착유두수 향상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착유 장치의 세척공정과 침지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착유 장치의 전착유공정과 착유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착유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4b,4c,4d,4e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착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착유 장치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착유 장치의 세척공정과 침지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착유 장치(100)는 젖소에서 우유를 착유하는데 소요되는 착유시간을 줄이고 빠른 착유를 통해 노동시간을 줄이기 위해 세척, 전착유, 착유, 침지가 착유컵(120) 내에서 한 번에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통합형 착유 장치(100) 내의 착유컵(120)을 젖소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착유와 관련된 모든 공정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착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착유에 필요한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통합형 착유 장치(100)는 기기당 착유두수를 증가시켜서 운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착유시간이 줄어들어 시간당 착유가능 두수가 늘어나고 우유의 유질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통합형 착유 장치(100)는 특수한 구조를 갖는 착유컵(120)과 통합 착유모듈을 설치함으로 착유컵(120)을 젖소의 유두(110)에 장착하면, 착유컵(120) 내부에서 세척, 전착유, 착유, 침지까지의 전체 행정을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인 세척 방법과 같이 젖소의 유두(110)를 세척하기 위해 수건과 세척솔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형 착유 장치(100) 내에서 착유컵(120) 내부로 고압의 온수와 에어를 분사하여 젖소의 유두(110)를 자동 세척함으로 젖소의 유두(110)에 대한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통합형 착유 장치(100)는 전착유 공정을 실시할 때, 최초 착유된 우유를 배수탱크(220)로 버린다. 이후 통합형 착유 장치(100)는 착유 및 마사지를 이용하여 안전한 착유를 유도한다. 통합형 착유 장치(100)는 착유가 완료된 후 자동으로 침지를 수행할 수 있도록 착유 종료를 인식한 후 자동으로 침지 공정을 수행(침지제량 통제 가능)한다.
통합형 착유 장치(100)는 세척, 전착유, 착유, 침지를 포함하는 네 가지 기능을 하나의 통합 공정으로 수행한다. 예컨대, 평균적으로 착유에 소요되는 시간이 10분 이상이나,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착유 장치(100)를 적용하는 경우, 세척, 전착유, 착유, 침지를 하나의 프로세스로 통합하여 제공하므로 전체 착유에 소요되는 시간을 5 ~ 6분으로 줄일 수 있다.
일반적인 착유 공정에서는 젖소의 젖꼭지 4개의 세척이 모두 끝나야만, 4개의 꼭지에 전착유를 수행하고, 착유가 시작 및 종료되면 4개의 꼭지를 하나씩 침지해야하는 이유로 착유시간이 지속적으로 증가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착유 장치(100)는 젖소의 하나의 젖꼭지에 착유컵(120)이 삽입되면 다른 착유컵과 무관하게 자동으로 세척이 시작되고, 다른 착유컵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착유 및 침지를 수행하므로 독립적인 운영으로 착유시간의 절감할 수 있다. 통합형 착유 장치(100)는 로봇착유기에 적용 가능하며, 우유의 유질 향상, 세균감수, 착유두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착유 장치(100)는 착유컵(120), 세척밸브(142), 침지밸브(144), 세척액 분사부(150), 침지제 분사부(160), 통합배관(170), 세척배관(172), 침지배관(174), 에어 분사부(180), 에어밸브(182), 에어배관(184), 제1 착유배관(202), 제2 착유배관(204), 배수밸브(212), 우유집유 밸브(214), 배수탱크(220), 우유집유 탱크(230), 진공펌프(240),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통합형 착유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착유컵(120)은 젖소의 유두(110)를 감싸는 형태로 유두(110)에 직접 체결되어 유두(110)로부터 착유한 우유가 일차적으로 담기도록 한다.
통합배관(170)은 세척배관(172)과 침지배관(174)을 하나로 통합한 배관으로서 착유컵(120)의 일측(측면)에 연결된다. 통합배관(170)은 세척배관(172)으로 분기되어 세척액 분사부(150)로 연결된다. 통합배관(170)은 침지배관(174)으로 분기되어 침지제 분사부(160)로 연결된다.
세척배관(172)은 세척액 분사부(150)로부터 세척밸브(142)까지 연결되고, 세척밸브(142)에서 착유컵(120)까지 침지배관(174)과 통합된 통합배관(170)으로 연결된다. 세척밸브(142)는 세척배관(172)의 일측에 설치되어 세척배관(172)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고, 세척액의 분사량을 조절한다.
침지배관(174)은 침지제 분사부(160)로부터 침지밸브(144)까지 연결되고, 침지밸브(144)에서 착유컵(120)까지 세척배관(172)과 통합된 통합배관(170)으로 연결된다. 침지밸브(144)는 침지배관(174)의 일측에 설치되어 침지배관(174)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고, 침지제의 분사량을 조절한다.
세척액 분사부(150)는 세척배관(172)으로 세척밸브(142)로 연결되고, 세척밸브(142)가 통합배관(170)으로 착유컵(120)의 일측(측면)으로 연결된다. 세척액 분사부(150)는 착유 시작전에 고압으로 세척액을 분사하여 착유컵(120) 내에 삽입된 유두를 세척한다.
침지제 분사부(160)는 착유컵(120)의 일측(측면)에 침지배관(174)으로 연결되어, 착유가 완료된 후 침지제를 분사하여 착유컵(120) 내에 삽입된 유두(110)가 침지되도록 한다.
에어 분사부(180)는 에어배관(184)으로 에어밸브(182)로 연결되고, 에어밸브(182)가 통합배관(170)에 연결된다. 에어 분사부(180)는 고압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세척액 또는 침지제가 착유컵(120) 내에 삽입된 유두(110)로 분사되도록 한다. 에어 분사부(180)는 세척공정 이후에 유두(110)를 건조시키고, 통합배관(170) 내의 세척액을 밀어낸다. 에어 분사부(180)는 침지공정 이후에 유두(110)를 건조시키고, 통합배관(170) 내의 침지제를 밀어낸다.
에어밸브(182)는 에어배관(184)의 일측에 설치되어 에어배관(184)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고, 에어의 분사량을 조절한다. 에어배관(184)은 에어 분사부(180)로부터 에어밸브(182)까지 연결되고, 에어밸브(182)에서 통합배관(170)까지 연결된다.
<세척 공정>
세척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착유컵(120)과 진공 상태의 배수탱크(220) 사이를 제1 착유배관(202)으로 연결한다. 착유컵(120)과 통합배관(170)을 연결한 후 착유컵(120)이 젖소의 유두(110)에 장착되면 세척액 분사부(150)와 에어 분사부(180)는 세척액과 에어를 적절하게 분사하여 유두(110)의 주변을 세척한다. 젖소의 유두(110)를 세척한 물 또는 세척액은 진공 상태의 배수탱크(220) 내부로 자동으로 보내진다. 세척공정이 완료되면, 에어 분사부(180)는 젖소의 유두(110)를 건조하기 위해 간헐적으로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10 초)동안 에어를 분사하여 유두(110)에 습기를 최소화시킨다. 에어 분사부(180)에서 에어를 분사함으로 인해 통합배관(170) 내부의 세척액이 없어지고 침지제가 주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침지공정>
착유가 종료되면, 침지제 분사부(160)는 착유컵(120)과 연결된 침지배관(174)을 이용하여 침지제를 착유컵(120) 내에 삽입된 유두(110)로 분사한다. 침지제 분사부(160)는 전용펌프를 이용하여 착유컵(120) 내에 삽입된 유두(110)로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3 ~ 5 초)동안 침지제를 분사한다. 에어 분사부(180)는 침지제 분사부(160)에서 침지제를 분사한 후 에어를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3 ~ 5 초)동안 분사하여 침지배관(174)과 세척배관(172)이 결합된 통합배관(170) 내의 침지제를 밀어내어 유두(110)가 침지되도록 한다. 침지 완료된 후 착유컵(120)을 탈락시킨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착유 장치의 전착유공정과 착유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착유배관(202)은 착유컵(120)의 하단에 연결된 일단이 배수탱크(220)의 제1 입력단으로 입력된다. 제1 착유배관(202)은 착유컵(120)의 하단으로 분기된 우유집유 탱크(230)의 제1 입력단으로 입력된다.
제2 착유배관(204)은 진공펌프(240)로부터 연결된 일단이 배수탱크의 제2 입력단으로 입력된다. 제2 착유배관(204)은 진공펌프(240)로부터 분기된 타단이 우유집유 탱크(230)의 제2 입력단으로 입력된다.
배수밸브(212)는 제1 착유배관(202)의 일측에 설치된다. 배수밸브(212)는 착유전 공정에서 밸브를 오픈하여 초기 우유(유질이 나쁜우유)를 배수탱크(220)로 유입되도록 한다.
우유집유 밸브(214)는 제1 착유배관(202) 중 분기된 배관의 일측에 설치된다. 우유집유 밸브(214)는 전착유 공정이 완료된 후 배수밸브(212)가 닫힌 후 착유 공정에서 밸브를 오픈하여 (유질이 좋은) 우유를 우유집유 탱크(230)로 유입되도록 한다.
배수탱크(220)는 착유컵(120)의 타측(하면)과 제1 착유배관(202)으로 연결된다. 배수탱크(220)는 착유컵(120)으로부터 세척 공정에서 세척된 세척액을 제1 착유배관(202)으로 입력받아 보관한다. 배수탱크(220)는 착유컵(120)으로부터 전착유 공정으로 기 설정된 횟수로 착유된 우유를 제1 착유배관(202)으로 입력받아 보관한다.
우유집유 탱크(230)는 착유컵(120)의 타측(하면)과 제1 착유배관(202)을 분기하여 연결된다. 우유집유 탱크(230)는 착유컵(120)으로부터 전착유 공정이 완료된 후 착유된 우유를 제1 착유배관(202)으로 입력받아 보관한다.
진공펌프(240)는 배수탱크(220)와 우유집유 탱크(230)와 제2 착유배관(204)으로 연결된다. 진공펌프(240)는 제2 착유배관(204)으로부터 내부 공기를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하여 착유컵(120) 내에 삽입된 유두(110)로부터 우유를 착유한다.
제어부(250)는 진공펌프를 제어하여 착유컵(120) 내에 삽입된 유두(110)로부터 착유된 우유가 배수탱크(220) 및 우유집유 탱크(230)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50)는 세척액을 분사한 후 전착유 공정이 시작되기 전에 배수밸브(212)를 열고, 우유집유 밸브(214)를 닫아서 세척액이 배수탱크(220)로 유입되도록 한다.
<전착유 공정>
세척 공정이 완료되면, 전착유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250)는 진공펌프(240)를 제어하여 착유전 공정을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5 ~ 10 초)동안 개시한다. 젖소의 유두(110)로부터 착유된 우유는 배수탱크(220)로 보내진다. 제어부(250)는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5 ~ 10 초)이 경과하면, 전착유 공정을 종료한다.
<착유공정>
착유컵(120)에 연결된 제1 착유배관(202)을 분기하여 진공상태의 우유집유 탱크(230)로 연결한다. 제어부(250)가 진공펌프(240)를 제어하여 착유를 개시하고 착유된 우유는 진공상태의 우유집유 탱크(230)로 수집된다. 제어부(250)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기 설정된 회수로 착유가 완료되면 착유 공정을 종료한다.
<자동세척루틴>
제어부(250)는 침지제가 통합배관(170)과 착유컵(120)에 남아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착유컵(120)과 통합배관(170)을 자동세척한다. 에어 분사부(180)는 자동세척이 완료된 후 드라이 공정을 통해 통합배관(170) 내에 습기를 제거한다.
도 3a,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착유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착유컵(120)은 배관홀(320), 노즐(330), 고무패킹(340)을 포함한다. 착유컵(12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착유컵(1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착유컵(120)은 원통형의 상면이 개방되어 젖소의 유두(110)가 삽입되도록 한다. 착유컵(120)의 상면은 고무패킹(340)으로 둘러싸여 있다.
착유컵(120)의 측면의 일측에 배관홀(320)이 형성된다. 배관홀(320) 내측에 세척액 또는 침지제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330)이 구비된다. 배관홀(320)의 외측에 통합배관(170)이 체결된다.
배관홀(320)은 통합배관(170)으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액 또는 침지제가 배관홀(320)의 내측에 연결된 노즐(330)로 분사되도록 하여 착유컵(120) 내에 삽입된 유두(110)로 세척액 또는 침지제가 분사되도록 한다. 착유컵(120)의 하면이 개방되어 제1 착유배관(202)과 연결되어 젖소의 유두(110)로부터 착유된 우유가 빠져나가도록 한다.
도 4a,4b,4c,4d,4e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착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통합형 착유 장치(100)는 1단, 2단, 3단의 구조로 구분되며, 통합형 착유 장치(100) 내의 1단, 2단, 3단은 적층 구조로 배열된다.
1단은 세척액 분사부(150), 침지제 분사부(160), 에어 분사부(180)를 연결하는 체결뭉치 형태의 셀렉터 부재(410)를 배열한다. 1단의 바닥면에 4개의 셀렉터 부재(410)가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하나의 행으로 배열된다. 1단의 바닥면에 4개의 진공펌프-에어개방용 솔레노이드 밸브(414)가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다른 행으로 배열된다.
솔레노이드 밸브(414)는 제2 착유배관(204) 일측에 연결된다. 솔레노이드 밸브(414)는 제2 착유배관(204)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착유배관(204) 내의 개폐 여부를 결정한다.
2단은 세척액 분사 펌프(416)와 침지제 분사 펌프(418)를 배열한다. 2단 내에 배열된 한 개의 세척액 분사 펌프(416)와 한 개의 침지제 분사 펌프(418)가 두 개의 셀렉터 부재(410)로 세척액과 침지제를 분배하는 구조로 연결되는 쌍을 이루는 형태로 배치된다.
세척액 분사부(150)는 세척액 분사 펌프(416)를 포함한다. 세척액 분사부(150)는 세척액 분사 펌프(416)를 이용하여 세척액을 분사한다. 침지제 분사부(160)는 침지제 분사 펌프(418)를 포함한다. 침지제 분사부(160)는 침지제 분사 펌프(418)를 이용하여 침지제를 분사한다.
3단은 복수의 배관이 통과하는 배관 통과홀(412)을 구비한다. 배관 통과홀(412)을 경유하여 복수의 배관이 외부의 장치와 연결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통과홀(412)마다 워터 밸브(450)가 연결된다.
2개의 배관 통과홀(412)이 세척수 입구(462)를 경유하여 세척수 연결 호스(464)와 연결되고, 2개의 배관 통과홀(412)이 침지제 입구(472)를 경유하여 침지제 연결 호스(474)와 연결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렉터 부재(410)는 세척배관 연결부(442), 침지배관 연결부(444), 에어분사 연결부(420), 통합배관 연결부(446), 본체 하우징(430)을 포함한다. 세척배관 연결부(442)는 세척배관(172)으로 세척액 분사부(150)와 연결된다. 침지배관 연결부(444)는 침지배관(174)으로 침지제 분사부(160)와 연결된다. 에어분사 연결부(420)는 에어 분사부(180)와 직접 연결된다. 통합배관 연결부(446)는 착유컵(120)과 통합배관(170)으로 연결된다. 본체 하우징(430)은 1단의 바닥면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본체 하우징(430)은 정면부(452), 돌출부(454), 상면부(456)를 포함한다.
정면부(452)는 ∧ 형상을 갖는다. 정면부(452)의 ∧ 형상의 각 면에 세척배관 연결부(442)와 침지배관 연결부(444)가 각각 형성되는 Y자 구조를 가진다. 정면부(452)의 ∧ 형상을 갖는 반대면에 통합배관 연결부(446)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돌출부(454)는 정면부(452)와 이어지는 형태로 돌출되어 기 설정된 기울기를 갖는다. 돌출부(454)의 기울기를 갖는 면에 에어분사 연결부(420)가 형성된다. 상면부(456)는 돌출부(454)와 이어지는 형태로 평면을 갖는다.
전술한 통합형 착유 장치(100)를 실제 제품으로 구현한 예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20: 착유컵
142: 세척밸브 144: 침지밸브
150: 세척액 분사부 160: 침지제 분사부
170: 통합배관
172: 세척배관 174: 침지배관
180: 에어 분사부
202: 제1 착유배관 204: 제2 착유배관
212: 배수밸브 214: 우유집유 밸브
220: 배수탱크 230: 우유집유 탱크
240: 진공펌프
250: 제어부
320: 배관홀 330: 노즐
340: 고무패킹
410: 셀렉터 부재 412: 배관 통과홀
414: 솔레노이드 밸브
416: 세척액 분사펌프 418: 침지제 분사펌프
420: 에어분사 연결부 430: 본체 하우징
442: 세척배관 연결부 444: 침지배관 연결부
446: 통합배관 연결부
452: 정면부 454: 돌출부
456: 상면부
450: 워터밸브
462: 세척수 입구 464: 세척수 연결 호수
472: 침지제 입구 474: 침지제 연결 호수

Claims (7)

  1. 젖소의 유두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유두에 직접 체결되어 상기 유두로부터 착유한 우유가 일차적으로 담기도록 하는 착유컵;
    상기 착유컵의 일측에 세척배관으로 연결되어, 착유 시작전에 고압으로 세척액을 분사하여 상기 착유컵 내에 삽입된 상기 유두를 세척하는 세척액 분사부;
    상기 착유컵의 타측과 제1 착유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착유컵으로부터 전착유 공정으로 기 설정된 횟수로 착유된 우유를 상기 제1 착유배관으로 입력받아 보관하는 배수탱크;
    상기 착유컵의 타측과 상기 제1 착유배관을 분기하여 연결되며, 상기 착유컵으로부터 상기 전착유 공정이 완료된 후 착유된 우유를 상기 제1 착유배관으로 입력받아 보관하는 우유집유 탱크;
    상기 배수탱크와 상기 우유집유 탱크와 제2 착유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착유배관으로부터 내부 공기를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착유컵 내에 삽입된 상기 유두로부터 우유를 착유하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착유컵 내에 삽입된 상기 유두로부터 착유된 우유가 상기 배수탱크 및 상기 우유집유 탱크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착유컵의 일측에 침지배관으로 연결되어, 착유가 완료된 후 침지제를 분사하여 상기 착유컵 내에 삽입된 상기 유두가 침지되도록 하는 침지제 분사부;
    상기 세척배관과 상기 침지배관은 하나로 통합된 통합배관으로 상기 착유컵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통합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고압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세척액 또는 상기 침지제가 상기 착유컵 내에 삽입된 상기 유두로 분사되도록 하는 에어 분사부;을 포함하되,
    상기 세척액 분사부, 상기 침지제 분사부, 상기 에어 분사부를 연결하는 체결 뭉치 형태의 셀렉터 부재를 배열하는 1단; 상기 세척액 분사부에 포함된 세척액 분사 펌프와 상기 침지제 분사부에 포함된 침지제 분사 펌프를 배열하는 2단; 복수의 배관이 통과하는 배관 통과홀을 포함하는 3단;을 포함하며, 상기 1단, 상기 2단, 상기 3단이 적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셀렉터 부재는, 상기 세척액 분사부와 상기 세척배관으로 연결되는 세척배관 연결부; 상기 침지제 분사부와 상기 침지배관으로 연결되는 침지배관 연결부; 상기 에어 분사부와 직접 연결되는 에어분사 연결부; 상기 착유컵과 상기 통합배관으로 연결되는 통합배관 연결부; 상기 1단의 바닥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본체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은 ∧ 형상을 갖는 정면부; 상기 정면부와 이어지는 형태로 돌출되어 기 설정된 기울기를 갖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와 이어지는 형태로 평면을 갖는 상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면부의 ∧ 형상의 각 면에 상기 세척배관 연결부와 상기 침지배관 연결부가 각각 형성되는 Y자 구조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의 기울기를 갖는 면에 상기 에어분사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정면부의 ∧ 형상을 갖는 반대면에 상기 통합배관 연결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착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배관으로부터 상기 세척배관이 분기되어 상기 세척액 분사부로 연결되며, 상기 통합배관으로부터 상기 침지배관이 분기되어 상기 침지제 분사부로 연결되며,
    상기 세척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배관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세척액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세척밸브; 및
    상기 침지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침지배관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침지제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침지밸브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착유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유배관은 상기 착유컵의 하단에 연결된 일단이 상기 배수탱크의 제1 입력단으로 입력되고, 상기 착유컵의 하단으로 분기된 상기 우유집유 탱크의 제1 입력단으로 입력되며,
    상기 제2 착유배관은 상기 진공펌프로부터 연결된 일단이 상기 배수탱크의 제2 입력단으로 입력되고, 상기 진공펌프로부터 분기된 타단이 상기 우유집유 탱크의 제2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착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유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착유전 공정에서 밸브를 오픈하여 초기 우유를 상기 배수탱크로 유입되도록 하는 배수밸브; 및
    상기 제1 착유배관 중 분기된 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착유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배수밸브가 닫힌 후 착유 공정에서 밸브를 오픈하여 우유를 상기 우유집유 탱크로 유입되도록 하는 우유집유 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착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액을 분사한 후 전착유 공정이 시작되기 전에 상기 배수밸브를 열고, 상기 우유집유 밸브를 닫아서 상기 세척액이 상기 배수탱크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착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유컵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유두가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상면이 고무 패킹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측면의 일측에 배관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관홀 내측에 노즐이 구비되며, 상기 배관홀의 외측에 상기 통합배관이 체결되어 상기 통합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세척액 또는 상기 침지제가 상기 배관홀의 내측에 연결된 상기 노즐로 분사되어 상기 착유컵 내에 삽입된 상기 유두로 상기 세척액 또는 상기 침지제가 분사되도록 하며, 하면이 개방되어 상기 제1 착유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유두로부터 착유된 우유가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착유 장치.
KR1020200074536A 2020-06-18 2020-06-18 통합형 착유 장치 KR102220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536A KR102220603B1 (ko) 2020-06-18 2020-06-18 통합형 착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536A KR102220603B1 (ko) 2020-06-18 2020-06-18 통합형 착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603B1 true KR102220603B1 (ko) 2021-02-26

Family

ID=74687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536A KR102220603B1 (ko) 2020-06-18 2020-06-18 통합형 착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145B1 (ko) * 2021-06-15 2022-02-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96498A1 (en) * 2010-02-22 2015-04-09 Gea Farm Technologies, Inc. Dairy Harvesting Facility with Milk Line Protection System and Methods
CN104982338A (zh) * 2015-07-13 2015-10-21 江苏银蕨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挤奶系统及方法
JP2018526002A (ja) * 2015-09-04 2018-09-1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搾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96498A1 (en) * 2010-02-22 2015-04-09 Gea Farm Technologies, Inc. Dairy Harvesting Facility with Milk Line Protection System and Methods
CN104982338A (zh) * 2015-07-13 2015-10-21 江苏银蕨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挤奶系统及方法
JP2018526002A (ja) * 2015-09-04 2018-09-1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搾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145B1 (ko) * 2021-06-15 2022-02-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WO2022265156A1 (ko) * 2021-06-15 2022-12-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0272B2 (en) Milking equipment
US9016238B2 (en) Milking equipment and method
EP1933616B2 (en) Teat cup liner
US66261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of a teat cleaning device
KR102220603B1 (ko) 통합형 착유 장치
US3554166A (en) Udder treatment apparatus
JP2009254781A (ja) マルチ噴射ノズル付き内視鏡洗浄機
JP3653100B2 (ja) 動物搾乳装置
CA238112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of a milking plant
EP2440036B1 (en) A washing system for washing a teat cleaning apparatus
EP3424308B1 (en) Teat dip application system
KR20070068064A (ko) 약재 세척기
RU143230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преддоильной обработки сосков вымени коров
JP4912177B2 (ja) 受乳装置の洗浄方法及び洗浄機構
CN215650959U (zh) 残余水处理结构及洗碗机
JP3865281B2 (ja) パーラー用の搾乳器具洗浄装置
JPH039729B2 (ko)
JPH03213185A (ja) マットレス洗浄滅菌装置およびその洗浄滅菌方法
CN211488789U (zh) 一种农产品清洗浸泡装置
SU1113052A1 (ru) Доильный аппарат
CN115869443A (zh) 山羊养殖用羊舍消毒均匀喷洒装置及其实施方法
SU21344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йки и дезинфекции доильныханпаратов
Jones Proper milking practices
KR20000009780A (ko) 식기세척기
KR20100007345U (ko) 식기세척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