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582B1 -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진료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진료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582B1
KR102219582B1 KR1020190094686A KR20190094686A KR102219582B1 KR 102219582 B1 KR102219582 B1 KR 102219582B1 KR 1020190094686 A KR1020190094686 A KR 1020190094686A KR 20190094686 A KR20190094686 A KR 20190094686A KR 102219582 B1 KR102219582 B1 KR 102219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nimal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6662A (ko
Inventor
여태환
김효식
Original Assignee
여태환
김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태환, 김효식 filed Critical 여태환
Priority to KR1020190094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5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16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06K9/00442
    • G06K9/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pidemiology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진료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노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노드가 입력부, 출력부, 메모리, 카메라, 송수신부,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동물 병원의 이름과 위치, 동물의 보호자의 신원 및 동물의 신원을 특정하는 과정과, 동물 병원에서 동물에게 수행한 진료에 대한 진료비 영수증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과, 이미지의 텍스트에 기초하여 진료 항목 별 진료비를 식별하는 과정과, 진료 항목에 대하여 미리 카테고리화 된 복수의 질병 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매칭하는 과정과, 질병 코드 별 진료비의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과정과, 트랜잭션에 기초하여 해시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다른 노드들에 해시 값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진료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INFORMATION ON HOSPITAL COST BASED ON BLOCKCHAINS}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진료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동물 병원에서 수행한 진료에 대한 진료비 영수증으로부터 진료 항목 별 진료비를 식별하고, 진료 항목에 대하여 미리 카테고리화 된 질병 코드를 매칭한 뒤, 질병 코드 별 진료비의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물 병원은 적정한 진료 평가 기관이 부재하고, 표준 진료 코드가 부재하는 등의 원인으로 일반 의료에 적용되는 동일 진료 동일 수가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고 있다. 그 결과, 동물 병원은 전자 의무 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이 적용되지 않으며, 서비스의 품질과 진료비가 동물 병원의 지역과 규모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소비자가 동물 병원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평가 정보의 획득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동물에 대한 의료 서비스 제공자와 소비자 간 정보 비대칭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과잉 진료가 발생하고, 과잉 비용 발생 문제 및 의료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
국내 보험 업계에서 반려 동물 의료 보험을 도입하였으나, 반려 동물 의료 보험 상품을 출시한 국내 손해 보험사는 100% 이상의 손해율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동물 병원의 의료 시스템에 표준 진료 코드가 부재하고 전자 의무 기록이 적용되지 않는 등의 맹점을 이용한 과잉 진료 및 과잉 청구가 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서, 진료 항목을 진료 코드로써 표준화하고, 각 동물 병원 별로 표준화된 진료 코드에 따라서 진료비가 얼마나 들었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12-0087335호(동물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공개특허 제10-2012-0137597호(동물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공개특허 제10-2017-0083894호(애완동물 의료보험 기반의 복합 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 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진료비 영수증에 기초한 진료 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에 공유하고 보상을 얻을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진료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각 진료 항목을 표준화된 진료 코드로써 표준화하고, 각 동물 병원 별로 표준화된 진료 코드에 따라서 진료비가 얼마나 들었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비자가 진료 정보를 공유하면서 얻은 보상을 재화나 서비스의 구입에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노드의 동작 방법은, 노드가 입력부, 출력부, 메모리, 카메라, 송수신부,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동물 병원의 이름과 위치, 동물의 보호자의 신원 및 동물의 신원을 특정하는 과정과, 동물 병원에서 동물에게 수행한 진료에 대한 진료비 영수증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과, 이미지의 텍스트에 기초하여 진료 항목 별 진료비를 식별하는 과정과, 진료 항목에 대하여 미리 카테고리화 된 복수의 질병 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매칭하는 과정과, 질병 코드 별 진료비의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과정과, 트랜잭션에 기초하여 해시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다른 노드들에 해시 값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노드의 장치는, 입력부; 출력부;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메모리; 카메라; 송수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동물 병원의 이름과 위치, 동물의 보호자의 신원 및 동물의 신원을 특정하고, 동물 병원에서 동물에게 수행한 진료에 대한 진료비 영수증의 이미지를 획득하며, 이미지의 텍스트에 기초하여 진료 항목 별 진료비를 식별하고, 진료 항목에 대하여 미리 카테고리화 된 복수의 질병 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매칭하며, 질병 코드 별 진료비의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트랜잭션에 기초하여 해시 값을 생성하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다른 노드들에 해시 값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노드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기록된다.
본 발명은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진료비 영수증에 기초한 진료 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에 공유하고 보상을 얻을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진료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각 진료 항목을 표준화된 진료 코드로써 표준화하고, 각 동물 병원 별로 표준화된 진료 코드에 따라서 진료비가 얼마나 들었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비자가 진료 정보를 공유하면서 얻은 보상을 재화나 서비스의 구입에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진료 정보 공유 시스템에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노드가 공유할 진료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진료 정보 공유 시스템에서 노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진료 정보 공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노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진료 정보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진료 정보 공유 시스템에서 노드가 진료 정보를 등록하고 보상을 받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진료 정보 공유 시스템에서 블록체인에 등록된 진료 정보와 인증 정보의 위변조 방지를 통한 무결성을 보장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진료 정보 공유 시스템에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노드가 공유할 진료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동물 병원의 진료 정보를 공유하는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동물 보호자의 노드(10)(A)가 진료비 영수증에 기초하여 공유할 진료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노드(10)와 단말을 설명 양태에 따라 중복 사용하면서도 노드(10)와 단말이 상호 동일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는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10) 중 동물의 보호자에 대응하는 특정 노드를 지칭한다.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는 카메라, 터치스크린 형태의 입출력부, 데이터의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을 구현하기 위해, 복수의 서로 다른 단말 각각에는 어플리케이션부(11)가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단말(10) 각각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는 단말(10)에 저장되며 블록체인의 노드(10)로서 동작하는데 필요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18)을 실행한 상태의 프로세서(15)로 구성될 수 있다.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스마트폰 등의 형태인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동작하는 프로세서 또는 소프트웨어가 임베디드 형태로 내장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부(11)는 프로세서를 통해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의 구성을 제어하여 진료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각종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부(11)는 동물 병원의 이름과 위치, 동물의 보호자의 신원 및 동물의 신원을 특정한다(S101).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부(11)는 미리 저장된 동물 병원 명단 중에서 동물의 보호자의 선택을 입력 받음으로써 동물 병원의 이름 및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부(11)는 스마트폰 기능을 제어하여 공인인증서 인증, 지문 또는 홍채의 생체 인식 등으로 동물의 보호자의 신원 정보를 획득하고, 동물에게 부착된 신원 확인용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인식하거나, 또는 동물의 생체 인식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동물의 신원 정보를 획득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부(11)는 스마트폰의 기능을 제어하여 영수증의 이미지를 카메라 촬영하거나(S102), 또는 스마트폰 화면의 전자 영수증의 이미지를 캡쳐하거나, 또는 이미 저장된 전자 영수증의 이미지를 읽음으로써 동물 병원의 진료비 영수증의 이미지를 획득한다(S103).
어플리케이션부(11)는 진료비 영수증의 이미지를 광학 문자 판독(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분석하여(S104) 각각의 항목과 액수에 대한 텍스트를 추출하고(S105), 추출된 텍스트를 분석하여 진료비 총액 및 각각의 진료 항목 별 진료비 세부 액수를 식별한다(S106).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부(11)가 OCR 분석을 통해 식별한 항목 별 세부 액수를 화면에 표시한 뒤 동물의 보호자가 승인을 하거나 또는 일부 수정을 한 뒤 승인을 함으로써 항목 별 세부 액수를 획득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부(11)는 식별한 항목 별로 미리 카테고리화 되어 있는 복수의 질병 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매칭한다(S107).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부(11)가 OCR 분석을 통해 식별한 항목을 미리 카테고리화 되어 있는 복수의 질병들과 비교하여 적당한 질병에 매칭한 후 화면에 표시한 뒤 동물의 보호자가 승인을 하거나 또는 일부 수정을 한 뒤 승인을 함으로써 항목 별 질병 코드를 매칭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부(11)는 추가적으로 동물의 보호자로부터 주관적인 점수를 입력 받음으로써 동물 병원에 대한 평가 점수를 획득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부(11)는 진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진료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텍스트 기반의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진료의 결과 지불한 액수에 대한 영수증에 대한 정보는 영수증에 대하여 동물의 보호자의 단말에서 촬영한 영수증의 이미지 및 이미지를 기반으로 획득된 액수의 텍스트의 두 가지 형태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부(11)는 진료 정보의 등록을 위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트랜잭션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해시 알고리즘을 통해 해시 값을 생성한 후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10) 각각에 전송함으로써, 진료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S108).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진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풀 노드(10)에 접속하여 해당 풀 노드(10)의 저장부에 저장된 공유 원장을 검색하거나 자신의 저장부(또는 DB)에 저장된 공유 원장을 검색하여 진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간 진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복수의 노드(10) 각각은 각자의 진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복수의 노드(10)로부터 공유된 진료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부(11)는 이하와 같이 동물 병원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동물 병원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부(11)의 제어에 따라서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부(11)는 질병 코드 및 항목 별 액수를 블록체인을 통해 공유된 질병 코드 별 진료비 집단과 비교 분석하여 진료비의 항목 별 전체 진료비 집단에 대한 비교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부(11)는 동일한 질병 코드에 대하여 가격 측면에서 해당 동물 병원이 전체 동물 병원 집단 중 몇 %의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부(11)는 특정 지역에 대한 지도(map) 영역 내 존재하는 동물 병원들의 특정 질병 코드 별 평균 진료비를 지도 화면에서 동물 병원의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부(11)는 특정 지역 내 동물 병원의 누적된 진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부(11)는 특정 지역 내 동물 병원들에 대하여 동일 진료 항목별 평균 진료비의 정보, 진료비가 높은 소정의 개수의 동물 병원들의 정보, 진료비가 낮은 소정의 개수의 동물 병원들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부(11)는 연간, 월간, 주간별로 진료비에 따른 특정 지역 내 동물 병원들의 순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부(11)는 특정 지역에서 특정 질병에 대하여 또는 평균적으로 진료 만족도의 평가 점수가 높은 동물 병원 및 낮은 동물 병원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부(11)는 각 동물 병원 별로 진료 만족도의 평가 점수가 높은 진료 항목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부(11)는 특정 지역에 대한 지도(map) 영역 내 존재하는 동물 병원들의 진료 만족도의 평가 점수를 지도 화면에서 동물 병원의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부(11)는 인터넷 등을 통해 별도로 입력된 각 지역의 물가 및 임대료 등 표준 경제 지표를 기준으로 공유된 진료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진료 원가 상승 또는 인하의 동향에 대한 누적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부(11)는 광고 플랫폼을 배너로 운용하면서 광고 효과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으로 진료 정보와 함께 공유하고, 이에 기초하여 타겟 광고로 활용할 수 있는 광고 효과 분석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부(11)는 인터넷 등을 통해 별도로 입력된 동물 병원 별 수의사의 경력 사항, 동물 병원의 규모, 진료 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부(11)는 인터넷 등을 통해 별도로 입력된 반려 동물 관련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부(11)는 본 발명의 블록체인 시스템의 코인에 대하여 전자 지갑 기능을 제공하고, 코인을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부(11)는 코인으로 서비스 또는 재화를 직접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부(11)는 코인으로 동물 관련 보험료를 직접 납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부(11)는 코인으로 직접 기부할 수 있는 기부 관련 기관에 접속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부(11)는 코인 거래소에 접속하여 코인을 현금으로 환전하여 특정 은행 계좌에 송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진료 정보 공유 시스템에서 노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동물 병원의 진료 정보를 공유하는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가 진료비 영수증에 기초하여 진료 정보를 생성하고 블록체인에 진료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는 동물 병원의 이름과 위치, 동물의 보호자의 신원, 동물의 신원을 특정한다(S201). 또한,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는 동물 병원에서 동물에게 수행한 진료에 대한 진료비 영수증의 이미지를 획득한다(S202). 또한,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는 이미지의 텍스트에 기초하여 진료 항목 별 진료비를 식별한다(S203). 또한,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는 진료 항목에 대하여 질병 코드를 매칭한다(S204). 또한,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는 질병 코드 별 진료비의 정보를 포함하는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한다(S205). 또한,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는 트랜잭션에 기초하여 해시 값을 생성한다(S206). 또한,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는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다른 노드들에게 해시 값을 전송한다(S207).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는 블록체인의 공유 원장에 상기 진료 정보가 등록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공유 원장에 상기 진료 정보가 등록되었음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진료 정보의 등록에 따른 코인의 보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진료 정보에 대한 인센티브 획득(incentive acquisition)으로서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에게 코인이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는 공유 원장을 검색하여 상기 다른 노드들의 진료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노드의 진료 정보와 상기 다른 노드들의 진료 정보를 비교하며, 비교의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는 공유 원장을 검색하여 상기 다른 노드들의 진료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노드의 진료 정보와 상기 다른 노드들의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 질병 코드, 진료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천 동물 병원을 결정하며, 추천 동물 병원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는 동물 병원에 대한 진료 만족도를 입력받고, 상기 진료 정보는 상기 동물 병원에 대한 진료 만족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유 원장을 검색하여 상기 다른 노드들의 진료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노드의 진료 정보와 상기 다른 노드들의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진료 만족도에 기초하여 추천 동물 병원을 결정하며, 추천 동물 병원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는 코인을 이용하여 서비스 또는 재화를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쇼핑몰에 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진료 정보 공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노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노드(10)는 어플리케이션(11), 메모리(12), 입력부(13), 출력부(14), 프로세서(15), 송수신부(16), 카메라(17)을 포함한다.
블록체인을 구현하기 위해, 복수의 서로 다른 단말 각각에는 어플리케이션부(11)가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단말 각각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는 단말에 저장되며 블록체인의 노드(10)로서 동작하는데 필요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18)을 실행한 상태의 프로세서(15)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5)는 단말에 구성되는 메모리(12)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프로세서(15)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5)는 저장부에 액세스하여, 메모리(12)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메모리(12)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18)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부(11)로 동작하면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5)는 노드(10)의 장치 내 구성들, 즉, 메모리(12), 입력부(13), 출력부(14), 송수신부(16) 및 카메라(17)를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드(10)는 프로세서(15) 이외에도 어플리케이션(18) 관련 데이터를 비롯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13),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14), 타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송수신부(16)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5)는 단말을 구성하는 구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2)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로 구성되거나, 물리적인 하드디스크(hard disk), SSD(solid state drive), 웹하드(web hard)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3) 및 출력부(14)는 스마트폰에서 터치 디스플레이의 형태로 동시에 입출력부(13, 14)로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3)는 물리적 키보드 장치, 터치 디스플레이, 카메라(17)를 구성하는 이미지 입력 센서, 지문을 입력받는 센서, 홍채를 인식하는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4)는 모니터, 터치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부(16)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 또는 송수신기(transceiver)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노드(10) 각각을 구성하는 단말은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노드(10) 각각을 구성하는 단말은 특정 업체에서 운영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진료 정보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복수의 서로 다른 단말 상호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단말이 블록체인의 노드(10)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블록체인(blockchain)이란 다수의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를 블록으로 구성하고, 해시(hash)를 이용하여 여러 블록(block)들을 체인처럼 연결하여, 피투피(P2P) 네트워크 분산 환경에서 중앙 관리 서버가 아닌 참여자(피어, peer)인 노드들(10)의 디지털 장비에 정보를 분산시켜 저장함으로써, 보안 정보를 공동으로 관리하는 알고리즘이다. 이러한, 블록체인을 이용하면 데이터의 위변조가 불가능하여 권위 있는 중개기관이 없더라도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거래와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록체인을 구현하기 위해, 복수의 서로 다른 단말 각각에는 어플리케이션부(11)가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단말 각각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는 단말에 저장되며 블록체인의 노드(10)로서 동작하는데 필요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한 상태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노드(10) 각각을 구성하는 단말은 블록체인 상에서 공유되는 정보를 메모리의 보안 영역에 저장하거나, 데이터베이스의 보안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블록체인에 노드(10)로서 참여하는 참여자가 동종 장치로 구성되거나 이종 장치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복수의 노드(10)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 중 적어도 하나는 동물의 보호자가 동물 병원의 진료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진료 정보 노드(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진료 정보에 대하여 보호자의 신원 확인 및 동물의 신원 확인을 인증하는 인증 기관 노드(10)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본 발명은 동물 병원을 이용한 동물의 보호자가 진료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경우 진료 정보의 인증 기관의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동물의 보호자와 인증 기관 상호간 양방향 인증이 블록체인 상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블록체인을 통해 양방향 인증이 이루어진 진료 정보를 블록체인의 저장 단위인 블록에 포함시켜 복수의 노드(10) 각각에 저장하여 공유함으로써 진료 정보의 무단 변경시 복수의 노드(10) 각각에 저장된 진료 정보의 비교를 통해 위변조된 진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위변조를 원천 차단함으로써 진료 정보의 보안성과 무결성 및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진료 정보 공유 시스템에서 노드가 진료 정보를 등록하고 보상을 받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와 공유하기 위한 공유 대상인 동물 병원의 진료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진료 정보는 동물 병원의 이름, 동물 병원의 위치, 진료 대상인 동물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동물의 생체 인식 정보), 진료 대상인 동물의 보호자의 신원 정보, 진료 대상인 질병의 정보, 진료의 결과 지불한 액수, 진료의 결과 지불한 액수에 대한 영수증의 이미지, 진료의 결과 지불한 액수의 전체 동물 병원 집단에 대한 비교 분석 결과, 동물 병원에 대한 진료 만족도의 평가 점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진료 정보의 구성은 어플리케이션부(11)의 설정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정형화될 수 있다.
동물 병원의 이름, 동물 병원의 위치는 어플리케이션부(11)에서 검색되는 동물 병원 중에서 동물의 보호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동물의 식별 정보는 어플리케이션부(11)에서 스마트폰 기능을 제어하여 동물에게 부착된 신원 확인용 RF-ID를 인식하거나, 또는 동물의 생체 인식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동물의 보호자의 신원 정보는 어플리케이션부(11)에서 스마트폰 기능을 제어하여 공인인증서 인증, 지문 또는 홍채의 생체 인식 등으로 획득될 수 있다.
진료 대상인 질병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부(11)에서 미리 카테고리화 되어 있는 복수의 질병들 중에서 동물의 보호자에 의하여 선택된 하나로 정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물의 보호자는 어플리케이션부(11)에서 미리 카테고리화 되어 있는 질병 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질병 코드를 선택할 수 있다.
진료의 결과 지불한 액수는 어플리케이션부(11)에서 스마트폰의 기능을 제어하여 카메라 촬영한 영수증의 이미지 또는 스마트폰에서 캡쳐한 전자 영수증의 이미지로부터 문자 인식을 통해 내역 및 액수를 화면에 표시한 뒤 동물의 보호자가 승인을 하거나 또는 일부 수정을 한 뒤 승인을 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진료의 결과 지불한 액수의 전체 동물 병원 집단에 대한 비교 분석 결과는 어플리케이션부(11)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질병 코드 및 획득된 지불한 액수를 복수의 노드(10)에게 공유된 질병 코드 별 진료비 집단과 비교하여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부(11)는 동일한 질병 코드에 대하여 가격 측면에서 해당 동물 병원이 전체 동물 병원 집단 중 몇 %의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동물 병원에 대한 평가 점수는 어플리케이션부(11)에서 동물의 보호자로부터 주관적인 점수를 입력 받음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진료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텍스트 기반의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진료의 결과 지불한 액수에 대한 영수증에 대한 정보는 영수증에 대하여 동물의 보호자의 단말에서 촬영한 영수증의 이미지 및 이미지를 기반으로 획득된 액수의 텍스트의 두 가지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진료 정보의 등록을 위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트랜잭션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해시 알고리즘을 통해 해시 값을 생성한 후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10) 각각에 전송함으로써, 진료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트랜잭션에 따라 진료 정보를 특정 노드(10)가 속한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를 제외한 하나 이상의 모든 노드(들)(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트랜잭션(transaction)은 트랜잭션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트랜잭션 정보는 단위 작업 또는 단위 거래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하나 이상의 연산함수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개인 키로 진료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자 서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 중 적어도 하나의 노드(10)는 풀 노드(full node)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풀 노드(10)에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부(11)는 블록체인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 예를 들어, 진료 정보, 이하에서 설명하는 인증 정보, 해시 값 등을 모두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 중 라이트 노드(light node)로 설정된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라이트 노드 관련 설정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설정 정보에 따라 해시 값만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모든 노드(10)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로부터 수신한 진료 정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공유 원장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블록체인에 등록된 진료 정보를 공유 원장을 통해 확인하여 진료 정보 등록 완료시 진료 정보의 등록에 따른 보상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진료 정보에 대한 인센티브 획득(incentive acquisition)으로서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에게 코인이 제공된다.
이 때, 블록체인에 속한 모든 노드들(10) 각각은 보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전자 지갑이 설정될 수 있으며, 보상 정보를 생성한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자신이 속한 노드(10)에 미리 설정된 전자 지갑에 보상 정보를 누적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보상 정보는 블록체인에서 통용되는 결제 수단의 금액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에 따라서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과 같은 고유 코인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부(11)는 블록체인에 포함된 진료 정보 중 열람 권한이 설정되어 유료 결제 시에만 진료 정보의 열람이 가능한 경우 보상 정보, 즉, 본 블록체인 시스템 고유의 코인 지급을 통해 진료 정보를 열람할 수도 있다.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진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풀 노드(10)에 접속하여 해당 풀 노드(10)의 저장부에 저장된 공유 원장을 검색하거나 자신의 저장부(또는 DB)에 저장된 공유 원장을 검색하여 진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간 진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에 속하지 않은 외부 단말(100)로부터 진료 정보의 검색 요청시 검색 요청 관련 쿼리를 수신한 검색 노드(10)는 자신의 저장부(또는 DB)를 검색하거나 블록체인의 풀 노드(10)에 해당하는 노드(10)로 검색 요청 관련 검색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검색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수신된 동물 및 동물의 보호자 관련 진료 정보를 외부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검색 노드(10)는 검색 요청에 대응되는 진료 정보를 함께 외부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단말(100)은 블록체인에 포함된 진료 정보 중 열람 권한이 설정되어 유료 결제 시에만 진료 정보의 열람이 가능한 경우, 보상 정보, 즉 본 블록체인 시스템 고유의 코인 지급을 통해 진료 정보를 전송받고 열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진료 정보 공유 시스템에서 블록체인에 등록된 진료 정보와 인증 정보의 위변조 방지를 통한 무결성을 보장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복수의 노드(10)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동물의 보호자의 노드(10)(A)로부터 수신한 트랜잭션 관련 제 1 해시 값을 제 1 해시 값이 수신된 시점에 대응되는 블록의 생성 주기 동안에 수신된 다른 노드(10)로부터 수신한 해시 값과 함께 미리 설정된 해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루트 해시 값을 생성하고, 루트 해시 값과 제 1 해시 값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부(11)는 제 1 해시 값이 하나의 블록 생성 주기 동안에 수신 또는 생성된 경우 제 1 해시 값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블록에는 반드시 하나의 루트해시가 존재하며, 만약 진료 정보나 인증 정보 중 하나라도 위변조할 경우 해당 해시 값과 그 상위의 모든 해시 값이 변경되어 결과적으로 루트해시가 달라지게 되므로, 블록의 루트해시만 비교해 보면 그 하위에 있는 해시를 일일이 비교 검사하지 않더라도 데이터가 위변조되었는지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노드(10)의 각각 어플리케이션부(11)는 미리 설정된 블록체인 관련 알고리즘에 따라 진료 정보 관련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제 1 해시 값이 포함된 블록 생성시 블록체인에 연결되는 신규 블록의 생성 권한을 얻기 위해 타 노드(10)와의 경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모드 노드(10) 중 진료 정보 또는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작업증명이 이루어진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가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신규 블록의 생성 권한을 차지하며, 진료 정보 또는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신규 블록을 생성한 후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타 노드(들)(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작업증명(Proof of Work, PoW)이란 목표값 이하의 블록 해시를 찾는 과정을 무수히 반복함으로써 해당 작업에 참여했음을 증명하는 방식의 알고리즘으로서 어플리케이션부(11)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부(11)는 신규 블록의 생성일시, 버전, 비츠(bits), 루트해시, 이전 블록의 해시, 그리고 논스(nonce)라고 불리는 임시값 등을 조합한 후 해시로 변환하여 신규 블록의 블록 해시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각 노드들(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신규 블록에 대응되는 블록의 생성 주기 동안 이루어진 모든 트랜잭션을 하나로 묶어 새로운 블록을 구성하고, 블록 구성 완료시 블록체인에서 신규 블록의 이전 블록에 연결하기 위한 신규 블록의 생성 권한을 차지하기 위해 목표값 이하의 해시 값을 찾기 위해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간 상호 경쟁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에 참여한 수많은 노드들(10) 중에서 가장 먼저 목표값 이하의 블록 해시 값을 찾아낸 노드(10)가 경쟁에서 승리하게 되고, 블록 해시를 가장 먼저 찾아낸 노드(10)인 승리 노드(10)(B)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자신이 경쟁에서 승리했음을 모드 노드(10)에 알리면서 승리 노드(10)(B)의 어플리케이션부(11)가 생성한 신규 블록을 승리 노드(10)(B)를 제외한 다른 하나 이상의 노드(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승리 노드(10)(B) 이외의 블록체인 관련 네트워크에 참여한 다른 노드(들)(10)(C)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승리 노드(10)(B)로부터 수신된 신규 블록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아무런 이상이 없을 경우 해당 신규 블록의 생성을 승인한 승인 정보를 자신 이외의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타 노드(들)(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에 참여한 복수의 노드(10)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자신이 속한 노드(10) 외의 다른 노드(들)(10)로부터 수신되는 승인 정보를 취합하여 전체 네트워크에 참가한 노드들(10) 중에서 과반수가 새로 생성된 신규 블록을 승인할 경우, 해당 신규 블록을 정식 블록으로 채택하여 미리 설정된 공유 원장에 추가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부(11)는 공유 원장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블록 중 신규 블록의 생성 직전에 생성된 이전 블록에 신규 블록을 체인처럼 연결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승리 노드(10)(B)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신규 블록의 생성 권한 획득시 미리 설정된 금액에 해당되는 보상 정보를 생성하여 승리 노드(10)(B)에 미리 설정된 전자 지갑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모든 노드(10)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블록체인을 통해 생성되어 누적 저장된 보상 정보를 기초로 일정 지분 이상을 가진 노드들의 지분율을 연산한 후, 각 노드별로 보유한 지분율에 비례하여 블록 생성자로 선정될 확률이 정해지는 방식, 즉, 지분증명에 따라 랜덤하게 선택된 노드가 승리 노드(10)(B)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승리 노드(10)(B)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진료 정보 또는 인증 정보에 대응되는 신규 블록을 생성하여 타 노드들(10)(A, C)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는 신규 블록을 미리 설정된 공유 원장에 이전 블록과 연결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특정 노드에 침입하여 진료 정보를 위변조하더라도 블록체인 기반으로 공유 원장에 해시를 이용하여 체인처럼 연결된 특정 노드에 저장되는 블록이 위변조에 따라 해시 값이 변경되는 경우 타 노드의 공유 원장과 대조시 해시 값이 변경된 블록을 용이하게 찾아내어 진료 정보의 위변조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진료 정보 관련 데이터의 무결성 및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본 발명의 프로세서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 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 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본질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모든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 및 본 발명의 균등한 범위 내 가능한 모든 변화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3)

  1.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노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드는 입력부, 출력부, 메모리, 카메라, 송수신부,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동물 병원의 이름과 위치, 동물의 보호자의 신원 및 동물의 신원을 특정하는 과정과, 상기 동물 병원의 이름과 위치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동물 병원의 목록 중 하나의 동물 병원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음으로써 특정되고,
    상기 동물 병원에서 상기 동물에게 수행한 진료에 대한 진료비 영수증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의 텍스트에 기초하여 진료 항목 별 진료비를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진료 항목에 대하여 미리 카테고리화 된 복수의 질병 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매칭하는 과정과,
    상기 블록체인의 공유 원장에서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다른 노드들의 제2 진료 정보를 공유 받는 과정과,
    제1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진료 정보는 상기 동물 병원의 이름, 상기 동물 병원의 위치, 상기 동물의 식별 정보, 상기 보호자의 신원 정보, 상기 질병 코드 별 진료비의 정보, 상기 다른 노드들의 상기 제2 진료 정보에 기반하여 전체 동물 병원 집단의 동일한 질병 코드에 대한 상기 진료비의 비교 분석 결과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잭션에 기초하여 해시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다른 노드들에 상기 해시 값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의 상기 공유 원장에 상기 제1 진료 정보가 등록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공유 원장에 상기 제1 진료 정보가 등록되었음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제1 진료 정보의 등록에 따른 코인의 보상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의 상기 제1 진료 정보와 상기 다른 노드들의 상기 제2 진료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의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의 상기 제1 진료 정보와 상기 다른 노드들의 상기 제2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 질병 코드, 진료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천 동물 병원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추천 동물 병원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 병원에 대한 진료 만족도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제1 진료 정보는 상기 동물 병원에 대한 진료 만족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드의 상기 제1 진료 정보와 상기 다른 노드들의 상기 제2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진료 만족도에 기초하여 추천 동물 병원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추천 동물 병원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인을 이용하여 서비스 또는 재화를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7.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노드의 장치에 있어서,
    입력부;
    출력부;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메모리;
    카메라;
    송수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동물 병원의 이름과 위치, 동물의 보호자의 신원 및 동물의 신원을 특정하고, 상기 동물 병원의 이름과 위치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동물 병원의 목록 중 하나의 동물 병원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음으로써 특정되고,
    상기 동물 병원에서 상기 동물에게 수행한 진료에 대한 진료비 영수증의 이미지를 획득하며,
    상기 이미지의 텍스트에 기초하여 진료 항목 별 진료비를 식별하고,
    상기 진료 항목에 대하여 미리 카테고리화 된 복수의 질병 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매칭하며,
    상기 블록체인의 공유 원장에서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다른 노드들의 제2 진료 정보를 공유 받고,
    제1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동물 병원의 이름, 상기 동물 병원의 위치, 상기 동물의 식별 정보, 상기 보호자의 신원 정보, 상기 질병 코드 별 진료비의 정보, 상기 다른 노드들의 상기 제2 진료 정보에 기반하여 전체 동물 병원 집단의 동일한 질병 코드에 대한 상기 진료비의 비교 분석 결과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잭션에 기초하여 해시 값을 생성하며,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다른 노드들에 상기 해시 값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블록체인의 상기 공유 원장에 상기 제1 진료 정보가 등록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공유 원장에 상기 제1 진료 정보가 등록되었음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제1 진료 정보의 등록에 따른 코인의 보상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노드의 상기 제1 진료 정보와 상기 다른 노드들의 상기 제2 진료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의 결과를 출력하도록 더 구성된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노드의 상기 제1 진료 정보와 상기 다른 노드들의 상기 제2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 질병 코드, 진료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천 동물 병원을 결정하며,
    상기 추천 동물 병원을 출력하도록 더 구성된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물 병원에 대한 진료 만족도를 입력받고, 상기 제1 진료 정보는 상기 동물 병원에 대한 진료 만족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드의 상기 제1 진료 정보와 상기 다른 노드들의 상기 제2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진료 만족도에 기초하여 추천 동물 병원을 결정하고,
    상기 추천 동물 병원을 출력하도록 더 구성된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코인을 이용하여 서비스 또는 재화를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도록 더 구성된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94686A 2019-08-05 2019-08-05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진료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19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686A KR102219582B1 (ko) 2019-08-05 2019-08-05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진료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686A KR102219582B1 (ko) 2019-08-05 2019-08-05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진료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662A KR20210016662A (ko) 2021-02-17
KR102219582B1 true KR102219582B1 (ko) 2021-02-24

Family

ID=7468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686A KR102219582B1 (ko) 2019-08-05 2019-08-05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진료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5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665B1 (ko) * 2021-02-18 2022-11-09 (주)알투비솔루션 원격 dbms 테이블간 고성능 테이블 데이터 정합성 검증 시스템
KR102651688B1 (ko) * 2021-04-20 2024-03-27 김송환 허가형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암 검진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30418B1 (ko) * 2021-06-02 2022-08-09 주식회사 더블렌드 반려동물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4124963A (zh) * 2021-12-03 2022-03-01 心医国际数字医疗系统(大连)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416618B1 (ko) * 2022-04-18 2022-07-05 주식회사 그린리본 의료비 지출내역 기반 진단코드 예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09489B1 (ko) * 2022-08-23 2023-03-15 이재우 기부금 또는 결제금으로 사용 가능한 포인트 적립 기능 및 진료비 공개 기능을 제공하는 동물병원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758B1 (ko) * 2018-12-12 2019-05-31 주식회사 블록펫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동물 관련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005979B1 (ko) * 2018-08-22 2019-07-31 예다움 주식회사 의료 서비스 정보 매칭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335A (ko) 2011-01-20 2012-08-07 (주)인투씨엔에스 동물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20137597A (ko) 2011-05-19 2012-12-24 (주)인투씨엔에스 동물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781924B1 (ko) 2016-01-11 2017-09-26 최찬영 애완동물 의료보험 기반의 복합 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27452B1 (ko) * 2017-05-02 2023-05-04 기웅정보통신 주식회사 스크래핑 기반의 보험금 자동 청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979B1 (ko) * 2018-08-22 2019-07-31 예다움 주식회사 의료 서비스 정보 매칭방법
KR101984758B1 (ko) * 2018-12-12 2019-05-31 주식회사 블록펫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동물 관련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662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582B1 (ko)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진료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704672B2 (en)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searches for known identifiers of sensitive information to identify sensitive information in data
US11727226B2 (en) Digital identity system
US10594484B2 (en) Digital identity system
CN110458699A (zh) 基于分布式帐簿的、实现金融包容性和可持续性的供应链应用的身份和起源
CN110945554A (zh) 注册表区块链架构
CN107636662A (zh) 网络内容认证
US20220164791A1 (en) Method for distributing collectables ownership based on blockchain networks and online transaction server using the same
KR102384321B1 (ko)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8806603B2 (en) Dual device system for secure transactions
US20220147961A1 (en) Method for distributing collectables ownership by using multi-signature based on blockchain networks and online transaction server using the same
CN108140152A (zh) 计算机实现的追踪机制及数据管理
US20230186281A1 (en) Automatic access/restriction of nfts
KR20210059165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술작품 저작권 p2p 거래시스템
KR20210059164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2차 저작권 소유권 발행시스템
KR20230127116A (ko)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nft에 대한 위변조를 감지하는 위변조 감지 방법
Dash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for blockchain-based intelligent networks systems: Concepts, methodologies, tools, and applications
KR20210140801A (ko)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디자인의 고유성을 판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169510A1 (en) Validating transactions electronically using proof of reception validation protocol
JP2022523649A (ja) 購入行動を使用したリアルタイムユーザマッチング
KR20220122416A (ko)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매물 검색 및 관리 시스템
KR20210001915A (ko) 블록체인 기반 연구중심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운영방법
KR102230315B1 (ko) 블록체인 디앱 기반의 동물 개체 고유식별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202303162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Identity, Documents, and Transactions
US20240005351A1 (en) Verif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