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766B1 - 연장형 약물주입장치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연장형 약물주입장치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766B1
KR102219766B1 KR1020190066817A KR20190066817A KR102219766B1 KR 102219766 B1 KR102219766 B1 KR 102219766B1 KR 1020190066817 A KR1020190066817 A KR 1020190066817A KR 20190066817 A KR20190066817 A KR 20190066817A KR 102219766 B1 KR102219766 B1 KR 102219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line
drug
pumping liquid
drug injection
pu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0073A (ko
Inventor
고현정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6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766B1/ko
Priority to PCT/KR2020/007269 priority patent/WO2020246821A2/ko
Priority to US17/616,711 priority patent/US20220362456A1/en
Publication of KR20200140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07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 A61M5/1408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in parallel, e.g. manifolds, sequenc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07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 A61M5/1409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in series, e.g. first substance passing through container holding second substance, e.g. reconstitu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23Multiway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61M2005/1406Minimizing backflow along the delivery catheter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23Multiway valves
    • A61M2039/224Multiway valves of the slide-valv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61M2039/2433Valve comprising a resilient or deformable element, e.g. flap valve, deformable disc
    • A61M2039/2446Flexible disc
    • A61M2039/246Flexible disc being fixed along all or a part of its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4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for solid matter, e.g. microaggreg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에게서 떨어진 위치에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연장형 약물주입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일단은 상기 환자에게 투여되는 제1약물이 저장된 제1약물저장부로부터 환자까지 연결되어 제1약물이 흐르는 메인라인에 합지되며, 타단은 타측으로 연장된 제1서브라인, 상기 제1서브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1약물과는 다른 제2약물을 주입하는 제2약물 주사부 및 상기 제1서브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2약물 주사부에 의해 상기 제1서브라인에 주입된 제2약물을 상기 메인라인까지 밀어내는 제2약물 펌핑부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연장형 약물주입장치 및 그 작동방법{Extending Infusion Pump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장형 약물주입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에게서 떨어진 위치에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연장형 약물주입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자를 치료하는 임상에서 치료의 목적으로 수액을 투여하는 방법이 빈번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액은 환자보도 높은 위치에 수액이나 약물이 담긴 백 또는 병을 거치한 뒤에, 수액라인을 환자까지 수액라인을 연결하여 수액을 지속적으로 투여한다.
한편, 환자에게 추가적인 약물이나 주사액을 투여하고 싶을 때에는 상기 수액라인에 별도의 라인을 연결하거나 주사기로서 약물을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환자에게 근접해서 시술 할 수 밖에 없는데, 환자 주위에 장비나 의료기구가 많이 설치되어 접근이 어렵다거나, 환자의 자세 또는 감염위험 때문에 접근이 어려운 경우 약물의 주사가 어려운 경우가 있어 이를 해결할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환자에게서 떨어진 위치에서 추가적인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연장형 약물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일단은 상기 환자에게 투여되는 제1약물이 저장된 제1약물저장부로부터 환자까지 연결되어 제1약물이 흐르는 메인 라인에 합지되며, 타 단은 타측으로 연장된 제1서브라인, 상기 제1서브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1약물과는 다른 제2약물을 주입하는 제2약물 주사부 및 상기 제1서브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2약물 주사부에 의해 상기 제1서브라인에 주입된 제2약물을 상기 메인라인까지 밀어내는 제2약물 펌핑부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제2약물 주사부는, 제2약물을 주사하는 제2약물 주사기 및 상기 제2약물 주사기로부터 상기 제1서브라인까지 연결하는 제2서브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약물 펌핑부는, 상기 제1서브라인에 주입된 제2약물을 상기 메인 라인까지 밀어주는 펌핑액을 주입하는 펌핑액 주사기 및 상기 펌핑액 주사기로부터 상기 제1서브라인까지 연결하는 제3서브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라인이 상기 제1서브라인과 합지되는 지점과 상기 펌팽액 주사기 사이의 상기 제3서브라인에 결합되며, 상기 펌핑액 주사기로 흡입되는 펌핑액을 공급하는 펌핑액 흡입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핑액 흡입라인은 상기 제1약물 저장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펌핑액 흡입라인의 상기 제3서브라인과 결합된 일단부는 상기 제3서브라인 내에서 상기 펌핑액 주사기 측을 향하도록 끝단이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라인은 상기 제2약물 주사부가 상기 제1서브라인과 연결되는 지점과 같거나 그보다 후측에서 상기 제1서브라인과 합지될 수 있다.
상기 펌핑액 주사기가 한번에 주입하는 펌핑액은 상기 제1서브라인의 내부용적과 같거나 클 수 있다.
상기 제1서브라인이 상기 메인라인과 연결되는 지점, 상기 제2약물 주사부가 상기 제1서브라인과 연결되는 지점, 상기 제2약물 펌핑부가 상기 제1서브라인과 연결되는 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약물 또는 펌핑액의 흐름이 상기 메인라인 측으로만 흐르도록 구비되는 역류방지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펌핑액의 흐름이 상기 메인 라인 측으로만 흐르도록 상기 펌핑액 흡입라인에 구비되는 역류방지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밸브는, 라인을 형성하는 튜브의 내 주면에 밀착되는 테두리,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로부터 유체의 흐름방향의 전측으로 돌출되면서 만곡되어 반구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유체가 흐름 반대방향으로 흐를 때에는 서로 겹쳐지면서 폐쇄되고, 유체가 흐름방향으로 흐를 때에는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막, 상기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막보다 후측에 구비되는 미세그물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라인이 상기 제1서브라인과 합지되는 지점과 상기 펌핑액 흡입라인이 결합된 지점 사이의 상기 제3서브라인에 위치되며, 상기 제3서브라인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거나 개도를 조절하는 슬라이딩 잠금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잠금 밸브는, 상기 제3서브라인의 튜브가 연결되며 마주보며 연토되도록 개구된 연통구 및, 상기 연통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개구된 슬라이딩 슬릿이 형성된 밸브 몸체,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연통구를 개폐하거나 개도를 조절하는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슬릿 또는 상기 슬라이딩 슬릿과 접촉하는 셔터 중 어느 하나에 탄성을 가진 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슬릿 또는 상기 슬라이딩 슬릿과 접촉하는 셔터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와 홈이 탄성에 의한 스냅핑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셔터는, 상기 슬라이딩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연통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슬레이트, 상기 슬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슬릿으로부터 상기 밸브 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슬레이트와 상기 손잡이를 연결하며, 일측으로 꺾임으로 움직임방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꺾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약물 주사부 및 제2약물 펌핑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제2약물 주사기의 피스톤을 전진시켜 제2약물을 제1서브라인 내로 주입하는 제2약물 주입단계, 펌핑액 주사기의 피스톤을 후퇴시켜 펌핑액을 펌핑액 주사기 내로 인입하는 펌핑액 인입단계, 상기 펌핑액 주사기의 피스톤을 전진시켜 펌핑액 주사기 내의 펌핑액을 제1서브라인 내로 주입시킴으로써, 상기 펌핑액의 압력으로 상기 제1서브라인에 기 주입된 제2약물을 메인라인으로 멀어내는 펌핑단계를 포함하는 약물주입장치의 작동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펌핑액 인입단계의 전에 제1서브라인과 제3서브라인 사이를 폐쇄하는 제3서브라인 폐쇄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펌핑단계의 전에 상기 제1서브라인과 제3서브라인 사이를 개방하는 제3서브라인 개방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장형 약물주입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의하면, 환자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약물을 주입할 수 있어 치료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약물 내에 유리가루 등의 미세한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으며, 또한 약물 내의 기포가 미세하게 분해되어 기포에 의한 폐색 등의 의료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장형 약물주입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주사액 및 펌핑액이 주사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연장형 약물주입장치의 제2약물 주사부 및 제2약물 펌핑부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장형 약물주입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장형 약물주입장치에 구비되는 역류방지밸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역류방지밸브가 결합된 상태에서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장형 약물주입장치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잠금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슬라이딩 잠금 밸브가 폐쇄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슬라이딩 잠금 밸브가 일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연장형 약물주입장치의 작동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연장형 약물주입장치(100)는 도 1 내지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서브라인(110), 제2약물 주사부(120) 및 제2약물 펌핑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에게 수액이나 약물 등을 지속적으로 투여하기 위하여, 수액세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액세트는 환자에게 투여되는 제1약물이 저장된 제1약물 저장부(10) 및 상기 제1약물 저장부(10)로부터 환자까지 연결되어 제1약물이 흐르는 메인라인(20) 및 상기 메인라인(20)의 끝에 구비되어 환자에게 삽입된 카데터(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약물 저장부(10)는 비닐이나 PE 재질의 백 또는 유리병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환자보다 높은 위치에 거치되어 중력에 의해 제1약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연장형 약물주입장치(100)의 상기 제1서브라인(110)은 일단은 메인라인(20)의 중간에 합지되며 타단은 타측으로 연장된 실리콘이나 PE 등의 유연한 연질 재질의 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약물 주사부(120)는 상기 제1서브라인(110)과 연결되며, 상기 제1약물과는 다른 성분의 제2약물(30)을 상기 제1서브라인(110)으로 주입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제2약물 펌핑부(130)는, 상기 제1서브라인(110)과 연결되며, 상기 제2약물 주사부(120)에 의해 상기 제1서브라인(110)에 주입된 제2약물(30)을 상기 메인 라인(20)까지 밀어내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제2약물 주사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약물 주사기(124) 및 제2서브라인(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약물 주사기(124)의 내부에는 제2약물(30)이 담겨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서브라인(122)은 상기 제2약물 주사기(124)로부터 상기 제1서브라인(110)까지 연결되어 상기 제1서브라인(110)에 합지됨으로써 상기 제2약물 주사기(124)의 제2약물(30)이 상기 제1서브라인(110)으로 안내하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약물 주사기(124)는 상기 제2서브라인(122)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2약물 주사기(124) 내부에 약물을 충진할 때에는 상기 제2서브라인(122)에서 탈거된 상태로 약물을 충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약물 펌핑부(130)는 펌핑액 주사기(134) 및 제3서브라인(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핑액 주사기(134)는 상기 제1서브라인(110)에 주입된 제2약물(30)을 상기 메인라인(20)까지 밀어주는 펌핑액(40)을 상기 제1서브라인(110)에 주입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상기 제3서브라인(132)은 상기 펌핑액(40) 주시기로부터 상기 제1서브라인(110)까지 연결됨으로써 상기 펌핑액 주사기(134)의 펌핑액(40)을 상기 제1서브라인(110)으로 안내하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펌핑액(40)은 상기 제2약물(30)을 메인라인(20)까지 밀어내는 역할을 하는 약물로서, 인체에 무해하거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약물일 수 있다.
상기 펌핑액(40)은 상기 제1약물과 동일한 약물일 수도 있거나 또는 생리 식염수 등 인체에 무해한 작용을 하는 약물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1약물 및 제2약물(30)과는 다른 성분의 약물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펌핑액 주사기(134)로부터 상기 펌핑액(40)이 제3서브라인(132)을 통해 제1서브라인(110)으로 주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펌핑액 주사기(134)가 상기 제3서브라인(132)과 탈거되지 아니한 상태로도 상기 펌핑액 주사기(134)에 펌핑액(40)이 충진될 수 있도록 펌핑액 흡입라인(13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핑액 흡입라인(136)은, 일단은 제3서브라인(132)에 결합되며 타단은 타측으로 연장되어 펌핑액(40)이 저장된 저장소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펌핑액(40)이 저장된 저장소는 펌핑액(40)이 담긴것이라면 어느것이던 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펌핑액(40)으로서 제1약물을 적용할 경우, 상기 펌핑액 흡입라인(136)은 상기 제1약물 저장부(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1약물 저장부(10)와 연결되지 않고, 여타 다른 약물 저장부와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3서브라인(132)와 결합된 상기 펌핑액 흡입라인(136)의 일단부는 상기 제3서브라인(132) 내에서 상기 펌핑액 주사기(134)측을 향하도록 그 끝단이 만곡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펌핑액 흡입라인(136)을 통해 상기 제3서브라인(132)로 유입된 펌핑액(40)이 상기 제1서브라인(110)측으로 흐르지 않고 바로 상기 펌핑액 주사기(134)측을 향하여 흐르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3서브라인(132)이 제1서브라인(110)과 합지되는 지점은 상기 제2약물 주사부(120)가 상기 제1서브라인(110)과 연결되는 지점과 같거나 그보다 후측일 수 있다.
여기서, 후측이란 상기 제1서브라인(110) 내지 제3서브라인(132)에서, 상기 제2약물 주사기(124) 또는 펌핑액 주사기(134)로부터 상기 메인라인(20)까지 흐르는 방향을 전측이라고 정의하며, 상기 후측은 상기 전측의 반대방향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3서브라인(132)을 통해 제1서브라인(110)으로 주입되는 펌핑액(40)은 상기 제2서브라인(122)을 통해 제1서브라인(110)으로 주입된 제2약물(30)을 뒤에서 앞으로 밀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핑액 주사기(134)가 한번에 주입하는 펌핑액(40)은 상기 제1서브라인(110)의 내부용적과 같거나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한번의 펌핑액(40) 주입으로도 주입된 제2약물(30)을 모두 메인라인(20)까지 밀어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서브라인(122) 및 제3서브라인(132)는 일반적으로 그 길이가 짧을수록 유리하나, 본 발명은 상기 제2서브라인(122) 및 제3서브라인(132)의 길이에 특별한 한정을 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2서브라인(122) 및 제3서브라인(132)의 길이는 증감될 수 있다.
또한, 제2약물 주사부(120) 및 제2약물 펌핑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8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80)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제1서브라인(110)의 튜브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80)의 어느 일측에 상기 펌핑액 흡입라인(136)과 연결되는 튜브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약물 주사기(124) 및 펌핑액 주사기(134)는 그 실린더는 하우징(180)의 내측에 위치되고, 피스톤만 하우징(180)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연장형 약물주입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장형 약물주입장치(1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연장형 약물주입장치(100)와 동일하나, 상기 제3서브라인(132)이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제1서브라인(110)의 끝단에 제3서브라인(132)이 제1서브라인(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서브라인(110)이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3서브라인(132)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2서브라인(122)은 상기 제1서브라인(110)의 중간에 합지된 것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약물(30)이 충진된 제2약물 주사기(124)를 구비한 후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약물 주사기(124)의 피스톤을 밀어 전진시키면, 제2약물(30)이 제2서브라인(122)을 통해 제1서브라인(110)으로 진입할 수 있다.
제2약물(30)의 양 및 제1서브라인(110)의 길이에 따라 다를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주사기로 주입되는 약물의 양은 수 cc 정도이므로, 주입된 상기 제2약물(30)은 상기 메인라인(20)까지 진입하지 못하며, 제1서브라인(110) 내에 진입한 뒤에 정체될 수 있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약물 펌핑부(130)의 펌핑액 주사기(134)의 피스톤을 후퇴시켜, 상기 펌핑액 흡입라인(136)을 통해 펌핑액(40)을 펌핑액 주사기(134)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핑액 주사기(134)의 피스톤을 전진시키면, 펌핑액 주사기(134) 내의 펌핑액(40)이 제3서브라인(132)을 통해 제1서브라인(110) 내로 진입하게 되며, 제1서브라인(110) 내에 머물고 있던 제2약물(30)을 상기 메인 라인(20)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메인 라인(20)으로 진입한 제2약물(30)은 상기 메인 라인(20)에 이미 흐르고 있던 제1약물과 함께 환자의 체내로 투여될 수 있다.
한편, 역류방지밸브(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밸브(140)는, 제2약물(30) 및 펌핑액(40)이 전측으로 일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며,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서브라인(110)이 상기 메인 라인(20)과 연결되는 지점, 상기 제2약물 주사부(120)가 상기 제1서브라인(110)과 연결되는 지점, 상기 제2약물 펌핑부(130)가 상기 제1서브라인(110)과 연결되는 지점 및 상기 펌핑액 흡입라인(136)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전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밸브(14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서브라인(110) 내지 제3서브라인(132)을형성하는 튜브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테두리(142) 및 상기 테두리(142)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막(144) 및 미세그물망(1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막(144)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142)로부터 유체의 흐름방향의 전측으로 돌출되면서 만곡되어 반구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유체가 흐름 반대방향으로 흐를 때에는 서로 겹쳐지면서 폐쇄되고, 유체가 흐름방향으로 흐를 때에는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그물망(146)은, 상기 테두리(142)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막(144)의 후측에 위치되며, 상기 막(144)과 유사하게 반구형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약물(30) 및 펌핑액(40)이 전방측을 향하여 흐를 때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막(144)이 열려 개방될 수 있으며, 제2약물(30) 및 펌핑액(40)이 반대방향으로 흐를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막(144)이 패쇄되어 제2약물(30) 및 펌핑액(40)의 역방향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세그물망(146)이 상기 막(144)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막(144)이 뒤쪽으로 젖혀져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그물망(146)은 상기 막(144)을 지지하는 역할 이외에도 상기 제2약물(30) 및 펌핑액(40) 등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2약물(30) 또는 펌핑액(40)에 기포가 포함되었을 때, 기포를 미세하게 분해함으로써 기포가 혈관에 유입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폐색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잠금밸브(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잠금밸브(150)는 제3서브라인(132)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3서브라인(13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거나 그 개도를 조절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3서브라인(132)이 상기 제1서브라인(110)과 합지되는 지점과, 상기 펌핑액 흡입라인(136)이 결합된 지점 사이의 상기 제3서브라인(132)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잠금밸브(15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몸체(160) 및 셔터(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몸체(160)는 상기 제3서브라인(132)의 튜브가 연결되며, 마주보며 연통되도록 개구된 연통구(162) 및 상기 연통구(162)와 직교하는 방향과 깊이로 형성되며, 일측이 개구된 슬라이딩 슬릿(16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셔터(170)는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딩 슬릿(164)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연통구(162)를 개폐하거나 그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슬릿(164) 또는 상기 슬라이딩 슬릿(164)과 접촉하는 셔터(170) 중 어느 하나에 탄성을 가진 돌기(166)가 하나 또는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슬릿(164) 또는 상기 슬라이딩 슬릿(164)과 접촉하는 셔터(170)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166)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홈(17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166)가 홈(176)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면서 스냅핑 체결되어 그 위치가 탄성적으로 고정되며, 그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구(162)를 패쇄한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구(162)를 일부 개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연통구(162)를 완전하게 개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셔터(170)는 상기 슬라이딩 슬릿(164)에 삽입되어 상기 연통구(162)의 개도를 조절하는 슬레이트(172) 및 상기 슬레이트(172)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 슬릿(164)으로부터 상기 밸브 몸체(16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17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레이트(172)에 상기 돌기(166) 또는 홈(176)이 형성되며, 상기 슬레이트(172)가 상기 슬라이딩 슬릿(164)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연통구(162)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174)를 잡고 밀거나 당겨 상기 슬레이트(17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잇다.
한편, 상기 손잡이(174)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해서 상기 밸브 몸체(16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데, 이 때문에 외부로 튀어나온 손잡이(174)가 여타 다른 튜브 또는 어딘가에 걸려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174)와 슬레이트(172) 사이에는 꺽임부(17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꺽임부(177)는 상기 슬레이트(172)와 상기 손잡이(174)를 연결하며, 일측으로 꺾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셔터(170)의 개도 조절의 조작이 끝난 후에 상기 손잡이(174)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꺾음으로써 어딘가에 걸려 간섭되는 현상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움직임이 방지되어 셔터(170)의 개도 조절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꺽임부(177)는 심과 피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심은 연성을 가진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단은 상기 슬레이트(172)까지 연장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174)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복은 상기 심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심의 외피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슬라이딩 잠금밸브(150)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여부를 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연장형 약물주입장치(100)의 작동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장형 약물주입장치(100)의 작동방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약물 주입단계(S110), 제3서브라인 폐쇄단계(S120), 펌핑액 인입단계(S130), 제3서브라인 개방단계(S140) 및 펌핑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약물 주입단계(S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약물(30)이 충진된 제2약물 주사기(124)를 구비한 후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약물 주사기(124)의 피스톤을 밀어 전진시켜 제2약물(30)을 제2서브라인(122)을 통해 제1서브라인(110)으로 주입시키는 단계이다.
이 때, 제2약물(30)의 양 및 제1서브라인(110)의 길이에 따라 다를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주사기로 주입되는 약물의 양은 수 cc 정도이므로, 주입된 상기 제2약물(30)은 상기 메인라인(20)까지 진입하지 못하며, 제1서브라인(110) 내에 진입한 뒤에 정체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라인 폐쇄단계(S120)는, 상기 슬라이딩 잠금밸브(150)의 셔터(170)를 조작하여 상기 연통구(162)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제3서브라인(132)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라인 폐쇄단계(S120) 후에는 펌핑액 인입단계(S13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펌핑액 인입단계(S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약물 펌핑부(130)의 펌핑액 주사기(134)의 피스톤을 후퇴시켜, 상기 펌핑액 흡입라인(136)을 통해 펌핑액(40)을 펌핑액 주사기(134) 내부로 인입하는 단계이다. 이 때, 상기 제3서브라인(132)에는 후측 방향으로 유동하려는 음압이 형성되지만, 상기 제3서브라인 폐쇄단계(S120)를 통해 상기 제3서브라인(132)이 폐쇄되어 있으며, 복수개소에 설치된 역류방지밸브(140)에 의해 제1서브라인(110) 및 제2서브라인(122) 내의 제2약물(30)이 상기 제3서브라인(132)으로 유입되지 아니하고, 상기 펌핑액 흡입라인(136)을 통해서만 펌핑액(40)이 인입될 수 있다.
상기 펌핑액 인입단계(S130)의 후에는 제3서브라인 개방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라인 개방단계(S140)는, 상기 슬라이딩 잠금밸브(150)의 셔터(170)를 조작하여 상기 연통구(162)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제3서브라인(132)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라인 개방단계(S140)의 후에는 펌핑단계(S15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펌핑단계(S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핑액 주사기(134)의 피스톤을 전진시켜, 상기 펌핑액 주사기(134) 내의 펌핑액(40)이 제3서브라인(132)을 통해 제1서브라인(110) 내로 주입되면서, 그 압력으로 제1서브라인(110) 내에 머물고 있던 제2약물(30)을 상기 메인라인(20)측으로 밀어내는 단계이다.
상기 메인라인(20)내로 주입된 제2약물(30)은 상기 메인라인(20)에 이미 흐르고 있던 제1약물과 함께 환자의 체내로 투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제1약물 저장부 20: 메인라인
30: 제2약물 40: 펌핑액
100: 연장형 약물주입장치 110: 제1서브라인
120: 제2약물 주사부 122: 제2서브라인
124: 제2약물 주사기 130: 제2약물 펌핑부
132: 제3서브라인 134: 펌핑액 주사기
136: 펌핑액 흡입라인 140: 역류방지밸브
142: 테두리 144: 막
146: 미세그물망 150: 슬라이딩 잠금밸브
160: 밸브 몸체 162: 연통구
164: 슬라이딩 슬릿 166: 돌기
170: 셔터 172: 슬레이트
174: 손잡이 176: 홈
177: 꺾임부 180: 하우징
S110: 제2약물 주입단계 S120: 제3서브라인 폐쇄단계
S130: 펌핑액 인입단계 S140: 제3서브라인 개방단계
S150: 펌핑단계

Claims (19)

  1. 일단은 환자에게 투여되는 제1약물이 저장된 제1약물저장부로부터 환자까지 연결되어 제1약물이 흐르는 메인라인에 합지되며, 타단은 타측으로 연장된 제1서브라인;
    상기 제1서브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1약물과는 다른 제2약물을 주입하는 제2약물 주사부; 및
    상기 제1서브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2약물 주사부에 의해 상기 제1서브라인에 주입된 제2약물을 상기 메인라인까지 밀어내는 제2약물 펌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약물 펌핑부는,
    상기 제1서브라인에 주입된 제2약물을 상기 메인라인까지 밀어주는 펌핑액을 주입하는 펌핑액 주사기;
    상기 펌핑액 주사기로부터 상기 제1서브라인까지 연결하는 제3서브라인;
    상기 제3서브라인이 상기 제1서브라인과 합지되는 지점과 상기 펌핑액 주사기 사이의 상기 제3서브라인에 결합되며, 상기 펌핑액 주사기로 흡입되는 펌핑액을 공급하는 펌핑액 흡입라인;
    상기 제3서브라인이 상기 제1서브라인과 합지되는 지점과, 상기 펌핑액 흡입라인이 결합된 지점 사이의 상기 제3서브라인에 위치되어, 상기 제3서브라인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거나 개도를 조절하는 슬라이딩 잠금밸브;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잠금밸브는,
    상기 제3서브라인의 튜브가 연결되며 마주보며 연통되도록 개구된 연통구 및, 상기 연통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개구된 슬라이딩 슬릿이 형성된 밸브 몸체;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연통구를 개폐하거나 개도를 조절하는 셔터;
    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약물 주사부는,
    제2약물을 주사하는 제2약물 주사기; 및
    상기 제2약물 주사기로부터 상기 제1서브라인까지 연결하는 제2서브라인을 포함하는 약물주입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액 흡입라인은 상기 제1약물 저장부와 연통되는 약물주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액 흡입라인의 상기 제3서브라인과 결합된 일단부는 상기 제3서브라인 내에서 상기 펌핑액 주사기 측을 향하도록 끝단이 만곡되게 형성되는 약물주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서브라인은 상기 제2약물 주사부가 상기 제1서브라인과 연결되는 지점과 같거나 그보다 후측에서 상기 제1서브라인과 합지되는 약물주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액 주사기가 한번에 주입하는 펌핑액은 상기 제1서브라인의 내부용적과 같거나 큰 약물주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라인이 상기 메인라인과 연결되는 지점, 상기 제2약물 주사부가 상기 제1서브라인과 연결되는 지점, 상기 제2약물 펌핑부가 상기 제1서브라인과 연결되는 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약물 또는 펌핑액의 흐름이 상기 제2약물 주사부 또는 상기 제2약물 펌핑부로부터 상기 메인라인을 향하여 흐르는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구비되는 역류방지밸브를 더 포함하는 약물주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액의 흐름이 상기 펌핑액 흡입라인으로부터 상기 제3서브라인을 향하여 흐르는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상기 펌핑액 흡입라인에 구비되는 역류방지밸브를 더 포함하는 약물주입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밸브는,
    제1서브라인 내지 제3서브라인을 형성하는 튜브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테두리;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로부터 유체의 흐름방향의 전측으로 돌출되면서 만곡되어 반구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유체가 흐름 반대방향으로 흐를때에는 서로 겹쳐지면서 폐쇄되고, 유체가 흐름방향으로 흐를 때에는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막;
    상기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막보다 후측에 구비되는 미세그물망;
    을 포함하는 약물주입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슬릿 또는 상기 슬라이딩 슬릿과 접촉하는 셔터 중 어느 하나에 탄성을 가진 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슬릿 또는 상기 슬라이딩 슬릿과 접촉하는 셔터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와 홈이 탄성에 의한 스냅핑 체결되는 약물주입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슬라이딩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연통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슬레이트;
    상기 슬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슬라이딩 슬릿으로부터 상기 밸브 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슬레이트와 상기 손잡이를 연결하며, 일측으로 꺾임 가능하게 구비되는 꺾임부;
    를 포함하는 약물주입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약물 주사부 및 제2약물 펌핑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약물주입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90066817A 2019-06-05 2019-06-05 연장형 약물주입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2219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817A KR102219766B1 (ko) 2019-06-05 2019-06-05 연장형 약물주입장치 및 그 작동방법
PCT/KR2020/007269 WO2020246821A2 (ko) 2019-06-05 2020-06-04 연장형 약물주입장치 및 그 작동방법
US17/616,711 US20220362456A1 (en) 2019-06-05 2020-06-04 Extensible drug injec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817A KR102219766B1 (ko) 2019-06-05 2019-06-05 연장형 약물주입장치 및 그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073A KR20200140073A (ko) 2020-12-15
KR102219766B1 true KR102219766B1 (ko) 2021-02-23

Family

ID=7365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817A KR102219766B1 (ko) 2019-06-05 2019-06-05 연장형 약물주입장치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62456A1 (ko)
KR (1) KR102219766B1 (ko)
WO (1) WO2020246821A2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7985A (ja) 2003-06-05 2004-12-24 Nemoto Kyorindo:Kk 薬液注入装置
JP2005143579A (ja) * 2003-11-11 2005-06-09 Fukai Kogyo Kk 医療用スライド式開閉弁
WO2014104338A1 (ja) * 2012-12-28 2014-07-03 株式会社根本杏林堂 薬液回路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薬液回路システム
KR101888473B1 (ko) * 2017-08-11 2018-08-16 (주)가이버 여과기능과 역류차단 기능을 갖는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수액라인용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822Y1 (ko) * 1982-07-30 1983-12-10 주식회사해성 수액 역류 방지구
US9028456B2 (en) * 2008-04-30 2015-05-12 Namiki Seimitsu Houseki Kabushiki Kaisha Infusion pump
KR20110001641U (ko) * 2009-08-11 2011-02-17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삼지 역류방지 튜브
FR2991881B1 (fr) * 2012-06-13 2014-09-05 Medex Sa Dispositif d'injection d'un produit liquide comprenant deux demi-coques mobiles en rotation l'une par rapport a l'aut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7985A (ja) 2003-06-05 2004-12-24 Nemoto Kyorindo:Kk 薬液注入装置
JP2005143579A (ja) * 2003-11-11 2005-06-09 Fukai Kogyo Kk 医療用スライド式開閉弁
WO2014104338A1 (ja) * 2012-12-28 2014-07-03 株式会社根本杏林堂 薬液回路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薬液回路システム
KR101888473B1 (ko) * 2017-08-11 2018-08-16 (주)가이버 여과기능과 역류차단 기능을 갖는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수액라인용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46821A3 (ko) 2021-01-21
US20220362456A1 (en) 2022-11-17
WO2020246821A2 (ko) 2020-12-10
KR20200140073A (ko)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5827B2 (ja) 埋込型薬物送達ポンプを補充する道具
CA2091604C (en) Fluid control device including automatic valve
US4474574A (en) Formulation dispenser for use with a parenteral delivery system
US7632247B2 (en) Disposable infusion device with air trapping collapsible reservoir
US7867193B2 (en) Drug delivery apparatus
US5188603A (en) Fluid infusion delivery system
JP5801067B2 (ja) 移植ポンプ用の補充キット
US6059747A (en) Syringe pump infusion control set
US20030069541A1 (en) Implantable device for access to a treatment site
JP2021527514A (ja) 静脈内コネクタおよびチューブを滅菌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6500156B1 (en) Thumb-powered flushing device for catheters
US20210369981A1 (en) Drug delivery device with air and backflow elimination
BRPI0715526A2 (pt) deslocamento de volume em dispositivos de acesso vascular
EP3372262A1 (en) Medical liquid administration device
US2007025522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filling an infusion device
KR102219766B1 (ko) 연장형 약물주입장치 및 그 작동방법
ES2766256T3 (es) Dispositivo de infusión desechable con bloqueo de reutilización
WO1993025262A1 (en) Dual access catheter for implantable pump system
SE0303387L (sv) Kateteranordning samt infusionssystem med inre och yttre kateter
JP2009518154A (ja) バルブおよび流量制御部を備える流量制御装置
CN112154006A (zh) 自冲洗连接器
JP3185454U (ja) 薬液の注入装置
KR200281158Y1 (ko) 역류방지용 수액셋트
CN115443161A (zh) 带防药剂暴露功能的加压式药品注入器
JPH03168157A (ja) 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