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321B1 -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321B1
KR102384321B1 KR1020170123561A KR20170123561A KR102384321B1 KR 102384321 B1 KR102384321 B1 KR 102384321B1 KR 1020170123561 A KR1020170123561 A KR 1020170123561A KR 20170123561 A KR20170123561 A KR 20170123561A KR 102384321 B1 KR102384321 B1 KR 102384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payer
terminal
information
block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144A (ko
Inventor
김영권
김세형
이지환
김영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934,384 priority Critical patent/US11049104B2/en
Publication of KR20180113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23Payment schemes or models based on the use of peer-to-peer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5Use of electronic signatures

Abstract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은, 판매자의 단말로부터 결제자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지갑 주소 요청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 정보를 상기 판매자의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판매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획득된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가 포함된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결제자의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결제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상기 결제자의 전자 서명이 부가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정보가 수신됨에 응답하여,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트랜잭션이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processing a payment based on blockchain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블록체인을 통해 발행된 전자 화폐에 기반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결체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를 특정 단위의 블록에 기록하고, P2P(peer-to-peer)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노드들이 상기 블록을 체인 형태의 자료 구조로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기술 또는 상기 체인 형태의 자료 구조로 구성된 데이터 그 자체를 의미한다. 이때, 체인 형태의 자료 구조로 구성된 블록체인 데이터는, 중앙 시스템 없이 각각의 노드에서 분산 원장(distributed ledger) 형태로 운영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또는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료 구조로 블록들을 관리한다. 여기서, 각 블록에는 이전 블록에 대한 해시 값이 기록되며, 상기 해시 값을 통해 이전 블록이 참조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이 쌓일수록 블록 내에 기록된 트랜잭션 데이터의 위변조는 어려워지고, 각 블록에 기록된 트랜잭션 데이터의 신뢰도는 향상되게 된다.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 요청된 트랜잭션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 처리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화폐의 지급인 단말로부터 트랜잭션 처리 요청이 수신되면(①), 이중 지불 방지 등을 위해 트랜잭션의 유효성 검증이 수행되고(②), 유효한 경우 트랜잭션 데이터가 블록 생성 노드로 전달된다(③). 다음으로, 상기 블록 생성 노드가 해당 트랜잭션 데이터를 신규 블록에 기록하고(④), 상기 신규 블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전파하여 분산 합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⑤). 상기 분산 합의에 따라 거래가 최종 확정되면, 소정의 전자 화폐가 지급인의 전자 지갑으로부터 수취인의 전자 지갑으로 이전된다(⑥).
블록체인 시스템은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중앙 관리 시스템 없이도 거래 당사자 간에 안전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한 결제자가 주체가 되어 트랜잭션을 발생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 저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는, 블록체인을 통해 처리되는 트랜잭션의 특성으로부터 기인한다. 블록체인 상의 모든 트랜잭션은 지급인이 수취인에게 전자 화폐를 지급하는 보내기 유형의 트랜잭션이다. 따라서,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결제자는 결제를 승인하는 방식이 아니라 직접 결제 트랜잭션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결제 과정이 진행될 수 밖에 없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자는 전자 지갑 어플리케이션의 제1 GUI(11)에 판매자의 전자 지갑 주소를 입력하고, 제2 GUI(13)에 결제 금액을 입력한 다음, 제3 GUI(15)를 통해 결제 트랜잭션을 요청하여 한다.
이는, 판매자가 결제 트랜잭션을 요청하고 결제자는 결제 승인만을 수행하는 종래에 방식과 비교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떨어지는 방식이다. 특히 종래의 방식에 익숙한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 기반 결제 서비스의 이용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성 저하 문제 해결의 일환으로 결제자가 QR 코드 스캔을 통해 판매자의 전자 지갑 주소를 획득하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해당 방식을 이용하더라도, 결제자는 QR 코드 스캔, 결제 금액 입력 및 결제 트랜잭션 요청하는 등 일련의 행위를 직접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여전히 사용자의 편의성 저하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150278호(2016.12.29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은,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에 있어서, 판매자의 단말로부터 결제자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지갑 주소 요청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 정보를 상기 판매자의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판매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획득된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가 포함된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결제자의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결제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상기 결제자의 전자 서명이 부가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정보가 수신됨에 응답하여,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트랜잭션이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 정보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블루투스(Bluetooth) 및 비콘(beacon) 중 어느 하나의 방식 통해 상기 결제자의 단말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트랜잭션이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상기 결제 트랜잭션의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상기 결제자의 전자 지갑에 보관된 전자 화폐를 상기 판매자의 전자 지갑으로 이전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상기 결제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 포함된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에 의해 관리되는 블록체인 데이터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허가된 블록체인 노드가 참여하는 퍼미션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구성되고,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트랜잭션이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상기 결제 트랜잭션의 처리를 요청하는 제1 단계,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상기 결제자의 전자 지갑에 보관된 전자 화폐를 상기 판매자의 전자 지갑으로 이전하는 제2 단계, 상기 결제 트랜잭션에 대한 결제 완료 메시지를 상기 판매자의 단말로 통지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상기 결제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 포함된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에 의해 관리되는 블록체인 데이터에 기록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계 내지 상기 제4 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판매자의 단말로부터, 결제자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전자 지갑 주소 요청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를 획득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획득된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를 상기 판매자의 단말로 전달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판매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획득된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가 포함된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결제자의 단말로 전달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결제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상기 결제자의 전자 서명이 부가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트랜잭션이 처리되도록 하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판매자의 단말로부터 결제자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지갑 주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 정보를 상기 판매자의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판매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획득된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가 포함된 결제 요청 정보 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결제자의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결제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상기 결제자의 전자 서명이 부가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정보가 수신됨에 응답하여,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트랜잭션이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를 이용하여, 판매자 단말에서 결제 요청 정보가 생성된다. 또한, 결제자 단말을 통해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확인한 결제자는 다른 입력 없이 전자 서명만을 수행하여, 구매 항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서비스를 통해 안전한 결제 서비스가 제공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판매자 단말로 결제자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거나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로 결제자의 전자 서명 정보를 제공하는데, 결제자의 직접적인 입력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정보는 NFC 태그, 블루투스, 비콘, 제스처 인식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전자 서명 정보 또한 제스처 인식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서비스 만족도가 제고될 수 있다.
또한, 딥링크가 포함된 푸시 알림, 인스턴트 트랜잭션 처리를 통해, 결제 서비스가 고속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트랜잭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래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시스템의 일 구성 요소인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시스템의 일 구성 요소인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시스템의 일 구성 요소인 결제자 단말(3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결제자 단말의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결제 정보 검증 단계(S12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블록체인 시스템(200)에서 결제 트랜잭션이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블록체인 시스템(2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인스턴트 트랜잭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몇 용어들에 대하여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블록체인 데이터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가 유지하는 데이터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체인 형태의 자료 구조로 구성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각 블록에 기록된 데이터가 트랜잭션 데이터인 경우,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는 분산 원장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각 블록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종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의 구조는 도 1을 참조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란,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로 구성된 P2P 구조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블록체인 노드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데이터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상기 블록체인 노드는 단일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가상 머신으로 구현되는 경우, 단일 컴퓨팅 장치에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블록 생성 노드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 중 채굴(mining)을 통해 신규 블록을 생성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상 화폐란, 광의의 의미로 실물 없이 사이버 상으로 거래되는 전자 화폐를 의미한다. 협의의 의미의 가상 화폐는 예를 들어 비트코인과 같이 블록체인 상에 채굴을 통해 발행되는 전자 화폐를 의미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네이티브 애셋(native asset) 등의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정의 화폐란, 상기 가상 화폐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화폐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는 오픈 애셋 프로토콜(open asset protocol)을 이용하여 거래 서비스의 운영자에 의해 정의된 화폐가 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가상 화폐 및/또는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에서 "화폐"란 용어는 교환 수단이 되는 화폐 외에도 거래 대상이 되는 자산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는 포인트, 마일리지 등의 포인트형 화폐, 실물 화폐 외에 주식, 채권 등의 금융 자산까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커스텀 애셋(custom asset) 등의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오픈 애셋 프로토콜은 블록체인 상의 가상 화폐에 기반하여 사용자 정의 화폐를 발행하는 자산 발행 기술을 의미한다. 상기 오픈 애셋 프로토콜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컬러드 코인(colored coin) 등의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퍼미션(permission)은 인증(authentication)과 인가(authorization)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시스템은 블록체인 상에서 발행되는 전자 화폐에 기반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상기 전자 화폐는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발행되는 가상 화폐 또는 상기 가상 화폐에 기초하여 정의된 사용자 정의 화폐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시스템은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 블록체인 시스템(200), 결제자 단말(300) 및 판매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단,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블록체인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하나의 블록체인 노드일 수도 있다. 이하,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시스템에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탑(laptop)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연산 수단 및 통신 수단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결제 트랜잭션의 처리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 트랜잭션이 블록체인 시스템(200)를 통해서 처리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블록체인 시스템(200)을 통해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를 획득하고, 획득된 전자 지갑 주소를 판매자 단말(400)로 전달한다. 즉,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판매자 단말(400)로 결제 트랜잭션의 필수 정보 중 하나인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를 제공한다. 판매자의 전자 지갑 주소와 결제 금액은 판매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는 정보이므로, 본 실시예에서, 판매자 단말(400)은 결제 트랜잭션의 필수 정보(①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 ② 판매자의 전자 지갑 주소, ③ 결제 금액)를 모두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판매자 단말(400)이 상기 필수 정보가 포함된 결제 요청 정보를 결제자 단말(300)로 전송하며 결제를 요청함으로써, 결제 트랜잭션의 트리거 포인트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자는 직접적인 결제 정보 입력 없이 결제 승인만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시스템(200)은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각종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시스템(200)은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는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블록 생성, 전파, 검증, 기록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는 동일한 블록체인 데이터를 유지하며,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요청에 따라 결제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200)이 상기 결제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2를 참조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퍼미션(permission)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일 수 있다.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허가된 블록체인 노드만이 참여하여 구성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퍼미션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사설 블록체인 네트워크(private blockchain network) 등의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동일한 의미를 지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불특정 노드의 참여가 배제되기 때문에, 블록 생성에 소요되는 과도한 작업 증명이 요구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보다 안전한 결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퍼미션 기반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영역, 블록체인 노드 영역 및 블록 생성 노드 영역 각각에 대하여 퍼미션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영역에서 수행되는 퍼미션 검증 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영역의 경우,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인증 및/또는 권한 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PI 레벨에서 ACL(access control list)을 통해 접근 제어가 수행되거나, 트랜잭션 요청에 이용되는 사용자의 전자 서명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퍼미션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블록체인 노드 영역의 경우, 각 블록체인 노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하기 위해 기동하는 시점에 각 블록체인 노드에 기 저장된 퍼미션 정보(e.g. 환경 설정 파일에 기록된 퍼미션 정보)를 이용하여 퍼미션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퍼미션 정보는 실시예에 따라 중앙의 관리 장치에 의해 제어되거나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는, 각 블록체인 노드가 다른 블록체인 노드가 P2P 통신을 셋업하는 단계에서 노드 상호 간 퍼미션 검증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상호 퍼미션 검증은 예를 들어 블록체인 데이터 상에 저장된 퍼미션 정보(e.g. 허가된 블록체인 노드 정보가 포함된 화이트 리스트 등)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 상에 퍼미션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퍼미션 정보의 위변조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퍼미션 정보 또한 중앙의 관리 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정보일 수 있다.
블록 생성 노드 영역의 경우, 신규 블록에 대한 퍼미션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블록체인 노드는 퍼미션이 검증된 블록 생성 노드가 생성한 신규 블록만을 블록체인 데이터에 추가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퍼미션의 검증은 상기 블록체인 노드 영역의 검증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각각의 블록 생성 노드가 신규 블록에 자신의 전자 서명을 기록하도록 동작하고, 다른 블록체인 노드는 상기 신규 블록에 기록된 전자 서명을 검증함으로써 신규 블록에 대한 퍼미션 검증이 수행될 수도 있다.
참고로, 블록 생성 노드의 선의 여부가 블록체인 시스템(200)의 신뢰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블록체인 노드의 퍼미션 검증 기준인 제1 퍼미션보다 블록 생성 노드의 퍼미션 검증 기준인 제2 퍼미션이 더 높은 퍼미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더 높은 퍼미션을 보유한 신뢰성 있는 노드만이 블록 생성 노드가 될 수 있도록 블록체인 시스템(200)이 동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시스템(200)이 퍼미션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구성됨에 따라, 즉각적으로 트랜잭션이 처리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 시스템(200)은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신규 블록에 결제 트랜잭션이 기록되기 전에 상기 결제 트랜잭션에 따라 전자 화폐를 판매자의 전자 지갑으로 이전하고, 트랜잭션 처리 완료 통지가 결제자 단말(300) 및 판매자 단말(400)로 통지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속으로 결제 트랜잭션이 처리될 수 있는 바,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만족도가 제고될 수 있다. 이하, 즉각적으로 처리되는 트랜잭션은 "인스턴트 트랜잭션"으로 명명하며, 본 실시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시스템에서, 결제자 단말(300)은 블록체인 기반 결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결제자가 이용하는 단말이다. 예를 들어, 결제자는 결제자 단말(300)에 탑재된 전자 지갑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판매자로부터 구매한 항목(e.g. 상품, 서비스 등)의 대금을 전자 화폐로 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자 단말(300)은 결제 과정에서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자 단말(300)은 수신되는 각종 요청에 대하여 딥링크(deep link)가 포함된 푸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결제자 단말(300)은 결제자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직접적인 사용자 입력 없이도 전자 서명이 수행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외에도, 결제자 단말(300)은 편의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설명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시스템에서, 판매자 단말(400)은 블록체인 기반 결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판매자가 이용하는 단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판매자 단말(400)은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를 제공받고, 결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결제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판매자 단말(400)이 결제 트랜잭션의 트리거 포인트가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결제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한 자세한 설명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시스템에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시스템의 일 구성 요소인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서비스 요청 처리부(110), 인증 처리부(130), 통신부(15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각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서비스 요청 처리부(110)는 결제자 단말(300), 및/또는 판매자 단말(400) 사이에서 각종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따른 결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요청 처리부(110)는 결제 트랜잭션의 처리 요청에 응답하여 블록체인 시스템(200)을 통해 상기 결제 트랜잭션이 처리되도록 한다. 서비스 요청 처리부(1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의 설명 내용을 참조하도록 한다.
인증 처리부(130)는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인증에 관련된 제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인증 처리부(130)는 결제 서비스의 회원만이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인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의 다른 구성 요소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50)는 상기와 같이 컴퓨팅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유선 인터넷 모듈, 이동통신 모듈 또는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의 각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어드레싱(Addressing)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세분화된 구성 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성 요소들을 합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 버스(10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 프로세서(101)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03)와, 블록체인 기반 결제 소프트웨어(109a)를 저장하는 스토리지(109)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1)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03)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03)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09)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09a)을 로드할 수 있다. 도 6에서 메모리(103)의 예시로 RAM이 도시되었다.
버스(105)는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05)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는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109)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09a)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6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09a)의 예시로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소프트웨어(109a)가 도시되었다.
스토리지(109)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소프트웨어(10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소프트웨어(109a)는 메모리(103)에 로드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에 의해, 판매자 단말(400)로부터 결제자의 식별 정보가 수신됨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를 획득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를 상기 판매자 단말(400)로 전달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판매자 단말(400)로부터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됨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기초로 블록체인 시스템(200)을 통해 처리될 결제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결제 요청 정보는 상기 판매자의 전자 지갑 주소, 상기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 및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것인, 오퍼레이션 및 블록체인 시스템(200)을 통해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트랜잭션이 처리되도록 하는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결제자 단말(3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결제자 단말(300)은 인증 처리부(310), 전자 지갑(320), 인식부(330), 통신부(340), 표시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각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인증 처리부(310)는 는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수행에 요구되는 각종 인증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인증 처리부(310)는 거래 서비스 요청 시, 입력된 사용자의 전자 서명을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연동하여 처리한다. 또는, 결제자에 대한 각종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지갑(320)은 결제자 소유의 사용자 정의 화폐 및/또는 가상 화폐가 보관되고, 블록체인 시스템(200) 및/또는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연동하여 블록체인 기반 결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블록체인 응용이다.
인식부(330)는 결제자 단말(300)에 탑재된 센서의 신호를 기초로 결제자의 제스처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60)는 인식부(330)에 의해 특정 제스처가 입력되면 전자 서명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거나, 식별 정보가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인식부(330)는 바코드 및/또는 QR 코드 등을 인식할 수도 있다.
통신부(340)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의 다른 구성 요소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340)는 상기와 같이 컴퓨팅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유선 인터넷 모듈, 이동통신 모듈 또는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350)는 거래 진행 현황, 결제에 이용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370)는 모니터, 터치스크린 등의 출력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60)는 결제자 단말(3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6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결제자 단말(300)은 입력부(미도시) 및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미도시)는 결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결제자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입력을 수신한다. 이를 위해, 입력부(미도시)는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미도시)는 결제자 단말(300)의 각종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미도시)는 ROM(Read Only Memory), 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판매자 단말(400) 또한 결제자 단말(300)과 유사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추가 또는 제외될 수 있다.
도 7의 각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어드레싱(Addressing)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세분화된 구성 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성 요소들을 합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도 7을 참조하여,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시스템의 일 구성 요소인 결제자 단말(3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팅 장치는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시스템의 다른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에 포함되는 각 단계의 동작 주체는 그 기재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의 각 단계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소프트웨어(109a)가 프로세서(101)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수행되는 오퍼레이션일 수 있다.
도 8은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판매자 단말(400)이 결제자 단말(300)로 결제자의 식별 정보를 요청하고(S10), 상기 식별 정보의 요청에 응답하여 결제자 단말(300)이 판매자 단말(400)로 식별 정보를 제공한다(S20). 상기 식별 정보는 블록체인 시스템(200)을 통해 상기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로써, 예를 들어, 휴대폰 번호, 블록체인 시스템(200)의 ID, 이름, 결제자 단말(300)의 기기 정보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식별 정보는 얼마든지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 정보의 요청과 함께 푸시 알림이 결제자 단말(30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 알림은 식별 정보 요청과 관련된 특정 페이지에 대한 딥링크(deep link)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딥링크는 결제자 단말(300)에 탑재된 전자 지갑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식별 정보 요청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페이지의 딥링크 또는 식별 정보 제공 기능이 포함된 페이지의 딥링크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 요청과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매장 이름 등의 판매자 관련 정보, 구매 항목, 구매 금액 등의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자는 결제자 단말(300)에 표시된 푸시 알림을 통해 식별 정보 요청을 확인하고, 딥링크를 통해 연결된 페이지에서 빠르게 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자 단말(30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등의 방식으로 식별 정보를 판매자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시 알림을 통해 식별 정보 요청이 확인 되면, 결제자의 NFC 태그 행위, 블루투스 통신 또는 매장에 설치된 비콘 장치를 통해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도 자동으로 결제자의 식별 정보가 판매자 단말(4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자 단말(300)은 결제자의 제스처(이하 "제1 제스처"로 명명함)를 인식하고, 상기 제1 제스처가 인식됨에 응답하여, 식별 정보를 판매자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 식별 정보가 판매자 단말(400)로 제공되는 방식은 블루투스 등의 D2D(device-to-device) 통신일 수 있으나, 어떠한 방식이 되더라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스처는 결제자에 의해 기 설정된 제스처일 수 있고, 어떠한 제스처로 설정되더라도 무방하다. 실시예에 따라,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결제자 단말(300)은 주기적으로 상기 제1 제스처를 결제자가 등록한 복수의 제스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스처로 변경하고, 결제자에게 변경 사항을 통지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결제자의 식별 정보가 제공되면, 판매자 단말(400)은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통해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를 획득한다(S30, S40, S50). 구체적으로, 판매자 단말(400)이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결제자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며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를 요청하면(S30),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시스템(200)으로부터 상기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를 획득(S40)하고, 획득된 전자 지갑 주소를 판매자 단말(400)로 전달하게 된다(S50).
참고로, 단계(S40)에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블록체인 시스템(200)을 통해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자의 전자 지갑의 주소가 존재하는지, 상기 주소가 유효한지, 전자 화폐의 보유량이 충분한지 등의 유효성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50)까지 수행되면, 판매자 단말(400)은 결제 트랜잭션 생성에 필요한 필수 정보를 모두 수집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구매 항목에 대한 결제 금액 및 판매자의 전자 지갑 주소는 판매자 측에서 이미 알고 있는 정보이므로, 단계(S50)를 통해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가 획득되면, 결재 트랜잭션의 필수 정보가 모두 수집되게 된다.
그러면, 판매자 단말(400)은 상기 나머지 필수 정보가 포함된 결제 요청 정보(이하, "제1 결제 요청 정보"로 명명함)를 생성하고(S60), 상기 제1 결제 요청 정보를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한다(S70).
상기 제1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됨에 응답하여,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형식화된 결제 요청 정보(이하, "제2 결제 요청 정보"로 명명함)를 생성하고, 결제자 단말(300)로 전달한다(S80, S90). 여기서, 상기 제2 결제 요청 정보는 블록체인 시스템(20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또는 결제자 단말(300)에 탑재된 전자 지갑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제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형식화된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시예에서, 상기 제2 결제 요청 정보와 함께 결제자의 단말(300)에 탑재된 전자 지갑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딥링크가 포함된 푸시 알림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 요청에 대한 푸시 알림(351)이 결제자 단말(300)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페이지는, 상기 전자 지갑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제2 결제 요청 정보를 표시하는 페이지 또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대한 전자 서명을 입력 받는 페이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페이지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 항목, 결제 금액, 판매자의 전자 지갑 주소 등의 결제 요청 정보를 나타내는 제1 GUI(353)가 표시되고, 제1 GUI(353)와 함께 결제 승인 요청에 관한 제2 GUI(355)가 포함된 페이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딥링크를 통해 빠르게 결제 승인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결제자 단말(300)은 결제자로부터 결제 요청 정보에 대한 전자 서명을 입력 받는다(S100).
일 실시예에서, 결제자 단말(300)은 결제자의 제스처(이하, "제2 제스처"로 명명함)를 인식하면, 자동으로 결제자의 전자 서명이 수행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스처는 결제자의 전자 서명이 트리거되도록 기 설정된 제스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안성 향상을 위해 상기 제2 제스처는 상기 제1 제스처와 다른 제스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스처 또한 기 설정된 복수의 제스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스처로 주기적으로 변경되고, 변경 사항이 결제자에게 통지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결제자 단말(300)은 제2 결제 요청 정보에 전자 서명이 부가된 결제 정보를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달한다. 상기 결제 정보가 수신됨에 응답하여,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결제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고(S120), 유효한 경우 블록체인 시스템(200)으로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트랜잭션이 처리되도록 한다(S130).
구체적으로, 단계(S120)에서, 제2 결제 요청 정보와 결제 정보의 비교를 통한 유효성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 판매자의 전자 지갑 주소, 결제 금액 등의 정보가 일치하는지에 대한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S121, S123). 또한, 검증 결과 양쪽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블록체인 시스템(200)으로 결제 처리가 요청될 수 있다(S123, S130). 이를 통해, 판매자 단말(400)에 의해 요청된 결제 금액이 정확하게 결제 트랜잭션을 통해 처리되도록 보장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 시스템(200)이 수행하는 결제 트랜잭션의 처리는 도 12에 도시된 단계에 따라 수행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블록체인 시스템(200)은 먼저 결제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한다(S210). 이는, 예를 들어, 비트코인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UTXO(unspent transaction output) 검증에 대응되는 단계로 이해될 수 있다.
결제 트랜잭션이 유효한 경우, 블록체인 시스템(200)은 결제자의 전자 지갑에 보관된 전자 화폐를 판매자의 전자 지갑으로 이전하고(S230), 상기 결제 트랜잭션을 신규 블록에 기록하며(S240), 상기 신규 블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전파함으로써, 결제 트랜잭션을 처리를 완료한다.
지금까지,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결제자 단말(300)을 통해 결제 요청 정보를 확인한 결제자는 다른 입력 없이 전자 서명만을 수행하여, 구매 항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서비스를 통해 안전한 결제 서비스가 제공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트랜잭션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록체인 시스템(200)은 퍼미션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퍼미션 기반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구축되는 경우, 인가된 블록체인 노드 및 인가된 서비스 사용자만이 결제 트랜잭션의 처리를 요청할 것인 바, 이와 같은 신뢰를 바탕으로 인스턴트 트랜잭션이 처리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인스턴트 트랜잭션이 처리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3에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결제 트랜잭션의 요청 단계(S310) 이전의 단계는 도 8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시스템(200)이 결제 트랜잭션의 처리 요청을 수신하면(S310), 상기 처리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한다(S320). 상기 유효성의 검증은 예를 들어 결제자의 퍼미션 검증, 전자 화폐 보유량 검증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검증 결과, 상기 결제 트랜잭션이 유효한 경우, 바로 결제 트랜잭션에 따라 전자 화폐가 판매자의 전자 지갑으로 이전되고, 결재 트랜잭션의 처리 완료 통지가 판매자 단말(400)로 제공될 수 있다(S330). 즉, 결제 트랜잭션이 신규 블록에 기록되어 확정되기 전에, 블록체인 시스템(200)은 결제 트랜잭션을 즉각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결제 트랜잭션의 유효성이 검증되기 전이라도, 퍼미션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바탕으로, 결제 트랜잭션 완료 메시지가 결제자 단말(300) 및/또는 판매자 단말(400)로 통지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결제자의 퍼미션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e.g. 높은 퍼미션을 보유한 사용자), 해당 결제자가 요청한 결제 트랜잭션은 유효성 검증이 수행되기 전이라도 즉각적으로 처리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검증 결과 유효한 것으로 판정된 결제 트랜잭션은 임시 풀(temporary pool)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임시 풀은 신규 블록에 결제 트랜잭션이 기록되기 전에 임시로 보관되는 장소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인 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의 단계(S340 내지 S370)는 중복된 설명을 배제하기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트랜잭션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인스턴트 트랜잭션 처리 방법에 따르면, 결제 트랜잭션이 블록체인 데이터 상의 특정 블록에 기록되기 전에도 결제 트랜잭션이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랜잭션 처리의 응답 속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블록체인 기반 결제 서비스의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가 제고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개념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가, 판매자의 단말로부터,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전자 지갑 주소 요청 정보는 상기 결제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결제자의 결제 수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음 -;
    상기 전자 지갑 주소 요청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획득된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 정보를 상기 판매자의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판매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획득된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 상기 판매자의 전자 지갑 주소, 및 결제 금액이 포함된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판매자의 단말을 경유하지 않고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결제자의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결제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판매자의 단말을 경유하지 않고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상기 결제자의 전자 서명이 부가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정보가 수신됨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트랜잭션이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요청 정보와 상기 결제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제 트랜잭션이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판정의 결과, 상기 결제 요청 정보와 상기 결제 정보가 일치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결제 트랜잭션이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결제자의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와 함께, 상기 결제자의 단말에 탑재된 전자 지갑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딥링크(deep link)가 포함된 푸시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특정 페이지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표시하는 페이지 또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대한 전자 서명을 입력 받는 페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블루투스(bluetooth) 및 비콘(beacon)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결제자의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결제자의 제1 제스처(gesture)를 상기 결제자의 단말이 인식함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상기 결제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판매자의 단말로 제공되는 정보이고,
    상기 전자 서명은,
    상기 결제자의 제2 제스처를 상기 결제자의 단말이 인식함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자의 단말에서 자동으로 부가된 것이며,
    상기 제1 제스처 및 상기 제2 제스처는,
    서로 다른 제스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트랜잭션이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상기 결제 트랜잭션의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상기 결제자의 전자 지갑에 보관된 전자 화폐를 상기 판매자의 전자 지갑으로 이전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상기 결제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 포함된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에 의해 관리되는 블록체인 데이터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화폐는,
    오픈 애셋 프로토콜(open asset protocol)에 의해 정의된 사용자 정의 화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허가된 블록체인 노드가 참여하는 퍼미션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구성되고,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트랜잭션이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상기 결제 트랜잭션의 처리를 요청하는 제1 단계;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상기 결제자의 전자 지갑에 보관된 전자 화폐를 상기 판매자의 전자 지갑으로 이전하는 제2 단계;
    상기 결제 트랜잭션에 대한 결제 완료 메시지를 상기 판매자의 단말로 통지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상기 결제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 포함된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에 의해 관리되는 블록체인 데이터에 기록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계 내지 상기 제4 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상기 결제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단계 내지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결제 트랜잭션이 유효한 경우에 한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
  1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판매자의 단말로부터,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 상기 전자 지갑 주소 요청 정보는 상기 결제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결제자의 결제 수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음 -;
    상기 전자 지갑 주소 요청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를 획득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획득된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를 상기 판매자의 단말로 송신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판매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획득된 결제자의 전자 지갑 주소, 상기 판매자의 전자 지갑 주소, 및 결제 금액이 포함된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판매자의 단말을 경유하지 않고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결제자의 단말로 송신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결제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판매자의 단말을 경유하지 않고,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상기 결제자의 전자 서명이 부가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트랜잭션이 처리되도록 하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170123561A 2017-04-05 2017-09-25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384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34,384 US11049104B2 (en) 2017-04-05 2018-03-23 Method of processing payment based on blockchain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429 2017-04-05
KR20170044429 2017-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144A KR20180113144A (ko) 2018-10-15
KR102384321B1 true KR102384321B1 (ko) 2022-04-07

Family

ID=63866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561A KR102384321B1 (ko) 2017-04-05 2017-09-25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3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833B1 (ko) * 2018-11-16 2021-10-22 에듀해시글로벌파트너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거래의 실시간 트랜잭션 처리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200057985A (ko)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비즈블록스 하이브리드 블록체인과 기업형 하드웨어 키보관 시스템을 결합한 솔루션
KR102102273B1 (ko) * 2018-11-21 2020-04-2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선충전 방식의 가상화폐 결제 시스템
KR102207993B1 (ko) * 2019-03-12 2021-01-26 (주)거북선컴퍼니 블록체인을 활용한 거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12574B1 (ko) * 2019-06-11 2021-10-14 주식회사 모노랩스 그래픽 객체를 이용한 정품 인증 장치 및 방법
CN111242607B (zh) * 2020-01-06 2023-09-29 中山市当下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点对点通信api服务接口及其使用方法
KR102353764B1 (ko) * 2020-01-29 2022-01-19 고하준 블록체인을 이용한 안전결제 방법
KR102638434B1 (ko) * 2021-08-05 2024-02-20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결제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594497B1 (ko) * 2023-02-08 2023-10-27 주식회사 커먼컴퓨터 오프라인 nft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에게 nft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얼굴 인식 기반 사용자의 지갑 주소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nft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03475A1 (en) * 2015-01-14 2016-07-14 Mastercard Asia/Pacific Pte. Ltd.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a secure payment transac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301A (ko) * 2014-07-16 2016-01-26 주식회사 코빗 개인키 기반 전자 화폐의 결제 대행 서비스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660627B1 (ko) * 2015-02-03 2016-09-2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암호화 화폐의 거래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84219B1 (ko) 2016-06-15 2017-10-12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금융기관 제증명서류 위변조 검증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03475A1 (en) * 2015-01-14 2016-07-14 Mastercard Asia/Pacific Pte. Ltd.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a secure payment transa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144A (ko) 201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321B1 (ko) 블록체인 기반 결제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11049104B2 (en) Method of processing payment based on blockchain and apparatus thereof
US11562360B2 (en) Mobile device payments
KR102384340B1 (ko) 블록체인 기반 실시간 거래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4940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1222316B2 (en) Real time virtual draft system and method
CN110945554B (zh) 注册表区块链架构
RU2713703C2 (ru) Заблаговременная авторизация цифровых запросов
US20180293576A1 (en) System for custom currency transaction based on blockchai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6407294B2 (ja) トラックデータの動的な変更
RU2602394C2 (ru) Устройства, способы и системы токенизации конфиденциальности платежей
US9264850B1 (en) Multiple merchants in cardless payment transactions and multiple customers in cardless payment transactions
JP2019507431A (ja) 位置照合を使用する認証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9636593B (zh) 用于认证网络交易中的用户的系统和方法
CN112368730A (zh) 使用动态安全结账元件的安全远程交易框架
JP2017513122A (ja) 安全なオフライン支払いシステム
JP2019522270A (ja) コネクテッドデバイス用サブトークン管理システム
US9336523B2 (en) Managing a secure transaction
KR102407187B1 (ko) 블록체인 기반 전자 화폐 자동 충전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694203B1 (en) Authentication transaction
AU2019378253A1 (en) Distributed ledger systems, methods and devices
KR102282345B1 (ko) 간소화되고 주도적인 구조를 가진 결제 트랜잭션 처리
CN109155031B (zh) 用于语音认证的分发支付凭证的方法和系统
US20190172038A1 (en) Real-time delegated approval of initiated data exchanges by network-connected devices
KR102070252B1 (ko) 블록체인 기반 결제 서비스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