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808B1 - 터치 센서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808B1
KR102219808B1 KR1020200019348A KR20200019348A KR102219808B1 KR 102219808 B1 KR102219808 B1 KR 102219808B1 KR 1020200019348 A KR1020200019348 A KR 1020200019348A KR 20200019348 A KR20200019348 A KR 20200019348A KR 102219808 B1 KR102219808 B1 KR 102219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receiving
electrode
dummy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757A (ko
Inventor
김세엽
김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to KR1020200019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8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은 제1층에서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구동전극, 상기 제1층에서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터치를 감지하지 않는 복수의 구동더미전극, 제2층에서 상기 제1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수신전극 및 상기 제2층에서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터치를 감지하지 않는 복수의 수신더미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전극과 상기 수신전극 사이의 정전용량 경로 중 일부가 차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 센서 패널{TOUCH SENSOR PANEL}
본 발명은 터치 센서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더미전극 및/또는 수신더미전극을 변형하여 기본 정전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에 관한 것이다.
컴퓨팅 시스템의 조작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입력 장치들이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버튼(button), 키(key), 조이스틱(joystick) 및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력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의 쉽고 간편한 조작으로 인해 컴퓨팅 시스템의 조작시 터치 스크린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은 터치-감응 표면(touch-sensitive surface)을 구비한 투명한 패널일 수 있는 터치 센서 패널(touch sensor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센서 패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 부착되어 터치-감응 표면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보이는 면을 덮을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단순히 접촉함으로써 사용자가 컴퓨팅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접촉 및 접촉 위치를 인식하고 컴퓨팅 시스템은 이러한 접촉을 해석함으로써 이에 따라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 센서 패널은 시인성을 극복하기 위해 객체의 터치를 감지하지 않는 더미전극까지 포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더미전극까지 포함하는 경우, 일반전극만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기본 정전용량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데, 특히 더미전극과 일반전극의 패턴이 서로 오버랩(overlap)되어 있는 경우, 기본 정전용량의 크기가 상당히 커지게 될 수 있으며 이로서 객체에 의한 터치 민감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구동더미전극 및/또는 수신더미전극을 변형하여 기본 정전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객체에 의한 터치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은 제1층에서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구동전극, 상기 제1층에서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터치를 감지하지 않는 복수의 구동더미전극, 제2층에서 상기 제1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수신전극 및 상기 제2층에서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터치를 감지하지 않는 복수의 수신더미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전극과 상기 수신전극 사이의 정전용량 경로 중 일부가 차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에 따르면, 구동더미전극 및/또는 수신더미전극이 변형되어 기본 정전용량은 감소되고, 이와 더불어 객체에 의한 터치 민감도는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이 구동전극과 수신전극 이외에 구동더미전극과 수신더미전극까지 포함하는 경우의 각 전극의 배치를 나타내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동더미전극 및/또는 수신더미전극이 변형되어 구동전극과 수신전극 사이의 정전용량 경로 중 일부가 차단된 예를 나타내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변형된 더미 전극으로 구성된 터치 센서 패널의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동전극과 수신전극 사이의 정전용량 경로 중 일부를 차단시킴으로써, 기본 정전용량이 감소된 실험예에 대해서 기술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1)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1)은 구동전극(10), 수신전극(20) 및 구동전극(10)과 수신전극(20)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층(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1)은 구동전극(10)과 수신전극(20)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적합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전극(10)은 제1절연시트(100)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수신전극(20)은 제2절층시트(200) 상에 배열될 수 있다. 구동전극(10)과 수신전극(20)은 각각 제1절연시트(100) 및 제2절연시트(2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배열될 수 있다. 제1절연시트(100) 및/또는 제2절연시트(200)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유리(glass)와 같은 절연 물질일 수 있다. 구동전극(10) 및 수신전극(20)은 각각 ITO(Indium Tin Oxide) 전극일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구동전극(10)과 수신전극(20)이 각각 다른 층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전극(10)이 하층에 배치되고, 수신전극(20)이 구동전극(10)보다 상층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구동전극(10)이 상층에 배치되고, 수신전극(20)이 하층에 배치된 경우에도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동전극(10)과 수신전극(20)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1)은 구동전극(10)과 수신전극(20)의 교차 지점마다 소정의 정전 용량, 즉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바, 신체 일부나 스타일러스 등의 객체가 근접하는 경우 이러한 정전 용량의 값이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전극(10)과 수신전극(20) 사이에 상호 정전 용량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동전극(10)과 수신전극(20) 사이에 절연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층(300)은 광학적으로 투명하면서도 제1절연시트(100)와 제2절연시트(200)를 서로 접착시킬 수 있도록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물질(OCA: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수지(resin)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전극(10)에는 구동 신호가 인가될 수 있고, 수신전극(20)은 구동전극(10)과 수신전극(20) 사이의 상호 정전 용량에 의해 커플링(coupling)된 구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체나 스타일러스 등의 객체의 일부의 접촉 등에 따라서 구동전극(10)과 수신전극(20) 사이의 상호 정전 용량이 변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여 객체의 접촉 및 그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1)의 기본 정전용량(base capacitance)를 감소(reduce)시킬 수 있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객체가 터치 센서 패널(1)에 접촉하지 않은 경우에 터치 센서 패널(1) 자체에서 생성되는 기본 정전 용량은 도 1과 같이 구동전극(10)과 수신전극(20)만 포함되어 있을 때보다, 도 2와 같이 구동전극(1)과 수신전극(20)이외에 구동더미전극(11)과 수신더미전극(21)까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크기가 더 커지게 된다. 구동더미전극(11)과 수신더미전극(21)이 포함됨으로써 기본 정전 용량의 크기가 상당히 커지게 되면, 터치 민감도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구동더미전극(11)과 수신더미전극(21)이 포함되는 터치 센서 패널(1)에서도 터치 민감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구동더미전극(11) 및/또는 수신더미전극(21)이 변형된 터치 센서 패널(1)을 구현하고자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1)이 구동전극(10)과 수신전극(20)이외에 구동더미전극(11)과 수신더미전극(21)까지 포함하는 경우의 각 전극의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b에서는 도 2a의 터치 센서 패널(1)의 구동전극(10)과 구동더미전극(11)을 도시하였고, 도 2c에서는 도 2a의 터치 센서 패널(1)의 수신전극(20)과 수신더미전극(21)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1)은 도 2b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층에서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구동전극(10a, 10b, 10c, 10d)과 제1층에서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터치를 감지하지 않는 복수의 구동더미전극(11a, 11b, 11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1)은 도 2c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층에서 제1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수신전극(20a, 20b, 20c, 20d)과 제2층에서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터치를 감지하지 않는 복수의 수신더미전극(21a, 21b, 2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구동더미전극(11) 및/또는 수신더미전극(21)이 변형되어 구동전극(10)과 수신전극(20) 사이의 정전용량 경로 중 일부를 차단시킴으로써, 기본 정전용량이 감소된 예를 하기 도 3에서 기술하고자 한다.
도 3a는 도 2a의 일부를 확대하여 A-B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를 가정한 것이며, A-B 방향으로 절단된 경우의 단면도가 도 3b 내지 도 3d에 도시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신더미전극(21) 중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구동전극(10)이 배치된 위치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복수의 구동더미전극(11)은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수신전극(20)이 배치된 위치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의 정전용량 경로는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즉, 구동전극(10) 및 수신전극(20)사이에 수신더미전극(21)과 구동더미전극(11)을 통해 기본 정전용량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3c에서는 도 3b의 구동더미전극(11)의 일부를 변형시킴으로써 기본 정전용량의 경로가 일부 차단된 것을 도시하였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더미전극(11)의 일부가 절단됨으로써 변형될 수 있고, 특히, 구동더미전극(11)의 일부는 수신전극(20)의 외곽선을 따라 절단되어 복수의 조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층에 형성된 수신전극(20)의 외곽선에 대응하는 제1층의 영역(I)에는 구동더미전극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구동더미전극(11)은 적어도 일부(Z' 포함)가 복수의 수신전극(20)이 배치된 위치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동더미전극(11)은 나머지 일부(Z)가 복수의 수신전극(20)이 배치되지 않은 위치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도 3b와 달리 도 3c에서는 제1층에 배치된 제1 구동더미전극(Z)과 제2 구동더미전극(Z') 사이의 정전용량 경로가 차단되어 도 3b보다 기본 정전용량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더미전극(11) 중 적어도 일부(Z' 포함)와 제2층에 형성된 수신전극(20)의 외곽선 사이는 소정의 거리(d) 이상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더미전극(11) 중 적어도 일부(Z'포함)와 제2층에 형성된 수신더미전극(21)의 외곽선 사이는 소정의 거리(d) 이상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도 3e 및 도 3f에서 기술한 소정의 거리(d)는 각각 미리 설정되어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3d에서는 도 3b의 수신더미전극(21)의 일부를 변형시킴으로써 기본 정전용량의 경로가 일부 차단된 것을 도시하였다.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더미전극(21)의 일부가 절단됨으로써 변형될 수 있고, 특히, 수신더미전극(21)의 일부는 구동전극(10)의 외곽선을 따라 절단되어 복수의 조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층에 형성된 구동전극(10)의 외곽선에 대응하는 제2층의 영역(I')에는 수신더미전극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수신더미전극(21)은 적어도 일부(F 포함)가 복수의 구동전극(10)이 배치된 위치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복수의 수신더미전극(21)은 나머지 일부(F')가 복수의 구동전극(10)이 배치되지 않은 위치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도 3b와 달리 도 3d에서는 제2층에 형성된 제 1 수신더미전극(F)과 제 2 수신더미전극(F') 사이의 정전용량 경로가 차단되어 도 3b보다 기본 정전용량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3g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신더미전극(21) 중 적어도 일부(F 포함)와 제1층에 형성된 구동전극(10)의 외곽선 사이는 소정의 거리(d) 이상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h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신더미전극(21) 중 적어도 일부(F 포함)와 제1층에 형성된 구동더미전극(11)의 외곽선 사이는 소정의 거리(d) 이상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도 3g 및 도 3h에서 기술한 소정의 거리(d)는 각각 미리 설정되어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3c 내지 도 3h와 같은 더미 전극의 변형으로서 기본 정전용량이 감소되고, 터치 민감도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변형된 더미 전극 및 변형된 더미 전극으로 구성된 터치 센서 패널의 형상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전극 각각(10a)는 복수의 구동전극패드(100a, 100b, 100c)가 제1축 방향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신전극 각각(20a)은 복수의 수신전극패드(200a, 200b, 200c)가 제2축 방향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더미전극(11a, 11b)은 각 수신전극패드(200a)와 마주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구동더미패드(110a)를 포함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더미패드(110a)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전극패드(200a)와 마주하는 위치 중앙에 배치된 제1 구동더미패드부(A), 제1 구동더미패드부(A)를 둘러싸는 위치로서 수신전극패드(200a)가 배치된 위치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구동더미패드부(B1, B2), 수신전극패드(200a)의 외곽에 배치된 복수의 제3 구동더미패드부(C)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신전극패드(200a)가 배치된 위치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구동더미패드부(B1, B2)의 적어도 일부(B2)와 수신전극패드(200a)의 외곽에 배치된 제3 구동더미패드부(C)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신더미전극(21a, 21b)은 각 구동전극패드(100a)와 마주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수신더미패드(210a)를 포함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신더미패드(210a)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전극패드(100a)와 마주하는 위치 중앙에 배치된 제1 수신더미패드부(A')와 구동전극패드(100a)의 외곽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수신더미패드부(B', B'')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구동전극패드(100a)의 외곽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수신더미패드부(B', B'')의 크기는 각각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구동전극패드/수신전극패드 또는 구동더미패드/수신더미패드의 형상은 마름모꼴의 형상, 육각형의 형상, 팔각형의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구동전극/수신전극의 형상이나 위치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된 실시예의 구동전극(및 구동더미전극)의 형상을 수신전극(및 수신더미전극)의 형상으로 구성하고, 실시예의 수신전극(및 수신더미전극)의 형상을 구동전극(및 구동더미전극)의 형상으로 구성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또한, 수신전극(및 수신더미전극)과 구동전극(및 구동더미전극)의 형상을 모두 도시된 수신전극(및 수신더미전극)의 형상으로 하거나 모두 도시된 구동전극(및 구동더미전극)의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구동더미전극(11)과 수신더미전극(21)까지 포함된 터치 센서 패널(1)에서, 구동더미전극(11) 및/또는 수신더미전극(21)이 변형되어 구동전극(10)과 수신전극(20) 사이의 정전용량 경로 중 일부를 차단시킴으로써, 기본 정전용량이 감소된 실험예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6a는 도 1과 같이 구동더미전극(11)과 수신더미전극(21)이 포함되지 않은 터치 센서 패널(1)의 예로서, 이 경우에는 기본 정전 용량의 크기가 대략 0.6pF을 나타낸다.
도 6b는 도 3b와 같이 구동더미전극(11)과 수신더미전극(21)이 모두포함된 터치 센서 패널(1)의 예로서, 이 경우에는 기본 정전 용량의 크기가 대략 4.7Pf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즉, 도 6a에 비해서 기본 정전 용량의 크기가 상당히 커져 터치 민감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6c는 구동더미전극(11)과 수신더미전극(21)이 모두 포함되고, 구동더미전극(11)과 수신더미전극(21) 모두 변형되어 구동전극(10)과 수신전극(20) 사이의 정전용량 경로 중 일부가 차단된 터치 센서 패널(1)의 예로서, 이 경우에는 도 6b의 경우에 비해 기본 정전 용량의 크기가 대략 0.7pF까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6d는 구동더미전극(11)과 수신더미전극(21)이 모두 포함되고, 구동더미전극(11)만 변형되어 구동전극(10)과 수신전극(20) 사이의 정전용량 경로 중 일부가 차단된 터치 센서 패널(1)의 예로서, 이 경우에는 도 6b의 경우에 비해 기본 정전 용량의 크기가 대략 0.9pF까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6e는 구동더미전극(11)과 수신더미전극(21)이 모두 포함되고, 수신더미전극(21)만 변형되어 구동전극(10)과 수신전극(20) 사이의 정전용량 경로 중 일부가 차단된 터치 센서 패널(1)의 예로서, 이 경우에는 도 6b의 경우에 비해 기본 정전 용량의 크기가 대략 0.9pF까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6d와 도 6e의 경우, 도 6c와 동일하게 기본 정전 용량의 크기가 대폭 감소하지 않아도, 도 6c의 경우와 유사하게 기본 정전 용량의 크기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구동더미전극(11)과 수신더미전극(21) 둘다 변형되거나, 구동더미전극(11)이나 수신더미전극(21) 둘 중 어느 하나가 변형되도 기본 정전 용량의 크기가 대폭 감소함으로써, 터치 민감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제1층에서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구동전극;
    상기 제1층에서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터치를 감지하지 않는 복수의 구동더미전극;
    제2층에서 상기 제1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수신전극; 및
    상기 제2층에서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터치를 감지하지 않는 복수의 수신더미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신더미전극은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과 마주하여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구동더미전극은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과 마주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층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 각각을 구성하는 각 구동전극패드의 외곽선에 대응하는 상기 제2층의 영역에 상기 복수의 수신더미전극 각각을 구성하는 각 수신더미패드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2층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 각각을 구성하는 각 수신전극패드의 외곽선에 대응하는 상기 제1층의 영역에 상기 복수의 구동더미전극 각각을 구성하는 각 구동더미패드가 형성되지 않음으로서,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과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 사이의 정전용량 경로 중 일부가 차단된,
    터치 센서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더미패드는 상기 각 수신전극패드와 마주하는 위치 중앙에 배치된 제1 구동더미패드부, 상기 제1 구동더미패드부를 둘러싸는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구동더미패드부, 및 상기 각 수신전극패드의 외곽에 배치된 복수의 제3 구동더미패드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구동더미패드부의 일부 각각과 상기 복수의 제3 구동더미패드부 각각의 사이즈는 서로 동일한,
    터치 센서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신더미패드는 상기 각 구동전극패드와 마주하는 위치 중앙에 배치된 제1 수신더미패드부 및 상기 각 구동전극패드의 외곽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수신더미패드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과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이 변화되고,
    상기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객체의 상기 터치 센서 패널에 대한 터치 위치가 검출되는,
    터치 센서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전극패드, 상기 각 수신전극패드, 상기 각 구동더미패드, 상기 각 수신더미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마름모꼴 형상인,
    터치 센서 패널.
KR1020200019348A 2020-02-18 2020-02-18 터치 센서 패널 KR102219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348A KR102219808B1 (ko) 2020-02-18 2020-02-18 터치 센서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348A KR102219808B1 (ko) 2020-02-18 2020-02-18 터치 센서 패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746A Division KR20190067621A (ko) 2017-12-07 2017-12-07 터치 센서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757A KR20200020757A (ko) 2020-02-26
KR102219808B1 true KR102219808B1 (ko) 2021-02-24

Family

ID=69637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348A KR102219808B1 (ko) 2020-02-18 2020-02-18 터치 센서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80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887B1 (ko) * 2012-10-05 2020-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WO2015186276A1 (ja) * 2014-06-02 2015-12-10 凸版印刷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757A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316B1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1577277B1 (ko) 터치종류 판별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터치 입력 장치
CN108153445B (zh) 一种触控显示面板和触控显示装置
KR101905789B1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US9122358B2 (en) Touch panel for determining real coordinates of the multiple touch points and method thereof
US8937605B2 (en)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508510B2 (en) Stylus pen for capacitive type touch panel
KR101474733B1 (ko) 개선된 패턴 구조를 갖는 지문 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KR102325188B1 (ko) 터치 센서 장치
JP3180905U (ja) タッチパネル
KR20110076188A (ko) 정전 용량 센싱 장치 및 제조방법
KR101667663B1 (ko) 터치 입력 장치
US20100182254A1 (en) Touch screen panel
KR102175045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JP2014170334A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手持ち式電子機器
US9076609B2 (en) Touch input device
KR101462147B1 (ko) 서브 전극 라인을 포함하는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KR102245826B1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219808B1 (ko) 터치 센서 패널
KR101378597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US20140285729A1 (en) Touch scre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KR101219597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11016615B2 (en) Touch sensor panel
KR102482296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40033644A (ko) 정전식 터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