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512B1 - 친환경 초미립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초미립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512B1
KR102219512B1 KR1020200078909A KR20200078909A KR102219512B1 KR 102219512 B1 KR102219512 B1 KR 102219512B1 KR 1020200078909 A KR1020200078909 A KR 1020200078909A KR 20200078909 A KR20200078909 A KR 20200078909A KR 102219512 B1 KR102219512 B1 KR 102219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particles
crushing
crushed
inducing
sub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식
Original Assignee
임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식 filed Critical 임정식
Priority to KR1020200078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4Minerals of vulcanic origin
    • C04B14/18Perlite
    • C04B14/185Perlite expand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2Treatment
    • C04B20/026Comminuting, e.g. by grinding or breaking; Defibrillating fibres other than asbesto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2Treatment
    • C04B20/04Heat treatment
    • C04B20/06Expanding clay, perlite, vermiculite or like granular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라이트 파쇄 및 팽창 과정에서 발생 내지 비산되는 미세입자를 집진하여 소정의 천연 자재로 재생산함으로써 다양한 기능 내지 종류의 친환경 물품으로 제작 가능할 뿐 아니라 종래에 없던 용도를 개척하여 잠재적 가치를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사회적 비용 절감 및 산업발전에 이바지하는 친환경 초미립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출발물질을 설정 크기로 파쇄하여 가공 가능한 상태로 형성한 다음 고온의 열을 가하여 조직 변태 및 팽창을 유도함에 따라 최종물질이 형성되는 파쇄 및 가열단계(S100); 파쇄 및 가열단계에서 최종물질을 형성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미세입자를 흡입하여 설정 공간으로 집진하고 미세입자들의 이화학 상태 평형을 유도하는 집진단계(S200); 집진된 미세입자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해 소분 압축하여 압축물을 형성한 다음 압축물을 설정 형태로 가공하여 자재를 생성하는 자재생성단계(S3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친환경 초미립자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recycled materials using fine particles produced during pearlite processing}
본 발명은 친환경 초미립자와 관련한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펄라이트 파쇄 및 팽창 과정에서 발생 내지 비산되는 미세입자를 집진하여 소정의 천연 자재로 재생산함으로써 다양한 기능 내지 종류의 친환경 물품으로 제작 가능할 뿐 아니라 종래에 없던 용도를 개척하여 잠재적 가치를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사회적 비용 절감 및 산업발전에 이바지하는 친환경 초미립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펄라이트는 진주암을 가공하는 과정에 생성되는 무기질 물질이다. 고열에 노출되어 냉각되는 속도에 따라 i) 미세 펄라이트, ii) 중간 펄라이트, iii) 거친 펄라이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술한 펄라이트는 다공성 구조를 나타냄에 따라 수분을 빠르게 흡수 및 배출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제반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친환경 자재로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시멘트, 유리, 합성수지, 페인트 등의 자재로 지어진 건축물에 실내공기 오염을 절감하기 위하여 건축물 내장재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한편, 진주암을 파쇄한 다음 고열에 노출시키는 펄라이트 가공과정 중 분산 미세입자는 쓸모없는 부산물로 취급하여 폐기되고 있다. 미세입자 또한 원재료인 진주암의 미세입자이자, 팽창 시 분산되는 최종 생성물인 펄라이트의 미세입자로서 이는 펄라이트와 동등하게 친환경 자재로 활용할 수 있음에도 인식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가령 등록특허공보 제10-1495903호에는 "팽창 펄라이트를 활용한 고온 발열 제설제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사상이 개시되고 있으며, 해당 기술사상은 펄라이트의 유익한 특징을 강조하여 제설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나 최종 생성물인 펄라이트만 강조할 뿐 가공 시 발생하는 미세입자를 활용하는 방법은 제시하고 있지 않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95903호 "팽창 펄라이트를 활용한 고온 발열 제설제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펄라이트 가공 과정에서 비롯되는 미세입자를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 내지 집진 유도함으로써 친환경 초미립자로서의 활용 가치가 극대화되는 일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친환경 초미립자 제조방법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출발물질을 설정 크기로 파쇄하여 가공 가능한 상태로 형성한 다음 고온의 열을 가하여 조직 변태 및 팽창을 유도함에 따라 최종물질이 형성되는 파쇄 및 가열단계(S100); 파쇄 및 가열단계에서 최종물질을 형성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미세입자를 흡입하여 설정 공간으로 집진하고 미세입자들의 이화학 상태 평형을 유도하는 집진단계(S200); 집진된 미세입자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해 소분 압축하여 압축물을 형성한 다음 압축물을 설정 형태로 가공하여 초미립자(자재)를 생성하는 자재생성단계(S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진단계(S200)는 출발물질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파쇄 미세입자를 흡입하는 파쇄흡입단계(S210); 파쇄 미세입자에 고온의 열을 가함에 따라 확산되는 가열 미세입자를 흡입하는 가열흡입단계(S220); 파쇄 미세입자와 가열 미세입자를 설정 공간으로 집진하여 가열 미세입자가 갖는 열을 파쇄 미세입자로 전도되게 하여 이화학 상태의 평형을 유도함에 따라 파쇄 미세입자의 조직 변태 및 팽창을 유도하는 평형유도단계(S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재생성단계(S300)는 집진된 미세입자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해 소분 압축하여 압축물을 형성하는 압축물형성단계(S310); 소분된 압축물을 설정 형태로 가공하여 자재를 생성하는 형태형성단계(S3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쇄 및 가열단계(S100)는 출발물질을 설정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단계(S110)와, 파쇄된 출발물질의 변태 및 팽창을 위해 설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단계(S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형유도단계(S230)는 압축물의 기계적 물성 보완을 위해 집진된 미세입자에 다공성 장석을 혼합하는 추가혼합단계(S232)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가혼합단계(S232)는 입경이 10㎛ 이하인 다공성 장석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펄라이트 파쇄 및 팽창을 위한 가열과정에서 발생 확산되는 미세입자를 집진하여 천연 자재를 형성함으로써 친환경 물품 제작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최종 생성물인 펄라이트만 강조하던 기존과 달리 가공 시 필연적으로 생성되는 미세입자의 없던 용도를 새로이 개척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뿐 아니라 이러한 미세입자의 잠재적 가치를 높일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세입자 폐기에 소모되던 비용이 적극 절감됨은 물론 폐기물에 지나지 않던 해당 미세입자를 초미립자 내지 자재 등의 형태로 재생산하는바, 궁극적으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친환경 초미립자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친환경 초미립자 제조방법의 블럭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단순 기술분야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선행기술을 특정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친환경 초미립자와 관련한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펄라이트 파쇄 및 팽창 과정에서 발생 내지 비산되는 미세입자를 집진하여 소정의 천연 자재로 재생산함으로써 다양한 기능 내지 종류의 친환경 물품으로 제작 가능할 뿐 아니라 종래에 없던 용도를 개척하여 잠재적 가치를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사회적 비용 절감 및 산업발전에 이바지하는 친환경 초미립자 제조방법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친환경 초미립자 제조방법은 크게 파쇄 및 가열단계(S100);와, 집진단계(S200);와, 자재생성단계(S300);로 구분되고, 자재생성단계(S300)에서 자재라 함은 본 발명이 추구하는 목적 대상물인 초미립자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세 기재하면, 상기 친환경 초미립자 제조방법은 출발물질을 설정 크기로 파쇄하여 가공 가능한 상태로 형성한 다음 고온의 열을 가하여 조직 변태 및 팽창을 유도함에 따라 최종물질이 형성되는 파쇄 및 가열단계(S100);와, 파쇄 및 가열단계에서 최종물질을 형성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미세입자를 흡입하여 설정 공간으로 집진하고 미세입자들의 이화학 상태 평형을 유도하는 집진단계(S200);와, 집진된 미세입자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해 소분 압축하여 압축물을 형성한 다음 압축물을 설정 형태로 가공하여 자재를 생성하는 자재생성단계(S300);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짐을 그 전제로 한다.
상기 파쇄 및 가열단계(S100)는 출발물질인 진주암을 파쇄 및 가열하여 최종물질인 펄라이트(Perlite)의 생성 과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최종물질인 펄라이트(Perlite)를 활용하는 것이 아닌 펄라이트(Perlite) 가공 시 생성되는 미세입자를 활용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파쇄 및 가열단계(S100)는 출발물질을 설정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단계(S110)와, 파쇄된 출발물질의 변태 및 팽창을 위해 설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단계(S120)로 구분될 수 있는바, 여기서 파쇄는 진주암을 파쇄하는 공정이며, 가열은 파쇄된 진주암을 설정 온도의 고온으로 가열하는 공정을 지칭한다.
가열 공정 시 진주암이 머금은 수분을 통해 팽창 펄라이트(Perlite)가 생성되며, 각 파쇄 및 가열 공정 시 필연적으로 미세입자가 확산된다. 이때 각 파쇄 및 가열 시 확산되는 미세입자를 집진하여 설정 공간으로 함집시키는 집진단계(S200)를 진행한다.
상기 파쇄 및 가열단계(S100) 및 집진단계(S200)는 일체화된 구조물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해당 구조물은 각 단계 목적에 부합하는 파쇄기, 가열기, 집진장치 등으로 구성됨은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와 관련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집진단계(S200)의 제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히 기술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집진단계(S200)는 출발물질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파쇄 미세입자를 흡입하는 파쇄흡입단계(S210);와, 파쇄 미세입자에 고온의 열을 가함에 따라 확산되는 가열 미세입자를 흡입하는 가열흡입단계(S220);와, 파쇄 미세입자와 가열 미세입자를 설정 공간으로 집진한 후 가열 미세입자가 갖는 열을 파쇄 미세입자로 전도되게 하여 이화학 상태의 평형을 유도함에 따라 파쇄 미세입자의 조직 변태 및 팽창을 유도하는 평형유도단계(S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파쇄흡입단계(S210)는 진주암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미세입자를 흡입하여 집진하고, 상기 가열흡입단계(S220)는 파쇄된 진주암에 고온의 열을 가함에 따라 확산되는 미세입자를 흡입하여 집진하는 단계이다.
즉 파쇄 및 가열 간 생성되는 미세입자를 별도로 흡입하여 진주암 가공 공정 전체적으로 생성되는 미세입자를 집진하고 이를 구분하여 집진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구분하여 집진하는 것은 공정 전체에서 생성되는 미세입자를 집진하는 목적 외에도 직접적으로 파쇄된 미세입자 상에 고온에 노출된 미세입자를 안착시킴에 목적이 있다. 진주암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고 부피를 팽창시키기 위해 약 65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한다. 파쇄된 미세입자는 마찰열이 잔존할 수 있으나 내부 수분이 제거될 정도로 가열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평형유도단계(S230)를 통해 가열된 미세입자와 파쇄된 미세입자를 설정 공간에 함께 수용하고 열전도를 유도하여 파쇄된 미세입자의 내부 수분을 일정량 제거케 한다. 이로써, 파쇄 미세입자 또한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폐기를 면하고, 가열된 미세입자는 냉각속도가 조절되어 내구성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즉 냉각속도가 커질수록 펄라이트 구조가 미세해지는바, 본 발명은 열 평형 상태의 유도로 일정 수준부터 냉각속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미세입자들이 소정의 압력에 파손되지 않는 적정 내구성을 가질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자재생성단계(S300)는 집진된 미세입자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해 소분 압축하여 압축물을 형성하는 압축물형성단계(S310);와, 소분된 압축물을 설정 형태로 가공하여 자재를 생성하는 형태형성단계(S320);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압축물형성단계(S310)는 각 용도에 부합하도록 일정량을 소분한 다음 분산을 방지하기 위해 압축하는 단계로, 여기서 압축이라 함은 설정 압력을 가한 다음 부서지는 것을 걸러낸 압축물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다르게 설명하면 설정 강도를 갖는 미세입자를 분류하는 것이다.
상기 형태형성단계(S320)는 압축물의 공급 목적에 따라 형태가공을 진행하여 조성물을 생성하고, 외관상 미려함과 자연 친화성을 제고하기 위해 사각 또는 원형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이때 미세입자의 형태를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친환경 점착물이 더 첨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평형유도단계(S230)는 압축물의 기계적 물성 보완을 위해 집진된 미세입자에 다공성 장석을 혼합하는 추가혼합단계(S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석은 풍화나 열수변질을 통해 고령토화, 불석화, 녹염석화, 또는 몬모릴로나이트화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고, 풍화에 수반된 변질작용은 광물 조성은 물론, 표면 조직의 변화를 수반한다. 암석의 풍화면에서 미세 공동들이 관찰되며 이러한 공동은 반응면적에 관계되는 비표면적을 높이고 이온의 용출과 흡착에 관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채용되는 다공성 장석은 풍화된 장석반암으로, 풍화에 의해 생성되는 공정에서 2차 광물 점토광물로 충전되어 있으며, 이러한 다공성 구조로 인하여 비표면적 및 양이온 교환능력이 증가하게 된다.
다음의 표는 실시 예 1로 천연 제올라이트, 실시 예 2로 입경 10㎛ 이하인 풍화된 장석반암인 다공성 장석, 실시예 3으로 입경 10㎛ 초과 20㎛ 이하인 풍화된 장석반암인 다공성 장석, 실시 예 4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자재와 입경 10㎛ 이하 풍화된 장석반암인 다공성 장석을 혼합한 자재의 반응면적을 비교한 것이다.
구분 반응면적(m2/g)
실시 예 1 365.3
실시 예 2 324.4
실시 예 3 330.5
실시 예 4 335.1
<반응면적 비교표>
다음의 표는 위 실시 예 1 내지 4의 양이온교환능력을 비교한 것이다. 양이온교환능력은 특정한 pH에서 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다른 양이온과 교환 가능한 형태로 흡착된 양이온의 총량을 지시하며, 개방된 환경에서 물질의 변화, 이동, 광물의 풍화에 관계된다. 이를 살펴보고자 1N-초산암모니움 침출법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분 양이온교환능력(meq/100g)
실시 예 1 100.2
실시 예 2 115.2
실시 예 3 111.3
실시 예 4 125.4
<양이온교환능력 비교표>
위 표 1 및 2를 살펴보건대, 실시 예 1인 제올라이트는 반응면적이 제일 컸으나 양이온교환능력이 타 실시 예보다 떨어졌으며, 실시 예 3도 반응면적이 큰 것에 비해 양이온교환능력이 타 실시 예보다 떨어짐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인 실시 예 4는 타 실시 예보다 반응면적에 비해 양이온교환능력이 커 친환경 자재로 활용되었을 때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다공성 구조의 숫자, 형태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실시 예 4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추가혼합단계(S232)에서 입경이 10㎛ 이하인 에서 다공성 장석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실시 예 4는 다공성 장석을 통해 비표면적, 양이온교환능력을 보완, 즉 기계적, 화학적 물성을 보완한다. 이로써 물리, 화학적 특성이 우수한 친환경 자재로 활용 가능하다.
예컨대 산업광물 중 건설재료로서 활용성이 높은 재료들은 대부분 규산염광물이 풍화되어 생성되는 점토광물이다. 규산염광물 기반의 산업광물은 시멘트, 내화물 등으로 활용되고 포졸란 재료로서 시멘트와의 반응성이 높다. 본 발명은 시멘트와 혼합 반응하여 친환경 건축자재로 활용될 수 있는바, 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시료를 제작하였다.
실시 예 1로 시멘트와 실라카흄을 7:3으로 혼합한 시료, 실시 예 2로 시멘트와 메타카올린을 7:3으로 혼합한 시료, 실시 예 3으로 시멘트와 본 발명의 자재를 7:3으로 혼합한 시료, 실시 예 4로 시멘트와 본 발명이 제시하는 자재에 다공성 장석을 더 포함한 시료로, 공시체 직경과 높이 1인치 원기둥으로 제작하여 일축압축강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해당 실리카흄, 메타카올린은 통상적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규산염광물 재료이다.
구분 일축압축강도(Mpa)
실시 예 1 1.3
실시 예 2 1.5
실시 예 3 2.0
실시 예 4 2.2
<일축압축강도 특성 비교표>
위 표 3과 같이, 본 발명인 실시 예 3이 다른 규산염 광물보다 약 20% 이상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본 발명이 새로운 시멘트 결합재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비정형의 연결된 공동으로 인하여 시멘트와 반응성이 높아진 것에 기인한다. 또한, 본 발명 자재는 SiO2 , Al2O3 의 함량이 타 시료들보다 높아 일축압축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실시 예 4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자재에 다공성 장석이 더 포함된 것으로서 실시 예 3보다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다공성 장석에 의해 SiO2, Al2O3 의 함량이 더 높아진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처에 따라 다공성 장석의 포함 여부를 선택하여 기계적 물성 중 하나인 압축강도를 높일 수 있다. 주의할 점은 시멘트와 대체재료의 배합비인 바, 시멘트 대체재료의 배합비가 과대할 경우에는 강도 하락의 우려가 있으며, 시멘트 대체재료의 배합비가 너무 작을 경우 시트멘량이 많아져서 강도면에서는 유리하지만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비교적 완만한 강도 하락율과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여 시멘트와 대체재료 배합비는 7:3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펄라이트 파쇄 및 팽창을 위한 가열과정에서 발생 확산되는 미세입자를 집진하여 천연 자재를 형성함으로써 친환경 물품 제작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최종 생성물인 펄라이트만 강조하던 기존과 달리 가공 시 필연적으로 생성되는 미세입자의 없던 용도를 새로이 개척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뿐 아니라 이러한 미세입자의 잠재적 가치를 높일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세입자 폐기에 소모되던 비용이 적극 절감됨은 물론 폐기물에 지나지 않던 해당 미세입자를 초미립자 내지 자재 등의 형태로 재생산하는바, 궁극적으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 파쇄 및 가열단계 S200 : 집진단계
S210 : 파쇄흡입단계 S220 : 가열흡입단계
S230 : 평형유도단계 S300 : 자재생성단계
S310 : 압축물형성단계 S320 : 형태형성단계

Claims (3)

  1. 출발물질을 설정 크기로 파쇄하여 가공 가능한 상태로 형성한 다음 고온의 열을 가하여 조직 변태 및 팽창을 유도함에 따라 최종물질이 형성되는 파쇄 및 가열단계(S100);와, 파쇄 및 가열단계에서 최종물질을 형성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미세입자를 흡입하여 설정 공간으로 집진하고 미세입자들의 이화학 상태 평형을 유도하는 집진단계(S200);와, 집진된 미세입자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해 소분 압축하여 압축물을 형성한 다음 압축물을 설정 형태로 가공하여 자재를 생성하는 자재생성단계(S300);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 및 가열단계(S100)는 출발물질을 설정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단계(S110)와, 파쇄된 출발물질의 변태 및 팽창을 위해 설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단계(S120)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단계(S200)는 출발물질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파쇄 미세입자를 흡입하는 파쇄흡입단계(S210);와, 파쇄 미세입자에 고온의 열을 가함에 따라 확산되는 가열 미세입자를 흡입하는 가열흡입단계(S220);와, 파쇄 미세입자와 가열 미세입자를 설정 공간으로 집진하여 가열 미세입자가 갖는 열을 파쇄 미세입자로 전도되게 하여 이화학 상태의 평형을 유도함에 따라 파쇄 미세입자의 조직 변태 및 팽창을 유도하는 평형유도단계(S230);로 이루어지되, 상기 평형유도단계(S230)는 파쇄된 미세입자에 잔존하는 내부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가열된 미세입자와 파쇄된 미세입자를 설정 공간에 함께 수용한 후 열전도를 유도함으로써 파쇄 미세입자가 다공성 구조를 보유하게 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자재생성단계(S300)는 집진된 미세입자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해 소분 압축하여 압축물을 형성하는 압축물형성단계(S310);와, 소분된 압축물을 설정 형태로 가공하여 자재를 생성하는 형태형성단계(S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평형유도단계(S230)는 압축물의 기계적 물성 보완을 위해 집진된 미세입자에 다공성 장석을 혼합하는 추가혼합단계(S232)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초미립자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혼합단계(S232)는 입경이 10㎛ 이하인 다공성 장석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초미립자 제조방법.
  3. 삭제
KR1020200078909A 2020-06-29 2020-06-29 친환경 초미립자 제조방법 KR102219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909A KR102219512B1 (ko) 2020-06-29 2020-06-29 친환경 초미립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909A KR102219512B1 (ko) 2020-06-29 2020-06-29 친환경 초미립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512B1 true KR102219512B1 (ko) 2021-02-23

Family

ID=7468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909A KR102219512B1 (ko) 2020-06-29 2020-06-29 친환경 초미립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5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3237A (ja) * 1992-11-26 1994-06-10 Nippon Steel Corp ソフトフェライト中間製品の再生利用法
JPH07116506A (ja) * 1993-10-28 1995-05-09 Showa Kagaku Kogyo Kk パーライト質高速濾過助剤の製造方法
KR20020005103A (ko) * 2000-07-08 2002-01-17 손연호 팽창퍼라이트의 제조방법
KR20040087061A (ko) * 2003-04-04 2004-10-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이용한 포틀랜드 시멘트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1495903B1 (ko) 2014-10-16 2015-02-25 주식회사 한국환경사업단 팽창 펄라이트를 활용한 고온 발열 제설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3237A (ja) * 1992-11-26 1994-06-10 Nippon Steel Corp ソフトフェライト中間製品の再生利用法
JPH07116506A (ja) * 1993-10-28 1995-05-09 Showa Kagaku Kogyo Kk パーライト質高速濾過助剤の製造方法
KR20020005103A (ko) * 2000-07-08 2002-01-17 손연호 팽창퍼라이트의 제조방법
KR20040087061A (ko) * 2003-04-04 2004-10-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이용한 포틀랜드 시멘트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1495903B1 (ko) 2014-10-16 2015-02-25 주식회사 한국환경사업단 팽창 펄라이트를 활용한 고온 발열 제설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an et al. Development of fly ash and iron ore tailing based porous geopolymer for removal of Cu (II) from wastewater
CN108484115B (zh) 一种利用固体废弃物制备的多孔材料
Guan et al. Performance of microwave-activated coal gangue powder as auxiliary cementitious material
Lazaro et al. Nanotechnologies for sustainable construction
US10442738B2 (en) Ceramic proppa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Zivica et al. High strength metahalloysite based geopolymer
CN106477929A (zh) 一种强化再生骨料的制备方法及强化再生骨料混凝土
JP6339291B2 (ja) 膨張黒鉛(expanded graphite)及び膨潤性粘土(swelling clay)を利用して軽量化された吸音耐火断熱材(insulation panel)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911599B (zh) 一种从铁尾矿同时制备氧化铁和二氧化硅气凝胶垫的方法
CN105036709B (zh) 一种利用污水污泥、粉煤灰烧轻质电气石陶粒的制备方法
CN103288426A (zh) 一种利用工业废料制备页岩气专用压裂支撑剂的方法
CN101328060A (zh) 一种硅藻土基多功能微孔陶瓷的制备方法
CN103964789A (zh) 利用人造石板废弃物生产发泡混凝土的方法
KR102219512B1 (ko) 친환경 초미립자 제조방법
Oluseyi et al. Evaluation of Nigerian source of kaolin as a raw material for mullite synthesis
DE10040582A1 (de) Hochtonerdehaltiges Pulver,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s Pulvers
CN114262231B (zh) 一种石灰窑用的内衬耐火材料及其制备方法
Nelyubova et al. Cellular composites with ambient and autoclaved type of hardening with application of nanostructured binder
Sinulingga et al. Addition of nano particles effect of rice husk ash as a mixture on the bricks strength
JP2883881B2 (ja) 人工軽量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ırsever et al. Effect of porcelain polishing waste additive on properties and corrosion resistance of ceramic foams produced from zeolite
KR100440533B1 (ko) 기능성 건축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건축용 물질
CN108086576B (zh) 一种利用工业固体废渣制备轻集料混凝土小型空心砌块方法
Serewane Deramne et al. Use of a kaolinitic‐illitic clay from Central African Republic and an organic waste for the production of porous ceramic materials
JP3058322B2 (ja) 骨材、及び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